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554B1 -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아암 브라켓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아암 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554B1
KR100308554B1 KR1019960056519A KR19960056519A KR100308554B1 KR 100308554 B1 KR100308554 B1 KR 100308554B1 KR 1019960056519 A KR1019960056519 A KR 1019960056519A KR 19960056519 A KR19960056519 A KR 19960056519A KR 100308554 B1 KR100308554 B1 KR 100308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rear cross
center arm
arm bracke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723A (ko
Inventor
유영덕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60056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554B1/ko
Publication of KR19980037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중 범핑시 리어 크로스 부재에 장착된 센터 아암 브라켓트에 어느 방향으로의 변위에도 내구성을 갖도록 보강판을 형성한 차량의 리어크로스 부재 센터 아암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 아암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리어 액슬에 설치되는 리어 크로스 부재의 장착부에 일측이 부착되면서 차체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센터 아암 브라켓트와; 상기 센터 아암 브라켓트의 일측판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부재의 저부에 부착되는 보강판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 아암 브라켓트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 아암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리어 크로스 부재에 센터 아암 브라켓트가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2)는 센터 아암 브라켓트를 지칭한다.
상기한 센터 아암 브라켓트(2)는 리어 크로스 부재(4)의 저부에 용접으로 부착되어 차체 프레임의 일부분인 센터 아암(도시생략)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한 부재이다.
상기한 리어 크로스 부재(4)는 리어 액슬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디부분을 거치하게 하는 부재로,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차체 바디가 장착되는 체결부(6)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저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가장자리 양측에 리어 현가장치의 아암이 장착되는 리어 아암 브라켓트(8)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리어 아암 브라켓트(8)의 타측에는 리어 크로스 부재(4)에 센터 아암 브라켓트(2)를 양측에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리어 크로스 부재(4)에 부착되는 센터 아암 브라켓트(2)는 부착되는 브릿지판(12)과, 이 브릿지판(12)의 양측에서 하향하게 밴딩되는 제1 절곡부(14)를 형성하면서 다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밴딩되는 제2 절곡부(1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제2 절곡부(16)에서 하향으로 밴딩되어 축공(18)을 뚫은 측판(20)을 대칭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측판(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밴딩된 보강편(22)을 돌출 형성하여 강성을 유지하게 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리어 크로스 부재를 채용한 차량의 주행중 범핑으로 부착된 센터 아암 브라켓트에 하중이 크게 입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리어 크로스 부재의 장착부에 장착되는 센터 아암 브라켓트의 브릿지판에서 절곡되는 제1 절곡부(14) 부분에서 어느 방향으로의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여 그에 따른 변위강성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한 제1 절곡부에서 발생한 크랙은 브릿지판을 대각선으로 하는 방향으로 점차 진행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중 범핑시 리어 크로스 부재에 장착된 센터 아암 브라켓트에 어느 방향으로의 변위에도 내구성을 갖도록 보강판을 형성한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 아암 브라켓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 아암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리어 액슬에 설치되는 리어 크로스 부재의 장착부에 일측이 부착되면서 차체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센터 아암 브라켓트와; 상기 센터 아암 브라켓트의 일측판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부재의 저부에 부착되는 보강판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크로스 부재에 센터 아암 브라켓트 적용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센터 아암 브라켓트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아암 브라켓트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아암 브라켓트가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아암 보강 브라켓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아암 보강 브라켓트가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30)는 센터 아암 브라켓트를 지칭한다.
상기한 센터 아암 브라켓트(30)는 리어 액슬에 설치되는 리어 크로스 부재(32)의 장착부(34)에 일측이 부착되면서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 센터 아암 브라켓트(30)의 일측 측판(38)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장착부(34)와 대칭하게 형성한 보강판(40)이 리어 크로스 부재(32)의 저부에 부착되고 있다.
상기한 보강판(40)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제1 절곡부(14)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측판(38)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측판(38)과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리어 크로스 부재(32)의 저부 장착부(34)에 센터 아암 브라켓트(30)의 브릿지판(12) 일측이 부착되며, 타측은 장착부(34)와 마주하게 측판(38)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된 보강판(40)에 의해 리어 크로스 부재(32)의 저부에 부착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32)의 센터 아암 브라켓트(30)는 리어 크로스 부재(32) 저부에 형성된 장착부(34)와, 이와 대칭하게 형성된 보강판(40)에 의해 부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하중을 받더라도 어느 방향으로의 변위 강성을 극복하게 되어 종래 절곡 부위에 나타나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 아암 브라켓트는 센터 아암 장착 브라켓트에 보강판을 형성하여 지지 구조가 증대됨에 따라 리어 크로스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최대로 감소시키게 되어 내구성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 아암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리어 액슬에 설치되는 리어 크로스 부재의 장착부에 일측이 부착되면서 차체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센터 아암 브라켓트와; 상기 센터 아암 브라켓트의 일측판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부재의 저부에 부착되는 보강판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 아암 브라켓트.
KR1019960056519A 1996-11-22 1996-11-22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아암 브라켓트 KR100308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519A KR100308554B1 (ko) 1996-11-22 1996-11-22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아암 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519A KR100308554B1 (ko) 1996-11-22 1996-11-22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아암 브라켓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723A KR19980037723A (ko) 1998-08-05
KR100308554B1 true KR100308554B1 (ko) 2001-11-30

Family

ID=3753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519A KR100308554B1 (ko) 1996-11-22 1996-11-22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아암 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426A (ko) * 2002-10-22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노코크바디 자동차의 리어크로스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723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8712A2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US6520653B1 (en) Honeycomb structure carrier plate for external rearview mirror and related mirror assembly
KR100308554B1 (ko) 차량의 리어 크로스 부재 센터아암 브라켓트
US7458594B2 (en) Lower arm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suspension
JPH08104251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取付構造
US20060103163A1 (en) Motor vehicle body comprising a strut arrangement
KR200228192Y1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JP2003011680A (ja) ラジエータの支持構造
JPH10217741A (ja) サスペンションサブフレーム構造
KR100316959B1 (ko) 자동차의 후방현가장치 장착용 휠하우징레일브라켓트의 구조
JP2001001731A (ja) 車両の懸架装置
JPH10147254A (ja) 自動車のディファレンシャル取付部構造
KR19980067954U (ko)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 고정러버
KR19990060684A (ko)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 마운팅구조
JP2000344137A (ja)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構造
KR0119237Y1 (ko) 자동차 엔진 마운트 브라켓(Bracket)
JPH07137523A (ja) 自動車のスタビライザバー取付構造
KR200170653Y1 (ko) 틸트차량의캐빈마운팅구조
KR200158671Y1 (ko) 자동차용 리어서스페션 구조
JPH0141208Y2 (ko)
JPH07309111A (ja) 車体へのサスペンションの取付構造
KR20060011173A (ko) 리어 현가 장치의 차체 고정구조
JPH10217948A (ja) ブレーキホース取付構造
JPH05185848A (ja) ラジエータの支持構造
JP2001063614A (ja) バンプスト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