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814B1 -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814B1
KR100316814B1 KR1020000032019A KR20000032019A KR100316814B1 KR 100316814 B1 KR100316814 B1 KR 100316814B1 KR 1020000032019 A KR1020000032019 A KR 1020000032019A KR 20000032019 A KR20000032019 A KR 20000032019A KR 100316814 B1 KR100316814 B1 KR 100316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stics
transport
cell
custome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4544A (ko
Inventor
이광진
Original Assignee
이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진 filed Critical 이광진
Priority to KR102000003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814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물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주로 사무실에서 유선을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화물운송 의뢰를 받은 후 운송차량이 회사를 출발하여 고객으로부터 화물, 서류, 소화물 등을 운송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어 왔으나, 이러한 종래의 운송방식은 물류량이 거의 없는 취약지역까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이동거리가 길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택배 및 퀵서스스 업체와 개인 화물운송업자 등을 하나의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으로 통합하여 운송화물에 대한 물류정보를 서로 교환해 줌으로서 서비스 음영지역까지도 물류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양질의 화물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은 기존의 택배 및 퀵서비스 등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서비스 음영지역이 없는 전국적인 물류운송망을 구축할 수 있으며, 운송차량의 이동거리가 짧아 소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운송업무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Integrated chain processing system using internet or wireless communication }
본 발명은 물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통신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기존의 퀵서비스 및 택배회사를 하나로 엮어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에서 통제함으로서 신속하고 적은 비용으로 화물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 운송회사는 퀵서비스업체, 택배업체 및 차량 또는 오토바이를 이용한 개인화물운송업자 등이 있는데, 지금까지 이들은 주로 각 지역의 사무실에서 유선을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화물운송을 의뢰 받은 후 자사에 속한 운송차량이 회사를 출발하여 고객으로부터 화물, 서류, 소화물 등(이하 '물류'라 함)을 수취하여 운송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운송방식은 각각의 운송회사가 모든 지역 즉, 물류량이 거의 없는 취약지역에까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사정이 여의치 않을 때는 운송을 거절하는 경우를 양산하였다. 또한, 취약지역까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수의 운송업체가 필요하게 되고 운송업체의 증가는 결국 물동량을 고갈시켜 상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통신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택배 및 퀵서스스업체와 개인 화물운송업자 등을 하나의 광역 물류 정보 교환국으로 통합하여 운송화물에 대한 물류정보를 서로 교환해 줌으로서 서비스 음영지역까지도 물류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양질의 화물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비스 대상지역을 여러 개의 셀로 나눈 개략도이다.도 2는 본 발명의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 12 : 통신국
14C, 14G : 운송차량, 16C, 16G : 운송기지국
20C, 20G : 고객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은 운송기지국 또는 물류운송 의뢰자인 고객으로부터 물류운송 요청을 받아 고객의 위치를 파악하고 고객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고 동일방향으로 진행하는 회원에게 물류운송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과, 무선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운송기지국 또는 운송차량에게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송출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국과, 택배 또는 퀵서비스 업체의 제어 및 관리기능을 하며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과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운송기지국과, 통신용 단말기를 구비하고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 또는 운송기지국의 지령을 받아 고객을 직접 방문하여 물류를 수취 또는 배달하는 복수의 운송차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송차량의 현재 위치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통합 물류처리 방법은 하나의 셀에 위치한 고객이 다른 셀에 위치한 운송기지국에 물류운송을 의뢰하는 단계와, 물류운송을 의뢰 받은 운송기지국이 물류정보를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이 운송기지국으로부터 전송 받은 물류정보를 분류하여 물류정보를 전송할 대상을 선정하는 단계와, 통신국을 통하여 운송차량에게 물류정보를 송출하는 단계와, 물류정보를 송출받은 운송차량이 물류를 수취하는 단계와, 수취한 물류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단계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송차량은 물류운송을 의뢰한 고객으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며 동일방향으로 진행하는 운송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취한 물류를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단계는, 고객을 방문하여 수취한 운송차량이 정해진 물류중계소까지 운송한 다음 중계소에서 일괄하여 다음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서비스 대상지역을 여러 개의 셀로 나눈 개략도이다. 여기서 셀이란 운송차량이 단일 배송의뢰건에 대하여 배송할 수 있는 한계범위로 운송차량의 종류와 배송지역의 특수한 환경 등에 의하여 분할된 구역을 말하며, 교통의 편리성에 따라 나눌 수도 있다. 각 셀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A, B, C ···로 기호를 부가하였으며, 각 셀은 중앙에 설치된 통신국의 통신권 내에 있다.
도 1은 서비스 대상지역을 여러 개의 셀로 나눈 개략도이다. 여기서 셀이란 임의로 분할된 구역을 말하며, 셀은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나눌 수도 있고, 교통의 편리성에 따라 나눌 수도 있다. 각 셀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A, B, C ···로 기호를 부가하였으며, 각 셀은 중앙에 설치된 통신국의 통신권 내에 있다.
운송기지국(16C, 16G)은 택배 또는 퀵서비스 업체를 제어·관리하는 기능을 하며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곳을 말하며, 16C는 C셀 내의 기지국이며, 16G는 G셀 내의 기지국을 말한다. 그러나 운송기지국은 하나의 셀 내에도 복수개가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는 편의상 두 개의 운송기지국만을 예로 든 것이다.운송차량(14C, 14G)은 통신용 단말기를 구비하고,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 또는 운송기지국의 지령을 받아 고객을 직접 방문하여 물류를 수취 또는 배달하는 사람 및 차량을 말하며, 14C는 현재 C셀 내에 위치한 운송차량을 말하고, 14G는 현재 G셀 내에 위치하고 있는 운송차량을 말한다. 여기서 운송차량에는 택배 또는 퀵서비스 업체의 운송차량 뿐만 아니라 특별히 운송기지국을 가지고 있지 않은 개인화물운송업자 즉,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을 이용하여 화물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화물운송업자도 포함된다.고객(20C, 20G)은 물류운송 의뢰자를 말하며, 20C는 C셀 내에 위치한 고객을 말하고, 20G는 G셀 내에 위치하고 있는 고객을 말한다. 역시, 여기에서는 두 명의 고객만을 예로 들었으나, 하나의 셀 내에도 여러 명의 고객이 있을 수 있다.이하, G셀에 있는 고객(20G)이 C셀에 위치한 운송기지국(16C)에 물류운송을 의뢰한 경우를 예로 들어 물류 통합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G셀에 있는 고객(20G)이 C셀에 위치한 운송기지국(16C)에 물류운송을 의뢰하면 C셀에 위치한 운송기지국(16C)에게는 G셀에 있는 고객(20G)이 서비스 음영지역에 해당하므로 C셀에 위치한 운송기지국(16C)의 운송차량(14C)을 고객(20G)에게 직접 보낸다면 시간과 경비 측면에서 효율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운송기지국(16C)은 고객(20G)의 위치와 물류내역 등(이하, '물류정보'라 함)을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에 전송하게 되고,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은 운송기지국(16C)으로부터 전송 받은 물류정보와 운송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종합하여 통신국(12)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물류를 수취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운송차량에게 물류정보를 송출함으로써 고객(20G)으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고 동일방향으로 진행하는 운송차량(14G)에게 물류를 처리하게 한다. 이때, 운송차량의 현재 위치는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거나, 각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으로부터 송출된 정보를 제공받은 운송차량이 현재위치를 응답함으로써 파악이 가능하다.「한편, 고객으로부터 의뢰 받은 물류는 셀내의 배송일 경우 최초로 고객을 방문하여 수취한 운송차량(14G)이 최종목적지까지 운송하고, 인접한 셀로의 배송일 경우 운송차량(14G)이 운송기지국까지 운송한 다음 또 다른 운송차량이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며, 광역 배송일 경우 운송차량(14G)이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에 설치된 중계소(도시되지 않음)까지 운송한 다음 중계소에서 일괄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방법이 있다.」다음은 G셀에 있는 고객(20G)이 직접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에 물류운송을 의뢰한 경우를 예로 들어 물류 통합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G셀에 있는 고객(20G)이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에 직접 물류운송을 의뢰하면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은 고객(20G)으로부터 전송 받은 물류정보와 운송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종합하여 통신국(12)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물류를 수취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운송차량에게 물류정보를 송출함 고객(20G)으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고 동일방향으로 진행하는 운송차량(14G)에게 물류를 처리하게 한다.이때도 역시 고객으로부터 의뢰 받은 물류는 셀내의 배송일 경우 최초로 고객을 방문하여 수취한 운송차량(14G)이 최종목적지까지 운송하고, 인접한 셀로의 배송일 경우 운송차량(14G)이 운송기지국까지 운송한 다음 또 다른 운송차량이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며, 광역 배송일 경우 운송차량(14G)이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에 설치된 중계소(도시되지 않음)까지 운송한 다음 중계소에서 일괄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방법이 있다.
운송기지국(16C, 16G)은 택배 또는 퀵서비스 업체를 제어·관리하는 기능을 하며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곳을 말하며, 16C는 C셀 내의 기지국이며, 16G는 G셀 내의 기지국을 말한다. 그러나 운송기지국은 하나의 셀 내에도 복수개가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는 편의상 두 개의 운송기지국만을 예로 든 것이다.운송차량(14C, 14G)은 통신용 단말기를 구비하고,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 또는 운송기지국의 지령을 받아 고객을 직접 방문하여 물류를 수취 또는 배달하는 사람 및 차량을 말하며, 14C는 현재 C셀 내에 위치한 운송차량을 말하고, 14G는 현재 G셀 내에 위치하고 있는 운송차량을 말한다. 여기서 운송차량에는 택배 또는 퀵서비스 업체의 운송차량 뿐만 아니라 특별히 운송기지국을 가지고 있지 않은 개인화물운송업자 즉,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을 이용하여 화물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화물운송업자도 포함된다.고객(20C, 20G)은 물류운송 의뢰자를 말하며, 20C는 C셀 내에 위치한 고객을 말하고, 20G는 G셀 내에 위치하고 있는 고객을 말한다. 역시, 여기에서는 두 명의 고객만을 예로 들었으나, 하나의 셀 내에도 여러 명의 고객이 있을 수 있다.이하, G셀에 있는 고객(20G)이 C셀에 위치한 운송기지국(16C)에 물류운송을 의뢰한 경우를 예로 들어 물류 통합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G셀에 있는 고객(20G)이 C셀에 위치한 운송기지국(16C)에 물류운송을 의뢰하면 C셀에 위치한 운송기지국(16C)에게는 G셀에 있는 고객(20G)이 서비스 음영지역에 해당하므로 C셀에 위치한 운송기지국(16C)의 운송차량(14C)을 고객(20G)에게 직접 보낸다면 시간과 경비 측면에서 효율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운송기지국(16C)은 고객(20G)의 위치와 물류내역 등(이하, '물류정보'라 함)을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에 전송하게 되고,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은 운송기지국(16C)으로부터 전송 받은 물류정보와 운송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종합하여 통신국(12)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물류를 수취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운송차량에게 물류정보를 송출함으로써 고객(20G)으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고 동일방향으로 진행하는 운송차량(14G)에게 물류를 처리하게 한다. 이때, 운송차량의 현재 위치는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거나, 각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으로부터 송출된 정보를 제공받은 운송차량이 현재위치를 응답함으로써 파악이 가능하다.한편, 고객으로부터 의뢰 받은 물류는 최초로 고객을 방문하여 수취한 운송차량(14G)이 최종목적지까지 운송할 수도 있고, 운송차량(14G)이 운송기지국까지 운송한 다음 또 다른 운송차량이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할 수도 있으며, 운송차량(14G)이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에 설치된 중계소(도시되지 않음)까지 운송한 다음 중계소에서 일괄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방법이 있다.다음은 G셀에 있는 고객(20G)이 직접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에 물류운송을 의뢰한 경우를 예로 들어 물류 통합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G셀에 있는 고객(20G)이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에 직접 물류운송을 의뢰하면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10)은 고객(20G)으로부터 전송 받은 물류정보와 운송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종합하여 통신국(12)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물류를 수취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운송차량에게 물류정보를 송출함 고객(20G)으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고 동일방향으로 진행하는 운송차량(14G)에게 물류를 처리하게 한다.이때도 역시 고객으로부터 의뢰 받은 물류는 최초로 고객을 방문하여 수취한 운송차량(14G)이 최종목적지까지 운송할 수도 있고, 운송차량(14G)이 운송기지국까지 운송한 다음 또 다른 운송차량이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할 수도 있으며, 운송차량(14G)이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에 설치된 중계소(도시되지 않음)까지 운송한 다음 중계소에서 일괄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방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은 기존의 택배 및 퀵서비스 등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서비스 음영지역이 없는 전국적인 물류운송망을 구축할 수 있으며, 운송차량의 이동거리가 짧아 소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운송업무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하나의 셀에 위치한 고객이 동일한 셀 또는 다른 셀에 위치한 운송기지국에 물류운송을 의뢰하는 제1단계,
    물류운송을 의뢰 받은 운송기지국이 통신국을 통하여 물류정보를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에 전송하는 제2단계,
    광역 물류정보 교환국이 운송기지국으로부터 전송 받은 물류정보와 실시간 추적한 운송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근거로 고객으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며 동일방향으로 진행하는 운송차량을 선정하는 제3단계,
    통신국을 통하여 운송차량에게 고객이 있는 셀 및 위치 등 물류정보를 송출하는 제4단계,
    물류정보를 송출 받은 운송차량이 물류를 수취하는 제5단계,
    목적지가 동일 셀 내에 위치하면 단일 차량이 직접 배송하고, 목적지가 인접한 셀에 위치하면 하나 이상의 차량이 연계하여 배송하며, 목적지가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에는 수취한 물류를 운송기지국으로 이송하는 제6단계,
    운송기지국에서 집합된 물류를 분류하는 제7단계,
    분류된 물류를 최종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제8단계,
    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물류처리 방법.
  3. 삭제
KR1020000032019A 2000-06-10 2000-06-10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KR100316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019A KR100316814B1 (ko) 2000-06-10 2000-06-10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019A KR100316814B1 (ko) 2000-06-10 2000-06-10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544A KR20000054544A (ko) 2000-09-05
KR100316814B1 true KR100316814B1 (ko) 2001-12-28

Family

ID=1967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019A KR100316814B1 (ko) 2000-06-10 2000-06-10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262A (ko) * 2001-01-15 2002-07-24 (주)네오게이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물류 통합/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67499A (ko) * 2001-01-26 2001-07-13 한진우 유류배달시스템
KR20030021517A (ko) * 2001-09-06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2-way 페이저 망을 이용한 퀵서비스 시스템 및 그에적합한 퀵서비스 방법
KR100454139B1 (ko) * 2001-11-02 2004-10-26 조승호 네트워크 기반의 배송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795A (ko) * 2000-03-17 2000-06-05 민경욱 온라인 물류운송 정보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795A (ko) * 2000-03-17 2000-06-05 민경욱 온라인 물류운송 정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544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6454B2 (en) System for procuring services
US59831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ation-wide cellular telephone network
US20120232943A1 (en) Automatic optimal taxicab mobile location based dispatching system
US72129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apacity to a provider of services
US6240295B1 (en) Data messag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a feature request
CN101383089B (zh) 一种车辆匹配调度系统和方法
CN102439614B (zh) 用于收集和传播负载车辆/空车辆相关信息的系统
US20050004757A1 (en) Method and control, means for route planning in a mass transport system
CN102113001A (zh) 用于出租车管理的系统与方法
KR101867456B1 (ko) 강화된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정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EP1156462A3 (en) Transportation service system
JP2016091563A (ja) スマートな乗客および貨物輸送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316814B1 (ko)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KR101910050B1 (ko)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전운행 요건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CN102393927A (zh) 公路运输力量优化配置系统
CA2467132C (en) System for providing online service reports
KR101511628B1 (ko) 위치 기반 동적 그룹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179048B1 (ko) 고속도로 통행차량을 이용한 물류 운반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1867453B1 (ko)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JP2003128258A (ja) 配送・集荷指示情報伝送システム
CN110070321A (zh) 一种物流调度系统
JP2020077035A (ja) 車両管理装置、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車両管理方法
KR102587392B1 (ko) 택배기사의 업무지역에 따른 선별적 광고방법
CA216717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ation-wide cellular telephone network
CN115147038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公共交通物流配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