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302B1 - 차량용 인체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체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302B1
KR100314302B1 KR1019990046376A KR19990046376A KR100314302B1 KR 100314302 B1 KR100314302 B1 KR 100314302B1 KR 1019990046376 A KR1019990046376 A KR 1019990046376A KR 19990046376 A KR19990046376 A KR 19990046376A KR 100314302 B1 KR100314302 B1 KR 100314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ixed
paper tube
support memb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415A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filed Critical 이성호
Priority to KR1019990046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3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ro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5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reusable, e.g. in case of multiple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일반인이 장착하기 쉽고 재사용이 가능한 차량의 인체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차량 천장의 양측에 부착 고정되며 후방 차량의 내측에 일방향 기어체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방향 기어체크에 일단이 연결 지지되는 조작지관과, 상기 조작지관의 타단에 고정파이프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고무튜브와, 상기 지지부재 타단과 상기 고무튜브 사이에 구비되며 전방에는 공기유입구가 그 내측에는 공기차단막이 형성되는 공기주머니와, 상기 지지부재와 조작지관과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보호막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조작지관이 탈락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부재와; 차량의 축전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 부착되는 폭발부재와; 그리고, 차량의 범퍼에 내재 설치되고 상기 폭발부재에 연결된 축전지의 전원을 차단 및 인가하는 충돌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인체보호장치 {A person protect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인체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용차 또는 승합차의 앞좌석에 앉게 되는 운전자 등을 차량이 충돌할 때에 보호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한 차량용 인체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인체보호장치로는 안전벨트, 에어백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벨트는 차량 충돌시 운전자의 목과 허리 부분이 노출되기 때문에 큰 충격으로부터 이들 부위를 보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특히 안전벨트를 착용할 때 허리, 가슴, 어깨 등을 압박하여 갑갑해지므로 위험을 무릅쓰고 착용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 실정이다.
에어백의 경우에는 제품 자체가 고가이고 전문가에 의해서만 장착이 가능하므로 일회 사용 후 재사용이 불투명하며, 또한 차량의 충돌할 때에 인체가 옆으로 밀려 나갈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구나 쉽게 장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비용이 저렴하고 정면뿐만 아니라 차량의 측면으로부터도 어느 정도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인체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인체보호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체보호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체보호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제1조작지관과 제2조작지관의 연결 상태도.도 5는 도 4에서의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천장 2 : 범퍼
4 : 축전지 6 : 감지센서
8, 8a, 9 : 전선 10 : 인체보호장치
11, 11a : 지지부재 112 : 지지대
114 : 일방향 체크기어 12 : 제 1 조작지관
122 : 가이드 홈 124, 128 : 스프링
13 : 제 2 조작지관 13a : 고정지지파이프132 : 가이드 탭 14 : 고무튜브15 : 공기주머니 152 : 공기유통구154 : 공기차단막 16, 16a : 측면 보호막17 : 고정부재 18 : 고정 탭19 : 폭발부재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인체보호장치는, 차량 천장의 양측에 부착 고정되며 후방 일단에 일방향 기어체크가 차량 내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방향 기어체크에 일단이 연결 지지되는 조작지관과, 상기 조작지관의 타단에 고정지지파이프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고무튜브와, 상기 지지부재 타단과 상기 고무튜브 사이에 구비되며 전방에는 공기유입구가 그 내측에는 공기차단막이 형성되는 공기주머니와, 상기 지지부재와 조작지관과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보호막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조작지관이 탈락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부재와; 차량의 축전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 부착되는 폭발부재와; 그리고, 차량의 범퍼에 내재 설치되고 상기 폭발부재에 연결된 축전지의 전원을 차단 및 인가하는 충돌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조작지관의 하향을 돕기 위한 부재를 더 설치할 수 있는데, 이로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이 적합하며, 또한 상기 조작지관은 하향할 때에 길이가 늘어날 수 있도록 두 개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인체보호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인체보호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체보호장치(10)는 차량의 축전지(4)와 범퍼(2)에 부착되는 감지센서(6)에 소정의 전선(8)(8a)(9)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을 전면 범퍼(2)에 설치된 감지센서(6)가 감지하면 전선(8)(8a)이 연결되어 인체보호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도 2는 인체보호장치의 설치상태도 이고, 도 3은 인체보호장치의 작동상태도 이며, 도 4는 제1조작지관과 제2조작지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제 2조작지관과 고정지지파이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의 천장(1)에 인체보호장치(10)가 설치된다. 인체보호장치는 한 쌍의 지지부재, 차량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조작지관들과, 고무튜브, 공기주머니, 측면 보호막, 고정부재, 폭발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1)(11a)는 한 쌍으로 차량의 천장이 부착 고정되는데, 소정의 지지대(112)가 보강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일방향 기어체크(1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지관(12)(13)은 차량 내측에 위치한 지지부재(11)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기어체크(114)에 일단이 설치 연결된 제1조작지관(12)은 파이프 형태이고, 그 타단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가이드 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조작지관(12)의 타단측에는 제2조작지관(13)이 삽입 설치되는데, 제 2 조작지관의 삽입된 일단에는 제1조작지관(12)의 단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134)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스프링(134)은 제2조작지관(13)을 제1조작지관(12)으로부터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제2조작지관(13)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조작지관에 형성된 가이드 홈(122)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탭(132)이 설치되고, 그 타단에는 원통형의 고무튜브(14) 안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지지파이프(13a)가 제2조작지관(13)과 연설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조작지관(12)에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향을 신속하게 하기 위한 부재로서 스프링(12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머니(15)는 차량의 전방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11)(11a)의 타단과 상기 고무튜브(14) 사이에 구비되는데, 그 전방의 한 쪽에는 공기유입구(152)가 뚫려있고, 그 내측에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커버하는 공기차단막(154)이 설치된다. 이 공기주머니(15)는 도면에서 자바라 형태로 나타냈다.
또한, 측면 보호막(16)(16a)이 상기 지지부재(11)(11a)와 고무튜브(14)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것은 상기 공기주머니(15)와 연계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11)(11a)의 일단에는 상기 제1조작지관(12)(미도시)이 탈락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부재(17)(미도시)가 각각 설치되고, 또 제2조작지관(13)이 제1조작지관(12)으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탭(18)이 설치된다. 이 고정탭(18)은 곧바로 차량의 천장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17)에는 차량의 축전지에 연결된 소정의 폭발부재(19)가 설치된다. 이 폭발부재(19)는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폭죽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인체보호장치는 차량의 천장에 지지부재(11)(11a)를 고정시키고, 차량의 내측에 일방향 기어책크(114)에 제1조작지관(12)를 연결하여 설치한다. 일방향 기어책크(114)에 의해 제1조작지관(12)은 밑으로 내려만 오고, 올라가는 것은 특별한 조작에 의해 가능해진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시에 제1조작지관(12)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차량의 충돌하면 범퍼(2) 내부에 설치된 충격 감지센서(6)가 이를 감지하고 축전지(4)의 전원을 폭발부재(19)에 인가하게 되고, 이 부재의 폭발에 의해 고정부재(17)에 끼워져 고정된 제1조작지관(12)을 아래로 밀어내게 되고 그 힘과 중력, 고무튜브(14)의 무게 그리고 스프링(124)의 작동에 의해 제1조작지관(12)은 신속히 하향한다. 이때에 스프링(134)이 동시에 작동하여 제1조작지관(12)으로부터 제2조작지관(13)을 밀어낸다.
상기 제 2 조작지관(13)은 인체의 보다 많은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한 것인데, 이것은 가이드 홈(122)와 가이드 탭(132)의 작용에 의해 운전대에 걸치지 않을 정도로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제 1 조작지관(12)이 하향하면서 고무튜브(14)가 운전자 등 탑승자의 팔을 밑으로 쳐내려 보다 많은 인체를 공기주머니(15) 속으로 유도하게 된다.
제 1 조작지관(12)이 하향함에 따라 공기주머니(15)가 펴지면서 공기유통구(152)를 통해 공기가 주머니 속으로 유입되며, 인체의 충격에 의해 주머니내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내부 공기가 공기유통구(152)를 통해 빠져나가는 현상은 공기유통구 바로 안쪽에 부착된 공기차단막(154)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보호막(16)(16a)은 공기주머니(15)에 인체가 튕겨져 나가면서 장치를 이탈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보다 더 탑승자나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이 측면 보호막(16)(16a)이 측면부를 완전히 덮지 않은 이유는 본 발명의 하향시 탑승자의 어깨 등에 이 측면 보호막이 걸려 정상 동작이 어려운 경우가 있어서, 그 일부만 측면 보호막으로 설치된 것이다.
한편, 한 번 사용한 장치는 폭발부재를 교체함으로서 재 사용될 수 있으며,이 때 제2조작지관(13)을 제1조작지관(12) 속으로 밀어 넣으면서 위로 밀어 올려 제1조작지관은 고정부재에 끼워 넣고 동시에 제2조작지관(13) 단부의 고무튜브(14)를 고정 탭(18)에 끼워 넣으면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환원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인체보호장치는 누구나 장착 및 해체가 가능하고, 또한 폭발부재의 재 설치에 의해 재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비교적 저렴하여 누구나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차량 천장의 양측에 부착 고정되며 후방 일단에 일방향 기어체크가 차량 내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1,11a)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방향 기어체크(114)에 일단이 연결 지지되는 조작지관(12,13)과, 상기 조작지관의 타단에 걸쳐 연결 고정되는 고무튜브(14)와, 상기 지지부재 타단과 상기 고무튜브 사이에 구비되며 전방에는 공기유입구가 그 내측에는 공기차단막이 형성되는 공기주머니(15)와, 상기 지지부재와 조작지관과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보호막(16,16a)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조작지관이 탈락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부재(17)와; 차량의 축전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 부착되는 폭발부재(19)와; 그리고, 차량의 범퍼(2)에 내재 설치되고 상기 폭발부재에 연결된 축전지(4)의 전원을 차단 및 인가하는 충돌 감지센서(6)를 포함하는 차량용 인체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지관(12,13)의 하향을 돕기 위한 스프링(124)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체보호장치.
KR1019990046376A 1999-10-25 1999-10-25 차량용 인체보호장치 KR100314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376A KR100314302B1 (ko) 1999-10-25 1999-10-25 차량용 인체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376A KR100314302B1 (ko) 1999-10-25 1999-10-25 차량용 인체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415A KR20010038415A (ko) 2001-05-15
KR100314302B1 true KR100314302B1 (ko) 2001-11-15

Family

ID=1961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376A KR100314302B1 (ko) 1999-10-25 1999-10-25 차량용 인체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3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415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588919A (en) Inflatable protectors for example for motor cyclists
KR100314302B1 (ko) 차량용 인체보호장치
KR100489986B1 (ko)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자동차용 안전시트
RU224464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ыш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людей, находящихся внут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0254575A (zh) 一种自带安全气囊的摩托坐垫
KR100806592B1 (ko)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CN214028543U (zh) 用于车辆的行人安全气囊装置
KR200144252Y1 (ko) 에어백을 이용한 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
KR19990038172U (ko) 에어백이 내장된 어린이용 자동차 보조좌석
KR100196173B1 (ko) 자동차의 시트 에어백
KR100348571B1 (ko) 크래쉬 패드의 충격 완화 장치
KR20090050243A (ko) 하우징리스 타입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239762B1 (ko) 자동차 측면충돌 보호용 안전장치
JP2004161229A (ja) 車両破損防止用<スーパー>エアバッグ
KR200302838Y1 (ko)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자동차용 안전시트
KR0114406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KR100197240B1 (ko) 승용차 사고시 뒷좌석 보호장치
KR100410844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Buede The air bag system: What went wrong with the systems engineering?
KR200196308Y1 (ko) 비상용 튜브가 내장된 헤드레스트
KR200269585Y1 (ko) 팽창각도조절 에어백
KR101326941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KR200193453Y1 (ko) 조수석용 에어 백 하우징
KR19980046773U (ko) 포장용 비닐이 부착된 에어 백
KR20020047407A (ko) 자동차용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