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734B1 -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 - Google Patents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734B1
KR100307734B1 KR1019990009275A KR19990009275A KR100307734B1 KR 100307734 B1 KR100307734 B1 KR 100307734B1 KR 1019990009275 A KR1019990009275 A KR 1019990009275A KR 19990009275 A KR19990009275 A KR 19990009275A KR 100307734 B1 KR100307734 B1 KR 100307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mall parts
fixture
groov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4492A (ko
Inventor
이주일
Original Assignee
이주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일 filed Critical 이주일
Priority to KR101999000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734B1/ko
Publication of KR1999006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높이(H1)를 지니는 장방형의 육면체이고, 일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이단면(11)과, 일 모서리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모서리홈(13)과,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홈(15)을 지니는 블록(10); 상기 블록(10)의 이단면(11) 상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조절구멍(21)을 지니는 홀더(20); 그리고 상기 블록(10)의 모서리홈(13)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블록(10)의 회전중심 기능을 수행하는 원통형의 샤프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함에 따라, 금형장치의 핀과 같은 소형부품이 동시에 여러개가 처리될 수 있도록 고정하여 품질의 균일성을 유지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 {FIXTURE FOR PROCESSING SMALL PARTS}
본 발명은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장치의 핀과 같은 소형부품이 동시에 여러개가 처리될 수 있도록 고정하여 품질의 균일성을 유지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장치와 같은 정밀기계에 사용되는 부품은 내마모성과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것은 물론 작동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비교적 정밀한 치수공차를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정밀기계에는 주요 기능부품을 연결하여 상대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핀이 사용된다. 핀은 적절한 소재를 절삭가공, 열처리, 연삭가공하여 치수공차를 유지하는데, 비교적 치수가 작은 소형부품이므로 고정하기 위한 치구도 작아서 가공작업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형장치의 핀과 같은 소형부품이 동시에 여러개가 처리될 수 있도록 고정하여 품질의 균일성을 유지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구의 전체적인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구의 일부를 부분적인 횡단면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구의 사용상태를 평면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블록 11: 이단면
11a: 내면 11b: 외면
12, 22: 체결구멍 13: 모서리홈
14: V자홈 15: 안내홈
20: 홀더 21: 조절구멍
21a: 암나사부 21b: 확공부
30: 샤프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높이(H1)를 지니는 장방형의 육면체이고, 일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이단면(11)과, 일 모서리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모서리홈(13)과,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홈(15)을 지니는 블록(10); 상기 블록(10)의 이단면(11) 상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조절구멍(21)을 지니는 홀더(20); 그리고 상기 블록(10)의모서리홈(13)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블록(10)의 회전중심 기능을 수행하는 원통형의 샤프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블록(10)의 이단면(11)은 상호 평행을 유지하는 내면(11a)과 외면(11b)으로 구성되고, 내면(11a) 상에 복수의 V자홈(14)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20)의 조절구멍(21)은 암나사부(21a)와 확공부(21b)가 동심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은 블록(10)의 V자홈(14)의 중심과 각각 일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구의 전체적인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10)은 소정의 높이(H1)를 지니는 장방형의 육면체 소재를 사용한다. 블록(10)의 일측면에는 이단면(11)이 수직으로 성형되고, 일 모서리에는 모서리홈(13)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안내홈(1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블록(10)의 이단면(11)은 상호 평행을 유지하는 내면(11a)과 외면(11b)으로 구성된다. 내면(11a)은 블록(10)과 동일한 높이(H1)로 가공하고 외면(11b)은 블록(10)보다 작은 높이(H2)로 가공한다. 내면(11a)의 가공 폭은 블록(10)의 길이보다 약간 작으며 가공 깊이는 외면(11b)보다 크다. 외면(11b)은 내면(11a)보다 가공 폭이 좁으나 블록(10)과 동일한 길이에 걸쳐 좌우측에 분포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10)의 내면(11a) 상에는 복수의 V자홈(14)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V자홈(14)은 동일한 폭, 길이 및 간격으로 형성하며 각각의 내면각을 직각으로 한다. 일예로 V자홈(14)의 폭을 4㎜로 한다면 간격은 13㎜ 정도가 적절하다.
블록(10)의 모서리홈(13)은 블록(10)과 동일한 높이(H1)로 하고 내면각은 직각으로 한다. 모서리홈(13)은 블록(10)의 양측 모서리에 형성할 수도 있고, 블록(10)의 후면부 중앙에 형성할 수도 있다.
블록(10)의 안내홈(15)은 가공작업시 블록(10)의 전후방이동을 구속하여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하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가이드레일(도시 생략)에 삽입하여 좌우측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록(10)의 이단면(11) 상에 길이방향으로 홀더(20)가 장착된다. 홀더(20)는 블록(10)의 외면(11b) 상에 안착되고 좌우측에 형성된 체결구멍(22)과 블록(10) 상에 형성된 체결구멍(12)에 볼트를 체결하여 장착된다. 홀더(20)는 장착후 블록(10)의 전면, 상부면, 좌우측면에서 돌출되지 않는 치수로 성형하여 블록(10)과 일체감을 주고 작업시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때 홀더(20)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조절구멍(21)을 지니는데 그 상세한 구성과 작용은 후술하는 도 2의 설명을 참조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록(10)의 모서리홈(13)에 샤프트(30)가 수직으로 고정된다. 샤프트(30)는 블록(10)의 회전중심 기능을 수행하도록 원형 단면을 지니는 원통형 구조로 성형한다. 고정방식에 있어서 샤프트(30)에 드릴링하고 블록(10)에 태핑을 하여 볼트로 체결하는 것이 무난하다. 이러한 방식을 택하면 경우에 따라서 블록(10)에 샤프트(30)를 장착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구의 일부를 부분적인 횡단면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20)의 조절구멍(21)은 암나사부(21a)와 확공부(21b)가 동심으로 형성된다. 암나사부(21a)를 태핑으로 가공하고 확공부(21b)를 보링으로 가공한다. 일예로 암나사부(21a)에 M4인 나사를 체결하는 경우 확공부(21b)의 직경은 7㎜ 정도로 한다. 홀더(20)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체결구멍(22)은 조절구멍(21) 처럼 2단 구조이나 태핑에 의한 암나사부를 지니지 않는다.
이때 조절구멍(21)의 중심은 블록(10) 상에 있는 V자홈(14)의 중심과 각각 일치한다. 이에 따라 조절구멍(21)에 나사를 삽입하고 돌리면 V자홈(14)의 중심을 향해 전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구의 사용상태를 평면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부호 A로 나타내는 공작물을 부호 B로 나타내는 볼트로 고정한 상태에서 블록(10)을 이동시킬 수도 있고 연삭기 등을 이용하여 동시에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물(A)의 직경에 약간씩 차이가 있더라도 동일한 블록(10)에 고정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가공이 완료된 후 공작물(A)을 해체할 때에는 조절구멍(21)의 볼트(B)를 푸는 것보다 체결구멍(22)의 볼트(B′)를 푸는 것이 신속하다. 조절구멍(21)에 사용되는 볼트(B)는 공작물(A)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끝단을 경면 상태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내면(11a)의 높이를 블록(10)의 높이(H1)와 같게 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바, 이 경우 비교적 길이가 긴 부품도 가공할 수 있는 반면 고정높이를 일률적으로 유지하려면 주의가 필요하다. 만일 내면(11a)의 높이를 블록(10)의 높이(H1)보다 작게 한다면 부품의 지지를 위한 바닥면이 형성되므로 긴 부품을 가공할 수 없으나 고정높이를 일률적으로 맞추기는 편리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의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는 금형장치의 핀과 같은 소형부품이 동시에 여러개가 처리될 수 있도록 고정하여 품질의 균일성을 유지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복수개의 가공부재를 동시에 고정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블록과,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에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홀더로 이루어진 고정지그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회전중심 기능이 수행되도록 블록(10)이 일 모서리에 모서리홈(13)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원통형 샤프트(30)가 볼트로 체결되며, 가공작업시 블록의 전후방이동의 구속 및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좌우측 이동이 원활하도록 블록의 하단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
KR1019990009275A 1999-03-18 1999-03-18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 KR100307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275A KR100307734B1 (ko) 1999-03-18 1999-03-18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275A KR100307734B1 (ko) 1999-03-18 1999-03-18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492A KR19990064492A (ko) 1999-08-05
KR100307734B1 true KR100307734B1 (ko) 2001-09-24

Family

ID=3753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275A KR100307734B1 (ko) 1999-03-18 1999-03-18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917B1 (ko) 2004-03-26 2006-05-10 이주일 소형부품 가공용 지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549U (ko) * 1994-12-07 1996-07-18 삼성전관주식회사 고정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549U (ko) * 1994-12-07 1996-07-18 삼성전관주식회사 고정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917B1 (ko) 2004-03-26 2006-05-10 이주일 소형부품 가공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492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5598B2 (ja) 回転式パレツトシステム
KR880004888A (ko) 방전가공시스템 및 방전가공용 전극의 설치구
JPH076540B2 (ja) 直線案内装置
KR100307734B1 (ko) 소형부품 가공용 치구
KR100577917B1 (ko) 소형부품 가공용 지그
JP2005162369A (ja) 基板加工装置
JP2000198037A (ja) ワ―ク固定治具
JP6685113B2 (ja) ローディング装置の軸合わせ構造
KR100311164B1 (ko) 수치 제어 가공용 지그
KR200293609Y1 (ko) 스티로폼 가공장치
JP2007206783A (ja) メモリーカード成型装置及びメモリーカードの成型方法
KR101855160B1 (ko) 평면 각 및 가공 토크 조절 구조를 가지는 탭 드릴 머신
CN213053749U (zh) 轴类工件铣削用固定夹具
JPH05146888A (ja) レーザ加工機のワーク支持テーブル
JP2001165273A (ja) ワークテーブル装置
CN214445565U (zh) 一种顶针磨削夹持治具
KR102354160B1 (ko) 단면커팅 리미트 조정장치
CN218110036U (zh) 一种方轴加工夹具
CN218591831U (zh) 一种圆柱贝壳产品加工用车床
KR102565604B1 (ko) 리니어 블록 연삭 방법
KR960002044Y1 (ko) 마운트 기어 가공용 치구
CN216065891U (zh) 一种切割角度可调节的中走丝线切割机
KR20220111442A (ko) 방전가공기
KR20000063241A (ko) 좌,우 대칭가공 머시닝센터
KR100392467B1 (ko) 다이아몬드 다이스의 홀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