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669B1 - 키패드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키패드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669B1
KR100309669B1 KR1019980042404A KR19980042404A KR100309669B1 KR 100309669 B1 KR100309669 B1 KR 100309669B1 KR 1019980042404 A KR1019980042404 A KR 1019980042404A KR 19980042404 A KR19980042404 A KR 19980042404A KR 100309669 B1 KR100309669 B1 KR 10030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base plate
keypad
manufactur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5362A (ko
Inventor
김규철
Original Assignee
김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철 filed Critical 김규철
Priority to KR1019980042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669B1/ko
Publication of KR2000002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온도로 가열된 일정한 두께의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재로 된 베이스판을 금형사이에 넣어 돔을 형성한 후, 상기 돔이 형성된 베이스판을, 누름부가 형성된 패드에 접합하여 이루어 지는 키패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돔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상,하금형의 사이간격을 상기 돔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상,하금형의 사이간격보다 작게 하여 프레스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의 돔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면, 성형시 돔의 중앙부의 PET재가 압축됨과 동시에 가장자리로 밀려 돔의 밀도를 높이게 되어 베이스판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키패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전화기나 계산기등에서 문자나 숫자를 눌려 신호를 보내는 키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 패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누름부(12)가 돌출되게 형성된 패드(10)와, 상기 패드(10)에 부착되어 상기 누름부(12)의 눌림에 따라 변형되는 돔을 가지고 도시하지 않는 전자회로를 닫는 베이스판(14)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패드(10)와 베이스판(14)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이루어 진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상기 키패드에서 베이스판(14)은 소정두께(예를 들면 0.125mm)의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재의 베이스판 원재(14')를 소정온도로 가열한 후, 상,하금형(16)(18)사이에 넣어 돔(20)을 형성하여 제조한다.이때, 상기 돔(20)의 중앙부의 두께를 형성하는 상,하금형(16)(18)의 사이간격(A)과 상기 돔(20)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상,하금형(16)(18)의 사이간격(B)을 동일하게 하여 프레스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4)의 돔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돔(20)은 상기 패드(10)의 누름부에 의해 눌려져 계속적으로 변형되므로, 오랫동안 사용되면 탄력성을 잃게 되어 접점스위치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누름부(12)에 의해 눌러져 변형되었던 돔(20)이 원상태로 완전히 돌아오지 못하게 되어 키가 눌려진 입력상태가 계속 제어수단에 전달하게 되는등 숫자나 문자가 바르게 입력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돔의 밀도 및 형상을 개선하여 장시간 사용에 대한 탄성력의 저하를 방지하여 그 내구성을 높임에 의해 신호입력의 신뢰성을 높이는 키패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키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의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키패드에서 패드의 누름부가 눌려지기 전의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키패드에서 패드의 누름부가 눌려진 후의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6은 종래 키패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패드 32 : 누름부
34 : 베이스판 36 : 돔
38 : 요입부 40 : 돌기
42 : 접점 46, 48 : 상,하금형
C, D ; 돔을 형성하는 부위의 상, 하금형의 사이간격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소정온도로 가열된 일정한 두께의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재로 된 베이스판을 금형사이에 넣어 돔을 형성한 후, 상기 돔이 형성된 베이스판을, 누름부가 형성된 패드에 접합하여 이루어 지는 키패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돔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상,하금형의 사이간격을 상기 돔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상,하금형의 사이간격보다 작게 하여 프레스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의 돔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키패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누름부(32)가 돌출되게 형성된 패드(30)와, 상기 패드(30)에 부착되어 상기 누름부(32)의 눌림에 따라 변형되는 돔(36)을 가지고 도시하지 않는 전자회로를 닫는 베이스판(3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패드(30)와 베이스판(34)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이루어 진다
상기 패드(30)는 실리콘재의 판으로 되어 있으며, 그 일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누름부(32)의 평면에는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기호, 문자, 또는 숫자가 인쇄 또는 각인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32)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된 측의 반대측에는 소정깊이의 요입부(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부(38)의 중간부에는 누름부를 누름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34)의 돔(36)을 밀어 변형시키는 돌기(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34)은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재로 되어 있고, 도3에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돔(36)은 일측면이 요입되고 타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며, 요입된 면에는 실버(Silver)인쇄층 및 상기 실버인쇄층을 보호하는 카본(carbon)인쇄층이 공지의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접점(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PET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연화점은 섭씨 80도 내지 섭씨 85도이다.
상기 키패드를 조작할 때는 누름부(32)을 누르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40)가 돔(36)의 중앙부를 누르게 되어 상기 접점(42)이 매개부(P)에 닿아 시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누름부(32)를 놓으면 돔(36)의 탄성력에 의해 접점(42)이 매개부(P)에서 떨어져 신호입력이 중단되며, 상기 누름부(32) 및 돔(36)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요지인 베이스판의 돔의 제작공정이 도5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0.1 ~ 0.125mm의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재의 베이스판 원재(34')를 섭씨 130 도 정도로 가열한 후, 상,하금형(46)(48)사이에 넣어 돔(36)을 형성하여 제조한다. 이때, 상기 돔(36)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상,하금형(46)(48)의 사이간격(C)을 상기 돔(36)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상,하금형(46)(48)의 사이간격(D)보다 작게 하여 프레스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34)의 돔(36)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이간격 D는 0.1 ~ 0.125mm이고, 상기 사이간격 C는 0.0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ET는 연화점이 섭씨 80도 내지 섭씨 85도 이므로, 섭씨 130도의 온도에는 충분히 연화되어 성형에 의해 결정의 재배열이 이루어져 돔(36)을 이루게 되며, 냉각되면 돔으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판 원재(34')는 두께가 0.1 ~ 0.125mm이고 돔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금형의 사이간격(C)이 0,05mm이므로, 사이간격(C)에 놓여지는 원재는 압축됨과 동시에 그 일부분은 성형중에, 돔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사이간격(D)으로 밀려 재질의 밀도가 증가하여 강성이 크게 된다.
따라서, 누름부(32)의 조작에 의한 돔의 연속적인 변형에도 돔의 탄성복귀력이 약화되지 않는다.
300g의 하중으로 50,000회(초당 1회)의 연속키 누름시험을 한 결과, 시험전의 작동력에 대한 작동력의 변화율이 10%이내로서, 종래의 타제품에 비해 현저히 성능이 향상되었음이 판명되었다. 즉, 종래의 키패드에 비해 그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키 패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장기간 사용으로 돔이 반복적으로 변형되더라도 탄성력의 저하가 방지되어, 그 내구성이 높아지며 신호입력의 신뢰성이 현저히 높아지게 된다.

Claims (1)

  1. 소정온도로 가열된 일정한 두께의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재로 된 베이스판을 금형사이에 넣어 돔을 형성한 후, 상기 돔이 형성된 베이스판을, 누름부가 형성된 패드에 접합하여 이루어 지는 키패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돔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상,하금형의 사이간격(C)을 상기 돔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상,하금형의 사이간격(D)보다 작게 하여 프레스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의 돔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제조방법.
KR1019980042404A 1998-10-10 1998-10-10 키패드의제조방법 KR100309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404A KR100309669B1 (ko) 1998-10-10 1998-10-10 키패드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404A KR100309669B1 (ko) 1998-10-10 1998-10-10 키패드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362A KR20000025362A (ko) 2000-05-06
KR100309669B1 true KR100309669B1 (ko) 2001-12-17

Family

ID=1955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404A KR100309669B1 (ko) 1998-10-10 1998-10-10 키패드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6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362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027B1 (ko) 키이탑플레이트및이의제조방법
KR100342959B1 (ko)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JP4413892B2 (ja) キーシート
JP4037483B2 (ja) シート状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506885A0 (es) Perfeccionamientos en teclados, con un circuito laminar im- preso flexible
US4500218A (en) Keyboard key with embedded top character
JPS61110582A (ja) 情報支持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09669B1 (ko) 키패드의제조방법
JPS62271313A (ja) キ−スイツチ装置
JPS63141222A (ja) キーパット用押しボタン
KR100397956B1 (ko) 다수의 버튼을 갖는 버튼집합체
US6043441A (en) Membrane switch device capable of ensuring bonding around mounting holes
KR100275297B1 (ko) 필름성형 키캡과 실리콘 고무 조합 키패드 제작방법
US6383604B1 (en) Keytop sheet using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7179923A (ja) メタルドーム押さえシート及びメタルドームスイッチ
KR100289034B1 (ko) 이동 통신기용 키패드 제작방법
KR200372897Y1 (ko) 본딩력 강화 기능이 구비된 키패드 구조
JP3574052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の製造方法
JP3642715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構造体
KR20020069081A (ko) 사출성형에 의한 셀룰라폰용 키패드 제조방법
JP3849972B2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644657B2 (ja) 樹脂ドームばね成形用型およびこれを用いた樹脂ドームばねの製造方法
KR100344970B1 (ko)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JP3715514B2 (ja)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部材の製造方法
KR100685142B1 (ko) 휴대폰용 키패드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