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546B1 - 휠 크레인 - Google Patents

휠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546B1
KR100316546B1 KR1019990028651A KR19990028651A KR100316546B1 KR 100316546 B1 KR100316546 B1 KR 100316546B1 KR 1019990028651 A KR1019990028651 A KR 1019990028651A KR 19990028651 A KR19990028651 A KR 19990028651A KR 100316546 B1 KR100316546 B1 KR 100316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pivot
wire
rear end
wheel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743A (ko
Inventor
미야자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구마모토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8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340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316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63085A/ja
Application filed by 구마모토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구마모토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2000001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휠 크레인에 있어서, 양 붐지지 브래킷은 피봇중심으로부터 상이한 거리로 배열되며 양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 피봇반경(Ra,R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건하에서 피봇중심에 가까운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과 붐승강중심사이의 거리(La)와 피봇중심으로부터 떨어진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사이의 거리(Lb)와의 관계는 La > Lb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피봇프레임의 후방공간은 상승의 감소와 상부피봇몸체의 후방끝 피봇반경의 증가와 같은 단점을 가지지 않고 외부붐장치을 공간내에 수용하기 위하여 증대되어 피봇중심에 대해 오프셋되는 동안에 붐이 배열되는 구성을 취한다.

Description

휠 크레인{WHEEL CRANE}
본 발명은 붐을 구비한 상부피봇몸체가 휠에 의해서 주행하는 하부주행몸체상에 장착된 휠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면, 참조문자 A는 휠(1...)을 구비한 하부주행몸체를 나타내며, 참조문자 B는 하부주행몸체(A)상의 피봇베어링(2)을 통하여 수직축둘레에서 피봇운동을 위하여 장착된 상부피봇몸체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3은 상부피봇몸체(B)용 피봇프레임을 나타내며, 피봇프레임(3)은 주행시의 운전자의 캡과 크레인이 작동시 작동하는 캡을 조합한 캐빈(4), 붐푸트핀(12)둘레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붐(6) 및 거기에 장착되는 기타부품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하부주행몸체(A)와 상부피봇몸체(B)사이에서 압유 및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선회 조인트(7)는 상부피봇몸체(B)의 피봇중심(O)상에 제공되며, 붐(6)은 선회 조인트(7)상에 중첩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특히 주행시 시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붐(6)이 하부위치에 설치되는 휠 크레인에 있어서, 또는 붐(6)이 전방 아래쪽으로 제공되는 배열에 있어서, 붐(6)의 하부표면측상에 제공된 붐승강 실린더(8)와 선회 조인트(7)사이에서 간섭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시된바와 같이(참조문헌으로 첨부된 일본국 특개평 6-39316 참조) 정반대인 중심부분(X,Y)가 피봇중심(O)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오프셋되는 상태로 붐(6)과 붐승강 실린더(8)가 배열되는 구성이 잘 알려져 있다.
상술된 붐오프셋타입의 휠 크레인에 있어서, 붐(6)을 지지하기 위한 피봇프레임(3)상에 제공된 한쌍의 좌우지지브래킷(9,10)은 도 11 및 도 12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브래킷(9)보다 피봇중심(O)에 더 가까이에 있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참조번호 11는 피봇프레임(3)을 구성하는 피봇베드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18는 피봇베드(11)상에 제공된 선회 조인트(7)의 설치를 위한 구멍을 나타내며, 참조번호 13,13은 붐푸트핀(12)가 삽입되는 양 붐지지 브래킷(9,10)의 핀구멍을 나타낸다.
한편, 휠 크레인에 있어서, 붐(6)은 요구된 상승높이로 붐신장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단계로 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술된 다단계식 구성이 채용되면, 붐신장기구와 이와 관련된 장치는 복합하게 되며 이러한 것에 불구하고 피봇프레임(3)(양 붐지지 브래킷사이에서)내의 공간을 위한 룸이 없고 따라서, 그 부분(붐의 외부적으로 설치된 장치 예컨대 이것의 길이메터는 붐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릴타입의 포텐셔메터이며 이것은 이하에서 외부붐장치로 한다)은 배열되어야 하는 한편 피봇프레임외측에서 노출된다.
이 때문에 측정와이어등은 붐의 실질적인 전체길이에 걸쳐서 외측에 노출되므로 와이어가 작업위치(work site)에 있는 전기와이어, 강프레임등과 같은 장애물과 접촉하여 손상되고 바람과 비에 노출되어 조기에 녹이슬고 열화되고 부식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의 것이 고려된다.
(a) 완전하게 수축된 상태에서 붐의 길이는 짧아야 하고
(b) 붐의 후방끝은 가능한 한 전방에 위치하여야 하고
(c) 피봇프레임은 후방으로 신장되어야 하며
이에따라 피봇프레임의 후방끝에 있는 공간은 증대되며 외부붐장치는 여기에 배열된다.
하지만, 상기(a)의 방법에 의하면 상승이 저하되고 상기(b)의 방법에 의하면 주행시 붐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양이 증가하여 주행안전성을 저하시킨다. 더욱이, 상기(c)의 방법에 의하면, 피봇프레임의 후방끝의 피봇반경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전체 상부피봇몸체의 피봇반경이 증가하여 좁은공간에서의 작업성을 저하시킨다.
즉 이들방법은 큰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실제사용에 있어서 적합하지 않다.
한편, 다른 대응방법으로서 일본국 특개평 7-323922호(참고문헌으로서 첨부되었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붐이 완전하게 수축된 상태에서 제2단계 붐이 기본붐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제안되었다.
상술된 제안에 따라, 주행시 붐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양은 감소될 수 있지만 붐이 수축된 상태에서(최대하중이 매달린 경우에) 크레인이 작동되면, 상부피봇몸체의 후방끝의 피봇반경은 후방으로 돌출된 제2단계에 의해서 증가되고 이것은 이것은 기본적인 해결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승의 감소 및 상부피봇몸체의 후방끝 피봇반경의 증가와 같은 단점을 가지지 않고 측정와이어등과 같은 외부붐장치를 공간내에 수용하도록피봇프레임의 후방공간을 증대하여 붐오프셋구성을 취할 수 있는 휠크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프레임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선 Ⅱ-Ⅱ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붐을 구비한 휠 크레인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개략측면도,
도 4는 이 실시예에 따른 신축붐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5는 뒤에서 본 붐의 도면,
도 6은 검출기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붐몸체내에서 와이어감기 및 풀기라인에 대해서 수직으로 제위치에서 편향되게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7은 검출기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붐몸체내에서 와이어감기 및 풀기라인에 대해서 측방향으로 제위치에서 편향되게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릴 회전축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붐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축선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검출기가 배열되고 도 5에 대응하는 도면,
도 9는 종래의 휠 크레인의 개략 측면도,
도 10은 종래의 휠 크레인의 개략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휠 크레인내의 피봇프레임의 측면도, 및
도 12는 도 11의 선 Ⅵ-Ⅵ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휠 크레인은 하부주행몸체, 상기 하부주행몸체상의 수직축둘레에서 피봇운동을 위해서 장착되는 상부피봇몸체, 상기 상부피봇몸체의 피봇프레임, 상기 피봇프레임상에서 승강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붐, 및 상기 피봇프레임상에 제공되고 승강을 위하여 피봇된 붐을 가진 한쌍의 좌우 붐지지 브래킷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양 붐지지 브래킷은 피봇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여 상기 붐의 정반대인 중심부분이 상부피봇몸체의 피봇중심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상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양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 피봇반경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건하에서 피봇중심에 가까운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과 붐승강중심사이의 거리(La)와 피봇중심으로부터 떨어진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사이의 거리(Lb)와의 관계는 La > Lb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 양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 피봇반경(Ra,Rb)은 상기 브래킷과 다른 상부피봇몸체의 구성요소에 의해서 결정되는 최대 후방끝 피봇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후방끝 프레임은 양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양 붐지지 브래킷이 피봇중심과 다른 거리로 배열되는 즉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호후방끝이 등록되는 상태로 양 브래킷이 배열되면 양 브래킷의 후방끝 피봇반경(Ra,Rb)사이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사실을 이용함으로써 이들사이의 관계는 La > Lb로 설정되어 후방끝 피봇반경(Ra,R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건하에서 상기 차이를 보충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피봇중심에 더 가까운 브래킷의 후방끝은 다른 브래킷의 후방끝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하며 피봇프레임내의 후방공간(양 붐지지 브래킷사이의)은 상기 돌출부분에 의해서 증대될 수 있다.
더욱이, 양 브래킷의 후방끝의 피봇반경(Ra,Rb)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므로, 피봇반경(Ra,Rb)의 치수는 충족되는 값(바람직하게 상부피봇몸체의 최대 후방끝 피봇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으로 설정되어 피봇프레임의 후방공간은 전체 상부피봇몸체의 후방끝 피봇반경이 쓸모없이 증가하고 붐길이가 짧게되는 등의 단점을 가지지 않고 외부붐장치을 수용하도록 최대로 증대될 수 있다.
더욱이, 붐은 복수의 붐몸체에 의해서 신축되는 붐 주몸체 및 붐 주몸체의 길이를 검출하는 붐길이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붐길이 검출장치는 측정와이어 및 와이어를 감고 풀고 또한 감겨지고 풀려지는 양을 기초로 붐길이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측정와이어는 붐 주몸체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이것의 말단은 붐 주몸체의 말단부분에 고정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길이측정장치의 측정와이어가 붐 주몸체에 나사결합되므로 와이어는 외측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즉, 와이어가 외부장애물과 접촉하여 손상되거나 또는 바람 및 비에 노출되어 종래기술과 같이 조기에 녹슬고 열화되거나 부식되는 가능성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종래의 휠 크레인과 비교하여 볼 때에, 본 발명은 상부피봇몸체(B)내의 피봇프레임(14)의 부분의 구성에 있어서 단지 다르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과 다른 피봇프레임(14)이 예시되고 설명된다.
종래의 피봇프레임(3)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휠 크레인에 있어서 상부피봇몸체(B)의 피봇프레임(14)내에는 피봇중심(O)이 한쌍의 붐지지 브래킷사이에 놓여지는 상태로 하나의 브래킷(17)이 다른하나의 브래킷(16)(이들은 캐빈측에서 보았을 때에 방향성에 따라 각각 우측 브래킷 및 좌측브래킷으로 한다)보다 피봇중심(O)에 더 가깝게 있는 배열로 피봇베어링(2)을 통하여 하부주행몸체(A)상에 장착된 피봇베드(15)의 양 좌우측에 한쌍의 붐지지 브래킷(16,17)이 장착된다.
참조번호 18은 피봇베드(15)상에 제공된 선회 조인트(7)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을 나타내며, 참조번호 19,19는 양 붐지지 브래킷(16,17)상에 제공된 붐 푸트핀(12)을 장착하기 위한 구멍을 나타낸다.
양 붐지지 브래킷(16,17)의 후방끝 표면사이에는 후방끝에 있는 상부프레임(20)과 후방끝에 있는 주프레임(21)이 상부부분에서 후방측아래로 경사진 부분 및 전자보다 아래에 있는 수직부분상에 제공되어 피봇프레임의 뒤의 개구부를 덮는다. 후방끝 주프레임(21)의 이면은 전체 상부피봇몸체의 후방끝피봇반경(최대 후방끝 피봇반경)(Rmax)이다.
압유를 붐으로 안내하는 유압배관등을 보호하기 위한 안내프레임(22)은 후방끝 주프레임(21)으로 향하고 양 브래킷(16,17)으로부터 좌우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양 붐지지 브래킷(16,17)의 후방끝에서 아래로 제공된다.
피봇프레임(14)내에는 우측 붐지지 브래킷(17)이 좌측 붐지지 브래킷(16)보다 후방으로 더 길도록 형성되어 있다. 붐승강중심인 붐 푸트핀(12)의 정반대인 중심부분(α)으로부터 우측 브래킷의 후방끝까지의 거리(La)와 이 중심부분으로부터 좌측브래킷의 후방끝까지의 거리(Lb)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La > Lb (1)
더욱이, 우측 브래킷(17)의 후방끝 피봇반경(Ra)과 좌측 브래킷(16)의 후방끝 피봇반경(Rb)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고
Ra = Rb (2)
양 브래킷의 후방끝 피봇반경(Ra,Rb)과 후방끝 주프레임(21)의 이면에 의해서 결정되는 상부피봇몸체(B)의 최대 후방끝 피봇반경(Rmax)사이의 관계는 작은 차이로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Ra < Rmax, Rb < Rmax (3)
상술된 공식(1)을 설정함으로써, 우측 브래킷(17)의 후방끝은 도시된 우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측 브래킷(16)보다 (La - Lb)만큼 후방으로 돌출한다. 피봇프레임(14)의 후방공간은 돌출부에 대응하는 평면(도 2에서의 측방향선으로 표시된 일부분)에서 보았을 때에 좌측으로 각을이룬 삼각형의 일부분만큼 증대된다.
더욱이, 상술된 공식 (2) 및 (3)을 설정함으로써, 피봇프레임(14) 자체의 후방끝 피봇반경이 증가되지 않고 전체 상부피봇몸체의 후방끝 피봇반경(Rmax)이 증가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술된 후방공간은 증대된다.
그러므로, 길이메터와 같은 외부붐장치는 증대된 후방공간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붐장치가 설치되고 피봇프레임외측으로 노출되는 종래의 기술과 같이 장애물과의 접촉으로 인해 장치가 손상되거나 실수로 작동되는 가능성은 없다. 길이검출기의 측정와이어가 붐몸체내로 나사결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에서 설명된다.
더욱이, 외부붐장치 및 붐후방끝은 후방끝부분과 양 주프레임(20,21)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으며 피봇프레임(14)의 후방끝은 보강되고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하에서 설명된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음의 3가지 조건은 만족된다.
① La > Lb
② Ra = Rb
③ Ra < Rmax, Rb < Rmax
Rmax : 붐지지 브래킷과 다른 구성요소인 후방끝 주프레임에 의해서 결정된 전체 상부피봇몸체의 최대 후방끝 피봇반경
상술된 조건 ② 및 ③은 적합하게 만족될 수 있다.
즉, 조건 La > Lb가 충족되고 Ra 와 Rb가 작은 차이로 다음과 같이 설정될수 있는 것은 만족될 수 있다
②' Ra < Rb
②' Ra > Rb
더욱이,
③' Ra 와 Rb중의 적어도 하나는 Rmax와 동일하게 될 수 있고
③' Ra 와 Rb중의 적어도 하나는 작은 차이(실질적으로 동일한 카테고리)로 Rmax보다 크게 될 수 있다.
상술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부피봇몸체가 쓸모없이 증가하고 붐길이가 짧아지는 등의 단점을 가지지 않고 피봇프레임의 후방공간이 증대되는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2)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끝 상부부분과 양 주프레임(20,21)은 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피봇프레임의 이면상에 전체개구부를 덮는 상태로 제공되지만, 양 프레임(20,21)은 격자와 같은 개구부로 형성되어 있다.
(3)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 상부피봇몸체의 최대 후방끝 피봇반경이 후방끝 상부부분과 양 주프레임(20,21)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최대 후방끝 피봇반경은 후방끝 프레임(20,21)과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평형추는 프레임(20,21)의 외부에 장착되어 최대 후방끝 피봇반경은 그 이면에 의해서 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붐을 구비한 전체 휠 크레인을 도시하고 있다.
A는 휠(1...)을 구비한 하부주행몸체를 나타내며 B는 하부주행몸체(A)상에서 피봇베어링(2)을 통하여 수지축선둘레에서 피봇운동을 위하여 장착된 상부피봇몸체를 나타낸다. 상부피봇몸체(B)의 피봇프레임(3)은 주행시에 구동하는 캡과 크레인이 작동될 때에 작동하는 캡을 조합한 캐빈(4) 및 신축붐(5)등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신축붐(5)의 몸체(6)내에는 제1 내지 제5붐몸체(7,8,9,10)가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자유롭게 끼워지고 신축을 위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낮은 제1붐몸체(7)(기본붐몸체)의 가장 가까운 끝은 승강을 위하여 붐 푸트핀(12)에 의해서 피봇프레임(3)상에 피봇된다.
5단계신축타입의 붐몸체(6)내에는 제1세트의 봄몸체그룹 및 제2세트의 붐몸체그룹이 제1 내지 제3붐몸체(7,8,9) 및 제3 내지 제5붐몸체(9,10,11)에 의해서 각각 구성된다. 이들 2세트의 붐몸체그룹은 단일 신축실린더(13,14)와 로프타입의 신축기구에 의해서 신축을 위해 각각 구동된다.
도 4에 있어서, 참조번호 15는 로프타입의 신축기구로부터 수축기구를 구성하는 수축로프을 나타내며 참조번호 16은 로프안내시브를 나타낸다. 이러한 신축붐은 붐 주몸체(6)의 길이를 검출하는 길이검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길이검출장치는 측정와이어(17)와 검출기(18)로 이루어 졌다.
검출기(18)는 붐 주몸체(6)의 신축으로 측정와이어(17)를 감고 풀기위한 와이어릴(릴부분)(19) 및 회전양을 전기량을 전환하기 위하여 와이어릴(19)과 일체로 회전되는 포텐셔메터(20)를 구비하고 있다. 현재시간에서 붐 주몸체(6)의 길이는포텐셔메터(20)의 출력에 의해서 검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술된 바와 같이 피봇프레임내의 후방공간은 증대된다. 그러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기(18)는 피봇프레임(3)내의 후방끝 부분에 있는 제1붐몸체의 가장 가까운 끝에 있다.
① 포텐셔메터(20)와 와이어릴(19)의 회전축은 붐 주몸체(6)의 길이에 대해 직각으로 수평자세을 취하고 있다.
② 와이어릴(19)의 와이어 감기 및 풀기부분은 붐 주몸체의 내부를 향한 상태에서 브래킷(21)에 의해서 장착된다.
측정와이어(17)는 와이어릴(19)로부터 풀어지고 붐 주몸체(6)내에서 가장 가까운 끝으로부터 전방끝으로 횡단하는 상태로 제1 내지 제5붐몸체(7 내지 11)로 나사결합되고 그 말단은 와이어끝 고정브래킷(22)에 의해서 붐 주몸체(제5단계프레임몸체(11)의 말단)의 말단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와이어(17)는 신축실린더(13,14)를 포함하는 신축기구와 같은 붐몸체내의 구조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를 선택하고 바람직하게 선형적으로 제공되고 검출기(18)는 붐몸체의 가장 가까운 끝에 설치되어 와이어 나사조정위치(감기 및 풀기라인)을 조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기(18)는 도시된 제1붐몸체의 가장 가까운 끝에서 크레인의 후방끝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우측에서 하부부분에 설치되며 측정와이어는 붐몸체(7 내지 11)의 우측하부부분을 통하여 선형적으로 통과한다.
붐몸체(7 내지 11)내의 측정와이어(17)를 감고 풀기위한 라인상에는와이어(17)를 감고 풀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와이어안내수단을 제공한다. 즉, 제1 내지 제4붐몸체(7 내지 10)는 와이어(17)가 각각의 가장 가까운 끝내에 삽입되는 링형상 안내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가장 좁고 신축기구와 측정와이어(17)사이에서의 간섭이 발생하는 가능성이 큰 제5붐몸체(11)내에는 와이어(17)가 삽입되는 안내파이프(24)가 붐몸체의 실질적인 전체길이에 걸처 내부바닥부분상에 제공된다.
길이 검출장치의 측정와이어(17)가 상술된 바와 같이 붐 주몸체(6)내에서 나사결합되므로 와이어(17)가 외부장애물과 접촉하여 손상되거나 또는 바람 및 비에 노출되고 이에 따라 종래기술과 같이 조기에 녹슬고 열화되거나 부식되는 가능성은 없다.
이 때문에 길이검출장치에 의한 길이검출작동은 긴시간주기동안에 확실하게 달성된다. 더욱이, 검출기(18)가 제1붐몸체(7)의 가장 가까운 끝상에 제공되므로, 측정와이어(17)는 그 전체길이에 걸쳐 반듯이 붐몸체내에 위치되고 검출기(18)는 거의 외측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측정와이어(17)의 보호효과는 향상되고 전체길이검출장치는 외측에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상술될 수 있다.
(1) 통상, 검출기(18)는 와이어릴(19)의 와이어감기 및 풀기부분이 붐몸체내에서 와이어감기 및 풀기라인상에 위치된다. 하지만, 상술된 이러한 배열은 설치공간등으로 사용하기가 어렵고 즉 와이어감기 및 풀기부분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감기 및 풀기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편향되어 있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편향되어 있는 경우에 와이어 안내수단(25,26)은 이들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몸체(6)의 가장 가까운 끝에서 와이어감기 및 풀기라인과 와이어릴(19)를 연결하기위한 채널상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검출기는 제공될 필요가 없지만 제위치에서 편향되어 있다.
사용된 와이어 안내수단(25,26)은 롤러 또는 시브에 부가하여 U형상홈을 가진 비회전 안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2) 릴회전축이 설치공간등에 의해서 붐의 길이에 수직으로 수평자세를 취하는 상태에서 검출기(18)가 설치될 수 없는 경우에 이것은 릴회전축이 붐길이의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제공될 수 있다. 즉 릴회전축은 붐 피트핀의 길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붐길이는 붐승강으로 인해 붐 피트핀(붐승강축)둘레에서 피봇될 수 있다.
(3) 와이어 안내수단이 붐 주몸체내에서 와이어감기 및 풀기라인상에 제공됨에 따라 이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링형상 안내부재(23)로 제한되지 않는 롤러 또는 시브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와이어 안내수단은, 가능하다면, 측정와이어와 어쩌면 간섭하는 내부구조자체상에 제공되거나, 또는 각각의 붐몸체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있지않고 선택된 붐몸체(예컨대 구조근처에)마다 내부구조와의 간섭을 방지할수 있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4) 상단붐몸체(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5몸체(11))를 위한 와이어 안내수단으로서 파이프가 절반으로 분할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내파이프에 제한되지 않는 와이어 안내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붐몸체내의 구조와의 간섭이 발생하는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 링형상 와이어 안내수단, 롤러 또는 시브가 사용될 수 있다.
(5) 소정의 인장을 측정와이어(17)에 적용시키는 스프링을 가진 와이어 인장조정기는 와이어 안내수단에 추가될 수 있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 잇다.
(6) 바람직하게, 측정와이어(17)는 상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선형적으로 설치되지만, 내부구조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붐몸체내에서 방향을 적당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피봇중심에 더 가까운 브래킷의 후방끝은 다른 브래킷의 후방끝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하며 피봇프레임내의 후방공간(양 붐지지 브래킷사이의)은 상기 돌출부분에 의해서 증대된다.
또한 길이측정장치의 측정와이어가 붐 주몸체에 나사결합되므로 와이어는 외측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즉, 와이어가 외부장애물과 접촉하여 손상되거나 또는 바람 및 비에 노출되고 이에 따라 종래기술과 같이 조기에 녹슬고 열화되거나 부식되는 가능성은 없다.
본 발명은 수반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당해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라면,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이탈하지 않고 이루어 질 수 있다. 명세서, 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여 1998년 7월 16일에 출원된 일본국 출원번호 10-20218호와 1998년 8월 18일에 출원된 10-231647호의 전체명세는 그 전체로서 참고문헌으로 여기에 제출되었다.

Claims (13)

  1. 하부주행몸체,
    상기 하부주행몸체상의 수직축둘레에서 피봇운동을 위해서 장착되는 상부피봇몸체,
    상기 상부피봇몸체의 피봇프레임,
    상기 피봇프레임상에서 승강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붐, 및
    상기 피봇프레임상에 제공되고 피봇프레임상에서 승강을 위하여 피봇된 붐을 가지고 있고 피봇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여 상기 붐의 정반대인 중심부분이 상부피봇몸체의 피봇중심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한쌍의 좌우 붐지지 브래킷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양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 피봇반경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건하에서 피봇중심에 가까운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과 붐승강중심사이의 거리(La)와 피봇중심으로부터 떨어진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사이의 거리(Lb)와의 관계는 La > Lb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크레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양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 피봇반경(Ra,Rb)은 상기 브래킷과 다른 상부피봇몸체의 구성요소에 의해서 결정되는 최대 후방끝 피봇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크레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양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사이에 제공된 후방끝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크레인.
  4. 제 2 항에 있어서, 양 붐지지 브래킷의 후방끝사이에 제공된 후방끝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크레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붐이 복수의 붐몸체에 의해서 신축되는 붐 주몸체 및 상기 붐 주몸체의 길이를 검출하는 붐길이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크레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붐길이 검출장치는 측정와이어 및 와이어를 감고 풀고 또한 감겨지고 풀려지는 양을 기초로 붐길이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측정와이어는 붐 주몸체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측정와이어의 말단은 붐 주몸체의 말단부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크레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붐 주몸체를 구성하는 가장 낮은 붐몸체의 가장 가까운 끝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크레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붐 주몸체는 측정와이어를 상기 붐 주몸체내에서 감기 및 풀기방향으로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수단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크레인.
  9. 제 8 항에 있어서, 붐 주몸체를 구성하는 상단붐몸체내에서 측정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크레인.
  10. 제 8 항에 있어서, 릴회전축은 붐 푸트핀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크레인.
  11. 제 9 항에 있어서, 릴회전축은 붐 푸트핀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크레인.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 내에서 측정와이어를 감고 풀기 위한 릴부분은 측정와이어의 붐 주몸체내에서 감기 및 풀기라인에 대해 제위치에서 편향되도록 제공되며, 측정와이어를 상기 릴부분과 상기 감기 및 풀기라인사이에서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 안내수단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크레인.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 내에서 측정와이어를 감고 풀기 위한 릴부분은 측정와이어의 붐 주몸체내에서 감기 및 풀기라인에 대해 제위치에서 편향되도록 제공되며, 측정와이어를 상기 릴부분과 상기 감기 및 풀기라인사이에서 안내하기위한 와이어 안내수단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크레인.
KR1019990028651A 1998-07-16 1999-07-15 휠 크레인 KR100316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02180 1998-07-16
JP20218098A JP2000034092A (ja) 1998-07-16 1998-07-16 伸縮ブーム
JP10231647A JP2000063085A (ja) 1998-08-18 1998-08-18 ホイールクレーン
JP98-231647 1998-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743A KR20000011743A (ko) 2000-02-25
KR100316546B1 true KR100316546B1 (ko) 2001-12-12

Family

ID=26513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651A KR100316546B1 (ko) 1998-07-16 1999-07-15 휠 크레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16546B1 (ko)
DE (1) DE19933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3813A1 (de) * 2002-07-19 2004-02-19 Terex-Demag Gmbh & Co. Kg Fahrzeugkran mit Radschwenkträgern
DE202005015151U1 (de) 2005-09-26 2007-02-15 Liebherr-Werk Ehingen Gmbh Fahrzeugkr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33232A1 (de) 2000-04-06
KR20000011743A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3411A (en) Extensible boom
US10662040B2 (en) Rope guidance for second device used on durahoist arm
CA2983835C (en) Pipelayer machine with symmetrical winches
ES2461915T3 (es) Dispositivo de medio de tracción para una instalación de elevador
US20100032531A1 (en) Hose and Cable Management System
KR102043665B1 (ko) 철도차량 하부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JP2005528304A (ja) クレーンアセンブリ
ES2364543T3 (es) Sistema de soporte de cable.
ES2382656T3 (es) Soporte integrado para máquina de ascensor, poleas y terminaciones
CA2547541C (en) A device for demarcating an area
BRPI0502837B1 (pt) Equipamento para a suspensão de uma cabine ou contrapeso em uma instalação de elevador e métodos para a montagem e manutenção de um meio de suspensão
KR100316546B1 (ko) 휠 크레인
US5947232A (en) Swing arm to prevent sway of elevator ropes
US20130140407A1 (en) Hose and Cable Management System
JP2006220179A (ja) シリンダ装置
KR101520796B1 (ko) 엔진조립용 리프트
WO2002038481A1 (fr) Dispositif de compensation d'allongement de cable principal pour ascenseur
JP2000247575A (ja) 伸縮ブームを備えたタワークレーン
FI82824B (fi) Hydraulisk hiss.
US6199707B1 (en) Telescopic boom
US5277386A (en) Hose and cable conveyor
JP2000034092A (ja) 伸縮ブーム
KR200407488Y1 (ko) 타워 크레인 작업용 감시 카메라 설치구조
JP2007221949A (ja) 常時定荷重をかけながら架空送電線を電線移線する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定荷重載荷装置
KR100530351B1 (ko) 신축가능한 교량점검용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