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295B1 - 화재차단설비 - Google Patents

화재차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295B1
KR100309295B1 KR1019930015119A KR930015119A KR100309295B1 KR 100309295 B1 KR100309295 B1 KR 100309295B1 KR 1019930015119 A KR1019930015119 A KR 1019930015119A KR 930015119 A KR930015119 A KR 930015119A KR 100309295 B1 KR100309295 B1 KR 100309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plate
plate element
adjacent
stop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모마라넨
킴모리트바넨
아르보레세넨
오우티시보넨
Original Assignee
에로 메킨넨, 타비 소이닌바라
크바에르너 마사-야아드스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로 메킨넨, 타비 소이닌바라, 크바에르너 마사-야아드스 오이 filed Critical 에로 메킨넨, 타비 소이닌바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24F11/35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by closing air pass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65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741With common operator
    • Y10T137/87442Rotary valve
    • Y10T137/87467Axes of rotation parallel
    • Y10T137/87475Adjacent plate valves always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Special W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Air Suppl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상호간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편평한 화재판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판요소는 그들 사이에 기체유통경로가 형성되는 유통허용 개방위치로부터, 그 화재판요소 들이 폐쇄된 벽을 함께 형성하게 되는 폐쇄위치로 회동축들의 주위에서 각각 회동가능한 화재차단설비이다.
화재판요소의 폐쇄위치에서, 인접한 화재판요소의 대향하는 모서리에 인접한 각 화재판요소의 한 모서리에만 폐쇄요소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폐쇄요소는, 인접한 화재판요소의 모서리영역에 중첩되어 인접한 화재판요소의 그 모서리영역의 면에 평행하게 놓이게 되는 편평면부 및 이 평편면부와 수직을 이루며 인접한 모서리면의 앞쪽으로 연장되고 인접한 화재판요소들 사이에 큰 간격이 형성되지 않은 채로 인접한 화재판요소의 비틀림을 허용하는 폐쇄상태를 형성하는 횡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차단설비
본 발명은 상호간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각각 평행한 축주위에서 회동가능한 다수개의 편평한 화재판요소를 포함하는 화재차단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환기덕트에는, 화재시에 화재가 난 구역을 선박의 다른 구역과 분리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화재차단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환기 덕트의 단면적은 약 2평방미터이며, 화재판요소는 이러한 면적의 전체를 밀폐시킬 수 있어야 한다. 화재차단설비로서 인정되려면 1시간동안 화재시의 온도에 해당하는 온도를 이겨낼 수 있는 밀폐된 화재차단설비의 한 측면에서 화재시험이 행해진다.
화재시험동안에 일어나는 열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화재차단설비 요소의 변형을 일으키며, 그 변형에 의하여 요소들의 사이에 용납될 수 없는 긴 홈이 용이하게 발생하고 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에 잘 견디고, 매우 강한 열응력이라도 밀폐된 화재차단설비 내에 어떠한 홈도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 화재차단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차단설비는 상호간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호간에 평행한 축의 주위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화재판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응력에 의하여 야기되는 변형은, 통상의 화재판요소가 인접한 화재판 요소와 접촉하게 되는 폐쇄위치에 있는 판의 모서리영역에서 발생한다. 부가적으로, 열응력에 의하여 야기되는 변형은 통상 화재판요소의 면에 수직방향으로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는 화재판요소의 한쪽 모서리에 화재판요소의 면과 수직인 횡단부가 마련되며, 인접한 화재판요소의 모서리영역의 주된 변형이 횡단부의 면방향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인접한 화재판요소와 횡단부사이에서 긴 홈이 증가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그 구성에 근거하여 열응력에 의해 야기된 변형이 홈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원리에 의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법은, 그의 한쪽 부분은 상기 횡단부와 같이 기능하고, 다른 부분은 화재판요소의 면과 평행한 L자형 강판 등의 프로파일요소가 화재판요소의 한쪽 모서리에 용접되는 단순한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와같은 방식의 L자형 강판의 사용은 비용 면에 있어서 장점을 가지는 해결방법이다. 선택적으로 화재판요소의 모서리부를 구부림에 의해 횡단부와 화재판요소에 평행한 부분을 가지는 구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화재판요소는 하나의 부재로서 제조될 수 있으며 별도의 모서리부를 그것에 용접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류의 화재판요소의 모서리영역을 구부리려면, 매우 비싼 판금장치를 필요로 하는데, 화재판요소의 재료두께가 전형적으로는 약 5mm이기 때문이다.
횡단부는 화재판요소의 개방위치에서는 사소한 불편을 야기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화재판요소의 개방부의 자유로운 유통영역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만약 화재판요소의 횡단부의 치수가 감소될 수 있어, 판요소의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화재판요소의 회동축의 위치에 있는 축구성부의 대응치수를 초과하지않게 된다면, 화재판요소의 횡단부는 그 자체로 화재판요소의 개구의 유통영역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화재판요소에 대한 회동축은 각 화재판요소의 중앙영역 내에 위치된다. 그에 의하여 균형 잡힌 화재판요소가 만들어지며,그를 통하여 공기가 흐르는 화재판요소의 개구는, 예를 들어 화재판요소를 회동시키는 힘이 형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공기흐름은 화재판요소의 밀폐에 대항하게 된다.
열응력에 의해 야기된 화재판요소의 변형을 충분히 작게 억제하기 위하여는, 화재판요소의 크기가 제한되어야 한다. 실제적으로 매우 폭이 넓은 화재판요소는 회피되어야 함이 입증되었으며, 그에 따라 화재판요소는 그의 회동축사이의 간격이 최대한 30cm, 바람직하게는 20cm가 되도록 충분히 작은 것이 가장 유리하게 제조되는 것이다.
화재차단설비의 내화성에 있어서, 화재판요소를 둘러싸는 구성 내에서 해로운 변형이 피해질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회동가능한 화재판요소의 주위에 구성되는 프레임은 단단해야하며 변형이 없어야 한다. 만약 프레임이 화재판요소의 개구의 흐름방향으로 넓게 구성되어 그의 크기가 화재판요소의 회동측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면 그와 같이 단단한 종류의 프레임이 만들어질 수 있다. 프레임은 U자형 프로파일부재의 외부 하부면이 화재판요소의 개구를 향하여 모든 쪽으로 구부러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화재판요소가 회동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하여는 화재판요소의 끝단에 축과 같은 것을 필요로 하지만, 예를 들면 화재판요소를 보다 강하게 만들기 위하여 화재판요소의 길이방향 축의 위치에 구부러진 영역 등을 형성함으로써 화재판요소의 축사이의 부분이 보다 단단해질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는 화재판요소와 프레임의 벽이 두께는 5mm 정도면충분하다.
안전을 위하여, 화재판요소에는 그와 결합된 작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외부 에너지원에 독립적인 스프링력 등에 의해 폐쇄위치로 화재판요소를 회동시킨다. 화재판요소의 폐쇄위치에 있어서, 폐쇄위치를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한 힘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설비의 결과로 화재차단설비가 자동적으로 폐쇄위치를 취하여, 주위의 화재진압이 실패한 경우에도 밀착되어 폐쇄된 채로 유지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회동가능한 화재판요소를 나타내며, 부호(2)는 그의 축을 나타낸다. 화재판요소(1)는 축(2)에 의해 U자형 프로파일부재(4)로 만들어지는 프레임(3)에 회동가능하도록 접속된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나타낸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15)로 화재판요소(1)가 회동하는 동작을 화살표(5)로 나타내었다. 화재판요소의 축(2)은 화재판요소의 중앙부 내의 구부린 부분(6)에 화재판요소의 끝단과 용접된다.
화재판요소의 한쪽 모서리에는 평편면부(7a) 및 횡단부(7b)를 포함하는 L자형 폐쇄요소(7)가 고정된다. 화재판요소의 상부 및 하부에 있어서, 프레임(3)에 용접된 평편면부(3a)는 L자형 폐쇄요소(7)의 평편면부(7a)에 대응하고, 프레임의 횡단부(3b)는 L자형 폐쇄요소(7)의 횡단부(7b)에 대응한다. 최하단의 화재판요소(도시않됨)에 있어서는, 폐쇄요소(7) 등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않는다.
화재차단설비의 한쪽에서의 온도가 극히 높은 경우에, 화재판요소(1)는 열에 의하여 구부려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특히 폐쇄요소를 가지지 않는 화재판요소의 끝단에서 변형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L자형 폐쇄요소(7)의 횡단부(7b)의 면방향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화재판요소(1)의 모서리영역과 횡단부(7b) 사이에 있는 약 2mm의 홈(8)의 크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다. 따라서 화재판요소와 L자형 폐쇄요소의 평편면부(7a) 사이의 공간이 증가하여도, 횡단부(7b)의 외부모서리의 바깥쪽으로 화재판요소의 모서리영역이 구부러지지 않는다는 가정과 동일하게 홈(8)의 크기에 변함이 없게 되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이것은 횡단부(7b)가 비교적 짧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다.
매우 긴 화재판요소 사이의 폐쇄구조 내에 횡단부(7b)를 만드는 것은 효과가 없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며, 다시 말해서 화재판요소의 개방위치(15) 내에서 유통개구를 감소시킬 수 있다. 횡단부(7b)의 전체 길이가 화재판요소의 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구부러진 영역(6)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횡단부는 통과 개구가 작아지게 되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 1 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 화재판요소(1)의 회동축(2)은 화재판요소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화재판요소가 균형을 유지한다.
화재차단설비의 프레임(3)은 화재판요소의 회동축 사이의 간격 A 보다 넓은 화재판요소 입구의 관통방향 내에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약 20cm이다. 이 경우에 프레임은 특히 강고하게 되며 화재차단설비의 운송 또한 용이하고, 회동가능한 화재판요소는 프레임의 밖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그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은 복잡하지 않은 구성이다. 이는 완전히 U자형 프로파일부재로 만들어지며, 그의 외부 하부면은 안쪽으로 구부러지고, 다시 말해 화재판요소에 의하여 폐쇄되는 개구를 향해 구부러진다. 화재판요소 및 프레임의 벽의 두께는 5mm이다.
제 2 도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재판요소(1)를 구부림으로써 횡단부가 만들어지는, 화재판요소 사이의 선택적인 폐쇄설비를 나타낸다.
제 3 도는 화재판요소의 작동시스템을 나타낸다. 화재판요소는 베어링 하우징(9)에 회동가능하도록 접속되며, 회동레버(10)는 화재판요소의 회동축(2)에 고정된다.
이들은 공통의 작동막대(11)에 회동가능하도록 접속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또한 화살표(12)와 평행한, 예를 들면 전자 솔레노이드장치 등에 의해 이루어진 개방 유지력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살표(13)의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예를 들면 압축스프링(14)의 힘이 작용하며, 이는 개방 유지력이 제거되거나 또는 솔레노이드장치 등에 의하여 제공된 개방 유지력이 사라지는 외부 에너지계의 방해 등이 있는 경우에 화재차단설비를 자동적으로 폐쇄한다. 압축스프링(14)은 화재차단설비의 폐쇄위치에 있게 되어, 폐쇄위치를 강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차단설비의 상부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제 2 도는 제 1 도에 다른 화재차단설비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 3 도는 제 1 도에 다른 화재차단설비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화재판요소 2 : 회동축
3 : 프레임 3a : 평편면부
3b : 횡단부 4 : 프로파일부재
6 : 구부린 부분 7 : L자형 폐쇄요소
7a : 평편면부 7b : 횡단부
8 : 홈 10 : 회동레버
14 : 압축스프링 15 ; 개방위치

Claims (11)

  1. 상호간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편평한 화재판요소(1)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판요소(1)는 그들 사이에 기체유통경로가 형성되는 유통허용 개방위치로부터, 그 화재판요소(1) 들이 폐쇄된 벽을 함께 형성하게 되는 폐쇄위치로 회동축(2) 들의 주위에서 각각 회동가능한 화재차단설비에 있어서,
    화재판요소의 폐쇄위치에서, 인접한 화재판요소의 대향하는 모서리에 인접한 각 화재판요소(1)의 한 모서리에만 폐쇄요소(7)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폐쇄요소(7)는, 인접한 화재판요소의 모서리영역에 중첩되어 인접한 화재판요소의 그 모서리영역의 면에 평행하게 놓이게 되는 편평면부(7a) 및 이 평편면부(7a)와 수직을 이루며 인접한 모서리면의 앞쪽으로 연장되고 인접한 화재판요소들 사이에 큰 간격이 형성되지 않은 채로 인접한 화재판요소의 비틀림을 허용하는 폐쇄상태를 형성하는 횡단부(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차단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폐쇄요소는 화재판요소의 모서리에 용접된 L자형 강판 등의 프로파일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재차단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폐쇄요소는 화재판요소의 모서리영역을 구부림으로써 마련되는 화재차단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화재판요소의 평면에 수직인 횡단부의 크기는 화재판요소에 대한 회동축의 위치에 위치하는 축구조의 해당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화재차단설비.
  5. 제 1 항에 있어서, 화재판요소의 회동축은 각 화재판요소의 중앙영역에 위치되는 화재차단설비.
  6. 제 1 항에 있어서, 화재판요소의 회동축 사이의 간격은 최대한 30㎝, 바람직하게는 20㎝인 화재차단설비.
  7. 제 1 항에 있어서, 화재판요소의 회동축은 강고한 구조의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며, 유통방향에서의 폭이 화재판요소의 회동축 사이의 간격보다 큰 화재차단설비.
  8. 제 7 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U자형 프로파일부재로 만들어지며, U자형 프로파일부재의 외부 아래면은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화재차단설비.
  9. 제 7 항에 있어서, 화재판요소 및 프레임의 벽 두께는 약 5mm인 화재차단설비.
  10. 제 1 항에 있어서, 화재판요소의 끝단에는 축이 있으며, 그의 사이에는 화재판요소를 보다 강하게 하기 위한 구부러진 영역등이 있는 화재차단설비.
  11.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시스템은 화재판요소에 접속되며, 외부 에너지원과 독립적인 스프링의 힘과 같은 힘에 의하여 폐쇄된 위치로 화재판요소가 회동함으로써 화재판요소의 폐쇄위치에서 이 폐쇄위치를 유지하는 힘이 그들에 작용하는 화재차단설비.
KR1019930015119A 1992-08-12 1993-08-04 화재차단설비 KR100309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23601 1992-08-12
FI923601A FI92372C (fi) 1992-08-12 1992-08-12 Palopeltijärjestelm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9295B1 true KR100309295B1 (ko) 2002-03-21

Family

ID=853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119A KR100309295B1 (ko) 1992-08-12 1993-08-04 화재차단설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425673A (ko)
EP (1) EP0583156B1 (ko)
JP (1) JP3445319B2 (ko)
KR (1) KR100309295B1 (ko)
DE (1) DE69302777T2 (ko)
DK (1) DK0583156T3 (ko)
ES (1) ES2089730T3 (ko)
FI (1) FI92372C (ko)
GR (1) GR3020398T3 (ko)
HR (1) HRP931092B1 (ko)
NO (1) NO18040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1542C2 (sv) * 1994-04-25 1995-03-13 Flaekt Ab Ram för brandspjäll
US5674125A (en) * 1995-01-24 1997-10-07 American Standard Inc. Fresh air flow modulation device
US6019679A (en) * 1998-11-09 2000-02-01 Lloyd Industries Fire and smoke damper
DE10104923C1 (de) * 2001-01-25 2002-10-02 Lta Lufttechnische Komponenten Brandschutzklappe für Lüftungssysteme
US6746325B2 (en) 2002-02-06 2004-06-08 Genlyte Thomas Group Llc Heat distorting support clip for air handling luminaire
DE202005001075U1 (de) * 2005-01-21 2006-06-01 Reuter, Martin Automatisch schliessender Öffnungsverschluss
US8057077B2 (en) * 2005-12-23 2011-11-15 Canlyte Inc. Support device
US7673430B1 (en) 2006-08-10 2010-03-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essed wall-wash staggered mounting system
TW201001141A (en) * 2008-06-25 2010-01-01 Micro Star Int Co Ltd Wind guiding structure
GB0821447D0 (en) * 2008-11-25 2008-12-31 Coxon Christopher J A pressure relief vent
WO2011009212A1 (en) 2009-07-21 2011-01-27 Magna International Inc. Carrier with integrated ducting
US8807166B2 (en) * 2011-06-03 2014-08-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 aero shutters
DE102011089265A1 (de) * 2011-12-20 2013-06-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uftzufuhreinstellvorrichtung
US8872361B2 (en) 2012-01-25 2014-10-28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Standby generators including compressed fiberglass components
US9625174B2 (en) * 2014-03-25 2017-04-18 Ruskin Company Air control damper with retracting end blade stop
US10222089B2 (en) * 2014-10-28 2019-03-05 T.A. Morrison & Co. Inc. Damper with integrated blade stop
GB2534877B (en) * 2015-02-02 2020-12-23 Flamgard Engineering Ltd Fire damper assemblies
LT3061503T (lt) * 2015-02-27 2019-01-25 Grempco S.A. Priešgaisrinė sklendė
CN105257835A (zh) * 2015-10-29 2016-01-20 浙江浩龙风机有限公司 一种高气密高耐火防火阀
CN106730500B (zh) * 2016-11-22 2020-01-03 上海化工研究院有限公司 集尘排气管路中无动力源自锁式紧急泄压与隔离阻火装置
WO2020236970A1 (en) * 2019-05-20 2020-11-26 Capital Hardware Supply, Llc. Method for producing an airduct damper, damper unit with such a damper, and ductwork with a damper unit having such a damper
US11591977B2 (en) 2020-06-03 2023-02-28 Briggs & Stratton, Llc Inverter generator
US11705779B2 (en) 2020-06-03 2023-07-18 Briggs & Stratton, Llc Inverter generator
FI20215413A1 (en) 2021-04-07 2022-10-08 Vg Innovations S A R L PRESSURE VALVE
CN113375257A (zh) * 2021-04-28 2021-09-10 吴芳 清净场所防烟扩散系统及方法
CN114204431B (zh) * 2021-12-10 2022-07-08 浙江浙恒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组合式交流低压动力配电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5453A (en) * 1955-02-21 1957-09-10 Jaloseal Inc Jalousie louver weatherstripping
US3260018A (en) * 1964-02-26 1966-07-12 Wilmer R Schuh Door closing mechanism
US3360018A (en) * 1965-07-29 1967-12-26 Data Control Systems Inc Lead wire shaping tool
US3447443A (en) * 1967-10-16 1969-06-03 Modine Mfg Co Damper assembly
GB1200980A (en) * 1968-09-20 1970-08-05 Frederick William Pantlan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ire dampers
US3530783A (en) * 1969-01-13 1970-09-29 Honeywell Inc Damper apparatus and mounting clip to hold an inflatable sealing member
JPS4637074Y1 (ko) * 1969-06-06 1971-12-21
GB1393873A (en) * 1971-06-02 1975-05-14 Colt International Ventilators
US3793932A (en) * 1972-03-30 1974-02-26 Air Balance Air damper
CH630167A5 (de) * 1978-04-24 1982-05-28 Sulzer Ag Absperrorgan fuer einen kanal, insbesondere einen lueftungskanal.
NO812504L (no) * 1980-07-26 1982-01-27 Lovegrove A M Brannslukningsanordning.
CA1165661A (en) * 1981-05-15 1984-04-17 James R. Tatum Damper blade actuating mechanism
FR2508145B1 (fr) * 1981-06-19 1986-03-21 Souchier Georges Dispositif d'evacuation des fumees et d'aeration, notamment pour locaux industriels ou recevant du public
GB2112282B (en) * 1981-11-06 1985-07-31 K G Smoke Dispersal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re-safety systems
US4432272A (en) * 1982-11-29 1984-02-21 Ruskin Manufacturing Company Motor operated fire damper
IE832892L (en) * 1983-12-09 1985-06-09 Frances Malachy Loughran Fire and smoke damper.
US4766807A (en) * 1987-08-27 1988-08-30 American Standard Inc. Damper blade seal
GB9011353D0 (en) * 1990-05-21 1990-07-11 Motorised Air Products Limited Smoke and fire da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89730T3 (es) 1996-10-01
DE69302777T2 (de) 1996-09-26
US5425673A (en) 1995-06-20
EP0583156A1 (en) 1994-02-16
DK0583156T3 (da) 1996-10-07
FI92372B (fi) 1994-07-29
FI92372C (fi) 1998-02-10
HRP931092B1 (en) 1999-02-28
NO932853L (no) 1994-02-14
NO180408C (no) 1997-04-16
FI923601A (fi) 1994-02-13
JPH06210014A (ja) 1994-08-02
DE69302777D1 (de) 1996-06-27
GR3020398T3 (en) 1996-09-30
NO932853D0 (no) 1993-08-11
JP3445319B2 (ja) 2003-09-08
NO180408B (no) 1997-01-06
HRP931092A2 (en) 1995-06-30
EP0583156B1 (en) 1996-05-22
FI923601A0 (fi) 199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295B1 (ko) 화재차단설비
US4184288A (en) Smoke and fire shield damper
CA1304651C (en) Gas flow diverter
CN108568319B (zh) 环境试验装置
US6019679A (en) Fire and smoke damper
US7095606B2 (en) Electric switchgear with an enclosed design
US20080264405A1 (en) Fire damper
US4638788A (en) Device for mounting a glass pane on an oven door
EP0383185A1 (en) Louver dampers for use in gas turbines exhaust systems and having blades protected against becoming warped
KR20110053242A (ko) 승강도어
EP1838999B1 (en) Smoke damper
JP2018169213A (ja) 環境試験装置
GB1597503A (en) Damper having smoke sealing means
KR0141584B1 (ko) 열팽창력을 수용하는 블레이드 시일 수단을 지닌 기요틴 댐퍼
FI98472C (fi) Häiriösuojatun tilan oven lukitusmekanismi
CN212960011U (zh) 一种防火导向止回阀
KR102547529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용 블레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연댐퍼
JP7374324B2 (ja) 室内機
JP3051158B2 (ja) 空気調和機のダンパ開閉装置
KR840002214Y1 (ko) 선박용 문의 밀폐장치
JPS6096850A (ja) 防火機能を有する空調ダンパ−
KR101537101B1 (ko) 블레이드 댐퍼
JPS6410577B2 (ko)
KR20220105830A (ko) 도어장치
KR200462525Y1 (ko) 에어밀폐버블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