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200B1 - 세라마이드를함유하는저점도미니에멀젼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세라마이드를함유하는저점도미니에멀젼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200B1
KR100311200B1 KR1019980053702A KR19980053702A KR100311200B1 KR 100311200 B1 KR100311200 B1 KR 100311200B1 KR 1019980053702 A KR1019980053702 A KR 1019980053702A KR 19980053702 A KR19980053702 A KR 19980053702A KR 100311200 B1 KR100311200 B1 KR 100311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eramide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low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637A (ko
Inventor
홍승기
양재찬
윤명석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8005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200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2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1 내지 20 중량% (A), 왁스 0.1 내지 5 중량% (B), 계면활성제 0.5 내지 5 중량% (C), 세라마이드 유도체 0.001 내지 2 중량% 및 고급알코올 0.1 내지 5 중량%, 및 임의로 콜레스테롤 유도체 0.1 내지 2 중량%의 혼합물 (D)을 함유하며, [(A)+(B)]/[(C)+(D)]의 비가 0.5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에멀젼 입자크기 0.05 내지 1마이크로미터의 미세한 저점성 (20cPs 이하)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장기 보존 안정성이 탁월하며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경피흡수 속효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저점도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저점도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면서 에멀젼 입자크기가 미세한 저점성의 (20cps 이하) 에멀젼으로써 장기 보존 안정성이 뛰어나며 피부에 도포시 사용성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피부자극이 거의 없고 경피흡수 속효성이 탁월한 외관이 푸른기가 도는 백탁의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수와 크림의 중간형태로 유동성이 있는 에멀젼은 유분함량이 3 내지 40% 이고, 바니싱, 에몰리엔트 크림은 10 내지 50% 이며, 마사지, 클렌징 크림은 이 보다 조금 더 많다(참조: 光井武夫. 新化粧品學, 南山堂 1993).
에멀젼은 입자 크기에 따라 마이크로에멀젼(5 내지 100nm), 미니에멀젼(100 내지 1000nm), 매크로에멀젼(1000nm 이상)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세라마이드는 피부표피층중 외피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성분이며,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이 있는 지질 불투과성막을 형성하고 보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화장품의 효능으로는 건강한 피부 구조와 조직을 더욱 개선하며, 특히 각질층 지질의 라멜라구조를 개선하여 손상된 피부회복 및 보호기능을 강화한다. 세라마이드와오일을 다량 함유하면서 에멀젼 입자가 미세한 저점성의 특징을 갖는 미니 에멀젼은 경피흡수 속효성이 뛰어나 화장품뿐만 아니라 의약품 등에 널리 이용될 수 있으므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나 제형상 완성의 어려운 점으로 인해 상업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세라마이드는 정제수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나쁘기 때문에 저점도의 미니에멀젼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아 그 사용량의 제한과 경시에 따른 부유 등의 문제점이 있다. 세라마이드에 대한 기존의 특허 (미국특허 5368857)는 세라마이드를 용해하는데 많은 양의 에스테르유(30 내지 95 중량%)가 사용되었으므로 이것을 직접 백탁의 저점도 미니에멀젼에 사용하는데는 부적절하다.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면서 에멀젼 입자크기가 작은 저점성의 특징을 갖는 미니에멀젼의 제조는 종래의 일반적인 유화방법으로는 보존 안정성이 극히 나쁘고 계면활성제 양이 많아지게 되어 피부자극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용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보존 안정성의 문제로 인하여 카르복시비닐폴리머와 같은 수용성 폴리머를 사용하므로서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나 점성은 1000cps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기존의 유화방법으로는 제형화시키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페터슨(Peterson), 해밀(Hamill), 맥크마혼(Macmahon) 등은 글리세린과 올리브유를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여러 가지 계면활성제를 혼용하여 유화시키는 새로운 유화방법을 도입하여 에멀젼을 만들었으나 안정한 에멀젼을 만들지는 못하였다. 또 다른 것으로는 일본특개소 57-29213, 일본특개평 7-20543 등이 있다. 이들은 수용성 용매에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먼저 용해시킨 후 오일을 첨가하여 일차적으로 에멀젼을 제조한 후 다음 단계로 물을 첨가하여 최종 에멀젼을 만들었다. 이들은 물이나 오일이 아닌 수용성 용매인 다가 알코올에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킴으로서 최종 에멀젼의 제조시 오일과 물의 계면장력을 상당히 낮춰 계면활성제가 계면에 효율적으로 배향하게 함으로서 비교적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형을 완성하였으나 단기 보존 안정성밖에 확보하지 못함으로서 실질적인 상업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정제수에 불용성인 세라마이드를 함유하고 장기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며 경피흡수 효율성이 좋은 저점성의 미니에멀젼을 완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오일, 왁스, 계면활성제, 세라마이드 유도체, 저급알코올, 임의로 콜레스테롤 유도체를 함유하는 미니에멀젼 조성물이 장기 보존 안정성이 탁월하며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경피흡수 속효성이 우수함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조성물이 일반적으로 에멀젼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용성 점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장기보존 안정성이 뛰어난 것은 고급 알코올과 계면활성제를 계면에 효율적으로 배향시켰을 뿐만 아니라 에멀젼 입자들이 브라운 운동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계면막을 튼튼하게 해주는 보조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여 장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오일 1 내지 20 중량% (A), 왁스 0.1 내지 5 중량% (B), 계면활성제 0.5 내지 5 중량% (C), 세라마이드 유도체 0.001 내지 2 중량% 및 고급알코올 0.1 내지5 중량%, 및 임의로 콜레스테롤 유도체 0.1 내지 2 중량%의 혼합물 (D)을 함유하며, [(A)+(B)]/[(C)+(D)]의 비가 0.5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보존 안정성, 사용 편리성 및 경피 흡수 속효성이 뛰어난 에멀젼 입자크기 0.05 내지 1마이크로미터의 저점성 미니에멀젼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A)+(B)]/[(C)+(D)]의 비는 1 내지 3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A)+(B)]/[(C)+(D)]의 비가 0.5 미만인 조성물은 오일에 비하여 계면활성제의 함량비가 높아 너무 자극적이며, 미니에멀젼이 아닌 가용화 타입의 화장수가 만들어진다. 또한 [(A)+(B)]/[(C)+(D)] 의 비가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일에 비하여 계면활성제의 양이 너무 적어 계면에 제대로 배향을 못한 여분의 오일들이 표면으로 부유하여 제형의 안정성이 극히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1 내지 6중에서 선택된 1 종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콜레스테롤 유도체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및 콜레스테롤 에테르중에서 선택된 1 종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오일로는 식물성, 광물성, 실리콘유, 합성유중에서 선택된 1 종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왁스는 동, 식물성 왁스중에서 선택된 1 종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급알코올은 탄소수 12 내지 20인 알코올중에서 선택된 1 종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유상과 수상으로 나누어 각각 70 내지 90℃로 가열한 후 유상을 수상에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교반하는 종래의 유화방법에 따라 장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저점성의 미니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유동파라핀호호바유페닐트리메치콘스테아레쓰-20스테아레쓰-15세틸알코올스테아릴알코올콜레스테롤비즈왁스세라마이드-1세라마이드-31,3-부틸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농글리세린알부틴에탄올방부제향색소정제수 7.02.01.02.5-0.50.5-0.20.10.10.2-1.51.05.0적량적량적량잔량 5.05.0-2.00.50.50.51.00.20.10.20.22.01.01.05.0적량적량적량잔량 -5.02.00.50.50.51.00.50.20.20.22.01.01.05.0적량적량적량잔량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2에의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유상과 수상으로 나누어 각각 75℃ 로 가열한 후 유상을 수상에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교반하는 종래의 유화방법으로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와 비교예 3은 첫 번째 단계로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수용성 용매에 첨가한 후 유상을 첨가하여 수용성 용매중 유형 에멀젼을 제조하고 두 번째 단계로 에멀젼에 물을 첨가하여 수중유형 에멀젼을 제조하는 일본특개소 57-29213 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유동파라핀호호바유페닐트리메치콘스테아레쓰-20스테아레쓰-151,3-부틸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농글리세린알부틴카르복시 비닐 폴리머에탄올방부제향색소정제수 7.02.01.02.5-2.0-1.51.0-3.0적량적량적량잔량 5.05.0-2.00.55.04.53.51.0-3.0적량적량적량잔량 5.0-5.02.00.55.04.53.51.00.13.0적량적량적량잔량
장기보존안정성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3 에 대한 장기보존 안정성을 항온조 (0℃, 40℃, 45℃, 50℃, 사이클(0℃, 40℃, 45℃ 및 50℃에서 24 시간을 1 사이클로 한다) 및 실온에서의 안정성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내었다.
실온 및 항온조에서 미니에멀젼의 안정성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0℃ 1주일
1개월
6개월 ×
40℃ 1주일
1개월 ×
6개월 × ×
45℃ 1주일
1개월 ×
6개월 × ×
50℃ 1주일
1개월 ×
6개월 × ×
사이클 1주일
1개월 ×
6개월 × ×
실온 1주일
1개월
6개월 ×
( ○ : 양호 △ : 불안정 × : 분리 )
평균 에멀젼 입자의 크기변화
표 4 는 실시예 3에 대한 에멀젼 입자크기 변화를 에멀젼 입자크기 측정장치 (PARTICLE SIZER MODEL 370 NICOMP)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그 측정 분포 값의 표준편차(σ)를 나타낸 것이다.
실온 및 항온조에서 에멀젼의 평균입자 크기의 표준편차(σ) 변화
항목 1주일 1개월 6개월
0℃ 53.52 54.62 54.69
40℃ 53.52 55.57 56.60
45℃ 53.54 55.60 57.70
50℃ 53.55 56.59 58.70
사이클 53.55 56.60 58.72
실온 53.52 53.57 53.59
( 단위 : nm )
* 평균 에멀젼 입자크기 : 180 nm
표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조성물은 장기간 보존시에도 평균입자 크기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실시예 1과 2의 평균 입자 크기는 각각 200nm 와 195nm 이었으며, 비교예 1은 1500nm 의 매크로 에멀젼이 생성되었고 비교예 2와 3의 입자크기는 각각 700nm 와 550nm 이다.
피부안정성
표 5 는 피부 첩보 실험을 통하여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화장품에 의한 피부 부작용을 경험한 적이 있었던 총 90명(여자 : 73명, 남자 : 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등에 첩포를 도포한 후 48시간이 지나서 첩포를 떼고 1시간 내지2시간 후에 일차 판정을 하였으며 72시간 및 96시간 후에도 판정하였다.
피부 안정성 평가
항목 양성 반응수 %
비교예 3실시예 3 5(+)1(+) 5.71.1
경피흡수효과
표 6 은 경피흡수효과를 알아본 것으로 알부틴에 대한 경피흡수 촉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무모 마우스의 피부를 이용해 시험관내 피부 투과 시험을 행하였다. 직경 15.0mm의 피부표면에 48마이크로리터의 시료를 주입하고 경피흡수기기(Hanson Microette)를 이용하여 24시간 후에 투과된 알부틴의 양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하였다. 시험결과 비교예 보다 실시예의 경피흡수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이러한 이유는 미니에멀젼의 입자크기가 작아 피부에 더 쉽게 투과되기 때문이다.
알부틴의 경피흡수 투과율
시료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투과율 12.55 11.64 15.66 8.55 9.65 10.55
( 단위 : % )
사용 편리성
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 1 내지 3에 대한 사용 편리성은 5명 단위로 비교에 견본과 실시예 견본 각 1개씩[(비교예 1,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 등]을 총45명을 대상으로 관능적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사용 편리성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피부 도포시 용이성 4.7 5.1 5.2 5.7 5.2 5.7
피부 밀착성 5.0 4.3 4.7 5.0 5.0 5.2
흡수성 3.5 4.5 4.0 5.2 5.2 5.9
유연성 4.7 4.7 4.1 5.1 5.6 5.7
표 7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에 1 내지 3이 점성이 낮고 유연성이 좋아 사용 편리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수분 보유능 평가
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미니에멀젼에 대한 수분 보유능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수분보유능의 측정은 SKICON-200(IBS사)을 사용하여 피부표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조건은 25℃, 40%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실에서 피부 16㎠ 당 0.03g의 시료를 도포 후 시간대별로 저항값(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피 시험자는 30명으로 하였다.
에멀젼의 수분보유능 평가
실험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차 도포후 30분후도포후 120분후 190144 194145 200150 14095 13594 153101
2차 도포후 30분후도포후 120분후 191145 195146 201151 14195 13796 15099
3차 도포후 30분후도포후 120분후 193143 193144 203153 14396 13493 149102
( 단위 μ/s)
( 시료 도포전의 평균 값은 약 50 μ/s 이다 )
표 8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세라마이드가 함유된 미니에멀젼의 실시예 1 내지 3 의 에멀젼 화장수가 비교예 1 내지 3 보다 수분보유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오일 1 내지 20 중량% (A), 왁스 0.1 내지 5 중량% (B), 계면활성제 0.5 내지 5 중량% (C), 세라마이드 유도체 0.001 내지 2 중량% 및 고급알코올 0.1 내지 5 중량%, 및 임의로 콜레스테롤 유도체 0.1 내지 2 중량%의 혼합물 (D)을 함유하며, [(A)+(B)]/[(C)+(D)]의 비가 0.5 내지 5인 본 발명에 따른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장기 보존 안정성이 탁월하며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경피흡수 속효성이 우수하다.

Claims (3)

  1. 오일 1 내지 20 중량% (A), 왁스 0.1 내지 5 중량% (B), 계면활성제 0.5 내지 5 중량% (C), 세라마이드 유도체 0.001 내지 2 중량%와 고급알코올 0.1 내지 5 중량%의 혼합물(D)를 함유하며, [(A)+(B)]/[(C)+(D)]의 비가 0.5 내지 5이며, 미니에멀젼 입자크기가 0.05 내지 1 마이크로미터이며, 또한 조성물의 점도가 20cP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미니에멀젼 화장료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및 콜레스테롤 에테르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콜레스테롤 유도체 0.1 내지 2 중량%가 (D)에 추가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세라마이드 유도체가 세라마이드 1 내지 6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19980053702A 1998-12-08 1998-12-08 세라마이드를함유하는저점도미니에멀젼화장료조성물 KR100311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02A KR100311200B1 (ko) 1998-12-08 1998-12-08 세라마이드를함유하는저점도미니에멀젼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02A KR100311200B1 (ko) 1998-12-08 1998-12-08 세라마이드를함유하는저점도미니에멀젼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637A KR20000038637A (ko) 2000-07-05
KR100311200B1 true KR100311200B1 (ko) 2002-02-19

Family

ID=1956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702A KR100311200B1 (ko) 1998-12-08 1998-12-08 세라마이드를함유하는저점도미니에멀젼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1373B2 (en) 2017-07-31 2022-02-08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of dispersion formulation comprising spherical part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645A (ko) * 1990-08-17 1992-03-28 해롤드 M. 크리스버그 대체가능한 기밀소자를 구비한 정보처리장치
JPH08268859A (ja) * 1995-04-03 1996-10-15 Kao Corp シワ予防・改善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645A (ko) * 1990-08-17 1992-03-28 해롤드 M. 크리스버그 대체가능한 기밀소자를 구비한 정보처리장치
JPH08268859A (ja) * 1995-04-03 1996-10-15 Kao Corp シワ予防・改善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1373B2 (en) 2017-07-31 2022-02-08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of dispersion formulation comprising spherical p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637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4407B2 (ja) 油及び合成界面活性剤を含有するヒト用液状クレンジング組成物
US4386067A (en) Cosmetic compositions
EP0968704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KR101851388B1 (ko) 진세노사이드의 경피흡수 촉진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화장료 조성물
CN101125118A (zh) 双脲型化合物,包含其的组合物,用途和化妆处理方法
JP2005502664A (ja) 皮膚をひきしめる効果のある化粧組成物
JPH03223206A (ja) 化粧料
KR102312901B1 (ko) 산성 pH의 마크로 액정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JP3543478B2 (ja) 皮膚外用保湿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4473491B2 (ja) 毛穴縮小剤
JP4518367B2 (ja) 毛穴縮小剤
TWI644685B (zh) 皮膚用乳化組成物
JPH09315931A (ja) 皮膚化粧料
KR100311200B1 (ko) 세라마이드를함유하는저점도미니에멀젼화장료조성물
KR20080038812A (ko) 저점도상에서 난용성 물질을 안정하게 함유하는 시트형화장료
JP2836772B2 (ja) 化粧料
JPH11180851A (ja) 皮膚化粧料
KR100256781B1 (ko) 오일을다량함유한화장수조성물
JPH0669532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H0620531B2 (ja) 乳化組成物
WO2019151275A1 (ja) アデノシンリン酸含有組成物のべたつき改善方法
JP4310008B2 (ja) 化粧料
JPH1160462A (ja) 皮膚化粧料
JP2000001416A (ja) ポリオール含有リポソーム
JP2522803B2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