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975B1 -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공정에서 절연막 파괴를 방지할 수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공정에서 절연막 파괴를 방지할 수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975B1
KR100312975B1 KR1019990065776A KR19990065776A KR100312975B1 KR 100312975 B1 KR100312975 B1 KR 100312975B1 KR 1019990065776 A KR1019990065776 A KR 1019990065776A KR 19990065776 A KR19990065776 A KR 19990065776A KR 100312975 B1 KR100312975 B1 KR 10031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film
wafer
patter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5820A (ko
Inventor
우성수
송정호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65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975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05Etching inorganic layers
    • H01L21/31111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01L21/31116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by dry-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01L21/32136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using plasm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공정에서 절연막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웨이퍼 가장자리의 전도막과 반도체 웨이퍼를 연결하여 접지시키는데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소자분리 산화막 형성 과정에서 웨이퍼 가장자리 영역에 종래 보다 크기가 큰 산화방지 마스크를 형성하여 소자분리 산화막의 크기를 줄이고, 이에 의해 이후 웨이퍼 상에 형성되는 전도막과 소자분리 산화막이 형성되지 않은 반도체 웨이퍼 영역을 연결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공정에서 절연막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islulating layer breakdown during plasma etch}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 공정에서 발생하는 절연막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1a 내지 도1e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과정 중 웨이퍼 가장자리 부분에 적층되는 패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1a는 반도체 웨이퍼(10) 상에 소자분리 영역을 노출시키는 산화방지 마스크(M1) 패턴을 형성한 것을 보이고 있다.
도1b는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웨이퍼(10)에 소자분리 산화막(11)을 형성하고, 산화방지 마스크(M1)를 제거한 다음, 그 일단부가 소자분리 산화막(11)과 접하는 제1 절연막(12) 패턴을 형성하고, 전체 구조 상에 제1 전도막(13)을 형성하고, 제1 전도막(13) 상에 패턴 형상을 정의하는 식각마스크(M2)를 형성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1c는 제1 전도막(13)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1 절연막(12) 패턴 상에 제1 전도막(13) 패턴을 형성하고, 식각마스크(M2)를 제거한 다음 전체 구조를 덮는 제2 절연막(13)을 형성하고, 제2 절연막(13) 상에 식각마스크(M3)를 형성한 것을나타내고 있다.
도1d는 제2 절연막(13)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1 전도막(13) 패턴 및 제1 절연막(12) 패턴을 덮으며 그 일단부가 반도체 웨이퍼(10)와 접하는 제2 절연막(13) 패턴을 형성한 다음 식각마스크(M3)를 제거하고 전체 구조 상에 제2 전도막(15)을 형성한 후 제2 전도막(15) 상에 패턴 형상을 정의하는 식각마스크(M4)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1e는 제2 전도막(15)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2 절연막(13) 패턴 상에 제2 전도막(15) 패턴을 형성하고 전체 구조 상에 제3 절연막(16)을 형성한 것을 보이는 단면도로서, 이후 실시되는 플라즈마(100) 식각 공정에서 제3 절연막(16)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2를 참조하여 전술한 종래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의 문제점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와 같이 실리콘 기판(20) 상에 산화막 또는 질화막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절연막(21), 폴리실리콘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도막(22) 그리고 산화막 또는 포토레지스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절연막(23)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라즈마(100)를 이용한 식각이 진행되면, 플라즈마(100)에 기인하여 생성된 전하에 의해 제2 절연막(23)의 표면이 대전되고 제1 절연막(21)과 제2 절연막(23)으로 둘러싸여 플로팅(floating) 되어 있는 전도막(12)에 의해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제1 절연막(21)이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도3a 및 도3b는 절연막 파괴가 일어난 상태를 보이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도4는 절연막 파괴가 발생된 영역의 단면을 보이는 SEM 사진이다.
이와 같이 절연막 파괴가 일어난 영역은 오염원(particle source)으로 작용하여 장비 오염, 수율 저하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공정에서 절연막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a 내지 도1e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과정에서 웨이퍼 가장자리 부분을 보이는 공정 단면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3a 및 도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 절연막이 파괴 된 부분을 보이는 광학현미경 사진,
도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 절연막이 파괴된 부분의 단면을 보이는 SEM 사진,
도5a 내지 도5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과정에서 웨이퍼 가장자리 부분을 보이는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50: 반도체 웨이퍼 51: 소자분리 산화막
52, 54, 56: 절연막 53, 55: 전도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에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면서, 상기 웨이퍼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웨이퍼 중심부 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1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제1 단계; 그 일단부가 상기 웨이퍼 가장자리 표면에 중첩되는 제1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가 완료된 전체 구조 상에 제1 전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전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1 절연막 패턴 사이에 노출된 상기 웨이퍼 표면과 그 일단부가 접하는 제1 전도막 패턴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가 완료된 전체 구조 상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 후, 상기 제2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1 전도막 패턴 사이에 노출되는 상기 웨이퍼 표면과 그 일단부가 접하는 제2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가 완료된 전체 구조 상에 제2 전도막을 증착하고 상기 제2 전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2 절연막 패턴 사이에 노출된 상기 웨이퍼 표면과 그 일단부가 접하는 제2 전도막 패턴을 형성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제6 단계가 완료된 전체 구조 상에 제3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3 단계 또는 상기 제7 단계 후,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웨이퍼 가장자리의 전도막과 반도체 웨이퍼를 연결하여 접지시킴으로써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과정에서 절연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소자분리 산화막 형성 과정에서 반도체 웨이퍼 가장자리 제거(edge bead remove) 영역에 종래 보다 크기가 큰 산화방지 패턴을 형성하여 소자분리 산화막의 크기를 줄이고, 이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 상에 형성되는 전도막과 소자분리 산화막이 형성되지 않은 반도체 웨이퍼 영역을 연결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5a 내지 도5e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a 내지 도5e는 웨이퍼 가장자리 부분을 보이는공정단면도이다.
먼저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50) 상에 소자분리 영역을 노출시키는 산화방지 마스크(M5) 패턴을 형성한다. 도1a에 도시한 종래 산화방지 마스크(M1) 패턴 보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 마스크(M5) 패턴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반도체 웨이퍼(50) 가장자리가 보다 많이 덮이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웨이퍼(50)에 소자분리 산화막(51)을 형성하고, 산화방지 마스크(M5)를 제거한 다음, 그 단부가 반도체 웨이퍼(50) 표면과 접하는 제1 절연막(52) 패턴을 형성하고, 전체 구조 상에 제1 전도막(53)을 형성하고, 패턴 형상을 정의하는 식각마스크(M6)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도막(53)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1 절연막(52)의 일부를 덮으며 그 일단부가 제1 절연막(52)과 소자분리 산화막(51) 사이에 노출된 반도체 웨이퍼(50)와 접하는 제1 전도막(53) 패턴을 형성하고, 식각마스크(M6)를 제거한 다음 전체 구조를 덮는 제2 절연막(53)을 형성하고, 제2 절연막(53) 상에 식각마스크(M7)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절연막(53)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1 전도막(53) 패턴 상부와 측면을 덮으며 그 일단부가 제1 전도막(53) 패턴과 소자분리 산화막 사이에 노출된 반도체 웨이퍼(50)와 접하는 제2 절연막(53) 패턴을 형성한 다음 식각마스크(M3)를 제거하고 전체 구조 상에 제2 전도막(55)을 형성한 후 제2 전도막(55) 상에 패턴 형상을 정의하는 식각마스크(M8)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도막(55)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2 절연막(53)의 일부를 덮으며 그 일단부가 제2 절연막(53) 패턴과 소자분리 산화막(51) 사이에 노출된 반도체 웨이퍼(50)와 접하는 제2 전도막(55) 패턴을 형성하고 전체 구조 상에 제3 절연막(56)을 형성한다. 도5e는 후속적으로 실시되는 플라즈마(100) 식각 공정에서 제3 절연막(56)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함께 보이고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 전도막(53) 및 제2 전도막(55)을 반도체 웨이퍼(50)와 접하게 하여, 즉 제1 전도막(53)과 제2 전도막(55)이 플로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후속되는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서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절연막 파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서 절연막이 파괴되는 것을 억제하여 오염원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장비 오염에 따른 제조 수율 저하를 막을 수 있다.

Claims (3)

  1.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웨이퍼에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면서, 상기 웨이퍼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웨이퍼 중심부 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1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제1 단계;
    그 일단부가 상기 웨이퍼 가장자리 표면에 중첩되는 제1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가 완료된 전체 구조 상에 제1 전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전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1 절연막 패턴 사이에 노출된 상기 웨이퍼 표면과 그 일단부가 접하는 제1 전도막 패턴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가 완료된 전체 구조 상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후,
    상기 제2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1 전도막 패턴 사이에 노출되는 상기 웨이퍼 표면과 그 일단부가 접하는 제2 절연막패턴을 형성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가 완료된 전체 구조 상에 제2 전도막을 증착하고 상기 제2 전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2 절연막 패턴 사이에 노출된 상기 웨이퍼 표면과 그 일단부가 접하는 제2 전도막 패턴을 형성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제6 단계가 완료된 전체 구조 상에 제3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또는 상기 제7 단계 후,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19990065776A 1999-12-30 1999-12-30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공정에서 절연막 파괴를 방지할 수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31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776A KR100312975B1 (ko) 1999-12-30 1999-12-30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공정에서 절연막 파괴를 방지할 수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776A KR100312975B1 (ko) 1999-12-30 1999-12-30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공정에서 절연막 파괴를 방지할 수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820A KR20010065820A (ko) 2001-07-11
KR100312975B1 true KR100312975B1 (ko) 2001-11-07

Family

ID=1963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776A KR100312975B1 (ko) 1999-12-30 1999-12-30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공정에서 절연막 파괴를 방지할 수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9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820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43061B2 (ja) 少なくとも2つの導電性エレメントを含む集積回路内の構造およびその製造の方法
US5162261A (en) Method of forming a via having sloped sidewalls
US20040043590A1 (en) Method for semiconductor gate line dimension reduction
JPH0697297A (ja) コンタクトを有する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12975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공정에서 절연막 파괴를 방지할 수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JP3315064B2 (ja) 集積回路の製造方法
KR100613281B1 (ko) 박막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0165453B1 (ko) Y자형 트랜치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분리 방법
US6171938B1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of lower layer using insulating layer resided in opening
KR100208450B1 (ko)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 방법
JPH09813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016650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JPH10409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94996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JP2715877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926048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40060560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및 구조
KR014072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H11214678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54190B1 (ko) 반도체 소자의 텅스텐-플러그 형성방법
KR20030001965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2004003344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JP2004228231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33315B1 (en) Removing silicon oxynitride of polysilicon gates in fabricating integrated circuits
KR100209279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