KR100318884B1 - 광학기록을위한파형형성방법및그장치 - Google Patents

광학기록을위한파형형성방법및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884B1
KR100318884B1 KR1019950702613A KR19950702613A KR100318884B1 KR 100318884 B1 KR100318884 B1 KR 100318884B1 KR 1019950702613 A KR1019950702613 A KR 1019950702613A KR 19950702613 A KR19950702613 A KR 19950702613A KR 100318884 B1 KR100318884 B1 KR 100318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trailing
control
leading edge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0505A (ko
Inventor
리차드엘 윌킨슨
스테판피 브라운
쉬강 리
Original Assignee
리차드 엘. 윌킨슨
옵티컬디스크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5432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1888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리차드 엘. 윌킨슨, 옵티컬디스크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리차드 엘. 윌킨슨
Publication of KR96070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8Modul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디스크(1)에 기록되는 광표면 효과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전으로, 기록광 비임 발생원(7)과, 매체(1)상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발진기 구동신호(10)에 응답하여 이동기록매체(1)의 임계레벨 이상 및 이하의 기록 비임(9)의 강도를 발진하기 의한 광 발진기(11)와, 기록 비임(9)이 임계레벨 이상일 때 표면효과의 트랙을 형성할 수 있고 기록비임(9)이 임계레벨 이하일 때 표면효과를 형성할 수 있는 광비임(9) 과, 임계레벨 이하의 최소 전력 레벨과 임계레벨 이상의 피이크 전력에 대하여 기록 비임(9)을 발진하기 위한 리이딩 및 트레일링 엣지를 가지는 구형과를 구비하여, 이동 기록 매체(1) 에서 표면 효과의 트랙에 소정의 듀티 사이클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데이터 기록을 위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신호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학정보기록시스템에서의 파형 형성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광 디스크에 기록되는 표시의 선명도를 개선하여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듀티사이클 및 비대칭 문제를 극복하도록 하는 파형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간단한 설명
광반응 매체에 광학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여러 가지 시스템이 알려져있다. 디지털 정보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정보는 여러 가지 매체에 기록할수 있는바, 디스크, 드럼 및 테이프형태의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s), 광호변성(光互變性)(photochromic) 재료 및 열반응 재료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이들의 알려진 시스템은 기록매체의 비선형성에 기인한 펄스코드변조(PCM) 또는 주파수변조(FM)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알려진 시스템은 매체의 광감지 표면상 작은 지점에 기록비임(writing beam)을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광학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기록매체의 정보밀도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최소사이즈의 지점에 기록비임을 집속시켜야 한다. 회절효과에 기인하여, 응집되어 방사되는 집속비임은 중앙에 밝은 지점이 형성되고 동심원의 광에 의해 둘러싸여진 에어리(airy disc)를 형성하는 바, 이 에어리디스크는 가우스전력분포(gaussian power distribution)를 갖는다. 광에 있어서 중앙지점의 직경은 기록광의 파장과 대물렌즈의 개구율(NA)에 의해서 한정된다.
대부분의 광학기록매체들은 임계효과를 나타내는 데, 이는 기록비임 전력 밀도의 레벨이 매체를 변경 가능한 레벨보다는 크고, 매체를 변경시키지 못하는 레벨보다는 낮음을 의미한다. 집속된 기록비임의 전력밀도가 중앙스폿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 변화하기 때문에, 집속광의 중앙스폿의 직경보다 작은 매체상에 변경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 사이즈의 변정영역을 얻기 위하여 종래 기술은 특정 직경에서의 집속된 스폿의 전력밀도가 기록매체의 임계레벨과 동등하게 되도록 변조광의 최대강도를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만을 가르쳐 주고 있다. 실험적인 결과에 의하면, 이 기술은 매체와 기록지점간에 이동이 없고 매체에 의해 흡수된 에너지를 확산시키는 열 전도효과가 없는 경우에, 극히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그러나 모든 실제의 시스템에서는, 매체와 기록지점간의 이동은 필요하며, 이러한 이동은 매체의 특별한 영역에 의하여 흡수되는 에너지량에 대한 계산을 복잡하게 한다.
모든 광반응매체는 재료의 한 주기동안 받아들인 에너지량을 통합적으로 받아들이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재료의 임계레벨은 재료가 변경되었을 때의 특정 순간 전력밀도를 한정하기보다는 전력이 받아들여진 시간이상 만큼 받아들인 전력의 통합에 기인한 에너지 밀도를 한정한다. 다시 말해서, 재료에 대한 임계레벨은 실제에 있어서는 노출레벨이 되며, 노출레벨은 노출시간이상 통합되는 단위영역에 대한 방사속(radiant flux)으로서 한정된다. 매체의 특정점에 있어서의 특정시간에 대한 방사자속방출은 집속지점내 점위치와 함수관계에 있으며, 뿐만 아니라 기록비임의 순간발진레벨과 함수관계가 있다. 특히 매체상 특정 점에서의 노출레벨은 변조된 기록비임의 순간전력을 시간함수로서 콘벌루젼 적분(convolution integral) 한 것과 동일하며, 전력밀도 분포는 집속지점을 통과하는 매체상 특정점의 속도와 경로에 의해 한정된다. 접속지점의 전력분포는 2차원적으로 변화되므로 매체상에서의 노출레벨은 3차원 그래프를 형성하고, 이 그래프의 교점은 매체상 변경영역의 경계를 매체맵의 임계레벨에 대응하게 수직으로 평면적으로 자른다.
기록지점의 한정된 크기에 대한 효과를 결정하는 중요개념으로서는 이동하는 기록매체상 정보에 있어서의 공간주파수 개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은 여기서 참고자료로 사용한 미국 특허 제 4,616,356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참고자료로 사용한 미국 특허 제 4,225,873호에는 파라미터와 관련된 기록정보의 2차 고조파 왜곡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신호처리 기술에 관해서 언급하고 있다. 이 설명에서는, 기록정보의 듀티사이클이 상세히 언급되어 있는바, 2차 고조파 왜곡은 듀티사이클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즉, 듀티사이클이 약 50% 까지 조절되는 경우, 기록정보의 2차 고조파 왜곡은 최소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매체 상에 기록하는 경우, 이 기록공정에 의해서 기록표면의 제거, 표면의 변색, 포토레지스터에 의해 코팅된 표면의 빛에 의한 경화 또는 빛에 의한 의한, 융기형성 또는 기포형성 등과 같은 효과가나타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기록매체는 조사되는 광비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광비임의 에너지는 효과를 유발 또는 유발시키지 않도록 임계레벨에 비하여 증가 및 감소된다. 또한, 모든 경우에 있어서, 광비임이 처음 조사되거나 임계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기록 표면상에서의 에너지는 즉시 효과를 발하지 않는다. 그러나, 열적으로 반응하는 매체를 사용하면, 인가 에너지의 영향하에 있는 동안 매체의 온도가 시간에 따라 증가함에 기인하여 기록효과가 증가된다. 즉 광비임이 처음 조사되기 시작하는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기록표면이 이동되지 않음을 검출할 수 있다. 만일 기록표면이 계속적으로 이동하면 충돌 광비임에 의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트랙의 광비임은 넓게 확산된다. 이와 반대로, 광비임의 조사가 중단되거나 임계레벨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광비임으로부터의 에너지 결여가 디스크 표면에 의해 즉각적으로 인식되어지므로 디스크의 하류부(down stream)는 냉각 및 비변경된다. 따라서, 광비임이 급속히 중단되면 기록이 순간적으로 중단되며, 광비임은 기록표면상의 충돌점에서 회유되므로 기륵된 표시의 뒷부분비 무딘 형태로 종료됨을 관찰할 수 있다.
이동 표면이 리딩 상승엣지와 첨예한 트레일링 하강엣지를 가지는 광비임에 충돌되면 표면은 배(pear) 모양 또는 물방울 모양으로 표시되며, 리딩엣지는 비임이 중단될 때까지 일정한 폭으로 넓어 졌다가 가늘어지는데 기록점은 둥글거나 무딘 트레일링 엔드에 의하여 한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록 표면의 특성은 선택된 기록효과를 고려함이 없이 이루어지는데, 기록 광비임은 표면의 제거를 일으킴으로써 피트(pit)를 생성한다.
그러나 용기, 얼룩, 포토레지스트경화, 포토레지스트연화 또는 다른 표시는 기록효과라는 기술적 본질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피트라는 용어를 대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한 피트라는 용어는 기록표면용으로 선택된 포토레지스트의 제조 이후에 형성된 용기 또는 피트와 동일하다. 또한 기록표면은 광 에너지의 충돌에 대해 민감한 디스크 부분을 일컫는 바, 디스크의 외부 표면이나 광 비임에 의해 충돌되는 표면 직하부에 해당한다.
CD(compact disc) 마스터 기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는 피트 대 랜드(pit to land) 비율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다. 피트로부터 랜드측으로의 이동과 랜드로부터 피트측으로의 이동인 EPM(eight-to-fourteen) 신호의 제로 크로싱을 나타내므로, 랜드 영역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피트의 크기만큼 많은 디지털 정보를 유지한다. 랜드 사이즈에 대한 피트의 비율은 기록의 듀티사이클에 해당하는데, 랜드 및 트랙영역의 50%를 점유하는 피트에 의해 대칭신호를 나타낸다. 어떤 기록에서든지 50% 듀티사이클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대칭적인 신호로서 아이패턴(eye pattern ; 제2도에서 설명)을 나타내게 된다. 복제 처리상의 한계에 기인하여, CD 플레이어 광학계의 차이와 플레이어 전자 부스트의 불일치에 의해서 모든 CD 레코딩시에 완벽하게 50 : 50으로 대칭 되게 기록하더라도 재생 광학계에 있어서는 약간 비대칭됨을 나타낸다. CD 플레이어내의 회로는 포지티브와 네거티브간 반사이클에 존재하는 차이가 없는 점으로 제로 레벨로 이동시킴으로써 비대칭을 보정하여 준다.
플레이어의 광헤드는 약 1 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스폿에 레이저 비임을 집속하고, 디스크상 피트 및 랜드의 나선형 트랙을 따라 스폿을 스캐닝하여 디스크상의 정보를 읽어낸다. 랜드는 대부분의 광을 헤드의 광 검출기 측으로 반사시키나, 피트는 매우 적은 광을 반사시킨다. 광 검출기는 스폿에 의해 비춰져 디스크 영역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한다. 스폿은 회절에 한계가 있고, 직경이 디스크상 가장 작은 피트의 길이보다 약간 클 뿐이기 때문에 전기신호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은 매우 느리며, 가장 작은 피트를 나타내는 신호의 진폭은 가장 긴 피트를 나타내는 신호의 진폭보다 작다. 진폭은 광학적 특성차이에 기인하여 플레이어마다 상이하며, 피트의 형태에 따라 디스크마다 상이하다. 모든 플레이어는 저주파수 신호에 대한 고주파수 신호의 진폭을 지원하는 아날로그 어퍼쳐(aperture) 보상회로에 의하여 진폭의 차이가 부분적으로 만회된다. 그러나, 경제적인 측면에 기인하여, 이러한 부스트 회로는 선형위상특성을 가지지 못하므로, 신호의 고조파는 변화량에 의해 지연되며 파형의 형태가 그 진폭에 부가하여 변형된다.
오디오 CD 산업에서는 EFM을 통상의 코딩 체계로 사용하고 있으며, 알려진바와 같이, CD의 정보는 '온(쓰기) 상태'와 '오프(베이스) 상태'의 이진 포맷으로 구성되어있고, 상기 '온 상태'와 '오프 상태' 사이에는 트랜지션이 있다. 상기 CD에 기록되는 정보는 반복되는 '온 상태'의 주기 T의 정수 n과 '오프 상태'의 주기 T의 정수 m에 의하여 기록된다. 그런데 상기 EFM 코드는 상기 정수 n과 정수 m이 3에서 11 사이의 값을 필요로 하므로, 디스크상에 기록되는 EFM 신호는 자체적으로 클럭킹(clocking)하고 트랜지션 간의 시간간격에 디지털 정보를 포함하는수행길이제한(run length limited) 디지털 코드에 해당한다. 디스크상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션은 피트 사이 및, 피트와 랜드 사이의 경계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각 피트의 길이는 데이터량에 관련이 있고, 피트간 각 랜드의 길이도 데이터 량에 관련이 있다.
CD 표준에 관련된 EFM 코드 규정은 각 트랜지션이 마지막 트랜지션 이후에 허용되는 시간의 아홉 개 중 하나에 발생되어야 함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두 트랜지션 사이의 주기는 nT로 표시되는바, 여기서 T는 고정된 시간 주기(약 231 나노세컨드)이고 n은 3과 11 사이의 정수이다. 정보를 디코드하기 위해서는 플레이어는 트랜지션 사이에 얼마나 많은 T가 거쳐야 하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재생헤드 하에서 디스크의 회전 비율은 고정된 클럭으로 트랜지션 시간을 단순화하기에 충분히 안정적이지는 못하다. 그래서, 주기 T(4.3218 MHZ)당 1 사이클의 평균에서 동작하는 채널 클럭은 복구 신호에 위상동기된다. PLL(phased locked loop)은 가장 인접한 클럭의 끝과 신호에서의 각 트랜지션 타이밍을 비교하여 동작한다. 만일 트랜지션이 클럭 사이클 끝의 바로 이전에서 발생되면, 클럭은 사이클 끝에서 트랜지션 발생되기 전까지 서서히 가속된다.
그러나, 디스크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상승 및 하강시간이 여러개의 T 만큼 길기 때문에 트랜지션 순간을 지정하기 위하여 특정 전압을 선택해야 하는 바, 이 전압은 플레이어의 결정 레벨에 종속된다. 플레이어가 상술한 EFM 코드의 다른 규정의 도움에 의해 이 전압레벨을 선택하는데, 평균적으로 EFM 신호는 정확히 동일 시간량에 대하여 하이레벨로 되기도 하고 로우레벨로 되기도 한다. 만일플레이어가 너무 높은 전압을 결정하면, EFM 신호는 하이레벨(결정점보다 높음) 보다는 로우레벨(결정점보다 낮음)로 되게 된다. 플레이어의 서브루우프는 적당한 결정전압레벨을 찾아 유지하기 위하여 제한 전압을 서서히 조절한다.
플레이어는 사이클을 근거로 하여 그것의 결정 레벨을 변화시키지는 못하나, 트랜지션 사이의 주기는 3T로부터 11T 까지 즉각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 파형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파수는 고주파 신호대역의 이상적인 결정점이 이상적인 저주파 신호대역의 결정점과 상이한 전압에 위치하게 하는 바, 플레이어는 평균전압에 해당하는 결정점을 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어의 부스트 회로는 위상에 대해 선형적이지 못하므로, 이상적인 전압결정점이 주파수 별로 넓게 분포하게 된다.
디스크로부터 신호를 읽기 위해서는 플레이어가 디스크상 나선형 트랙의 피트에 작은 광 스폿을 집중시켜야 한다. 트랙에 대한 스폿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 여러 가지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어떤 플레이어(단일비임 트래커 또는 푸쉬풀 트래커를 사용하는)의 트래킹 장치는 트랙상에 형성된 피트의 평균 듀티사이클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트랙에서 피트없는 영역(듀티 사이클이 50% 보다 큼) 보다 피트 있는 영역이 더 큰 비율을 차지하게 되면, 이들 플레이어들은 트랙의 중앙을 따라가게 된다. 기록된 정보가 피트와 랜드 모두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디스크 표면의 미기록된 다른 영역과 동일 평면상에 있는 랜드에는 트래킹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피트 사이의 랜드에 비하여 피트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트래킹서브 사이클을 가지고 있으면, 푸쉬풀 트래커를 트랙상에 위치시키기 위해 트래킹 정보가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는, 피트 대 랜드의 듀티사이클을 50% 이상으로 증가시키고, 플레이어의 능력에 의하여 듀티사이클의 증가를 할 수 있도록 결정레벨을 재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플레이어의 PLL 이 EFM 신호에 근거하여 채널 클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듀티사이클 증가가 전체신호에 대하여 균일하게 이루어져야 하나, 9개의 상이한 피트 사이즈(3T-11T) 에 걸쳐 피트의 증가가 동일 비율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듀티사이클의 증가는 전체신호에 대하여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3T 피트는 6T 또는 11T 피트 보다 기하학적으로 훨씬 큰 비율로 증가된다. 그러므로 50% 듀티사이클로부터 벗어나면 단일비임트래커는 대칭을 이루도록 작용하고, 비대칭이 너무 크면 플레이어의 위상동기 루우프는 복원신호에 동기될 수 없게 된다.
레코딩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 요구되는 다른 고려 사항은 단일 비임 플레이어는 트래킹 에러의 방향에서 광감지기 측으로 반사되는 광량에 따라 트래킹이 좌우되며, 기록표면에 형성된 피트의 뾰족한 리딩 엣지에 대해 양호한 트래킹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상적인 피트는, 마치 피라미드를 거꾸로 하여 만든 형태와 같이, 피트의 바닥에 정점을 갖는 긴 홈 형태일 것이다. 측벽이 많이 경사지고 끝이 많이 뾰족할수록 양호한 피트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트를 개선하기 위해 평탄지역을 만들고 피트의 길고 좁은 뾰족한 리딩 엣지를 제거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단일 비임 플레이어의 트래킹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더욱이, 피트 길이는 피트마다 변화하는 바, 즉 3T로부터 11T 까지 변하고 3T 폭의 피트 또는 랜드는 11T 피트나 랜드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만일 피크 전력레벨이 동그랗게 높은 (덜 뾰족한) 3T 피트를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증가되면, 11T 피트를 형성할 때 동일한 피크 전력레벨을 인가하여 매우 넓거나 무딘 트레일링을 형성하게 된다. 3T 및 11T 피트간의 기하학적인 차이는 상이한 대칭 형태를 가지며, 이는 플레이어 디코더에 대한 문제를 유발한다. 이상적으로는 각 피트 사이즈는 동일한 대칭을 이루어야 하나, 거기에는 이이패턴(제2도에서 설명)에서의 분포패턴이 존재한다.
상술한 배경지식이 없더라도, 단순한 마스터 레코더는 기록정보에 있어 50% 듀티 사이클을 단순히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레코딩하는데에 있어 50% 듀티사이클을 유지하는 것은 필수 요구사항이기 때문에 50% 듀티사이클은 반드시 유지되어야 한다. 종래의 방법 및 장치는 피트길이 nT를 나타내는 구형파가 랜드와 피트간의 길이 nT를 나타내는 파형과 길이가 같음을 알려주고 있다.
경험적으로, 디스크상에 최적의 피트 트랙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함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상의 피트 폭은 표면상의 비임충돌 기간량에 따라 변화하므로, 피트 사이즈와 기하구조는 표면속도의 요소로서 작용함과 동시에 디스크를 일정한 각속도로 기록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 외의 다른 요소들도 고려해야 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듀티사이클(50%), 피트 측벽의 형태(단일 비임 트래커에 있어 매우 중요함), 대칭성 및 피트의 선명도 등을 고려해야 한다.
듀티 사이클을 증가시키면 펄스 길이는 증가될 수 있지만 이는 비대칭적으로 증가된다. 발진된 광 비임을 증가시키면 듀티사이클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리딩 엣지에 대한 선명도를 개선할 수 있으나, 배 모양의 트레일링 엣지와 과도한 비대칭을 만들게 된다. 또한, 스텝 변조기 가동 펄스를 이용하여 리딩 엣지에서의 최대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리딩 엣지의 선명도를 개선할수 있다. 듀티사이클을 제어하여 두기 위해서는 펄스 길이를 감소시켜야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은 상이한 펄스 길이에 대한 동등하지 않은 비대칭을 유발하게 되고, 최상의 결과를 위해서는 각 표면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 듀티사이클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임계 레벨을 낮출 수도 있겠으나, 피트의 리딩 엣지에 충분한 선명도를 유발함과 동시에 일정치 못한 피트폭을 형성하며, 3T 및 11T 펄스폭 간의 기하학적 형태가 실제적으로 상이하게 된다. 또한 피트의 선명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어떠한 시도도 단일 비임 트래커의 트래킹 능력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피트의 기하구조와 타이밍에 작용하는 파라미터에 대한 여러가지 조절은 유효하며, 다른 파라미터에 작용하는 조절을 실행함에 따른 상호작용은 레코딩 조작자의 일정한 배려를 감소시키는 큰 문제가 있다.
따라서, 펄스로 광변조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법 및 장치에서는 지금까지 가능했던 이상의 넓은 영역에 걸쳐 기하학적, 비대칭적으로 독립적인 제어를 할 필요가 있다. 그 방법 및 장치는 비대칭을 최적화 하기 위해 펄스 길이와 전력을 조절하는 것을 허용하며, 기하학적으로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해 펄스 트레일링 엣지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것을 허용한다. 디스크 제조공정에 주어지는 화학적 차이, 디스크 표면두께, 몰딩(molding) 기계, 마스터링(mastering) 기계를 고려하면 이들 파라미터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어떤 특정 시스템은 최적으로 된 피트의 기하구조와 비대칭성을 얻기 위해서는 상이한 조절을 해야 되는 데, 종래 기술은 파라미터들을 독립적으로 제어 할 수 없으므로 인하여 이와 같은 유연성을 제공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정 시스템을 위해 변조기 구동펄스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시스템마다의 차이점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뾰족한 끝을 갖는 피트를 만들고, 요구되는 듀티사이클과 고선명도를 유지하고, 개선된 트래킹 뿐만 아니라 신호 복원을 개선하는 공동의 효과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EFM 프로세서로부터 구형파를 수신하거나 광비임을 발진하기 위해 변조기 구동신호로서 공급받는 파형처리 수단을 제시함으로써 광기록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독특한 형태의 변조기 구동신호를 제공하고, 그로부터 이동매체의 임계레벨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기록 비임을 만들기에 충분한 제 1레벨에 도달하는 급경사의 리딩 엣지를 갖고, 이동 매체의 임계레벨 이하의 강도를 가지는 기록비임을 만들기에 충분한 제 2 레벨에 도달하는 상술한 비율로 진폭 변화되는 램프(ramped) 트레일링 엣지를 갖는 구동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변조기 구동신호의 급경사 엣지는 피이크 기록 전력을 증가시키게 되는 반면, 트레일링 엣지의 급경사가 급경사 리딩 엣지에 관련된 임계레벨을 통과하는 점에 대한 선택은 기록 표시(피트)의 듀티사이클을 결정하며 동시에 넓고 무딘 표시의 트레일링 엣지를 방지한다. 변조기 구동신호의 램프하강엣지에대한 리딩 엣지에 기인하여, 피트는 리딩 및 트레일링 엣지에서 기하구조상으로 대칭성을 갖게 된다. 또한, 변조기 구동신호급경사, 리딩 엣지의 진폭을 적절히 제어하면, 리딩 엣지 및 트레일링 엣지 의 1/2 진폭이 관련한 비대칭을 반전시킴 없이 단일 비임 트래킹 시스템에 양호한 트래킹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카누 형태의 피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변조기 구동신호의 트레일링 엣지는 램프요소에 따라 하강하므로, 매체의 온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변조기 구동 펄스의 급경사 하강 엣지와 같이 급격하게 하강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트레일링 엣지는 카누 형태의 모양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형성 제어회로는 파형이 임계레벨 이상에 있는 시간, 파형의 진폭 및 DC 레벨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변조기 구동신호의 램프 트레일링 엣지 경사도를 변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명확히 표출될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회로를 채용한 기록장치의 블록도이고,
제 2 도는 CD표준 규정히 따른 완벽히 대칭적인 아이 패턴을 도시한 것이고,
제 3 도는 구형파, 계단파, 램프파 형태의 변조기 구동신호를 포함하는 발진신호의 효과를 나타내는 파형과 디스크의 기하학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회로의 부분구성과 조합블록도이며,
제 5 도는 기록매체상에서 가지는 파형효과 뿐만 아니라 제 4도에 도시된 회로도 상의 여러 지점에서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 1도의 기록장치는 본 발명의 신규성에 관련된 주요 부분만이 도시된 것이다. 완전한 광학 기록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상술한 미국 특허 제 4,225, 873호가 제시된 바 있다.
제 1도의 기록장치는 디스크 형태의 매체(1)상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설계된 것이며, 디스크는 속도제어기(5)에 의해 제어되는 스핀들 모터(3)에 의하여 회전된다. 매체 이동 시스템의 변형필요성에 따라 매체를 드럼, 카드 또는 리니어 테이프 등과 같은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레이저 또는 그와 유사한 고강도 광원(7)은 특정 파장을 갖는 기록비임(9)을 형성하고, 기록비임은 구동신호(10)에 따라 기록비임의 강도를 변화시키는 변조기(11)를 통과하는 바, 일 예로, 상기 변조기(11)는 음향-광 변조기가 이용된다.
변조기(11)를 통과한 비임(13)은 구동신호의 진폭에 비례하는 발진 진폭을 가지게 되며 구동신호의 DC 옵셋(offset) 과 미 발진 비임(9)의 강도에 의해 제어되는 평균강도를 가지게 된다.
발진 비임(13)은 기록매체(1)로 향하게 되는데, 적절한 광학계에 의해 스풋(15)에 접속된다. 이러한 광학계는 바람직하기로는 대물렌즈(17)와 확대렌즈(19)를 포함하는 데, 확대렌즈(19)는 변조기(11)로부터의 비임을 분산시켜 대물렌즈(17)의 개구를 채워 준다. 개시된 실시 예에, 대물렌즈(17)와확대렌즈(19)는 캐리지(21 : carriage) 에 설치되고, 캐리지(21)는 디스크(1)에 대한 스폿(15)을 방사상으로 이동시킨다. 매체에 대한 스폿(15)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른 여러 가지 매체가 가능한 바, 스핀들 모터도 그에 포함된다. 개시된 실시 예에, 캐리지(21)는 왕복 구동시스템(23)에 의해서 이동된다.
변조기(11)를 위한 구동신호는 제어회로(31)에 의해 형성된다. 제어회로(31)는 기록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33)과, 변조광(13)의 평균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신호 바이어스 제어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35)을 구비한다. 접속된 스폿(15)에 대한 정보 매체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으면, 신호처리 시스템은 순간 속도를 표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37)을 구비해야 한다.
기록 매체(1)는 기판(41)과, 이 기판(41)상에 덮여진 광 반응 기록층(43)을 구비한다. 투명부재(45)는 대물렌즈(17)와 기록층(43)사이에 위치하여 기록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는, 기록층을 투명부재(45)의 내부 표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제 2도는 당업계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완전 대칭적인 아이패턴(eye-pattern)을 도시한 것인 바, 플레이어에서 복원된 신고에 대한 제어된 비대칭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중앙 수평선을 따라 형성된 다이아몬드 모양은 모든 파형의 완벽한 제로 크로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 패턴을 만들면 노이즈(noise)에 대한 면역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만일 I3파형(3T 길이의 피트 또는 랜드를 나타내는)이 비데칭이면 즉, 피트와 랜드가 길이에 있어 동일하지 않으면, I3파형의 반주기 중에서의 이동은 제로 크로스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제 2도그래프의 중앙 수평선을 따라 한 nT 신호와 다른 nT 신호를 구분하지 못하는 점에 대해 다른 파형이 비대칭적이면, 디스크로부터 부적절한 신호가 복원되고 위상동기 루우프는 신호에 동기되지 않게 되므로, 자기 발생 클럭을 상실함과 동시에 재생신호의 완전성을 손상시키고, 또는 그와 같은 비대칭은 클릭에 의해 생성된 잘못된 피트의 엣지가 하강됨을 검출하는 결과를 일으킬 수 있어 다시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
제 3도는 이동하는 기록매체의 표면에 형성된 피트의 기하학적 결과를 구형파, 구동펄스, 스텝구동펄스 및 램프구동펄스를 사용하여 나타낸 것으로, 후자의 것이 본 발명의 주제에 관련된 바람직한 파형이다.
CD 마스터에 대한 EPM 처리기의 표준적인 전기출력은 3T 로부터 11T 기간동안의 펄스변화애도 불구하고 약 50%의 평균 듀티사이클을 갖는 구형파로 된다. 이것은 제 3도의 A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연속된 3T 세그먼트와 끝부분의 긴 5T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있다. 기록비임의 직경이 기록 매체 표면에 형성되는 피트의 폭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피트의 형성은 광 비임 중앙 점의 한 쪽에서 이루어짐을 알 수 있고, 상승 변조기 파형에 의해 표시된 점의 앞부분에 형성된 피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 비임 중앙점의 광 분포에 기인한다는 것을 제 3도의 A2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도 상에서의 피트 모양은 A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 모양 또는 물방을 모양 즉, 뾰족한 리딩 엣지와 무딘 트레일링 엣지를 가지는 데 이는 전술한 이유 때문이다.
제 3도의 B1은 구동신호의 리딩 엣지에서 변조기 구동신호의 진폭을 증가시킴으로서 디스크 표면상 피트의 선명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종래기술을 도시하고 있는데, 광 비임 전력에 대응하는 최고 레벨은 A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트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광 비임 전력레벨보다 크다. 만일 B1에 도시된 펄스의 전체폭이 더 높은 레벨이면, 피트의 트레일링 엣지는 과도하게 넓어진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텝 변조기 구동신호 B1는 1T에서 노말 전력레벨로 감소되고, 그 레벨은 트레일링 엣지에서 하강될때까지 그대로 계속된다. 노말 전력레벨보다 높은 전력레벨에 기인한 피트의 길이 증가를 보상하기 위해서 그 트레일링 엣지의 타이밍을 의도적으로 단축시킨다. 그러므로, 형성된 변조기 구동신호 B1은 고선명의 피트를 제공하기 위한 목표를 달성하게 되고, 약 50%의 듀티사이클을 유지함과 동시에 양호한 대칭성을 갖는 펄스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피트의 무딘 끝은 플레이어가 트래킹 하는 것을 어렵게 하므로, 파형 B1에 의한 해결방법은 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으나 다른 문제를 유발한다. 즉, A3에 나타낸 개량된 피트보다 양호한 트래킹을 플레이어에게 제공한다. 이는 A3에 나타낸 피트의 왼쪽과 같이 피라미드 모양으로 된 피트의 뾰족한 끝에 의해 기인하고, 뾰족한 끝은 작은 거울역할을 하여 비임의 트랙 이탈시에 편향되는 광량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약간의 트랙이탈 상태도 반사광을 감지하는 광검출에 의해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B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명확한 피트의 무딘 끝을 갖는 경우, 각진 거울면이 존재하지 않고, 트래킹 신호가 광검출기에 나타나 트랙이탈 상태를 인지하기 이전에 광 비임은 옆 방향으로 많은 거리를 표류한다.
또한, 기록하는 동안 표면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A3에 나타낸 피트의 급격한 트레일링 엣지는 트랙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확산되는데, 이는 광비임천이에서의 에너지가 표면영역의 큰 지역에서 합쳐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속에서 표면은 동일 에너지에 대해서 보다 큰 영역에 걸쳐 열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바, 표면속도가 낮아질수록 피트는 더 많이 뾰족해 지며, 이러한 효과는 듀티사이클과 비대칭을 크게 어긋나게 한다. 그러므로 B1파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상의 결과를 위해 듀티사이클을 조절해야 한다.
좀 더 이상적인 변조기 구동신호의 파형이 제3도의 C1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펄스의 초기 급경사 상승 엣지가 보통보다 훨씬 큰 진폭을 갖지 않는다면, 피트의 리딩 엣지에 조절된 뾰족한 끝을 제공할 수 있는 바, 뾰족한 끝과 급격한 수직벽 사이에서와 같은 조절된 뾰족한 끝을 제공한다. 제 3도의 C1에서 파형의 트레일링 엣지가 경사진 것은 트레일링 엣지상에 작은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피트 리딩 엣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인하여 매우 쉽게 변화됨을 의미하며, 이와 다르게 파형 A1 및 B1을 갖는 상태에서 전체 진폭이 증가하는 경우 리딩 엣지의 진폭증가에 기인하여 피트의 중간 및 끝 부분에 해로운 앙향을 미친다. 물론, 파형 C1의 전체 진폭이 증가하면 보상하기 위하여 트레일링 엣지의 경사를 조절해야 하나, 파형 파라미터의 전체를 조절하는 경우 파형 A1 또는 B1보다는 훨씬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파형 C1의 트레일링 엣지는 피트의 끝에 뾰족한 꼬리를 만들기 때문에, 파형 A1이나 B1을 사용할 때 상이한 표면속도에 대하여 듀티사이클의 차이가그리 커지지는 않는다. 뿐만 아니라, 진폭을 변화시키거나 파형 C1의 트레일링 엣지에 대한 경사도를 변화시킴으로서 듀티사이클을 조절할 수 있는 데, 이때 파형 A1 이나 B1을 사용하여 듀티사이클을 조절함으로써만이 펄스 길이를 변화시키게 된다.
파형 C1의 경사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진 구동 신호의 급경사 상승 엣지에 대한 진폭을 조절함에 기인하여 피트(C3에서)의 리딩 엣지에 뾰족한 끝이 형성되며 발진 구동신호의 경사진 하강 엣지가 파형 A1 및 B1의 구형파 펄스 보다 덜 급격하게 임계레벨을 지나감에 기인하여 피트의 트레일링 엣지가 뾰족해 진다. 만일 진폭, DC 옵셋 및 파형 C1에 대한 트레일링 엣지의 경사가 적절하게 조절되면, 디스크에 형성된 피트는 C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갖게 될 것이며, 적절히 뾰족한 끝, 원하는 듀티사이클, 양호한 비대정성 및 개선된 선명도를 나타내게 될 것이다.
제 4도의 입력(33)은 변조기(11 : 제 1도)를 직접 구동시키는 구형파이다.
제 4도의 제어회로는 제3도의 C1에 도시된 파형을 만들기 위한 입력파형을 조작한다.
제 4도는 제어회로(31 : 제 1도)를 나타내는 바, 이 제어회로(31)는 상술한 모든 특성, 즉, 높은 피크 전력, 트래킹 개선을 위한 피트의 뾰족한 리딩 및 트레일링 엣지를 제공할 수 있는 변형된 형태의 변조기 구동신호를 제공한다.
편의상, 제 4도의 회로를 2개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는 데, 입력신호에 대한 지연된 리딩 엣지를 만들어 주는 제 1부분과, 최대의 변조기 구동신호를 형성하는적절한 파형을 공급하는 제 2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제에 있어서, 변조기 구동신호의 형태와 진폭을 제어하면 플레이어에 의해 요구되는 피트의 기하학적 형태를 제어할 수 있는 바, 제 4도의회로는 둥근 윗부분, 이상적으로 균일한 깊이, 3T길이 피트의 11T길이 피트 사이에서의 이상적으로 균일한 폭, 피트의 뾰족한 리딩 및 트레일링, 양호한 비대칭성, 원하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양호한 넓은 피트를 만들어 낸다.
선명도를 개선하기 위해 파형 C1의 리딩 엣지에서 피이크 전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증가된 듀티 사이클을 약 50% 까지 되돌려 감손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입력(33)의 리딩 엣지를 설명한 바와 같이 약 11/2T 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으나, 지연 없이 트레일링 엣지를 지나가야 한다.
제 4도의 기술은 제 5도에 나타낸 디스크의 기하구조 및 파형을 계속하여 사용하는데 여기서 파형(a)은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파형부에 대하여 변화된 길이를 갖는 구형파(33)이다. 제 5도에서, 포지티브 파형부는 피트를 생성하는 반면에 네거티브 파형부는 최대로 기록된 매체의 랜드를 규정하며, 그 반대라 하더라도 광 변조기의 요구사항에 따라 작업은 잘 이루어 질 수 있다.
제 5도의 펄스(a)는 리딩 엣지 지연회로(51)에 인가되는 데, 리딩 엣지 지연회로(51)는 파형(a)의 상승 엣지에 의하여 트리거 되는 원-숏(one-shot) 멀티 바이브레이터로 이루어진다. 리딩 엣지 지연회로(51)의 출력은 라인(55)을 통해 AND 게이트(53)에 인가되고, 입력파형(a)은 AND 게이트(53)의 다른 입력단에도 인가되고, AND 게이트(53)의 출력은 제5도의 파형(b)과 같으며, 이 펄스는 저항(R1)을 통해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지연과 AND 게이트(53)의 작동에 기인하여, 파형(a) 및 (b)의 대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력파형(a)은 상승엣지를 지연시키고 지연없이 하강 트레일링 엣지를 통과하게 한다.
파형(b)이 하이레벨로 되는 경우,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되고,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은 제 5도의 파형(c)과 같이 거의 접지 전위로 유지된다. 파형(b)이 로우 레벨로 되는 경우, 트랜지스터(Q1)는 턴 오프 되고, 가변 정전류원(57)으로부터 다이오드(D1)와 저항(R7)을 통해 콘덴서(C1)측으로 흐르는 전류에 기인하여 트랜지스터(Ql)의 콜렉터 단은 상승된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대한 파형 경사는 저항(R7)을 통한 컨덴서(C1)의 충전율과 전류원(57)으로부터의 유효전류에 의하여 램프(ramp) 형태로 결정되어 진다. 비록 전류원(57)이 가변 전류원이라 하더라도 전위차계(R4)의 설정에 의해 특정전류가 한번 셋팅되면 전류원(57)의 전류출력은 특정 셋팅에 대하여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콘덴서(C1)는 선형적인 비율로 충전된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이 다이오드(Dl,D2,S3)의 도통에 의하여 고전 위점에 클램핑 되므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 전압은 약 2.1 V를 초과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2) 베이스단에서의 상승램프(rising ramp)는 클램핑 레벨의 한계에 도달하며, 트랜지스터(Q2)가 에미터팔로워(emitter follower)로 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단에서 저항(R8)을 가로질러 동일 파형이 전개된다. 이 파형(c)은 베이스단에 +5V 전원공급기가 접속된 트랜지스터(Q3)의 에디터에 인가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 콜렉터 단에서의 신호는 반전되지 않으나,파형(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형(c)에 대한 증폭변형이 이루어진다. 트랜지스터(Q3) 콜렉터단의 DC 옵셋이나 바이어스는 저항(R10)에 의해 조절된다.
트랜지스터(Q3)의 출력은 푸쉬풀 증폭기(61)에 인가되는 데, 푸쉬풀 증폭기(61)의 출력은 파형(c)에 나타낸 특성을 갖는 변조기 구동신호로 된다. 변조기의 타입과 푸쉬풀 증폭기(61)의 배치에 따라, 출력의 도시(c)로부터 반전되고, 제 3도의 예에서 사용된 파형인 제 5도의 (d)와 같은 파형을 갖게 된다.
또한 제 5도에는 파형(a)의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3T 보다 큰 길이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파형(c) 및/ 또는 (d)는 부가적인 정보가 없더라도 상술한 설명의 결과로서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제 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력 구형파(a)의 리딩 엣지를 지연시켜 파형(d)의 상승 엣지간 거리를 유지하며, 듀티사이클(피트-랜드의 비율)을 감소시킬 만큼 파형이 임계레벨 보다 높게 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지연은 임계레벨을 초과하는 최대 변조기 구동신호의 폭 부분을 단축시킨다. 원숏 멀티 바이브레이터(51)의 지연 조절은 전위차계(R13)에 폭조절로 나타내었다. 설명한 바와 같이, 피이크 레벨이 증가되는 경우, 50% 듀티사이클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피트를 만드는 구동신호의 폭을 단축시켜 야 한다.
상술한 신호처리는 광기록 처리에서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기록 비임 강도 레벨의 안정화 및 조절을 대신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적절한 기록정보의 듀티사이클을 얻고, 기록 정보의 2차 고조파 왜곡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부가적인 단계는 미국 특허 제 4,225,873호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논의된 바 있다. 완전한 레코딩 시스템은 기록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의 임계레벨에 대하여 발진 비임의 평균강도를 완벽하게 안정화시킨다. 또한, 완전한 시스템은 증가 속도에 의해 변형되는 재료의 용적 증가에 기인하여 관련속도와 집속된 기록 스폿 사이의 비율에 따라 기록 비임 평균 전력을 완벽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Claims (17)

  1. 움직이는 광기록 매체에 입사되는 기록 광 비임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광기록 매체에 리딩 엔드와 트레일링 엔드 및 이 리덩 엔드와 트레일링 엔드의 사이를 개입하는 부분을 가지는 연속적인 표면효과를 만들어내며, 상기 입사되는 기록 광 비임은 비임의 강도가 상기 움직이는 기록 매체의 표면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임계값보다 높은 열 노출 레벨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할 때 상기 움직이는 광기록매체에 표면효과와 같은 것을 형성시키고, 각 입력신호 펄스는 급격히 증가하는 리딩 엣지와 급격히 감소하는 트레일링 엣지를 가지는 연속되는 펄스로 구성되며, 상기 각 입력펄스의 트레일링 엣지는 인터벌에 의하여 상기 연속되는 다음 펄스의 리딩 엣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발생된 제어신호는 각 펄스가 상기 특정 입력펄스에 반응하여 상기 움직이는 기록매체에 특정 표면효과를 발생시키는 제어펄스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에 반응하여, 다음의 각 요소들로 표현되며 연속되는 제어펄스를 발생시키는 파형 형성회로와;
    (ㄱ) 상기 표면효과 임계값보다 높은 열 노출 레벨을 발생시키기에는 충분치 않은 베이스레벨로부터, 적어도 쓰리레벨 이상이며 상기 표면효과 임계값보다 높은 열 노출 레벨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피크레벨까지 급격히 증가하는 리딩 엣지;
    (ㄴ) 상기 쓰기레벨이 유지될 때까지 상기 리딩 엣지에서 연속되고, 제어 펄스 진폭이 상기 쓰기레벨에서 감소하기 시작하는 정의된 지점;
    (ㄷ) 상기 제어 펄스 진폭이 상기 쓰기레벨에서 상기 베이스 레벨로 감소하는 상기 정의된 지점에서 시작되고, 상기 제어 펄스 진폭의 감소가 멈추는 터미널 포인트에서 끝나는, 연장된 지속시간을 갖는 트레일링 지역;
    (ㄹ) 상기 연속되는 제어펄스의, 상기 터미널 포인트와 다음 제어펄스 리딩 엣지의 시작 사이의 시간 주기;
    상기 제어펄스 리딩 엣지의 시작부터 상기 정의된 지점의 발생 사이의 시간간격이, 해당 입력신호펄스에 반응하는 상기 급격한 리딩 엣지와 급격한 트레일링 엣지 간의 진행시간보다 작도록 하는, 상기 파형형성회로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펄스단축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데이터 기록장치를 위한 제어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 지역 내의 제어펄스 진폭의 감소는 진폭의 증가를 간섭하지 않고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 지역 내의 제어펄스 진폭의 감소는 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형성회로는 상기 감소의 비율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 지역 내의 제어펄스 진폭의 감소는 선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형성회로는 상기 제어펄스의 쓰기레벨 진폭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단축회로는 상기 시간간격과 경과시간 사이의 차이를 선택하는 회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의 트레일링 지역의 유지시간은 선택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단축회로는 선택된 주기에 의하여 상기 해당 입력신호 펄스의 리딩 엣지에 대하여 상기 제어신호 펄스의 리딩 엣지의 시작이 늦추어지게 하고, 상기 제어신호 펄스에서의 정의된 지점의 발생이 상기 해당 입력신호 펄스의 트레일링 엣지와 근본적으로 동시에 발생하도록 상기 입력신호에 반응하는 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시간주기는 대략 1 1/2 T임을 특징으로하는 제어회로.
  1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효과는 상기 움직이는 기록매체의 기록표면의 피트(pits)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신호의 해당 제어 펄스의 리딩 엣지에 의하여 상기 피트들의 각 피트의 리딩 엔드를 시작부분으로 되게 하고, 해당 제어 신호 펄스의 트레일링 지역에 의하여 상기 피트의 트레일링 엔드를 시작부분으로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형성회로는 상기 연속의 각 피트가 기하학적으로 대칭적인 리딩 및 트레일링 엔드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트의 리딩 및 트레일링 엔드는 차차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 지역은 상기 움직이는 기록매체에 상기 표면효과와 트레일링 엔드를 형성시키고, 상기 터미널 포인트와 상기 연속되는 제어펄스의 다음 제어펄스 리딩 엣지의 시작 간의 시간주기는 상기 해당 입력펄스의 한 쌍의 입력펄스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16. 움직이는 광기록 매체에 입사되는 기록 광 비임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광기록 매체에 리딩 엔드와 트레일링 엔드 및 이 리딩 엔드와 트레일링 엔드의 사이를 개입하는 부분을 가지는 연속적인 표면효과를 만들어내며, 상기 입사되는 기록 광 비임은 비임의 강도가 상기 움직이는 기록 매체의 표면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임계값보다 높은 열 노출 레벨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할 때 상기 움직이는 광기록 매체에 표면효과와 같은 것을 형성시키고, 각 입력신호 펄스가 급격히 증가하는 리딩 엣지와 급격히 감소하는 트레일링 엣지를 가지는 연속되는 펄스로 구성되며, 상기 각 입력펄스의 트레일링 엣지는 인터벌에 의하여 상기 연속되는 다음 펄스의 리딩 엣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발생된 제어신호는 각 펄스가 상기 특정 입력펄스에 반응하여 상기 움직이는 기록매체에 특정 표면효과를 발생시키는 제어펄스로 구성되는 광학 데이터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에 반응하여, 다음의 각 요소들로 표현되는 연속되는 제어펄스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ㄱ) 상기 표면효과 임계값보다 높은 열 노출 레벨을 발생시키기에는 충분치 않은 베이스레벨로부터, 적어도 쓰기레벨 이상이며 상기 표면효과 임계값보다 높은 열 노출 레벨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피크레벨까지 급격히 증가하는 리딩 엣지;
    (ㄴ) 상기 쓰기레벨이 유지될 때까지 상기 리딩 엣지에서 연속되고, 제어 펄스 진폭이 상기 쓰기레벨에서 감소하기 시작하는 정의된 지점;
    (ㄷ) 상기 제어 펄스 진폭이 상기 쓰기레벨에서 상기 베이스 레벨로 감소하는 상기 정의된 지점에서 시작되고, 상기 제어 펄스 진폭의 감소가 멈추는 터미널 포인트에서 끝나는, 연장된 지속시간을 갖는 트레일링 지역;
    (ㄹ) 상기 연속되는 제어펄스의, 상기 터미널 포인트와 다음 제어펄스 리딩 엣지의 시작 사이의 시간 주기;
    상기 제어펄스 리딩 엣지의 시작부터 상기 정의된 지점의 발생 사이의 시간간격이, 해당 입력신호펄스에 반응하는 상기 급격한 리딩 엣지와 급격한 트레일링 엣지 간의 진행시간보다 작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데이터 기록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 지역 내의 제어펄스 진폭의 감소는 진폭의 증가를 간섭하지 않고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데이터 기록방법.
KR1019950702613A 1992-12-24 1993-12-23 광학기록을위한파형형성방법및그장치 KR100318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996,729 1992-12-24
US07/996729 1992-12-24
US07/996,729 US5297129A (en) 1992-12-24 1992-12-24 Waveform shap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recording
PCT/US1993/012732 WO1994015333A1 (en) 1992-12-24 1993-12-23 Waveform shap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recor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505A KR960700505A (ko) 1996-01-20
KR100318884B1 true KR100318884B1 (ko) 2002-04-22

Family

ID=2554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613A KR100318884B1 (ko) 1992-12-24 1993-12-23 광학기록을위한파형형성방법및그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297129A (ko)
EP (1) EP0676079B1 (ko)
JP (1) JP3183888B2 (ko)
KR (1) KR100318884B1 (ko)
CN (1) CN1067772C (ko)
AT (1) ATE192877T1 (ko)
AU (1) AU672484B2 (ko)
BR (1) BR9307738C1 (ko)
CA (1) CA2152590C (ko)
DE (1) DE69328629T2 (ko)
ES (1) ES2145126T3 (ko)
MY (1) MY109411A (ko)
TW (1) TW255038B (ko)
WO (1) WO1994015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389B2 (ja) * 1992-04-20 2000-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構内交換機システム
US5471255A (en) * 1992-11-24 1995-11-28 Hagerman; James G. Bias drive and noise reduction in image projectors
JP3763419B2 (ja) * 1994-03-11 2006-04-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US5608712A (en) * 1995-03-08 1997-03-04 Optical Disc Corporation Method and means for varying pit duty cycle and changing pit depth on an optical recordable medium
DE69628151T2 (de) * 1995-03-08 2004-01-15 Optical Disc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änderung der pit-tiefe auf einem optisch beschreibbaren medium
US5608711A (en) * 1995-03-08 1997-03-04 Optical Disc Corporation Method and means for changing pit depth on an optical recordable medium
US5774505A (en) * 1996-04-04 1998-06-30 Hewlett-Packard Company Intersymbol interference cancellation with reduced complexity
WO1998033177A2 (en) * 1997-01-29 1998-07-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and a device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information
US6781937B2 (en) 1998-01-21 2004-08-24 Yamaha Corporation Optical disk recording method and device
WO1999044196A1 (en) 1998-02-27 1999-09-02 Doug Carson & Associates, Inc. Individual adjustment of pit and land transition locations in an optical disc mastering process
TW514869B (en) * 1999-04-12 2002-12-21 Taiyo Yuden Kk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6570840B1 (en) 2000-04-26 2003-05-27 Optical Disc Corporation Figure of merit in optical recording structures
JP4419285B2 (ja) * 2000-06-19 2010-02-24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US7120097B1 (en) 2000-09-15 2006-10-10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for making a photoresist master for a hybrid optical recording disc
AU2001290298A1 (en) * 2000-10-03 2002-04-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layer optical disk and method of producing mult-layer optical disk
AUPR321701A0 (en) * 2001-02-20 2001-03-15 Millard, Stephen R. Method of licensing content on updatable digital media
US20060153013A1 (en) * 2003-07-03 2006-07-13 Meinders Erwin R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and recording information on a rewritable record carrier
JP2007521598A (ja) * 2003-07-03 2007-08-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追記型記録担体上にマークを記録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576686B2 (en) * 2005-01-25 2013-11-05 Cinram Group, Inc. Apparatus for multilevel optical recording
US8472020B2 (en) * 2005-02-15 2013-06-25 Cinram Group, Inc. Process for enhancing dye polymer recording yields by pre-scanning coated substrate for defects
US7535806B2 (en) * 2005-07-07 2009-05-19 Cinram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laser dropout
US8503125B2 (en) * 2011-05-27 2013-08-06 HGST Netherlands B.V. Channel-source laser-pulsing system architecture for thermal-assisted recording
CN106098012B (zh) * 2016-08-18 2018-11-2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驱动方法、电子装置
CN107378248B (zh) * 2017-09-11 2019-06-11 西安交通大学 基于波形调制的钼及钼合金对接接头的脉冲激光焊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3022A (ja) * 1987-11-30 1989-06-05 Sony Corp 光学式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5873A (en) * 1978-03-27 1980-09-30 Mca Disco-Vision, Inc.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
JPS5778637A (en) * 1980-10-31 1982-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er
US4616356A (en) * 1984-03-06 1986-10-07 Optical Disc Corporation Aperture compensation signal processor for optical recording
JP2810035B2 (ja) * 1986-08-22 1998-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学的記録再生方法
US4961182A (en) * 1987-07-01 1990-10-02 Hitachi, Ltd. Information retrieving system with level clamping
EP0335486B1 (en) * 1988-03-28 1994-06-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US5043971A (en) * 1989-09-28 1991-08-27 Tand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mpensation in an optical disc
JP2865841B2 (ja) * 1990-09-28 1999-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式
JP2852792B2 (ja) * 1990-07-05 1999-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3022A (ja) * 1987-11-30 1989-06-05 Sony Corp 光学式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772C (zh) 2001-06-27
CA2152590A1 (en) 1994-07-07
JPH08505256A (ja) 1996-06-04
KR960700505A (ko) 1996-01-20
AU6017694A (en) 1994-07-19
US5297129A (en) 1994-03-22
MY109411A (en) 1997-01-31
DE69328629D1 (de) 2000-06-15
CA2152590C (en) 2002-03-19
EP0676079B1 (en) 2000-05-10
WO1994015333A1 (en) 1994-07-07
EP0676079A4 (ko) 1995-11-02
TW255038B (ko) 1995-08-21
AU672484B2 (en) 1996-10-03
JP3183888B2 (ja) 2001-07-09
BR9307738A (pt) 1999-08-31
BR9307738C1 (pt) 2001-06-12
ES2145126T3 (es) 2000-07-01
CN1089365A (zh) 1994-07-13
DE69328629T2 (de) 2000-08-31
EP0676079A1 (en) 1995-10-11
ATE192877T1 (de)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8884B1 (ko) 광학기록을위한파형형성방법및그장치
JP2810035B2 (ja) 光学的記録再生方法
US6532209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959943A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ith clock information therein
JPH06176404A (ja) 光ディスク及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US5608712A (en) Method and means for varying pit duty cycle and changing pit depth on an optical recordable medium
US5608711A (en) Method and means for changing pit depth on an optical recordable medium
KR100294332B1 (ko) 광자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 및 장치
KR100595161B1 (ko) 광 기록재생기의 비기록 영역 검출 방법
US7038990B2 (en) Method for optically recording information
US6597655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wobbling groove extending along the tracks
EP0813739B1 (en) Method and means for changing pit depth on an optical recordable medium
JP3659524B2 (ja) 光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US7539088B2 (en) Optical disc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daptive to wobble pregroove
KR100248017B1 (ko) 광 기록 재생 방법
JPH0785504A (ja)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原盤のカッティング方法並びに光ディスク原盤のカッティング装置
JPH02201733A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2576643C (ko)
JPH06162509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H04344324A (ja) ピット長調整装置及びその応用装置
JPH05298735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707

Effective date: 200109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