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654B1 - 디지탈영상을압축하고배치하며부분적으로재구성하는방법및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탈영상을압축하고배치하며부분적으로재구성하는방법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654B1
KR100309654B1 KR1019930005895A KR930005895A KR100309654B1 KR 100309654 B1 KR100309654 B1 KR 100309654B1 KR 1019930005895 A KR1019930005895 A KR 1019930005895A KR 930005895 A KR930005895 A KR 930005895A KR 100309654 B1 KR100309654 B1 KR 100309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efficient
block
blocks
coeffic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887A (ko
Inventor
차알즈에이취콜만
시드니디이밀러
피이터스미스
Original Assignee
존 지이 메사로스
암펙스시스템즈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지이 메사로스, 암펙스시스템즈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존 지이 메사로스
Publication of KR93002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자기 테이프에 기억된 정보의 편집은 비교적 빠른 셔틀 화면 전송 속도를 요구한다. 고속의 결과로 테이프 트랙상에 있는 데이타의 일부만이 보통 복구된다. 그러므로, 데이타는 "스내치 "라 불리는 화상의 부분들이 복구될 수 있는 작으나 완벽한 세그먼트에 기억된다.
비디오 화상을 나타내는 영상 신호는, 스내치에 의해 표시된 영상이 데이타 감압 기술에 의해 사용되 디스플레이될 영상을 형성하는 모든 디지탈 정보 보다 작은 정보로 부터 인지가능한 영성이 재구성 되도록 데이타 압축 기술을 사용해 압축된다. 그러므로 해서 재구성된 영상은 부분적으로 재구성된 영상이라 불린다. 영상은 여러개의 고정된 크기를 갖는 영상 블럭을 포함하고, 각 영상 블럭은 복구되 디스플레이될 영상의 대응 부분을 구성, 재구성하여 형상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화소 영상 데이타를 포함한다. 비디오 영상의 비디오 데이타 성분들은 영상 블럭 셋이 발생되도록 라인 단위로 변환되고 대응 dct 계수 블럭 셋이 발생되도록 이산 코사인 변형 (" dct" )된다. dct 변형 계수들은 최하 가시도 계수에서 최고 가시도 계수로 순위가 정해진다. 가시도에 의해 순서화하는 예는 최하 dct 주파수 계수(이는 큰 가시도를 갖음)에서 최고 dct 주파수 계수(이는 낮은 가시도를 갖음)로의 순서화에 대응한다. dct 계수의 데이타 셋은 통신 채널에 제공되기 전이나 자기 테이프에 녹화되기 전에 양자화되고 엔트로피 인코드되고 포맷되고 동기화되고 에러 인코드된다.
감압 및 재구성 장치는 감압 장치에 의해 실행 되었던 기능들의 역인 기능을 실행한다. 전형적으로 감압 과정동안, 스내치들은 회수되어 개별 영상 블럭들을 형성하는 dct 계수들 중 일부(전부일 필요가 없음)를 사용해 비디오 화상을 부분적으로 재구성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디지탈 영상을 압축하고 배치하며 부분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제1도는 비디오 상을 그 비디오상의 일부분을 각각 이루고 있는 다수의 상블럭으로 성층시킬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하는, 비디오상의 도면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는 정보에 순위를 정하고 배열하는 압축장치의 블럭도이고,
제3도는 순위를 갖고 배열된 정보를 읽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는 상이나 상의 일부분을 재구성하는 감압장치의 블럭도이며,
제4도는 제2도의 압축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블로킹 메모리를 도시하고,
제5도는 제2도의 압축장치에 사용가능한 유형의 가시 순위제공 메모리를 도시하며,
제6도는 자기 테이프에 저장된 데이타의 순위를 정하는 일형식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1, 200-2 : DCT 회로 240 : 양자화기
250 : 엔트로피 인코더 26 : 포맷터
270 : 녹화 선처리기 285 : 에러 수정 인코더
310 : 블럭-라인 영상 변환 메모리 320 : 역 DCT 회로
330 : DCT 블럭 변환 메모리 340 : 곱셈기
350 : 엔트로피 디코더 360 : 디포맷터
370 : 재생 선처리기
385 : 에러 보정 디코더 및 수정기
390,392,466,468,520,564,566 : 멀티 플렉서
400,400-1,400-2 : 블러킹 메모리
440,442 : 라인-블럭 변환기 기억장치 444,544 : 타이밍 발생기
454,456,554,556 : 어드레스 발생기 500 :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
540,542 : DCT-가시도 순서화 변환기 기억장치
본 출원은 1992년 4월 9일자로 출원된 계류중인 특허 출원 제 07/865,315 호에 부분적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신호의 압축과 감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신호들을 압축하먼서 디지탈 신호들을 순서화하고 포매팅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 그 결과 그 압축된 신호들은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될 때나 기록매질에 기록될 때 그들에 맞게 할당된 어떠한 공간에 전송되거나 기록되게 되고, 감압된 신호들의 완전(完全)세그먼트나 불완전 세그먼트들로 부터 정보가 재구성될 수 있도록 감압될 수 있다. 여기선, 예시적으로 정보 신호들이 디지탈 데이타 영상 신호로 개시된다.
영상을 나타내는 신호같은 신호들을 압축하는 이유에는 (a) 통신 채널을 사용해 최소량의 데이타를 일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것 또는 (b) 기억 매질에 최소량의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다는 것이 포함된다. 신호 압축의 목표를 달성하는 일 방법은 불필요하거나 여분의 데이타 전송을 제거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디지탈 비디오 영상같은 영상들은 그들의 성질상 굉장히 많은 여분 데이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그것은 데이타 압축을 위한 좋은 대상이 된다. 디지탈 영상신호로 부터 여분 신호 부분을 송신기에서 제거함므로써, (a)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거나 (b) 기억 매질에 기록되는 데이타양이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런 후 그 영상은 (a) 전송된 경우는 수신기에서 (b) 기록된 경우는 레코더 재생 전자장치에서 여분 신호를 재도입함으로써 재구성될 수 있다.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들과 관련해 사용되기 위한 데이타 압축은 사용된 압축 방법론에 유다른 강제를 추가로 가하는 독특한 필요사항을 여러개 갖는다. 일반적으로 그 유다른 강제사항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전형적인 사용 모드들과, 영상 데이타들이 전형적으로 가정의 시청자에게 즉시 전송되지 않고 이후 사용되기 위해 자기 테이프같은 기록 매질에 기억된다는 사실로 부터 발생한다. (여기서, 사용된 "영상 데이타"란 단어 또는 표현은 디스플레이될 영상을 형성하는 데이타나 정보를 지칭한다. )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가 기록된 정보를 편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은 텔레비젼 업계의 일반적인 요구사항이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사실은 보통 두 필드 텔레비젼 프레임의 일 필드에 기억된 데이타가 정수개의 테이프 트랙을 점유하거나 테이프 상의 예상가능한 위치나 트랙에 있는 비디오 데이타의 한정된 영상 블럭들을 점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일 필드의 데이타나 데이타의 영상 블럭은 길이가 일정해야 한다는 것을 강제사항으로서 부가한다. 대부분의 영상이 통계학적으로 불균일한 확률 밀도 함수를 갖기 때문에 그러한 간단해 보이는 강제사항은 압축 기구 설계에 심각한 요구를 생기게 한다. 정보량이 변하는 디지탈 신호에 대한 일 설계 해결책은 부호화된 데이타율을 영상량에 따라 프레임이나 필드단위로 일시적으로 변하게 허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편집 요구때문에, 전형적으로 부호화된 데이타율을 변하게 허용하기 보다는 채널 데이타율의 상한(upper bound)에 고정된다.
최근 여러 디지탈 비디오 압축 연구들은 에너지 밀집 특성과 디지탈 회로를 사용해 비교적 쉽게 실행할 수 있다는 것에 기인해 2차원 이산 코사인 변형 ("dct")을 바람직한 적응 코딩 매개자로서 사용하는 것에 집중되고 있다. 예를들면, 컴퓨터에 관한 IEEE 조약 C-23 권 1 번(1974년 1월) 90-93 쪽에 N. Ahrned 등의 기사 "이산 코사인 변형"을 보라. 비디오 영상 변환을 실행하기 위해, 제일 먼저 영상이 화소들로된 영상 블럭들로 변환되고(예, 각 블럭은 일 경우는 16행 x 16열의 화소를 갖는 정방형 어레이이고 다른 경우는 8행x8열의 화소를 갖는 정방형 어레이이다), 그 다음 일 셋의 변형 계수들로 코사인 변환된다. ("화소" 라는 단어는 "화면 요소"의 축약어이다. ) 코사인 변형 영역에서, 큰 진폭의 계수들은 일반적으로 저주파수 성분에 집중된다. 즉 제로 주파수나 직류("dc")성분을 포함하는 저주파수 성분들을 큰 진폭의 계수를 갖는 경향이 있고, 많은 고주파수 성분들은 0이나 거의 0에 가까운 진폭의 계수를 갖는 경향이 있다.
압축은 dct 계수들의 값을 기준화하거나 양자한 후 양자화된 dct 계수들을 허프만 코더같은 엔트로피 코더를 사용하여 인코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안의 작업을 효과적으로 이루는 주요 요소는 양자화 과정이다. 양자화가 너무 미세하게 된 경우는 허프만 코더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타가 채널 (또는 다른 경우론 레코더의) 데이타율을 초과하게 되고, 양자화가 너무 조야하게 된 경우는 수용되지 못할 왜곡이나 잡음이 초래된다. 적당한 파러미터를 결정하는 일 기술은 출력 버퍼 메모리를 모니터하고 양자화 레벨을 조정하여 버퍼내 데이타의 균형을 유지하는 피드백 스케임(feedback scheme)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통신에 관한 IEEE 조약 Con-32권 3호(1984년 3월), 225-232쪽에 기술된 W-H Chen 과 W. K. Pratt 의 " 장면 적응 코더"의 방법을 보라.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 4,302,775 호를 보라. 더 나아가 과거에 사용된 비트 할당 방법들은 압축될 데이타에 의해 한정되는 상이한 종류의 영상이 비교적 넓은 범위에 있는 경우 소망되는 영상 질을 생산하지 못한다. 이 문제에 대한 dct 해결책으로, Peter Smidth 등에 의해 1991년 2월 13일자로 출윈되어 본 출원의 양수인에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07/654,710호의 "데이타 셔플링 및 감압 장치와 방법"을 보라.
앞에 제안했듯이, 레코더에 있어서의 편집 특성은 데이타 압축 방법론상에 또 다른 제한을 가한다. 예를 들면, 편집 모드에서 기록된 정보는 편집 과정중에 새로운 정보가 위에 덧쓰여짐으로써 대체된다. 그 제한사항은 대체될 최소 정보 유니트가 기록된 데이타 포맷의 확정된 공간에 할당될 것을 요구한다. 예를들면, 텔레비젼 신호를 다룰 때, 대체될 최소 정보 유니트는 전형적으로 단일 필드이게 된다. 단일 필드를 위한 고정된 공간을 할당하는 것을 임의의 비디오 신호 유닛을 같은 크기의 임의의 같은 비디오 신호 유닛이나 같은 크기의 임의의 다른 비디오 신호 유닛으로 대체되게 허용하는 것과 같다. 녹화에 있어 최대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녹화 오버런(over-run)들을 위한 갭(gap)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압축안된 원정보에 비해 고정된 짧은 주기를 갖는 녹화 포맷을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다. 이는 통신 채널로부터 수신되거나 기억 매질 테이프로부터 복구된 데이타 흐름에 대해 규칙적이며 예상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타 디포맷터의 설계를 간략하게 만든다. 이 규칙적인 구조는 특정 패턴들은 에러로 인식되 무시될 수 있기 때문에 영상 데이타를 "고도하게" 디포맷시키는 걸 가능케 한다.
편집은 또한 비교적 빠른 전달속도를 동반한다. 예를들면, 보통 텔레비젼 방송 업계에는 리디오 테이프 레코더가 정상적인 녹화/재생 테이트 전달속도보다 빨리 영상을 재생할 것을 요구하는데, 그것은 때때로 그 업계에서 셔틀화면 모드(picture-in-shuttle mode)라 지칭된다. 보통 셔틀화면 모드는 정상 재생속도의 60배로 동작한다. 셔틀화면 재생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일반적으로 트랙에 녹화된 데이타의 일부만이 복구된다. 이 사실은 테이프에 녹화되는 압축된 데이타가 작으나 완벽한 정보 세그먼트들에 기억될 것을 요구하는데, 그곳으로 부터 화면의 일부(또는 부분들)이 복구될 수 있다. 당업계에서 그 복구된 부분은 때때로 "스내치 (snatch)"라 불린다. "스내치"라는 용어는 디스플레이될 영상을 이루는 모든 정보를 재빨리 복구하려하여도 실제론 영상을 이루는 정보의 일부(실제로 전부일 필요가 없다)가 복구된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그러면 일 문제는, 스내치에 의해 나타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영상을 이루는 모든 디지탈 정보로 부터와 마찬가지의 부분적이지만 인지가능한 영상을 재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전송되거나 녹화 매질에 기억될 영상 데이타를 순서화하고 포맷화하는 것이다. 또한 부분적인 영상의 재구성은 채널을 통해 전송되거나 녹화 매질에 기억된 정보를, 특히 셔틀화면 모드에서 효율적으로 편집되게 허용하는 방식으로 적당히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및 다른 문제들은 영상 데이타를 순서화하여 포맷화하는 것을 포함하여 스내치에 의해 표시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될 영상을 이루는 모든 디지탈 정보로 부터와 마찬가지의 부분적이지만 인지가능한 영상을 재구성하기 위해 데이타 감압동안 사용되게 하는 데이타 압축에 관련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해결된다.
압축이 이루어지는 동안, 영상 신호는 수신되 다수의 영상 블럭으로 층화(Straitified)되는데, 각 영상 블럭은 (a) 소정의 크기로, (b) 영상 신호의 각 부분을 이루는 영상신호로 부터의 영상 데이타를 포함한다. 각 영상 블럭은 본 실시예의 경우는 이산 코사인 변형(" dct")을 사용하여 개별 변형 계수 블럭이 얻어지도록 변형된다. 변형 코사인 블럭내의 dct 계수들은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것으로, 우리의 실시예에선 최저 dct 주파수(전형적으로 직류("dc") 또는 제로 주파수이다) 에서 최고 dct 주파수로 순서화된다.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영상 변형 계수 블럭들은 통신 매질 (우리의 실시예에선 전송 링크 또는 녹화 매질)에 소정 크기의 세그먼트로서 공급된다.
감압이 이루어지는 동안, dct 변형 계수로된 스내치들이 통신 매질로 부터 회수된다. 각 스내치는 하나 이상의 순위가 정해진 변형 계수군(goup)을 포함하는데, 거기서 순위가 정해진 군은 다수의 유사하게 중요한 변형 계수를 포함한다. 스내치는 영상의 일부를 재구성하는데 사용가능한 다수의 영상 블럭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스내치는 영상의 상부 왼쪽 모서리를 나타내는 영상 블럭들에 대응하고, 또 다른 스내치는 영상의 하부 왼쪽 모서리를 나타내는 영상 블럭들에 대응하며, 또 다른 스내치는 영상의 중간 오른쪽 부분을 나타내는 영상 블럭에 대응할 수 있다 (등등).
일예로, 직류(dc) 변형 계수는 제 9 계수보다 큰 가시도를 갖는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일 순서화된 군은 데이타 셋을 포함하는 다수의 변형 블럭 각각에 대한 ¥ (0) 휘도 dct 변형 계수를 포함할 수 있고 다음 계속되는 순서화된 군은 데이타 셋을 포함하는 다수의 변형 블럭 각각에 대한 ¥ (9) 휘도 dct 변형 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등등).
또한, 적어도 직류 또는 제로 주파수의 dct 변형 계수들이 스내치에서 회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게 지적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불시의 직류 오프셋이 비직류 dct 변형 계수를 사인파적으로 클리핑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재구성된 영상이 수용안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스내치로 부터의 부분적인 dct 변형 계수 블럭들이 대응하는 다수의 영상 블럭이 얻어지도록 역변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변형 계수 블럭을 포함하는 스내치들이 회수될 수 있기 때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영상 블럭들은 영상 전체가 아니라 영상의 일부만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두가지 종류의 부분적인 회수가 있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부분적인 회수의 한 종류는 단일 영상 블럭을 이루는 dct 변형 계수들을 다가 아니라 일부를 회수함으로써 예화된다. 다른 종류의 부분적인 회수는 영상의 모든 영역에 대한 모든 블럭들이 아니라 영상의 일부 영역에 대한 하나이상의 블럭들을 회수함으로써 예화된다. 어떤 경우들 부분적인 회수가 있고 그러므로해서 부분적이기만한 영상의 재구성이 있다.
상기한 내용으로 부터, 변형 계수 블럭의 변형 계수들이 모두 회수되지 않을 경우는 영상 블럭의 화소를 완벽하게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모두 영상을 재구성하는데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 차라리 부분적으로 재구성된 영상이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dct 계수군이 여러 영상 블럭을 재구성하기 위해 회수된다. 전형적으로 적은 수의 회수된 dct 계수들은, 영상의 전영역이 재구성될 수도 있지만 적은 수의 공간 주파수항이 회수되었기 때문에 재구성시 화면질의 명확도가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부분적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되는데, 그러나 그것은 예를들면 편집 목적을 위해 적절할 수 있다. 또, 회수된 스내치에 대응하는 부분적으로 재구성된 영상은 원영상만큼 명확하거나 깨끗하지 못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내용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편집자가 통신 매질에서 전영상을 이루는 정보가 위치한 위치를 결정하는데 충분한 명확도와 깨끗함을 갖게 된다.
제 1 도는 텔레비젼 영상을 도시한다. 텔레비젼이나 비디오 영상 또는 화면 (100)의 상부 왼쪽 모서리에는 영상 블럭 (113)으로 지칭되는 것이 도시되 있다. 전체 비디오 영상(100)은 다수의 영상 블럭으로 전자적으로 층화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하며, 상기 다수 영상 블럭은 실제로는 가시적일 필요가 없으나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유용하도록 영상 블럭 (113)으로 도시하였다. 다수의 영상 블럭 (113) 각각은 텔레비젼 영상(100)의 대응 공간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대응 부분을 충분히 구성하고 재구성하여 형성할 영상 데이타를 포함한다. 각 영상 블럭은 디스플레이되고 있거나 디스 플레이될 영상의 분화면 (sub-picture) 또는 부분을 형성하는, 소정 갯수의 화소에 대한 영상 데이타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비디오 영상(100)은 CCIR - 601 컬러 텔레비젼 표준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그러므로해서 비디오 영상은 CCIR - 601 컬러 텔레비젼 표준 방식하의 비디오 색신호 즉, 휘도 성분(Y) 하나와 두개의 색도 성분(R - Y) (B - Y)로 이루어지는 세개의 성분으로 형성된다. 일예로, 휘도(Y) 영상 블럭은 4개의 화소행과 8개의 화소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는 때때로 4 x 8 화소 어레이(array) 또는 서브어레이(sub-array)나 영상 블럭으로 지칭되며, 색도 영상 블럭은 4개의 화소열과 4개의 화소행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종종 4 x 4 화소 어레이이나 서브어레이 또는 영상 블럭으로 지칭된다. 영상(100)이 컬러로 디스플레이된다면, 거기에는 휘도(Y) 성분에 대한 영상 블럭(113)은 물론 색정보를 포함하는 각각의 색도 성분(R - Y) (B - Y)에 관한 영상 블럭(113)이 있을 수 있다.
선택된 변형과 선택된 부호화에 일관되게, 영상 블럭의 크기가 비디오 영상을 실제로 나타내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영상 블럭의 크기는 (a) 대단히 커서 텔레비젼 영상을 이루는 영상 블럭의 대부분에 있는 데이타가 상관(correlate)되지 않도록, (b) 또 작아서 인접한 큰 화분(畵分)의 영상 블럭들 사이에 강한 상관이 존재하지 않도록, (c) 그리고 영상 블럭의 두 방향에 있어서의 상관을 대략적으로 군등화시키도록 선택된다. 그것을 설명되는 예시의 내용을 지침으로 하여 휘도 비디오 데이타 성분(Y)의 영상 블럭들은,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예시만을 목적으로 하여, 수직으로 4개의 화소 (각 화소열에는 4행의 화소가 있다)와 수평으로 8개의 화소 (각 화소행에는 8열의 화소가 있다)로 된 소정의 크기를 갖게, 즉 4 x 8 영상 블럭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색도 비디오 데이타 성분(R - Y) 와 (B - Y)의 영상 블럭은 수직으로 4개, 수평으로 4개의 화소로된 소정의 크기, 즉 4 x 4 영상 블럭을 갖게 선택된다.
또, 텔레비젼 프레임엔 두개 필드가 있다는데 주의하라. 그러므로, 텔레비젼 프레임을 이루는 두개의 비월(interlaced) 필드 각각에 대한 4 x 8 화소의 영상 블럭은 동등한 그 프레임의 8 x 8 영상을 초래하게 된다. 달리, 인접한 프레임선들 즉, 그 프레임의 두 필드 사이의 상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움직임이 프레임의 두 필드 사이에 있을 수 있으므로 두 필드가 독립적으로 압축됨을 주의하라. 또, 색도 비디오 데이타 성분은 휘도 성분이 샘플되는 비율에 1/2 로 수평적으로 샘플된다. 그러므로, 두개의 색도 성분 각각에 대한 4 x 4 영상 블럭이 휘도 성분의 4 x 8 영상 블럭과 같은 비디오 영상 공간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비록 각 성분의 영상 블럭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하더라도, 다음 설명은 4개 화소행과 8개 화소열로 된 휘도 비디오 데이타 성분(Y)의 영상 블럭 크기와, 수직으로 4개 화소와 수평으로 4개 화소로 이루어지는 영상 블럭 크기를 갖는 색도 비디오 데이타 성분(R - Y) (B - Y)에 관한 것으로, 그러한 설명은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만을 목적으로 한 것인데, 그 이유는 당업계의 기술자라면 이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원리를 영상 블럭에 대해 다른 성분이나 다른 소정의 크기를 갖는 비디오 영상 신호에 쉽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원리를 더 잘 이해되게 하기 위해, 그러한 원리의 압축과 감압 측면과 관련된 양용 조화(bilateral symmetry)에 광범위하게 촛점을 맞출 것이다.
영상 신호 정보 압축 설명을 보조하는 것으로 제 2 도를 참조하자. 거기에는 정보를 순서화하고 포맷화하는 압축장치의 블럭도가 도시되 있으며, 그 순서화되고 포맷화된 정보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는 어느 기능으로 정렬되어 (a)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거나 (b) 여기에 더욱 특별히 설명되듯이, 녹화 매질에 녹화된다.
비디오 영상(100)의 휘도 비디오 데이타 성분(Y)은 케이블(205 - 1)을 통해 블로킹(blocking) 메모리 (400 - 1)의 입력에 라인단위 포맷(line-by-line format)의 래스터 주사 순위 텔레비젼 필드로 제공되고, 색도 비디오 데이타 성분(R - Y) (B - Y)은 케이블(205 - 2)을 통해 블로킹 메모리 (400 - 2)의 입력에 번갈아가며 제공될 수 있다. 블로킹 메모리들(400 - 1) (400 - 2)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블로킹 메모리들(400 - 1) (400 - 2)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이후 예시되는 블로킹 메모리(400)와 관련해 설명될 것이며, 그것은 제 4 도와 관련해 기술되고 있다.
각 블로킹 메모리 (400 - 1) (400 - 2)는 다른 것들 가운데, (a) 디지탈 영상 데이타의 라인단위의 래스터주사 순위 텔레비젼 필드를 영상블럭 단위의 래스터주사 순위 디지탈 영상 데이타로 변환시키거나 층화시키고 (b) 영상 블럭이 라인단위에서 블럭단위로 변환된 표시를 개별 케이블(215 - 1, 또는 215 - 2)을 통해 각 이산 코사인 변형 (dct) 회로(220 - 1 또는 220 - 2)에 제공하는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를 포함하며, 그 이산 코사인 변형 회로는 일 군(group)의 변형된 영상 블럭의 각 휘도 및 색도 dct 계수(대 단일한 변형된 영상 블럭의 이산 코사인 변형 계수)를 제공한다. 또한 블로킹 메모리(400)에 의해 제공되는 덜 복잡한 동작이 이후 명확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계속해서, 예를들어 Thomso CSF 에 의해 공급되는 모델 STV 3200 dct 회로로 구체화될 수 있는 dct 회로(220 - 1, 220 - 2)는 각 변형된 영상 블럭에 대한 이산 코사인 변형 계수를 케이블 (225 - 1 또는 225 - 2)을 통해, 일 군의 변형된 영상블럭들의 휘도 및 색도 dct 계수 (¥, Ch) (대 단일한 변형된 영상 블럭의 이산 코사인 변형 계수)가 서로 다중화된 후 최고 가시계수 (최하위 dct 주파수 계수에 대응하는)로 부터 최하위 가시계수(최고 dct 주파수 계수에 대응하는)까지 순위가 정해지는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500)에 제공한다. 아마도 이젠, 입력 블럭들이 dct 회로(220 - 1, 220 - 2)에 행방향으로 공급되고 있다는 것과 출력블럭들이 dct 회로(220 - 1, 220 - 2)로 부터 열방향으로 공급되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후 분명해지듯이 dct 회로(220 - 1, 220 - 2)는 그들의 개별 입력 블럭과 크기가 같은 2차원 블럭으로 군을 이루게 되는 일 셋(set)의 출력 dct 주파수 계수들을 발생한다는 것을 지적해야 할 것 같다.
dct 회로를 한번 통과하여 dct 변형된 영상 블럭군은 "데이타 셋"으로 언급된다. 데이타 셋을 이루는 영상 블럭 수는 설계 파라미터로, 본 실시예에서는 15 즉, 15개의 영상 블럭이 데이타 셋 하나를 이룬다. 그 수 15는 예를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더 나아가, 비디오 영상(100)의 휘도 비디오 데이타 성분(Y)에 대한 데이타 셋과 두개의 색도 비디오 데이타 성분(R - Y) 과 (B - Y)에 대한 데이타 셋이 있다. 그 세개의 데이타 셋(즉, Y성분에 대한 하나와 R - Y성분에 대한 하나, B - Y 성분에 대한 하나)은, 제 5 도에 도시된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 (500)의 앞쪽에서 멀티플렉서(520)에 의해 이후 설명되듯이 결합되면 소위 "색성분 데이타 셋"을 형성한다. 데이타 셋과 색성분 데이타 셋의 이들 개념은 이 설명을 통해 이후 명백해질 것이나 당장에는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즉 15개 휘도 성분 영상 블럭 {이들 각각은 4 x 8 화소의 휘도 서브어레이를 포함 한다}은 휘도(Y) 데이타 셋 하나를 이루고, 15개 (B - Y) 색도 성분 영상 블럭 {이들 각각은 4 x 4 화소의 (B - Y) 색도 서브어레이를 포함한다}은 색도 (B - Y) 데이타 셋 하나를 이루고, 15개 (R - Y) 색도 성분 영상 블럭 {이들 각각은 4 x 4 화소의 (R - Y) 색도 서브어레이를 포함한다}은 색도 (R - Y) 데이타 셋 하나를 이루는 반면, 휘도(Y) 데이타 셋과 (B - Y) 색도 데이타 셋 및 (R - Y) 색도 데이타 셋이 하나의 색성분 데이타 셋을 이룬다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데이타 셋의 dct 계수들은 예를들어 인간의 눈에 감지되는 재구성된 영상의 질에 대응하는 어떤 측정치와 관련해 중요성이 감소하는 순으로 순위가 정한다. 그러한 변형된 데이타 셋의 성분들의 순위를 정하는 것은 소위 "가시도(visibility)"라 규정된 측정에 대응하는 순서화로서 생각될 수 있다. 여기서 "가시도"란 용어는 본 발명의 원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눈에 단지 "보인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원리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설정된 것이다. 가시도에 의해 순서화되는 일예는 최상위 "가시도"로 부터 최하위 "가시도"로 변형된 dct 계수의 순위를 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데이타의 순서화는 최상으로 가시적인 것에서 최하로 가시적인 것에 이른다. 즉, 재구성된 영상의 인지도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dct 계수들이 순서화시 제일 처음 발생하고 제일 적게 기여하는 dct 계수들은 순서화에 있어 뒤에 발생한다. 이 문맥에서 가시도라는 것은, 관찰하는 사람에게 인지 가능한 영상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dct 에 근거한 특별한 기능을 갖는 상대적으로 중요한 측정치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가시도 순서화는 최하위 dct 주파수 계수(낮은 dct 계수는 큰 가시도를 갖는다)에서 최상위 dct 주파수 계수(큰 dct 주파수 계수는 낮은 가시도를 갖는다)로의 순서화에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는 우리가 2차원 공간 주파수를 취급하기 때문에 주파수를 규정하는데 있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대 대각선에 대한 수평의 우선권을 규정하기 위해 무엇을 할까 ? 어떤 경우는, 가시도 순서화는 주파수 순서화와 약간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왜 ? 사람의 눈은 사선의 윤곽에 대해서 보다는 수평과 수직의 윤곽에 더욱 민감하다는 경험적인 사실에 의해서는 물론 다음의 이유 때문이다. 즉,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장면에 있어서는, 영상이 거의 사선의 에너지로 구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사선의 에너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색영상 부호화를 위해 색정보를 NTSC 표준방식으로 전달되게 허용하는데 사용된다. 최하위 dct 주파수 계수로 부터 최상위 dct 주파수 계수로 순위가 정해지게 되는 dct 계수에 대한 혼란을 피하고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다음의 설명은 변형 계수의 "가시도 순서화"으로 표현될 것이다. 또한 계수는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주파수에 의해 순서화되거나 임의의 여러 다른 방식에 따라 순서화될 수 있다. 주파수에 의한 것이 아닌 순서화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가능하므로, 중요성이 감소하는 순서라는 개념을 포용하기 위해 우리는 "가시도 순서화"라는 어구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중요성 "이란 단어는 주파수 측정이나 더욱 깨끗하고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영상 재구성에 기여하는 임의의 다른 측정 같은 측정에 대응하거나 그러한 이유로 해서 임의의 여러 다른 가능한 측정에 대응하는데, 이들은 모두 "가시도 측정 "이라 말로 지칭된다.
계속해서, 최상위 가시도로도 여겨질 수 있는 최하위 dct 계수는 제로 주파수를 갖는 직류("dc") 계수에도 있을 수 있다. 여기 코사인 변형 영역에서는, 큰 진폭의 dct 계수가 일반적으로 낮은 주파수 또는 더욱 정확하게는 이 설명의 구조에서는 큰 가시도 성분에 집중되므로, 낮은 가시도 성분은 작은 진폭의 계수를 갖는 경향이 있고 높은 가시도 성분 (작은 주파수에 대응)은 큰 진폭의 계수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적어도 어느정도는 직류 변형 성분이 스내치에서 회수되는게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비직류 변형 계수를 심하게 자르는 결과를 낳을 수 있는 시의 적절치 못한 직류 오프셋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재구성된 영상이 승인될 수 없을 수도 있다.
설명을 위해, 각 dct 회로(220 - 1 또는 220 - 2)는 정수 "r" 의 dct 계수들을 공급 한다고 가정하자. 이후 더욱 명백해 지듯이, 정수 "s" 의 dct 계수들을 사용하여 일부 dct 계수들의 부분집합, 즉 모든 dct 계수들보다 적은 계수들로 부터 비디오 영상을 부분적으로 재구성하는게 가능한데, 여기서 "s" 는 "r" 보다 작다. 또, 여기서 "부분적으로'라는 용어는 원영상의 상세한 부분이 dct 계수의 부분 집합을 사용해 모두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사용된 것이지, 화상 영역이 바뀐다는 뜻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물론, 비디오 영상의 질은 "r" dct 계수의 완전 여수보다는 dct 계수의 일부 부분집합을 사용하여 (즉, "s" 를 사용하여) 재구성될 때 화면의 섬세도나 선명도가 손상될 수 있다는 점에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고속 셔틀 화면 모드에서 편집하면서 특별한 장면을 위치시키려 하는 것과 같은 몇몇 용도에 대해서는 더 작은 갯수의 "s" dct 계수를 사용하여 재구성되는 영상도 섬세도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진다 할지라도 미적으로 상당히 만족스러운 영상 화면질을 갖는다.
앞의 설명과 함께, 데이타 셋의 dct 계수는 가시도에 의해 순위가 정해진 후 케이블 (235)을 통해, 색성분 데이타 셋의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dct 계수가 양자화 계수 Q 에 의해 표준화되는 양자화기 (240)에 공급된다. 양자화 계수 Q 는 (a) 너무 작아서 엔트로피 인코더 (250)의 출력이 소정의 고정된 크기의 포맷에 삽입시키기엔 너무 많은 데이타를 공급하지 않도록 (이는 정보의 일부가 과잉되 재구성된 화면의 질을 손상을 초래할 손실이 발생된다는 것을 의미함), 그리고 (b) 너무 커서 엔트로피 인코더 (250)의 출력이 소정의 고정된 크기의 포맷에 삽입시키기에 너무 작은 데이타를 공급하지 않도록 (이는 재구성된 화면의 질을 손상시킬 수도 있는 비디오 영상을 더 잘 규정하기 위해 포맷이 더 많은 데이타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자화 평가기(295)에 의해 공급된다. 표준화된 값들은 양자화기(240)으로 부터 케이블 (245)을 통해 엔트로피 인코더 (예를들면, 호프만 코더 ) (250)로 확장된다. 엔트로피 부호화된 dct 계수들 (또 가시도 순서화되 있는 )은 케이블 (255)을 통해 공급되고 양자화 계수 Q 와 결합되며, 마찬가지로 케이블(290)상의 비디오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는 포맷터 (260)에 의한 잡다한 보조 데이타 (AUX DATA) (예를들면, 디지탈 오디오 신호나 삽입된 타임 코드를 나타내는 보조 데이타)는 에러 정정 인코더(285)로 부터의 에러 정정 정보와 함께 동기화 정보를 삽입하여 포맷화된 영상 데이타 신호를 발생한다. 그렇게 포맷화되고 에러 정정 부호화된 (ECC) 영상 데이타 신호는 포맷터(260)로 부터 케이블 (265)을 통해 녹화 우선처리기(270)에 의해 처리되도록 확장된다. 그런 후 그렇게 처리된 영상 블럭 데이타는 소정의 세그먼트 길이의 정보로서 케이블 (275)을 통해 수신기나 여기에 도시되듯이 자기 테이프같은 녹화 매질에 녹화시키는 비디오 신호 레코더 (28)에 보내지게 통신 채널에 제공된다.
그런식으로, 제 2도의 압축 장치는 다음의 기능을 실행한다. (a) 각각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영상 블럭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다수의 영상 데이타 셋으로 이루어지는 텔레비젼 영상을 이산 코사인 변형시킴, (b) 변형된 영상 데이타 셋을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함, (c)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데이타 셋의 계수를 표준화함, (d) 변형되고 표준화된 영상 데이타를 부호화하여 영상 데이타 압축을 초래함, (e) 압축된 데이타 회복을 위한 동기화 정보를 제공함, (f) 동기화된 영상 데이타를 포맷시킴, 및 (g) 포맷화된 영상 데이타를 소정 크기의 세그먼트로서 채널을 통해 전송하거나 녹화 매질에 녹화한다.
제 2도의 압축 장치를 여러 면으로 더 설명하는 C 프로그램 언어인 부록 A 를 참조해야 한다.
본질적으로 제 2도의 장치에 의해 실행된 기능의 역기능을 실행하는 감압 및 재구성 장치로 제 3도를 참조하기로 한다. 거기엔 (a) 통신 채널이나, (b) 여기에 더욱 특별히 예시되는 녹화 매질로 부터 (어떤 기능이든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다) 소정의 세그먼트 길이의 정보로 수신되는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되고 포맷화된 정보를 읽는 감압 장치가 블럭도 형태로 도시되 있다. 각 비디오 데이타의 색도 성분 (R-Y) (B-Y) 모두의 압축되고 순서화되었으며 포맷화된 영상 블럭 데이타는 소정 세그먼트 길이의 정보로서 (a) 통신 채널로부터 수신기로 확장되게, 또한 (b) 여기 에 예시되 있듯이, 비디오 신호 재생장치(380)로 부터 케이블 (375)을 통해 재생 처리기 (37O)로 제공되는데, 그 재생 처리기 (370)는 상기 정보를, 압축되고 순서화되고 포맷되고 ECC 부호화된 정보 블럭 데이타를 나타내는 직렬 데이타 스트림으로 변환시킨다. 직렬 데이타 스트림은 케이블(365)을 통해 디포맷터(360)와 에러 수정 디코더 및 수정기 (385)에 공급되어 다수의 코드 단어가 발생되도록 디포맷화되고 에러 수정된다. 다수의 영상 블럭으로 이루어진 그러한 디포맷된 데이타셋의 코드 단어는 케이블(355)을 통해 엔트로피 디코더(350)에 보내지며 그곳에서 표준화되고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계수들을 발생하도록 복호화된다. 그 계수들은 케이블(345)을 통해 곱셈기(340)에 공급되며 그곳에서 압축과정에서 정상화 계수로 사용되었던 양자화 계수(Q)와 곱해진다. 양자화 계수(Q)는 Aux DATA와 양자화 계수 Q 값들을 케이블 (395)을 통해 멀티플렉서 (390)에 공급하는 디포맷터(360)에 응답해 멀티플렉서 (390)에 의해 공급된다. 곱셈기(340)의 출력은 가시도 순서에 따라 양자화된 계수셋으로 케이블 (355)을 통해 dct 영상블럭 변환 메모리(33)에 공급되며 그곳에서 케이블 (325)을 통해 역 dct 회로(320)에 공급되는 일 셋의 dct 계수 영상블럭으로 변환된다. 거기서 dct 계수들은 역 dct 회로 (320)에 의해 래스터 주사 순위의 영상블럭 디지탈 영상데이타로 역변형된다. 그 역변형된 계수들은 역 dct 회로(320)에 의해 공급되 제 2 블러킹 메모리(310)에 의해 처리되며, 그 메모리(310)는 다른 것들 가운데 블럭-라인 컨버터 기억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래스터 주사 순위의 영상 블럭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비디오 영상 (100)의 비디오 데이타 성분으로서 케이블 (305)을 통해 제공되는 래스터 주사 순위의 텔레비젼 필드단위의 디지탈 영상 데이타로 변환시킨다.
이제 자기 테이프에서 복구된 데이타는 완벽하며, 불완전하게 복구된 주파수 순위의 데이타가 없는 정상 속도에서의 재생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녹화된 데이타는 재생시 재생 선(先)처리기 (370)로 부터 수신되며 케이블(365)을 통해 디포맷터 (360)에 이른다. 디포맷터는 포맷된 데이타 스트림에서 동기화 정보를 추출하고 에러 수정 신드럼들(syndromes)을 계산하며, 그것들은 에러 수정 디코더 (385)에 송신된다. 에러 수정 디코더는 에러 및 수정 위치들을 디포맷터에 돌려보내며, 디포맷터는 그들 수정된 사항을 데이타에, 그것들이 케이블 (355)을 통해 엔트로피 디코더(350)에 도달하기 전에 공급한다. 디포맷터는 또한 데이타 스트림으로 부터 양자화 값 Q를 분리한후 적절한 지연기간이 지난후 그 값을 케이블 (395)을 통해 멀티플렉서 (390)에 출력한다. 또한, 디포맷터는 각 포맷된 주파수 순위의 계수군에서 셋 인식자 (제 6도의 610)를 분리한 후 그것을 케이블 (395)을 통해 멀티플렉서 (390)에 공급하며, 그곳에서 인식자는 멀티플렉서의 출력 (387)에 보내져 그곳에서 제 2 멀티플렉서 (392)에 공급된 후 케이블 (312)을 통해 블러킹 - 라인 영상 변환 메모리 (310)에 공급된다.
예를들어 오디오같은 보조 데이타는 멀티플렉서 (392)에 의해 선택되 AUX DATA 출력에 보내진 후 그곳에서 뚜렷하게 도시되지 않은 다른 회로 요소에 의해 더 처리된다.
엔트로피 디코더는 엔트로피 부호화된 양자화된 계수값들을 복호화하고 그것들을 케이블 (345)을 통해 곱셈기 (340)에 공급한다. 곱셈기(340)는 소정 계수군의 각 양자화된 계수를 Q 함수이고 양자화 지수인 값으로 곱해, 케이블 (335)을 통해 dct 블럭 변환 회로(330)에 보내지는 양자화된 계수 스트림을 형성한다.
dct 블럭 변환 메모리는 각 주파수 순위의 계수군을 dct 계수 블럭군들로 재배열한다. dct 계수 블럭들은 블럭 변환 메모리 밖으로 행방향으로 래스터 주사 순위가 있게 읽혀지며, 그 계수 순서에 의해 형성된 데이타 스트림은 케이블(325)을 통해 역 dct 계산기 (320)로 보내지며, 거기서 각 dct 계수 블럭들은 행방향으로 래스터 주사 순위 상태에 있는 화소 블럭을 발생하도록 역변환된다. 역 dct 계산기 에 의해 형성된 그 시컨스의 화소들은 케이블 (315)을 통해 블러킹 -라인 영상 변환 메모리 (310)로 보내진다. 블러킹-라인 영상 변환 메모리는 그 입력에서 케이블 (315)을 통해 역 dct 계산기로 부터 케이블 (312)을 통해 공급된 인식자와 블러킹-라인 영상 변환 메모리 내부의 화소 카운터에 의해 결정된 위치들에 공급된 화소 블럭들을 읽고, 그 출력에서 케이블 (305)을 통해 영상 화소들을 라인단위로 래스터 주사하여 공급한다. 전형적으로, 케이블 (305)에 의해 공급되는 라인 단위로 래스터 주사된 영상은 프레임 기억 메모리나 실시간 디스플레이 장치로 향한다.
셔틀 화면 모드에서는, 테이프가 정상 재생속도보다 빨리 재생될때 재생 처리기 (370)에 의해 테이프 레코더 (380)에서 회복된 데이타가 불완전하다. 즉, 복구된 데이타 흐름은 재생 헤드가 테이프상의 녹화된 데이타 트랙사이에 있을때 발생하는 부정확한 (incorrect) 잡음 데이타가 사이에 끼어 있는 정 (correct) 데이타 스내치들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재생 시스템의 목적은 유효치 못한 데이타에서 유효 데이타 스내치들을 분리한 후 그 유효 데이타 스내치들을 복호화시켜 부분 영상을 창조하는 것이다.
유효 데이타를 유효치 못한 데이타에서 분리하려면, 어떤 데이타가 유효하고 필요치 않은 가를 결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점에 있어 다소 신뢰성 있는 많은 방법이 당 업계에 알려져 있다. 복구되는 유효 데이타 양과 유효한 것으로 보이는 데이타가 실제로 유효하다는 확신도 사이에는 절충이 있다. 예를들면, 재생 헤드가 녹화된 트랙에서 멀리 이동하면, 재생 파형의 진폭이 감소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소정의 재생 파형 진폭보다 작은 데이타가 유효치못한 것으로 여겨진다면 한계 값에 따라 유효 데이타만을 공급하는 이 방법의 신뢰도가 변한다. 에러 수정 디코더등에 의해 만들어진 수정횟수에 의해 측정되는 에러율, 재생 파형을 포함하는 여러 측정등을 결합하는 좀 더 복잡한 방법들이 재구성에 필요한 유효 데이타를 선택하는, 적절한 신뢰성을 갖는 방법을 제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음 내용은 유효한 데이타 스내치들은 디포맷터에서 인식되고 유효치못한 데이타들은 0으로 셋된다는 가정으로 이루어진다.
테이프에서 복구된 유효치 못한 데이타로는 두가지 경우가 있는데, 유효치 못한 데이타가 가시도 순위의 데이타 셋 중에서 실질적인 갯수의 높은 가시도 부분 (특히 dc 부분)에 걸쳐 있거나 인식자가 변형된 경우는 남아있는 것으로 부터 인지가능한 영상을 재구성하는게 불가능하다. 유효치못한 데이타가 낮은 가시도 부분에서 발생하는 다른 경우는 복구된 데이타에 대응하는 영상을 재구성하는게 가능하며 바람직하다.
재구성가능한 가시도 순위의 데이타 셋이 전송 매질로 부터 복구되면, 엔트로피 디코더는 엔트로피 코드화된 양자화된 계수값을 복호화하고 그것들을 케이블 (345)을 통해 곱셈기 (340)에 공급한다. 유효치 못한 데이타는 복호화 되기 전에 디포맷터에 의해 유효치못한 것으로서 0으로 셋되거나 플래그된다. 유효치못한 값들은 양자화된 dct 계수 진폭으로 복호화될 때 0으로 대체된다.
곱셈기 (340)는 소정의 계수군의 각 양자화된 계수를 Q의 함수이고 계수지수인 값으로 곱하여 케이블 (335)을 통해 dct 블럭 변환 메모리 (330)로 보내지는 표준화된 계수 스트림을 형성한다.
dct 블럭 변환 메모리는 각 주파수 순위의 계수군을 dct 계수 블럭군들로 재조정한다. dct 계수 블럭들은 블럭 변환 메모리 밖으로 열방향으로 래스터 주사 순위가 있게 읽혀지고 그 시컨스의 계수들로 형성된 데이타 스트림은 케이블(325)을 통해 역 dct 계산기 (320)로 보내지며 그곳에서 각 dct 계수 블럭은 행방향으로 래스터 주사 순위 상태에 있는 화소 블럭을 발생하도록 역변환된다. 역 dct 계산기에 의해 형성된 화소 시컨스는 케이블(315)을 통해 블러킹-라인 영상 변환 메모리 (310)로 보내진다. 블러킹-라인 영상 변환 메모리는 그 입력에서 케이블(312)을 통해 공급된 인식자와 블러킹-라인영상 변환 메모리 내부의 화소 카운터에 의해 결정된 위치들로 케이블(314)을 통해 역 dct 계산기로부터 공급되는 화소 블럭들을 읽고, 그 출력에서 라인단위로 래스터 주사상태에 있는 영상 화소들을 케이블(350)을 통해 공급한다.
인식자들이 복구안된 데이타 블럭들을 위해서는 전송되지 않으므로, 셔틀 화면 동작 모드에서는 새로운 화소들로 새로와진 영상 부분들만을 위해 복구된 데이타 스내치로 부터의 가시된 순위의 데이타 셋이 부분적으로나 완전히 재구성될 수 있었다.
새 화소로 새로와지지 않은 열상내의 위치들은 계속해서 이전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런 식으로영상 블럭들은 데이프에서 회수된 블럭 위치들에 대응하는 유효 데이타로서의 새로운 영상 블럭들로 대치된다.
데이타 셋의 유효 스내치에서 재생된 블럭들의 영상이 갖는 선명도와 명확도는 가시도 순위 데이타 셋을 포함하는 계수가 얼마나 많이 회수되는가에 달려 있다.
어떤 경우에는, 전체 영상의 일반적인 외형이 깨끗하고 흐릿한 블럭이 모자이스크식으로 되어 있기 보다는 균일하도록, 모든 복구된 블럭들용으로 고정된 갯수의 가시도가 큰 계수를 사용하여 영상 블럭을 재구성하는게 바람직 할 수 있다. 또 셔틀상태의 화면이 개별 블럭의 무작위적인 변위에 의해서 보다는 스트립에 의해 새로와 지도록 수평 또는 수직 영상 스트립들에서 취해진 블럭들로 부터 순서화된 데이타 셋을 형성하는게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제 3도의 감압장치는 영상 블럭 데이타에서 텔레비젼 영상이 부분적으로나 완전히 재구성되도록 변형되고, 가시도에 의해 순서화되었으며, 표준화되고 압축되었으며, 동기화되고 포맷된 영상 데이타 블럭을 재생하고, 영상 데이타 블럭 계수들을 디포맷하며, 복호화하고 역변형한다. 또한, 더욱 분명해지듯이, 정상적인 셔틀화면 모드인 대단히 빠른 재생 속도에서는 자기 테이프의 각 트랙상의 데이타 중 일부만이 보통 복구될 수 있다. 전술했듯이 전부일 필요는 없지만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되고 포맷된 데이타 셋 계수들의 일부(이는 화면의 셔틀모드에서 레코더로 부터 재생된다)가 복구될 수 있다. 빠른 셔틀 화면 속도로 복구되는 압축 데이타 스내치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사용되 불완전하나 인지가능한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다. 다시, "불완전한 영상" 또는 "부분적인 영상" 이라 말들은 영상이 모든 dct 계수를 사용하지 않고 재구성되므로 영상에 관한 것으로 알려진 모든 정보가 그 재구성에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설명하면 (하지만 같은 것을 의미함), 영상이 부분적으로 완전하게, 즉 영상을 형성하는 dct 계수 전부가 아닌 일부로 재구성되었다. 이는 또한 영상 블럭의 모든 화소를 재구성하기에 충분한 정보가 스내치로 회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모든 dct 계수가 회수되지 않았기 때문에 화소로 나타난 영상의 섬세도가 손상되기 쉽다. 또 디스플레이될 영상을 형성하는 모든 디지탈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도 텔레비젼 영상이 재구성될 수 있으며, 그 방식으로 화면 영상이 부분적으로 재구성된다는 것은 반복할만한 가치가 있다. 그 결과 영상 영역이 전부 재구성되더라도, 재구성된 그것은 영상을 구성하는 dct 계수가 모두 부분적인 재구성에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섬세도나 선명도가 부족할 수 있다.
그런 후 재생장치의 속도가 "정상" 속도로 감소됨에 따라, 더욱 큰 스내치와 그에 따라 더욱 많은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계수들이 복구되 부분 - 완전 비디오 영상을 재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 복구되는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계수의 수가 클수록 화면의 질이 좋아진다. 결과적으로, 재생장치의 속도가 정상 동작 속도로 감소됨에 따라, 전형적으로 복구되는 정보 스내치는 전체 셋의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계수들을 포함하게 된다. 전체 셋의 영상 데이타가 복구될 수 있기 때문에 편집자는 세틀 화면 모드의 재생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에 녹화된 영상 블럭들의 순서화되고 포맷된 변형 데이타 셋으로 부터 특정 비디오 필드나 프레임같은 특정 장면 (들)이나 비디오 영상(들)을 분리시킨다.
이번엔 본 발명의 원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a) 텔레비젼 영상 (100). (b) CCIR - 601 표준방식, 및 (c) 다수의 영상 블럭들을 상호 관련시킨다. 단일 비디오 필드동안 (텔레비젼 프레임에는 두 필드가 있다), CCIR - 601 표준방식은 수평 (또는 x 축 방향)으로 720 화소, 수직 (또는 y 축 방향)으로 244 화소로 이루어지는 영상 데이타 메트릭스 어레이를 고려한다. 텔레비젼 디스플레이를 묘사하는 어느정도 통상적인 좌표 시스템을 사용하여, 원점(0,0)이 디스플레이의 상부 왼쪽 모서리에 위치되어 있는 x, y 좌표 시스템을 가정하자. 수평방향의 행에 있는 화소들(2차원 도표의 x 축상에 있는 점들 같은)은 열을 지어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며, 그것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열 0 에서 시작하여 열 719 까지 순서적으로 증가하면서) 계수될 수 있다. 비슷하게, 수직방향으로 열을 지어 있는 화소들 (2차원 도표의 y 축상에 있는 점들처럼)은 행상태로 위치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며, 그것은 위에서 아래로 (행 0에서 행 243으로 순서적으로 증가하면서) 계수될 수 있다. 2차원 도표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텔레비젼 영상(100)의 일 필드를 포함하는 화소들이 각각 화소 어레이(P)내 그들의 개별적인 좌표위치에 의해 독특하게 구별될 수 있다. 화소P(i, j)는 화소 어레이(P)의 i 번째 행과 j 번째 열에 위치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수학적인 기호를 사용하여, 화소 어레이(P)는 다음 형태로 쓰여질 수 있다.
또한, 이제 대수도표는 전형적으로 (x, y) 좌표개념으로 기술된다는 것이 분명해져야 한다. 보통 매트릭스 표기는 (행, 열)로 표기되며, 이는 원하는 데로 (y, x)를 (x, y) 대신 사용해 표기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는 대수학적인 표기대신 매트릭스 표기를 사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요소 P(i, j)는 i 번째 행과 j 번째 열로 표시된 좌표위치에 있는 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거기서 행은 디스플레이의 위에서 아래로 측정되며 열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측정된다.
계속해서, 언급되었듯이, 영상 블럭(113)같은 비디오 데이타 휘도 성분(Y)의 영상 블럭은 수직으로 4개 화소와 수평으로 4개 화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각 영상 블럭폭이 x 방향으로 8개 화소이므로, 수평방향으로는 (720/8=) 90개의 영상 블럭이 있게되고, 각 영상 블럭의 높이가 y 방향으로 4개이므로, 수직방향으로 (244/4=) 61개의 영상 블럭이 있게 된다.
다른 번호처리 시스템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전술한 관점에서, (61 × 90 =) 5.490개의 영상 블럭이 비디오 필드 하나에 존재하고, 그 영상 블럭들은 다른 방식을 통해 필드의 각 영상 블럭이 유일한 것으로 확인되도록 0 에서 5.489 까지 번호처리될 수 있다. 다음의 본 발명 원리의 설명에서 우리는 제한을 위해서가 아니라 설명을 목적으로 매트릭스 표기를 사용한다. 여기에 기술된 또 다른 것에서, 각 영상 블럭은 2차원 영상 블럭 매트릭스 같은 어레이의 요소로서 유일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이번엔, 상기 식 (1)에 의해 표시된 첫번째 244×720 화소 어레이 P 는 영상 블럭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4×8 화소 서브어레이로 분할되므로써 아래 식 (5)에 의해 표시되는 두번째 61×90 영상 블럭 어레이 B 를 형성하는 것을 보자. 그 방식에서, 영상 블럭 어레이 8 는 다수의 영상 블럭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영상 블럭 어레이 B 의 m 번째 행과 n번째 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영상 블럭 좌표 위치(m, n)에 공간적으로 위치했던 영상 블럭은 영상 블럭 B(m, n)으로 표기되고 각 영상 블럭은 첫번째 화소 어레이 P 의 4×8 화소 서브어레이로 이루어진다. 이 개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첫번째 화소 어레이 P 의 4×8 화소 서브 어레이는 텔레비전 영상(100)의 왼쪽 상부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자. 분명히, 설명상 영상 블럭 B(0, 0)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아래 식(2)에 인용되는 식 (1)에서의 32개 화소 P(i, j)로 이루어지는 제 1도의 영상 블럭(113)이 지칭된다.
비슷한 방식으로, 각각의 영상 블럭 B(m, n)은 다음과 같은 첫번째 화소 어레이 P 에서 분할된 4×8 서브어레이로 발생될 수 있다.
전술한 표기의 번호처리 기술을 사용해, 식 (2)로 표시된 영상 블럭은 영상 블럭 좌표위치 (0, 0)에 공간적으로 위지되고, 식 (3)에 의해 표시된 영상 블럭은 영상 블럭 좌표위치 (0, 1)에 공간적으로 위치되며, 이런식으로 해서 식 (4)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 블럭은 영상 블럭 좌표위치(60, 89)에 공간적으로 위치된다.
전술한 표기를 사용하여, 식 (1)으로 표시된 제 1 의 244×720 화소 어레이 P 는 아래 형식으로 쓰여질 수 있는 제 2 의 61×90 영상 블럭 어레이 B 로 분할된다.
여기서, 식(5)의 영상 블럭 어레이 B 의 각 요소 B(m, n)은 식 (1)의 화소 어레이 P 의 4×8 화소 서브어레이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i) 식 (5)의 영상 블럭 어레이 B 의 각 영상 블럭 B(m, n)은 8개의 화소열로 각각 이루어지는 4개의 화소행으로 이루어지며,
(ii) 영상 블럭 어레이 B 의 각 영상 블럭 B(m, n)은 32개의 독립된 화소로 이루어지고,
(iii) 영상 블럭 어레이 B 의 각 개별 영상 블럭 B(m, n)은 식 (2), (3), (4)와 관련해 상기 서술된 대로 발생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기초로 하면, 블럭과 데이타 셋 사이의 관계를 더 설명하기가 편리해질 것이다.
제일 먼저, 데이타 셋은 15개의 영상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됨을 상기하자. 앞에 언급하였듯이, 수평 방향으로는 90개의 영상 블럭이 있다.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6개의 데이타 셋이 있게 되는데, 이때 정수 15가 수평 방향으로 6개 데이타 셋을 획득하기 위한 정수계수로서 분할된 "90개의 영상 블럭들"의 통상적인 정제수로서 선택됨에 주의해야 한다. 분명히, 데이타 셋당 30개 영상 블럭처럼 데이타셋 당 다른 수의 영상 블럭이 본 발명 원리에 따르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두번째, 비록 본 발명 원리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데이타셋이 수평 영상 방향으로 15개의 연속적인 영상 블럭을 포함한다고 할지라도, 또 다른 실시예는 데이타셋 발생시 어떤 식으로든 하나의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블럭을 셔플하거나 랜덤화시키거나 재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영상 데이타를 셔플하고 디셔플하는 장치로 1991년 2월 13일 출원된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 제 654, 710 호를 보라.
세번째로, 본 발명의 압축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영상 블럭을 이루는 갯수의 행이 기억될때까지 (여기서 영상 블럭은 4개 행으로 이루어진다) 변환기 기억장치에 행당 720개의 화소를 라인단위로 (행단위라는 것과 같은 것을 의미) 기억시키고자 한다. 본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라인 -블럭 컨버터 기억장치에 비디오 영상 (100)의 4개 화소행군을 행단위로 써넣음으로써 제 4도의 라인 - 블럭 변환기 메모리 (440 또는 442)에 비디오 영상(100)의 화소들을 기억시킨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ㆍ 첫째, 화소열 j = 0, ...., 719에 대해 i번째 화소행으로 이루어지는 720개 화소 P(i, j)를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에 써넣음으로써 ;
ㆍ 두번째로, 화소열 j = 0, ...., 719 에 대해 (i+1)번째 화소행으로 이루어지는 720개 화소 P(i+1, j)를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 장치에 써넣음으로써 ;
ㆍ 세번째로, 화소열 j = 0, ...., 719에 대해 (i+2)번째 화소행으로 이루어지는 720개 화소 P(i+2, j)를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에 써넣음으로써 ;
ㆍ 네번째로, 화소열 j = 0, ...., 719에 대해 (i+3)번째 화소행으로 이루어지는 720개 화소 P(i+3, j)을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에 써넣음으로써, 그리고
ㆍ 다섯번째로, 화소열 j = 0, ..., 719에 대해 화소들 P(i, j)의 행들 i = 0, 1, ...., 243의 각 행이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에 쓰여질때까지, 즉 텔레비젼 영상(100) 부분을 이루는 전체 필드가 라인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에 쓰여질때까지 전술한 4단계로 나타나는 과정을 반복한다.
전체 필드가 라인 - 블럭 변환기 메모리 (440 또는 442)에 쓰여진 후, 저장된 화소 데이타의 4 화소행으로 이루어지는 블럭들로된 행 (a row - of - blocks)이 변환기 기억장치로 부터 읽혀진다. 이후 "블럭들로된 행"은 "블럭행 (block - row)"으로 알려짐이 분명히 인지되야 한다. 변환기 기억장치에서 읽혀질때, 제일 먼저, 블럭들이 0 에서 89 까지의 블럭열 (예, n = 0, ..., 89)에 대해 일반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블럭단위로 읽혀진다음 0 에서 60 까지의 블럭행 (즉, m = 0, ..., 60)에 대해 일반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블럭행 단위로 읽혀진다.
또한,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a) 일반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혀지는 블럭행의 개념으로, (b) 일반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읽혀지는 블럭열들의 개념으로 읽혀지는 블럭들을 기술한다. 분명히 한 블럭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는 물론 일반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혀질 수 있고, 블럭열들이 위에서 아래로는 물론 아래에서 위로 읽혀질 수 있다. 유사하게, 화소들은 행방향으로 물론 열방향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른 변동 또한 실행가능하다. 따라서 분명히 읽고 쓰는 그런 형태들은 단지 설명만을 위한 것이지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계속해서, 더욱 특별히, 블럭행 m 의 각 영상 블럭 B(m, n)은 4개 화소행과 8개 화소열의 영상 데이타를 갖는다. 화소들은 영상 블럭의 8개 화소열이 한 화소행에서 읽힌 다음 다음 화소행에서 8개 화소열이 읽히는 등의 식으로 읽힌다. 즉, 변환기 기억장치의 제 1 블럭으로 부터의 화소들이 변환기 기억장치의 다음 계속된 블럭 (제 2 블럭)으로 부터의 화소들이 읽히기 전에 화소열 단위로 읽힌다. 블럭은 그렇게 읽힌 다음에, dct 처리를 위해 제공된다.
언급된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디오 영상(100)의 영상 블럭 B(m, n)을 이루는 4개 화소행들 중 하나를 이루는 8개열은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로 부터, 영상 블럭의 4개 화소열들 중 다음 하나를 이루는 8개열을 읽기전에 읽힌다. m 번째 블럭열으로 이루어지는 n = 0, 1, ..., 89 에 대한 n 블럭들 B(m, n) 각각을 읽는 그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 즉,
ㆍ 제일 먼저,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로 부터 블럭 B(m, n)의 화소행 i 와 화소열 j = k, k+1, ..., k+7 에 대응하는 8개 화소요소 P(i, j)를 읽는다 ;
ㆍ 두번째로,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로 부터 블럭 B(m, n)의 화소행 (i+1)과 화소열 j = 1, k+1, ..., k+7 에 대응하는 8개 화소 요소 P(i+1, j)를 읽는다 ;
ㆍ 세번째로,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로 부터 화소행 (i+2)와 화소열 j = k, k+1, ..., k+7 에 대응하는 8개 화소 요소 P(i+2, j) 를 읽는다 ;
ㆍ 네번째로,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로 부터 화소행 (i+3)과 화소열 j = k, k+1, ..., k+7 에 대응하는 8개 화소 요소 P(i+3, j) 를 읽는다 ;
ㆍ 다섯번째, 블럭 어레이 B의 블럭행 m에서 다음 블럭이 읽힐때 까지 (즉, n 을 증가시키면서 n = 0, 1, ..., 89 에 대한 B(m, n)을 읽을때까지), 그리고 m 번째 블럭행에서 최종 영상 블럭 (즉, B (m, 89))이 읽혀질때까지 n 을 증가시키먼서 전술한 4 단계를 반복한다 ; 그리고
ㆍ 여섯번째로, 영상 블럭 어레이 B의 다음 블럭행에 대해 m 을 증가시키면서 전술한 5 단계를 반복한다. 즉, 0 에서 60 까지 (예, m = 0, 1, ..., 60) 각 블럭행에 대해 m 을 증가시키고 B(m, n)을 읽는다.
상이하게 설명되었으나 같은 의미로, 이 일 실시예에서, 우리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다 (물른, 다른 실시예에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나 또 다른 방향으로 읽을 수 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다는 것은 영상 블럭 B(0. 0)의 화소 영상 데이타의 4행 각각을 포함하는 8개 화소를 (하나씩 그리고 선고정된 (prefixed) 제 1 방향으로) 읽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다음으로 영상 블럭 B(0, 1)등을 포함하는 화소 영상 데이타의 각 4행에 있는 8개 화소를 읽는다. 즉, n = 0, 1, ..., 89 에 대한 블럭 B(0, n)은 비디오 영상의 제 1 블럭행 m = 0을 포함하는 90개 영상 블럭들이 변환기 기억장치에서 읽혀진 후 dct 처리를 위해 제공될때까지 계속된다. 그런 후 이 과정은 두번째 블럭행 m = 2 에 대해 n = 0, 1, ..., 89 에 대한 영상 블럭 B(1, n)을 읽고, 세번째 블럭행 m = 3 에 대해 n = 0, 1, ..., 89 에 대한 영상 블럭 B(2, n)을 읽는 식으로 61 블럭행의 영상 블럭이 모두 읽혀져 dct 처리를 위해 제공될때까지 계속된다.
번환기 기억장치에 쓰는 (write) 과정과 같온 변환기 기억으로 부터 읽는 (read) 과정 사이의 차이에 주의를 요한다. 특히, 일면적으로, 쓰는 과정에서는, 비디오 영상의 화소행 전체을 이루는 720 화소는 모두 다음 행의 화소들 중 어느 하나가 쓰여지기 전에 변환기 기억장치에 쓰여질 수 있다는 것에 주의를 요한다. 반면에, 읽는 과정은 다르다. 행 상태의 화소들은 전체 행이 한번에 읽히지 않도록 영상 블럭에 의해 층을 이루게 된다. 영상 블럭의 폭을 형성하는 화소수만이 한번에 읽히게 된다. 이 일실시예에서, 행들은 8개 화소폭의 영상 블럭으로 층을 이루는데, 이렇게 해서 720개 화소들로된 전체행이 읽히기 보다는 8개 화소만이 일 행에서 읽힌 후, 다음 행에서 8개 회소들이 읽히는 식으로 된다. 그런 방식으로, 변환기 기억장치는 또한 라인 - 블럭 변환기로서 기능한다.
이미 기억된 제 1 군의 영상 블럭이 제 1 라인 - 블럭 컨버터 기억장치로 부터 읽히는 동안, 예를 들어, n = 0, 1, ..., 89 에 대한 영상 블럭들 B(0, m)이 블럭 단위로 읽히면서, 비디오 영상으로 부터의 제 2 군의 화소들이 제 2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에 쓰여지고 기억될 수 있다. 예를들면, n = 0, 1, ..., 89 에 대한 영상 블럭들 B(1, n)을 포함하는 화소들이 제 2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에 화소행 단위로 쓰여질 수 있다. 제 1 군의 4개 화소행 (또는 영상 블럭)이 제 1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에서 읽히고 제 2 군의 영상 블럭이 제 2 라인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에 기억되도록 쓰여짐에 따라, 변환기 기억장치의 기능이 반전될 수 있다. 즉, 제 3 군의 영상 블럭이 오면, 그 제 3 군은 제 1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에 기억되도록 화소행으로 쓰이고 제 2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에서는 제 2 군의 비디오 영상의 4개 화소행이 읽혀 dct 처리를 위해 블럭단위로 공급된다. 그 기술은 90개 영상 블럭을 일 "블럭행" (예, m 번째 블럭행)에서 읽는것 (또는 쓰는것)과 90개 영상 블럭을 "또다른 블럭행" (예, (m+1)번째 블럭행)에 쓰는것 (또는 읽는것) 사이에서 교대하며, 그러한 교대는 비디오 필드의 61개 "블럭행" 모두에 걸쳐 계속된다.
상기 설명을 감안하여, 정보는 영상행 단위 (영상 행당 720 화소가 있다)로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장치에 쓰여지고, 블럭행 단위 (각 영상 블럭행 당 8 화소가 있고 블럭행 당 90개 영상 블럭이 있다)로 라인 - 블럭 변환기 기억에서 읽혀진다. 영상을 교대로 읽고 기억시키는 전술한 기능과 결합해 본 발명의 압축 기술이 곧 설명될 것이다.
또한, 압축 데이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전형적인 변형 및 압축 시스템을 (a) 1990년 7월 31일에 출원된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O7/560,606 의 "피드포워드 양자화 평가기를 사용하는 데이타 압축", (b) 1991년 2월 13일자로 출원된 O7/654,710의 "데이타를 셔플링하고 디셔플링하는 방법 및 장치 ", 및 (c) 1991년 4월 18일자로 출원된 07/688,923의 "다세대 데이타용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에 기술된 시스템으로, 그것들은 모두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 있다.
계속 본 발명의 원리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 4 도는 제 2도에 사용된 유형의 블러킹 메모리(400 -1) 및/또는 블러킹 메모리(400-2)인 블러킹 메모리(400)를 예시한다.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휘도 성분(Y)은 휘도 채널(205-1)에 공급될 수 있다. 색신호가 압축될 경우, (R-Y), (B-Y)의 색도 성분이 색도 채널(205-2)에 교대로 공급될 것이다. 색도 채널은 그럴 필요는 없지만 휘도 채널과 비슷할 수 있다. 색도 채널은 또 두개의 교대로 공급되는 색도 성분 신호 (B-Y)와 (R-Y)를 처리하도록 되있는데, 각 색도 성분은 (Y) 휘도 성분의 대역폭의 약 1/2 이므로 단지 1/2 의 샘플링율, 즉 1/2 의 변환기 기억 메모리 등을 요구한다.
특히, 제 4도에서, 교대로 공급되는 (B-Y) 성분 또는 (R-Y) 성분은 물론 (Y) 성분같은 영상 신호 성분은 어떤 것이든 케이블(205) (케이블(205-1) 또는 (205-2)와 같음)을 통해 블러킹 메모리(400) (블러킹 메모리(400-1) 또는 (400-2)와 같음)에 공급된 후 그 안에서 샘플 및 유지(S/H) 회로(402)에 공급될 수 있으며, 그곳에서 그리로 입력되는 클럭 입력(422)을 통해 예를들면 13.5 MHz 율로 샘플된다. 샘플된 신호들은 케이블(426)을 통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A/D) (424)에 공급된다. 실제적으로, S/H 회로(420)는 A/D 변환기(424)와 일체화되기 쉽다. 그 결과 발생하는 디지탈 영상 성분 데이타 신호는 이후 잠깐 설명되듯 이 버스(430)를 통해 블러킹 메모리(400)의 다른 장치에 의해 더 처리되도록 공급된다. 블러킹 메모리(400)를 통해 처리되고 통과한 다음, 라인 - 블럭 반전된 영상 데이타는 케이블 (215-1)이나 케이블(215-2)와 같은 8 비트 버스 케이블(215)을 통해 개별 dct 회로 (220-1 도는 220-2)를 통해 제 2도와 관련해 상기 기술한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500)등에 공급된다. 그러한 방법으로, 라인 - 블럭 반전된 영상 데이타가 공급되는 시스템은 다른 것들 가운데 영상 블럭 데이타를 공간 시간 영역으로 부터 공간 주파수 영역으로 적당히 변환시키고, 변형된 영상 블럭 데이타를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하고, 압축 영상 데이타를 부호화하고, 압축 영상 데이타를 포맷시키는 구조적인 수단을 포함한다. 순서화되고 압축되고 부호화되고 포맷된 영상 데이타는 그 다음 (a) 수신기에 송신되도록 전송 채널에 공급되거나 (b) 여기선 레코더(280)로 예시된 녹화매질 상에 할당된 데이타 동기화 블럭들내에 연속적인 영상 데이타 세그먼트로 녹화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영상 데이타는 적당하게 재구성된 비디오 영상이 제공되도록 수신기에서나 재생 장치에서 재구성될 수 있다.
블러킹 메모리(400) 장치를 사용해 더 처리하는 것과 비례해, 블러킹 메모리 (400)는 또한 선택적으로 래스터 주사되고 디지탈화된 비디오 영상 데이타를 케이블 (205)을 통해 수신하고 블러킹된 영상 데이타를 8 비트 디지탈 샘플 형식으로 케이블(215)을 통해 출력하는 한 쌍의 라인 - 블럭 변환기 메모리(440, 422)를 포함한다.
전술한 일실시예 (필드단위의)에서, 영상 비디오(100)의 일 전체 244 ×720 화소 필드는 제 1 라인 - 블럭 변환기(440) (또는 442)에 라인단위로 기억, 처리될 수 있으며, 영상 블럭(100)의 제 2 전체 244×720 화소 필드는 제 2 라인 - 블럭 변환기(442) (또는 440)에서 블럭단위로 읽혀지게 처리될 수 있는데, 여기서 그 메모리들(440, 442)은 필드율로 서로 교대로 전환된다.
이제 설명될 제 2 실시예 (블럭행 단위의)에서, 메모리들(440,442)은 전형적인 라인율인 초당(18.75 kHz 로 설명됨) 18.750 라인 (초당 1.350만 샘플을 라인당 720 샘플로 나눈)의 1/4 로 서로 교대로 전환된다. 이는 블럭행 당 4개 행이 있다는 것과 일치하며, 메모리들(440,442)간의 교대적인 전환이 초당 약 4.687 회의 비율로 발생하여 필드보다는 블럭행을 교대로 기억하고 복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블럭행에는 4행의 화소들이 있다는 걸 상기하라). 그런 식으로, n = 0, ..., 89 에 대한 영상 블럭들 B(m, n)의 m 번째 블럭행은 블럭단위로 일 라인 - 블럭 변환기(440) (또는 442)로 부터 읽힐 수 있고, n = 0, ..., 89 에 대한 영상 블럭들 B(m+1, n)에 대한 m+1 번째 블럭행은 라인단위로 다른 라인 - 블럭 변환기(442) (또는 440)에 쓰일 수 있다 {비디오에 소거 시간이 여전히 있고 실제로 라인당 소거를 포함하는 858 화소(대 라인당 720 화소)가 있으며, 진실된 라인 변환 비율은 약 15.734 kHz 대 언급된 18.75 kHz 이다}.
본 발명의 원리를 사용해 쉽게 구성될 수 있는 어떤 실시예에서, 라인 - 블럭 변환된 영상 데이타는 케이블(215)을 통해 각각 32 화소를 갖고 (a) 텔레비젼 영상(100)의 휘도 (Y) 성분을 포함하는 4×8 영상 블럭들중 각 하나나 (b) 텔레비젼 영상(100)의 (R-Y) 색도 성분을 포함하는 4×4 영상 블럭이고, 그리고 털레비젼 영상(100)의 (R-Y) 색도 성분을 포함하는 4×4영상 블럭인 일련의 4×8영상 블럭으로서 공급되며, 그 결과 두 4×4 색도 성분은 4×8 색도 블럭을 형성한다.
이 목적을 위해, 이제 설명되는 제 2실시예에서, 케이블(430)상의 디지탈화된 입력 데이타는 라인 - 블럭 변환기 메모리(440,442) 모두에 나타난다. 각 메모리(440,442)는 영상 데이타의 개별 휘도 (Y)성분이나 (R-Y), (B-Y) 색도 성분과, 특히 영상 데이타의 다른 블럭행을 저장하기 위한 대응 변환기 메모리 위치를 포함한다. 타이밍 발생기(444)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서 읽기위해 두 변환기 기억 메모리들 중 어느 것이 작동될지와 쓰기위해 두 변환기 기억 메모리들 중 어느 것이 작동될지를 제어한다. 타이밍 발생기(444)는 시스템 제어부(도시안됨)로 부터 타이밍 발생기(444)에 공급되는 라인(452)상의 수직 소거신호 (Vsync)에 응답해 메모리 제어 신호들을 공급한다. 타이밍 발생기(444)는 읽기/쓰기(R/W) 라인들(446,447)상의 각 읽기 및 쓰기 신호들에 응답해, 그리고 OE 라인들(448,449)상의 각 인에이블 신호들에 응답해 동작한다. 예시되었듯이, R/W 라인(446)과 OE 라인(448)은 메모리 (440)에 공급되고 R/W 라인(447)과 OE 라인(449)을 메모리(442)에 공급된다. R/W 및 0E 제어 신호들은 라인들(447,449)을 통해 각기 메모리(442)에 공급되기 전에 변환기(450)에 의해 반전된다. 그려므로, 일 메모리가 행단위로 쓰여지고 있는 동안 다른 메모리는 블럭 단위로 읽혀진다. 4 라인 (또는 4행)의 화소 데이타가 일 메모리(440) (또는 442)에 쓰여진 후, 그리고 블럭들중 일 블럭행이 다른 메모리 (442) (또는 440)에서 읽혀진 후, 두 메모리(440,442)의 기능적인 역활은 서로 바뀐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메모리들(440,442)은 영상 데이타를 교대로 계속해서 영상 순서 포맷으로 기억시키는 것을 물론 수신하고, 그런 후 계속해서 그 영상 데이타를 영상 블럭된 포맷으로 블럭행 단위로 (즉, 4행의 화소와 8열의 화소로) 공급하는 것을 물론 읽도록 사용된다. 이를 위해, 일면적으로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454)는 변환기 메모리들에 래스터 주사되는 순서로 영상 데이타를 쓰기위해 저장 어드레스를 제어하고, 반면에 어드레스 읽기 발생기(456)는 개별 변환기 메모리로 부터 소망된 영상 블럭화된 포맷으로 영상 데이타를 읽기 위해 회수된 어드레스를 제어한다. 영상 블럭 데이타는 현재 쓰여지고 있지 않는 개별 메모리에서 읽혀진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특히, 비디오 소거 신호(452)에 응답해, 쓰기(454) 및 읽기(456) 어드레스 발생기들은 라인들(458,460)을 통해 타이밍 발생기(444)로 부터 각기 리셋 신호를 수신한다. 그에 응답해, 어드레스 발생기들(454,456)은 각각 읽기 및 쓰기 어드레스 신호를 일 또는 다른 라인 - 블럭 변환기 메모리들(440,442)에 각각 교대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454)의 어드레스 출력은 버스(462)을 통해 각 메모리(440,442)와 관련된 한 쌍의 멀티플렉서 (464,466)의 A, B 입력에 각기 공급된다.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454)의 쓰기 어드레스 출력에 응답해, 개별 멀티플렉서 (464 또는 466)는 각기 쓰기 어드레스를 공급해 데이타를 각 메모리 (440 또는 442)에 소망된 순서로 저장하는데, 여기서 그 순서는 비디오의 샘플들과 라인들이 영상에서 주사되는 순서로, 즉 텔레비젼 래스터 주사 순서에 따른 포맷 순서이다.
타이밍 발생기(444)에 의해 초기화되고 읽기 어드레스 발생기(456)에 의해 공급되는 읽기 어드레스들은 버스(468)를 통해 개별 멀티플렉서들(464, 466)의 각 B, A 입력으로 유사하게 보내진다. 읽기 어드레스들은 영상 블럭 크기와 소망된 순위(여기선 공간적인 순위의 4 x 8 영상 블럭들)에 의해 결정된 메모리 위치들에 대응한다.
멀티플렉서(464)는 어드레스 버스(470)를 통해 메모리(440)로 B 입력의 읽기 어드레스 신호나, B 입력의 쓰기 어드레스 신호(어떤 것이든 순간적으로 액티브 상태에 있다)를 공급한다. 유사하게, 멀티플렉서(466)는 B 입력의 읽기 어드레스 신호나 A 입력의 읽기 어드레스 신호(어느 것이든 순간적으로 액티브 상태에 있다)를 어드레스 버스(472)를 통해 메모리(442)에 공급한다. 타이밍 발생기(444)는 읽기 어드레스나 쓰기 어드레스가 개별 메모리에 공급되도록 액티브 상태가 되게 각 멀터플렉서를 제어한다. 타이밍 발생기(444)는 비디오 소거 신호(452)에 응답하여 각 멀티플렉서(464, 466)의 (Not A)/B 입력을 각기 선택하도록 결합된 버스들(474, 476)을 통해 제어 신호들(V sync 와 H sync)을 공급한다.
읽기 어드레스 발생기(456)는 순서적으로 기억된 영상 데이타가 메모리들(440, 442)로 부터 필요 영상 블럭 순위로 읽혀지게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두 메모리들 중 하나(제 1 메모리라 하자)는 4행이 기억될때까지 라인단위로 씌여(write)진다. 그리고 그에 따라 제 1 메모리의 기능이 쓰기 기능에서 읽기 기능으로 바뀌고 일 메모리의 블럭행내의 모든 블럭들은 제 1 메모리로 부터 블럭 단위로 읽힌다. 기호적으로, 그것은 식(1)의 화소 어레이 P 의 첫번째 4행을 나타내는 화소들 P(i, j)가 쓰여진 제 1 메모리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그러한 식 (1)의 화소 어레이 P 의 첫번째 4행은 상기 식(6)으로 보여진다. 그러한 식(6)의 화소 어레이 P 의 첫번째 4행도 또한 식(5)의 블럭 어레이 B 의 첫번째 행을 나타내고, 그것은 식(7)의 다음 형태로 다시 쓰여질 수 있다.
블럭 어레이 B 의 예시 블럭 B(m, n) 같은 임의의 블럭일 수 있는 휘도(Y) 블럭들 각각은 이 설명에서 4 x 8 화소 서브어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되고, 그것은 계속해서 32개 화소 P(i, j)를 포함한다. 조금 상이하면서 새로운 수학적인 표기를 사용하여, 임의의 블럭 B(m, n)내 각각의 개별 32개의 휘도(Y) 화소들 P(i, j)는 각 휘도 화소 Y(K)로 쓰일 수 있고, 그것은 계속해서 다음의 다른 4 x 8 매트릭스 화소 서브어레이 어레이로 표기될 수 있다.
편리하게 설명 하기위해, 새로운 기호 Y(K)로 도시된 각 휘도 화소 P(i,j) 는 각 정수 K = 0, 1, ..., 31 에 의해 뚜렷이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식 (2)(3)(4)와 그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그러한 식들은 식(8)의 형태로 다시 쓰일 수 있다.
그런 기호 배경과 전술한 설명을 통해, 임의의 휘도 블럭 B(m, n)을 블러킹 메모리(400)에서 블럭행으로 읽어내는 것은 블럭 B(m, n)에서 행단위로 이루어 진다. 그런 경우, 블럭 B(m, n)의 휘도 화소들 Y(K)는 행방향으로 읽힌 다음 케이블(215-1)을 통해 다음 식(9)에 의해 나타내지는 일련의 32개 요소로 확장된다.
비슷한 방식으로 블럭 B(m, n)과 같은 임의의 (R - Y) 또는 (B - Y) 색도 블럭들는 16개 화소 P(i, j)를 포함하는 4 x 4 화소 서브어레이로 이루어진다. 휘도 (Y) 화소용으로 사용한 기호 Y(K)와 비슷한 기호를 사용해, 블럭 B(m, n)의 각 16개 색도 화소 P(i, j) 각각은 Ch(K)로 쓰여질 수 있으며, 그것은 계속해서 다음의 다른 4 x 8 서브어레이 어레이 포맷으로 쓰여질 수 있다.
설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임의 블럭 B(m, n)의 Ch(K)로 도시된 각 개별 색도 화소 P(i, j)은 각 정수 K = 0, 1, ..., 15 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또 다른 기호로서, 기호 CR-Y(K)는 (B - Y) 색도 성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Ch(K)의 "h" 는 (R - Y) 색도 성분을 의미하는 "R - Y" 나 (B - Y) 색도 성분을 의미하는 "B - Y"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한 기호적인 배경과 전술을 설명을 통해, 임의의 색도 블럭 B(m,n)을 블러킹 메모리(400)로 부터 블럭행으로 읽어내는 것은 블럭 B(m, n)에서 행 단위로 이루어진다. 그런 경우, 색블럭 B(m, n)의 색화소들 Ch(k)은 행방향으로 읽힌 다음 케이블(215-2)을 통해 다음식 (11)에 의해 표시되는 일련의 16 요소로 직렬로 확장된다.
상이하지만 같은 결과로 설명되었듯이, 상기한 예로 부터 영상 데이타가 쓰여져 있는 블러킹 메모리(400)는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454)에 의해 제공된 메모리 위치에 식(1)(6)에 의해 도시된 제 1 순서로 영상 데이타를 기억시킨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그런후, 쓰여진 영상 데이타가 읽히는 블러킹 메모리(400)는 그 기억된 데이타를 휘도 화소 및 색화소용으로 식(9)나 (10)에 의해 각기 도시되는 제 2 순서로 읽기 어드레스 발생기(456)에 의해 제공된 메모리 위치로부터 공급한다.
잠시 이미 언급된 제 2도를 돌아보면, Thomson CSF 에 의해 공급되는 Model STV 3200 이산 코사인 변형회로로 구체화 될 수 있는 dct 회로(220-1 또는 220-2)는 케이블(225-1 또는 225-2)을 통해 각 영상 블럭용 dct 계수를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에 공급하며, 여기서 데이타 셋 어레이들은 영상 블럭 dct 계수들을 가시도에 의해 정해진 순서로 공급하도록 형성되고 작동된다.
식(8)에 예시된 블럭 B(m, n)의 행렬 구조를 참조하자. 식(9)에 도시된 직렬의 행방향 시컨스에 따르는 식(8)을 읽기보다는, dct 회로(220-1)는 케이블(225-1)에 dct 휘도(Y ) 계수들(¥)을 식(12)에 도시되는 직렬의 열방향 시컨스로 순서적으로 공급한다. 즉, 식(8)에 도시된 휘도 화소 블럭에 대응하는 휘도 계수 블럭(¥)은 식(12)에 도시된 열방향 시컨스의 휘도 dct 계수 ¥(k)이 얻어지도록 읽히게 된다.
그런 식으로 dct 회로(220-1)는 또한 "(화소)라인-(dct 계수 블럭)열" 변환기로서 기능한다.
비슷하게, 식(10)에 예시된 화소들의 색블럭 B(m, n)의 행렬구조를 참조하자. 식(11)에 도시된 행 방향 시컨스보다는, dct 회로(220-2)는 식(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열방향 순위로 즉, 다음의 열방향 순위로 케이블(225-2)상의 dct 색계수를 순서적으로 공급한다.
그 방식으로 dct 회로(220-2)는 또한 "(화소)라인-(dct-계수 블럭) 열 " 변횐기로 기능한다.
또, 식(12)(13)에 의해 도시된 계수의 순서화는 일시적인 데이타 순서화의 래스터 주사 표식이다라는 것이 언급될 수 있다.
계속해서,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500)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 내용은 이 설명에 사용된 세가지 유형의 어레이들의, 즉 데이타 셋 어레이 DS, 블럭 어레이 B, 및 화소 어레이 P의 관계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식(1)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은 첫번째 244x720 화소 어레이 P는 영상 블럭에 대응하는 4x8 의 화소 서브웨이로 다수 분할되어 식(5)에 의해 나타나는 것 같은 두번째의 61x90 영상 블럭 어레이 B 를 형성한다. 비슷한 방식으로, 두번째 61x90 영상 블럭 어레이 B 는 그 자체가 소위 "데이타 셋"에 대응하는 다수의 블럭 서브어레이로 분할되어 이제 설명될 세번째 61x6 데이타 셋 어레이 DS 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 데이타 셋 어레이 DS 가 다수의 데이타 셋을 포함한다고 가정되는데 U 번째 형과 V 번째 열을 의미하는 데이타 셋의 좌표위치(U,V)에 공간적으로 위치된 데이타 셋 요소는 데이타 셋 DS(U,V)로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 각 데이타 셋이 두번째 영상 블럭 어레이 B의 블럭행에 있는 15개 행방향 접촉성 영상 블럭들을 포함한다. 이를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 일 데이타 셋 요소 DS(0,0)을 고려해 보자.
DS(0,0)은 두번째 영상 블럭 어레이 B 의 블럭행 0 (m=0)으로부터 15개 접촉성 영상 블럭 B(m,n)을 포함한다. 비슷한 방식으로, DS(0,1); DS(0,2); DS(0, 3); DS(0,4); 및 DS(0,5)은 두번째 영상 블럭 어레이 B 의 블럭행 0(m=0)으로 부터 제 2{식 (15)}, 제 3 {식 (16)}, 제 4{식 (17)}, 제 5{식 (18)}, 및 제 6 {식 (19)} 군의 15개 접촉성 영상 블럭 B(m,n)을 각각 포함한다. 또 비슷한 방식으로, 세번째 데이타 셋 어레이 DB의 각 데이타 셋 요소 DS(U,V)는 두번째 블럭 어레이 B 의 개별 블럭행들에서 1x15로 분할된 서브 어레이로 부터 각각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사실의 수학적인 표기는 다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번호 기호를 사용하여, 식(14)로 표시된 데이타 셋은 세번째 데이타 셋 어레이 DS의 데이타 셋 좌표 위치(0,0)에 공간적으로 위치되고, 식(15)로 표시된 데이타 셋은 세번째 데이타 셋 어레이 DS 의 데이타 셋 좌표위치(0,1)에 공간적으로 위치되는 식으로 되는데, 이때, 식(20)으로 표시된 데이타 셋은 세번째 데이타 셋 어레이 DS 의 데이타 셋 좌표위치(60,5)에 공간적으로 위치된다.
전술한 기호를 사용하여, 식 (1)에 의해 표시된 첫번째의 244x720 화소 어레이 P 는 식(5)에 의해 표시되는 두번째의 61x90 영상 블럭으로 분할되고, 그것은 계속해서 식 (14)-식 (20)에 의해 표시되는 세번째의 61x6 데이타 셋 어레이 DS 로 분할되어 식(21)의 형태로 씌여질 수 있다.
여기서 각 데이타 셋 요소 DS(U,V)은 식(5)에 의해 표시된 제 2 영상 블럭 어레이 B의 블럭행으로 부터의 15개 연속적인 영상 블럭으로 된 서브어레이군을 포함하고, 영상 블럭 어레이 B의 각 영상 블럭 B(m, n)은 4개 행의 화소와 8개 열의 화소를 즉, 32개의 독립된 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가 배경을 사용해, 공지된 dct 회로(220-1, 220-2)는 영상 데이타의 각 휘도성분 및 색성분 블럭에 대한 dct 계수 (¥과)를 케이블(225-1 또는 225-2)을 통해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500)에 공급한다.
(a) 그곳에선 먼저 케이블(225-1)상의 휘도(y) dct 계수(¥)가, 케이블(225-2) 상의 색도(B-Y)와 (R-Y)의 dct 계수와 멀티플렉서(520)에 의해 다중화되어 제3의 변형 컬러 성분 데이타 셋 어레이 DS 의 dct 계수를 형성하고, (b) 둘째로 제 3의 변형 컬러 성분 데이타 셋 어레이 DS 를 포함하는 dct 계수는 가시도에 의해 순서화된 후 케이블(235)을 통해 양자화기(240)으로 보내진다.
제 5도에 도시된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500)를 더 상세히 설명해 보면, dct 변형된 영상 블럭들의 dct 계수들(¥ dhk)은 개별 케이블(225-1) (¥ dct 계수의 경우) 또는 케이블(225-2) (dct 계수의 경우)를 통해 각 dct 회로(220-1 또는 220-2)로 부터의 영상 데이타의 각 휘도(Y) 및 색도성분용으로 식(12)와 식(13)에 의해 묘사된 열방향 시컨스로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500)와 그 안의 멀티플렉서(520)에 직렬로 공급되는데, 그 멀티플렉서에서 케이블(225-1)상의 휘도(Y) dct 계수(¥)는블럭의 16개 dct 계수가 다 사용될 때까지 케이블(225-2) 상의 색도(B-Y) dct 계수와 다중화되며, 케이블(225-1)상의 휘도(Y) dct 계수는블럭의 16개 dct 계수가 다 사용될 때까지 케이블(225-2)상의 색도(R-Y) dct 계수들와 다중화 된다(등등). 특히, 다중화된 dct 계수들은 다음 순서의 dct 계수를 포함하는 다중화된 시컨스의 데이타 스트림을 초래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제한을 위해서가 아니라), 푸른색차 dct 계수{일 블럭 B(m,n)에 대해 k=0, 1,... 15} 는 푸른색 성분 dct 블럭의 계수들이 다 사용될 때까지 (그들이 모두 사용되거나 달리 계수되는 것을 의미) 휘도 dct 계수 ¥ (k) {k=0, 1, ..., 15}의 제 1 계수들과 다중화된 후, 붉은색 성분 dct 블럭 계수{k=0,1, ..., 15}가 블럭의 모든(휘도와 양 색) 성분이 다 사용될 때까지 블럭의 나머지 휘도 성분 dct 계수 ¥ (k) {k=16, 17, .., 31}와 다중화된다. 전체 과정은 일 필드의 비디오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블럭들의 모두 dct 변형되고 다중화 될 때까지 반복된다.
그렇게 다중화된 dct 계수 (¥와)에 의해 식(22)으로 표기된 데이타 스트림은 멀티플렉서(520)로 부터 케이블(525)을 통해 한 쌍의 dct-가시도 순서화 저장 메모리(540, 542)에 보내지며, 그것들은 선택적으로 (a) 제 3 칼라 성분 dct 계수 데이타 셋 DS 이 형성되도록 케이블(524)을 통해 다중화된 dct 계수들을 수신하여 그 다중화된 dct 계수들을 수신하며 그 다중화된 dct 계수들을 75 메모리 (540 또는 542)에 쓰거나, (b) 개별 메로리로 부터 칼라 성분 데이타 셋 DS 의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dct 계수를 읽고 그 dct 계수들의 칼라 성분 데이타 셋 DS 를 가시도에 의해 순서화된 칼라 성분으로 다중화된 dct 계수 데이타 셋의 데이타 스트림으로서 케이블(235)을 통해 양자화기(240)에 전달한다.
제 5도에 예시된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500)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 중 일부를 더 설명하기로 한다.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500)는 변형된 영상 블럭군의 휘도 및 색도 dct 계수들(¥와 Ch) (대 단일 변형된 영상 블럭의 dct 계수들)을 다중화시킬 뿐 아니라 가시도 측정을 하여 휘도(Y) 및 색도(R-Y)와 (B-Y) dct 계수(¥와 Ch)를 가장 큰 가시도 계수로 부터 가장 작은 가시도 계수까지 순서화한다는 것을 상기하자. 그것은 또한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500)가 dct 계수들(¥와 Ch)을 재구성된 영상에 대한 가시 특성의 관점에서 제일 중요한 것부터 가장 덜 중요한 것으로 순서화시킨다고 설명될 수 있다.
변환기 기억장치(540,542)는 세번째 데이타 셋 어레이 DS 의 칼라 성분 데이타 셋의 dct 계수를 기억하게 되는데, 이는 dct 계수들(¥)의 15개 휘도(Y)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일 휘도 데이타 셋, dct 계수들의 15개(B-Y) 색도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일 (B-Y) 데이타 셋, 일 dct 계수들의 15개 (R-Y)색도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일 (R-Y) 데이타 색을 기억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500)는 멀티플렉서(520)로 부터 케이블(525)을 통해 dct 계수들 (¥ 과 Ch)의 다중화된 휘도 및 색도 영상 블럭들의 수신하고, 그 dct 계수들의 영상 블럭들을 dct 계수들의 데이타 셋으로 구성한 후 dct 계수들의 가시도에 의해 순서화된 데이타 셋들을 케이블(235)에 공급한다. 다른 가시도 순서화가 가능할지라도, 아래 식(23)은 영상 신호의 각 두 색도 성분(B-Y), (R-Y)에 대해 16개 dct 계수는 물론 휘도 성분(Y)의 32개 dct 계수의 일 예시적인 순서적인 가시도 순서화를 증거한다. 아래 식(23)의 이해를 돕기위해, 식(23)에 도시된 각 dct 계수는 사실 그 계수의 데이타 셋이라는 것을 상기해야 하는데, 이는 식(23)이 2차원으로 도시되더라도 그것은 3차원 공간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거기서 세번째 차원은 식(23)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흐름으로 볼때 수직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세번째 차원 (또는 깊이)은 데이타 셋을 포함하는 블럭들에 대응하는 dct 계수들(여기선 15개 계수)의 데이타 셋을 포함한다. 이 점에 관해 이후 더욱 분명히 설명될 것이다.
DS(0,0)을 고려해 보자. 영상 신호의 두 색성분 각각에 대한 DS(0,0)와 휘도 성분(Y)에 대한 DS(0,0)이 있으며, 각 DS(0,0)은 15개의 영상 블럭 B(0,0), B(0,1);...; B(0,14)을 포함한다고 알려져 있다. 식(8)로부터, 각 DS(0,0)의 각 휘도 블럭 B(m, n)이 32개 화소 P(i,j) 또는 Y(k)를 포함하고, 각 DS(0,0)의 각 색도 블럭 B(m,n)은 16개 화소 P(i,j) 또는또는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는 dct 변형 계수들을 각 성분의 15개 블럭으로 부터 계수군 (예, 주파수에 따라 순서화된 군)으로, 재구성된 영상에 있어 가시적인 중요성이 감소하는 순위로 순서화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군화는 전술한 데이타 셋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 데이타 셋이 식 (2)(3)(4)에 도시된 화소블럭과 각각 비슷한 15개 데이타 블럭을 포함하나 화소들 P(i,j)가 dct 계수들 {¥ (k),또는}로 대체되는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타 셋에 15개 블럭이 있기 때문에, 데이타 셋의 각 블럭에 대해 하나씩 15개의 (0,0) 휘도 dct 계수 ¥ (0,0)이 있다. 그러므로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500)는 제 1 휘도 데이타 셋의 각 블럭에 대해 하나씩 15개의 (0,0) 휘도 dct 계수 ¥ (0); 과 그 뒤로는 색도 데이타 셋의 각 블럭에 대해 하나씩 15개의 (0,0) B-Y 색도 dct 계수; 그 뒤로 15개의 (0,0) R-Y 색도 dct 계수; 그 뒤론 15개의 (0,1) 휘도 dct 계수 ¥ (1) ; 그 다음은 15개의 (0,1) B-Y dct 계수로도 알려짐; 그 다음 15개의 (0,1) R-Y dct 계수로도 알려져 있음; 15개의 (1,0) 휘도 dct 계수 ¥ {¥ (8)로 알려져 있음} 등을 공급한다. 그 순수 결과는 15개의 dct 계수 (¥ 또는)의 데이타 셋 군들은 15개의 dct 계수들의 다음 데이타 셋 군이 케이블(235)에 전달되기 전에 순서적으로 전달된다.
다음은 그런 dct 계수의 가시도 순서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아래 지적된 각 dct 계수에 대해 다음 dct 계수중 어느 하나가 전달되기 전에 순서적으로 전달된 그런 dct 계수들의 데이타 셋이 있게되는데, 즉 15¥ (0) dct 계수의 데이타 셋이 전달되고 그 뒤로 15개dct 계수의 데이타 셋과 15개dct 계수들의 데이타 셋, 15개 ¥ (1) dct 계수의 데이타 셋등이 전송된다.
상기 예에서 전체 64개의 dct 계수가 존재하게 된다는게 분명한데, 즉 32개 휘도 dct 계수 ¥ (k) {k=0, 1, ..., 31}와 영상 신호의 두 색성분 각각에 대한 16개 dct 계수{k=0,1, ..., 15}가 있다. 또한 상기 예의 식 (23)의 각 계수에 대한 15개의 블럭 (그러므로 깊이 방향으로 15 dct 계수)을 포함하는 데이타 셋이 존재한다는게 분명해진다. 즉, 식 (23)은 각 dct 계수에 대해 데이타 셋의 블럭수(여기선 15)를 나타내는 깊이를 갖는다. 달리 설명해, 식 (23)은 한 휘도(Y)블럭과 두 색도 블럭 (R-Y) (B-Y)군에 대한 dct 계수를 예시하는데, 한편 거기엔 깊이 방향으로도 15개의 그런 군이 더 있으며, 식 (23)은 그 데이타 셋을 관통해 취해진 "슬라이스 (slice) "를 예시한다.
또 변형된 데이타 셋들을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하는 목적은, 화면 셔틀 모드로 작동될 때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로 부터 스내치 형태로 불완전하거나 부분적인 데이타 셋 부분만이 복구되더라도 데이타 셋을 포함하는 전체 블럭군을 재구성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화면 셔틀 모드에서는 테이프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기억되는 프레임 버퍼를 새롭게 만드는 주파수와 영상을 포함하는 "새로와진 블럭들"의 선명도와 가시적인 명확도 사이에 트레드오프(tradeoff)가 있다. 즉, 화면 셔틀 모드동안, 비디오 프레임의 부분들은 여러 시점들에서 테이프로 부터 회수된 영상 블럭들로 새로와 진다. 그 결과, 재구성된 영상은 테이프에서 읽힌 새로운 영상 블럭들은 물론 테이프로 부터의 새로운 정보로 새로와지길 기다리는 낡은 영상 블럭을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불행하게도, 영상 블럭군이 dct 회로(220-1 또는 220-2)로 부터 나오는 것과 같은 순서로 자기 테이프에 기억되는 경우와 정보 스내치가 테이프에서 읽히는 경우는 완벽하게 재구성된 영상 블럭이 비교적 적게 있게된다. 고속에서는, 그 수가 일반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양의 테이프가 스내치들 사이에서 읽히게 되고, 그것은 편집이 발생하는 테이프의 특별 구간, 예를 들면 편집될 가시적인 디스플레이 장면을 나타내는 특별 위치를 구별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우리의 접근에 있어서의 일 장점은 데이타가 가시도(dct 계수의 주파수 같은)에 의해 순서화될 경우, 영상 블럭들의 색성분 데이타 셋이 각 스내치에서 읽힐 수 있게 된다는 것으로, 그것으로 해서 영상을 포함하는 dct 계수 중 일부(전부일 필요는 없다)로 부터 영상이 더욱 자주 재구성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재구성된 영상의 화질이 좋지 못해, 예를 들면, 섬세한 면이 없고 잡음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할지라도, 테이프를 화면 셔틀 모드로 작동시킬때 편집이 이루어질 테이프의 구간을 재빨리 위치시키길 바라는 사람의 목적을 만족시키기엔 충분한 화질을 갖을 수 있다.
제 5도의 장치를 더 상세히 설명해 보자. 거기에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 에서, 컨버터 메모리(540, 542)는 다음에 비례하는 비율로 서로 교대로 전환된다.
상기 식에서 Ny는 휘도 영상 블럭당 열의 수(이 예에선 Ny=8)이고 ; My는 휘도 영상 블럭당 행의 수(이 예에선 My=4) 이고 ; Ky는 데이타 셋당 휘도 영상 블럭의 수(이 예에서 Ky=15)이고 ; Nc 는 색도 영상 블럭당 열의 수(이 예에서 Nc=4)이고 ; Mc 는 색도 영상 블럭당 행의 수(이 예에서 Mc=4)이고 ; kc는 데이타 셋당 각 테이프의 색차 dct 계수 블럭의 수(이 예에서 kc=16)이고 ; Fc 는 계수 클럭 주파수 (이 예에서 초당 Fc=2천 7백만 샘플)이다.
변환기 기억장치 (540,542)간의 변환은 15개 dct 계수로된 블럭들의 교호 데이타 셋들을 기억하고 복구하기 위해 발생하는데, 휘도 성분(Y) 데이타 셋에는 15개의 영상 블럭이 있고 색도 비디오 데이타 성분(R-Y)(B-Y) 각각에 대한 데이타 셋에는 15개의 영상 블럭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이제 더 설명될 또 다른 실시예에선 케이블(225-1)상의 dct 변형된 휘도 영상 데이타와 dct 변형된 색영상 데이타(B-Y와 그 다음 R-Y dct 계수로 교대하는 블럭들을 포함하는)의 디지탈화된 압력이 멀터플렉서(520)에 존재한다. 개개 케이블(225-1, 225-2)상의 입력 스트림 각각은 CCIR-601에서 초당 약 천3백5십만단어 (Mwords/sec)의 계수 데이타율을 갖는다. (보통, 일 단어는 12비트를 포함한다. ) 멀티플렉서(520)는 식 (23)에 예시된 다중화된 구조에 따라 액티브 비디오 주기에 걸쳐 휘도 dct 계수를, 그런 후 색도 dct 계수를 교대로 선택한다. 그러므로 멀티플렉서(520)의 출력 비율은 약 2천 7백만 단어/초 이다. 연상 데이타의 다중화된 dct 계수 스트림은 케이블(525)에 공급되고 dct-가시도 순서화 변환기 메모리(540,542) 모두에 보내진다. 메모리들(540,542) 각각은 영상 데이타의 휘도(Y)성분과 색성분들의 dct 계수들을 데이타 셋 포맷으로 기억하기 위한 대응하는 변환기 메모리 위치들을 포함한다. 타이밍 발생기(544)는 두 변환기 기억 메모리들 중 어느 것이 어떤 순간에 읽기/쓰기(R/W)라인들 (546,547)상의 각 읽기 및 쓰기 신호와 0E 라인 (548,549)상의 각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읽기를 위한 액티브 상태가 되고, 쓰기를 위한 액티브 상태가 될지를 제어한다. 예시하였듯이, R/W 라인 (546)과 OE 라인(548)은 메모리(540)에 공급되고 R/W 라인 (547)과 OE 라인 (549)은 메모리 (542)에 공급된다. R/W 와 OE 제어 신호들은 각기 라인 (547,549)을 통해 메모리 (542)에 공급되기 전에 인버터(550)에 의해 반전된다. 그러므로, 일 메모리에 dct 계수들의 데이타 셋이 쓰여지는 동안 다른 메모리에선 데이타 셋이 읽힌다. 데이타 셋이 쓰이거나 읽힌 후, 메모리들(540,542)의 쓰기 읽기 기능이 바뀐다. 타이밍 발생기(540)는 시스템 제어장치(도시 안됨)로 부터 타이밍 발생기(544)에 공급된, 라인(552)상의 수직(Vsync)과 수평(Hsync)소거 신호들에 응답해 메모리 제어 신호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기능적인 역할이 서로 바뀌는 메모리들(540,542)은 변형된 휘도 영상 블럭들과 변형된 색도 영상 블럭들의 일대일 다중인 dct 변형된 영상 데이타를 계속해서 수신하여 기억하고, 그 다음 계속해서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데이타 셋 포맷의 영상 데이타를 데이타 셋 단위로, 즉 15dct 블럭군 단위로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 일면적으로,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554)는 제 1 메모리에 쓰기 어드레스를 공급하고, 읽기 어드레스 발생기(556)는 제 2 메모리에 읽기 어드레스를 공급한다. dct 계수 데이타 셋이 제 1 메모리에 쓰여지고 dct 계수의 데이타 셋이 제 2 메모리로 부터 읽힌 후에, 데이타 셋이 제 1 메모리에서 읽혀지고 데이타 셋이 제 2 메모리에 쓰여질 수 있다. 특히, 쓰기(554) 및 읽기(556) 어드레스 발생기들은 라인(552)을 통해 타이밍 발생기(544)에 입력되는 각 Vsync와 Hsync신호에 응답하여 라인들(558,560)을 통해 타이밍 발생기(544)로 부터 리셋 신호들을 수신한다. 개개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발생기들(554, 556)은 쓰기 또는 읽기 어드레스 신호를 메모리들(540,542) 각각에 교대로 공급한다.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554)의 어드레스 출력은 버스(562)를 통해 메모리들(540,542)를 통해 메모리들(540,542)에 각기 연관된 한 쌍의 멀티플렉서 (564,566) 각각의 A 와 B 입력에 공급된다.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554)의 쓰기 어드레스 출력에 응답하여, 개개 멀티플렉서(564 또는 566)는 dct 계수들이 멀티플렉서 회로(520)로 부터 빠져나오는 순서로, 소위 삽입되고 교차된 영상 블럭 주사 시컨스 포맷으로 싣는다. 즉, dct 계수들은 휘도 ¥와 색도dct 계수가 다중화된 것으로서 도달하며, 이때 그 dct 계수들은 아래의 dct 계수 휘도 ¥ 매트릭스와 색도매트릭스의 열들에 의한 래스터 주사되는 상태에 있다.
식(8)(10)과 식(25)(26) 사이의 차이는 식(8)(10)은 화소들이 어레이의 요소들로서 관련되고 색(25)(26)은 dct 계수 어레이들의 요소들로서 관련된다는데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식(25)의 휘도 변형 매트릭스 ¥의 dct 계수들이 식(25)에 도시된 대로 색인될 경우, dct 계수들은 식(25)의 dct 매트릭스를 ¥(0)에서 시작하는 열에 의한 래스터 주사 순서로 읽음으로써 주어진 순서로 개개 dct 회로(220-1)로 부터 나타나게 된다. 유사하게 색도 계수 매트릭스의 dct 계수들의 식(26)에 도시된 대로 색인되는 경우, dct 계수들은으로 시작하는 열에 의한 래스터 주사 순서로 나오게 된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푸른색차 dct 변형 계수들은 붉은색차 dct 변형 계수들 전에 발생하거나 다중화된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분명히 그것은 예시예일 뿐이지 제한을 위한 것이다. 붉은색차 dct 변형 계수들은 푸른 색차 dct 변형 계수들 전에 그만큼 쉽게 발생하거나 다중화될 수 있다. 예시를 목적으로, 푸른색차 dct 변형 계수들(즉, 모두 16개의 dct 계수)의 전체 매트릭스는 동등하게 순서화된 붉은색차 dct 변형 계수들(즉, 모두 16개의 dct 계수)의 전체 매트릭스이 뒤에 따라오는 상태로 나타나게 된다.
다중화 이후,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에 보내진 그 순서는 단지 두계수 스트림의 삽입물일 뿐으로, 그것의 샘플이 식(27)에 주어진다.
타이밍 발생기(544)에 의해 초기화되고 읽기 어드레스 발생기(556)에 의해 공급되는 읽기 어드레스들은 유사하게 버스(568)을 통해 각 멀티플렉서들(564,566)의 B 와 A 입력에 보내진다. 읽기 어드레스들은 dct 변형 영상 블럭 크기에 의해, 데이타 셋 크기에 의해, 그리고 소망된 가시도 순서화 시컨스에 의해, 예를들면 대각선으로 지그재그한 주사 순서의 4x8휘도 dct 변형 영상 블럭들에 의해 결정되는 메모리 위치들에 대응한다. 이에 대해서는 식(28)(29)(30)을 설명할때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멀티플렉서(564)은 어드레서 버스(570)를 통해 메모리(540)에 읽기 또는 쓰기 어드레스 신호(이 중 하나는 소정의 시간에서 액티브 상태에 있다)를 각기 공급한다. 유사하게, 멀티플렉서(566)는 어드레스 버스(572)를 통해 메모리(542)에 쓰기 또는 읽기 어드레스 신호(이 중 하나는 소정의 시간에서 액티브 상태에 있다)를 각기 공급한다. 타이밍 발생기(544)는 멀티플렉서들(564,566)의 각 A/B 입력들에 결합되는 버스들(574,576)을 통해 Vsync 와 Hsync에 응답하여 t 개별 멀티플렉서들로 하여금 읽기 또는 쓰기 어드레스들을 활성화시키게 제어한다.
읽기 어드레스 발생기(556)은 계수들의 순서적으로 기억되고 다중화되며 변형된 색성분 영상 데이타 블럭들이 이 예에서는 식(23)에 더 보여지는 필요한 변형된 색성분 데이타 셋 가시도 순서로 메모리들(540,542)로 부터 읽혀지도록 어드레스들을 발생한다. 예를들면, CCIR 601 칼라텔레비젼 표준방식의 경우는 비디오의 휘도 성분 라인에 720개 샘플이 있고, 교체된 휘도 변형 블럭 계수들 ¥ (k)과 색차성분 변형 블럭 계수들이 다중화된 것은 그들이 위치 0의 제 1 휘도 블럭의 직류 계수(즉 ¥ (0))로 시작하는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554)에 응답해 멀티플렉스 회로(520)에서 출력되는 순서로 기억된다. 15블럭을 포함하는 dct 계수들의 데이타 셋 DS 가 메모리로 부터 읽혀지면, 제 1 블럭형의 C=0(제로) 데이타 셋의 dct 계수 데이타에 대한 읽기 어드레스들은 제 1 데이타 셋(각 영상 블럭에는 8개 열이 있음)의 15개 제 1 휘도 직류부분의 경우 0.64, 128, 192, ..., 896이고, 제 1 데이타 셋 형의 15개의 (R-Y) dct 블럭들에 대한 직류부분은 어드레스 1,65,129, 193, ..., 897에서 읽혀지고, 그뒤 제 1 데이타 셋 행의 15개 (R-Y) dct 계수 블럭들에 대한 직류 부분은 어드레스 33,97,161, ..., 929 에서 읽혀진다(등등). 특정 유형의 변형된 성분 계수의 메모리 위치에 대한 의문들은 아래식 (28)(29)(30)으로 주어진다. k 는 0-365에 있는 영상 신호필드의 데이타 셋 수라하고, m 은 0-14에 있는 데이타 셋 내부의 블럭이라 하며, Ny 또는 Nc 는 상기 식 (24)에 한정된 계수 지표라 하자. YL는 메모리 내부의 휘도 dct 계수의 어드레스라 하자. CR는 메모리 안의 붉은색차 dct 계수의 어드레스라 하자. 그런후 다중화 순서가 상기 설명된 대로 이고 사용된 제 1 메모리 위치가 위치 0에 있다면, 어드레스들은 다음 세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floor는 괄호안의 인수보다 크지않은 가장 작은 정수
mod 는 계수를 의미
m = 0, 1, ..., 14
k = 0, 1, ..., 365
NY= 8
Nc= 4
상기 세 식은 각 계수 어드레스 위치가 데이타의 워드(보통 12 비트)의 일 dct 계수를 점유한다고 가정할때 메모리(540, 542)내부 dct 변형된 영상 계수들의 위치를 필드단위로 정확히 말한다. 다음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색성분 변형 데이타 셋이 같은 메모리 위치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다른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로 부터 읽힌다. 식(23)에 주어진 계수들 예의 가시도 순서화를 사용하여 필요한 계수들의 어드레스들이 상기 식(28)(29)(30)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식(28)(29)(30)에 주어진 각 계수에 대해, 지수 m 은 식(28)(29)(30)중 적절한 하나에서 그것의 범위를 넘게 증가된다. 예를들면, 문제의 성분이 휘도 성분일 경우, 휘도 계수 어드레스용 식은 메모리(540, 542)에서 읽혀질 계수를 위해 식(24)에 주어진 지수와 같게 취해진 식의 NY에 의해 사용된다. 이들 식은 멀티플렉서(520)로 부터의 데이타가 위치 0 에서 시작하여 메모리들(540, 542)의 시컨셜 메모리 위치들에 기억된다는 것과, 색성분 dct 변형된 데이타 블럭 크기가 휘도용으로 4 x 8, 색도용으론 4 x 4 라는 것과, 일 데이타 셋이 각 성분 유형에 대해 15 블럭을 포함한다는 가정에 근거하여 유도된다.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 회로(500)의 출력에서 케이블(235)로 소망된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dct 계수 스트림을 발생하는데 사용된 메모리 어드레스들의 시컨스는 롬소자인 메모리내 읽기 어드레스 발생기(556)에 기억된다. 카운터 같은 수치 시컨스 발생기는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들(540, 542)을 위한 어드레스 시컨스를 발생하기 위해 메모리 소자를 어드레스하는데 사용되는 수치 시컨스를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가시도 순서화 시컨스는 사람의 눈이 갖는 민감성과 관련하여 입력 화소들의 변환시키는 특성을 가져야만 하는 이산 코사인 변형이나 다른 적절한 변형 특성들과 함께 취해진 가시도 민감성의 일반적인 원리로 부터 유도된다. 또한, 복호화 처리가 그 변형의 완전한 데이타의 서브셋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해상도 셔틀 화면의 재구성을 위해 보유된 부분들은 완전한 영상 데이타를 기억시키는데 사용된 총 데이타 저장 공간의 비교적 작은 부분만을 필요로 하는게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식 (23)에 주어진 순서화는 다음 규칙을 사용해 얻어졌다.
(a) 영상의 재구성을 위해 직류 성분이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
(b) 빠르게 변하고 있는 장면이 그들의 색함량으로 인해 인지될 수 있게 하려면 일부 저주파수 색정보를 보류하는게 필요하다 ;
(c) 변형된 영상의 수평 및 수직 공간 주파수 성분들이 사선 주파수보다 영상을 인식하는데 더 중요하다 ;
(d) 변형된 영상의 저공간주파수가 인지가능한 영상을 재생산하는데 가장 중요하다 ;
(e) 변형된 영상의 저공간주파수가 가장 큰 주파수 수평 및 수직 성분보다 영상의 재구성에 더 중요하다 ;
(f) 고공간주파수 색도 조건은 영상의 인식을 위한 영상의 재구성에 중요치 않다.
이들 규칙을 사용하면, 많은 상이한 가시도 순서화가 가능하게 되는게 분명해진다. 영상들이 그들의 공간주파수 항량에 있어 변하고 상이한 관찰자들이 상이한 기준을 사용하는 영상들을 확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가시도 순서화의 선택에 한계가 없게 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상기 개요된 주요 규칙들이다. 식 (23)에 주어진 가시도 순서화를 발생하는데에는 시컨스 순으로 놓여져야만 하는 똑같이 중요하고, (이 경우 결정이 멋대로 이루어진다), 무작위적으로 선택되었던 주파수들이 있었다.
요약하여, 여기의 실시예에서 dct 계수 데이타가 쓰여지는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500)는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554)에 의해 제공된 메모리 어드레스 위치들에 응답하여 dct 계수 데이타를 비디오 영상내 대응 영상 블럭의 위치에 대응하는 시컨셜 순서로 기억시킨다. 그 다음 읽기 어드레스 발생기(556)는 식(28)(29)(3O)의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 내부의 읽기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dct 계수 데이타를 복구하기 위해 적절한 메모리 어드레스들을 제공한다.
포맷터(260)는 일 데이타 셋 동안의 주파수에 따라 순서화되고, 양자화되고 엔트로피 부호화된 dct 계수들(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계수들의 15개 dct 변형 계수 블럭들을 포함)을 동기화 워드(셋 인식자)와 에러 수정 코드워드들과 결합한다. 녹화된 데이타의 포맷은 제 6 도에 도시된다. 블럭들이 제공되는 통신 매질이 자기 테이프라고 가정할때, 동기화 워드는 테이프상의 각 녹화된 데이타 블럭이 시작할때 놓여진다. 데이타 블럭은 전술한 가공(overhead) 정보와 압축 영상 데이타를 더한 것의 일 데이타 셋으로 이루어진다. 영상을 그것이 포함하는 데이타 셋으로 부터 재구성하기 위하여 데이타 셋을 이루는 영상들을 재구성된 영상의 수정 위치에 균일하게 놓일 수 있도록 각 데이타 셋은 식별가능해야 한다. 그것이 각 녹화된 데이타 블럭에 포함된 셋 인식자의 목적이다. 화면 셔틀 모드에서, 데이타의 스내치는 하나이상의 완전한 녹화된 데이타 블럭과 부분적인 데이타 블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완전한 데이타 블럭들은 15개 완전 영상 블럭 셋을 생산하기 위해 복구되고, 디포맷되고 복호화될 수 있다. 부분적인 복구된 데이타 블럭들은 덜가시적인 영상 성분이 부족하긴 하지만 여전히 셔틀 화면을 재구성 하는데 유용한 영상 블럭들이 생산되도록 디포맷되고 복호화될 수 있다. 에러 수정 시스템은 에러 검출 모드에서 부분적인 데이타 블럭내 에러 데이타가 있는 위치 (즉 "좋은" 데이타가 끝나는 곳)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에러가 없는 영역의 끝 뒤의 데이타는 나쁜 것으로 플래그되며, 그 데이타는 0 으로 셋되는데, 그것은 호프만 디코더에 의해 0 으로 복호화된다. 마지막 결과는 에러상태에 있곤 했던 dct 계수들은 0 으로 셋된다는 것이다. 복구된 데이타가 셋 인식자가 시작할때 부터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시각적으로 유용한 데이타는 불완전한 데이타 블럭으로 부터 최상으로 복구되게 된다. 그러므로, 테이프로 부터 복구되는 데이타 블럭들의 주요 비율이 불완전한 빠른 셔틀 속도에서는 주파수 순서화가 최대 유용 영상 정보양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 요약하여, 영상 데이타는 압축 데이타가 전송되게 되는 채널 형태에 근거하여 결정된 시컨스로 블럭화 된다. 예만을 목적으로 하여, 그 블럭들은 영상의 같은 일반적인 영역이나 위치에서 취해진 CCIR - 601 색 신호의 각 성분의 15 블럭군들에다 특정 특성들을 주는 시컨스로 형성될 수 있다. 휘도 성분의 dct 변형을 위한 블럭 크기는 4 x 8 이다. 색도 성분의 dct 변형을 위한 블럭 크기는 4 x 4 이다. 각 성분의 15 블럭군들은 데이타 셋으로 지칭된다. 그 데이타 셋들은 두개의 독립된 이산 코사인 변형 회로에 의해 변형된다. 휘도가 일회로에 의해 변형된다면 색도는 나머지 다른 회로에 의해 변형된다. 두 개개 dct 회로의 출력들은 단일 데이타 스트림으로 다중화된다. 데이타 스트림은 12 비트 버스를 통해 가시도(예시적으로 주파수) 순서화 메모리(500)에 공급된다. 주파수 순서화 메모리는 각 성분의 15 블럭들로 부터 재구성된 영상에서의 가시도 중요성이 감소하는 순서로 되 있는 dct 계수군 (주파수 순위의 데이타 셋)으로 변형 계수들의 순서를 정한다. 예만을 목적으로 하여, 그 군화는 첫째로 15 개의 (0, 0) 휘도 부분과 그 뒤를 이은 15 개의 B - Y (0, 0) 부분, 15 개의 R - Y (0, 0) 부분, 15 개의 (0, 1) Y 부분, 15 개의 (0, 1) B - Y 부분, 15 개의 (0, 1) R - Y 부분, 15 개의 (1, 0) Y 부분 등을 가질 수 있다. 변형된 데이타 셋들을 주파수 순서화하는 목적은 화면 셔틀모드에서 데이타 셋의 불완전한 부분만이 테이프에서 복구될지라도 데이타 셋을 포함하는 전체 블럭군의 재구성을 가능케하기 위한 것이다.
변형된 영상 데이타의 dct 계수를 가시도 순서화하는 또다른 잇점은 dct 계수 데이타를 압축하기 위해 선택된 양자화수가 충분히 크기 않고 저장을 위해 포맷에 할당된 공간에 맞지않는 데이타 초과가 발생될때인 오버 플로우(ovedflow)의 경우 발생한다. 이 경우, 잘려질 데이타는, 오버 플로우가 초과적이지 않은 경우, 가시적으로 덜 중요한 정보로 구성되게 되며, 그 영상은 눈에 띄게 손상당하지 않기가 쉽다. 오버플로우 보호 특징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각 데이타 셋을 많은 변형된 영상 블럭들로 부터 발생하는게 좋다. 이는 또한 화면 셔틀의 경우, 데이타의 스내치가 복구될때 새로와질 큰 영역의 영상을 허용한다. 셔틀 화면에 대한 큰 데이타 셋의 실용성에 있어 제한이 있다. 셔틀 화면이 요구되는 제일 빠른 셔틀 속도에서 복구된 가장 짧은 데이타 스내치의 크기는 최대 크기의 데이타 셋을 결정한다. 데이타 셋을 포함하는 블럭들의 수는, 데이타 셋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을 재구성하는데 사용된 앤트로피 부호화된 계수들의 평균 길이가 요구된 최고 셔틀 속도에서 복된 부호화된 영상 데이타 스내치의 길이보다 영상이 짧도록 선택된다. 실제적으로, 데이타 스내치는 정보를 포맷하고 동기화시키는 걸 포함하여, 복구된 데이타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 부분이 복구된 데이타 스내치보다 작도록 한다.
데이타 스내치들이 극도로 짧을때 화면을 얻는 것을 더 돕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비트들은 데이타 흐름에 있어서 데이타 셋의 시작 부분에 가장 중요치 않은 비트들은 뒤에 있도록 엔트로피 부호화안된 직류 dct 계수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일반적으로 감소된 충실성을 갖는 셔틀 영상이 요구될때, 직류 계수의 가장 중요한 비트들과 몇몇 고가시도 부분들은 복구된 데이타 셋에 대응하는 영상을 재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류 계수들의 6 개 또는 7 개의 가장 중요한 비트들은 데이타 셋에 대응하는 영상을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대단히 짧은 데이타 스트림을 초래하게 된다.
셔틀 모드의 화면에는 재생 영상을 기억하는 프레임 버퍼를 새로와 지게 하는 주파수와 영상을 이루는 새로와진 블럭의 명확도 사이에 트레드오프(tradeoff)가 있다. 즉, 셔틀 화면 동안, 같은 프레임 부분들은 여러 시간에서 테이프로 부터 회수된 블럭들로 새로와 진다. 그러므로, 셔틀 화면은 테이프로 부터온 아주 최근의 정보로 새로와지기를 기다리는 오래된 블럭과 금방 테이프에서 복구된 새로운 블럭의 군들로 이루어진다.
블럭군들이 dct 회로에서 나타나는 순서로 테이프에 기록된 경우, 테이프에서 복구된 소정의 부분적인 데이타에는 매우 작은 수의 완전하게 재구성된 블럭들이 있게 된다. 그러나, 많은 블럭들에 대한 데이타가 주파수 순서화된 것일 경우는 화질이 낮을 지라도 전체 블럭군이 재구성되게 된다. 즉, 섬세도가 좋지 않고 잡음이 있을 수 있다.
dct 계수들은 4 x 8 블럭의 휘도 화소들이 Thomson CSF 에 의해 공급된 Model STV 3200 이산 코사인 변형 회로에 기대되는 4 x 8 계수 어레이로서 입력될때 결과된다. 계수들은 회로로 부터 열방향으로 나온다. 예를 들면, 화소 순위가 행 0. 1 ; 0. 1 ; 0. 2 ... 로 래스터 주사될 경우, 주파수 항들은 열 0.0 ; 1.0 ; 2. 0 ; ... 으로 래스터 주사되 나온다.
dct 계수들은 dct 회로에서 수신되는 순서로 시컨셜 메모리 위치들에 기억된다. 4 x 8 휘도의 15 블럭으로 구성되는 데이타 셋 동안 위치들 M 과, 블럭 b, 및 계수(i, j) 사이의 대응은 다음 순서 M(b, i, j), 즉 0(0, 0, 0) 1(0, 1, 0) 2(0, 2, 0) ... 4(0, 0, 1) ... 8(0, 0, 2) ... 32(1, 0, 0) 33(1, 1, 0) ... 448(14, 0, 0) ... 479(14, 3, 7)로 이루어 진다.
dct 계수들은 출력 흐름의 시작부분엔 낮은 2차원 공간 주파수를 놓고 끝으로 가면서 큰 주파수를 놓는 전반적인 순서화에 따라 같은 15개 2차원 공간 주파수 성분의 군으로 메모리에서 읽힌다. 예를 들면, 읽혀진 제 1 계수들은 (0, 0, 0) (1, 0, 0) (2, 0, 0) (3, 0, 0) ... (14, 0, 0) (0, 0, 1) (1, 0, 1) ... (14, 0, 1)이다. 이들은 가시도 순서화 메모리에 들어갈 15 블럭들의 제 1 직류 부분이다.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다음 군의 15 개 계수는 (b, 0, 1) 계수이다. 이 과정은 15 개 dct 블럭 모두에 대한 모든 계수들이 읽혀질 때까지 계속된다.
제 1 메모리로 부터 마지막 dct 블럭의 마지막 계수를 읽어내고 있는 동안, 메모리 뱅크들의 역활이 뒤바뀐다. 즉 dct 계수로 부터 입력되는 계수들이 제 1 메모리들로 보내지고 가시도 순서화된 데이타 셋들이 제 2 메모리로 부터 읽힌다.
본 발명이 양상상의 공간적인(즉, 이차원적인) 위치에서 취해진 데이타를 선택하고 압축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공간적으로 존재하는 시간(또는 3차원) 위치에서 취해진 데이타를 압축하는데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간 차원의 여분이 있기 때문에, 시간의 차원을 사용하는 압축이 예를들면 3차원 이산 코사인 변형(dct) 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런 장치에서, 3차원 압축 영상 블럭들(일방체)은 다수 프레임 시컨스의 여러 프레임 내부에 있는 같은 위치들에서 취해진 많은 2차원 영상 블럭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 경우, 압축은 3차원 입방체군들로 부터 데이타 셋들을 형성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압축 및 감압 실시예와 영상 배치 및 재구성 시스템 및 당업계의 통상적인 기술 수준을 갖은 자가 본 발명을 만들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거기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한 본 발명은 여러가지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8)

  1. 디지탈 영상 신호를 압축하며 압축된 디지탈 영상 신호를 감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영상 신호를, 각각 소정의 크기를 갖고 영상 신호에 개별 부분을 형성하는 영상 신호로부터의 영상 데이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영상 블럭 층화하는 단계; 영상 신호의 대응부분을 재구성하는데 유용한 다수의 변형 계수를 포함하는 개별 변형 계수 블럭을 얻기 위해 영상 블럭의 각 개별 변형 계수 블럭을 변형하는 단계; 변형 계수 블럭의 다수 변형 계수를 소정의 가시도 순서로 조직하는 단계; 가시도에 따라 순서화된 변형 계수들로부터 순서화된 영상 변형 계수 블럭을 발생하는 단계; 순서화된 변형 계수 블럭을 통신 매질에 소정 크기의 세그먼트로서 제공하는 단계; 순서화된 변형 계수 블럭으로부터의 스내치를 통신 매질에서 회수하는 단계; 및 회수된 변형 계수의 스내치로부터 부분적 영상 신호를 재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압축 및 압축 디지탈 영상신호 감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순서화된 변형 계수 블럭들 각각을 양자화하는 단계와; 양자화된, 다수의 순서화된 변형 계수 블럭들 각각을 소정 크기의 세그먼트로 포맷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단계와 발생단계는: 다수의 변형 계수 블럭을 다중화하는 단계와; 가시도 순서화 정도에 따라서 변형 계수 블럭의 변형 계수들의 순서를 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를 정하는 단계는: 최고 가시도에서 최하 가시도로 변형 계수 블럭의 변형 계수들의 순서를 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를 정하는 단계는: 최하 가시도에서 최고 가시도로 변형 계수 블럭의 변형 계수들의 순서를 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통신 매질로부터 정보의 스내치의 부가적인 수를 회수하고; 그리고 회수된 변형 계수의 스내치의 부가적인 수로부터 부가적인 부분 영상 신호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디지탈 영상 신호를 압축하며 압축된 디지탈 영상 신호를 감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의 개별 부분을 형성하는 영상 신호로 부터의 영상 데이타를 포함하는 소정 크기를 갖는 다수의 영상 블럭으로 층화하는 수단; 영상 신호의 일부분을 재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대응 셋의 변형 계수들을 포함하는 대응 변형 계수 블럭을 얻기 위하여 개별 영상 블럭을 변형하는 수단; 소정의 가시도에 응답해 순서화된 영상 변형 계수 블럭을 발생하는 수단; 순서화된 변형 계수 블럭을 통신 매질에 소정 크기의 세그먼트로서 제공하는 수단; 순서화된 변형 계수 블럭으로부터의 스내치를 통신 매질에서 회수하는 수단; 및 회수된 변형 계수의 스내치로부터 부분적 영상 신호를 재구성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탈 영상신호 압축 및 압축 디지탈 영상신호 감압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수단은: 다수의 변형 계수 블록을 다중화하는 수단과; 가시도 순서에 따라서 변형 계수 블럭의 변형 계수들의 순서를 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디지탈 영상 신호를 압축하며 압축된 디지탈 영상 신호를 감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a)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영상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다수의 영상 블럭들은, 그 영상 블럭에 의해 나타내진 영상 부분을 재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변형 계수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계수 블럭으로 변형하는 단계;
    (c)계수 블럭들의 데이타 셋을 발생하는 단계;
    (d)데이타 셋의 각 계수 블럭 안의 대응 i번째 위치로부터 i번째 변형 계수를 선택하는 단계;
    (e)i번째 변형 계수군안의 각 변형 계수는 데이타 셋의 각 계수 블럭의 i번째 위치에서 위치되는 변형 계수를 포함하는, i번째 변형 계수군을 발생하는 단계;
    (f)계수 블럭들의 데이터 셋을 포함하는 각 계수 블럭안의 각 변형 계수에 대해 단계 (d)와 (e)를 반복하는 단계;
    (g)선택된 변형 계수군에 가시도를 제공함으로써 개별 변형 계수군의 순위를 정하는 단계;
    (h)순서화된 변형 계수 블럭으로부터의 스내치를 회수하는 단계; 및
    (i)회수된 변형 계수의 스내치로부터 부분적 영상 신호를 재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압축 및 압축 디지탈 영상신호 감압 시스템.
  10. 디지탈 영상 신호를 압축하며 압축된 디지탈 영상 신호를 감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영상의 일부분을 각각 나타내는 다수의 영상 블럭들을, 그 영상 블럭에 의해 나타내어진 영상 부분을 재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변형 계수들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계수 블럭으로 변형하는 수단; 계수 블럭의 데이타 셋을 발생하는 수단; 변형 계수군의 각 변형 계수는 데이타 셋의 각 계수 블럭에 있는 개별 위치에 위치된 변형 계수를 포함하는, 각 변형 계수군을 반복 발생하는 수단; 각 선택된 변형 계수군에 가시도를 가함으로써 개별 변형 계수군의 순위를 정하는 수단; 순서화된 변형 계수 블럭으로부터 스내치를 회수하는 수단; 및 회수된 변형 계수의 스내치로부터 부분적 영상 신호를 재구성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압축 및 압축 디지탈 영상신호 감압 시스템.
  11. 부분적 디지탈 영상 신호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스내치는 하나 이상의 순위가 정해진 변형 계수를 포함하고, 각 변형 계수군은 다수의 유사 유효 변형 계수군을 포함하며, 그 다수의 유사 유효 변형 계수는 계수 블럭들의 데이타 셋을 포함하는 다수의 변형 계수 블럭 각각으로부터의 하나의 유사 유효 변형 계수를 포함하고, 변형 계수군은 다수의 상이한 유사 유효 변형 계수군 가운데서 순위가 정해져 있으면, 순서를 정하는 것을 변형 계수 블럭의 변형 계수들에 가해져 있는 가시도에 응답하고 그리고 각 변형 계수 블럭은 변형 계수 블럭의 역변형에 대응하는 영상 블럭에 의해 나타나는 영상의 일부분을 재구성하는데 사용 가능한 변형 계수들을 포함하는, 변형 계수의 스내치를 회수하는 단계; 데이타 셋의 크기와 동일한 다수의 계수 블럭을 발생하는 단계; 각 다수의 변형 블럭이 회수된 스내치로부터의 개별 및 대응 변형 계수들을 제공하는 단계; 영상의 일 부분을 각각 나타내는 대응하는 다수의 영상 블럭을 얻기위해 다수의 발생된 계수 블럭을 역변형하는 단계; 및 다수의 영상 블럭에서 부분적인 영상의 재구성을 발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 디지탈 영상 신호를 재구성하는 방법.
  12. 부분적 디지탈 영상 신호를 재구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스내치는 하나 이상의 순위가 정해진 변형 계수군을 포함하고, 각 변형 계수군은 다수의 유사 유효 변형 계수를 포함하고, 다수의 유사 유효 변형 계수는 계수 블럭들의 데이타 셋을 포함하는 다수의 변형 계수 블럭 각각으로부터의 일 유사 유효 변형 계수를 포함하고, 변형 계수군은 다수의 상이한 유사 유효 변형 계수군 가운데서 순위가 정해져 있으며, 그 순위 정하는 것은 변형 계수 블럭의 변형 계수들에 가해져 있는 가시도에 응답하고 그리고 각 변형 계수 블럭은 변형 계수 블럭의 역변형에 대응하는 영상 블럭에 의해 나타내는 영상의 일부분을 재구성하는데 사용가능한 영상 계수를 포함하는, 변형 계수의 스내치를 회수하는 수단; 데이타 셋의 크기와 같은 다수의 계수 블럭을 발생하는 수단; 각 다수의 계수 블록이 회수된 스내치로부터의 개별 및 대응 변형 계수를 제공하는 수단; 영상의 일부분을 각각 나타내는 대응하는 다수의 영상 블럭을 얻기 위하여 다수의 발생된 계수 블럭을 역변형하는 수단; 및 다수의 영상 블럭으로부터 부분적인 영상 재구성을 발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 디지탈 영상 신호를 재구성하는 시스템.
  13. 자기 테이프 매질 상에 영상 신호로서 기억된 영상을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자기 테이프로 부터 제 1정보 스내치를 회수하는 단계; 그 변형 계수군은 데이타 셋을 포함하는 다수의 변형 계수 블럭 각각으로부터의 가시도가 가해져 있는 변형 계수를 포함하는, 회수된 제 1정보 스내치로부터 순위가 정해진 변형 계수군을 복구하는 단계; 회수된 제 1변형 계수 스내치를 역변형하는 단계; 회수된 제 1변형 계수 스내치를 역변형한 것으로부터, 회수된 영상의 일부분을 각각 나타내고 영상 블럭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영상 부분을 재구성하는데 사용가능한 다수의 영상 화소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영상 블럭을 발생하는 단계; 제 1정보 스내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영상 블럭으로부터 회수된 영상 재구성 중에 부분적 영상을 발생하는 단계; 및 회수된 영상을 테이프상에 배치될 영상과 비교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상에 영상 신호로서 기억된 영상을 배치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에서 제 2정보 스내치를 회수하는 단계와; 제 2정보 스내치 상에서, 제 1정보 스내치 상에서 실행되어진 것과 동일한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매질에 영상 신호로서 기억된 영상을 배치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에서 다른 수의 정보 스내치를 회수하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와; 비교 단계가 회수된 영상과 테이프에 배치될 영상 사이가 일치됨을 보여 자기 테이프에 배치될 영상이 배치되어져 있다고 여겨질 때까지 제 2 스내치상에서 실행되어진 것과 같은 단계를 각 회수된 스내치 상에서 반복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매질에 영상 신호로서 기억된 영상을 배치하는 방법.
  16. 통신 매질에서 영상 신호로서 복구가능한 영상을 통신 매질상에 배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통신 매질에서 제 1정보 스내치를 회수하는 수단; 회수된 제 1정보 스내치로부터 순서가 정해진 변형 계수군을 복구하는 수단으로서, 그 변형 계수군은 데이타 셋을 포함하는 다수의 변형 계수 블럭 각각으로부터의 가시도가 가해져 있는 변형 계수를 포함하는 상기 수단; 회수된 제 1변형 계수 스내치를 역변형하는 수단; 회수된 제 1변형 계수 스내치를 역변형한 것에서 다수의 영상 블럭을 발생하는 수단; 제 1정보 스내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영상 블럭들로부터 회수된 영상의 재구성에서 부분적 영상을 발생하는 수단; 및 회수된 영상을 통신 매질상에 배치되는 영상과 비교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매질에서 영상 신호로서 복구가능한 영상을 통신 매질상에 배치하는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통신 매질로부터 적어도 제 2정보 스내치를 회수하는 회수 수단과; 제 1스내치상에 영상블럭 발생 수단과 부분 재구성 발생 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것과 동일한 기능들을 제 2정보 스내치 상에 반복시키는 반복적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반복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매질에서 영상 신호로서 복구가능한 영상을 통신 매질상에 배치하는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매질은 통신 채널이며, 반복 수단은: 통신 매질로부터 부가적인 수의 정보 스내치를 반복적으로 회수하는 수단과; 비교 수단이 회수된 영상과 통신 채널에 배치될 영상이 일치됨을 보여 통신 개널에 배치될 영상이 배치된 것으로 여겨질 때까지, 제 2스내치상에서 실행되었던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각 회수된 스내치 상에서 반복하는 수단을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매질에서 영상 신호로서 복구 가능한 영상을 통신 매질상에 배치하는 시스템.
KR1019930005895A 1992-04-09 1993-04-08 디지탈영상을압축하고배치하며부분적으로재구성하는방법및시스템 KR100309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531592A 1992-04-09 1992-04-09
US07/865,315 1992-04-09
US07/896,511 1992-06-09
US07/896,511 US5339108A (en) 1992-04-09 1992-06-09 Ordering and formatting coded image data and reconstructing partial images from the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887A KR930022887A (ko) 1993-11-24
KR100309654B1 true KR100309654B1 (ko) 2001-12-15

Family

ID=2712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895A KR100309654B1 (ko) 1992-04-09 1993-04-08 디지탈영상을압축하고배치하며부분적으로재구성하는방법및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39108A (ko)
EP (1) EP0565223A3 (ko)
JP (1) JPH077731A (ko)
KR (1) KR100309654B1 (ko)
MX (1) MX93013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5067B2 (ja) * 1992-11-28 1999-02-10 三星電子株式会社 デジタルvcrの画像記録方法
ATE190793T1 (de) * 1993-06-07 2000-04-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oder aufzeichnung von digitalen fernsehbildern, und vorrichtung zum empfang derselben
US5623195A (en) * 1994-06-22 1997-04-22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voltage of a battery based on battery temperature
US5734677A (en) * 1995-03-15 1998-03-31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Method for compression of loss-tolerant video image data from multiple sources
US5710829A (en) * 1995-04-27 1998-01-20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focused-based image segmentation for video signals
US5610659A (en) * 1995-05-08 1997-03-11 Futuretel, Inc. MPEG encoder that concurrently determines video data encoding format and rate control
AU7947501A (en) * 1996-10-31 2002-01-03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Intelligent video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6185312B1 (en) * 1997-01-28 2001-02-0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ethod for embedding and reading watermark-information in digital form, and apparatus thereof
JPH10341437A (ja) * 1997-06-06 1998-12-22 Canon Inc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H1186014A (ja) * 1997-09-08 1999-03-30 Fujitsu Ltd 文書画像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SE512291C2 (sv) * 1997-09-23 2000-02-28 Ericsson Telefon Ab L M Inbäddad DCT-baserad stillbildskodningsalgoritm
SE9800088D0 (sv) 1997-10-10 1998-01-16 Ericsson Telefon Ab L M Long filter lossless region of interest coding
CN1202623C (zh) * 1998-03-16 2005-05-18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多道信息信号的算术编码/解码
AUPP248298A0 (en) * 1998-03-20 1998-04-23 Canon Kabushiki Kaisha A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encoding and decoding an image
AU731403B2 (en) * 1998-03-20 2001-03-29 Canon Kabushiki Kaisha A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encoding and decoding an image
US6396958B1 (en) * 1998-09-25 2002-05-2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Im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employing compression and error correction
SE9803454L (sv) 1998-10-09 2000-04-10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system för kodning av ROI
US6301368B1 (en) * 1999-01-29 2001-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hiding in compressed fingerprint images
AU6840700A (en) * 1999-08-27 2001-03-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calable coding
US6826232B2 (en) 1999-12-20 2004-11-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ine granular scalable video with embedded DCT coding of the enhancement layer
KR100393756B1 (ko) * 2001-01-15 2003-08-02 (주)엔아이씨티 동영상 압축 파일의 생성방법
US6862149B2 (en) * 2001-06-18 2005-03-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arching for append point in data storage device
US6978414B2 (en) * 2001-07-17 2005-12-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against errors occurring in data storage device buffers
US6883122B2 (en) * 2001-07-31 2005-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rite pass error detection
US7042667B2 (en) * 2001-07-31 2006-05-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storage
US6958873B2 (en) * 2001-07-31 2005-10-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rewrite control in data transfer and storage apparatus
DE10138650A1 (de) * 2001-08-07 2003-02-27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schlüsseln eines diskreten Signals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tschlüsselung
US7130864B2 (en) * 2001-10-31 2006-10-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 collection of images in a database
GB2383219A (en) * 2001-12-13 2003-06-18 Sony Uk Ltd Marking material using a two part watermark
US7379505B2 (en) * 2003-02-13 2008-05-2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rellis coded modulation of signals for transmission on a TDMA channel of a cable network
KR100618883B1 (ko) * 2005-02-02 2006-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8244051B2 (en) * 2006-03-15 2012-08-14 Microsoft Corporation Efficient encoding of alternative graphic sets
US20080175442A1 (en) * 2007-01-22 2008-07-24 Dennis Megarry Method of displaying graphic images
US8504547B1 (en) * 2008-04-23 2013-08-06 Google Inc. Customizing image search for user attributes
US20100277612A1 (en) * 2009-05-01 2010-11-04 Michael Ryan Weber Memory management in an image storage device
KR20130050149A (ko) 2011-11-07 2013-05-15 오수미 인터 모드에서의 예측 블록 생성 방법
US8934762B2 (en) * 2011-12-09 2015-01-13 Advanced Micro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ltering video playback speed
CN105989352B (zh) * 2015-03-06 2019-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图像识别加速器、终端设备及图像识别方法
JP6575694B2 (ja) * 2016-12-16 2019-09-18 三菱電機株式会社 検索システム
US10818314B1 (en) 2019-05-07 2020-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oring multiple instances of a housekeeping data set on a magnetic recording tape
EP4169256A4 (en) * 2020-06-23 2024-05-22 Ssimwave Inc SCALING FACTOR DETECTION FOR COMPRESSED IMAGES AND VIDEOS
CN115357742B (zh) * 2022-08-02 2023-06-30 广州市玄武无线科技股份有限公司 门店图像查重方法、系统、终端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5270A (en) * 1970-03-27 1979-11-20 Zenzefilis George 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US3795763A (en) * 1972-04-18 1974-03-05 Communications Satellite Corp Digital television transmission system
US3803348A (en) * 1973-01-22 1974-04-09 Bell Telephone Lab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color video signals
FR2305905A1 (fr) * 1975-03-28 1976-10-22 Thomson Brandt Procede de compression-extension d'un signal de television, enregistrements et appareils utilisant ce procede
US4023199A (en) * 1976-03-09 1977-05-1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color video signals
US4025950A (en) * 1976-05-27 1977-05-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Sampling video compression system
GB1597484A (en) * 1977-03-21 1981-09-09 Rca Corp Television picture compressor
US4394774A (en) * 1978-12-15 1983-07-19 Compression Labs, Inc. Digital video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s utilizing scene adaptive coding with rate buffer feedback
US4302775A (en) * 1978-12-15 1981-11-24 Compression Labs, Inc. Digital video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s utilizing scene adaptive coding with rate buffer feedback
US4383272A (en) * 1981-04-13 1983-05-1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Video signal interpolation using motion estimation
GB2103455A (en) * 1981-07-22 1983-02-16 Post Office Method of transmitting an image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4541012A (en) * 1982-01-04 1985-09-10 Compression Labs, Inc. Video bandwidth reduction system employing interframe block differencing and transform domain coding
US4494144A (en) * 1982-06-28 1985-01-15 At&T Bell Laboratories Reduced bandwidth video transmission
US4580134A (en) * 1982-11-16 1986-04-01 Real Time Design, Inc. Color video system using data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DE3483335D1 (de) * 1983-03-18 1990-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deosignalverarbeitungseinrichtung fuer videobandaufzeichnungsgeraete.
US4682248A (en) * 1983-04-19 1987-07-21 Compusonics Video Corporation Audio and video digital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
DE3340113A1 (de) * 1983-11-05 1985-05-1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ystem zur speicherung digital codierter signale auf magnetband
US4654696A (en) * 1985-04-09 1987-03-31 Grass Valley Group, Inc. Video signal format
JPS61271625A (ja) * 1985-05-27 1986-12-01 Hitachi Ltd デイジタルダビング方法
FR2582893B1 (fr) * 1985-06-04 1987-07-17 France Etat Circuit d'elaboration des signaux analogiques de couleurs primaires d'un signal de television a partir de ses composantes numeriques de luminance et de chrominance.
US4626829A (en) * 1985-08-19 1986-12-02 Intelligent Storage Inc. Data compression using run length encoding and statistical encoding
US4797741A (en) * 1985-08-28 1989-01-10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JPS62195982A (ja) * 1986-02-24 1987-08-29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カラ−画像デ−タの圧縮方法及びその再生方法
US4802003A (en) * 1986-02-28 1989-01-31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pictur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GB2190560B (en) * 1986-05-08 1990-06-20 Gen Electric Plc Data compression
US4679094A (en) * 1986-10-14 1987-07-07 The Associated Press Method for compression and transmission of video information
US4740832A (en) * 1986-10-14 1988-04-26 Technology, Inc., 64 Image storage using separately scanned luminance and chrominance variables
US4862167A (en) * 1987-02-24 1989-08-29 Hayes Microcomputer Products, Inc. Adaptive data compression method and apparatus
US4758881A (en) * 1987-06-02 1988-07-19 Eastman Kodak Company Still video frame store memory
US4774562A (en) * 1987-06-02 1988-09-27 Eastman Kodak Company Image transmission system with preview mode
US4764805A (en) * 1987-06-02 1988-08-16 Eastman Kodak Company Image transmission system with line averaging preview mode using two-pass block-edge interpolation
US4868653A (en) * 1987-10-05 1989-09-19 Intel Corporation Adaptive digital video compression system
US4857991A (en) * 1988-04-27 1989-08-15 Universal Video Communications Corp. Method and system for decompressing color video feature encoded data
US4847677A (en) * 1988-04-27 1989-07-11 Universal Video Communications Corp. Video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digital color video data
US4849807A (en) * 1988-04-27 1989-07-18 Universal Video Communications Corp. Method and system for compressing color video feature encoded data
US4821119A (en) * 1988-05-04 1989-04-11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bit-rate interframe video coding
US5136391A (en) * 1988-11-02 1992-08-04 Sanyo Electric Co., Ltd. Digital video tape recorder capable of accurate image reproduction during high speed tape motion
JPH02226886A (ja) * 1989-02-28 1990-09-10 Sony Corp データ伝送装置及び伝送方法
DE3925663A1 (de) * 1989-08-03 1991-02-07 Thomson Brandt Gmbh Digitales signalverarbeitungssystem
US4974078A (en) * 1989-11-13 1990-11-27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compression method and system with improved coding efficiency
FR2660139B1 (fr) * 1990-03-23 1995-08-25 France Etat Procede de codage et de transmission a au moins deux niveaux de qualite d'images numeriques appartenant a une sequence d'images, et dispositifs correspondants.
US5001561A (en) * 1990-05-02 1991-03-19 At&T Bell Laboratories Embedded coding system for video signals
GB2252001B (en) * 1991-01-11 1995-01-04 Sony Broadcast & Communication Storage of video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301395A (es) 1994-07-29
EP0565223A2 (en) 1993-10-13
JPH077731A (ja) 1995-01-10
EP0565223A3 (en) 1993-11-10
US5339108A (en) 1994-08-16
KR930022887A (ko) 199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654B1 (ko) 디지탈영상을압축하고배치하며부분적으로재구성하는방법및시스템
JP3283897B2 (ja) データの配置転換方法および装置
US6006276A (en) Enhanced video data compression in intelligent video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960002393B1 (ko)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
US5329360A (en)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image data
JPH02162980A (ja) フレーム化回路及び方法
US20020012397A1 (en) Encoding circuit for transform coding of a picture signal and decoding circuit for decoding said signal
JPH0983951A (ja) 画像符号化記録再生装置
US5845041A (en)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high efficiency encoding
EP0881831B1 (en)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DE69833775T2 (de) Formatierung von kodierten videosignalen
EP055365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compressed digital image signals
JPH0759058A (ja) ディジタル画像信号伝送装置
KR0137736B1 (ko) 디지틀 영상신호의 처리장치
EP0827347A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digital image information
KR100302027B1 (ko) 최소하나의테이프헤드를가진디지탈비디오레코더및이레코더를이용한화상데이타기록방법
JP3285220B2 (ja) デジタル形式で画像信号を伝送する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US5841937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compressed digital data from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JP3133878B2 (ja) 高速画像再生に適したデジタル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テープ上のデータ配置技術
US5384670A (en) Digital data apparatus for providing spatial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of compressed data to be recorded and reproduced
JP3207739B2 (ja) 画像再生装置
KR20010083459A (ko) 다채널 영상 인코딩 시스템 및 다채널 인코딩용 메모리운영방법
WO1999056461A1 (en) Video compression in information system
KR0155716B1 (ko) 디지탈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JP2998631B2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