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836B1 -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836B1
KR100309836B1 KR1019990020167A KR19990020167A KR100309836B1 KR 100309836 B1 KR100309836 B1 KR 100309836B1 KR 1019990020167 A KR1019990020167 A KR 1019990020167A KR 19990020167 A KR19990020167 A KR 19990020167A KR 100309836 B1 KR100309836 B1 KR 100309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door hanger
hanger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131A (ko
Inventor
임태원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20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8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2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recorded signals, e.g. spee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가 장착되어 연속적으로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도어 행거를 임의 구간에서 이송 컨베이어의 체인으로부터 분리하여 아이들 상태로 만들고, 이 아이들구간에서 별도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핫 부칠 도포기가 구비되어 있는 도포위치까지 이송시켜 도포작업을 한 다음, 다시 도어 행거를 이송 컨베이어의 체인에 결합하여 연속적으로 이송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가면서 진행하던 작업을 작업로보트에 의해 자동으로 작업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이송중 작업진행으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Hot butyl pasting apparatus for door inner vinyl seal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가 장착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계속 이송되는 도어 행거를 임의의 구간에서 체인으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도어 행거를 핫 부칠을 도포하기 쉬운 위치로 이송시켜 도포작업을 끝내고 나서 다시 체인에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이송가능하게 함으로써, 자동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도어는 도어 행거에 장착하여 체인을 이용한 이송 컨베이어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 이송 컨베이어는 연속하여 일정한 속도로 도어 행거를 진행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기존과 같이 일정 속도로 도어 행거를 이송시키면서 도어를 조립하는 이송 컨베이어의 경우 소정의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에도 작업자가 이송중인 컨베이어를 따라 가면서 작업을 해야 하고, 이렇게 작업하다 보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도어가 장착되어 연속적으로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도어 행거를 임의 구간에서 이송 컨베이어의 체인으로부터 분리하여 아이들 상태로 만들고, 이 아이들구간에서 별도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핫 부칠 도포기가 구비되어 있는 도포위치까지 이송시켜 도포작업을 한 다음, 다시 도어 행거를 이송 컨베이어의 체인에 결합하여 연속적으로 이송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가면서 진행하던 작업을 작업로보트에 의해 자동으로 작업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이송중 작업진행으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핫 부칠 도포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핫 부칠 도포장치의 1차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핫 부틸 도포장치의 2차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핫 부틸 도포장치의 틸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의 도어위치 결정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핫 부칠 도포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 레일 11 : 체인
12 : 도어 행거 12a : 어태치먼트
13 : 고정구 14 : 롤러
15 : 지지대 16 : 삽입고정구
17 : 안내가이드 17a : 안내홈
20 : 주행레일 21, 30a, 30b : 가이드 부재
22 : 클램프수단 23a, 23b, 33 : 구동수단
24 : 랙 25a, 25b : 피니언
26a : 가이드 26b : 가이드홈
27 : 꺽쇠부재 31 : 슬라이드부재
32 : 작동수단 34 : 삽입구
35 : 연결파이프 40, 74 : 공압실린더
41 : 작동바 42 : 유도레일
43 : 도어위치 결정장치 44 : 롤러
45 : 높이조절 실린더 46 : 감지수단
47 : 가이드 롤러 48 : 가이드 블럭
49 : 요홈 50 : 핫 부칠 도포기
60 : 트러스트 61 : 체인 도그
70 : 수광부 71 : 발광부
72 : 지지대 73 : 베이스 플레이트
100 : 도어 200 : 작업대
I : 아이들 구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핫 부칠 도포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로, 도면부호 100은 자동차용 도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100)가 장착되는 도어 행거(12)가 연속적인 흐름으로 이어지는 이송 컨베이어 상에서 체인(11)으로부터 분리시켜 더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한 다음, 이 도어 행거(12)가 별도의 구동수단을 갖는 이송장치에 의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위치로 이송된 상태에서 핫 부칠 도포기에 의해 도포작업이 이루어지고, 다시 이 이송장치의 작동으로 연속되는 체인(11)과 연결되어 그다음 공정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작동을 위한 본 발명의 핫 부칠 도포장치는 도어 인너 씰을 부착하기 전 공정에서 작업을 마치고 체인(11)에 의해 연속적으로 도어 행거(12)를 이송시켜 주면서 일정 구간에서 체인(11)과 도어 행거(12)를 분리시켜 주는 이송 컨베이어와, 이렇게 분리된 도어 행거를 붙잡아 핫 부칠 도포가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1차 이송장치 및 2차 이송장치와, 2차 이송장치에 의해 도포위치에서 핫 부칠 도포기(50)의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도어 행거(12)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켜주는 틸팅장치와, 상기 도어 행거(12)에 장착된 도어(100)가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에 맞게 도포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도어위치를 결정하여 핫 부칠을 도포하는 도포수단을 구성되어 있다.
이를 좀더 세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도어(100)가 장착된 도어 행거(12)를 항상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켜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유지시켜 주고 또한 일정 범위의 구간에서는 도어 행거(12)가 체인(11)으로부터 분리시켜 도포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 행거(12)가 일정한 간격과 속도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하는 가이드 레일(10)과, 이 가이드 레일(1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행거(12)를 직접 움직여주는 레일(11)과, 상기 도어(100)가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10)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도어 행거(12)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10은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다.
상기 가이드 레일(10)은 도어 행거(12)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하는 레일로, 통상 직선형으로 제작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행거(12)가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0)은 작업장의 천정에 설치된 트러스(60) 상에 고정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 트러스트의 하부에 설치된 링 형태로 제작된 체인 도그(61)를 이용하여 장착하게 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레일(10)은 단면이 'ㄷ'자 형태의 빔으로 2줄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2줄의 'ㄷ'자형 빔은 상기 트러스트(60) 상에 수직으로 고정된 체인 도그(61)의 하부에 개구된 면이 마주보는 형태로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져 있게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가이드 레일(10)에는 후술하는 도어 행거(12)의 롤러(14)가 끼워져서 움직이게 되며, 2개의 빔 사이에 형성된 상부에는 상기 도어 행거(12)를 이송시켜 주는 체인(11)이 설치된다.
도면부호 11은 체인을 나타낸다.
상기 체인(11)은 통상 공지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밀폐된 형태로 제작되어 일정한 궤적을 따라 계속 움직일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특히, 이렇게 밀폐형으로 제작된 체인(11)에는 상기 도어 행거(12)를 걸어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고정구(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고정구(13)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여기에 걸려지는 도어 행거(1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13)는 통상 체인(11)을 구성하는 일부분을 이용하게 되는데, 체인(11)의 핀 링크나 로울러 링크 등을 아래로 연장하여 체인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하면서 이 연장 부분이 상기 도어 행거(12)의 어태치먼트(12a)를 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체인(11)은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구(13)는 2개의 'ㄷ'자형 빔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위치하도록 설치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인(11)은 일정 구간에 걸쳐 가이드 레일(10)보다 윗쪽으로 돌출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도록 설치하여 아이들 구간(I)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고정구(13)가 도어 행거(12)의 지지대(15)로부터의 분리시켜 주는 구간이 된다.
즉, 상기 도어 행거(12)는 체인(11)이 가이드 레일(10)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고정구(13)와의 간섭으로 체인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데, 상기 체인(11)이 일정 높이만큼 가이드 레일(10)로부터 윗쪽으로 들뜬 상태로 설치하게 되면 상기 고정구(13)는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체인(11)은 가이드 레일(10)로부터 최소한 고정구(13)의 폭만큼 분리시켜, 상기 체인(11)의 이송으로 고정구(13)가 도어 행거(12)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12는 도어 행거를 나타낸다.
상기 도어 행거(12)는 빔 등으로 사각 박스 형태로 제작되어 있으면서 그 중앙에는 상기 도어(100)를 걸 수 있게 제작되어 있으며, 상부의 가로바 중앙에는 수직으로 지지대(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도어 행거(12)는 전후에 각각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수직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수직바에 의해 2개로 구획된 도어 행거(12)에는 윗면을 제외한 나머지 바에 각각 안내가이드(17)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17)는 각각 일정한 두께를 갖는 하나의 블럭으로 그 일면에는 상기 도어(100)의 각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안내홈(1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100)가 도어 행거(12)의 윗쪽에서 이 안내홈(17a)을 따라 장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도어 행거(12)의 수직대에 설치된 각각의 안내가이드(17)는 횡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길이 조절로 크기가 다른 도어(100)도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대(15)의 상단에는 양측에 각각 롤러(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2개의 회전 롤러(14)는 각각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ㄷ'자형 빔에 끼워져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도어 행거(12)를 연속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지지대(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0)에 설치되는 수직바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른 막대부재가 힌지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막대바에 상술한 박스 형태의 도어 행거몸체가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30°이상 회전할 수 있게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게 되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 행거(12)를 상기 도어(100)가 후술하는 핫 부칠 도포기(50)의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30°정도에서 위치를 고정시켜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5)에는 행거몸체와 이 지지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어태치먼트(12a)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어태치먼트(12a)는 후술하는 1차 이송장치와 2차 이송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도어 행거(12)를 이송시켜주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어태치먼트(12a)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단에는 일부가 윗쪽으로 돌출되어서 이루어진 삽입고정구(16)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후술하는 2차 이송장치의 슬라이드부재(31)에 삽입되어 도어 행거(12)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어태치먼트(12a)에는 후술하는 1차 이송장치의 클램프수단이 선택적으로 잡아 주게 되고, 그 후에는 2차 이송장치의 슬라이드부재(31)에의해 고정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해당부분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핫 부칠 도포장치의 1차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상기 1차 이송장치는 이미 상술한 아이들구간(I)에서 가이드 레일(10)과 나란하게 설치된 주행레일(20)과, 이 주행레일(20)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주행되는 가이드 부재(21)와, 상기 어태치먼트(12a)을 잡아 도어 행거(12)를 선택적으로 이송시켜 주는 클램프수단(22)과, 상기 주행레일(20)을 따라 가이드 부재(21)의 구동시기 및 위치를 결정시켜 주는 구동수단(23a)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부호 20은 주행레일을 나타낸다.
상기 주행레일(20)은 1차 이송장치의 가이드 부재(21)와 2차 이송장치에 사용되는 2개의 가이드 부재(30a,30b)가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특히, 상기 주행레일(20)은 단면이 'ㄷ'자 형태로 가이드 레일(10)의 아이들 구간(I)과 동일한 길이로 제작하게 되며, 이렇게 제작된 주행레일(20)에는 상술한 3개의 가이드 블럭(21,30a,30b)이 가이드 레일(10)과 마주보는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행레일(20)의 안쪽면에는 수직으로 돌출된 기어 형성부위에 랙(24)이 아래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랙(24)에는 상기 구동수단(23a)의 구동축과2차 이송장치의 가이드 부재(30a,30b)를 구동시켜 주는 구동수단(33)의 구동축에 각각 형성된 피니언(25a,25b)가 치합되어 있다.
즉, 상기 주행레일(20)에는 1차 이송장치와 2차 이송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3개의 가이드 부재(21,30)가 장착되며, 이때 각 가이드 부재(21,30)에는 여기에 대응되는 구동수단(23a,33)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구동수단(23a,33)이 구동됨에 따라 각 구동축에 설치된 피니언(25a,25b)이 랙(24)과 치합되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면서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주행레일(20)는 'ㄷ'자 형상의 개구된 면에 양측 테두리를 따라 전체 길이에 걸쳐 폭보다 좁은 두께를 갖는 가이드(26a)가 수직으로 돌출성형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26a)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21)에 형성된 가이드홈(26b)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주행 레일(20)은 양단이 마감되어 있으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0)과 나란하게 아이들 구간(I)과 같은 길이로 제작되어 트러스트(60)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주행레일(20)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21)가 구동수단(23a)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면부호 21은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가이드 부재(21)는 어태치먼트(12a)를 잡아 주는 클램프수단(22)을 지지해 주고, 이것을 잡은 상태로 상기 도어 행거(12)를 일정 위치까지 이송시켜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21)는 보통 판부재나 블럭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21)는 평행사변형 형태로 제작하여 그 선단에 장착되는 클램프수단(22)과 2차 이송장치의 슬라이드부재(31)가 동일 수직선상에서 어태치먼트(12a)를 넘겨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가이드 부재(21)는 주행레일(20)에 설치된 상태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도어 행거(12)의 어태치먼트(12a)보다 높게 위치에 있도록 제작하게 되며, 그 선단에는 클램프수단(22)을 장착하여 어태치먼트(12a)를 잡아주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21)는 일면이 주행레일(20)의 개구된 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이 측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레일(20)과 밀착되는 부분에 요(凹)자 형상의 가이드홈(12a)이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21)는 주행레일(20) 상에 가이드 레일(10)과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구동수단(23a)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22는 클램프 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클램프 수단(22)은 어태치먼트(12a)르 직접 잡아 도어 행거(12)를 1차 이송수단에 고정시켜 주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21)의 돌출된 선단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어태치먼트(12a)에 밀착고정시켜 주는 한쌍의 꺽쇠부재(27)와, 마주보는 형태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꺽쇠부재(27)를 구동시켜주는 구동수단(2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23b)은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공압실린더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21)의 위치에 따라 작동 여부가 결정되도록 제어를 받게 된다.
특히, 상기 구동수단(23b)은 가이드 부재(21)에 힌지고정된 꺽쇠부재(27)의 상단에 연결설치되는데, 직선운동에 대하여 회전운동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회전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21)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한쌍의 꺽쇠부재(27)는 가이드 부재(21)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힌지고정되고 각각의 상단에는 구동수단(23b)이 연결되는데, 이 구동수단(23b)은 통상의 공압 실린더로 직선운동만 하기 때문에 회전운동을 해야 하는 꺽쇠부재(27)와의 회전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수단(23b)도 이것들이 간섭을 받는 만큼 자체적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수단(23b)은 상기 가이드 부재(21)의 선단에 주행레일(20)과 수평한 상태, 즉 상기 어태치먼트(12a)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에서 작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구동수단(23b)과 연결설치되는 꺽쇠부재(27)도 동일 방향에서 작동하게 된다.
상기 각 꺽쇠부재(27)는 상하부가 비대칭으로 이루어진 'S'자 형상의 부재로, 중간보다 높은 위치가 상기 구동수단(23b)의 아랫쪽에 위치하도록 힌지로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 꺽쇠부재(27)는 상단부가 여기에 대응하는 각 구동수단(23b)과 힌지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수단(23b)과 수평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힌지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각 꺽쇠부재(27)는 구동수단(23b)이 수평인 상태로 있으면 어태치먼트(12a)로부터 벌어지게 되고, 상기 구동수단(23b)의 구동으로 상술한 것과 같이 각 꺽쇠부재(27)가 회전하게 되면 어태치먼트(12a)를 반대쪽에서 동시에 잡아 고정시켜 주게 된다.
물론, 상기 한쌍의 꺽쇠부재(27)가 어태치먼트(12a)를 잡았다가 놓는 시기는 이 구동수단(23b)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상기 구동수단(23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들 구간(I)이 시작되는 위치에 있다가 도어 행거(12)가 체인(11)으로부터 분리된 다음에 이것을 잡아 이송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구동수단(23b)는 미도시된 발광/수광 센서 등을 이용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 행거(12)가 체인(1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위치가 일정하게 있지 않더라도 정확하게 그 위치를 확인하여 잡아 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23a는 가이드 부재를 구동시켜 주는 구동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구동수단(23a)은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구동모터를 이용하게 되며, 그 구동축이 상기 주행레일(20)의 안쪽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21)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구동축에는 끝단에 피니언(25a)이 고정설치되어서 상술한 가이드레일(10)의 랙(24)에 치합되어서, 상기 구동수단(23a)이 구동하게 되면 랙(24)을 따라 상대적으로 주행레일(2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23a)이 주행레일(20)과 랙-피니언 결합으로 이 레일(2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이 구동수단(23a)을 지지하는 상기 가이드 부재(21)를 포함하는 1차 이송장치도 같이 주행레일(20)을 따라서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구동수단(23a)은 도어 행거(12)가 체인(11)으로부터 분리되어 아이들 구간(I)으로 진입할 때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클램프수단(22)이 어태치먼트(12a)를 잡은 것을 확인한 다음에 작동하여 도어 행거(12)를 아이들 구간(I)의 길이 중간 부분까지 이송시켜 주고, 이와 같이 이송시켜 준 다음에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서 그 다음 도어 행거(12)를 기다릴 수 있게 대기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첨부한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구동수단(23a)도 감지수단의 입력값을 받아 상술한 것과 같이 이송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첨부도면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핫 부틸 도포장치의 2차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로, 도며부호는 상술한 것과 동일 부분에 대해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
상기 2차 이송장치는 핫 부칠 도포가 끝난 도어 행거와 작업을 준비하는 도어 행거를 동시에 이송시켜 주기 위해 1차 이송장치의 가이드 부재(21)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주행레일(20)에 설치된 2개의 가이드 부재(30a,30b)와, 1차 이송장치에 의해 일정 위치까지 이송된 도어 행거(12)를 잡아 도포위치까지 이송시킨 다음 도포 작업을 끝내고 나서 다시 체인(11)에 연결시켜주는 작동수단(32)을 포함하는 슬라이드부재(31)와, 상기 가이드 부재(30a,30b)가 일정 조건에서 주행레일(20)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동수단(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30a,30b는 각각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가이드 부재(30a,30b)는 주행레일(20)면에 밀착지지되는 상면과, 여기에 수직으로 융착고정되는 지지면과, 상기 상면과 지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융착고정된 하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 부재(30a,30b)는 크기가 평행사변형 형태로 이루어진 1차 이송장치의 가이드 부재(21)의 측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크기를 제한하게 되며, 이때 상기 하면에 장착되는 슬라이드부재(31)가 클램프 수단(22)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면서 삽입고정구(16)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30a,30b)의 하면은 1차 이송장치의 가이드 부재(21)의 돌출된 부위 아랫쪽에 위치하도록 장착하게 되며, 이렇게 장착된 가이드 부재(30b)의 슬라이드부재(31)가 상기 어태치먼트(12a)와 나란하게 위치하면서 삽입고정구(16)에 끼워질 수 있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30a,30b)는 주행레일(20)과 밀착되는 상면에 가이드홈(26b)이 형성되어 가이드(26a)를 따라 움직이면서 주행레일(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30a,30b)는 상술한 1차 이송장치의 가이드 부재(21)와 마찬가지로 작동수단(32)에 의해 주행레일(20)을 따라 움직이면서 슬라이드부재(31)로 어태치먼트(12a)를 잡아 도어 행거(12)를 이송시켜 주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2개의 가이드 부재(30a,30b)는 주행레일(20)상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파이프(35)로 연결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1차 이송장치에 의해 아이들 구간(I)의 중간까지 이송된 도어 행거(12)를 핫 부칠 도포위치로 이송시켜 줌과 동시에 도포가 끝난 도어 행거(12)를 아이들 구간(I)으로부터 분리시켜 다시 체인(11)에 고정시켜 주게 된다.
즉, 상기 1차 이송장치가 아이들 구간(I)으로 진입한 도어 행거(12)를 잡아 고정시키게 되면 그 순간에 2차 이송장치의 가이드 부재(30b)는 아이들 구간(I)의 중심 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때 다른 가이드 부재(30a)는 이미 도포가 끝난 다른 도어 행거(12)를 잡고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어, 상기 1차 이송장치에 의해 도어 행거(12)가 아이들 구간(I)의 중심위치까지 이송되어 이것을 가이드 부재(30b)에 넘겨 주게 되면 2차 이송장치가 작동을 하면서 이 부재(30b)를 핫 부칠 도포위치까지 이송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나머지 가이드 부재(30a)는 이미 도포가 끝난 도어 행거(12)를 체인(11)과 연결시켜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물론, 이렇게 이송을 끝낸 가이드 부재(30a,30b)는 도어 행거(12)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되고, 원래의 위치에서 1차 이송장치에 의해 아이들 구간(I)을 따라 이송된 도어 행거(12)를 상술한 것과 같이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도면부호 31은 슬라이드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슬라이드부재(31)는 폭보다 길이가 긴 막대부재로, 상기 가이드 부재 (30a,30b)의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부재(31)는 선단에 '∪'자 형상의 삽입구(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하면에 장착함에 있어서 이 삽입구(34)가 어태치먼트(12a)와 나란하게 위치하면서 삽입고정구(16)에 끼움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31)는 삽입고정구(16)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거나 빠지면서 도어 행거(12)의 이송시켜 핫 부칠 도포위치까지 이송시켜 주거나 아이들 구간(I)에서 벗어난 도어 행거를 다시 가이드 레일(10) 상에 연결시켜 주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을 위해 작동수단(3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작동수단(32)은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공압실린더를 사용하게 되며, 이 공압실린더는 도면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어 행거(12)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31)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주게 된다.
그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작동수단(32)은 연결파이프(35)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된 2개의 가이드 부재(30a,30b)의 위치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31)를 움직여 주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0a,30b)가 원래의 위치, 즉 상기 가이드 부재(30b)가 아이들 구간(I)의 중간위치에 있게 되면 다른 가이드 부재(30a)는 핫 부칠 도포위치에 있게 되며, 이때에는 앞쪽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30a)의 작동수단(32)만 작동하여 도포작업중인 도어 행거(12)를 잡아 주게 된다.
이어, 상기 1차 이송장치는 아이들 구간(I)의 중간 위치까지 도어 행거(12)를 이송시킨 다음 뒷쪽의 가이드 부재(30b)에 인계해 주고 원래의 위치인 아이들 구간(I)의 시작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되고, 상기 2차 이송장치는 앞쪽의 도어 행거(12)에 도포 작업이 끝나게 되면 각각의 가이드 부재(30a,30b)에 고정된 2개의 도어 행거(12)를 동시에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수단(32)이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30a)는 핫 부칠 도포가 끝난 도어 행거(12)를 아이들 구간(I)이 끝나는 위치에서 체인(11)과 연결시켜 주게 되고, 다른 가이드 부재(30b)는 1차 이송장치로부터 인계받은 도어 행거(12)를 도포위치까지 이송시켜 주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작동수단(3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포가 끝난 도어 행거(12)를 체인(11)에 연결해 주면서 다른 도어 행거(12)를 도포위치까지 이송시키게 되면 봉부재(31)를 뒤로 후퇴시켜 각 도어 행거(12)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이렇게 도어 행거(12)가 분리된 가이드 부재(30a,30b)는 구동수단(33)에 의해 앞쪽의 가이드 부재(30a)가 아이들 구간(I)의 중간 위치까지 이송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뒷쪽 가이드 부재(30b)는 도어 행거(12)가 체인(11)으로부터 분리되는 아이들 구간(I)의 선단 부분까지 이송되어 1차 이송장치로부터 인계를 기다리게 된다.
도면부호 33은 구동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구동수단(33)은 실질적으로 가이드 부재(30a,30b)가 주행레일(20)을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구동수단(33)은 정역 방향으로 회전조절이 가능한 구동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상기 구동수단(33)은 2차 이송장치의 각 가이드 부재(30a,30b)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축은 주행레일(20)의 안쪽으로 연장되어서 여기에 설치된 랙(24)과 치합가능하도록 피니언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된 구동수단(33)은 주행레일(20)에 구비된 랙(24)을 따라 상대적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각 구동수단(33)이 치합된 2개의 가이드 부재(30a,30b)가 연동하여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33)은 도면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감지수단에 의해 구동시기 등이 결정하게 되며, 이 결정에 따라 각 가이드 부재(21,30a)의 작동위치 및 방향이 결정된다.
즉, 상기 앞쪽 가이드 부재(30a)는 아이들 구간(I)의 중앙에 있으면서 뒷쪽 가이드 부재(30b)가 아이들 구간(I)의 후부에서 1차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도어행거(12)를 인계받을 수 있는 위치가 기준 위치이며, 이 위치에서 앞쪽 가이드 부재(30a)d의 도어행거(30a)에서 진행중이던 핫 부칠 도포 작업이 끝나고 동시에 뒷쪽 가이드 부재(30b)에 도어 행거(12)가 고정이 되면 상기 구동수단(33)이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33)은 앞쪽 가이드 부재(30a)가 도포가 끝난 도어 행거(12)를 다시 체인(11)에 고정시켜 주는 동시에 뒷쪽 가이드 부재(30b)가 도포위치까지 이송될 때까지 구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구동수단(33)은 이러한 작동으로 각 가이드 부재(30a,30b)로부터 도어 행거(12)가 분리가 되면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술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제어하여 위에서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진행하게 된다.
첨부도면 5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핫 부틸 도포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포장치는 크게 핫 부칠 도포기(50)에 의해 용이하게 도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어 행거(12)를 가이드 레일(1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회전시켜 주는 틸팅장치와, 상기 도어 행거(12)에 이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된 도어 행거(12)가 정해진 도포위치에 오도록 위치를 설정해 주는 도어위치 결정장치(43)와, 도포위치에 있는 도어(100) 상에 직접 핫 부칠을 도포해 주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핫 부칠 도포기(5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틸티수단은 도어 행거(12)의 하부에서 설치되어 회전에 필요한작동력을 형성시켜 주는 한쌍의 공압실린더(40)와, 이 2개의 공압실린더(40)의 선단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도어 행거(12)의 하부를 지지해 주는 작동바(41)와, 상기 작동바(41)가 도어 행거(12)의 회전궤적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레일(42)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40은 작동실린더를 나타낸다.
상기 공압실린더(40)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공압실린더를 사용하게 되며, 이때 이 공압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도어 행거(12)가 회전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그 길이를 결정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공압실린더(40)는 아이들 구간(I)의 중간위치, 더욱 바람직하게는 핫 부칠을 도포하기 위해 상기 도어(100)가 정확한 도포위치에 오는 곳에 위치하도록 작업대(200)상에 설치하게 되며, 이때 이 공압실린더(40)는 상하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여 상기 도어 행거(12)를 밀어줄때 생기는 회전간섭을 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40)는 가이드 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2개를 설치하여 도어 행거(1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방향도 이 가이드 레일(10)의 수직방향으로 장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압실린더(40)의 제어는 상술한 2차 이송장치에 의해 도포가 끝난 도어 행거와 도포작업을 진행할 도어 행거가 동시에 이송되고 나서 2차 이송장치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고, 그리고 상기 2차 이송장치의 가이드부재(30a)에 의해 도포작업을 진행할 도어 행거(12)를 고정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 행거(12)는 2차 이송장치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핫 부칠 도포위치까지 이송이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공압실린더(40)가 도어 행거(12)를 하부에서 밀어 일정 범위까지 회전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압실린더(40)는 상하 회전으로 도어 행거(12)의 하부에 밀착되어 회전간섭을 피하게 되는데, 이 한쌍의 공압실린더(40)에는 가로로 상기 도어 행거(12)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작동바(41)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부호 41은 작동바를 나타낸다.
상기 작동바(41)는 도어 행거(12)가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처져 있을 때 이 도어 행거의 하부에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2개의 공압실린더(40) 로드 상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때의 작동바(41)는 상기 도어 행거(12)의 하부를 단순지지하는 부재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강부재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도어 행거(12)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전체 길이의 끝단부에는 각각 하나씩 롤러(44)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롤러(44)는 작동바(41)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이 롤러(44)의 직경이 상기 작동바(41)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하여 도어 행거(12)의 하부에 상기 롤러(44)가 직접 밀착되어 회전할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 행거(12)는 가이드 레일(10) 상에서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시 상기 도어 행거(12)의 하부에 롤러(44)에 밀착되게 하여서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게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작동바(41)는 도어 행거(12)의 하부를 지지해 주게 되며, 그 하부에는 수직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이드 롤러(47)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47)는 후술하는 유도레일(42)을 따라 움직이면서 도어 행거(12)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공압실린더(40)와 작동바(41)가 벗어나지 못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도면부호 42는 유도레일을 나타낸다.
상기 유도레일(42)는 양단이 안쪽으로 꺽인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부재로, 전체 형상이 소정의 곡률로 구배져 있다.
특히, 이 유도레일(42)의 곡률은 도어 행거(12)의 회전위치에서의 회전중심점으로부터 가이드 롤러(47)의 중심위치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 상에 위치하도록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때 이 유도레일(42)의 하부에는 이러한 형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브라켓이 융착고정되어 있어 상기 작업대(200)에 볼트로 고정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유도레일(42)은 공압실린더(40)와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전부 2개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기 작동바(41)에 고정된 각 가이드 롤러(47)가 각각 이 유도레일(42)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의 도어위치 결정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로, 도면부호 43은 도어위치 결정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도어위치 결정장치(43)는 상술한 바와 같이 1차와 2차 이송장치에 의해 핫 부칠 도포위치까지 이송된 도어 행거(12)를 일정 경사각을 가지도록 바깥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 행거(12)에 장착된 도어(100)를 일정 높이만큼 위로 들어 올려서 핫 부칠 도포기(50)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도포작업을 할 수 있도록 위치를 결정해 주게 된다.
이러한 도어위치 결정장치(43)는 상술한 공압실린더(40)에 의해 일정각도까지 회전된 도어 행거(12)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도어(100)를 일정 높이로 맞춰주는 높이조절 실린더(45)와, 발광부와 수광부를 이용하여 도어(100)가 정확한 도포위치에 와 있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보상해 주는 감지수단(46)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45는 높이조절 실린더를 나타낸다.
상기 높이조절 실린더(45)는 통상의 공압실린더를 사용하게 되며, 특히 이 실린더(45)는 상기 도어 행거(12)가 도포작업을 위해 최적의 위치까지 회전된 상태에서 그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 행거(12)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0)의 수직선상에 대하여 30°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높이조절 실린더(45)도 이것의 연장선상에 설치하여 상기 도어 행거(12)의 회전이 끝나게 되면 이 실린더(45)가 상기 도어(100)를 도어 행거(12)와 나란하게 위로 올려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높이조절 실린더(45)의 로드 끝단에는 도어(100)가 도어 행거(12)의 폭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밀어 주는 가이드 블럭(48)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블럭(48)의 윗면에는 상기 도어(100)의 하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요홈(49)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치된 높이조절 실린더(45)는 상기 도어 행거(12)가 일정 각도, 본 발명에서는 30°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작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실린더(45)의 로드에 장착된 가이드 블럭(48)이 도어(100)를 하부에서 위로 직접 올려 주게 된다.
도면부호 46은 감지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감지수단(46)은 도어 행거(12)가 핫 부칠 도포위치까지 이송되었을 때 정확하게 제자리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정위치에 있지 않게 되면 이에 맞게 보상해 주게 된다.
이러한 감지수단(46)은 상기 도어 행거(12)에 설치되어 도어(100)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는 안내가이드(17)에 설치되는 2개의 수광부(70)와, 이 수광부(70)의 높이와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작업대(200)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10)과 나란하게 전후진할 수 있도록 장착된 발광부(7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가이드(17)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도어 행거(12)의 각 수직바에 설치된 4개 중에서 이것(12)의 선단과 후단의 수직대에 장착된 2개의 안내가이드(17)에 각각 하나씩 수광부(70)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수광부(70)는 상기 발광부(71)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슬릿을 수용하게 되는데, 이 수광부(70)과 발광부(71) 사이에 도어(100)가 들어오는 순간을 검출하여 핫 부칠 도포기(50)에 신호를 보내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발광부(71)는 레이저 슬릿을 발생시켜 주는 부분으로, 도어(100)의 크기에 따라 도어 행거(12)에 설치된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보상할 수 있도록 작업대(200)에 가이드 레일(10)과 나란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발광부(71)는 작업대(200) 상에서 도어 행거(12)가 회전된 위치의 하부에 일정한 높이를 갖는 지지대(72)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때의 지지대(72) 높이는 상기 발광부(71)가 수광부(70)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72)는 작업대(200)에 가이드 레일(10)과 나란하게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73)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지지대(72)는 이 플레이트(73) 상부에 나란하게 장착된 공압실린더(74)에 의해 선택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공압실린더(7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핫 부칠 도포위치로 이송되는 도어 행거(12)에 장착된 도어(100)의 크기, 즉 차량이 소형이나 대형이냐에 따라 달라지는 도어(100)를 전부 수용할 수 있게 사용자가 임의로 위치를 지정하게 되면 그 위치까지 지지대(72)를 이송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위치 결정장치(43)는 도어 행거(12)에 도어(100)가 장착되면 이에 따른 도어의 정보, 예를 들어 도어의 크기나 맵 포켓 등 핫 부칠이 도포되지 말아야 할 부분이나 도포해야 할 크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공압실린더(74)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결정된 도어(100)의 위치에 따라 후술하는 핫 부칠 도포기(50)를 이용하여 도어(100)에 정확한 도포위치를 결정하여 도포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감지수단(46)은 상술한 2개의 공압실린더(40)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작업대(200)에 설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감지수단(46)은 도어위치 결정장치(43)와 나란하게 장착하여 회전된 도어 행거(12)의 도포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감지수단(46)이 도어 행거(12)에 도어(10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도포위치까지 이송되어 오게 되면 이에 대한 입력신호를 핫 부칠 도포기(50)에 신호를 보낼 수 있게 하고, 이 신호를 받은 핫 부칠 도포기(50)는 상기 도어가 없는 도어 행거(12)가 이송되어 오더라도 도포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그 다음 도어 행거(12)가 이송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50은 핫 부칠 도포기를 나타낸다.
상기 핫 부칠 도포기(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00)가 정확한 핫 부칠 도포위치까지 오게 되면 도포작업을 진행하기 장치로, 통상적으로 도포작업에 사용되어 왔던 자동화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이 핫 부칠 도포기(50)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각 장치의 작업이 완료되고 나서 마지막으로 감지수단(46)에 의해 도포위치에 대한 보상이 끝나게 되면 작업을 시작하게 되는데, 작업영역에 대해서는 작업전에 이미 도포작업을 진행할 도어(100)의 크기와 맵 포켓이나 도어 손잡이 등 핫 부칠이 도포되지 않아야 할 부분에 대한 기본 데이타가 이미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핫 부칠 도포기(50)는 도포위치에 대한 보상이 끝나게 되면 이미 설정된 도어(10)의 도포위치에 작업을 진행하게 되고, 이 작업진행이 끝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2차 이송장치에 의해 도포가 끝난 도어 행거(10)와 도포를 해야 할 도어 행거(12)가 반복하여 진행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포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7은 본 발명에 따른 핫 부칠 도포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로, 도면부호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부칠 도포장치는 이송 컨베이어상에 항상 도어 행거(12)가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도어 행거(12)에는 도포작업 전에 실시되는 작업을 마친 도어(10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안내가이드(17)에 장착되어 된다.
이때, 이 도어(100)에 대한 기본 데이타인 도어의 크기 및 도포영역에 대한 자료가 도어위치 결정장치(43), 높이조절 실린더(45), 감지수단(46) 그리고 핫 부칠 도포기(50)에 이미 입력되어 작동영역과 이송거리 등을 결정시켜 주게 된다.
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체인(11)에 등간격으로 구비된 고정구(13)에 걸려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이송되는 도어 행거(12)에 작업자가 이전 작업과정을 마친 도어(100)를 안내가이드(17)에 끼워 슬라이드 방식으로 장착하게 되고, 이렇게 도어(100)가 장착된 도어 행거(12)는 체인(11)에 의해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움직이게 된다.(단계 A1과 A2)
물론, 상기 A1작업과정에서 도어 행거(12)에 도어(100)가 장착되지 않은 빈 도어 행거(12)가 이송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도어 행거(12)는 핫 부칠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위치까지 이송되어 오더라도 상기 감지수단(46)에 의해 핫 부칠 도포기(50)가 작동을 하지 않고 그 다음 도어 행거(12)를 기다리게 된다.
이렇게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움직이는 도어 행거(12)는 체인(11)이 가이드 레일(10) 윗쪽으로 움직임에 따라 이 체인(11)으로부터 분리되어 아이들 구간(I)으로 들어가면서 더이상 움직이지 않게 되고, 아이들 구간(I)의 뒷쪽에 있던 1차 이송장치가 도어 행거(12)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1차 이송장치는 미도시된 감지수단에 의해 아이들 구간(I)에서 들어온 도어 행거(12)의 위치를 판단하게 되고, 위치를 판단하게 되면 상기 구동수단(23a)이 구동되어 가이드 부재(21)를 주행레일(20)을 따라 이송시켜 도어 행거(12)와 나란한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어, 상기 구동수단(23b)의 구동으로 1차 이송장치의 클램프수단(22)이 꺽쇠부재(27)를 작동시켜 도어 행거(12)의 어태치먼트(12a) 부분을 잡아 이송준비를 끝내게 되고(단계 B1), 다시 상기 구동수단(23a)을 구동시켜서 도어 행거(12)를 아이들 구간(I)의 중간위치까지 이송시키게 된다.(단계 B2)
여기서, 상기 클램프수단(22)이 어태치먼트(12a)를 잡지 못하거나 도어 행거(12)가 아이들 구간(I)으로 들어오지 않게 되면 상기 1차 이송장치의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다시 도어 행거(12)의 위치를 판단하게 되며, 다시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아이들 구간(I)의 중간 위치까지 도어 행거(12)를 이송시킨 1차 이송장치는 그 자리에 멈춰 있게 되고, 2차 이송장치는 슬라이드 부재(31)가 작동되기 전에 도어 행거(12)가 정해진 위치까지 이송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B3)
이때, 상기 2차 이송장치는 앞쪽의 가이드 부재(30a)가 아이들 구간(I)의 선단부, 즉 핫 부틸 도포작업이 끝난 도어 행거(12)를 다시 체인(11)과 연결시켜 주고 나서 원래의 위치, 즉 상기 가이드 부재(30a)가 아이들 구간(I)의 도포위치로 되돌아 가게 되고, 이에 따라 뒷쪽의 가이드 부재(30b)는 아이들 구간(I)의 중간위치까지 가서 1차 이송장치에 의해 도포작업을 진행할 다른 도어 행거(12)를 인계받을 준비가 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작동수단(32)이 작동하여 슬라이드 부재(31)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어태치먼트(12a)의 삽입고정구(16)에 끼워져서 도어 행거(12)를 2차 이송장치에 고정시켜 주게 되고, 동시에 상기 1차 이송장치는 클램프수단(22)이 어태치먼트(12a)로부터 분리되면서 아이들 구간(I)의 뒷쪽으로 되돌아 가서 그 다음 도어 행거(12)를 고정시킬 준비를 하게 된다.(단계 B4)
이와 동시에, 핫 부칠 도포작업을 해야 할 도어 행거(12)를 고정시키고 있는 2차 이송장치는 구동수단(33)의 구동으로 주행레일(20)을 따라 움직이면서 아이들 구간(I)의 앞쪽까지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앞쪽 가이드 부재(30a)에 고정된 도포가 끝난 도어 행거(12)는 다시 체인(11)에 연결되어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움직이고, 이 가이드 부재(30a)와 연결파이프(35)로 연결된 뒷쪽 가이드 부재(30b)에 고정된 도어 행거(12)는 도포위치까지 이송된 다음 슬라이드 부재(31)가 삽입고정구(16)로부터 빠지게 되어 더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어, 틸팅장치가 구동을 하게 되는데, 먼저 상기 공압실린더(40)가 구동함에 따라 작동바(41)가 도어 행거(12)의 하부를 밀어 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 행거(12)는 롤러(44)를 회전시키면서 가이드 레일(1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 행거(12)는 가이드 레일(10)의 수직선상에 대하여 30°만큼 회전하게 되며, 상기 작동바(41)는 가이드 롤러(47)가 도어 행거(12)의 회전궤적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유도레일(42)을 따라가면서 도어 행거(12)의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단계 C1)
상기 도어 행거(12)가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을 하게 되면 도어위치결정장치(43)가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 도어위치 결정장치(4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00)의 크기나 도포위치 등에 대한 기본적인 데이타가 이미 입력되어 있어 한상의 감지수단(46) 사이 거리와 핫 부칠 도포기(50)의 도포범위가 이미 결정되어 있다.
먼저, 상기 감지수단(46)의 발광부(71)에서 레이저 슬릿을 생성하면서 공압실린더(74)를 이용하여 가이드 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 행거(12)가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되어 안내가이드(17)에 설치된 수광부(70)가 레이저 슬릿을 받아 들이게 된다.(단계 C2)
이때의 위치가 핫 부칠 도포기(50)에서 도포작업을 진행하기 전 단계로, 이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도어(100)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 실린더(47)를 구동시켜 가이드 블럭(48)의 요홈(49)에 도어(100)의 하부가 끼워지게 한 다음, 일정 높이(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약 1cm)만큼 경사진 도어 행거(12)면을 따라 위로 올려 도포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어, 상기 도어(100)가 완전히 도포위치까지 위로 올라가게 되면(여기서, 도어의 도포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술한 감지수단과 같이 통상적인 레이저 슬릿을 이용) 이에 대한 출력신호로 핫 부칠 도포기(50)에 출력신호를 보내게 된다.(단계 C4와 단계 C5)
마직막으로, 상기 핫 부칠 도포기(50)가 작동하여 이미 설정된 도포 영역에 대하여 도포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먼저 도어 행거(12)의 앞쪽에 설치된 프론트 도어에 먼저 도포작업을 하고, 이어 그 상태에서 핫 부칠 도포기(50)만 제자리에서 회전하여 뒤에 있는 리어 도어에 도포 작업을 하게 된다.(단계 D1과 단계 D2)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체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도어 행거를 일정 구간에서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분리하여 아이들 구간에 두고, 분리된 도어 행거를 1차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아이들 구간의 중간 위치까지 이송시킨 다음 2차 이송장치로 핫 부칠 도포위치까지 이송시켜 통상의 핫 부칠 도포기로 도포작업을 하고, 그 다음 2차 이송장치로 도포가 끝난 도어 행거를 다시 체인에 연결하여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게 함으로써,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서 핫 부칠 도포작업을 할 수 있게 되고, 수작업으로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가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포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트러스트 상에 도어 행거(12)가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10)과, 도어 행거(12)를 걸어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고정구(13)가 구비되어 있으면서 일부 구간에서 고정구(13)가 도어 행거(12)로부터 분리되었다가 다시 결합되는 아이들구간(I)이 형성되도록 가이드 레일(10)의 윗쪽에 설치된 체인(11)과, 도어(100)가 탈장착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움직일 수 있고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아이들구간(I)에서는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분리되었다가 다시 결합되는 도어 행거(12)를 포함하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아이들 구간(I)만큼의 길이로 가이드 레일(10)과 나란하게 설치된 주행레일(20)과, 이 주행레일(20)의 안내를 받아 상기 가이드 레일(10)과 마주보면서 나란하게 움직이는 가이드 부재(21)와, 가이드 부재(21)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10)로부터 이탈된 도어 행거(12)의 어태치먼트(12a)를 잡아 2차 이송장치에 인계가능한 위치까지 이송시켜주고나서 다시 어태치먼트(12a)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동수단(23b)이 구비된 클램프수단(22)과, 상기 가이드 부재(21)에 장착되어 있으면서 체인(11)으로부터 분리된 도어 행거(12)를 인계위치까지 이송시켜 준 다음 다시 아이들구간(I)의 후단부인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구동축의 피니언(25a)이 주행레일(20)에 내설된 랙(24)과 치합된 구동수단(23a)을 포함하는 1차 이송장치와,
    상기 가이드 부재(21)보다 앞쪽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주행레일(20)을 따라 움직이는 전·후 가이드 부재(30a,30b)와, 상술한 인계위치에서 1차 이송장치로부터 분리된 어태치먼트(12a)에 삽입되고 동시에 도포가 끝난 도어 행거(12)의 어태치먼트(12a)를 동시에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각 가이드 부재(30a,30b)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드부재(31) 및 각각의 슬라이드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작동력을 부가하는 작동수단(32)과, 상기 가이드 부재(30a,30b)에 장착되어 있으면서 구동축이 주행레일(20)의 랙(24)에 치합되어 앞쪽 가이드 부재(30a)에 의해 도어 행거(12)가 다시 체인(11)에 맞물려서 아이들구간(I)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이송시켜주는 동시에 다시 뒷쪽 가이드 부재(30b)가 원래의 도포위치까지 되돌아 오게 유도하는 구동수단(33)으로 구성된 2차 이송장치와,
    상기 아이들구간(I)의 하부에 설치된 작업대(200) 상에 컨베이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수직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힌지고정된 공압실린더(4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수직 하부에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공압실린더(40)의 로드 끝단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양단에는 도어 행거(12)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롤러(44)가 구비된 작동바(41)와, 이 작동바(41)가 상기 공압실린더(40)의 작동으로 도어 행거(12)가 가이드 레일(1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해주는 유도레일(42)을 포함하는 틸팅장치와,
    상기 공압실린더(40)의 전진 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작업대(200)에 고정되어 도어 행거(12)에 장착된 도어(100)가 도포에 적당한 위치에 오게 해주는 한쌍의 도어위치 결정장치(43)와, 이 2개의 도어위치 결정장치(43) 사이에 장착되어 도어 행거(12)가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도어(100)에 핫 부칠을 도포시켜주는 핫 부칠 도포기(50)를 포함하는 도포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행거(12)는 핫 부칠을 도포하는 위치에서 공압실린더(40)의 작동방향으로 수직방향에 대해 30°이상 회전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11)은 아이들구간(I)에서 고정구(13)의 폭보다 큰 폭으로 들떠 있게 설치하여 이 고정구(13)가 도어 체인(12)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20)은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개구된 측면의 양측 테두리에 철(凸)자 형상의 가이드(26a)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주행레일(20)과 밀착되어 슬라이드되는 가이드 부재(21,30)에는 가이드(26)의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가이드홈(26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수단(22)은 어태치먼트(12a)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하여 수직상태에서 마주보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21)의 선단에 힌지고정된 한쌍의 구동수단(23b)과, 각 구동수단(23b)의 구동축에 연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어태치먼트(12b)를 물어줄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21)에 대칭으로 힌지고정된 한쌍의 꺽쇠부재(2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31)는 폭보다 길이가 다소 긴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단에는 상기 어태치먼트(12a)의 삽입고정구(16)에 가로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자 형상의 삽입구(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후단은 작동수단(32)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위치 결정장치(43)는 핫 부칠 도포위치에서 도어 행거(12)의 힌지중심점에 대하여 30°경사각으로 설치되어 이 도어 행거(12)상에 걸쳐진 도어(100)를 일정 높이로 맞춰주는 높이조절 실린더(45)와, 도어 행거(12)의 양단에 설치된 2개의 발광부와 상기 각 높이조절 실린더(45)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 진행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도포위치를 설정해주는 일 수 있도록 각 수광부(70)와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 발광부(71)로 이루어진 감지수단(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KR1019990020167A 1999-06-02 1999-06-02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KR100309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167A KR100309836B1 (ko) 1999-06-02 1999-06-02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167A KR100309836B1 (ko) 1999-06-02 1999-06-02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131A KR20010001131A (ko) 2001-01-05
KR100309836B1 true KR100309836B1 (ko) 2001-10-29

Family

ID=1958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167A KR100309836B1 (ko) 1999-06-02 1999-06-02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8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444A (ko)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화신 도장용 행거 장치
KR102548512B1 (ko) 2022-03-31 2023-06-28 주식회사 세인인터내셔널 승강기 와이어로프 장력 자동 균등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8293B (zh) * 2014-05-21 2017-01-18 埃夫特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车门外板涂胶设备
CN105059889A (zh) * 2015-08-19 2015-11-18 苏州达力客自动化科技有限公司 自动化工件翻转生产线设备的操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9673A (en) * 1978-03-28 1979-10-08 Nakanishi Kinzoku Kogyo Kk Hanger for overhead conveyor
JPS5738963A (en) * 1980-08-20 1982-03-03 Sanwa Shutter Corp Coating apparatus for door panel members such as frame material
JPS63265790A (ja) * 1987-04-24 1988-11-02 Mazda Motor Corp 車両組立ラインに用いるボデイ移載装置
KR880012431A (ko) * 1987-04-24 1988-11-26 고다도뀨쇼오 차량조립 라인의 행거에의 차량이재 방법
KR0149627B1 (ko) * 1996-09-18 1998-09-15 양재신 자동차용 도어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9673A (en) * 1978-03-28 1979-10-08 Nakanishi Kinzoku Kogyo Kk Hanger for overhead conveyor
JPS5738963A (en) * 1980-08-20 1982-03-03 Sanwa Shutter Corp Coating apparatus for door panel members such as frame material
JPS63265790A (ja) * 1987-04-24 1988-11-02 Mazda Motor Corp 車両組立ラインに用いるボデイ移載装置
KR880012431A (ko) * 1987-04-24 1988-11-26 고다도뀨쇼오 차량조립 라인의 행거에의 차량이재 방법
KR0149627B1 (ko) * 1996-09-18 1998-09-15 양재신 자동차용 도어 이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444A (ko)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화신 도장용 행거 장치
KR102105294B1 (ko) 2018-09-28 2020-04-28 (주)화신 도장용 행거 장치
KR102548512B1 (ko) 2022-03-31 2023-06-28 주식회사 세인인터내셔널 승강기 와이어로프 장력 자동 균등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131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1698C (en) Bodyside panel handling conveyor
US5400944A (en) Processing station for workpieces, especially vehicle bodies, in a transfer line
US9586297B2 (en) Vehicle body component mounting system
US8365396B2 (en) Changeover device for clamping frames
KR100765648B1 (ko) 동기주행기능을 갖춘 도어 장착 시스템
US7744514B2 (en) Machining st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vehicle bodies
GB2185220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motor vehicle bodies
JPH03128813A (ja) 閉じた軌道に沿って対象物を搬送する方法と装置
CA1340300C (en) Method for painting vehicle body
KR100309836B1 (ko) 자동차 도어의 인너 비닐 씰 부착용 핫 부칠 도포장치
ITRM20010010A1 (it) Apparecchiatura di convogliamento.
JP4476407B2 (ja) 塗装用搬送装置
KR20170048687A (ko) 차륜 도장 라인의 휠 행거 수평수직 유지장치
JPH06421A (ja) 塗装方法及び装置
JP2519584B2 (ja) レシプロ塗装機
US5437529A (en) Conveying system
JPH0815875B2 (ja) 自動車ボディの溶接装置
JP2506359Y2 (ja) ワ―ク搬送装置
JPS6228707B2 (ko)
JP2524881B2 (ja) 自動車ドアの開閉装置
JPH1034455A (ja) 物品組付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25488B2 (ja) 自動車ボディの溶接装置におけるボディ構成部品の位置決め装置
JP2000354917A (ja) 車両用部品のハンドリング装置
JP4342671B2 (ja) 搬送装置
JPS62178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