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397B1 -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397B1
KR100315397B1 KR1019990053689A KR19990053689A KR100315397B1 KR 100315397 B1 KR100315397 B1 KR 100315397B1 KR 1019990053689 A KR1019990053689 A KR 1019990053689A KR 19990053689 A KR19990053689 A KR 19990053689A KR 100315397 B1 KR100315397 B1 KR 100315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ock
sliding
lever
foot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852A (ko
Inventor
허경
Original Assignee
이상은
대부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은, 대부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상은
Priority to KR101999005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397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60N2/1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and provided with memory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차시 리클라이닝 및 슬라이딩 이동된 시트를 한번에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시트(11)를 구성하는 쿠션(12)과 시트백(13)의 힌지점에 결합되는 리클라이닝파트(15)와; 시트레일(16)을 구성하는 로어레일(41)과 어퍼레일(43)에 구비되는 슬라이딩파트(20)로 구성되는 시트 슬라이딩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홀딩플레이트(30) 상단부에는 걸림돌기(50,51)를 형성하여 토셔널스프링(53)을 개재하여 핀(54)으로 고정되어 풋페달(31)에 형성되는 걸림홈(55)에 출입하여 풋페달(31)을 단속하는 메모리로크(52)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레버(36)에 고정되는 와이어고정구(45)의 상단부에는 걸림돌기(70)를 더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70)는 어퍼레일(43)에 고정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80)에 힌지(81)고정되는 작동자(82)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85)에 단속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자(82)의 하단부에는 로울러(90)를 고정하여 복귀되는 시트(11)에 의하여 로어레일(41)에 고정된 로크해제구(77)와 연접으로 상승시켜 걸림돌기(70)를 해제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Sliding system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도어 자동차에 장착되는 운전석 및 조수석시트의 슬라이딩장치를 개선하여 보다 용이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3도어 자동차의 3도어는 운전석과 조수석에 구비되는 프론트도어 및 트렁크와 리어윈도우를 함께 개방시키는 백도어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3도어 자동차는 리어도어가 없기 때문에 프론트도어를 일반적인 세단(4도어나 5도어)보다 크게 만들고, 프론트시트(조수석)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시트의 등받이가 전방으로 리클라이닝 되도록 함으로서 뒷좌석에 승차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3도어 자동차에서 프론트시트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동작으로;
승객이 타거나 내릴 때에는 프론트시트(1)의 측방이나 후방에 구비되는 등받이(2)각도조절용 손잡이레버(3)와 페달(4)을 작동시킴으로서 등받이(2)가 전방으로 리클라이닝 됨과 동시에 시트(1)전체가 시트레일(5)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1)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서 프론트시트(1)와 리어시트(6) 상간의 공간이 확보되어 쉽게 승,하차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론트시트(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 2 동작으로 등받이(2) 상단부에 구비되는 헤드레스트(7)를 밀어 등받이(2)를 초기의 록위치에 둔다.
제 3 동작으로 등받이각도조절용 손잡이레버(3)를 조작하여 착석하기에 용이한 각도로 등받이(2)를 조절한다.
제 4 동작으로 시트(1)하방에 구비되는 트랙레버를 조작하여 시트(1)전체를 시트레일(5)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시트백메모리 기능이 없기 때문에 리어시트 탑승자는 물론 조수석 탑승자가 여러번의 조작과 동작을 가져야 하므로 상당히 불편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3도어 자동차의 조수석은 물론, 운전석에도 이를 적용하여 리어시트 승,하차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싶어도 시트복귀의 번거로움 등의 이유로 적용하고 있는 않은 상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시트의 측방에 구비되는 리클라이닝파트와 시트레일의 저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파트를 개선하여 승,하차시 리클라이닝 및 슬라이딩 이동된 시트를 한번에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고, 복귀위치가 착석하기에 용이한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서 조작의 용이성음 물론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이 적용된 슬라이딩장치에 의한 시트의 슬라이딩 상태를 도시한 자동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슬라이딩장치에 의한 시트의 슬라이딩 상태를 도시한 자동차의 측면도.
도 3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시트 슬라이딩장치가 적용된 시트의 등받이 각도조절부를 발췌한 측면도로서,
도 3은 시트프레임에 리클라이닝플레이트와 섹터기어, 로크기어 및 레버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홀딩플레이트와 로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풋페달 어셈블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와이어레버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리턴스프링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시트 슬라이딩장치가 적용된 시트의 시트레일조절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시트 슬라이딩장치가 적용된 시트의 등받이 각도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 시트
15; 리클라이닝파트
16; 시트레일
20; 슬라이딩파트
24; 섹터기어
27; 로크기어
30; 홀딩플레이트
52; 메모리로크
75; 슬라이딩콘트롤러
76; 로크단속구
77; 로크해제구
82; 작동자
90; 로울러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슬라이딩장치에 의한 시트의 슬라이딩 상태를 도시한 자동차의 측면도, 도 3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시트 슬라이딩장치가 적용된 시트의 등받이 각도조절부를 발췌한 측면도로서, 도 3은 시트프레임에 리클라이닝플레이트와 섹터기어, 로크기어 및 레버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홀딩플레이트와 로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풋페달 어셈블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와이어레버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리턴스프링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시트 슬라이딩장치가 적용된 시트의 시트레일조절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시트 슬라이딩장치가 적용된 시트의 등받이 각도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함께 설명한다.
3도어자동차의 통상적인 시트 슬라이딩장치(10)는;
자동차의 시트(11)를 구성하는 쿠션(12)과 시트백(13)의 힌지점에 결합되어 시트백(13)의 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파트(15)와 상기 리클라이닝파트(15)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시트(11)전체를 시트레일(16)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파트(20)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리클라이닝파트(15)는, 시트레일(16)의 상방에 고정되는 시트프레임(21)의 후단부에 시트백(13)을 고정하는 리클라이닝플레이트(22)가 힌지(23) 고정된다.
상기 리클라이닝플레이트(22)의 내측에는 섹터기어(24)가 고정되어 시트프레임(21)에 고정되는 레버(25)와 연결된 캠(26)에 의하여 섹터기어(24)와 연접, 이탈하는 로크기어(27)가 결합된다.
상기 레버(25)와 리클라이닝플레이트(22)의 외측에는 홀딩플레이트(30)가 결합되고, 홀딩플레이트(30)의 외측에는 리어시트에서 레버(25)를 작동시키기 위한수단인 풋페달(31)과 페달레버(32) 및 복원스프링(33)으로 구성되는 풋페달어셈블리(35)가 결합된다.
상기 풋페달(31)은 힌지(23)상에 결합되고 페달레버(32)는 풋페달(31)과 레버(25)상간에 움직임이 자유롭게 연결되며, 복원스프링(33)은 풋페달(31)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레버(25)와 홀딩플레이트(30)상간을 연결한다.
상기 풋페달어셈블리(35)의 외측에는 시트레일(16)에 설치되는 로크어셈블리(46)를 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딩레버(36)를 와이어(37)로 연결하여 조작하기 위한 와이어레버(38)와 시트백(13)의 원복을 위한 리턴스프링(4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파트(20)는 시트레일(16)을 구성하는 로어레일(41)에 형성된 로크홈(42)에 어퍼레일(43)에 움직임이 자유롭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레버(36)에 고정되는 로크(44)가 출입하여 슬라이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레버(36)의 중도에는 와이어레버(38)와 와이어(37)로 연결할 수 있는 와이어고정구(45)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리어시트로 승차하거나 리어시트에서 하차하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25)와 풋페달(31)을 작동시킴으로서 로크기어(27)가 섹터기어(24)기어로 부터 이탈된다.
그러면, 리턴스프링(40)에 의하여 시트백(13)이 전방으로 폴딩되고, 시트백(13)의 폴딩으로 힌지(23)에 결합된 와이어레버(38)가 당겨지면서 슬라이딩파트(20)의 와이어고정구(45)가 당겨져 로크(44)가 로크홈(42)을 벗어난다.
상기와 같이 시트레일(16)이 해제상태가 되면서 로크(44)가 구비되는 대향위치의 시트레일(16)의 로어레일(41)과 어퍼레일(43)상간을 연결하고 있던 스프링에 의하여 시트(11)전체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클라이닝파트(15)의 슬라이딩파트(20)를 개선하여 폴딩되고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 시트(11)의 복귀를 한 동작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리클라이닝파트(15)의 개선은 홀딩플레이트(30)의 상단부에는 전,후측에 걸림돌기(50,51)를 일체로 가지는 메모리로크(52)를 토셔널스프링(53)을 개재하여 핀(54)으로 고정하여 풋페달(31)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풋페달(31)에는 메모리록크(52)의 걸림돌기(50,51)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홈(55)을 형성한다.
상기 메모리로크(52)는 리클라이닝플레이트(22)의 내측에 섹터기어(24)를 고정하고 리턴스프링(40)의 일측단부가 결합하여 돌출되는 기어핀(57)에 의하여 전,후측이 눌러져 풋페달(31)을 단속하여 결과적으로는 로크기어(27)와 섹터기어(24)의 연접위치를 결정하여 원복되는 시트백(13)을 초기설정 위치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로크(52)의 단속위치는 기어핀(57)의 위치나 메모리로크(52)와 풋페달(31)에 형성되는 걸림돌기(51,52)와 걸림홈(55)의 위치변경에 의하여 시트백(13)의 초기위치설정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파트(20)의 개선은, 어퍼레일(43)에 고정되는 슬라이딩레버(36)에 고정되어 리클라이닝파트(15)의 와이어레버(38)와 와이어(37)로 연결되는 와이어고정구(45)의 상단부에 걸림돌기(70)를 일체로 더 형성한다.
상기 걸림돌기(70)는 와이어고정구(45)의 상방에 위치하여 시트(11)의 슬라이딩 이동을 단속하는 로크(44)의 로킹위치를 제어하는 슬라이딩콘트롤러(7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콘트롤러(75)는, 어퍼레일(43)에 고정되어 와이어고정구를 단속하는 로크단속구(76)와 로어레일(41)에 고정되어 로크단속구(76)를 해제하는 판상의 로크해제구(77)로 구성된다.
상기 로크단속구(76)는 어퍼레일(43)에 고정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80)와 상기 가이드(80)이 후미에 힌지(81)고정되는 작동자(82)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자(82)의 상측에는 걸림돌기(70)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걸림홈(85)을 형성하고, 작동자(80)의 전방에는 가이드(80)와 스프링(86)으로 연결하여 작동자(82)가 항상 가이드(80)와 급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8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작동자(82)의 하단부에는 로울러(90)를 고정하여 복귀되는 시트(11)에 의하여 로크해제구(77)와 연접됨으로서 작동자(82)를 상승시켜 걸림돌기(70)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물론, 상기 로크해제구(77)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서 시트(11)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종래와 같이 리어시트로 승차하거나 리어시트에서 하차하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25)와 풋페달(31)을 작동시킴으로서 로크기어(27)가 섹터기어(24)기어로 부터 이탈된다.
그러면, 리턴스프링(40)에 의하여 시트백(13)이 전방으로 폴딩되고, 시트백(13)의 폴딩으로 힌지(23)에 결합된 와이어레버(38)가 당겨지면서 슬라이딩파트(20)의 와이어고정구(45)가 당겨져 로크(44)가 로크홈(42)을 벗어난다.
상기와 같이 시트레일(16)이 해제상태가 되면서 로크(44)가 구비되는 대향위치의 시트레일(16)의 로어레일(41)과 어퍼레일(43)상간을 연결하고 있던 스프링에 의하여 시트(11)전체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상기 레버(25)와 풋페달(31)의 작동으로 시트백(13)이 폴딩될 때에는 홀딩플레이트(30)에 고정된 메모리로크(52)의 전측 걸림돌기(50)가 폴딩으로 섹터기어(24)를 고정하고 있는 기어핀(57)의 이동으로 기어핀(57)에 의하여 풋페달(31)의 전측에 형성되는 걸림홈(55)에 삽입되어 단속된다.
그리고, 와이어(37)에 의하여 당겨진 와이어고정구(45)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70)는 슬라이딩콘트롤러(75)의 작동자(82)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홈(85)에 삽입되어 걸림됨으로서 로크(44)의 해제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11)가 폴딩되고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승,하를 하면되고, 승,하차가 완료된 후 시트(11)를 원위치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시트(11)의 시트백(13)이나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밀어주면 별도의 추가동작없이 시트(11)가 원래의 위치(초기설정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즉, 시트(11)를 후방으로 밀면 섹터기어(24)와 로크기어(27)가 분리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시트백(13)은 저항없이 원위치 하게 되는데, 이는 메모리로크(52)가 풋페달(31)을 단속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풋페달(31)과 연결된 레버(25) 및 로크기어(27)의 복귀를 차단한 상태이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폴딩된 시트백(13)이 원래의 위치(초기설정위치)로 돌아오면서 기어핀(57)이 메모리로크(52)의 후측부위를 눌러서 풋페달(31)을 해제함으로서 시트백(13)의 움직임은 정지된다.
시트백(13)의 정지로 시트(11)에 가하여지는 힘은 시트레일(16)로 전달되어 로크(44)가 해제된 상태에 있는 어퍼레일(43)을 로어레일(41)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어레일(41)에 고정된 로크해제구(77)가 로크단속구(76)위치로 근접하고, 로크단속구(76)의 작동자(82) 하단부에 고정된 로울러(90)와 연접함으로서 작동자(82)를 밀어올리게 된다.
그러면, 작동자(82)의 걸림홈(85)에 삽입되어 걸림되어 있던 와이어고정구(45)의 걸림돌기(70)가 벗어나게 됨으로서 슬라이딩레버(36)에 개재되는 복원스프링에 의하여 로크(44)가 로크홈(42)에 결합됨으로서 초기에 설정된 위치에서 시트(11)의 슬라이딩이 멈춰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시트의 측방에 구비되는 리클라이닝파트와 시트레일의 저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파트를 개선하여 승,하차시 리클라이닝 및 슬라이딩이동된 시트를 한번에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고, 복귀위치가 착석하기에 용이한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서 조작의 용이성음 물론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자동차의 시트(11)를 구성하는 쿠션(12)과 시트백(13)의 힌지점에 결합되어 시트백(13)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트프레임(21), 리클라이닝플레이트(22), 섹터기어(24), 레버(25), 캠(26), 로크기어(27), 홀딩플레이트(30), 풋페달(31)과 페달레버(32) 및 복원스프링(33)으로 구성되는 풋페달어셈블리(35), 와이어레버(38)와 리턴스프링(40)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리클라이닝파트(15)와;
    시트레일(16)을 구성하는 로어레일(41)에 형성된 로크홈(42)과 어퍼레일(43)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레버(36)에 고정되는 로크(44), 슬라이딩레버(36)의 중도에 구비되는 와이어고정구(45)로 구성되는 슬라이딩파트(20)로 구성되는 3도어자동차의 통상적인 시트 슬라이딩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홀딩플레이트(30) 상단부에는 걸림돌기(50,51)를 형성하여 토셔널스프링(53)을 개재하여 핀(54)으로 고정되어 풋페달(31)에 형성되는 걸림홈(55)에 출입하여 풋페달(31)을 단속하는 메모리로크(52)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레버(36)에 고정되는 와이어고정구(45)의 상단부에는 걸림돌기(70)를 더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70)는 어퍼레일(43)에 고정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80)에 힌지(81)고정되는 작동자(82)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85)에 단속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자(82)의 하단부에는 로울러(90)를 고정하여 복귀되는 시트(11)에의하여 로어레일(41)에 고정된 로크해제구(77)와 연접으로 상승시켜 걸림돌기(70)를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로크(52)는 섹터기어(24)를 고정하는 기어핀(57)의 누름에 의하여 풋페달(31)의 단속과 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로크(52)의 단속위치는 기어핀(57)의 위치나 메모리로크(52)와 풋페달(31)에 형성되는 걸림돌기(51,52)와 걸림홈(55)의 위치변경에 의하여 시트백(13)의 초기위치설정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해제구(77)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서 시트(11)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
KR1019990053689A 1999-11-30 1999-11-30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 KR100315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689A KR100315397B1 (ko) 1999-11-30 1999-11-30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689A KR100315397B1 (ko) 1999-11-30 1999-11-30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852A KR20010048852A (ko) 2001-06-15
KR100315397B1 true KR100315397B1 (ko) 2001-11-29

Family

ID=1962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689A KR100315397B1 (ko) 1999-11-30 1999-11-30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745B1 (ko) * 2001-10-15 2004-08-0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리무벌시트의 로크해제장치
KR100455044B1 (ko) * 2001-10-15 2004-11-15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6446U (ko) * 1985-09-30 1987-04-08
KR19990060957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의 자동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6446U (ko) * 1985-09-30 1987-04-08
KR19990060957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의 자동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852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1952B1 (en) Automobile seat
US4711494A (en) Foldable headrest for vehicle rear seat
US5407165A (en) Inner memory slide for adjusting a vehicle seat, the inner memory cooperating with the fixed profile member of the slide
KR100442746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의 로킹시스템
KR101422407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500211B1 (ko)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US20050248197A1 (en) Sea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seat
JPS5826818Y2 (ja) 車輌用シ−トにおけるニユ−トラルメモリ−付ウオ−クイン機構
KR101774793B1 (ko)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US20040051361A1 (en) Motor vehicle seat
KR1012631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JP4054886B2 (ja) 自動車シート
JP4712036B2 (ja) 自動車用座席
WO1999041100A1 (en) Vehicle seat with linear reclining mechanism and an easy entry latch with memory
KR100315397B1 (ko)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
KR10159871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JP4047048B2 (ja) シート
KR20150063694A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JP2594897Y2 (ja) シートトラック装置
KR100764702B1 (ko) 시트의 펌핑 및 리클라이닝 공용 레버 장치
KR101337941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1600715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시트레일
CN116761740A (zh) 具有易入机构的交通工具座椅
JPH0545541Y2 (ko)
JPS63462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