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480B1 - 영상 포맷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포맷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480B1
KR100311480B1 KR1019990044064A KR19990044064A KR100311480B1 KR 100311480 B1 KR100311480 B1 KR 100311480B1 KR 1019990044064 A KR1019990044064 A KR 1019990044064A KR 19990044064 A KR19990044064 A KR 19990044064A KR 100311480 B1 KR100311480 B1 KR 100311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line
image
vertical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875A (ko
Inventor
한동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44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480B1/ko
Priority to US09/685,613 priority patent/US6667773B1/en
Publication of KR20010036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one of the standards being a high definition stand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영상 포맷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되는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하여 출력 크기로 변환한 후 라인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라인 메모리의 영상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의 포맷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고화질 영상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영상을 NTSC나 표준 화질 영상으로 변화시킬 때에 필요한 라인 메모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의 포맷 변환시 한 라인의 영상 데이터를 수평 방향으로 여러 부분으로 나눈 후 하나의 수평 포맷 변환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라인을 시분할 포맷 변환함으로써,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양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포맷 변환 장치{Apparatus for conversing image format}
본 발명은 디지털 TV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 영상을 다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 포맷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TV의 도입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TV에 비해서 보다 다양한 종류의 영상들이 입력되고 또한, 출력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입력 영상을 다른 크기의 출력 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포맷 변환 장치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게 된다.
또한, 다양한 포맷의 영상을 기존의 NTSC 화면에 출력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화질 영상 포맷을 NTSC 영상 크기로 포맷 변환할 때 일반적인 포맷 변환 장치를 이용하면 불필요한 메모리가 낭비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일반적인 포맷 변환 장치의 일 예이다.
즉, 입력 영상은 다수개로 구성된 라인 메모리(101)에 저장된 후 수직 필터(102)로 입력된다. 상기 수직 필터(102)는 입력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축소시키는 경우에 입력되는 영상의 대역폭을 제한하여 출력 영상에서 생길 수 있는 앨리어싱(aliasing)을 방지한다.
그리고, 수직 포맷 변환부(103)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필터링된 영상 데이터들을 출력 크기에 맞게 수직 방향의 포맷 변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수평 필터(104)로 입력되는데, 상기 수평 필터(104)도 마찬가지로 입력되는 영상의 대역폭을 제한하여 출력 영상에서 생길 수 있는 앨리어싱(aliasing)을 방지한다. 상기 수평 방향으로 필터링된 영상 데이타들은 출력 크기에 맞게 수평 포맷 변환부(105)에서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된다.
그러나, 상기된 도 1의 포맷 변환 장치는 고화질 영상에 해당하는 라인 메모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메모리의 낭비가 크게 된다. 즉, 상기 각 라인 메모리의 크기는 포맷 변환되지 않은 입력 영상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므로 커지게 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 버퍼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좋은 NTSC 화질을 얻기 위해서 여러 탭의 수직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대역폭이 매우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하여 라인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라인 메모리의 영상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으로 포맷 변환함으로써, 라인 메모리의 크기를 줄이는 영상 포맷 변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 포맷 변환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포맷 변환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의 (a),(b)는 도 2에서 라인 수 정보가 '1'인 경우의 수평 포맷 변환의 예를 보인 타이밍도
도 4의 (a) 내지 (c)는 도 2에서 라인 수 정보가 '2'인 경우의 시분할 수평 포맷 변환의 예를 보인 타이밍도
도 5의 (a) 내지 (c)는 도 2의 데이터 분류부의 동작 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수평 필터 202 : 수평 포맷 변환부
203 : 라인 메모리 204 : 데이터 분류부
205 : 수직 필터 206 : 수직 방향 필터
207 : 영역 분할 제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포맷 변환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 크기에 맞게 수직 방향으로 포맷 변환하며, 다음 수평 동기 구간에서 수직 포맷 변환시 필요한 입력 영상의 라인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직 포맷 변환부와, 상기 입력받은 라인 수 정보를 이용하여 각 라인을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기 위한 영역 분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영역 분할 제어부와, 상기 영역 분할 제어부의 영역 분할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시분할하여 포맷 변환하는 수평 포맷 변환부와, 상기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며 수직 방향 포맷 변환을 위해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수직 포맷 변환부로 출력하는 라인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포맷 변환부는 상기 수직 포맷 변환부에서 제공되는 라인 수만큼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역 분할 제어부의 영역 분할 제어 신호에 의해 시분할한 후 다음 수평 동기 구간에 번갈아가며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하며, 이때 각 라인은 상기 입력 영상의 라인 수만큼 수평 방향으로 시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하여 출력 크기로 변환한 후 라인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라인 메모리의 영상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으로 포맷 변환함으로써, 디지털 TV에서 사용하는 고화질 영상 포맷을 포함한 여러 가지 크기의 입력 영상을 NTSC나 표준 화질 영상 포맷으로 줄여서 출력시키는 경우 필요한 메모리 대역폭 및 영상 처리에 필요한 라인 메모리의 양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포맷 변환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수평 필터(201), 수평 포맷 변환부(202), 라인 메모리(203), 데이터 분류부(204), 수직 필터(205), 및 수직 포맷 변환부(206)의 순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미설명된 영역 분할 제어부(207)는 상기 수직 포맷 변환부(206)로부터 제공되는 라인 수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의 수평 라인을 적절히 분할하여 포맷 변환하는데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영역 분할 제어부(207)는 다음 수평 동기 구간에서 수직 포맷 변환시 필요한 입력 영상의 라인 수에 대한 정보를 수직 포맷 변환부(206)로부터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받은 라인 수 정보를 이용하여 수평 방향 필터(201)와 수평 포맷 변환부(202)에 적절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만일, 입력 영상의 라인 수 정보가 '1'인 경우는 다음 수평 동기 구간에 한 라인의 입력 영상이 수평 포맷 변환부(202)에서 처리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입력 영상의 한 개의 라인을 영역 분할하지 않고 도 3과 같은 타이밍으로 수평 포맷 변환하면 된다. 즉, 수평 동기 신호의 영역 'B'에 필요한 영상 데이터가 도 3의 (b)의 'mb' 구간에서 수평 포맷 변환되는데, 입력 영상의 수평 방향 크기를 출력 영상의 수평 방향 크기로 포맷 변환한다.
한편, 입력 영상의 라인 수 정보가 '2'인 경우는 다음 수평 동기 구간에 두 라인(예, 라인 m, n)의 입력 영상이 처리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입력 영상의 두 개의 라인을 도 4와 같은 타이밍으로 영역 분할하여 처리한다. 즉, 수평 동기 신호의 영역 'B-0'에 필요한 영상 데이터가 도 4의 (b),(c)의 'mb-0' 구간 및 'nb-0' 구간에서 수평 포맷 변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 포맷 변환부(202)는 영역 분할 제어부(207)에서 입력되는 영역 분할 신호에 맞추어 수평 방향의 포맷 변환을 수행한다. 일 예로, 다음 수평 동기 신호에 두 개의 라인이 입력될 경우 도 4와 같이 두 개의 라인을 분할한 후 번갈아 가면서 포맷 변환을 수행한다. 즉, 맨 처음에는 'm' 라인의 앞부분(예, mb-0)에 대해서 포맷 변환을 수행하고 그 다음에는 'n'라인의 앞 부분(예, nb-0)에대해서 포맷 변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m' 라인의 뒷부분(예, mb-1), 'n' 라인의 뒷부분(예, nb-1)의 순으로 포맷 변환을 수행한다.
만일, 라인 수 정보가 2이상인데 시분할하여 번갈아 가면서 포맷 변환을 수행하지 않으면 'mb-0'의 영역을 'A-1'의 끝 부분에 위치시켜야 하며 이것은 전체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게 한다. 특히, 여러 라인의 영상이 처리되어야 할 때에는 수평 동기 구간이 '0'인 구간에서 많은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수평 포맷 변환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처리하지 않으면 실제적으로 구현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입력 영상의 라인 수 정보에 따라 입력 영상의 수평 라인을 시간축으로 여러 개 분리한 후 번갈아 가면서 순차적으로 포맷 변환함으로써, 하나의 수평 포맷 변환부(202)를 이용하여 여러개 라인에 대한 포맷 변환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mb-0' 구간을 예로 들면, 'mb-0' 구간의 끝 부분이 점선보다 늦게 끝나야 한다.
만일, 'mb-0' 구간을 조금 앞당겨서 'mb-0' 구간의 끝 부분이 점선보다 앞서서 끝나게 되면 비정상적인 영상이 출력되게 된다. 왜냐하면, 이러한 경우는 수평 동기 신호의 'A-0' 구간에서 수직 포맷 변환이 끝나지 않았는데 다음 라인의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이기 때문이다. 이때는 출력 영상의 중앙 부분에서 비정상적인 세로줄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경우로서, 구간 'mb-1'의 끝 지점이 구간 'A-1'의 끝 지점보다 느려야 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출력 영상의 오른쪽 끝부분에서 비정상적인 세로줄이 나타나게 된다. 이것은 입력 영상의 라인 수 정보가 '1'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mb' 구간을 예로 들면, 'mb' 구간의 끝 지점이 수평 동기 신호 구간 'A'의 끝 지점(즉, 점선 부분)보다 느려야 한다.
한편, 수평 방향 필터(201)는 수평 포맷 변환에 앞서서 입력되는 영상의 대역폭을 제한하여 출력 영상에서 생길 수 있는 앨리어싱(aliasing)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수평 포맷 변환부(202)는 수평 방향의 영역 분할 시 상기 수평 방향 필터(201)를 고려하여 영역 분할하여야 한다. 즉, 수평 방향으로 조금씩 중복되게 영역을 분할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영역을 분할하지 않고 수행한 포맷 변환 결과와 영역을 분할하여 수행한 포맷 변환 결과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로 구성된 라인 메모리들(203)은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한 결과를 저장하는데, 각 라인 메모리의 크기는 포맷 변환된 출력 영상의 수평 방향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라인 메모리의 개수는 뒷단의 수직 필터(205)의 탭수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입력 영상의 크기가 출력 영상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는 입력부에 라인 메모리를 갖는 것이 유리하며 이와 반대로 입력 영상의 크기가 출력 영상의 크기보다 클 경우는 본 발명에서처럼 출력부에 라인 메모리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상기 라인 메모리(203)에는 도 5와 같이 입력되는 순서대로 영상들이 저장된다. 그렇지만 출력될 때에는 수직 방향 필터링에 맞게 출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영상 데이터를 적절히 수직 방향 필터에 제공해주는 데이터 분류부(datasorter)(204)가 사용된다. 즉, 라인 메모리(203)에 저장되는 입력 영상의 라인 번호와 데이터 분류부(204)를 통과하여 출력되는 라인 번호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처음에 각 라인 메모리(203-1∼203-6)에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된 라인 a에서 라인 f까지의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었다고 가정하면, 다음 수평 동기 구간에 라인 a 내지 f의 데이터가 데이터 분류부(204)를 통해 출력되고 상기 라인 a,b의 데이터가 있던 라인 메모리에는 라인 g,h의 데이터가 순차 저장된다. 그 다음 수평 동기 구간에는 라인 a,b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던 라인 메모리에 라인 g,h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만 라인 c부터 h의 데이터가 데이터 분류부(204)를 통해 순차 출력되고 상기 라인 c,d의 데이터가 있던 라인 메모리에는 라인 i,j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 분류부(204)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수직 방향 필터(205)로 입력되고, 상기 수직 방향 필터(205)는 수직 포맷 변환에 앞서서 입력되는 영상의 대역폭을 제한하여 출력 영상에서 생길 수 있는 앨리어싱을 방지한다.
그리고, 수직 포맷 변환부(206)는 수평 동기 신호에 맞추어 수직 방향의 포맷 변환을 수행한다. 또한, 다음 수평 동기 신호에 필요한 입력 영상의 라인 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영역 분할 제어부(207)에 제공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TV에서 사용하는 고화질 영상 포맷을 포함한 여러 가지 크기의 입력 영상을 NTSC나 표준 화질 영상 포맷으로 줄여서 출력시키는데 필요한 메모리 대역폭 및 영상 처리에 필요한 라인 메모리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포맷 변환 장치에 의하면, 입력되는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하여 출력 크기로 변환한 후 라인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라인 메모리의 영상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의 포맷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고화질 영상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영상을 NTSC나 표준 화질 영상으로 변화시킬 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필요한 라인 메모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의 포맷 변환시 한 라인의 영상 데이터를 수평 방향으로 여러 부분으로 나눈 후 하나의 수평 포맷 변환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라인을 시분할 포맷 변환함으로써,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양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출력 기준의 라인 메모리와 시분할 포맷 변환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메모리의 대역폭을 증가시키지 않고 최소의 메모리 대역폭으로 포맷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 크기에 맞게 수직 방향으로 포맷 변환하며, 다음 수평 동기 구간에서 수직 포맷 변환시 필요한 입력 영상의 라인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직 포맷 변환부;
    상기 입력받은 라인 수 정보를 이용하여 각 라인을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기 위한 영역 분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영역 분할 제어부;
    상기 영역 분할 제어부의 영역 분할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시분할하여 포맷 변환하는 수평 포맷 변환부; 그리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며 수직 방향 포맷 변환을 위해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수직 포맷 변환부로 출력하는 라인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포맷 변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포맷 변환부와 수직 포맷 변환부의 전단에는 입력되는 영상의 대역폭을 제한하는 수평, 수직 필터가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포맷 변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메모리부는 다수개의 라인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라인 메모리의 개수는 뒷단의 수직 필터의 탭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포맷 변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라인 메모리의 크기는 출력 영상의 수평 방향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포맷 변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포맷 변환부는
    상기 수직 포맷 변환부에서 제공되는 라인 수만큼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역 분할 제어부의 영역 분할 제어 신호에 의해 시분할한 후 다음 수평 동기 구간에 번갈아가며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포맷 변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포맷 변환부는
    각 라인은 상기 입력 영상의 라인 수만큼 수평 방향으로 시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포맷 변환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라인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저장 순서대로 분류하여 수직 필터로 출력하는 데이터 분류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포맷 변환장치.
KR1019990044064A 1999-10-12 1999-10-12 영상 포맷 변환 장치 KR100311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064A KR100311480B1 (ko) 1999-10-12 1999-10-12 영상 포맷 변환 장치
US09/685,613 US6667773B1 (en) 1999-10-12 2000-10-11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at converting vide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064A KR100311480B1 (ko) 1999-10-12 1999-10-12 영상 포맷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875A KR20010036875A (ko) 2001-05-07
KR100311480B1 true KR100311480B1 (ko) 2001-10-18

Family

ID=1961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064A KR100311480B1 (ko) 1999-10-12 1999-10-12 영상 포맷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67773B1 (ko)
KR (1) KR100311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6733A (ja) * 1999-11-30 2001-06-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ビデオ信号の補間方法及びビデオ信号補間機能を有する表示装置
KR100386579B1 (ko) * 2000-07-18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소스용 포맷 변환 장치
KR100423455B1 (ko) * 2001-10-24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60617A (ko) * 2002-01-10 2003-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 구조 포맷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404217B1 (ko) * 2002-01-10 200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속 처리 포맷 변환 장치
JP2003274372A (ja) * 2002-03-14 2003-09-26 Fujitsu Ltd ラインメモリの容量を小さくした画像フォーマット変換装置
AU2003233539A1 (en) * 2002-05-17 2003-12-12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system for vfc memory management
JP4035408B2 (ja) * 2002-09-10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解像度変換装置及び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0940203B1 (ko) * 2003-02-18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그먼트 기반의 화소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060158557A1 (en) * 2005-01-20 2006-07-20 Shang-Chieh W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processing
KR100817052B1 (ko) * 2006-01-10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높은 메모리 대역폭을 요구하지 않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및 영상 신호 처리 방법
JP5668297B2 (ja) * 2010-03-01 2015-0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2247741B1 (ko) 2014-12-04 2021-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프로세서,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4450A (en) * 1995-12-06 2000-05-16 Thomson Licensing S.A. Digital video preprocessor horizontal and vertical filters
US5864367A (en) * 1996-08-23 1999-01-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ideo processing system with scan-line video processor
JP3953561B2 (ja) * 1996-10-15 2007-08-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信号のフォーマット変換信号処理方法及び回路
US5963262A (en) * 1997-06-30 1999-10-05 Cirrus Logic, Inc. System and method for scaling images and reducing flicker in interlaced television images converted from non-interlaced computer graphics data
KR100435257B1 (ko) * 1997-08-07 200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 처리 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포맷 변환장치 및 방법
US6061094A (en) * 1997-11-12 2000-05-09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ing and reducing flicker with dynamic coefficient weighting
US6353459B1 (en) * 1999-03-31 2002-03-05 Teralog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 conversion of video data
KR100311478B1 (ko) * 1999-10-01 2001-10-18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포맷 변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875A (ko) 2001-05-07
US6667773B1 (en) 200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7197A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data into video processor
US6388711B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format for digital television
US5587742A (en) Flexible parallel processing architecture for video resizing
KR100311480B1 (ko) 영상 포맷 변환 장치
JP2673386B2 (ja) 映像表示装置
US200300388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uter-compatible fully synchronized audio/video information
KR20020007707A (ko) 멀티 소스용 포맷 변환 장치
GB2100953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a non-interlaced video signal into an interlaced video signal
US5469228A (en) Memory address and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high definition television
US6084568A (en) System and methods for both 2-tap and 3-tap flicker filtering of non-interlaced computer graphics to interlaced lines for television display
US5920354A (en) HDTV to NTSC transcoder system
JPH07240891A (ja) 空間光変調器を用いた表示装置のためのディジタル・メモリ
KR100287866B1 (ko) 수직 영상 포맷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수신 시스템
JPH10276411A (ja) インタレース/プログレッシブ走査変換回路
EP1401203B1 (en) Method of realizing combination of multi-sets of multiple digital images and bus interface technique
KR100404217B1 (ko) 배속 처리 포맷 변환 장치
KR100339401B1 (ko) 포맷 변환 장치
JP2003274372A (ja) ラインメモリの容量を小さくした画像フォーマット変換装置
KR200283945Y1 (ko) 화질 열화 방지가 가능한 다중 화면 분할기
JP2576032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JPH0638024A (ja) 画像処理装置
JPH09187036A (ja) ビデオ・データを処理し得るシステム
JP2780675B2 (ja) Hd−ws変換装置
JPH06311453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1256880A (ja) ビデオフォーマット信号の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