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6062A - 이동무선 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무선 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6062A
KR20000046062A KR1019980062737A KR19980062737A KR20000046062A KR 20000046062 A KR20000046062 A KR 20000046062A KR 1019980062737 A KR1019980062737 A KR 1019980062737A KR 19980062737 A KR19980062737 A KR 19980062737A KR 20000046062 A KR20000046062 A KR 20000046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way station
information
user
subway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6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6062A/ko
Publication of KR2000004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0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2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mass transport vehicles, e.g. buses, trains or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무선단말기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사용자의 목표 지하철역 정보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이 내려야 하는 지하철역을 미리 통보 받을 수 있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방법의 제공.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모든 지하철역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의 메뉴선택에 따라 표시부선택 및 음성인식의 방법에 의한 목표 지하철역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지하철역 정보와 비교하며, 목표 지하철역 정보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해당 지하철 정보가 동일할 시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무선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

Description

이동무선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무선단말기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이하 CDMA라 칭한다)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과 기지국(Base Station) 사이에 존재하는 통신 선로는 크게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향하는 순방향 선로(Forward Link)와 반대로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향하는 역방향 선로(Reverse Link)로 구별된다.
또한 상기 CDMA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채널은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 동기 채널(Sync Channel),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및 순방향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로 구분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CDMA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채널은 억세스 채널(Access Channel), 역방향 트래픽 채널 (Reverse Traffic Channel)로 구분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 페이징 채널은 기지국이 이동국을 호출할 시 사용된다.
한편,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아침 출근시간, 저녁 퇴근시간등에 자리에서 잠을 자는 경우가 왕왕 생긴다. 이로인해 그 사람이 내리고자 하는 지하철역을 놓치거나 종점역까지 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잠을 자지 않는 경우에도 어떤 이는 자신이 내려야 하는 지하철역을 놓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무선단말기는 사용자가 내리고자 하는 지하철역을 통보해주는 기능이 없었다. 그리고 지하철이 소정 역에 정차할 시 지하철역에 대한 안내는 안내방송에 의한 정보 및 지하철 내의 스크린의 표시가 유일하다고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목표 지하철역 정보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이 내려야 하는 지하철역을 미리 통보 받을 수 있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무선단말기가 모든 지하철역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메뉴선택에 따른 표시부선택 및 음성인식의 방법에 의하여 지하철역을 통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지하철역 통보방법이, 사용자의 목표 지하철역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된 모든 지하철역 정보와 비교하는 제1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해당 지하철역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목표지하철역 정보가 동일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의 목표 지하철역 선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제어부(100)는 이동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40)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그리고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역 통보방법을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든 지하철역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모든 지하철역 정보란 현재 이용되는 각 노선별 지하철역의 이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모든 지하철역 정보는 지하철역 이름 데이터 및 상기 지하철역 이름을 음성으로 표현한 음성데이터가 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이다. 그리고 표시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이동국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키입력부(120)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0)로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키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역 찾기 메뉴 선택키를 포함한다. 그리고 진동부(13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진동동작을 수행한다.
RF부(15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승압(Up-Converting)시켜 안테나(180)를 경유하여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무선출력한다. 또한 RF부(15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180)를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를 강압(Down-Converting)시켜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60)로 출력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60)는 RF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저대역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또한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60)는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RF부(150)로 출력한다. 제어부(100)는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6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채널 복조 및 복호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60)로부터 출력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처리부(170)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70)는 코덱(Codec) 및 보코더(Vocoder)를 포함한다. 그리고 음성신호처리부(170)는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음성신호처리부(170)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신호처리부(160)는 스피커(Speaker)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50), RF부(140) 및 안테나(170)를 경유하여 상기 서비스 기지국으로 무선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동작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데이터와 메모리(140)의 해당 영역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의 비교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기지국으로부터 출력되는 호출 메시지(Call Message)등과 같은 각종 메시지에 대하여 이동국에 구비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해당 처리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의 목표 지하철역 선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210단계에서 표시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지하철역 찾기 메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지하철역 찾기 메뉴는 '내리는 지하철역 지정하기'라는 이름이 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전화번호 찾기 메뉴는 화면표시에 의한 찾기와 음성인식에 의한 찾기로 나뉘어 질 수가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에는 모든 지하철역 정보가 저장된다. 22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키입력 데이터가 상기 화면표시에 의한 찾기 또는 음성인식에 의한 찾기인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그리고 23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계속되는 사용자의 키입력데이터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31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키입력데이터가 지하철역 통보모드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지하철역 통보모드가 아니면, 32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해당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지하철역 통보모드이면, 33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목표 지하철역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목표 지하철역 정보는 키입력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음성데이터가 될 수가 있다. 상기 목표 지하철역 정보가 키입력 데이터 일 시, 제어부(100)는 상기 키입력 데이터와 메모리(140)에 저장된 지하철역 이름 데이터와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목표 지하철역 정보가 음성 데이터 일 시 제어부(100)는 상기 음성 데이터와 메모리(140)에 저장된 지하철역 이름을 음성으로 표현한 음성 데이터와 비교한다. 그리고 34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지하철역에 설치된 기지국으로부터 일정하게 전송되는 채널(Channel)을 해당 지하철역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해당 지하철역 정보는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수가 있다. 그리고 35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수신된 지하철역 정보가 상기 목표 지하철역정보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수신된 지하철역 정보가 상기 목표 지하철역정보가 아니면, 제어부(100)는 상기 340단계부터의 제어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 수신된 지하철역 정보가 상기 목표 지하철역정보이면, 제어부(100)는 상기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한다. 이때, 상기 통보방법은 호출음, 진동, 표시부(110)에 표시하는 방법등이 사용될 수가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 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방법은 모든 지하철역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의 메뉴선택에 따라 표시부선택 및 음성인식의 방법에 의한 목표 지하철역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지하철역 정보와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지하철역 정보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해당 지하철 정보가 동일할 시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무선단말기가 모든 지하철역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메뉴선택에 따른 표시부선택 및 음성인식의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내려야 하는 지하철역을 미리 통보 받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8)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지하철역 통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표 지하철역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된 모든 지하철역 정보와 비교하는 제1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해당 지하철역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목표지하철역 정보가 동일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역 통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해당 지하철역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목표지하철역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1단계를 다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역 통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모든 지하철역 정보가,
    지하철역 이름 데이터 및 상기 지하철역 이름을 음성으로 표현한 음성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역 통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목표지하철역 정보의 입력이,
    키입력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지하철역 이름을 표현하는 음성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역 통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가,
    상기 목표 지하철 정보가 상기 키입력 데이터일 시 상기 키입력 데이터와 상기 지하철역 이름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목표 지하철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지하철역 이름을 표현하는 음성 데이터일 시 상기 사용자의 지하철역 이름을 표현하는 음성 데이터와 상기 지하철역 이름을 음성으로 표현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역 통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해당 지하철역 정보의 수신 방법이,
    상기 기지국이 해당 이동국들에게 일정하게 전송하는 채널을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역 통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이,
    페이징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역 통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통보 방법이,
    호출음, 진동 및 표시부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역 통보방법.
KR1019980062737A 1998-12-31 1998-12-31 이동무선 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 방법 KR20000046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737A KR20000046062A (ko) 1998-12-31 1998-12-31 이동무선 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737A KR20000046062A (ko) 1998-12-31 1998-12-31 이동무선 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062A true KR20000046062A (ko) 2000-07-25

Family

ID=1956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737A KR20000046062A (ko) 1998-12-31 1998-12-31 이동무선 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606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329A (ko) * 2001-12-03 2003-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류장 알림방법
KR100425495B1 (ko) * 2000-12-30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안내방법
KR100447062B1 (ko) * 2001-11-14 2004-09-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지하철 도착 시간에 맞춘 알람기능설정방법 및 이를채택한 휴대전화기
KR100618327B1 (ko) * 2005-03-28 200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하철 정류장 알림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21240B1 (ko) * 2005-07-29 2007-05-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하철 이동통신 품질 측정 데이터 매핑 방법
KR100849944B1 (ko) * 2006-11-15 2008-08-04 주식회사 로지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철역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495B1 (ko) * 2000-12-30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안내방법
KR100447062B1 (ko) * 2001-11-14 2004-09-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지하철 도착 시간에 맞춘 알람기능설정방법 및 이를채택한 휴대전화기
KR20030045329A (ko) * 2001-12-03 2003-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류장 알림방법
KR100618327B1 (ko) * 2005-03-28 200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하철 정류장 알림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21240B1 (ko) * 2005-07-29 2007-05-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하철 이동통신 품질 측정 데이터 매핑 방법
KR100849944B1 (ko) * 2006-11-15 2008-08-04 주식회사 로지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철역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8280A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50096071A1 (en) Simultaneous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over a wireless network
KR20010003635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방법
KR100765479B1 (ko) 휴대 단말기의 스케줄 정보 제공 방법
JP2001218269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KR20000046062A (ko) 이동무선 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 방법
KR20010046956A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발신측 사용자 알림 방법
KR20060120346A (ko)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도착 예상 시간알림 방법
KR20000040305A (ko) 휴대통신단말기의 시간 스케줄링에 의한 착신 경보 자동전환방법
KR2003004952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알람 장치 및 방법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JP2000115302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この装置を使用したスケジュール報知方法
KR100977993B1 (ko) 이동단말기의 수신거부 방법
JPH1075470A (ja) 通信装置
KR20060115201A (ko)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가상통화 수행 장치 및 방법
JP4127423B2 (ja) 無線呼出受信機
KR2004007541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스턴트 메신저의 로그인 알람 설정방법
JPH0746640A (ja) 携帯通信装置および携帯通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通信方法
KR20030041638A (ko) 이동 전화기에서 위치 자동 통지방법
KR100810237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다중언어를 이용한 텍스트 입력 방법
KR20020082615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지역별 시간정보 표시 방법
KR100703294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수신측 상태 통보 방법
US200201315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 audio and/or text announcement to a called telephone device
KR20030012631A (ko) 이동 통신 단말의 단문 메시지 수신 방법
KR2003004985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력 시간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