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978B1 - 문자방송신호기록및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문자방송신호기록및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978B1
KR100313978B1 KR1019940002396A KR19940002396A KR100313978B1 KR 100313978 B1 KR100313978 B1 KR 100313978B1 KR 1019940002396 A KR1019940002396 A KR 1019940002396A KR 19940002396 A KR19940002396 A KR 19940002396A KR 100313978 B1 KR100313978 B1 KR 100313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recording
character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2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293A (ko
Inventor
오구로마사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4002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3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H04N9/8238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f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H04N5/9208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involving the use of sub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5Regeneration of digital synchronis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H04N5/920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f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22Regeneration of a colour reference signal, e.g. the colour synchronisaton burst signal, the chrominance signal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자기테이프 상의 디지탈 비디오신호와 함께 문자방송 신호를 기록하며, 상기 문자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비디오 신호에서 추출되어 상기 자기테이프상의 각 기록 트랙에서 비디오 신호 기록 영역의 보조 데이타 영역의 2 진 데이타 형태로 기록된다.

Description

문자방송 신호 기록 및 재생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방송 신호(telelext signal) 기록 및 재생장 치를 구현하는 디지탈 VTR 에 의해 자기테이프상에 형성된 기록 트랙의 신호 기록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 2 도는 제 1 도의 기록 트랙의 비디오 신호 영역의 버퍼링 유니트(buffering unit) 및 동기 블록 기록 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 3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버퍼링 유니트중 하나의 동기 블록 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 4 도는 두개의 기록 트랙의 버퍼링 유니트 및 동기 블록의 문자방송 데이타를 기록하는 보조 데이타 영역의 이용을 도시한 도면.
제 4a 도는 두개의 기록 트랙의 버퍼링 유니트 및 동기 블록의 보조 데이타 영역내에 문자방송 데이타가 기억된 다른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 5 도는 일본 문자방송 포맷에 따른 방송 텔레비젼 신호의 수직 블랭킹 주기의 수평 라인내의 문자방송 신호의 삽입을 도시한 파형도.
제 6a 도는(적합한 대형 스케일을 이용하도록 2 장의 도면상에 6a-I 과 6a-II로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문자 방송 데이타와 관련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회로의 개략 블록도.
제 6b 도는(적합한 대형 스케일을 이용하도록 2 장의 도면상에 6b-I 과 6B-II로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비디오 데이타로서 재생 문자방송 데이타를 멀티플렉스 하고 기록된 문자방송 데이타의 재생 처리를 실행 하는 회로의 개략 블록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방송 데이타로서 기록될 라인 ID 바이트의 포맷을 예시한 도면.
제 8 도는 방송 텔레비젼 신호의 한 프레임을 기록하기 위해 이용된 10 트랙중에서 문자방송 정보의 라인을 본 발명에 따라서 분배하고, 일본 문자방송 표준에 따라서 방송을 분배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 8a-8c 도는 방송 텔레비젼 신호의 한 프레임을 기록하기 위해 이용된 10트랙에 기록된 문자방송 데이타 프레임의 다른 방식을 개략 도시한 도면.
제 9 도는 "A" 기록 헤드를 클로깅(c1ogging)함으로 인한 드롭 아웃(drop-out)의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록된 문자방송 정보의 라인과 관련한 효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 10 도는 "B" 기록 헤드를 클로깅하므로서 초래된 드롭 아웃의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록된 문자방송 정보의 라인과 관련한 효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 11 도는 "사이드 스크래치(side scratches)"로 인한 드롭 아웃의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록된 문자 방송 데이타의 라인과 관련한 효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 12 도는 기록 트랙의 비디오 영역내의 버퍼링 유니트의 제 2 도와 유사하지만 문자방송 정보가 영상 데이타로서 산재되게 기록된 위치를 예시한 도면.
제 13 도는 U.K,/German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이 기록되는 12 트랙중에서 U.K. 및 German 문자방송 포맷에 따른 방송 신호내에서 제공되는 문자 방송 정보의 라인 분배 방식을 도시한 도면.
제 14 도는 북아메리카 포맷의 문자방송 정보 방송의 기록에 일본 문자방송정보용 기록 포맷을 적용한 방식 및 프랑스 포맷에 따라 문자방송 정보 방송의 기록에 U.K 및 German 포맷에서 문자방송 정보용 기록 포맷을 적용한 방식을 예시한 도면.
제 15 도는 문자방송 정보의 기록을 위한 2 트랙의 버퍼링 유니트내의 동기 블록의 이용을 예시한 도면으로 제 4 도와 유사하지만, 동기 블록의 보조 영역이 유럽 문자방송 시스템의 확장 버젼에 어떻게 이용되는가를 도시한 도면.
제 16 도는 일본 문자방송 시스템에 따른 한 수평 라인 에서 문자방송 정보 방송되는 포맷을 예시한 도면.
제 1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방송 정보 기록 장치의 일실시예에 사용된 데이타 팩 구조를 개략 예시한 도면.
제 1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방송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를 구현하는 디지탈 VTR 의 기록 시스템의 일반화 블록도.
제 1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방송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를 구현하는 디지탈 VTR 의 재생 시스템의 일반화 블록도.
제 20 도는 제 18 도 및 제 19 도에 도시된 디지탈 VTR 의 부분인 회전 헤드럼을 도시한 도면.
제 21 도는 제 18∼20 도의 디지탈 VTR 에 의해 자기테이프상에 형성된 기록 트랙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카운터 클리어 펄스 발생 회로 4 : 라인 카운터
5 : 디코더 6 : 라인 번호 발생 회로
7 : 페데스탈 레벨 클램핑 회로 8 : 비교기
9 : S/P 변환 회로 11 : 버스트
ACC : 회로 12 : PLL 회로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와 함께 문자방송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방송 텔레비젼 신호에 따라 멀티플렉스된 문자 방송 데이타를 방송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자 방송 데이타는 뉴스, 기상예보, 교통정보, 퀴즈 프로그램, 방송 비디오 화상에서 이중인화될 문자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문자를 나타낼 수 있다. 더우기, 1985 년말 이래 방송 텔레비젼 신호에 따라 멀티플렉스된 문자외에 그래픽 패턴 및/또는 추가 오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방송 데이타를 방송하는 것이 알려져 왔다. 문자방송 데이타는 또한 비트 맵식(bit-mapped) 그래픽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한다.
문자방송 시스템들은 북아메리카(NABTS 시스템), 영국 및 프랑스에서 운영중인데, 각 시스템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문자방송 시스템은 또한 일본에서 운영중이지만, 그 일본 시스템은 음성 및 일본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방송 코드를 방송할 수 있는 반면, 상기 다른 시스템은 그렇지 못한 점에서 양자는 차이가 있다. 용어 "문자 혹은 문자방송(telelext)"은 원래 북아메리카, 영국 및 프랑스 시스템과 관련하여 쓰기 시작했는데, 이들 시스템들은 26-문자 알파벳에서 텍스트를 전송할 목적으로 개시됐지만, 상기 모든 문자방송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같은 바, 본원에서는 "문자방송(teletext broadcasting)"시스템으로 집약적으로 참조된다.
문자방송 신호가 텔레비젼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문자방송 신호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수직블랭킹 주기에서 멀티플렉스된다. 현재 일본 시스템에 있어서, 문자방송 신호는 각 프레임의 8 라인 즉, 14, 15, 16, 21, 277, 278, 279 및 284 라인에 포함된다. 현재의 표준에 따르면, 최대 16 라인(라인 10-16, 21, 273-279 및 284)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립국가의 문자방송 표준에 따르면, 최대 32 라인이 문자 방송 신호용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라인 7-22 및 320-335) 실제에 있어서, 각각의 방송국은 문자방송 신호용으로 상기 라인중 다른 하나를 사용하며, VPS 신호, 테스트 신호 또는 그와 유사한 신호용으로 상기 라인중 나머지 들을 이용한다.
제 16 도는 문자방송 정보가 일본 문자방송 시스템에 따른 비디오 라인에 제공되는 포맷을 도시하는데, 도시한 바와같이, 문자방송 신호는 라인당 296 2 진 비트로 구성되며, "0" 값은 기초 레벨로서 표시되며, "1" 값은 70% 의 화이트 레벨로서 표시된다. 각 라인의 디지탈 신호는 동기화 부분 및 데이타 부분을 포함한다. 동기화 부분은 비트 동기화용으로 제공되는 비트 동기화 코드(클록 런인(clock Run-ln) 즉 "CR"로서 알려짐) 및 바이트 동기화용으로 제공되는 바이트 동기화 코드(프래밍 코드(Framing Code)즉, "FC"로서 알려짐)를 포함한다.
데이타 부분은 프리픽스("PFX"), 정보 데이타, 및 체크 코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픽스는 데이타가 비트 맵식 즉 "패턴" 시스템하에서 제공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8-비트 서비스 식별 코드("SI/IN")와 데이타 부분의 전송 관련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6-비트 패킷 제어부("PC")로 이루어진다. 프리픽스는 176 비트(즉, 22 바이트)의 정보 데이타에 앞서며 82 비트가 체크코드로서 추가된다. 북아메리카, 영국 및 프랑스 문자방송 시스템은 위에서 기술한 일본 문자방송 시스템과 개념적으로 동일하지만, 몇가지 면에서 다르다.
단일 문자방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거의 몇 킬로바이트의 데이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최대 176 비트가 라인당 전송되며, 한 채널을 통해서 수십의 프로그램이 전송되기 때문에, 각각의 문자방송 프로그램은 약 20 내지 30 초 간격으로 전송된다.
현재 활용가능한 문자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문자방송 정보는 문자방송 튜너나 문자방송 수신 능력을 가진 텔레비젼 수상기로 볼 수 있는데, 그중 어느 것이나 문자방송 데이타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디코드한다.
디코드형 문자방송 정보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에 기록 될 수 있을지라도, 디코드되지 않은 원시 문자방송 데이타는 텔레비젼 방송 신호의 문자방송 데이타의 높은 클록 속도(5.7Mhz 에서 6.9Mhz) 때문에, 통상의 아날로그 VTR 로는 기록될 수 없다.
전술한 바와같이, 문자방송 정보는 정보가 현재의 가정용 아날로그 VTR 또는 그와 유사한 장치로 방송되는 형태로 기록될 수 없다. 반면, 문자방송 정보를 디코드 및 기록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문자방송 디코더 IC, 대용량 메모리, 간지 ROM(Kanji ROM), 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장치가 VTR 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나, 특히 가정용 VTR 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부품에 필요시되는 공간 및 비용의 증가가 중요하게 대두된다.
이러한 가정용 VTR 의 비용이 대량 생산 등으로 감소 될 수 있을지라도, VTR이 거의 20 내지 30 초 동안 대기 모드에 위치하고 하나의 문자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난점이 있다. 따라서, 문자방송 정보가 기록되는 시 주기동안, VTR 은 정지 모드에 있어야 하며, 사전에 수신된 정보는 2 시간동안 기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통상의 20 내지 30 초 문자방송 프로그램 주기는 단지 평균 번호이며, 몇가지 경우의 약 2 초에서부터 다른 경우의 최대 30 초까지 변하는 실질적인 변동을 받는다.
더우기, 50Hz 또는 60Hz 인 비디오 및 오디오용 표준 기록 속도와 20 내지 30 초당 하나인 디코드식 문자방송 프로그램용 기록 속도사이에 동기화가 완전히 빠진다. 이 결과 두 기록 속도 사이의 상관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전술한 환경에 따라, 한 기록 트랙상의 각각의 영역에서 비디오, 오디오 및 문자방송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생각할 때, 한편으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중 어느하나 또는 다른 한편으로 문자방송 정보가 우선 순위가 주어져야 한다. 그러나, 비디오 및 오디오 기록이 우선 순위가 주어지면, 문자방송 기록 영역이 좌측 블랭크로 되는 것이 가능한 반면, 문자방송 정보의 기록이 강화되면, 비디오 및 오디오 영역이 좌측 블랭크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문자방송 정보를 기록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문자방송 정보를 디코딩하고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의 형태로 상기 문자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 방법은 문자방송 정보와 동시에 부속 텔레비젼 프로그램방송이 기록되지 않는 결점을 내포한다.
오디오 신호 기록이 자기 테이프 카세트상의 아나로그 기록으로부터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기록으로 발전할 때, 8mm 및 VHS 포맷등의 아날로그 비디오 테이프 기록 포맷이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기록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 제안 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기록에 이용되는 13.5MHz 의 기초적인 샘플링 속도를 이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는 멀티플렉스식 문자방송 정보 방송들 위해 이용되는 클록 속도와 편리하게 조화된다. 단일 트랙에서 함께 비디오 오디오 및 언디코드 문자방송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아날로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로 문자방송 정보를 기록함에 있어서 직면하는 상술한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문자방송 데이타가 방송되는 형식과 동일하게 그 문자방송 데이타를 디코딩하지 않고 레코딩하므로써, 레코더의 제조 비용에 있어서 증가 및 문자방송 데이타 기록에 이용되는 테이프 트랙 영역의 정도가 디코드식 문자방송 데이타가 기록되는 시스템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비-디코드식 문자방송 데이타에 의해 점유되는 비교적 작은 테이프 트랙 때문에, 문자방송 데이타가 문자방송 텔레비젼 수상기에 의해 디코드되는 제품 공급이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된다.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기록의 중요한 장점은 동일한 13.5Mhz 샘플링 주파수가 60Hz 및 50Hz 텔레비젼 신호 포맷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가 60Hz 또는 50Hz 포맷에서의 기록을 위해 이용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종래의 아나로그 VTR 과 다르게, 동일한 회전 속도의 회전 자기 헤드 드럼이 사용될 수 있다.
60Hz 포맷의 디지탈 기록이 프레임당 10 트랙, 50Hz 의 포맷의 디지탈 기록이 프레임당 12 트랙을 필요로 할지라도, 트랙 피치, 트랙폭 등의 다른 파라미터에도 불구하고 프레임당 다른 디지탈 기록을 위해 상기 테이프 길이는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디지탈 VTR 에서 제공되어질 텔레비젼 튜닝 회로는 DVTR 이 사용되는 나라에 따라 다르며, 문자방송 기록을 조정하는 기술 또한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자. 또한 서로 다른 테이프 기록 포맷은 60Hz 및 50Hz 포맷에서의 신호 기록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이해하자. 그러나, 미국등의 한 나라에서 60Hz 포맷에서 기록된 테이프는 또한 60Hz 포맷을 이용하는 일본등의 다른 나라에서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60Hz 및 50Hz 텔레비젼 신호 포맷에 각각 대응하는 두개의 상이한 문자방송 기록 포맷만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하의 표 1 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라미터를 가지는 일본, 북아메리카(NABTS) U.K 및 프랑스의 4 개의 다른 문자방송 포맷이 현재 사용되고 있음을 주목하자.
[표 1]
문자방송 기록 시스템은 예를들면 현재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레임당 8라인 이상을 사용하여 문자방송 데이타 방송의 향후 확장을 조화시키도록 충분히 유연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상의 문자방송 정보 기록과 상기 테이프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다른 고려는 테이프가 원래 속하는 "드롭 아웃(drop outs)"을 다루는 것이다. 몇가지 에러 수정 능력이 체크 코드 등으로 제공될 수 있을지라도, 드롭 아웃 등으로 인한 버스트 에러(burst error)의 가능성에 대한 공간적인 주목을 하는 것이 또한 필요 하다. 문자 정보가 알파벳 문자 등을 나타낼 때, 데이타 손실의 위험이 크지만, 표의 문자등의 일본 문자가 데이타로 표시되는 경우, 표의 문자 데이타의 단일 워드의 손실만으로도 일본 문자를 회복하는 것이 불가능 하게 된다.
또한, 가정용 VTR 이 필요한 테이프의 길이를 보존 하도록 데이타 압축 기술을 확실히 사용하기 때문에, 압축 기술이 진보되어서, 예를들면, 10 트랙을 사용하여 현재 기록 될 수 있는 데이타 프레임은 앞으로는 5 트랙만을 사용하여서 기록될 수 있는 것이 예견된다. 따라서, 압축 기술에 있어서, 앞으로의 개선을 조화시키도록 문자방송 데이타 기록 포맷이 충분히 유연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디코딩 없이 즉, 문자방송 데이타가 방송되는 동일한 형식으로 문자방송 데이타를 기록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60Hz 및 50Hz 텔레비젼 방송 포맷에 각각 대응하는 두개의 문자방송 기록 포맷을 제공하여서, 현재 폭넓게 사용되는 4 가지의 문자방송 포맷 각각이 두가지의 문자방송 포맷중 하나 또는 나머지를 이용하여 기록 될 수 있는데 있으며, 제 3 의 목적은 문자방송 포맷의 앞으로의 확장 및 비디오 데이타의 프레임당 필요한 테이프 트랙수가 반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비디오 데이타 압축에 있어서의 미래의 개선을 조화시키도록 충분히 유연성이 있는 포맷으로 방송 문자방송 데이타를 기록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제 4 의 목적은 테이프면상의 헤드 클록(clog) 또는 측로 스크래치로 인한 드롭 아웃에 고도의 내성을 가지는 문자방송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비디오 부분과 그 비디오 부분으로 멀티플렉스 된 패션으로 전송된 문자방송 데이타 신호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기록 매체상의 디지탈 비디오 데이타로서 수신된 방송 신호의 비디오 부분을 기록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 수단, 2 진 데이타 비트로 이루어진 추출 문자방송 데이타를 제공하도록 수신된 방송 신호에서 문자방송 데이타 신호를 추출하는 수단 및 기록 매체상의 추출 문자방송 데이타의 2 진 비트를 기록하는 문자 방송 데이타 기록수단을 포함하는 문자방송 신호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방송 신호의 비디오 부분을 가지고 전송된 문자방송 데이타 신호는 기록 매체상에 기록되지 않는 비트 동기화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방송 신호의 비디오 부분을 가지고 전송된 문자방송 데이타 신호는 바이트 동기화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문자방송 데이타 신호에 포함된 바이트 동기화 코드를 검출하는 수단, 검출된 바이트 동기화 코드를 기본으로 나라 식별 번호를 발생하는 수단, 방송 텔레비젼 신호에 응답하여 라인 번호 및 필드 번호를 발생하는 수단, 추출 문자방송 데이타의 2 진 데이타 비트와 함께 기록매체상의 나라 식별 번호, 라인 번호, 및 필드 번호를 기록하는 순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바이트 동기화 코드는 기록매체 상에 기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르면, 기록매체는 자기테이프 이며, 비디오 신호 기록 수단 및 문자방송 데이타 기록 수단은 디지탈 비디오 데이타와 상기 추출 문자방송 데이타의 2 진 데이타 비트가 기록되는 복수의 기록 트랙을 형성하도록 자기 테이프를 스캔하는 복수의 회전 자기 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 따르면, 추출된 문자방송 데이타의 2 진 데이타 비트는 디지탈 비디오 데이타가 산재된 데이타 바이트 형태로 복수의 기록 트랙내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 따르면, 방송 비디오 신호의 각 프레임에서 임의의 각각의 소정 라인에서의 소정 표준량의 문자방송 데이타를 포함하는 방송 비디오 신호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에서 문자방송 데이타를 추출하는 수단, 및 자기 테이프상에 형성된 복수의 기록 트랙 각각에서 소정 고정량의 추출된 문자방송 데이타를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자기 테이프상에 형성된 복수의 기록 트랙에서 문자방송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기록 트랙 각각에 기록된 소정 고정량의 추출 문자방송 데이타는 방송 비디오 신호의 각 라인에 포함된 소정 표준량의 문자방송 데이타의 정수배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7 특징에 따르면, 트랙킹 데이타가 기록되는 트랙킹 데이타 영역, 오디오 데이타가 기록되는 오디오 데이타 영역, 비디오 데이타가 기록되는 비디오 데이타 영역, 및 상기 비디오 데이타 영역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는 비디오 데이타 영역내의 보조 데이타 영역을 각각의 기록 트랙내에서 형성하는 수단을 포 함하는데, 추출된 트랙 데이타는 보조 데이타 영역내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제 8 특징에 따르면, 추출된 문자방송 데이타는 자기테이프상에서 의 비디오 데이타로서 산재된 데이타 바이트의 형태로 기록된다.
본 발명의 제 9 특징에 따르면, 방송 비디오 신호의 각 프레임에 포함된 문자방송 데이타는 추출되어, 비디오 데이타로서 산재된 데이타 바이트의 형태로 복수의 트랙내에 반복적으로 기록된다
본 발명의 제 10 특징에 따르면, 문자방송 신호가 비디오 신호로서 기록되는 기록매체로부터 문자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수단, 기록 매체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재생 하는 수단, 및 출력 비디오 신호의 선택 라인에 삽입된 문자방송 신호를 가지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도록 재생 문자방송 신호와 재생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문자방송 신호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1 특징에 따르면, 기록 매체는 자기 테이프이며, 상기 문자방송 신호 재생 수단 및 비디오 신호 재생 수단은 자기 테이프를 스캔하는 복수의 자기 헤드를 포함하며, 출력 비디오 신호는 합성 비디오 신호이며, 재생 문자 방송신호가 삽입된 출력 비디오 신호의 선택 라인은 출력 비디오 신호의 수직 블랭킹 주기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방송 신호 재생 장치로서, 두개의 문자방송 테이프 기록포맷이 제공되는데, 그 각각은 60Hz 및 50Hz 비디오 방송 포맷에 대응하며, 각각의 주요한 문자방송 포맷은 문자방송 테이프 기록 테이프 포맷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조화될 수 있다.
또한, 방송 문자방송 데이타가 프레임 마다 기록되기 때문에, 테이프 기록식 문자방송 데이타는 테이프 기록식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타와 같은 방식으로 편집될 수 있다.
또한, 문자방송 시스템의 앞으로의 확장에 있어서도, 기존의 테이프 기록식 문자방송 데이타는 신규 개발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로 재생가능하다.
더욱이, 미국에서 기록된 테이프가 일본에서 재생되는 경우, 60Hz 포맷의 비디오 및 오디오 테이프가 재생될 수 있고 기록된 문자방송 데이타의 에러 재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기록된 문자방송 데이타의 원래 기록 국가가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방송 기록 방법이 기록될 텔레비젼 채널에 있어서 모든 문자방송을 수용하기 때문에, 시청자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후 재생을 위해 소정의 문자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문자방송 기록 포맷이 디지탈 데이타로서 방송 문자 방송 정보의 기록을 제공하기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와 문자방송 시스템 사이에 디지탈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하므로써 문자방송 시스템이 데이타 베이스에서 데이타를 분배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문자방송 기록을 위해 필요한 처리 회로 및 메모리를 가진 오디오 및 비디오 장비의 상업적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문자방송 기록을 위한 비용 및 공간 필요를 최소화시키므로써, 문자방송 시스템의 성장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 그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한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인데,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먼저 제 18 도 내지 제 20 도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방송 정보기록 및 재생 장치를 실현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오버플로우를 설명한다.
제 1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지탈 VTR 의 기록 시스템(200)은 안테나(22)를 통해서 방송 텔레비젼 신호 BS 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회로(204)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상기 신호 BS 는 일본 문자방송 표준에 따른 통상의 문자방송 정보 및 지구국의 통상의 텔레비젼 신호 방송임을 주목하자. 또한, 신호 BS 는 직접 방송위성 신호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신호 수신 회로(204)는 통상의 동축 케이블(도시않음)을 통해서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수신 회로(204)는 비디오 및 오디오 기록 처리 회로(206) 및 문자방송기록 처리 회로(208)에 공통인 수신된 방송 텔레비젼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기록 처리 회로(206)는 공지의 형태인 반면, 문자방송 처리 회로(208)는 이하 상세히 기술된다. 상기 처리 회로(206)는 멀티플렉싱 회로(210)에 처리된(즉, 디지탈화 및 압축화)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처리 회로(208)는 수신 방송 신호에서 문자방송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방송 정보를 처리해서 상기 멀티플렉싱 회로(210)에 처리된 문자방송 신호를 제공 한다. 상기 멀티플렉싱 회로(210)는 이하 기술된 방식으로 처리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그리고 처리된 문자 방송 신호를 합성하여 채널 인코딩 회로(211), 기록 증폭기(212A, 212B) 및 기록 헤드(HA 및 HB)를 통해서 자기 테이프(40)상의 기록을 위해 상기 합성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기록 헤드(HA, HB)는 기록 증폭기(212A, 212B)에 각각 대응한다.
제 19 도는 디지탈 VTR 의 재생 시스템(220)을 도시 하는데, 이 재생 시스템 은 제 18 도에 도시한 동일한 자기 헤드(HA, HB)를 포함한다. 헤드(HA, HB)는 각 각의 재생 증폭기(221A, 221B) 및 채널 디코딩 회로(222)를 거쳐서 디멀티플렉싱 회로(223)에 재생 합성 신호를 공급하며, 테이프(40)상에 기록된 합성 신호를 재생 한다.
디멀티플렉싱 회로(223)는 통상의 비디오 및 오디오 재생 처리 회로(224)에 재생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타를 공급하는데, 상기 처리 회로(224)는 아날로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도록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타를 디콤프레스해서 D/A 변환한다. 디멀티플렉싱 회로(223)는 또한 이하 상세히 기술될 문자방송 재생 처리 회로(226)에 재생 문자 방송 데이타를 공급한다. 상기 회로(226)는 재생 문자 방송 데이타를 재포맷해서 출력을 위한 적합한 형태로 재생 문자방송 데이타를 변환한다. 처리된 문자방송 데이타 및 비디오 및 오디오 재생 처리 회로(224)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는 기록 시스템(200)에서 원래 수신된 방송 신호 BS 와 유사한 재구성 텔레비젼 신호를 제공 하도록 비디오 및 오디오 아날로그 신호 및 처리된 문자 방송 신호를 합성하는 멀티플렉싱 회로(228, 이하 기술됨)에 제공된다 문자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재구성 출력 신호는 증폭기(122)에 의해 출력 단자(123)에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방송 신호 BS 및 출력 단자(123)에서 제공되는 재구성 출력 신호는 합성 비디오 신호이다.
제 20 도는 경사진 기록 트랙을 형성하면서 자기테이프(40)를 스캐닝하도록자기 헤드(HA, HB)가 장착된 회전 헤드 드럼(41)을 예시한다 테이프(40)상의 기록 트랙의 장치가 제 21 도에 예시되는데, 참조 문자 TB 는 자기 헤드(HB, 때로 "B" 헤드로 참조됨)에 의해 형성된 기록 트랙을 나타내며, 참조 문자 TA 는 자기 헤드(HA, 때로 "A" 헤드로 참조됨)에 의해 형성된 기록 트랙을 나타낸다. 헤드(HA, HB)는 각기 자기 테이프(40)상의 비스듬한 기록 트랙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20 도의 회전 헤드 드럼(41)은 도시된 바와같이, 그위에 장착된 정반대의 대향 기록 헤드를 가지지만, 이는 예를들면 헤드 드럼(41)상의 단일 헤드 유니트에서 서로 가까이 장착된 두개의 기록 헤드를 제공하고, 제 18-20 도에 도시된 헤드 수와는 다른 4 헤드 등의 다수의 헤드를 이용하도록 고려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제 1 도는 제 21 도에 도시된 트랙에 사용된 단일 포맷을 도시하는데,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트랙은 트랙의 개시부에 앞서는 다음의 영역 즉, 초기 마진영역, 인서트 및 트랙 정보(ITI) 영역, 오디오 신호 기록 영역, 비디오 신호 영역 서브 코드 영역 및 엔딩 마진 영역을 포함하는데, 상기 비디오 신호 기록 영역에서 비디오 신호가 기록된다. 각각의 영역 사이에는 예를들면, 프리앰블(preamble), 포스트앰블(postamble) 및 보호갭이 제공된다
문자방송 정보가 방송 텔레비젼 신호의 수직 블랭킹 간격에서 제공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비디오 보조 정보(VAUX)로서 문자방송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VA7X 정보 기록 영역은 이하 기술되는 비디오 신호 영역내에 포함된다.
제 2 도는 비디오 데이타가 제 1 도에 도시된 비디오 신호 영역에 기록된 장치를 도시하는데, 도시한 바와같이, 비디오 신호 영역은 수직 패리티 코드 C2 의 11 동기 블록외에 데이타를 위해 사용되는 135 동기 블록을 포함한다. 8 바이트의 수평 패리티 코드 Cl 는 각각의 135 데이타 동기 블록 및 11 C2 동기 블록 각각에 제공된다. 135 데이타 동기 블록은 0 에서 26 까지의 27 버퍼링 유니트에 배열되는데, 그 각각은 5 개의 데이타 동기 블록을 포함한다.
제 3 도는 상술한 바와같이 5 동기 블록을 포함하는 한 버퍼링 유니트의 내용을 도시하는데, 도시처럼, 각각의 동기 블록은 동일한 16 비트 동기 패턴 및 3 바이트 ID 부분 으로 개시한다. ID 부분은 2 바이트(IDO, IDI)의 ID 데이타, 및 ID 패리티(IDP) 바이트를 포함한다. 각 동기 블록의 비디오 데이타 부분은 동기화 데이타 바이트 QNO 로 개시하는데, 상기 바이트는 그 하위의 4 순서 비트에 영상 압축 양자화 테이블을 에세싱하는 양자화수를 포함하며, 또한 그 상위 4 순서 비트에 스위칭 포인트 정보 SWD 를 포함한다. QNO 정보는 압축 데이타의 회복 목적으로 상당히 중요하기 때문에, 동일한 QNO 바이트가 버퍼링 유니트의 5 동기 블록 각각에 기록된다. 다음의 QNO 바이트는 VAUX 데이타를 기억하는 2 바이트인데, 이들 바이트는 예를들면, 74 바이트의 비디오 데이타 앞에 선다. 각각의 버퍼링 유니트의 10 VAUX 바이트는 "제 1 절반"의 바이트 AUXO 와 5 개의 제 2 절반 바이트 AUX1으로 나누어진다. AUXO 바이트는 버퍼링 유니트의 제 1 두개의 동기 블록 각각에 두개의 VAUX 바이트이며, 또한, 버퍼링 유니트의 제 3 동기 블록의 제 1 VAUX 바이트이다.
버퍼링 유니트의 5 개의 나머지 VAUX 바이트는 "제 2 절반" 바이트 AUXI 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VAUX 바이트가 "A" 헤드에 의해 형성된 기록 트랙의 비디오 데이타 영역내에서, 그리고 "B" 헤드에 의해 형성된 기록 트랙의 비디오 데이타 영역내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예시한 도면 으로서, 데이타 용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헤드 클록 또는 소위 "사이드 스크래치"(즉, 테이프의 세로 방향에서의 스크래치, 이는 사실상 기록 트랙과 관련한 횡단 즉 "측로" 이다). 서로 다른 데이타 기록 장치가 "A" 헤드 트랙 및 "B" 헤드 트랙에 제공된다. 제 4 도에 있어서, VAUX 바이트는 사실상 버퍼링 유니트 및 동기 블록수에 따라 표시 된다.
또한, "A" 헤드 트랙 및 "B" 헤드 트랙 모두와 관련하여, "제 1 절반"의 모든 바이트 AUXO 는 문자 방송 데이타 기록을 위해 사용되며, 또한 "제 2 절반" 바이트 AUXI 은 최종 버퍼링 유니트(즉 버퍼링 유니트 26)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버퍼링 유니트의 제 1 AUXO 바이트(및 버퍼링 유니트(26)의 제 1 AUXI 바이트)는 50/60 데이타 비트, 3 바이트의 STYPE 데이타, 및 4 비트의 APPLI 데이타를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각 버퍼링 유니트의 나머지 4 개의 AUXO("제 1 절반") 바이트(및 버퍼링 유니트(26)의 나머지 4 개의 "제 2 절반"바이트)는 문자방송 데이타 자체를 기억하는데 사용된다. 50/60 데이타 비트는 50Hz 또는 60Hz 포맷이 활용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 되는데, 값 "0"는 50Hz 포맷을 나타내며 값 "1"는 60Hz 포맷을 나타낸다. STYPE 데이타는 표준형(즉, NTSC, PAL 등), 픽쳐 폭(표준 종횡비 4:3 에 대한 16:9의 종횡비 등) 표준 품위에 대한 고품위("HIVISI0N")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될 영상 신호형을 나타낸다. APPLI 데이타는 트랙내의 데이타 트랙 구조를 나타내는 ID 데이타를 포함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트랙내의 "제 2 절반" AUXI 바이트는(최종 버퍼링 유니트의 제 2 절반 바이트를 제외) "메인 영역" 및 "임의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메인 영역 에서는 비디오 데이타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압축 시스템 데이타 등의 데이타가 기억된다 이러한 메인 영역은 모든 디지탈 VTR 의 기록 포맷에 필요하다. 상기 메인 영역에는 또한 기록 년, 월, 일, 기록 신호원을 식별하는 정보, 더빙 정보 및 미국에서 현재 입법 명령 대상인 장애 시청자용 폐쇄형 캡션을 나타내는 데이타 등의 필요한 데이타가 기억된다. 임의 영역은 임의 데이타용으로 사용된다.
정확히 동일한 데이타가 용장성의 목적으로, "A" 헤드 트랙 및 "B" 헤드 트랙의 각각의 메인 영역에 기록되는데, 상기 두 트랙의 각각의 메인 영역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와 관련하여 오프셋되는 것에 주목하자. "A" 와 "B"트랙 사이의 데이타의 복사는 헤드 클로깅으로부터의 드롭 아웃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반면, 각각의 메인 영역의 오프셋팅은 "사이드 스크래치"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50/60-STYPE-APPLI 데이타 바이트는 문자 방송 데이타로서 포함되지 않으며, 대신에, 제 17 도에 도시된 데이타 팩 구조에 따라 문자 방송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 17 도에 따르면, 도시의 5 데이타 바이트는 각 버퍼링 유니트의 5 개의 "제 1 절반" 바이트에 대응하며(버퍼링 유니트(26)의 5 개의 "제 2 절반" 바이트), 이 제 1 의 5 개의 바이트는 팩형 식별 코드이며, 4 개의 나머지 바이트는 문자방송 데이타용으로 사용된다. 문자방송 데이타용으로 사용되는 팩의 경우에, 팩이 문자방송 데이타용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형의 코드 "01100111"가 사용된다.
이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트랙 포맷이 제 4a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된다. 도시처럼, 각각의 트랙은 데이타의 48 팩을 기록하는 임의 영역 및 6 팩에 대응하는 메인 영역을 포함한다. 제 4a 도에 도시한 팩수는 팩 0,1 이 버퍼링 유니트 0 의 10VAUX 바이트에 대응하고, 팩 2,3 이 버퍼링 유니트 1 의 10VAUX 바이트에 대응하도록 된다. 또한, 팩 0 및 27 은 버퍼링 유니트 0 의 10VAUX 바이트에 대응하며, 팩 1 및 24 는 버퍼링 유니트 1 의 10VAUX 바이트에 대웅하도록 한다. 또한, 팩 0 및 27 은 버퍼링 유니트 0 의 10VAUX 바이트에 대응하며, 팩 1 및 24는 버퍼링 유니트 1 의 10VAUX 바이트에 대응한다.
임의 영역의 모든 48 팩은 문자방송 데이타 기억을 위해 사용되며, 임의 영역의 몇몇의 팩은 다른 형태의 데이타 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문자 방송 데이타를 포함치 않는 데이타 팩은 "01100111"라는 다른 형태의 코드를 가질 것이다.
제 4a 도에 도시한 메인 영역은 제 4 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메인 영역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제 4 도의 포맷의 경우와 같이, 제 4a 도의 포맷에 있어서, 용장성을 제공하도록 'A" 및 "B" 헤드 트랙의 각각의 메인 영역에 동일한 데이타가 기록되며, 두 트랙의 각각의 메인 영역은 사이드 스크래치를 보호하도록 오프셋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문자방송 정보의 기록이 기술된다.
제 16 도 및 표 1 을 참조하면, 각각의 문자방송 데이타 라인은 16 비트의 비트 동기화 코드로서 시작하는데, 상기 코드는 교번 1 및 0 의 반복 패턴을 나타내며, 그 클록 주파수가 공지된 경우, 후에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비트 동기화 코드를 기록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라인에서 다른 데이타가 추출 기록될 수 있다. 이결과, 기록될 라인당 비트 수는 아래와 같이 나타내어 진다.
자기 테이프상의 문자방송 데이타의 기록 방식이 이하 기술된다. 각 프레임에서, 문자방송 데이타는 통상 두개의 버스트(burst)로 전송되는데, 즉, 프레임 제 1 필드에 하나 제 2 필드에 하나씩 전송된다. 제 2-4 도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VAUX 데이타 영역에 문자방송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하여, 문자방송 데이타의 타이밍과 압축 영상 신호 데이타의 타이밍을 일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선입선출(FIFO) 메모리등의 메모리에 각 프레임에 대한 문자방송 데이타가 기억되며, 기록타이밍 신호에 응답해서 필요한 량의 데이타가 독출된다.
모든 텔레비젼 방송국이 프레임의 동일 라인에 문자방송 정보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방송을 위한 표준에 따라 떨어진 라인 세트사이에 문자방송 정보를 부여하는데, 상기 라인은 실제로 국에서 국으로 변하게 사용 된다. 따라서, 방송 문자방송 정보의 테이프 기록은 방송 신호내의 정보의 실제 위치의 표시를 필요로 한다. 제 5 도는 문자방송 신호가 일본 문자방송 시스템에 따라 삽입된 수직 블랭킹 주기내의 수평 라인을 도시한다. 또한, 게이트 신호 게이트가 도시되는데, 이는 문자방송 신호가 존재하는 시간 간격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이 게이트 신호 nGATE 는 통상의 문자방송 수신 장치에서 현재 사용되는 게이트 신호와 동일하다. 이러한 게이트 신호를 사용하므로써, 게이트 신호 GATE 가 "0" 인 시 주기동안, 라인 번호는 0 내지 7 이 될 수 있다.
방송 문자방송 신호상의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회로가 제 6a 도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간략화 목적으로, 일본 표준 포맷에 따른 기록 처리 회로만이 기술되지만, 동작 주파수를 제외하고, 매우 유사한 회로 장치가 다른 표준 방송 포맷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 6a-I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합 비디오 신호가 입력 단자(1)에서 수신되어 동기화 신호 분리 회로(2)에 공급 된다. 상기 동기화 신호 분리 회로는 복합 비디오 신호에서 수평 동기화 신호 HSYNC 를 추출해서 필드 식별 신호 ODD/ EVEN를 제공한다. 상기 필드 식별 신호는 카운터 클리어 펄스 발생 회로(3)에 제공되는데, 상기 회로는 필드 식별 신호 ODD/EVEN 의 상승 및 하강 구간에 응답해서 수평 라인 카운터 (4) 및 라인 번호 발생 회로(6)에 클리어 신호를 공급한다.
수평 라인 카운터(4) 및 라인 번호 발생회로(6)는 또한 동기화 신호 분리 회로(2)로부터 출력된 수평 동기화 신호 HSYNC 를 수신한다. 수평 라인 카운터(4)는 HSYNC 신호를 카운트하고, 디코더 회로(5)에 대웅 카운트 값을 출력하는데, 상기 디코더 회로는 제 5 도 관련 기술의 GATE 신호를 형성 하도록 카운트 출력을 디코드한다. 상기 GATE 신호는 라인 번호 발생 회로(6)에 제공되며 이 회로는 상기 신호에 의해 문자방송 정보가 존재하는 라인을 식별키 위한 라인 번호 0-7 을 형성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입력 복합 비디오 신호가 입력 단자(1)에서 페데스탈 레벨 클램핑 회로(7)로 공급되는데, 이 회로에서 적당한 페데스탈 DC 레벨이 설정되며, 최종 신호가 비교기(8)에 공급된다 약 0.5V 의 70% 의 화이트 레벨과 페데스탈 레벨 사이의 적당한 중간 레벨로 설정된 비교 전압이 비교기(S)에 공급되는데, 이 비교기는 입력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문자방송 정보를 구성하는 "0" 또는 "1" 비트값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비교기(8)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소위 TTL 레벨 이라 하는 디지탈 신호이며, 이것이 직-병렬(S/P) 변환 회로 (9)에 한 입력으로서 제공된다. S/P 변환 회로(9)는 비교기 (8)로부터의 비트-직렬 데이타 스트림 출력을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데, 상기 데이타는 비트 스트림에서 시퀸스의 데이타 바이트로 변환된다. S/P 변환 회로(9)에 공급된 직렬 클록 신호 SCK 는 다음의 방식으로 발생된다. 첫째로, 입력 복합 비디오 신호 내에 포함된 칼라 버스트 신호가 버스트 ACC회로(11)에 의해 추출되며, 그후 칼라 버스트 신호가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3.58Mhz 에서 동작하는 위상 동기 루프(PLL) 회로(12)에 대한 기준 신호로서 제공된다. PLL 회로(12)로부터의 3.58Mhz 신호 출력은 1/5 분주회로(13)에 공급되며, 그 결과의 분추 신호가 순서적으로 제 2 PLL 회로에 대한 기준 신호로서 제공되는데, 이 회로는 16/5×fsc 의 주파수에서 동작한다. PLL 회로(14)로부터의 16/5fsc 신호 출력이 1/2 분주기(15)에 공급되는데, 이 분주기 5.727272Mhz 의 주파수와 50%의 충격 사이클을 가지는 소정의 직렬 클록 신호 SCK 를 출력한다. 상기 클록 신호 SCK 는 S/P 변환 회로(9) 이외에 1/8 분주기(16)에 제공된다.
S/P 변환 회로(9)로부터의 데이타 바이트 출력은 분주기(16)에 의해 제공되는 래칭 신호 LCK 에 응답해서 8-비트 D-형 플립플롭(DF/F)(10)으로 래치된다. 데이타 바이트는 DF/F(10) 에서 클록 런인(CRI) 검출 회로(18)에 순서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CRI 검출 회로(18)는 또한 GATE 신호를 수신하고, HSYNC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7)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회로(17)로부터의 출력은 HSYNC 신호를 기본으로한 9 번째 내지 16 번째 CRI 펄스에 대응하는 주기에 걸쳐 액티브 인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주기동안, "GATE"가 "로우"레벨에 있으면, 그리고, DF/F(10)의 출력이 ooh 이면, CRI 신호는 존재치 않으며, 따라서, 현재의 수평 라인상에 문자방송 정보가 없는 것으로 결정된다. 한편, 상기 주기에서, DF/F(10)에 의한 신호 출력이 AAh(10101010)이라면, 문자방송 정보가 현재의 수평 라인에 존재하여서, CRI 검출 회로(18)가 액티브 즉, "로우" 레벨에서 신호 nEXIST 를 출력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CRI 검출 회로(18) 출력의 NEXIST 신호 및 GATE 신호와 바이트 래칭 신호 LCK 는 스위치(19)의 상태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기(22)에 제공된다.
라인 번호 발생 회로(6) 출력의 라인 번호 데이타, 동기화 신호 분리 회로(2) 출력의 ODD/EVEN 신호 및 방송 시스템 식별 코드는 제 7 도에 도시된 형태를 가지는 라인 번호 식별 바이트를 제공하도록 스위치(19)의 한 고정접점에 병렬로 공급된다.
두개의 최상위 순서 비트가 다음의 포맷 i.d. 를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다음 비트는 필드 식별자(기수 또는 우수)이며, 끝의 5 비트는 확장 문자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최대 32 라인을 식별키에 충분한 라인 번호 코드이다. 방송시스템 식별 코드는 VTR 이 사용되도록 의도된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며, 디지탈 VTR 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 제어 마이크로컴퓨터(도시않음)로 부터 공급된다.
스위치(19)의 다른 고정 접점은 DF/F(10)에서 출력된 데이타 바이트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타이밍 제어기(22)로 제어된 타이밍에서, 스위치(19)는 DF/F(20)에 선택적으로 라인 번호 식별 바이트 또는 문자방송 데이타 바이트를 제공한다.
DF/F(20)으로 래치된 데이타 바이트는 순서적으로 FIFO 메모리(21)에 기억된다. 스위치(19)는 라인 번호 식별 바이트가 입력 비디오 신호의 각 수평 라인에 대해 FIFO 메모리(21)내에 기억된 제 1 의 35 바이트 정보가 되도록 동작하는데, 상기 신호에 문자방송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라인 번호 식별 바이트는 방송 문자방송 신호에 있는 바이트 동기화 코드(프레밍 코드)를 대신한다.
비디오 신호 프레임에 대한 모든 문자방송 데이타가 상기 프레임의 제 2 필드의 수직 블랭킹 주기의 글에 의해 FIFO 메모리(21)내에 기억되었지만, 그 프레임 의 모든 비디오 데이타가 그때 특히 그 압축 필요의 견지에서 활용가능한 것은 아닌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FIFO 메모리(21)로부터의 문자방송 데이타의 독출은 다음 프레임의 비디오 신호가 수신된 시간에서 시작한다. 문자방송 데이타는 독출되어서, 제 4 도 도시의 장치에 따라, 비디오 데이타가 산재되게 기록 된다. 비디오 보조 데이타 영역으로의 문자방송 데이타의 삽입은 프레밍 회로(미도시)에 의해 수행되며, 제 17 도 도시의 팩 구조가 사용되는 경우, 스위치(23)를 포함하는 팩킹 회로(제 6a-11 도에 설정)는 FIFO 메모리(21)와 프레밍 회로사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스위치(23)는 타이밍 제어기(22) 및 프레밍 회로로부터의 신호를 기본으로 제어 된다.
프레밍 회로는 각 트랙의 비디오 영역(제 2 도)에 기록된 동기 블록(제 3 도)내에서 비디오 및 문자방송 데이타를 형성한다.
타이밍 제어기(22)는 또한 FIFO 메모리(21)에 판독 클록 신호를 제공한다.
상술한 방식에 따라 테이프상에 기록된 문자 방송 데이타와 관련한 재생 처리를 행하는 회로가 제 6b 도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첫째로, 재생 문자방송 데이타는 디프레이밍 회로(미도시)에서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신호에서 추출되어 FIFO 메모리(101)내에 기억된다. 제 17 도와 관련하여 참조된 꽥 구조가 문자방송 기록에 사용된 경우, 언팩킹 회로(제 6b-II 도의 내부세트 참조)는 디프레밍 회로와 FIFO 메모리(101)사이에 위치하며, 팩형 코드 바이트를 버리는 적합한 제어식 스위치(124)를 포함한다. 디프레밍 회로는 상기 프레밍 회로로 실행된 프레밍 처리를 역으로 행하는 것을 이해하자.
프레밍 처리 클록 신호 PBCK 는 FIFO 메모리(101)에 기록 클록 신호로서 제공된다. FIFO 메모리(101)내의 재생 문자방송 데이타의 기억이 한 프레임 주기의 끝에서 완료하여도(즉, 10 기록 트랙을 스캔하는데 필요한 주기의 끝) 문자방송 데이타의 상기 프레임의 개시 부분의 데이타는 DF/F(103)내에서 래치된다. DF/F(103)내에 기억된 데이타는 방송 시스템 식별 코드를 포함하며, 이 코드는 순서적으로, 타이밍 제어기(12)에 공급, 래치되는데, 상기 제어기는 FIFO 메모리(101)에 판독 클록 신호를 제공한다. 타이밍 제어기(102)는 또한 VTR 이 사용되도록 의도된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식별 코드를 공급받는다(전술한 바와같이, 상기 코드는 예를들면, VTR 용 모드 제어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식별 코드 및 DF/F(103)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시스템 식별 코드는 재생문자방송 데이타가 재생을 위해 VTR 이 설치된 형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타이밍 제어기(102)에서 비교된다. 상기 형태가 아니라면, 기억 및 래치된 문자 방송 데이타는 무시되고, 이하 기술되어질 재생 동작이 생략된다. 한편, VTR 이 기록된 문자방송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는 형태이라면, ODD/EVEN 신호 및 DF/F(103)에 래치된 라인 번호 신호는 디코더(104)에 제공되며, 이 디코더는 비디오 프레임내의 데이타의 라인 위치를 나타내는 원래 라인 번호로 라인 번호 데이타를 변환한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 데이타 압축 효과를 이루기 위해서, 기록될 비디오 신호의 일부분인 HSYNC 및 VSYNC 동기화 신호를 기록치 않는다. 따라서, 기록 된 비디오 데이타의 재생 처리 동안, 새로운 HSYNC 및 VSYNC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필요한데, 상기 신호들은 출력 복합 비디오 신호를 제공 하도록 재생, 처리된 비디오 데이타와 합성된다.
따라서, fsc 발진기(107)는 예를들면 수정 발진기를 기본으로한 안정 클를 신호 fsc 를 출력시키며, 이 발진기에서 출력된 마스터 클록 신호를 기본으로 각종의 필요한 클록 신호가 발생된다. 따라서, 16/5 주파수 채배기(108) 및 1/2 분주 기(109)에 의해, 직렬 클록 신호 SCK 가 5.727272Mhz 및 50% 충격 사이클에 따라 발생된다. 또한, 직렬 클록 신호 SCK 는 바이트 클록 신호 LCK 를 발생하도록 1/8 분주기(110)에서 처리된다. 그리고, 동기화 신호 발생 회로(111)는 마스터 클록 fsc 를 공급받아서, 그로부터 수평 동기화 신호 HSYNC 및 수직 동기화 신호 VSYNC를 유도한다. 상기 HSYNC 는 수평 라인 카운터(113)에 클록 신호로서 제공되는데, 이 카운터는 상기 VSYNC 에 응답해서 카운터 클리어 펄스 발생 회로로(112)부터 클리어 신호를 수신한다. 카운터(113)으로 부터의 라인 번호 카운트 신호 HNO 출력은 비교기(105)에 공급되며, 이 비교기(105)는 카운터(113)의 출력과 디코더(104)로부터의 수평 라인 번호 출력을 일정하게 비교한다. 두 입력 신호사이의 일치가 발생할 때, 비교기(104)는 타이밍 제어기(102)에 대한 일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 신호에 응답해서, 타이밍 제어기(102)에 의해 FIFO 메모리(101)로부터 DF/F(106)에서 다음 데이타 바이트가 래치된다.
3 입력/1 출력 스위치(125)는 DF/F(106)에서 래치되고 그로부터 출력된 문자방송 데이타를 공급받는 하나의 고정 단자를 가진다. 상기 스위치(125)의 다른 고정 단자는 이미 발생된 클록 런-인 신호(1 과 0 를 교번)를 수신하며, 그 제 3 고정 단자는 이미 발생된 프레밍 코드 바이트를 수신한다.
타이밍 제어기(102)의 제어하에 스위치(125)는 재생 문자 방송 데이타의 각 라인의 시작에서 제 1 로 클록 런-인 신호가 출력되고, 다음으로 프레밍 코드에 이어 재생 문자방송 데이타 자체를 나타내는 시퀸스의 데이타 바이트 및 최종 시퀀스의 바이트가 DF/F(715)에 제공되도록 동작한다. DF/F (115)로부터의 데이타 출력 바이트는 그에 제공된 직렬 클록 신호 SCK 를 기본으로 병-직렬(P/S) 변환 회로에서 직렬 데이타 비트 스트립으로 변환된다.
출력될 최종 복합 비디오 신호를 위해, 디지탈 신호 레벨을 2Vpp 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P/S 변환 회로(116)으로부터의 직렬 데이타 스트림 출력 및 HSYNC 신호(모두 TTL 레벨에 있음)는 각각의 TTL/아날로그 레벨 변환 회로(117 및 120)에 제공된다.
처리 및 디콤프레스 재생 비디오 데이타는 D/A 변환기(126)에 제공되며, D/A 변환기(126)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출력이 소정 레벨로의 조정을 위해 레벨 변환 회로(118)에 제공된다. 레벨 조정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레벨 변환 회로(118)로부터 아날로그 스위치(127)의 한 고정접점에 제공 되는데, 상기 스위치는 다른 고정접점에서 변환 회로(117)로 부터의 레벨 변환된 문자방송 데이타 출력을 수신한다.
아날로그 스위치(127)의 상기 위치는 비교기(105)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본으로 결정되어서, 재생 문자방송 신호가 삽입될 라인을 제의하고 스위치(127)로부터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는데, 상기 라인에서, 스위치(127)는 재생 문자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치(127)로부터의 최종 출력 신호는 3 입력/1 출력 스위치(121)의 한 고정 접점에 제공된다 스위치(121)의 제 2 고정단자는 레벨 변환 회로(119)를 통해서 발진기(107)로부터 제공된 클록 신호 fsc 를 수신한다. 상기 스위치의 제 3 고정접점은 레벨 변환 회로(120)를 통해서 H 주기 타이밍 발생 회로(114)로부터 제공된 레벨 변환된 수평 동기화 신호 HSYNC 를 수신한다. 스위치(121)의 위치는 마스터 클록 신호 fsc 를 기본으로 수평 주기 타이밍 발생 회로(114)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기본으로 제어된다.
스위치(121)는 그로부터 출력될 신호의 페데스탈 레벨을 조정하며 그 내부에 포함될 음성다중방송 데이타와 상기 조정된 페데스탈 레벨을 혼합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스위치(121)로 부터의 출력은 증폭기(122)에 의해 2Vpp 신호로 조정되며, 그 선택 수평 라인에 삽입된 재생 문자방송 정보를 가지는 복합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 단자(23)에서 출력된다.
북아메리카, 영국 및 프랑스 문자방송 시스템을 조정하는 회로는 기본적으로 일본의 상기 시스템용으로 상술한 회로와 같은 방식으로 실현될 수 이다.
방송 비디오 신호의 한 프레임의 기록에 사용되는 기록 트랙사이의 문자방송 데이타 라인의 기록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제 8 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35 데이타 바이트가 방송 문자 방송 데이타의 각 라인에 포함되는 반면, 제 4 도 도시 포맷에 있어서, 기록 문자방송 데이타의 각 트랙에 112 바이트 기억 위치가 제공된다.(최종 버퍼링 유니트의 4×27 제 1 절반 VAUX 바이트 플러스 최종 4 개의 제 2 절반 VAUX 바이트)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문자방송 데이타의 3½라인이 60Hz 비디오 포맷(일본 경우)에서 한 프레임을 기록하는데 필요한 10 트랙의 경우에 문자방송 데이타의 전체 32 라인을 기록하는 용량이 있도록 각 트랙에 기록된다. 현재 8 라인의 방송 신호만이 문자방송 정보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프레임내의 각 라인의 문자방송 정보가 비디오 프레임용으로 사용될 기록 트랙사이에 4 차례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문자방송 데이타의 라인은 순서적 으로 (0-7) 기록되며, 3 회 이상 반복된다. 이러한 식으로. 에러에 의한 문자방송 데이타의 변조 경향이 감소되는데, 이는 하나이상의 트랙의 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에러가 다른 트랙의 다른 부분에서 기록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수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레임당 16 의 최대수의 라인이 문자방송 정보의 방송을 위해 사용될지라도, 상기 포맷에 의하면, 각 라인의 문자방송 데이타는 두번 기록될 수 있다. 트랙당 기록 용량 바이트수가 방송 라인당 35 바이트의 문자방송 데이타의 정수배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라인은 트랙에서 트랙으로 세로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시한 바와같이, 이 세로 방향 이동은 또한 데이타 변조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제 8 도에 도시된 기록 포맷의 유효한 효과는 제 9 도- 11 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제 9 도에 있어서, "8H", "10H", "12H", "14H" 및 "16H" 의 각각 부분은 각기 프레임당 8, 10, 12, 14 또는 최대 16 라인에서 제공되는 문자방송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기록 포맷을 나타낸다. 제 9 도의 상기 부분 각각의 번호는 각 방송 프레임내의 문자방송 데이타의 n 번째 라인 번호를 나타낸다. 제 9 도에 있어서, 각각의 기수 트랙은 "A" 헤드의 클로깅으로 인한 내부에 포함된 데이타의 변조를 나타내도록 어둡게 되어 있다.
제 10 도는 기수 트랙과는 다른 우수 트랙을 제외하면, 제 9 도와 동일한데, "B" 헤드의 클로깅으로 인한 데이타의 변조를 나타내도록 어둡게 되어 있다.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도시된 장치로서, 헤드중 하나가 클록되어도 대부분의 경우에 문자방송 데이타가 회복될 수 있다. 또한 기록동안, 전술한 바와같이, 문자 방송 데이타의 상기 라인은 간단히 순서적으로 독출되며, 이어서 동일한 순서가 반복되는데, 이로서 데이타의 버퍼링을 위해 단일 FIFO 메모리의 사용이 가능해지며, 이때 FfFO 메모리는 리세트 펄스로 리세트되며, 상기 프레임의 문자 방송 데이타 기억 용량이 소모될 때까지 독출 사이클이 지속 된다 이는 문자방송 데이타의 라인을 기록하는 순서가 한 시퀸스에서 다음으로 변하게 된 경우 보다 간단한 회로배열이다.
헤드 클록의 경우에 데이타가 회복될 수 없는 몇몇의 경우가 12 또는 14 라인의 방송 프레임이 문자방송 데이타용 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임의의 라인과 관련하여 발생 한다.
이 경우의 회복불가능한 라인을 다음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제 1 도를 참조하면, 내부의 어둡게된 부분은 테이프의 세로 방향 즉, 기록트랙의 횡단 방향에서 나란하게 연장하는 3 "사이드 스크래치"의 효과를 나타낸다. 제 11 도의 도시처럼 3 개의 병렬 사이드 스크래치가 있는 것이 통상임을 이해하자.
어느 경우든, 최대 라인 번호 이용의 경우에만, 사이드 스크래치 때문에 독출될 수 없는 몇몇 라인이 있다.
따라서, 이하 제공되는 표 3 은 제 9-11 도에 도시된 3 예의 결과를 요약한 것인데, "OK"는 모든 라인이 재생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NG"는 몇개의라인이 재생될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
[표 3]
실제의 경우에 있어서, 사이드 스크래치가 있는 경우, 또는 유효 지속의 헤드 클록이 있는 경우, 통상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타가 불가피하게 변조되어서, 기록된 문자방송 데이타를 위해 완전 보호를 제공토록 시도함에 있어서 취약점이 있다. 또한, 헤드 클록 및 사이드 스크래치는 가정용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통상적으로 경험되지 않는 것으로 예상된다
표 3 에 예시한 결과는 방송 문자방송 자체에서 제공되는 에러 수정 능력을 고려치 않은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송 문자방송 데이타에서 제공되는 에러 수정 능력이 사용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예를들면, 일본 문자방송 포맷은 대부분의 회로에서 디코드될 수 있는 (272, 170)감소형 차이 세트 사이클 코드를 이용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논리 회로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디지탈 VTR 내에 일체화될 수 있다.
기록된 문자방송 데이타가 제 2 도에 도시된 비디오 데이타와 같이 동일한 강력한 에러 수정 프로덕트 코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표 3 에 "NG"로 표시된 나쁜 결과의 대부분 또는 모두는 상기 에러 수정 코드를 이용하여 방지 될 수 있다.
제 8 도-11 도가 개략 방식으로 기록 트랙사이의 기록된 문자방송 데이타의 분배 라인 도시하고 있지만, 기록된 비디오 데이타 사이에 분산된 문자방송 기록 위치의 보다 사실적인 예시가 제 12 도에서 도시된다. 특히 제 12 도에 있어서, 각각의 버퍼링 유니트 내부의 작은 장방향 R 은 문자방송 데이타가 비디오 데이타와 산재되어 기록된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사이드스크래치로 인한 변조의 저항이 보다 강해서 제 11 도에 예시한 예로부터 생각할 수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헤드 클록이 발생할 때, 픽쳐 및 음성의 재생이 방지 되는 것은 자기 헤드가 헤드 클록을 제거하도록 청소된 것을 의미한다. 반면, 헤드가 짧은 시주기 동일만, 클록되는 경우, 문자방송 데이타를 포함하는 데이타는 에러 수정 프로덕트 코드로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스크래치의 손상과 헤드클록의 손상을 비교하면, 사이드 스크래치는 테이프에서 제거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이 더 심각한 문제임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경험상, 사이드 스크래치의 통상적인 폭은 약 3 동기화 블록이며 그러한 폭은 제 11 도에 도시된 예로 도시된다. 이 경우, 변조 데이타는 Cl, C2 에러 수정 프로덕트 코드를 이용해서 거의 완전히 재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제안된 문자방송 데이타 기록 포맷은 에러에 대해 상당한 저항성을 가지면서 간단한 회로로 설계될 수 있다.
제 8a-8c 도를 참조하여 기록 트랙사이의 한 프레임의 문자방송 데이타를 분배하는 다른 방식을 설명한다. 이 다른 실시예는 제 17 도 및 제 4a 도와 관련하여 상술된 트랙 포맷에 대응하는데, 제 8a 도에 도시된 포맷과 관련하여 제 4a 도의 모두 48 팩의 임의 영역이 문자방송 데이타 기록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가정된다. 또한, 프레임당 8 라인의 문자방송 데이타 및 라인당 35 바이트의 문자 방송 데이타를 포함하는 현재의 일본 문자방송 포맷이 사용되는 것을 가정한다
제 8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72 팩이 방송 비디오 신호의 각 프레임에 포함된 문자방송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해 필요하다. 제 1 의 72 팩은 TO 이며 "텍스트 헤더 팩" 으로 참조된다 텍스트 헤더 팩 TO 는 70 문자방송 팩 T1-T70 앞에 있는데, 2 에서 문자방송 데이타 자체가 기억된다(8 라인 x 35 바이트/라인 = 380 바이트/프레임 = 70 팩 x 4 바이트/팩). 최종 팩은 T71 이며, 1 바이트 단자 코드와 3 필터 바이트를 포함한다.
제 8a 도를 참조하면, 문자방송 데이타 프레임을 포함하는 72 팩이 비디오 프레임용으로 사총된 제 1 3 트랙에 연속적으로 두번 기록된 다음, 다음 3(4 번째에서 6 번째) 트랙에서 두번 그리고 7 번째에서 9 번째 트랙에서 두번 기록 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문자방송 데이타는 모두 6회 기록된다. 10번째 트랙은 필러 또는 "정보가 없는" 바이트를 가진다.
제 8b 도 및 8c 도는 문자방송 데이타를 기록하는데 사용된 팩의 포맷에 대한 상세도이다.
텍스트 헤더 팩 TO 의 제 1 바이트는 타입 코드 바이트 이며 68h 값 (011001000)을 가지는데, 이 값은 텍스트 헤더 팩을 나타낸다. 팩 TO 의 제 2 바이트는 텍스트 헤더 팩 TO 을 따르도록 문자방송 팩수의 데이타 TDP 를 나타낸다.
도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TDP=71 이다. 제 3 바이트의 4 개의 최상위 비트는 다음 패턴에 포함된 종류의 텍스트 데이타를 식별하는 텍스트 타입 코드인데, 이 경우, 텍스트 타입 코드는 값 9 (1001)를 가지며, 이는 문자방송을 나타낸다. 팩 TO 의 균형은 1 로 채워질 수 있다
문자방송 데이타 자체에 포함된 팩 T1-T70 은 제 17 도 관련 포맷으로 나타내어지며, 따라서 더 이상 설명이 필요치 않다.
팩 T71 은 선행 팩 T1-T70 과 같은 타입의 코드 바이트로 시작하지만, 팩 71 의 제 2 바이트는 문자방송 데이타의 프레임이 완전함을 나타내는 종료 코드이다.
이러한 종료 코드는 예를들면, 문자방송 데이타외에 다른 타입의 데이타가 임의 영역에 기억될 경우 유용하다. 각종의 문자방송 포맷으로 사용되는 각각의 종료코드가 제 8c 도에 리스트된다.
10 번째 트랙을 태우는데 사용된 "정보없음" 팩은 타입 코드를 포함하는 1 로 간단히 채워진다.
전술한 바를 요약하면:
1.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방송 데이타는 디코딩 없이 기록되어서, 방송 문 자방송 데이타의 고유한 에러 수정 능력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2. 디지탈 VTR 에서 비디오 데이타를 보호하도록 제공 되는 에러 수정 능력은 비디오 데이타 기록 영역의 VAUX 영역에서 문자방송 데이타를 기록하므로써 문자방송 데이타와 관련하여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3. 본 발명에서 제안된 문자방송 기록 포맷은 비디오 데이타 기록 영역의 AUX 영역에서 문자방송 데이타를 기록하므로써 사이드 스크래치 및 쇼트-텀(short-term) 헤드 클록으로 인한 데이타 에러에 대한 로버스트 저항성을 제공한다.
4. 멀티플렉스 기록된 문자방송 데이타의 "다수- 결정" 처리를 기본으로한 데이타 복구를 각 프레임에 따라 전체 기억 용량내에서 문자방송 데이타를 반복적으로 기억하므로써 사용될 수 있다.
5. 방송 신호의 각 라인의 데이타 용량의 정 수배와는 다른 각 기록 트랙의 문자방송 데이타 기억 용량을 선택 하므로써, '다수-결정" 처리를 기본한 데이타 복구를 허용하는 다른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영국 및 독일 포맷에 따른 방송을 하는 문자방송 기록을 위한 방법이 다음으로 고려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동일한 포맷이 두나라에서 사용됨을 이해하자.
두 나라의 경우에, VPS 신호, 테스트 신호 등이 각 프레임의 라인(7-22)와 라인(320-350)사이의 32 임의 선택 라인에 삽입된다. 따라서, 이 라인 모두가 문자방송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문자방송용으로 앞으로 사용 될 수 있는 최대 라인 번호가 28 이어서, 프레임당 문자방송 정보의 최대 라인 번호 28 에 대응하는 문자방송 기록 시스템을 준비하기에 충분하다.
제 13 도는 영국 및 독일에서 사용되는 표준에 따라 한 프레임의 방송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는데 사용된 12 트랙 사이에 문자방송 데이타 라인을 분배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기본적으로, 문자방송 데이타의 라인을 분배하는 방법은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같다.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2 트랙은 31 세트의 43 바이트 플러스 나머지 11 바이트를 기록 하기 위한 충분한 용량을 포함한다. 따라서, 비디오 신호의 한 프레임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12 트랙은 프레임당 문자 방송 데이타의 라인 번호인 28 라인 훨씬 이상이거나 추가의 3 라인을 기록하는 용량을 가진다. 상기 추가 3 라인은 예를들면, FIFO 메모리의 시작에서부터 다시 문자방송 데이타를 간단히 판독하므로써 채워질 수 있다
독일에서의 현재의 프랙티스는 프레임당 15 라인의 문자방송 정보를 방송하기 때문에, 문자방송 정보는 12 트랙의 할당 영역에서 2 회 기록될 수 있다. 제 9-11 도 트랙에 대응하는 예시 도면은 독일 표준 문자방송 신호의 기록과 관련하여 생략되었다.
60Hz 방송 포맷 모두에 대한 한 기록 방법 및 50Hz 기록 포맷 모두에 대한 제 2 기록 방법이 이하 기술된다.
표 1 을 보면 일본 및 북아메리카 문자방송 시스템은 동일한 클록 주파수를 가지며, 북아메리카 시스템의 문자방송 데이타의 한 라인의 바이트의 수가 일본 문자 방송 시스템의 라인당 바이트수 이하인 1 바이트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영국 및 프랑스의 각각의 문자방송 시스템은 서로 상이한 클록 주파수를 가지며, 프랑스 문자방송 시스템에서 라인당 바이트수는 영국 문자방송 시스템의 라인당 바이트수 이하이다. 그러나, 필러 바이트없이 북아메리카 및 프랑스 문자방송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이 시도될 경우, 상당히 대규모 회로 및 보다 복잡한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신에 본 발명에 따라서, 일본과 미국 라인 용량 사이의 각각의 차이 및 영국과 프랑스 라인 용량 사이의 각각의 차이가 제 14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더미 바이트(모두 D)로 만들어지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식으로 60Hz 포맷에 있어서, 모든 문자방송 시스템이 제 8 도의 포맷에 따라 기록될 수 있는 반면, 50Hz 포맷의 모든 문자방송 시스템은 제 13 도에 따라 기록될 수 있다.
현재의 프랙티스에 있어서, "ANTI0P"로 알려진 프랑스 문자방송 시스템은 유럽사회에서 수행되는 동일 표면에 따라 영국 문자방송 시스템에 일치시키도록 변경되는 과정에 있는 것을 주목하자.
또한, 북아메리카 및 프랑스 방송 시스템용 필러 바이트를 제공하므로써 생길 수 있는 에러 수정 장점이 있다.
특히, 제로가 삽입될 수 있는 영역이 앞으로, 공지되기 때문에, 그러한 영역은 에러 수정 코드 처리 발생전에 플레이백 모드동안 첵크될 수 있다. 따라서, Cl 및 C2 패리티 값이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계산될 수 있는데, 상기 영역에서 에러가 발생되어서, 다른 영역에서의 상기 에러가 수정될 수 있는 큰 가능성이 있다. 예를들면, 에러가 발생된 영역은 간단히 스킵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필러 비트를 제공하므로서 생기는 에러 수정 장점이 그러한 필러 바이트를 사용치 않으므로서 실현되어지는 여분의 기록 용량 보다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기록된 문자방송 정보를 재구성하는 방법이 이하 기술된다.
첫째로, 한 프레임용 문자방송 데이타가 메모리에 기억되며, 라인 식별 바이트(제 7 도)의 방송 시스템 식별 코드 및 AUXO, AUXI 영역(제 4 도)에 기억된 50/60 데이타 바이트를 기본으로, 기억된 데이타가 재구성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데이타가 재구성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예를들면, 50Hz 포맷(즉, PAL, SECAM) 신호에서 기록된 테이프가 일본의 VTR(60Hz NTSC 포맷에서 사용됨)에 로드된 경우, 픽쳐(화상) 및 음성이 재생 될 수 없어서, 문자방송 데이타 또한 재생되지 못하는 것이 예견된다.
반면, 문자방송 정보가 미국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60Hz 포맷 테이프가 일본의 VTR 에(이 또한 60Hz 에서 동작) 로드되는 경우, 픽쳐 및 음성이 모두 재생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일본의 VTR 이 일본 문자방송 데이타를 디코드하는 IC 를 포함하는 경우, 테이프상에 기록되어진 미국 문자방송 데이타는 디코드 될 수 없어서, 디코딩 처리가 종료된다. 그러나, 상기 일본의 VTR 이 IC 를 포함치 않는 경우, 문자방송 데이타는 출력 복합 비디오 신호의 소정 라인에 삽입될 수 있어서, 문자방송 신호의 필요한 디코딩이 TV 수상기에서 실행될 수 있다.
기록 트랙의 비디오 데이타 기록 영역으로부터 데이타가 버퍼 메모리(미도시)에 기록된 경우, 에러 수정 회로(미도시)는 제 2 도에 도시된 에러 수정 코드를 처리하는데, 그 결과의 에러 플랙이 시험된다. 데이타내에 에러가 없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데이타가 버퍼 메모리내에 기입되며 문자방송 데이타가 멀티플렉스 방식으로 몇차례 기입되므로, 전술한 "다수-결정" 처리와 같은 측정이 실행될 수 있다.
데이타가 버퍼 메모리에 기입된 후, 제 1 바이트(라인 식별 바이트)내에 포함된 라인 번호 데이타가 추출되고,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가 준비 모드에 위치된다. 비디오 재생 회로는 복합 비디오 신호를 출력키 위해 필요시 되는 복합 동기화 신호 발생 회로를 포함한다. 그러한 회로는 제 6b 도에 도시된 회로와 공유되며, 제 5 도에 도시된 것파 유사한 GATE 신호가 발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GATE 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 제 6b 도에 도시된 라인 번호 비교가 수행 되며, 이어서 바이트 동기화 코드(2 바이트의 "10101010")가 발생되며, 다음 프레밍 코드가 발생되며, 그후 문자방송 데이타 자체가 로드되어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같이, 페데스탈 레벨이 설정되고, "0" 비트가 상기 페데스탈 레벨에 세트되며, "1" 비트가 제 1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70% 의 화이트 레벨인 레벨로 세트된다.
상기 동작은 VTR 세트가 상기 시간동안 준비 모드로 유지되면서 문자방송 데이타의 각 라인에 대해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영상 데이타 압축에 있어서, 앞으로의 진보가 본 발명에 따라 조화될 수 있는 방식이 이하 기술된다.
현재, 한 프레임내의 데이타를 압축하는 인터-프레임 압축 시스템이 가정을 디지탈 VTR 용으로 적합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프레임당 10 기록 트랙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프레임당 필요한 테이프 트랙수가 10 트랙에서 5 트랙으로 감소되는 경우, 각 테이프의 기록 용량이 효과적으로 증배된다.
그러한 효과적인 압축 시스템은 인터-프레임 데이타 압축을 포함하는 것을 에상할 수 있다.
상기 압축 시스템이 이루어지는 경우, 두 프레임의 비디오 신호가 10 또는 12 트랙에 기록되지만, 각 프레임의 문자방송 정보 방송의 량이 변경됨을 예상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 프레임의 문자방송 데이타는 5 또는 6 트랙에서 기록될 수 있다.
60Hz 포맷과 관련하여, 32 × 35 의 전체 데이타 용량이 10 트랙에 제공된다. 각 프레임의 문자방송 용으로 사용되는 라인의 최대수가 16 이므로, 한 프레임의 문자방송 데이타는 5 트랙에서 만족스럽게 기록될 수 있다.
50Hz 의 포맷과 관련하여, 데이타의 량이 6Hz 포맷의 데이타 용량의 1.7 배인데, 이는 50Hz 포맷에서 문자방송 데이타용으로 사용되는 라인이 28 라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4 도의 기록 포맷을 이용하여 6 트랙에서 한 프레임의, 50Hz 문자방송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어렵다. 이 경우, 제 4 도에 도시된 "임의 영역"의 분분이 제 I5 도와 관련하여 기술되는 바와같이 문자방송 데이타용으로 사용된다.
제 15 도 도시와 같이, "A" 헤드 트랙 및 "B" 헤드 트랙의 임의 영역의 다른 각각의 부분이 문자방송 데이타 기록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문자방송 데이타가 기록되며, 재생될 서로 다른 영역이 사용될 헤드를 나타내는 디코딩 정보 및 버퍼링 유니트수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데이타 라인의 분배는 제 13 도 도시의 분배와 유사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종래 비디오 신호 기록 모드 및 타이머-작동식 기록 모드에 있어서, 소정의 채널 및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임의 소정의 문자방송 프로그램이 그러한 기록 모드를 인식하는 사용자 없이 자기테이프 등의 기록매체 상에서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여러 형태의 정보가 TV 방송 신호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들면, 주식 시장 데이타 등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서 수신 및 기록될 수 있다.
지금까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부속 청구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일탈치 않는 범위내에서의 당업자에 의한 여러가지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5)

  1. (정정) 문자방송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부분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 및 상기 비디오 부분과 함께 멀티플렉스 방식으로 전송된 문자방송 데이타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상기 비디오 부분을 기록매체상에 디지탈 비디오 데이타로서 기록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 수단과,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문자방송 데이타 신호를 추출하여 2 진 데이타 비트들로 구성된 추출된 문자방송 데이타를 공급하는 추출 수단 및 상기 추출된 문자방송 데이타의 상기 2 진 데이타 비트들을 상기 기록 매체상에 기록하는 문자방송 데이타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문자방송 신호 기록 장치.
  2.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의 상기 비디오 부분과 함께 전송된 상기 문자방송 데이타 신호는 1 비트의 동기화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비트 동기화 코드는 상기 기록 매체상에 기록되지 않는 문자방송 신호 기록 장치.
  3. (정정)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의 상기 비디오 부분과 함께 전송된 상기 문자방송 데이타 신호는 1 바이트의 동기화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문자방송 데이타 신호에 포함된 상기 바이트 동기화 코드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된 바이트 동기화 코드에 기초하여 국가 식별 번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방송 텔레비전 신호에 응답하여, 라인 번호 및 필드 번호를 발생하는 수단 및 상기 국가 식별 번호, 상기 라인 번호 및 상기 필드 번호를 상기 추출된 문자방송의 상기 2진 데이타 비트와 함께 상기 기록 매체상에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트 동기화 코드는 상기 기록 매체상에 기록되지 않는 문자방송 신호 기록 장치.
  4.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자기 테이프인 문자방송 신호 기록 장치
  5. (정정)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 기록 수단 및 상기 문자방송 데이타 기록 수단은 상기 디지탈 비디오 데이타 및 상기 추출된 문자방송 데이타의 상기 2진 데이타 비트가 기록되는 복수의 기록 트랙들을 형성하도록 상기 자기테이프를 스캔하는 복수의 회전 자기 헤드를 포함하는 문자방송 신호 기록 장치.
  6. (정정)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문자방송 데이타의 상기 2진 데이타 비트가 상기 디지탈 비디오 데이타가 산재된 데이타 바이트의 형태로 상기 복수의 기록 트랙 내 기록되는 문자 방송 신호 기록 장치.
  7. (정정) 자기 테이프상에 형성된 복수의 기록 트랙에 문자 방송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방송 비디오 신호의 각 프레임 내의 소정 라인들 각각에 소정 표준량의 문자 방송 데이타를 포함하는 방송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된 방송 비디오 신호에서 상기 문자방송 데이타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자기테이프상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기록 트랙들 각각에 소정의 고정량의 상기 추출된 문자방송 데이타를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록 트랙 각각에 기록된 상기 소정의 고정량의 상기 추출된 문자방송 데이타는 상기 방송 비디오 신호의 각 라인에 포함된 소정 표준량의 문자방송 데이타의 정수배가 아닌 문자방송 신호 기록 장치.
  8. (정정)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트랙들 각각의 내부에, 트랙킹 데이타가 기록되는 트랙킹 데이타 영역과, 오디오 데이타가 기록되는 오디오 데이타 영역과, 비디오 데이타가 기록되는 비디오 데이타 영역 및, 상기 비데오 데이타와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데이타 영역 내에 보조 데이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출된 문자방송 데이타는 상기 보조 데이타 영역에 기록되는 문자방송 신호 기록 장치.
  9. (정정)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문자방송 데이타는 상기 비디오 데이타가 산재된 데이타 바이트 형태로 상기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되는 문자방송 신호 기록 장치.
  10. (정정)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비디오 신호의 각 프레임에 포함된 문자방송 데이타는 상기 비디오 데이타가 산재된 데이타 바이트 형태로 복수의 트랙내에서 추출되어 반복적으로 기록되는 문자방송 신호 기록 장치.
  11. (정정) 문자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방송 신호가 비디오 신호와 함께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문자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수단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수단 및, 출력 비디오 신호의 선택된 라인에 삽입된 상기 문자방송 신호를 가지는 상기 출력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도록 상기 재생된 문자방송 신호와 상기 재생된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문자방송 신호 재생 장치.
  12. (정정)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자기테이프인 문자방송 신호 재생 장치.
  13. (정정)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수단 및 상기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수단은 상기 자기테이프를 스캔하는 복수의 자기 헤드들을 포함하는 문자방송 신호 재생 장치.
  14. (정정)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비디오 신호는 합성 비디오 신호인 문자방송 신호 재생 장치.
  15. (정정)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문자방송 신호가 삽입된 상기 출력 비디오 신호의 상기선택된 라인들은 상기 출력 비디오 신호의 수직 블랭킹 주기 내에 있는 문자방송 신호 재생 장치.
KR1019940002396A 1993-02-12 1994-02-08 문자방송신호기록및재생장치 KR100313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024297 1993-02-12
JP2429793 1993-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293A KR940020293A (ko) 1994-09-15
KR100313978B1 true KR100313978B1 (ko) 2001-12-28

Family

ID=1213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2396A KR100313978B1 (ko) 1993-02-12 1994-02-08 문자방송신호기록및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21712A (ko)
EP (1) EP0610864B1 (ko)
KR (1) KR100313978B1 (ko)
CA (1) CA2115521C (ko)
DE (1) DE6942806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35505T2 (de) * 1994-01-20 2008-02-21 Sony Corp.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ät für digitale Audio- und Videosignale
JP2931755B2 (ja) * 1994-04-14 1999-08-09 株式会社東芝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エンコード装置、データエンコード方法及びデータ再生システム
JP3528989B2 (ja) 1995-01-20 2004-05-2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多重化装置、データ多重化方法、多重化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多重化データ処理方法
DE69636648T2 (de) * 1995-04-14 2007-12-06 Kabushiki Kaisha Toshiba, Kawasaki Gerät zur Wiedergabe von einem Aufzeichnungsmedium
TW293981B (ko) * 1995-07-21 1996-12-21 Philips Electronics Nv
GB9605614D0 (en) * 1996-03-18 1996-05-22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ing and/or replaying teletext signals
EP1309190B1 (en) * 1996-09-11 2004-11-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data
WO1999021359A1 (en) * 1997-07-17 1999-04-29 Wavo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decoding data in a signal
GB9718322D0 (en) * 1997-08-30 1997-11-05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tape and apparatus for playing such a video tape
GB9802414D0 (en) * 1998-02-05 1998-04-01 Danmere Limited Processing and storage of TV signals
CN1867068A (zh)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TW465235B (en) 1998-09-17 2001-11-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digital storage
FR2796798B1 (fr) * 1999-07-19 2001-09-14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d'affichage d'en-tetes teletexte
US6657675B1 (en) * 2000-04-13 2003-12-02 Ndsp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non-standard video broadcast signals to display capable video signals
CN100397899C (zh) 2000-10-11 2008-06-25 联合视频制品公司 提供数据存储到点播媒体传递系统中服务器上的系统和方法
JP2003199045A (ja) * 2001-12-26 2003-07-11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記録信号の生成方法、情報信号の再生方法、情報信号の伝送方法、情報記録信号生成装置、情報信号再生装置、情報信号伝送装置、情報信号記録媒体、及び情報信号伝送用プログラム
US7493646B2 (en) 2003-01-30 2009-02-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and adjustable reminders
JP2004320081A (ja) * 2003-04-10 2004-11-11 Sony Corp 映像信号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映像信号出力装置及び方法
US7432981B1 (en) * 2004-12-13 2008-10-07 Nvidi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audio/video signals
KR101597382B1 (ko) * 2008-06-27 2016-02-24 스티롤루션 유럽 게엠베하 수축-랩 필름용 스티렌 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
US10063934B2 (en) 2008-11-25 2018-08-28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Reducing unicast session duration with restart TV
US8805418B2 (en) 2011-12-23 2014-08-1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5378B1 (en) * 1981-05-07 1987-07-29 THORN EMI Ferguson Limited Video recording equipment
US4520392A (en) * 1981-11-23 1985-05-2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Teletext reception indicator
GB2132856B (en) * 1982-10-29 1986-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ignal conversion method and video tape recorder employing the same method
DE3315740C2 (de) * 1983-04-30 1985-02-21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3000 Hannover Videorecorder mit Aufzeichnung eines Videotext-Signals
KR900006265B1 (ko) * 1984-04-12 1990-08-2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문자신호용 자기기록 재생장치
JPH01174180A (ja) * 1987-12-28 1989-07-10 Victor Co Of Japan Ltd 映像信号記録方法
JPH0246079A (ja) * 1988-08-05 1990-02-15 Mitsubishi Electric Corp 文字多重放送記録vtr
JPH0322776A (ja) * 1989-06-20 1991-01-31 Fujitsu General Ltd 文字信号の記録・再生アダプタ装置
US5287224A (en) * 1989-06-30 1994-02-15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rding a video signal having programs and control data
JPH0453375A (ja) * 1990-06-21 1992-02-20 Sony Corp 映像信号記録装置
JPH04246987A (ja) * 1991-01-31 1992-09-02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JP2524033B2 (ja) * 1991-11-01 1996-08-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信号磁気記録再生装置
TW221507B (ko) * 1992-06-16 1994-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15521A1 (en) 1994-08-13
KR940020293A (ko) 1994-09-15
EP0610864A3 (en) 1995-01-18
EP0610864B1 (en) 2001-08-29
CA2115521C (en) 2004-04-20
US5521712A (en) 1996-05-28
DE69428063T2 (de) 2002-03-21
EP0610864A2 (en) 1994-08-17
DE69428063D1 (de) 200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978B1 (ko) 문자방송신호기록및재생장치
EP0600496B1 (en) A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204978B1 (ko) 디지틀신호의 기록재생장치
US4159480A (en) Method of inserting an address signal in a video signal
KR100666285B1 (ko) 데이터복호화장치및데이터복호화방법
CN1200859A (zh) 屏上显示插入器
KR100329692B1 (ko) 디지털화상.음성신호기록재생장치
KR900008859B1 (ko) 자기 기록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JP329774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20070122122A1 (en) Digital vide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US5841941A (en) Encoded data strea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tape speed, channel number, and cylinder speed control in accordance with bit rate
US4748496A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to produce extended definition pictures
CN87103558A (zh) 与数字视频和音频信号一起记录和重放的时间编码信号
CA1117211A (en) Method of inserting an address signal in a video signal
US5565997A (en) Device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ting data multiplexed with video and/or audio signals
EP0673157A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321959B2 (ja) 文字放送信号の記録または記録再生装置、若しくは磁気記録または記録再生装置
JP3575041B2 (ja) ディジタル画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CA1124834A (en) Method of inserting an address signal in a video signal
JP3572651B2 (ja) ディジタル画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3582130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US55899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deo signal producing an unviewable display from a videotape recording thereof
JP3582129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CN1917615B (zh) 屏上显示插入器
KR100271058B1 (ko) D-vhs에서의 손상된 시간 스탬프 감지 방법(method for detecting damaged timestamp in a digital vh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