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269B1 - 호출자에따라상이하게사용자에게호출을알리는통신장치 - Google Patents

호출자에따라상이하게사용자에게호출을알리는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269B1
KR100310269B1 KR1019980010496A KR19980010496A KR100310269B1 KR 100310269 B1 KR100310269 B1 KR 100310269B1 KR 1019980010496 A KR1019980010496 A KR 1019980010496A KR 19980010496 A KR19980010496 A KR 19980010496A KR 100310269 B1 KR100310269 B1 KR 100310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ll
caller
message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709A (ko
Inventor
도시히꼬 무라마쯔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80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8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synthesized vocal announc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통신 장치에 의하면, 무선부(2)가 장치 내에 등록된 선택 호출 번호들 중 하나와 일치하는 선택 호출 번호를 내포하고 있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 제어부(12)가 선택 호출 번호 다음의 메시지 신호를 RAM(5)에 저장한다. 그 다음에, 메시지 코드 변환부(8)는 메시지 신호를 구성하는 문자/기호 코드들의 각각을 표시용 가독 문자로 또는 메시지로 변환한다. 연상해서, 탐색부(7)는 상기 메시지가 RAM(6)에 미리 저장된 이름 데이터와 일치하는 호출자의 이름을 내포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메시지가 RAM(6)에 저장된 이름 데이터의 하나와 일치하는 호출자의 이름을 내포하고 있을 때에는, 제어부(12)는 호출자의 이름과 관련해서 등록된 음 패턴을 검색하고, 통보부(11)가 음 패턴을 전달함에 의해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하고 이와 동시에 표시부(10)가 호출자의 이름과 함께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명령한다.

Description

호출자에 따라 상이하게 사용자에게 호출을 알리는 통신 장치{A COMMUNICATION DEVICE TO INFORM A USER OF A CALL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ALLER}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할 수 있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를 구비한 유형의 통신 장치에서는, 호출이 수신기에 도달되면 호출의 도달이 경보된다. 수신기의 사용자는 우연히 어떤 모임에 참석 중에 있어 그러한 경보를 받고 싶지 않을 경우에는 수신기가 호출을 수신해도 음을 발생하지 않도록 수신기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기의 사용자가 무음(soundless) 모드로 설정된 수신기를 가방에 넣어 두고 있다면, 수신기가 호출을 수신해도 호출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면, 호출자가 사용자와 급하게 연락하기를 아무리 원하더라도, 호출자는 사용자와 연락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해결안으로서, 호출자가 사용자의 수신기를 강제적으로 음 모드로 놓을 수 있는 선택 호출 시스템이 제안되어 왔고, 그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헤이세이 3-4411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택 호출 시스템에서는, 수신기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기는 ID 코드 다음의 메시지 신호의 헤드에 특정 코드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수신기가 거기에서 아무런 특정 코드도 발견하지 못하면, 다음에 수신기는 수신기의 현재 호출 모드가 음 모드인지 아니면 무음 모드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수신기가 호출 모드가 음 모드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게 되면, 수신기는 음을 발생시키고 LED를 발광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을 알린다. 수신기가 호출 모드가 무음 모드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게 되면, 수신기는 단지 LED를 발광함으로써만 사용자에게 호출을 알린다. 반면에, 메시지 신호의 헤드에서 특정 코드가 탐지되면, 수신기는 설정된 현재 호출 모드에 상관없이 LED를 발광시킴과 함께 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을 알린다. 이러한 특정 코드는 호출자가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때호출자에 의해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선택 호출 시스템에서, 호출자는 메시지 신호에 특정 코드를 부가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그의 수신기를 무음 모드로 설정하여 가방 속에 넣어두고 있더라도 호출자는 사용자의 수신기를 음 모드로 강제로 설정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결코 호출자로부터 호출을 통보받지 못하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선택 호출 시스템에서, 호출자는 메시지가 긴급한 것일 때에는 특정 코드를 입력해야만 한다.
대안으로서, 복수의 선택 호출 번호들을 갖고 수신기가 호출을 수신할 때 선택 번호에 따라 상이한 음을 발생시키는 선택 호출 수신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한 선택 호출 수신기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소화 63-25202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유형의 선택 호출 수신기에서는, 사용자는 복수의 호출 번호들에 대해 상이한 음들을 미리 할당하고 이 음들을 수신기에 등록시켜 기억시킨다. 수신기가 호출자로부터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기는 바로 수신된 호출 번호가 등록된 번호들 중 하나와 일치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탐색한다. 호출 번호가 등록된 번호들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것으로 탐지될 때, 그 번호에 일치하는 음 패턴에 따라 사용자에게 호출을 알린다. 따라서, 상기 유형의 개별적인 선택 호출 수신기에서는, 사용자는 음 패턴 그 자체로부터 호출이 어디로부터 온 것인 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호출이 정보 서비스에 관한 것인 지 또는 사적인 것인 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택 호출 수신기에서는, 사용자가 그가 수신할 정보의 종류를 음 패턴으로부터 예견할 수 있을 지라도, 사용자가 음 자체로부터 호출자를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기 문제점은 호출자 각자에 대해 서로 다른 호출 번호를 할당한다면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수신기는 복수의 호출 번호를 가져야 한다. 현재 통용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서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호출 번호에 하나의 통신 선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수신기 각자가 복수의 호출 번호를 갖도록 되어 있다면, 일반적인 통신을 위한 전송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선들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송 장치에 이용되는 전송 선들을 감소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현재 호출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각자의 호출 모드에 의한 호출자의 연락을 잊는 경우와 호출자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누가 호출하였는 지를 인식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통신 장치에는 무선부와 통보부가 제공되고, 상기 무선부는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통보부는 그 데이터에 따라 상이한 신호 패턴을 전달함에 의해 호출을 알리도록 구성된다. 양호하게는, 데이터를 위한 표시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통보부는 데이터에 따라 음 호출을 만들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통보부는 스피커, 진동기 및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는 양호하게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는 무선부와, 호출자의 이름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호출 패턴을 사전에 기억하는 메모리부와, 수신된 신호가 메모리 내에 저장된 것들과 동일한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지에 대해 탐색하는 탐색부와, 수신된 신호가 저장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음이 확인되면 데이터에 일치하는 신호 패턴을 전달함으로써 호출을 알리는 통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장치는 데이터와 그 호출 패턴들을 조합하여 등록하는 등록부를 갖는다. 메모리부 내에 저장된 데이터 및 호출 패턴들은 변경될 수 있다. 탐색부에서 검사하는 단계는 양호하게는 수신된 무선 신호 내의 메시지의 각각의 문자/기호들과 데이터의 문자/기호들의 각각을 메시지의 헤드로부터 그 순서대로 비교함으로써 수행된다. 메모리부는 양호하게는 데이터에 내포된 문자/기호의 번호 순서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는 무선부와, 무선 신호에 내포된 선택 호출 번호가 사전에 등록된 선택 호출 번호들 중 하나와 일치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하는 제어부와, 무선 신호에 내포된 선택 호출 번호가 사전에 등록된 호출 번호들 중 하나와 대응됨을 발견할 때에 그 신호에 내포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그 데이터에 일치하는 호출자의 이름 및 호출 패턴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부와, 수신된 신호가 메모리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내포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탐색하는 탐색부와, 수신된 신호가 저장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가지면 데이터에 일치하는 호출 신호 패턴을 전달함으로써 호출을 알리는 통보부와, 메시지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 표시부는 양호하게는 소정 영역에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기는 호출자에 의해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자의 이름을 탐색하고, 호출자의 이름에 일치하는 호출 신호 패턴을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호출을 알리고, 따라서 수신기의 사용자는 누가 호출하는 지를 분명히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호출자의 이름이 표시부 상에 지시되므로, 수신기의 사용자는 어느 호출자에게 어떤 호출 패턴이 부여되었는 지를 잊어버린 경우에도, 수신기의 사용자는 단지 표시 장치 상의 호출자의 이름을 검사함에 의해 호출자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제공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시지 코드 변환부(8)에 저장된 메시지 코드 변환 테이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1의 RAM(6)에 저장된 호출자들과 관련하여 선택된 호출자들 및 음 패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테이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포함된 호출 음들의 파형 패턴들을 도시한도면.
도 6a-f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호출자와 이 호출자의 호출 통보 음 패턴의 설정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소정의 메뉴 목록들 및 호출 통보 음 패턴의 목록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탐색부(7)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a-e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탐색부(7)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호출자의 이름 및 호출자의 메시지가 도 1에 도시된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무선부
3 : 디코더
4 : ROM
5 : RAM
7 : 탐색부
8 : 메시지 코드 변환부
9 : 동작부
10 : 표시부
11 : 통보부
본 발명의 통신 장치, 보다 양호하게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는 그것의 구성에 대한 의도와 함께 도 1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도 1에서, 무선부(2)는 예를 들어, 안테나(1)를 통해 여기에선 기술되지 않은 기지국으로부터 급송된 POCSAG 모드에 의해 준비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증폭/복조하여, 상기 복조된 신호를 정류한 후에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다. 디코더(3)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선택 호출 번호를 동일 수신기의 ROM(4)내에 이미 등록된 선택 호출 번호 데이터와 비교한다. 상기 수신된 선택 호출 번호가 저장된 데이터와 예정된 연관 관계를 가질 때, 제어부(12)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메시지 데이터를 RAM(5)내에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제어부(1)로 부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메시지 코드 변환부(8)는 수신된 신호들을 구성하는 개개의 문자 코드들을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메시지 코드 변환 테이블에 따라 표시를 위해 대응하는 문자들/기호들로 변환한다. 제어부(12)에 의해 지시될 때, 표시부(10)는 수신된 메시지, 시간, 기타 등등을 표시한다. 표시부는 양호하게 CRT 또는 LCD 중의 하나를 구성한다. 제어부에 의해 지시될 때, 통보부(8)는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한다. 통보부(8)는 양호하게 스피커, LED 및 진동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된 것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보부(8)가 음을 생성함으로써 호출을 알리는 스피커라는 추정에 대해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동작부(9)는 메시지의 판독, 호출을 알리는 방법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의 설정 모드에 대해 사용되어진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 RAM(6)은 대응하는 방법으로 조합된 2가지 종류 데이터를 가진 이들 호출자에게 할당된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 및 음 패턴들을 저장한다. 탐색부(7)는 수신된 메시지가 RAM(6)내에 저장된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와 동일한 이름을 포함하는지에 대하여 검사한다. 메시지가 동일한 호출자의 이름을 포함한다는 것을 확인한 후에, 제어부(12)는 메시지와 함께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0)에 지시한다. 표시부는 수신된 메시지를 호출자의 이름을 제외한 메시지와 호출자의 이름으로 분리하고, 그런 다음, 별도로 각각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서, 통신 장치가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할 때, 탐색부(7)는 수신된 메시지가 RAM(6)내에 저장된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와 동일한 이름을 포함하는지에 대하여 검사한다. 상기 메시지가 동일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를 포함한다는 것이 확인될 때, 호출자의 이름과 연관하여 등록된 음 패턴이 통보부(8)로부터 출력된다. 통보가 실행될 때, 수신된 메시지 및 호출자의 이름은 표시부(10)상에 각각 표시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메시지가 RAM(6)내에 저장된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느 이름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될 때, 그런 경우를 위해 이미 등록된 불특정 음 패턴이 통보부(8)로부터 출력된다.
다음, 도 1에 도시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작동은 도 3에 의해 아래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3에서는, 수신기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지에 대해 검사된다(S101). 수신기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확인될 때(S101에서 예), 디코더(3)에 공급된 디지털 신호내에 포함된 선택 호출 번호는 ROM(4)내에 이미 저장된 선택 호출 번호 데이터와 비교된다(S102). 전자에 일치하는 카운터파트가 후자내에서 감지되지 않을 때(S103에서 아니오), 대기 상태가 재개된다. 반면에, 수신된 신호내의 선택 호출 번호가 선택 호출 번호 데이터내의 카운터파트를 발견할 때(S103에서 예), 수신된 선택 번호의 다음인 메시지 데이터는 디코더(3)에서부터 제어부로(12)로 공급된다. 제어부(12)는 RAM(5)에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한다(S104). 메시지 코드 변환부(8)는 후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의 데이터의 개개의 문자 코드들을 도 2에 도시된 메시지 코드 변환 테이블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한 문자들/기호들 즉, 메시지로 변환한다(S105). 상기 변환된 메시지는 여기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레지스터 내에 저장된다. 탐색부(7)는 여기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레지스터 내에 저장된 메시지가 RAM(6)내에 저장된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와 동일한 이름을 포함하는지에 대해 탐색한다(S106). 메시지가 RAM(6)내에 저장된 동일한 호출자의 이름을 포함한다는 것을 발견했을 때 (S106에서 예), 제어부(12)는 동일한 이름 데이터와 연관된 등록된 음 패턴을 감지하고, 그 음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호출의 사용자를 통보하도록 통보부(11)에 지시하고, 동시에 표시부(10)상에 각각 호출자의 이름 및 호출자의 메시지를 표시한다(S108). 반면에, 탐색부(7)는 메시지가 RAM(6)내에 저장된 이름 데이터와 연관하는 어느 이름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할 때(S106에서 아니오), 제어부(12)는 그러한 경우를 위해서 동작부(11)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이미 등록된 불특정 음 패턴 데이터를 제공하고(S109), 불특정 음 패턴을 발생하기 위해 통보부(11)에 지시하며, 동시에 표시부(10)상에 메시지를 표시한다(S110). 수신된 메시지가 RAM(6)에 저장된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와 동일한 이름을 포함하는지에 대해 어떻게 탐색부(7)가 결정하느냐는 뒤에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호출자의 이름들 및 그들의 등록된 음 패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1의 RAM(6)내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특징적인 음 패턴들과 연관된 5개의 이름 데이터가 등록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즉, 수신된 메시지가 이름 "TOM"을 포함하고, 그의 호출은 "Beep 1"의 음 패턴에 의해 경고되고, 반면, "BOB"가 포함될 때에는 그의 호출은 "Beep 2"의 음 패턴에 의해 경고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 패턴들을 구성하는 음 파형들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서, 각각의 음은 예를 들어, 625msec의 하나의 원 및 예를 들어 2740Hz의 주파수를 가진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등록된 이름 데이터가 항상 호출자의 실제 이름과 동일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호출자의 동일성을 지시하는 기호를 결정하고, 호출자의 이름 대신에 기호를 등록하기 위해 미리 호출자와 상담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호로부터 호출자를 확인할 수 있는 한, 기호는 어떠한 형태로도 가질 수 있다. RAM(6)내에 저장된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의 번호가 5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 및 대응하는 음 패턴들은 동작부(9)의 작동을 통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의 등록 및 대응하는 음 패턴들의 양호한 실시예는 도 6a 내지 도 6f 및 도 7a 및 도 7b에 의해 기술될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f은 동작의 평면도 및 본 발명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표시부들(9 및 10)을 제공한다.
도 6a에서, 수신기가 대기 상태일 때, 표시부(10)는 데이터 및 시간의 표시를 제공한다. 수신기가 대기 상태일 동안, 사용자는 "M"으로 표시된 버튼(21)을 누르고 그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부 상의 메뉴를 얻는다. 도 6b에서, 사용자가 스크롤 버튼(23)("<" 또는 ">"버튼)을 누를 때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들이 순서대로 표시된다. 옵션 "setting sound pattern"이 표시될 때, 사용자는 "SET" 버튼(22)을 누르고, 그런 다음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음 패턴을 통해 도 6c 내지 도 6e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를 얻는다.
도 6c에서, 사용자는 저장을 위해 저장 번호를 등록해야 한다. 도 6c에서, 사용자가 스크롤 버튼(23)("<" 또는 ">"버튼)을 누를 때마다, "1"에서 최대 저장 번호, 예를 들어 순서대로 "5"까지 시작하는 저장 번호를 표시부 상에 얻는다. 저장번호 "1"이 표시부 상에 표시될 때, 사용자가 "SET" 버튼(22)을 누르면, 상기 저장 번호 "1"이 등록되고, 그런 다음 사용자가 호출자의 이름을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통해 도 6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를 얻는다. 도 6d에서, 사용자가 스크롤 버튼(23)("<" 또는 ">" 버튼)을 누를 때마다,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문자들 또는 기호들을 표시부의 버튼 상에 선정된 순서대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스크롤 버튼(23)을 누름으로써 원하는 문자/기호를 선택하고, 그것을 등록하기 위하여 "SET" 버튼을 누르며, 등록될 호출자를 표시하는 스트링을 구성하는 전체 문자들/기호들을 등록할 때까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예를 들어, 도 6d에서 "TOM"을 등록할 수 있다. 수신기의 사용자는 "T"상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그리고 "SET" 버튼(22)을 누른다. 호출자의 이름 등록을 완료한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M" 버튼(21)을 누르고,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부를 얻으며 사용자는 음 패턴을 등록할 수 있다. 도 6e에서, 사용자가 스크롤 버튼(23)("<" 또는 ">"버튼)을 누를 때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 패턴들이 잇따라 순서대로 표시된다. 음 패턴 "Beep 1"이 표시부상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그것을 등록하기 위해 "SET" 키를 누른다. 따라서, 사용자는 호출자의 이름 및 그에 대응하는 음 패턴의 등록을 완료하고,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를 얻는다.
도 6f에서, 음 패턴의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는 예를 들어, "Registration completed"를 표시하는 표시가 제공된다. 그런 다음, 선정된 시간 후에, 예를 들어 2초 후, 수신기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대기상태로 돌아온다.
도 1의 탐색부(7)의 작동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 8 내지 도 10에 의해 아래에 자세히 기술될 것이거나 도 3에서 도시된 S106 다음의 과정들이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8에서, RAM(6)에 등록된 호출자의 이름들의 번호 A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수신기를 가지고 판독된다. 번호 "5"가 판독된다(S202). 그때, 제어부(12)는 번호 A가 0인지에 대해 검사한다(S203). 번호 A가 0임을 안 때에는 (S203에서 예), 제어부(12)는 그러한 경우에 위해 동작부(9)의 작동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이미 등록된 불특정 음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호출의 사용자를 알리도록 통보부(9)에 지시한다(S208).
제어부(12)가 번호 A가 0이 아니라는 것을 알때(S203에서 아니오), 제어부는 수신된 메시지 코드들을 읽기 쉬운 문자들로 변환한 후에 도 10b에 표현된 바와 같은 메시지를 판독하고(S204), 메시지의 길이 B 예를 들어, 본 예에서 "14" 를 계산한다(S205). 그런 후에, 호출자의 이름 탐색 번호 i 또는 도 4에 표시된 번호는 1"로 설정되고(S206), 탐색 번호 "i"가 등록된 이름들의 번호 A보다 작거나 같은지에 대해 검사된다(S207).
탐색 번호 i가 등록된 이름들의 번호 A보다 작거나 같을때(S207에서 예), 탐색 번호 i에 대응하는 호출자의 이름 또는 등록된 번호 "1" 즉, 본 예에서 "TOM"은 판독되고(S210), 호출자의 이름의 길이 C 즉, 본 예에서 "3"은 계산된다(S211). 그런 다음, 메시지 탐색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내의 메시지 탐색 위치 변수 j는 "0"으로 설정되고(S212), 메시지 탐색 위치 변수 j가 메시지 길이 B와 작거나 같은지에 대해 검사된다(도 9에서 S213).
메시지 탐색 위치 변수 j가 메시지 길이 B보다 작거나 같을 때 (S213에서 예), 호출자의 이름내의 탐색 위치를 표시하는 호출자의 이름 탐색 위치 변수 k는 "0"으로 설정된다(S215). 그런 다음,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j+k]번째 위치에서 메시지내에 존재하는 문자/기호가 [k]번째 위치에서 호출자의 이름에 존재하는 문자/기호와 대응하는지에 대해 검사된다(S216).
[j+k]번째의 위치에서 표시부 메시지내의 문자/기호가 [k]번째 위치에서 호출자의 이름내의 문자/기호와 대응하지 않을 때(S216에서 아니오), "1"이 메시지 탐색 위치 변수 j에 더해지고(S217), S213에서와 같이 동일한 작동이 반복된다. 즉,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 위치는 호출자의 이름 첫 문자 "T"가 메시지 상에서 발견될 때까지 표시부 메시지 상에서 한 칸씩 잇따라 이동된다.
뒤에, [j+k]번째 위치에서 표시부 메시지내의 문자/기호가 [k]번째 위치에서 호출자의 이름의 문자/기호와 일치하는 것이 발견되면(S216에서 예), "1"이 호출자의 이름 탐색 위치 변수 k에 더해지고(S218), 호출자의 이름 탐색 위치 변수 k가 호출자의 이름의 길이 C와 작거나 같은지에 대해 검사된다. 호출자의 이름 탐색 위치 변수 k가 호출자의 이름의 길이 C와 작거나 같다는 것이 발견될 때(S219에서예), S216에서 취해진 작동은 반복된다. 즉, 호출자의 이름의 각각의 문자/기호에 대해, 탐색은 동일한 탐색 동작이 호출자의 이름의 모든 문자들/기호들에 대해 완료될 때까지 표시부 메시지상에서 탐색 위치를 오른쪽 방향으로 잇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뒤에, 호출자의 이름 탐색 위치 변수 k가 호출자의 이름의 길이 C보다 크다는 것이 발견될 때(S210에서 아니오),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출자의 이름이 표시부 메시지 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출자의 이름 탐색 번호 i에 대응하는 음 패턴은 호출의 통보로서 제공된다(S220). 동시에 호출의 통보가 될 때, 메시지 및 호출자의 이름은 표시부(10)상에 표시된다(S221).
S213에서 취해진 동작에서, 메시지 탐색 위치 변수 j가 메시지 길이 B보다 클때, "1"이 호출자의 이름 탐색 위치 변수 i에 더해지고(S214), 탐색 번호 i가 등록된 이름들의 번호 A보다 작거나 같은 지에 대해 검사된다(S207). 검색 번호 i가 등록된 번호 A보다 크다는 것이 발견될 때(S207에서 아니오), 그러한 경우를 위해 수신기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되어진 불특정 음 패턴이 호출의 통보로서 제공되고(S208), 동시에 메시지가 표시부(10) 상에 표시된다(S209).
도 8 및 도 9에서, 메시지가 RAM(6)내에 저장된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를 포함하는지에 대한 탐색은 표시부 메시지의 헤드로부터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탐색은 메시지의 끝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도 8 및 도 9에서, 탐색은 RAM(6)내에 저장된 이름 데이터의 첫번째 호출자의 이름, 예를 들어 본 예에서"TOM"으로부터 이루어진다. 그러나, 탐색의 명령은 어느 하나의 특정한 명령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1은 도 9의 S221에서 얻어진 것으로서 메시지 및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기 위한 역할을 할 것인 표시부(10)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1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호출자의 이름을 포함할 때, 호출자의 이름은 메시지로부터 분리된다. 호출자의 이름은 이미 프로그램된 "FROM:" 아래에 표시된다. 본 단어 "FROM:"은 수신된 메시지가 호출자의 이름을 포함할 때는 언제든지 표시하도록 자동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호출음뿐만 아니라 표시부(10)상에 표시된 "FROM:" 아래의 호출자의 이름으로부터 호출자가 누구인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단어 "FROM:"의 스타일 및 표시 위치는 그것이 메시지로부터 분리되어 각각 표시되는 한 어느 특정한 종류 및 규칙으로 한정되진 않는다. 게다가, 정상적으로 표시부상의 메시지 및 호출자의 이름은 어떤 한정된 시간내에 사라질 것이다. 그러나, 수신기는 사용자가 갱신된 작동을 위해 동작부(9)를 조작할 때까지는 동일한 표시를 유지하기 위해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비록 사용자가 음을 통해 호출자로부터 호출의 통보를 인식하지 못하고 어떤 한정 시간 동안 손대지 않은 채 수신기를 놔두더라도, 그는 후에 표시부(10)를 봄으로써 호출자의 이름과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예에서, 사용자가 호출을 수신할 때 호출하는 사람을 인식하기 위해서, 다른 음 패턴이 호출자에 따라 생성된다. 그러나, 호출을 알리기 위한 수단이 사운드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 진동 패턴 또는 LED들의 블링킹패턴(blinking patterns)들 대신에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된 예에서, 저장된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와 메시지가 하나씩 비교되어진 후에 호출자의 이름이 탐색될 때, 이름 데이터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것으로 처음 발견된 이름이 먼저 주어진다. 따라서, 음 패턴은 처음 발견된 사용자의 이름에 의해 결정된다. 2개의 상이한 길이의 이름들 중 더 짧은 이름이 더 긴 이름의 전방부와 동일한 상기 2개의 이름들이 이름 데이터로서 RAM(6)에 현재 저장된 경우를 가정해 보자. 또는, 예를 들어 "TOM" 및 "TOMMY"가 현재 RAM(6)의 이름 데이터에 포함되고, 호출자가 "TOMMY"인 경우를 가정해 보자. 수신기는 호출자가 "TOMMY"일지라도 "TOM"을 먼저 발견할 수 있고, "TOM"의 이름하에 등록된 음 패턴을 제공한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안으로서, 본 발명에서 탐색은 양호하게는 호출자의 이름 길이의 내림순서로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즉,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가 RAM(6) 내에 등록될 때,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는 양호하게는 길이의 순서로 정렬되고 그 순서를 유지하도록 저장된다.
또한, 상기 설명된 예들에서, RAM(6) 내에 저장된 이름 중 하나와 일치하는 이름이 발견된 때, 그 이름에 대응하는 음 패턴이 호출의 통보로서 픽업되어 전달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한 메시지가 "MARY IS CALLING YOU. TOM."과 같은 다수의 이름들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적합한 호출자를 발견하기 위해서, 수신기가 RAM(6) 내에 저장된 모든 이름 데이터를 탐색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한 불편을 피하기 위해서, 수신기는 보통 호출자가 메시지의 끝 부분에 호출자의 이름을 적어 넣기 때문에 호출자의 메시지의 끝에서 이름을 선택하도록그리고 이렇게 선택된 호출자에 대응하는 음 패턴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호출을 알리도록 프로그램된다. 호출자의 이름은 메시지의 처음 또는 끝 부분으로부터 탐색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전술된 예들은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들에 관한 것이지만, 그러나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휴대용 전화, 특히 휴대용 핸드폰 장치(PHS)를 포함할 수 있음으로써, 호출자로부터 송신된 짧은 메일이 표시될 수 있다. PHS로 짧은 메일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문자/코드 변환 테이블을 사용하여 짧은 메일을 준비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예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출자는 짧은 메일의 끝 부분에 호출자의 이름을 붙이고, 그것을 메일 본체와 함께 송신한다. 수신기는 짧은 메일에 포함된 호출자의 이름이 메모리 내에 저장된 이름 데이터 중 하나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수신기가 호출자의 이름이 네임 데이터 중 하나와 대응된다는 것을 발견할 때, 수신기는 호출자에 일치하는 통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호출자로부터의 호출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짧은 메일을 송신할 때 호출자가 짧은 메일 본체의 끝 부분에 부착하는 이름은 호출자를 나타내는 기호 또는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의 사용자가 호출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할 수 있는 한은 어떠한 기호 또는 문자들이 이용될 수 있고, 호출자는 그 기호 또는 문자들은 호출자 자신의 확인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호출자가 메시지의 끝 부분에 호출자의 이름을 부착하여 전송하는 한, 수신기는 대응 이름을 탐색하여 그것을 발견하고, 그 발견된 이름으로 등록된 호출 패턴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누가 호출하는 지를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기는 발견된 호출자의 이름에 따라 상이한 호출 패턴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 상에 그 발견된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한다. 따라서, 수신기의 사용자가 호출자의 이름과 호출 패턴 사이의 관계를 잊는 경우와 호출 패턴으로부터 누가 호출하는 지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단지 표시부를 봄으로써 누가 호출하는 지를 틀리지 않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개시 내용을 고려해 볼 때,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부가 개조 예들 및 변형예들이 가능함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서 본문에 상세히 설명된 것들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전송 장치에 이용되는 전송 선들을 감소시킴 없이도 사용자가 현재 호출자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각자의 호출 모드에 의한 호출자의 연락을 잊는 경우와 호출자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누가 호출하였는 지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9)

  1. 호출자의 이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부와,
    소정의 호출자의 이름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호출 신호 패턴을 미리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무선부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내에 내포된 호출자의 이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된 소정의 호출자 이름 데이터 중 하나와 일치하는 지 여부를 탐색하는 탐색부와,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부로부터 수신된 호출을 통보하는 통보부와,
    상기 탐색부 및 상기 통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내에서 상기 호출자의 이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상기 탐색부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탐색부의 탐색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탐색부의 탐색 결과, 상기 무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내에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호출자 이름 데이터 중 하나와 동일한 호출자의 이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내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된 상기 동일한 호출자의 이름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호출 신호 패턴을 상기 통보부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통보부가 상기 대응하는 호출 신호 패턴에 따라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부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내에 포함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신 신호내에 포함된 데이터를 호출자의 이름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그 밖의 데이터로 각각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하지 않도록 상기 통보부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는 스피커, 진동기 및 LED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및 상기 호출 신호 패턴을 대응 방식으로 배열하고 상기 데이터 및 상기 호출 신호 패턴을 조합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및 상기 호출 신호 패턴은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부는 상기 메시지의 헤드로부터 차례대로, 상기 신호에 내포된 메시지의 문자/기호들 각각을 상기 데이터의 각 문자/기호와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데이터 내에 내포된 문자/기호들의 번호순으로 상기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단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호출 번호와 후속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메시지 신호 내에서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픽업하고, 상기 호출 번호가 사전에 등록된 호출 번호와 일치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하는 는 제어부와,
    상기 호출 번호가 사전에 등록된 호출 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메시지 신호에 내포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호출 패턴을 기억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시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부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내포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하는 탐색부와,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데이터에 따라 상이한 신호 패턴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하는 통보부
    를 포함하되,
    상기 통보부는 상기 신호가 상기 메모리부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신호 패턴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소정의 영역에서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3. 호출 번호와 후속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메시지 신호 내의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픽업하는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호출 패턴을 기억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시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부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내포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하는 탐색부와,
    메시지 신호에 내포된 메시지 데이터와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상기 데이터를 분리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상기 데이터에 따라 상이한 신호 패턴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하는 통보부
    를 포함하되,
    상기 통보부는 상기 신호가 상기 메모리부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신호 패턴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4. 통신 장치가 호출의 도달을 통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호출 신호 패턴을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가 상기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에 따라 상이한 신호 패턴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통보하는 단계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신호 패턴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도달 통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통신 장치가 호출의 도달을 통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출 번호 및 후속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신호로부터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픽업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호출 패턴을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부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내포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와,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상기 데이터에 따라 상이한 신호 패턴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자의 이름을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통보하는 단계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신호 패턴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도달 통보 방법.
  17. 통신 장치가 호출의 도달을 통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상기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호출 신호패턴을 기억하는 단계,
    선택 호출 번호와 메시지 데이터를 내포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신호에 내포된 상기 선택 호출 번호가 사전에 등록된 선택 호출 번호와 일치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에 내포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표시용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표시용 메시지가 상기 데이터를 내포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표시용 메시지가 상기 데이터를 내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호출 신호 패턴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및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도달 통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표시용 메시지가 상기 데이터를 내포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문자/기호들 각각과 상기 표시 메시지의 문자/기호들 각각을 차례대로 대응시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도달 통보방법.
  19. 통신 장치가 호출의 도달을 통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출 번호 및 후속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호출 신호 패턴을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신호로부터 호출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픽업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신호에 내포된 메시지 데이터를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가 상기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에 따라 상이한 신호 패턴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을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도달 통보 방법.
KR1019980010496A 1997-03-26 1998-03-26 호출자에따라상이하게사용자에게호출을알리는통신장치 KR100310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74147 1997-03-26
JP7414797 1997-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709A KR19980080709A (ko) 1998-11-25
KR100310269B1 true KR100310269B1 (ko) 2001-11-15

Family

ID=1353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496A KR100310269B1 (ko) 1997-03-26 1998-03-26 호출자에따라상이하게사용자에게호출을알리는통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10051536A1 (ko)
EP (1) EP0867844A3 (ko)
KR (1) KR100310269B1 (ko)
CN (1) CN12104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7785B2 (ja) * 2000-01-07 2008-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JP3709916B2 (ja) * 2000-05-25 2005-10-2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話端末における文字メッセージ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3738383B2 (ja) * 2000-05-26 2006-01-25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
JP2002057759A (ja) * 2000-08-09 2002-02-22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可能な携帯電話
JP2002099475A (ja) * 2000-09-25 2002-04-05 Toshiba Corp 無線装置、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管理方法
US6947728B2 (en) * 2000-10-13 2005-09-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bile phone with music reproduction function, music data reproduction method by mobile phone with music reproduction function, and the program thereof
KR20020084555A (ko) * 2001-05-03 2002-11-09 주식회사 맥퀸트전자 이동통신단말기용 발신자 정보 다중 표시 모듈 및 이를이용한 발신자 정보 다중 표시 방법
GB0122360D0 (en) * 2001-09-15 2001-11-0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a telephone call handling profile and handling a call using the same
KR20030026093A (ko) * 2001-09-24 2003-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모드 전환방법
JP2003224626A (ja) * 2002-01-30 2003-08-08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で用いられる着信通知制御方法、及び着信通知制御プログラム
US9392428B2 (en) 2003-04-17 2016-07-12 Nokia Technologies Oy Reminder handling
US8594641B2 (en) * 2003-04-17 2013-11-26 Nokia Corporation Reminder handling
US7142893B2 (en) * 2003-05-01 2006-11-2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identification of a mobile telephone
US8010094B2 (en) * 2006-06-06 2011-08-30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Mobile device with themed multimedia effec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234A (ko) * 1993-12-18 1995-07-28 김광호 무선호출기에서 특정 전화번호 알람기능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3360A (ja) * 1983-12-05 1985-12-14 Nippo Tsushin Kogyo Kk 通信システム
WO1996006417A2 (en) * 1994-08-15 1996-02-29 Motorola Inc. Pager providing definable audio with the page
US5602908A (en) * 1995-05-18 1997-02-11 Fan; Yuan-Neng Calling party identif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2788873B2 (ja) * 1995-07-26 1998-08-20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呼出受信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234A (ko) * 1993-12-18 1995-07-28 김광호 무선호출기에서 특정 전화번호 알람기능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7844A2 (en) 1998-09-30
EP0867844A3 (en) 1999-12-08
KR19980080709A (ko) 1998-11-25
CN1210431A (zh) 1999-03-10
US20010051536A1 (en) 200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269B1 (ko) 호출자에따라상이하게사용자에게호출을알리는통신장치
AU667016B2 (en) Virtual pager for general purpose data terminal
CA2035777C (en) Pager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pager system employing the same
KR100306109B1 (ko) 휴대전화장치의응답메시지송신장치
EP0709812B1 (en) Signalling receiver with alarm selecting facility
KR100272717B1 (ko) 수신된 메세지의 내용을 근거로 호출 통보 방식을 변경하는 무선 수신 장치
US6009308A (en) Selective calling receiver that transmits a message and that can identify the sender of this message
US640025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simultaneously the latest message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allers
EP0867846B1 (en) Radio paging receiver
JPH08280052A (ja) メッセージ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メッセージデータ送信装置及びメッセージデータ受信装置
JPH07226969A (ja) 無線呼び出し装置
JP3433481B2 (ja) 電子機器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2944615B2 (ja) 通信装置
KR20000046062A (ko) 이동무선 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 방법
JP2581006B2 (ja) ペイジングシステム
JPH0723081A (ja) ディジタル方式自動車電話機
JPH07162929A (ja) 表示機能付選択呼出受信機及び電子機器
KR1009536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수신음 설정 방법
JP3037268B2 (ja) 通信装置
JP2856442B2 (ja) 選択呼出方式
JP3765121B2 (ja) 情報受信装置及び受信報知方法
JPH11243566A (ja) 情報受信端末
JPH0517603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7133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케줄 관리 방법
EP1065864A1 (en) Telephone with audible caller identification and directory number confi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