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239B1 -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 Google Patents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239B1
KR100316239B1 KR1019990040333A KR19990040333A KR100316239B1 KR 100316239 B1 KR100316239 B1 KR 100316239B1 KR 1019990040333 A KR1019990040333 A KR 1019990040333A KR 19990040333 A KR19990040333 A KR 19990040333A KR 100316239 B1 KR100316239 B1 KR 100316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ylinder
cutting machine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211A (ko
Inventor
우장봉
Original Assignee
여인영
대구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인영, 대구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여인영
Priority to KR101999004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239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7/00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41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using chutes, hoppers,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단기의 측방에 설치하여 재단할 종이의 공급과 정리작업을 기계적으로 수행하여 주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이정리장치(10)는;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프레임(11)에 하단부가 힌지(12)로 고정되고 실린더(13)에 의하여 의하여 신장과 수축하는 접철형의 링크(14)의 상단부에 힌지(15)로 고정되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일측단부(도면상 우측)에는 정리장치(10)의 측방에 공급되는 파레트(16)상에 적재된 종이(17)를 재단하기에 용이한 양만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격시켜주는 이격파트(40); 상기 이격파트(40)의 대향위치 베이스(20)상에 구비되어 파레트(16)에서 이격파트(40)에 의하여 이격된 종이(17)를 정리장치(10)상으로 옮기는 그리핑파트(80); 상기 베이스(20)상에 구비되어 그리핑파트(80)에 의하여 옮겨진 종이(17)를 가지런한 상태로 정리하는 종이정리파트(120); 상기 그리핑파트(80)의 측하방에 설치되어 정리된 종이(17)의 선단부를 잡아 공기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정리된 종이(17)를 재단기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재단기와 테이블(122)상간에서 브리지 역할을 수행하는 프론트가이드(150)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Paper arrangement apparatus for cutting system}
본 발명은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단할 종이를 가지런한 상태로 정리하여 재단하기에 용이하도록 공급하여주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재단기는 일반적으로 큰종이를 사용목적에 따라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여주는 장치로서 현재까지는 재단을 위한 종이의 정리와 공급을 작업자에 의한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재단할 종이가 적재된 파레트상의 종이를 재단이 용이할 만큼의 양을 재단테이블상에 안치한 후 각 모서리가 일치되도록 정리한 후에 재단기의 재단나이프상으로 공급함으로서 재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재단할 종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파레트로부터 들어올린 후 정리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재단적업자의 피로도는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에 이르게 된다.
이는 재단작업시 한 규격의 종이를 재단하는 데 적게는 몇백킬로그램에서 많게는 톤십에 이르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가 상당히 심하고, 상기와 같이 피로가 누적될 경우에는 종이정리과정이나 재단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당히 높은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재단작업 이전에 중노동에 해당하는 종리정리작업을 하여야 하는 등의 애로사항으로 인하여 재단작업에 필요한 인력이 작업을 기피하게되는 업종으로 전락함에 따라 원활한 재단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재단기의 측방에 설치하여 재단할 종이의 공급과 정리작업을 기계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재단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하고 재단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전체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이격파트를 발췌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이격파트를 발췌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이격파트를 발췌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그리핑파트를 발췌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종이정리파트를 발췌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종이정리파트를 발췌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프론트가이드를 발췌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종이정리장치
20; 베이스
40; 이격파트
51; 이격판
60; 포토센서
80; 그리핑파트
90; 그리핑유니트
110; 스퀴즈유니트
120; 종이정리파트
122; 테이블
150; 프론트가이드
160; 클램프테이블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전체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이격파트를 발췌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이격파트를 발췌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이격파트를 발췌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그리핑파트를 발췌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종이정리파트를 발췌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종이정리파트를 발췌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의 프론트가이드를 발췌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부위를 발췌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10)는;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프레임(11)에 하단부가 힌지(12)로 고정되고 실린더(13)에 의하여 의하여 신장과 수축하는 접철형의 링크(14)의 상단부에 힌지(15)로 고정되는 베이스(2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20)의 일측단부(도면상 우측)에는 정리장치(10)의 측방에 공급되는 파레트(16)상에 적재된 종이(17)를 재단하기에 용이한 양만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격시켜주는 이격파트(40)가 구비된다.
상기 이격파트(40)의 대향위치의 베이스(20)상에는 파레트(16)상에서 이격파트(40)에 의하여 이격된 종이(17)를 정리장치(10)상으로 옮기기 위한그리핑파트(8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20)상에는 그리핑파트(80)에 의하여 옮겨진 종이(17)를 가지런한 상태로 정리하는 종이정리파트(120)가 구비된다.
상기 그리핑파트(80)의 측하방에 설치되어 정리된 종이(17)의 선단부를 잡아그리핑파트(80)가 공기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정리된 종이(17)를 재단기로 이송시 재단기와 테이블(122)상간에 위치하여 브리지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종이(17)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론트가이드(150)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격파트(40)는;
상기 베이스(20)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브라켓(40')에 적재된 종이(17)를 이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승강실린더(41)와 가이드바(42)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실린더(41)의 로드(43)와 가이드바(42)의 상단부에는 승강판(45)이 고정되고, 승강판(45)의 후방에는 브라켓(46)에 의하여 지지되는 푸싱실린더(47)가 구비된다.
상기 푸싱실린더(47)의 로드(48)에는 승강판(45)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50)을 따라 승강판(45)의 전,후방향으로 출입하는 이격판(51)의 후단부와 움직임이 자유롭게 고정한다.
상기 승강판(45)에 형성되는 가이드홈(50)에는 이격판(51)의 저면으로 돌출된 가이드블럭(52)이 삽입되도록 하고, 가이드홈(50)은 이격판(51)이 방향전환할 수 있도록 절곡된 홈으로 형성한다.
상기 이격파트(40)의 측방에는 포토센서(60)를 더 구비하여 파레트(16)상에적재된 종이(17)의 양을 감지하여 이격파트(40)가 이격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링크(14)를 접철시키는 실린더(13)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그리핑파트(80)는;
상기 베이스(20)의 전,후측에 설치되어 동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엘엠가이드나 체인 및 타이밍밸트조합과 같은 가이딩수단(81)에 지지브라켓(82)으로 세워지는 서포팅프레임(83)을 구비한다.
상기 서포팅프레임(83)의 상면에는 하단부를 고정프레임(84)과 연결한 실린더(85)와 가이드바(86)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84)의 전방과 하방에는 각각 정리할 종이(17)를 당겨오는 그리핑유니트(90)와 정리한 종이(17)의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공기를 제거하는 스퀴즈유니트(110)를 설치한다.
상기 그리핑유니트(90)는;
고정프레임(84)과 수직으로 설치되는 그리핑프레임(91)의 상면에 가이드(92)와 실린더(93)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92)와 실린더(93)의 하단부에는 판상의 클램프(94)를 고정하여 실린더(93)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그리핑프레임(91)의 하단부에 고정된 그리퍼(95)와 협조하여 정리할 종이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퀴즈유니트(110)는;
상기 고정프레임(84)에 볼트(111)로 고정되는 지지블럭(112)상간에는 스퀴즈로울러(115)와 프론트로울러(113)를 구비하여 정리된 종이(17)위를 활주하면서 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종이끝단(Y)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블럭(112)에는 스퀴징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판(116)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84)의 후방에는 정리완료된 종이(17)를 재단기의 재단플레이트상으로 밀어주기 위한 이젝터플레이트(117)를 더 가지도록 한다.
상기 종이정리파트(120)는;
상기 실린더(13)와 링크(14)에 의하여 승,강하는 베이스(20)의 중앙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프레임(121)을 구비한다.
상기 횡프레임(121)에는 정리할 종이(17)를 공급받아 베이스(20)의 일측방향(Z)으로 종이를 모아서 정리하는 테이블(122)을 전방에 정리플레이트(122')를 세워서 구비한다.
상기 테이블(122)은 사방에 완충수단(124)을 개재시킨 브리지(125)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브라지(125)의 중앙부 저면에는 틸팅브라켓(126)을 돌출시켜 횡프레임(121)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브라켓(127)과 샤프트(128)로 고정한다.
상기 틸팅브라켓(126)의 후방에는 상부조인터(130)을 돌출시켜 횡프레임(121)에 고정되는 브라켓(131)의 하방에 구비되는 하부조인터(132)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틸팅실린더(135)의 로드(136)와 연결하여 상기 틸팅실린더(135)에 의하여 테이블(122)이 베이스(20)의 일측방향(Z)으로만 기울어지도록 한다.
상기 테이블(122)의 저면에는 틸팅후 지속적인 진동을 발생시켜 종이(17)를 정리하기 위한 진동모터(140)가 더 장착된다.
상기 프론트가이드(150)은;
상기 테이블(122)의 저면 측하방에 가이드프레임(155)을 고정시키고 가이드프레임(155) 저면 양쪽에 실린더브라켓(152)을 설치 실린더(151)를 고정한다.
상기 실린더(151)의 로드(153)에는 클램프프레임(154)에 고정되어 가이드프레임(155)의 전방에 세워지는 정리플레이트(156)의 후방에 고정되는 브라켓(157)의 저면과 고정하여 실린더(151)에 의하여 정리플레이트(156)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157)의 상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더블록(158)상에 슬라이더(159)에 의하여 결합되는 클램프테이블(160)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테이블(160)은 정리플레이트(156)에 고정되는 실린더(161)와 연결하여 테이블(122)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가이드프레임(155)상에는 브라켓(157)과 실린더(161)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나 슬로트(163)이 형성되어 승,강에 지장을 주지않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종이정리장치(10)는 재단기의 측방에 설치하여 사용되는데, 종이정리기(10)의 측방에는 재단할 종이(17)를 적재한 파레트(16)가 주기적으로 공급되어지고, 종이정리기(10)는 이 파레트(16)상의 종이(17)를 정리하여 재단하기 용이하도록 재단기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파레트(16)상에 적재된 종이(17)를 베이스(20)의 끝단부에 고정된 포토센서(60)가 감지하게 됨으로서 현재의 위치에서 종이(17)가 감지되면 실린더(13)는 신장하여 링크(14)를 펼침으로서 상승하게되고, 현재의 위치에서 종이(17)가 감지되지 않으면 포토센서(60)보다 낮은 위치로베이스(20)를 하강시켜 종이(17)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20)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이격파트(40)가 작동하여 정리할 양만큼의 종이를 적재상태로 부터 이격시켜 그리핑파트(80)가 잡고 테이블(122)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이를 살펴보면, 승강판(45)의 후방에 구비되는 푸싱실린더(47)가 신장하여 승강판(45)상에 위치한 이격판(51)이 전진하여 적재된 종이(17)로 삽입하게된다.
상기 이격판(51)은 저면에 돌출된 가이드블럭(50)이 승강판(45)에 형성된 가이드홈(50)에 삽입된 상태에서 푸싱실린더(47)에 의하여 밀려지면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푸싱실린더(47)에 의하여 이격판(51)이 적재된 종이(17)로 삽입된 후에는, 베이스(20)의 끝단부에 고정된 브라켓(40')의 저면에 설치되어 승강판(45)과 로드(43)로 연결하고 있는 승강실린더(41)가 신장함으로서 이격판(51)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격판(51)이 상승함으로서 이격판(51)상부의 종이(17)는 적재된 종이(17)와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됨으로서 그리핑파트(80)가 전진하여 이격된 종이(17)를 잡고 테이블(122)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그리핑파트(80)의 작동을 살펴보면;
이격파트(40)에 의하여 종이(17)가 이격되면, 그리핑파트(80)가 가이딩수단(81)에 의하여 그리핑파트(40)로 전진한다.
이격파트(40)까지 근접한 그리핑파트(80)는 서포팅프레임(83)의 상측에 설치된 실린더(85)가 작동하여 그리핑유니트(90)가 이격된 종이(17)위치까지 하강하도록 한다.
하강된 그리핑유니트(90)의 클램프(94)는 실린더(93)에 의하여 상승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리퍼(95)와 클램프(94)상간의 간격은 이격된 종이(17)의 두께보다 큰 상태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이격된 종이(17)를 삽입시킬 수 있게된다.
이격된 종이(17)에 삽입이 완료되면 실린더(93)가 작동하여 클램프(94)를 하강시킴으로서 하방의 그리퍼(95)와 함께 이격된 종이(17)를 견고하게 잡을 수 있게된다. 이때 승강실린더(41)가 하강하여 이격판(51)을 하강시킨다.
종이(17)를 잡은 그리핑파트(80)는 가이딩수단(81)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고 실린더(93)가 작동하여 클램프(94)를 해제시킴으로서 종이(17)는 테이블(122)위에 안치되고, 연이어 실린더(85)가 작동하여 그리핑유니트(90)를 상승시키킨다.
테이블(122)에 공급된 종이(17)는 테이블(122)의 일측방향(Z)으로 종이를 가지런한 상태로 정리하게 되는데, 이는 종이정리파트(120)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종이(17)가 테이블(122)로 공급되면 베이스(20)에 고정되는 횡프레임(121)에 틸팅결합되어 테이블(122)을 지지하는 브리지(125)를 테이블(122)의 일측방향(Z)로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테이블(122)의 저면에 부착된 진동모터(140)의 작동으로 지속적인 진동이 발생됨으로서 종이(17)가 가지런한 상태로 정리되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122)의 틸팅은 베이스(20)의 횡프레임(121)과 틸팅브라켓(126),브라켓(127) 및 샤프트(128)로 틸팅가능케 결합된 브리지(125)가 횡프레임(121)에 고정되는 틸팅실린더(135)와 연결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틸팅실린더(135)를 신장 시킴으로서 테이블(122)이 일측방향(Z)으로 틸팅된다.
때문에 테이블(122)의 전방과 프론트가이드(150)에 구비되는 정리플레이트(122',156)에 일측방향(Z)의 모서리가 위치하는 양측면이 연접되어 정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리가 완료된 종이(17)는 각각의 종이(17)가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고 정리되는 과정에서 이격되어 각면에 공기등으로 인하여 부풀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를 그리핑파트(80)의 스퀴즈유니트(110)와 프론트가이드(150)에 의하여 공기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정리완료된 종이(17)의 내부에 공기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는;
먼저, 프론트가이드(150)의 클램프테이블(160)을 테이블(122)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하강시켜 종이(17)의 가장자리를 잡아주도록 하고, 그리핑파트(80)를 하강시켜 스퀴즈유니트(110)의 스퀴즈로울러(115)가 종이(17)위를 활주하도록 함으로서 공기를 제거할 수 있게된다.
즉, 프론트가이드(150)의 클램프테이블(160)의 작동은 가이드프레임(155)의 전방에 세워지는 정리플레이트(156)에 고정된 실린더(161)를 작동시켜 클램프테이블(160)이 테이블(12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161)를 작동시킴으로서 클램프테이블(160)이 테이블(12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은, 정리플레이트(156)의 후방에 고정되는 브라켓(157)의 상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블록(158)상에 슬라이더(159)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161)가 작동함으로서 클램프테이블(160)은 자연스럽게 테이블(12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램프프레임의 하방에 설치되어 브라켓(157)과 연결된 실린더(152)를 수축시킴으로서 정리플레이트(156) 및 클램프테이블(160)이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 클램프테이블(160)의 선단부가 종이(17)의 가장자리를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테이블(160)에 의하여 가장자리가 고정된 종이위를 스퀴즈유니트(110)의 스퀴즈로울러(115)가 활주하여 공기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스퀴즈유니트(110)은 서포팅프레임(83)상면에 설치되는 실린더(85)에 의하여 고정프레임(84)의 하강에 의하여 상기 고정프레임(84)의 하방에 구비되는 스퀴즈로울러(115) 및 프론트로울러(113)로에 의하여 종이(17)의 상면에 연접하게 된다.
연접된 스퀴즈로울러(115)는 가이딩수단(81)에 의하여 이격파트(40)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종이(17)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게 되고,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때에는 서포팅프레임(83)의 상면에 설치된 실린더(85)의 작동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후퇴하여 정리된 종이(17)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리되고 공기가 제거된 종이(17)는 재단기의 재단플레이트상으로 이송되는데 이의 작동은 그리핑파트(80)의 스퀴즈유니트(110)와프론트가이드(150)의 협조로 이송되어진다.
이를 살펴보면, 프론트가이드(150)의 클램프테이블(160)을 테이블(122)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실린더(161)가 작동하여 클램프테이블(160)을 테이블(122)의 측방으로 이동시킨다.
클램프테이블(160)의 이동이 완료되면 클램프프레임 하방에 설치된 실린더(151)를 작동시켜 정리플레이트(156)와 클램프테이블(160)을 하강시켜 클램프테이블(160)이 테이블(122)과 재단기의 재단플레이트상간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그리핑유니트(80)를 이격파트(40)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퀴즈유니트(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이젝터플레이트(117)가 정리된 종이(17)의 후방에 까지 위치시킨 후 서포팅프레임(83)에 설치된 실린더(85)를 작동시켜 스퀴즈유니트(110)를 하강시킨다.
스위치이유니트(110)의 하강으로 이젝터플레이트(117)가 정리된 종이(17)의 후방에 위치하면 가이딩수단(81)을 작동시켜 스퀴즈유니트(11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서 정리된 종이(17)는 테이블(122)과 클램프테이블(160)을 거쳐 재단기의 재단플레이트상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연속반복하여 공급되는 종이(17)를 재단하기에 용이하도록 정리하여 재단기로 공급하면 되고, 각 파트의 제어는 별도로 구비되는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재단기의 측방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종이 정리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재단할 종이의 공급과 정리작업을 기계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재단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하고 재단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11)

  1. 재단기의 측방에 설치하여 재단할 종이의 공급과 정리작업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종이정리장치(10)는;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프레임(11)에 하단부가 힌지(12)로 고정되고 실린더(13)에 의하여 의하여 신장과 수축하는 접철형의 링크(14)의 상단부에 힌지(15)로 고정되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일측단부(도면상 우측)에는 정리장치(10)의 측방에 공급되는 파레트(16)상에 적재된 종이(17)를 재단하기에 용이한 양만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격시켜주는 이격파트(40);
    상기 이격파트(40)의 대향위치 베이스(20)상에 구비되어 파레트(16)에서 이격파트(40)에 의하여 이격된 종이(17)를 정리장치(10)상으로 옮기는 그리핑파트(80);
    상기 베이스(20)상에 구비되어 그리핑파트(80)에 의하여 옮겨진 종이(17)를 가지런한 상태로 정리하는 종이정리파트(120);
    상기 그리핑파트(80)의 측하방에 설치되어 정리된 종이(17)의 선단부를 잡아공기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정리된 종이(17)를 재단기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재단기와 테이블(122)상간에서 브리지 역할을 수행하는 프론트가이드(150)로 크게 구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파트(40)는;
    상기 베이스(20)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브라켓(40');
    상기 브라켓(4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단부에 승강판(45)을 고정하는 승강실린더(41)와 가이드바(42);
    상기 승강판(45)의 후방에서 브라켓(46)으로 지지되는 푸싱실린더(47);
    상기 푸싱실린더(47)의 로드(48)는 승강판(45)에 형성된 가이드홈(50)을 따라 승강판(45)의 전,후방향으로 출입하는 이격판(51)의 후단부와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홈(50)에는 이격판(51)의 저면으로 돌출된 가이드블럭(52)이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핑파트(80)는;
    상기 베이스(20)의 좌,우측으로 움직임이 자유로운 가이딩수단(81)에 지지브라켓(82)으로 세워지는 서포팅프레임(83);
    상기 서포팅프레임(83)의 상면에 설치되어 하단부가 고정프레임(84)과 연결되는 실린더(85)와 가이드바(86);
    기 고정프레임(84)의 전방과 하방에는 각각 정리할 종이(17)를 당겨오는 그리핑유니트(90)와 정리한 종이(17)의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공기를 제거하는 스퀴즈유니트(1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정리파트(120)는;
    상기 실린더(13)와 링크(14)에 의하여 승,강하는 베이스(20)의 중앙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프레임(121);
    상기 횡프레임(121)에는 정리할 종이(17)를 공급받아 베이스(20)의 일측방향(Z)으로 종이를 모아서 정리할 수 있도록 정리플레이트(122')를 가지고 구비되는 테이블(122);
    상기 테이블(122)은 사방에 완충수단(124)을 개재시킨 브리지(125)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브리지(125)의 저면의 틸팅브라켓(126)과 횡프레임(121)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브라켓(127)과 샤프트(128)로 틸팅결합하고;
    상기 틸팅브라켓(126)의 후방에 돌출되는 상부조인터(130)에는 횡프레임(121)에 고정되는 브라켓(131)의 하방의 하부조인터(132)에 고정되는 틸팅실린더(135)의 로드(136)와 연결하여 테이블(122)이 일측방향(Z)으로만 기울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가이드(150)은;
    상기 테이블(122)의 저면 측하방에 고정되는 가이드프레임(155);
    상기 가이드프레임(155) 저면 양쪽에 고정되는 실린더브라켓(152);
    상기 가이드프레임(155)의 전방에 세워지는 정리플레이트(156);
    상기 실린더브라켓(152)의 저면에 설치되어 정리플레이트(156)에 고정되는 브라켓(157)과 연결되어 정리플레이트(156)를 승,강시키는 실린더(151);
    상기 브라켓(157)의 상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더블록(158)에 슬라이더(159)로 결합되고, 정리플레이트(156)에 고정되는 실린더(161)와 연결되어 테이블(122)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클램프테이블(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파트(40)의 측방에는 파레트(16)상에 적재된 종이(17)의 양을 감지하여 이격파트(40)가 이격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링크(14)를 접철시키는 실린더(13)를 작동시킬 수 있는 포토센서(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50)은 이격판(51)이 방향전환할 수 있도록 절곡된 홈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핑유니트(90)는;
    상기 고정프레임(84)과 수직으로 설치되는 그리핑프레임(91)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92)와 실린더(93);
    상기 가이드(92)와 실린더(93)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판상의 클램프(94);
    상기 그리핑프레임(9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그리퍼(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유니트(110)는;
    상기 고정프레임(84)에 고정되는 지지블럭(112)상간에 설치되는 프론트로울러(113)와 스퀴즈로울러(115)와;
    상기 지지블럭(112)과 고정프레임(84)에 설치되어 스퀴징시 안전도모와 정리완료된 종이(17)를 재단기의 재단플레이트상으로 밀어주기 위한 수단으로 구비되는 안전판(116)과 이젝터플레이트(11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22)의 저면에는 종이(17)를 정리하는 데 필요한 지속적인 진동발생을 위한 진동모터(14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55)상에는 브라켓(157)과 실린더(161)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나 슬로트(16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KR1019990040333A 1999-09-20 1999-09-20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KR100316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333A KR100316239B1 (ko) 1999-09-20 1999-09-20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333A KR100316239B1 (ko) 1999-09-20 1999-09-20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211A KR20010028211A (ko) 2001-04-06
KR100316239B1 true KR100316239B1 (ko) 2001-12-12

Family

ID=1961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333A KR100316239B1 (ko) 1999-09-20 1999-09-20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890A (ko) * 2001-11-07 2003-05-17 대구중공업주식회사 페이퍼 포지셔너
CN108673581A (zh) * 2018-05-29 2018-10-19 平阳县恒信印业有限公司 一种纸张裁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211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5495B (zh) 一种pcb板自动组装焊接设备
EP0141518A2 (en) Tube handling device
CN115519236B (zh) 一种隧道支护钢拱架用连接板激光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09650071B (zh) 一种液晶屏排插机
KR100316239B1 (ko) 재단기용 종이 정리장치
CN112848354A (zh) 一种用于塑料管焊接的自动装夹装置
CN112124951A (zh) 一种烟框自动折叠组垛设备及折叠组垛方法
CN212126727U (zh) 一种机械手码垛输送线中的快速定位装置
CN210504652U (zh) 一种上下回流输送机
JP5863957B2 (ja) 部品実装機の部品供給ユニットの取付装置
CN116101118A (zh) 重卡换电电池总成的电池包更换机构及其方法
CN112192630A (zh) 一种橡胶密封条裁切上料装置和方法
CN115430779B (zh) 光伏板边框上料夹持机构及冲孔装置
JPH0741196A (ja) 板材供給装置
CN219155784U (zh) 一种检测及移载组件
CN218113261U (zh) 一种撕膜机构
CN212542938U (zh) 一种电源连接器的嵌接机构
CN212374280U (zh) 一种托举装置及工装板输送线
CN216459865U (zh) 一种点胶机上下层轨道结构
CN216548551U (zh) 一种pcb板隔纸收板机
CN213651119U (zh) 一种烟框自动折叠组垛设备
CN213801843U (zh) 一种上料装置
CN217396910U (zh) 抓取机构及地板包装设备
JP3287188B2 (ja) 焼結機パレット取替装置
CN214455041U (zh) 一种自动转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