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084B1 - 진동을 감소시키는 크레인의 방진 프레임 - Google Patents

진동을 감소시키는 크레인의 방진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084B1
KR100310084B1 KR1019990029904A KR19990029904A KR100310084B1 KR 100310084 B1 KR100310084 B1 KR 100310084B1 KR 1019990029904 A KR1019990029904 A KR 1019990029904A KR 19990029904 A KR19990029904 A KR 19990029904A KR 100310084 B1 KR100310084 B1 KR 100310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ring
upper plate
plate
frame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812A (ko
Inventor
김진영
정찬기
Original Assignee
허영준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준,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허영준
Priority to KR101999002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084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0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1Seat suspension devices actively controlled suspension, e.g. electronic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크레인의 방진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오버 헤드 크레인 운전실 바닥의 프레임에 에어 스프링 및 높이 조절 장치를 장착하여 크레인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요동 및 충격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는 한편 운전 중 프레임에 발생하는 높이 차이를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프레임을 항상 수평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항상 쾌적한 상태 및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방진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12)가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12) 사이의 사각 모퉁이에 에어 스프링(5)을 장착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0) 저면 중앙에는 하부 플레이트(12)에 근접하는 피봇(20)을 부착하고, 상기 피봇(20)을 하부 플레이트(12) 상면에 부착된 피봇 하우징(22) 내에 삽입하고, 상기 사각 모퉁이에 장착된 에어 스프링(5)과 에어 스프링(5) 사이에 에어 스프링(5)이 탄성될 때 범위를 한정시키는 상승 스토퍼(14)를 상부 플레이트(10) 저면에 부착하되 상기 상승 스토퍼(14)의 하부에 부착된 돌기(26)를 하부 플레이트 상면(12)에 부착된 걸림턱(16) 내에 결합하여 상승 스토퍼(14)가 상승이 될 때 일정 높이 이상 상승이 되지 못하게 걸림턱(16)이 상승 스토퍼(14)의 상승을 방지하는 것과, 상기 에어 스프링(5)이 장착된 사각 모퉁이 외측 상부 플레이트(10) 저면에는 센서 도그(18)를 부착하고, 상기 센서 도그(18)와 접촉이 되어 높이를 감지하는 상부 이동 감지 센서(24)와 하부 이동 감지 센서(26)를 하부 플레이트(12)에 장착하여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될 때 기울어지는 부위를 감지하여 수축이 되는 부위에는 에어 스프링(5)을 작동시켜 상부 플레이트(10)가 상승시키고, 반대편의 상승되는 부위에서는 에어 스프링(5)에서 에어를 배출하여 상부 플레이트(10)를 하강시켜 방진 프레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진동을 감소시키는 크레인의 방진 프레임이다.

Description

진동을 감소시키는 크레인의 방진 프레임{Anti-swing frame of crane for reducing swings}
본 발명은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크레인의 방진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오버 헤드 크레인 운전실 바닥의 프레임에 에어 스프링 및 높이 조절 장치를 장착하여 크레인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요동 및 충격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는 한편 운전 중 프레임에 발생하는 높이 차이를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프레임을 항상 수평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항상 쾌적한 상태 및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방진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중량이 무거운 물건을 사람을 대신해서 운반 및 하역 및 적재를 하는 기기로서 건설 현장이나, 중량이 많이 나가는 철근 및 철판을 운반하여 용접을 하여 결합시키는 조선소나, 철을 녹여 필요로 하는 제품으로 생산하는 제철소등과 일반 회사에서도 중량물을 취급하는 회사에서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기기이다.
상기와 같이 장소에 한정이 되지 않고 어떠한 작업 현장에서도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크레인 중 오버 헤드 크레인은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운전자석이 종래에는 철판으로 결합된 프레임에 안착이 되어 있어 크레인을 작업자가 운전하게되면 주행 중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으로 인해 운전석에서 크레인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프레임과 같이 요동이 되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는 것은 물론 장시간 운전시 심할 경우 스트레스와 함께 허리 요통을 수반하게 되는 등 항상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직업병의 원인이 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오버 헤드 크레인 운전실 바닥의 프레임에 에어 스프링 및 높이 조절 장치를 장착하여 크레인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요동 및 충격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는 한편 운전 중 프레임에 발생하는 높이 차이를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프레임을 항상 수평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항상 쾌적한 상태 및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가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사각 모퉁이에 에어 스프링을 장착하여 방진 프레임의 균형과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것과, 상부 플레이트 중앙 저면에는 하부 플레이트에 근접하는 피봇을 부착하고 상기 피봇을 하부 플레이트 상면에 부착된 피봇 하우징 내에 삽입하여 앞, 뒤 좌, 우로 요동이 발생할 때 피봇이 피봇 하우징에 지지되어 이동 범위가 한정이 되어 이동이 되게 하는 것과, 상기 사각 모퉁이에 장착된 에어 스프링과 에어 스프링 사이에 에어 스프링이 탄성 될 때 이동 범위를 한정시키는 상승스토퍼를 상부 플레이트 저면에 부착하되 상기 상승스토퍼의 하부에 부착된 돌기를 하부 플레이트 상면에 부착된 걸림턱에 결합하여 상승 스토퍼가 상승이 될 때 일정 높이 이상 상승이 되지 못하게 걸림턱이 돌기와 접촉이 되어 상부 플레이트가 상승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에어 스프링이 장착된 사각 모퉁이 외측 상부 플레이트 저면에는 센서 도그를 상기 센서 도그와 접촉이 되어 높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하부 플레이트에 장착하여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될 때 수축이 되는 부위를 감지하여 수축이 되는 부위에는 에어 스프링을 작동시켜 상부 플레이트가 상승되게 하며, 반대편의 상승되는 부위에는 에어 스프링에서 에어를 배출하여 상부 플레이트를 하강시켜 방진 프레임의 전체적인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방진 프레임의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 방진 프레임을 정면에서 바라본 구성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 방진 프레임에 설치된 피봇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 방진 프레임의 공기 회로도
도 5 는 본 발명 방진 프레임의 전기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 유니트 (2) : 솔레노이드 밸브
(3) : 서브 플레이트 (4) : 소음기
(5) : 에어 스프링
(10) : 상부 플레이트 (12) : 하부 플레이트
(14) : 상승 스토퍼 (16) : 걸림턱
(18) : 센서 도그 (20) : 피봇
(22) : 피봇 하우징 (24) : 상부 이동 감지 센서
(26) : 하부 이동 감지 센서 (28) : 돌기
(100) : 방진 프레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 방진 프레임의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 방진 프레임을 정면에서 바라본 구성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 방진 프레임에 설치된 피봇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 방진 프레임의 공기 회로도
도 5 는 본 발명 방진 프레임의 전기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12)가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12) 사이의 사각 모퉁이에 에어 스프링(5)을 장착하고,상기 상부 플레이트(10) 저면 중앙에는 하부 플레이트(12)에 근접하는 피봇(20)을 부착하고, 상기 피봇(20)을 하부 플레이트(12) 상면에 부착된 피봇 하우징(22) 내에 삽입하고, 상기 사각 모퉁이에 장착된 에어 스프링(5)과 에어 스프링(5) 사이에 에어 스프링(5)이 탄성될 때 범위를 한정시키는 상승 스토퍼(14)를 상부 플레이트(10) 저면에 부착하되 상기 상승 스토퍼(14)의 하부에 부착된 돌기(26)를 하부 플레이트 상면(12)에 부착된 걸림턱(16) 내에 결합하여 상승 스토퍼(14)가 상승이 될 때 일정 높이 이상 상승이 되지 못하게 걸림턱(16)이 상승 스토퍼(14)의 상승을 방지하는 것과, 상기 에어 스프링(5)이 장착된 사각 모퉁이 외측 상부 플레이트(10) 저면에는 센서 도그(18)를 부착하고, 상기 센서 도그(18)와 접촉이 되어 높이를 감지하는 상부 이동 감지 센서(24)와 하부 이동 감지 센서(26)를 하부 플레이트(12)에 장착하여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될 때 기울어지는 부위를 감지하여 수축이 되는 부위에는 에어 스프링(5)을 작동시켜 상부 플레이트(10)가 상승시키고, 반대편의 상승되는 부위에서는 에어 스프링(5)에서 에어를 배출하여 상부 플레이트(10)를 하강시켜 방진 프레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크레인을 주행 및 작동시키게 되면 진동이나 충격 및 요동이 운전실 바닥을 받치는 프레임으로 전달이 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충격이나 진동이 프레임에 전달되게 되면 프레임이 요동이 되게 되는데 지면과 고정된 하부 플레이트(12)에서 상부 플레이트(10)로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어 상부 플레이트(10)가 앞, 뒤 혹은 좌, 우로 흔들리게 되면 상부 플레이트(10) 저면에 장착된 센서 도그(18)가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는 곳에서는 센서 도그(18)가 하강하고 그 반대쪽은 센서 도그(18)가 상승하게 되므로 센서 도그(18)가 상하로 일정한 높이로 장착된 상부 이동 감지 센서(24)와 하부 이동 감지 센서(26)와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부 플레이트(10)가 하강하게 되면 센서 도그(18)도 하강하여 하부 이동 감지 센서(26)와 접촉이 되게 되는데 센서 도그(18)와 하부 이동 감지 센서(26)가 접촉이 되면 낮아진 높이만큼 에어를 공급하여 줘야 수평을 이루게 되므로 센서와 접촉되는 순간에 에어 유니트(1)가 작동되어 에어를 유입하게 되며 유입된 에어는 솔레노이드 밸브(2)를 통과하여 에어 스프링(5)에 공급되게 되므로 에어 스프링(5)은 상부로 팽창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 스프링(5)이 상부로 팽창하게 되면 에어 스프링(5)과 결합된 상부 플레이트(10)가 상승하게 되는데 상부 플레이트(10)가 상부로 일정거리 상승하게 되면 상부 플레이트(10)의 저면에 부착된 상승 스토퍼(14)도 상부 플레이트(10)와 같이 상부로 상승하게 되는데 상승 스토퍼(14)가 상부로 일정 거리 이상 상승하게 되면 상승 스토퍼(14)의 하부에 장착된 돌기(28)가 걸림턱(16)에 걸려 더 이상 상승이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반대쪽의 상부 플레이트(10)는 상승되게 되는데 상부 플레이트(10)가 상승하게 되면 상부 플레이트(10) 저면에 장착된 센서 도그(18)도 상승하게 되며 센서 도그(18)가 상부로 상승하므로 상부 이동 간지 센서(24)와 접촉이 되게 되면접촉이 되는 순간에 에어 스프링(5)내의 에어가 솔레노이드 밸브(2)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므로 에어 스프링(5)은 수축이 되고 이로 인해 상부 플레이트(10)는 하강하므로 좌, 우 또는 앞, 뒤의 수평이 조절 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높낮이를 가변 할 수 있는 에어 스프링(5)은 사각 모퉁이에 각각 설치하며 에어 스프링(5)의 상승 범위를 제한하는 상승 스토퍼(14) 및 돌기(28)와 걸림턱(16)은 각각 에어 스프링(5)과 에어 스프링(5) 사이에 4개 설치하며 상부 플레이트(10)의 상승 및 하강을 감지하는 상부 이동 감지 센서(24) 및 하부 이동 감지 센서(26)와 센서 도그(18)는 사각 모퉁이가 장착된 에어 스프링(5)의 외곽에 각각 설치하여 진동이나 충격을 가장 빨리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방진 프레임(100)의 중앙에는 방진 프레임(100)의 상부 플레이트(10)가 앞, 뒤, 좌, 우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동이 될 수 있도록 피봇(20)을 상부 플레이트(10) 저면에 장착하였으며 상기 피봇(20)의 아래 측 하부 플레이트(12) 상면에는 상부 플레이트(10)에 부착된 피봇(20)의 활동 범위를 제한하는 피봇 하우징(22)을 부착하여 상부 플레이트(10)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좌, 우 혹은 앞, 뒤로 이동이 될 때 피봇(20)이 움직이게 되는데 피봇(20)이 이동할 때 피봇 하우징(22)은 피봇(20)의 이동 범위를 극소로 최소화하여 상부 플레이트(10)의 이동 범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3)은 서브 플레이트로 솔레노이드 밸브(2)를 받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4)는 소음기로써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크레인을 조작하는 운전실 바닥에 크레인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발생된 진동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방진 장치를 장착함으로 인해 크레인을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로 및 이로 인한 직업병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항상 쾌적한 상태에서 크레인을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12)가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12) 사이의 사각 모퉁이에 에어 스프링(5)을 장착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0) 저면 중앙에는 하부 플레이트(12)에 근접하는 피봇(20)을 부착하고, 상기 피봇(20)을 하부 플레이트(12) 상면에 부착된 피봇 하우징(22) 내에 삽입하고, 상기 사각 모퉁이에 장착된 에어 스프링(5)과 에어 스프링(5) 사이에 에어 스프링(5)이 탄성될 때 범위를 한정시키는 상승 스토퍼(14)를 상부 플레이트(10) 저면에 부착하되 상기 상승 스토퍼(14)의 하부에 부착된 돌기(26)를 하부 플레이트 상면(12)에 부착된 걸림턱(16) 내에 결합하여 상승 스토퍼(14)가 상승이 될 때 일정 높이 이상 상승이 되지 못하게 걸림턱(16)이 상승 스토퍼(14)의 상승을 방지하는 것과, 상기 에어 스프링(5)이 장착된 사각 모퉁이 외측 상부 플레이트(10) 저면에는 센서 도그(18)를 부착하고, 상기 센서 도그(18)와 접촉이 되어 높이를 감지하는 상부 이동 감지 센서(24)와 하부 이동 감지 센서(26)를 하부 플레이트(12)에 장착하여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될 때 기울어지는 부위를 감지하여 수축이 되는 부위에는 에어 스프링(5)을 작동시켜 상부 플레이트(10)가 상승시키고, 반대편의 상승되는 부위에서는 에어 스프링(5)에서 에어를 배출하여 상부 플레이트(10)를 하강시켜 방진 프레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크레인의 방진 프레임.
KR1019990029904A 1999-07-23 1999-07-23 진동을 감소시키는 크레인의 방진 프레임 KR100310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904A KR100310084B1 (ko) 1999-07-23 1999-07-23 진동을 감소시키는 크레인의 방진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904A KR100310084B1 (ko) 1999-07-23 1999-07-23 진동을 감소시키는 크레인의 방진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812A KR20010010812A (ko) 2001-02-15
KR100310084B1 true KR100310084B1 (ko) 2001-11-01

Family

ID=1960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904A KR100310084B1 (ko) 1999-07-23 1999-07-23 진동을 감소시키는 크레인의 방진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0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99B1 (ko) 2011-12-22 2013-10-29 주식회사 포스코 선박에 선적되는 화물의 유동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524B1 (ko) 2015-03-30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레이트 평탄도 측정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9794A (ja) * 1985-04-02 1986-10-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産業車両の運転台防振装置
JPS61206760U (ko) * 1985-06-13 1986-12-27
JPS647082U (ko) * 1987-07-02 1989-01-17
JPH06191435A (ja) * 1992-12-28 1994-07-1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の運転室防振支持装置
JPH0932037A (ja) * 1995-07-21 1997-02-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付き作業機
KR970014248U (ko) * 1995-09-29 1997-04-28 중장비 차량의 운전실 진동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9794A (ja) * 1985-04-02 1986-10-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産業車両の運転台防振装置
JPS61206760U (ko) * 1985-06-13 1986-12-27
JPS647082U (ko) * 1987-07-02 1989-01-17
JPH06191435A (ja) * 1992-12-28 1994-07-1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の運転室防振支持装置
JPH0932037A (ja) * 1995-07-21 1997-02-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付き作業機
KR970014248U (ko) * 1995-09-29 1997-04-28 중장비 차량의 운전실 진동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99B1 (ko) 2011-12-22 2013-10-29 주식회사 포스코 선박에 선적되는 화물의 유동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812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9595B2 (ja) キャブ支持構造
WO2008066108A1 (fr) Dispositif de support de cabine d&#39;opérateur d&#39;un engin de chantier
JP2659524B2 (ja) 昇降機の動的振動制御システム
KR100310084B1 (ko) 진동을 감소시키는 크레인의 방진 프레임
US4924943A (en) Agricultural pulling machine with automatic pitch vibration damping mechanism
JP3583504B2 (ja) 道路仕上げ機
CN210739240U (zh) 减振装置及工程机械
KR20060120611A (ko) 중장비 운전실 보호장치
JPH0598666A (ja) 作業機の運転室
CN110307286B (zh) 减振装置及工程机械
JPS6033175Y2 (ja) バケツトの衝撃緩和装置
JPH0512363U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キヤビンの制振装置
JP2940849B2 (ja) 建設機械のフロアフレーム支持構造
JPH08324967A (ja) クレーンの制振構造
JPH05255950A (ja) 作業機の運転室
JPH0724656Y2 (ja) アイドルホイール支持装置
JP3866344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3178782B2 (ja) 高所作業車の積載荷重検出装置
JPH11264153A (ja) 建設機械用キャブ
CN214652942U (zh) 一种用于建筑航吊的安全防护结构
JP2006168621A (ja) 建設機械のキャブ支持構造
JPS583817Y2 (ja) エレベ−タの防振装置
JP2001130887A (ja) 低騒音マスト
JPH03286042A (ja) 車両の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JPH11218182A (ja) 除振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