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034B1 -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휠의 혼스위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휠의 혼스위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034B1
KR100309034B1 KR1019990025151A KR19990025151A KR100309034B1 KR 100309034 B1 KR100309034 B1 KR 100309034B1 KR 1019990025151 A KR1019990025151 A KR 1019990025151A KR 19990025151 A KR19990025151 A KR 19990025151A KR 100309034 B1 KR100309034 B1 KR 100309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lower switch
airba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4472A (ko
Inventor
김태한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9002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0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04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9/00Impact wrenches or screw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 휠의 혼스위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상,하 스위치판이 커버에 직접 설치되어 온도변화에 따라 커버가 수축되거나 팽창되어 커버가 변형되면 상,하 스위치판의 구리판 접점이 서로 닿게되어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다수개의 돌기(221)가 돌설된 수납홈부(220)가 형성되고, 일측에 체결공(210)이 형성된 플레이트(200)와 상기 플레이트(200)의 수납홈부 (220)에 돌설된 돌기(221)위로 상치되어 누름에 따라 음을 발생시키는 상,하 스위치판(300a)(300b)과 상기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체결공(210)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는 체결핀(110)이 내면으로 돌설된 에어백 커버(1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 스위치판(300a)(300b)이 커버(100)에 직접 설치되지 않고, 별도의 플레이트(200)에 얹혀진후 상기 플레이트(200)와 커버(100)와 결합되므로 온도변화에 따라 커버(100)가 수축 팽창되어 변형되더라도 상,하 스위치판 (300a)(300b)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않아 상,하 스위치판(300a)(300b)의 접점이 서로 닿을 염려가 없어 혼음이 발생될 우려가 전혀없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 휠의 혼스위치 설치구조{Setting structure of horn switch for steering which has air-bag}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 휠에 혼스위치를 설치시 에어백 커버(이하 커버라 칭함)에 혼음을 발생시키는 스위치판이 직접 설치되지 않도록 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커버의 수축 팽창으로 인하여 커버가 변형되더라도 스위치판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않아 스위치가 오동작되지 않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심어줄수 있는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 휠의 혼스위치 설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 휠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자는 앞바퀴가 어떤 움직임을 하고 있는가를 조향휠로 부터 감지하고, 타이어의 그립을 감지하면서 코너링을 행하는 것인데, 다시말하면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서는 손에 핸들반응이 느껴지지 않게되고, 험한길에서는 타이어로 부터 핸들에 킥백이 되돌아 온다.
상기에서와 같이 조향 휠은 차에 있어서 중요한 부품의 하나로서, 운전자의 뜻을 조향기구로 전달해서 차를 의도하는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기능면에 있어서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점은 충돌사고시 운전자가 받는 상해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에너지 흡수가 좋은 구조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의 조향 휠은 림, 스포크 및 허브가 일체로 구성되고, 위급상황시 차량의 진행중임을 상대방에 알려주어 불의의 교통사고를 알려주기 위한 혼의 조작기구를 갖추고 있으며, 이밖에도 오토크루즈콘트롤, 라디오콘트롤, 공조콘트롤 등의 스위치가 설치되기도 하며, 근래에는 차종에 따라 에어백이 설치된다.
상기의 혼은 휘명원 따른 방법, 전기식(직류용, 교류용),공기식 및 형상에 따른 방법, 평형, 소형돌이형, 통형이 쓰이고 있으며, 그밖에도 반도체 소자의 발진회로를 이용한 트랜지스터식 전기 경음기, 압전 진동자와 발진회로를 짜맞춘 압전식 경보기, 공기식으로는 승용차에 간편하게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콤프레이서 장착 에어폰등이 있다.
현재 가장 보급도가 높은 것은 전기식 평형폰이며, 표준화, 통일화가 진척되어ψ80 - ψ90 의 외경품을 중심으로 되어 있으나 다만 공기식도 대형버스, 트럭에는 특징있는 여운과 큰 음량을 좋아하여 변함없이 애용되고 있다.
상기의 전기식 평형폰은 다이어프램과 이에 한몸으로 구성된 레조네이터를 아마추어와 코어와의 충격에 따라서 발음시켜 복사시키는 형식의 것으로서 통형, 소형돌이형과 비교하여 다이어프램에 의한 기초음 외에 레조네이터의 특정된 높은 주파수의 공진음이 덧붙여지기 때문에 날카로운 음색으로 됨과 함께 지향성이 있으며, 소형돌이형에 비하여 효율이 높고, 같은 음압이라면 소형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에어백이 내장되는 조향 휠의 혼스위치 경우에는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비교적 사이즈가 얇은 멤브레인스위치를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커버(10)의 내면에는 체결핀(20)이 돌설되어 있어 상기 체결핀 (20)에 의해 상,하 스위치판(30a)(30b)이 커버(10)에 직접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내면에는 다수개의 돌기(11)가 형성되어 있어 커버(10)를 살짝 누르게 되면 상기 커버(10)가 하향으로 처지면서 상기 커버(10)에 형성된 돌기(11)가 커버(10)와 함께 하향으로 처지면서 상 스위치판(30a)을 누름에 따라 상 스위치판(30a)의 접점이 하 스위치판(30b)의 접점과 서로 닿게 되므로서 혼음이 발생하게 되는 구조이나 이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즉, 날씨가 덥거나 추워지는등 온도가 변화게 되면 커버(10)가 수축되거나 팽창하게 되면서 커버(10)가 휘어지는등 변형되는데, 이때 상기 커버(10)에는 상,하 스위치판(30a)(30b)이 직접 커버(1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운전자가 커버(10)를 눌러 주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커버(10)의 변형됨에 따라 상,하 스위치판 (30a)(30b)이 유동되면서 서로의 접점이 닿게 되어 불필요할 때 오 작동으로 혼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혼음이 발생되도록 설치되는 상,하스위치판을 커버에 직접 설치하지 않아 온도변화에 따른 커버의 수축이나 팽창시에도 상,하 스위치판의접점이 서로 닿아 오 작동 될 우려가 없도록 한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 휠의 혼스위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돌설된 수납홈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구비한후 상,하 스위치판을 상기 플레이트의 돌기에 얹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커버를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 스위치판이 플레이트의 수납홈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가 커버와 체결되므로써 온도변화에 따라 커버가 수축되거나 팽창되더라도 플레이트의 수납홈부에 설치된 상,하 스위치판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아 상,하 스위치판이 오작동될 우려가 없으므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혼 스위치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혼 스위치판 설치구조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에어백 커버 110 : 체결핀
200 : 플레이트 210 : 체결공
220 : 수납홈부 221 : 돌기
230 : 간격유지구 300a,300b :상,하 스위치판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의 혼 스위치 설치구조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결합 단면도로서, 이에 예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 휠에 혼스위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바닥에 다수개의 돌기(211)가 형성된 수납홈부(210)가 형성되고 일측에 체결공(210)이 형성된 플레이트(200)를 구비한후 상기 플레이트(200)의 수납홈부(220)에 상,하 스위치판 (300a)(300b)을 차례로 수납시키고, 에어백 커버(100)의 내측에는 상기 플레이트 (200)의 체결공(210)이 끼워져 체결될 수 있는 체결핀(110)을 형성하여 에어백 커버(100)의 내면에 상기 플레이트 (200)를 결합하도록 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400)은 에어백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혼음을 발생시켜 주기 위하여 커버(100)를 눌러주게 되면 커버(100)가 하향으로 약간 처지면서 상,하 스위치판(300a)(300b)의 접점이 서로 닿도록 하여 혼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구성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하 스위치판(300a)(300b)이 커버(100)에 직접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커버(100)를 눌러주지 않고,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라 커버(100)가 수축되거나 팽창되어 커버(100)가 휘어지는등 변형되더라도 스위치판 (300a)(300b)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서 스위치판(300a)(300b)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2 를 통하여 상,하 스위치판(300a)(300b)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별도로 구비된 상기 플레이트(200)에 차례로 하 스위치판(300b)과 상 스위치판 (300a)을 올려놓는데, 이때 상기 플레이트(200)에는 수납홈부 (22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하 스위치판(300a)(300b)을 플레이트(200)에 차례로 올려놓게 되면 상,하 스위치판(300a)(300b)은 수납홈부(210)에 안착되어 플레이판(200)보다 돌출되지 않는다.
이처럼 상,하 스위치판(300a)(300b)을 플레이트(200)의 수납홈부(22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커버(100)와 플레이트(200)를 결합시키는데, 상기 커버(100)에는 체결핀(110)이 돌설 되어있고, 플레이트(200)에는 상기 체결핀(110)이 끼워지는 체결공(2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100)와 플레이트(200)를 쉽게 결합할 수 가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결합한 상태에서 혼음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커버(100)를 눌러주게 되면 커버(100)의 내면이 상 스위치판(300a)을 누름에 따라 상 스위치판 (300a)과 하 스위치판(300b)의 접점이 서로 닿게 되는데 여기서 하 스위치판(300b)하부에 위치한 플레이트(200)에는 많은 돌기(221)가 돌설 되어 있으므로 상,하 스위치판(300a)(300b)의 접점이 더욱 효과적으로 닿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하 스위치판(300a)(300b)이 올려지는 플레이트 (200)저면에 간격유지구(230)를 형성하는데, 그 이유는 플레이트(200) 하부에 에어백(400)이 위치되므로써 자연스럽게 상기 에어백(400)이 간격유지구(230)와 접면되면서 플레이트(200)를 받쳐주기 때문에 즉, 혼음을 발생시키고자 커버(100)를 누르게 되면 플레이트(200)가 처지지 않아 혼음이 더욱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에어백(400)은 차종에 따라 사이즈가 달라 에어백(400)을 접어서 조향 휠에 내장하게 되면 상기 플레이트(200)에 밀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어 플레이트(200)를 효과적으로 받쳐주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간격유지구(230)는 플레이트 (200)와 에어백(300)의 간격에 따라 높이를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하게 되면 에어백(400)이 간격유지구(230)에 밀착되어 혼음을 발생시키고자 커버(100)를 누를시 에어백(400)이 플레이트(200)를 효과적으로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즉, 차종에 따라 커버(100)와 접혀있는 에어백(400) 상면과의 사이 간격이 서로 다른 경우가 있는데, 이때 본 발명은 플레이트(200) 저면의 간격유지구(230) 높이를 차종에 따라 알맞게 여러개로 형성한 후 그 차종에 맞는 것으로 선택하여 설치하면 커버(100) 내면에 결합되는 상기 플레이트(200)가 에어백(400) 상면에 이상적으로 받쳐지게 되므로 커버(100)를 눌렀을 때 상,하 스위치판 (300a)(300b)이 원할하게 동작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혼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상,하 스위치판을 커버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별도의 플레이트에 상,하 스위치판을 올려놓은후 상기 플레이트를 커버에 고정시키므로써 온도변화에 따라 커버가 수축되거나 팽창되어 변형되더라도 상,하 스위치판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않아 스위치판이 오 작동될 우려가 없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 휠에 혼 스위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바닥에 다수개의 돌기(221)가 돌설된 수납홈부(220)가 형성되고, 일측에 체결공(210)이 형성된 플레이트(200);
    상기 플레이트(200)의 수납홈부(220)에 돌설된 돌기(221)위로 수납되어 혼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접점이 형성된 상,하 스위치판(300a)(300b);
    상기 플레이트(200)의 체결공(210)에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핀(110)이 내면에 돌설된 에어백 커버(1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 휠의 혼 스위치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0)의 저면에는 접혀있는 에어백(400) 상면에 플레이트(200)가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간격유지구(230)를 돌설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 휠의 혼 스위치 설치구조.
KR1019990025151A 1999-06-29 1999-06-29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휠의 혼스위치 설치구조 KR100309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151A KR100309034B1 (ko) 1999-06-29 1999-06-29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휠의 혼스위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151A KR100309034B1 (ko) 1999-06-29 1999-06-29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휠의 혼스위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472A KR20010004472A (ko) 2001-01-15
KR100309034B1 true KR100309034B1 (ko) 2001-09-26

Family

ID=1959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151A KR100309034B1 (ko) 1999-06-29 1999-06-29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휠의 혼스위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0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472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01338A (ja) 警音器スイッチ
CN1972823B (zh) 用于车辆方向盘的卡入响板的安全气囊模块
JP3726101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100309034B1 (ko) 에어백이 내장된 조향휠의 혼스위치 설치구조
JPH08318806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100391201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JP2003220956A (ja)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11170951A (ja) エアバッグ収納カバー
JP3967912B2 (ja)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9309398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4023177B2 (ja) ホーンスイッチ機構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10119789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6003406A (en) Steering wheel having a collapsible hub
JP3665881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3346096B2 (ja) 乗り物用エアバッグ装置
KR0138200Y1 (ko) 에어백 장착 차량용 경적 장치
JPH10114253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3106879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583387Y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694969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H0740837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0503307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모듈
JPH10329724A (ja) ホーンスイッチ構造
JPH0742875Y2 (ja) エアバツグ用カバー
JPH04521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