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109B1 - 주사방식자동판별회로 - Google Patents

주사방식자동판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109B1
KR100307109B1 KR1019940022318A KR19940022318A KR100307109B1 KR 100307109 B1 KR100307109 B1 KR 100307109B1 KR 1019940022318 A KR1019940022318 A KR 1019940022318A KR 19940022318 A KR19940022318 A KR 19940022318A KR 100307109 B1 KR100307109 B1 KR 10030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eriod
scanning
horizont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601A (ko
Inventor
하세노신이찌
다까하시도시마사
마쯔노가쯔미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50009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의 영상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기록된 신호의 주사방식을 정확하게 자동 판별한다.
비디오 복조 회로(5)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시호는 주기 계측부(6)에 공급되어 그 주기가 계측된다. 주기 계측부(6)은 출력은 콤퍼레이터(7a) 및 콤퍼레이터(7b)로 이루어지는 비교부(7)로 공급된다. 콤퍼레이터(7a)에는 단자(8)로부터 제1기준 신호가, 콤퍼레이터(7b)에는 단자(9)로부터 제2 기준 신호가 각각 공급된다. 각 콤퍼레이터(7a 및 7b)에서는 주기 계측부(6)으로부터의 출력과 기준 신호가 비교된다. 이 비교 결과에 의해, 비교부(7)로부터 서보 제어부(10)에 전환 신호가 송출된다.

Description

주사 방식 자동 판별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원리도.
제2도는 비교부에 공급된 수평 동기 신호 주기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사 방식 자동 판별 방법이 적용된 펄스 주기 계측 회로의 블록도.
제4도는 펄스 주기 계측 회로를 이용하여 주사 방식을 자동 판별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주기 계측부 7 : 비교부
10 : 서보 제어 회로 28, 36 : 레지스터
33 : 8 비트 카운트 34 : 데이터 레지스터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의 영상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을 정확하게 자동 판별하는 것이 가능한 주사 방식 자동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 각지에서 채용되고 있는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은 주지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방식이 존재한다. 복수의 주사 방식에 추가하여,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의 변조 방식에도 다른 복수의 방식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사실에 대응하기 위하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이라 함) 등의 영상 신호 기록 재생 장치에는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영상 신호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방송 방식이 다른 지역에서 기록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기 위하여, 각각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복수의 신호 처리계가 설치되어 이것이 전환됨으로써, 기록시에 이용된 포맷에 대응하여 기록 신호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통상, 유저는 전환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신호 처리계의 전환을 행하고 있다. 또, 주사 방식의 차이는 기록 매체 상의 트랙 패턴에 크게 관계되어 주사 방식과 다르면,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 신호를 얻는 것조차 곤란에 빠져버린다. 이 때문에, 주사 방법의 판별은 어렵게 된다.
그래서, 주사 방식의 판별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 경우에는 1 필드 내에 포함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주사 방식을 판별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이 방법에서 통상의 재생 동작을 행하고 있을 때에는 충분한 정확성으로 주사 방식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큐나 레뷰 등의 변속 재생시에는 화면 상에 노이즈 바가 발생해 이 상태에서 정확한 판별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 특히, 판별을 잘못한 경우에는 재생 신호에 큰 노이즈가 혼입해 버린다. 이 방법은 노이즈에 약하므로, 판단 오차가 용이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을 정확하게 자동 판별하는 것이 가능한 주사 방식 자동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수평 주사 주파수를 갖고 있는 제1 주사 모드와, 제2 수평 주사 주파수를 갖고 있는 제2 주사 모드와, 기록 신호에 포함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계측하는 주기 계측부를 갖고 있고, 주기 계측부에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 판별 범위가 설치되어 있으며, 한쪽의 주사 모드로 기록 신호를 재생하고,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주기 판별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에 다른 쪽의 주사 모드로 기록 신호를 재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방식 자동 판별 방법이다.
정상의 재생 동작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는 2개의 주사 방식의 수평 동기 신호 주기는 크게 분리된다. 비교부에 있어서, 이들 크게 분리된 수평 동기 신호 주기를 2개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서보 제어 회로(10)에 전환 신호를 송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주사 방식 자동 판별 방법이 적용된 VTR의 한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응 VTR의 블록도로, 본 발명에 의한 주사 방식 자동 판별 방법의 원리도이다. 또,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NTSC 방식[525 라인(주사선 수)/60Hz(수평 주사 주기)]과 PAL 방식(625 라인/50Hz)의 2개의 주사 방식을 판별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회전 드럼(1)에는 도시하지 않아도 기록 헤드 및 재생 헤드가 설치되어 있어 영상 신호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2)가 감겨 회전된다. 또, 회전 드럼(1)은 드럼 모터(3)에 의해 회전된다. 자기 테이프(2)는 캡스턴 모터(4)에 의해 송출된다. 재생 헤드에 의해 재생된 신호는 비디오 복조 회로(5)로 공급되어 소정의 처리가 행해져 복조된다. 이것에 의해, 기록 신호의 수평 동기 신호도 복조된다. 비디오 복조 회로(5)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는 주기 계측부(6)으로 공급된다.
주기 계측부(6)은 공급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측정한다. 재생 헤드에 의해 재생된 비디오 신호가 525 라인/60Hz 방식일 때에,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는 약 63.5㎲로 된다. 한편, 625라인/50Hz 방식일 때에는 약 64㎲로 된다. 주기 계측부(6)의 출력은 콤퍼레이터(7a) 및 콤퍼레이터(7b)로 이루어지는 비교부(7)에 공급된다. 콤퍼레이터(7a)에는 단자(8)로부터 제1기준 신호가, 콤퍼레이터(7b)에는 단자(9)로부터 제2 기준 신호가 각각 공급된다. 이 비교부(7)은 주기 계측부(6)에 의해 계측된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후술하는 서보 제어 회로(10)로 전환 신호를 발생한다. 콤퍼레이터(7a 및 7b)로부터의 출력은 서보 제어 회로(10)에 공급된다. 서보 제어 회로(10)에서는 공급된 전환 신호에 기초하여 드럼 모터(3) 및 캡스턴 모터(4)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제2도는 주기 계측부(6)에 의해 계측된 재생 신호의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비교부(7)에서 판별되는 모양을 도시하고, 그 횡축은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표시한다. 제2도에 있어서, 신호의 재생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을 때(525라인/60Hz의 신호가 525라인/60Hz로 재생되고 있을 때, 또한 625라인/50Hz의 신호가 625라인/50Hz로 재생되고 있을 때), 각각의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는 11a(525라인/60Hz 방식의 수평 동기 신호) 및 11b(625라인/50Hz 방식의 수평 동기 신호)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근접하게 된다.
한편, 신호의 재생이 잘못 행해지고 있을 때(525라인/60Hz로 기록된 신호가 625라인/50Hz로 재생되고 있을 때, 또는 625라인/50Hz로 기록된 신호가 525라인/60Hz로 재생되고 있을 때)에, 각각의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는 12a(625라인/50Hz 방식으로 기록된 신호가 525라인/60Hz 방식으로 재생될 때의 수평 동기 신호) 미 12b(525라인/60Hz 방식으로 기록된 신호가 625라인/50Hz 방식으로 재생될 때의 수평 동기 신호)와 같이 크게 분리된다. 이것은,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회전 헤드는 수직 주사 주파수에 동기한 회전수로 회전하고, 이 수직 주사 주파수는 이들 2개의 주사 방식 사이에 59.96:50이라는 비교적 큰 차가 있어 만약 다른 주사 방식에 따른 재생을 행하면, 회전 헤드로부터 얻어지는 재생 신호의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는 각각의 정상인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거의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테이프에 대한 재생 헤드의 상대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20% 정도라는 큰 차이로서 검지되는 것에 기인한다. 다시 말하면, 재생 헤드의 기록 매체인 자기 테이프에 대한 상대 속도가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에 거의 비례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또, 12a를 중심으로 하여 규정된 범위(13a)는 콤퍼레이터(7b)의 일치 범위이고, 12b를 중심으로 하여 규정된 범위(13b)는 콤퍼레이터(7a)의 일치 범위이다.
비교부(7)에서는 12a와 12b로 표시되는 크게 분리된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2개의 기준 신호와 비교되어, 필요시에는 비교부(7)로부터 서보 제어 회로(10)에 대해 전환 신호가 공급된다. 예를 들면, 제2도의 경우, 단자(8)을 통해 공급된 제1 기준 신호 부근에서 계측된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있으면, 525라인/60Hz 방식으로 기록된 영상 신호의 테이프를 서보 제어 회로(10)은 잘못하여 625라인/50Hz 방식으로 재생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비교부(7)은 서보 제어 회로(10)에 대해 테이프 상의 주사 방식인 525라인/60Hz 방식으로 서보 동작을 행하도록 전환 신호를 송출한다. 또, 잘못된 주사 방식에 따라 재생 동작이 행해지고 있으면, 재생 헤드가 테이프 상의 기록 트랙을 횡방향으로 절단하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재생 신호는 노이즈에 의해 분단되어 버리지만, 이와 같은 단속적인 재생 신호로도 수평 동기 신호가 100㎲ 이하로 단축되므로, 수평 동기 신호를 계측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고속 판별이 가능하게 된다. 서보 제어 회로(10) 이 전환 신호에 기초하여 525라인/60Hz 방식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드럼(3) 및 캡스턴(4)에 출력한다.
한편, 단자(9)를 통해 공급된 제2 기준 신호 부근에서 계측된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있으면, 625라인/50Hz 방식으로 기록된 영상 신호의 테이프를 서보 제어 회로(10)은 잘못하여 525라인/60Hz 방식으로 재생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비교부(7)은 서보 제어 회로(10)에 대해 테이프 상의 주사 방식인 625라인/50Hz 방식으로 서보 동작을 행하도록 전환 신호를 송출한다. 서보 제어 회로(10)ms 이 전환 신호에 기초하여 625라인/50Hz 방식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드럼(3) 및 캡스턴(4)로 출력한다.
또, 상술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2개의 주사 방식을 판별하는 경우에 대해 동작의 설명을 행하였지만, 상술한 고안에 기초하여 3개 이상의 주사 방식을 판별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사 방식 자동 판별 방법이 적용된 펄스 주기 계측 회로의 블록도이다. 펄스 주기 계측 회로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기에 의해, 테이프를 구동하기 위한 방식이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제3도에 있어서, 단자(21)에서는 마스크 신호가, 단자(22)에서는 수평 동기 신호가 각각 입력된다. 또, 마스크 신호는 주사 방식을 잘못하여 재생 동작을 행했을 때에 발생하는 잡음에 의해 주기 계측이 혼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재생 헤드로부터의 재생 신호가 없을 때에 주기 계측 동작을 정지시킨다. 다시 말하면, 잡음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재생 헤드로부터의 재생 신호가 없을 때에는 단자(22)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는 마스크된다. 단자(21 및 22)로부터의 각 신호는 파형 성형 회로(23 및 24)에서 파형 성형된다. 파형 성형 회로(23)에서는 반전된 신호가 AND 회로(25)의 제1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또, 파형 성형 회로(24)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상승 검출 회로(26)에 의해 그 상승 에지가 검출된다. 상승 검출 회로(26)의 출력 신호는 AND 회로(25)의 제2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데이터 버스(27)을 통해 제어기로부터 입력된 8 비트 카운터 스타트 플래그는 레지스터(28)에 공급된다. 8 비트 카운터 스타트 플래그는 주기 계측을 개시하기 위한 플래그로, 소프트웨어와의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레지스터(28)의 출력 신호는 상승 검출 회로(29), AND 회로(25)의 제3 입력 단자 및 AND 회로(30)의 제1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상승 검출 회로(29)에서 검출된 신호는 OR 회로(31)의 제1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또, AND 회로(25)의 출력 신호는 OR 회로(31)의 제2 입력 단자 및 AND 회로(32)의 제1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OR회로(31)의 출력 신호는 클리어 신호로서 8 비트 카운터(33)에 공급된다.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 계측 측정용의 클럭 신호가 단자(35)를 통해 AND 회로(30)의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AND 회로(30)의 출력 신호가 8비트 카운터(33)에 공급된다. 8비트 카운터(33)은 주기 계측용 클럭 신호를 계수하여 최대치에 도달하면 정지한다. 수평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이 8비트 카운터(33)은 클리어된다. 8 비트 카운터(33)의 값은 8비트로 데이터 레지스터(34)에 받아들임과 동시에, 부논리(不論理)로 AND 회로(30)의 제3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또, 데이터 레지스터(34)에 축적되는 값은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표시하고 있다.
데이터 버스(27)을 통해 제어기로부터 입력되어 데이터 레지스터에 유효한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데이터 레지스터 유효 플래그는 레지스터(36)에 축적된 후, 부논리로 AND 회로(32)의 제2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AND(32)에서는 공급된 2개의 신호에 기초하여 래치 출력 신호를 데이터 레지스터(34) 및 레지스터(36)에 공급한다. 이 래치 출력에 기초하여 데이터 레지스터(34)의 출력 신호는 데이타 버스(27)을 통해 제어기에 공급된다.
제4도는 상술한 펄스 주기 계측 회로를 이용하여 주사 방식을 자동 판별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수직 동기 신호가 종료하고 나서 계측을 개시하기 위해, 스텝 41에서 재생 헤드 전환 펄스의 에지 판별이 행해진다. 스텝(42)에서는 수직 동기 신호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 대기한다. 수직 동기 신호 기간 후, 수평 동기 신호 주기의 계측이 개시된다(스텝 43). 또, 수평 동기 신호 주기의 계측은 상술한 마스크 신호에 따라 유효한 재생 신호에 대해서만 행해진다.
스텝 44에서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약 53㎲(기준치) 부근인지 여부의 판별이 행해진다. 이 기준치는 625라인/50Hz 방식의 테이프를 525라인/60Hz 방식으로 재생할 때의 수평 동기 주기이다. 수평 동기 신호 주기가 53㎲ 부근인 경우에는 서보의 동작 모드와 테이프 상의 주사 방식이 어긋나 있을 가능성이 있고, 어긋남을 표시하는 카운터가 1개 진행된다(스텝 45). 스텝 44에 있어서,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약 53㎲ 부근에 없을 경우, 처리는 스텝 46으로 진행한다.
스텝 46에서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약 76㎲ 부근인지 여부의 판별이 행해진다.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약 76㎲ 부근인 경우에는 서보의 동작 모드와 테이프 상의 주사 방식이 어긋나 있을 가능성이 있고, 어긋남을 표시하는 카운터가 1개 진행된다(스텝 47). 또, 스텝 44 및 46에서의 측정에서는 약간의 오차가 있는 것을 고려하여 이들 기준치와의 비교는 어느 정도의 폭을 갖고 행해진다.
스텝 45, 스텝 46(수평 동기 신호 주기가 76㎲ 부근에 없는 경우) 및 스텝 47의 다음 처리는 스텝 48에서 행해진다. 즉, 스텝 48에서는 총 계측 회수를 표시하는 카운터가 1개 진행된다. 총 계측 회수를 표시하는 카운터의 값이 100회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스텝 49에서 판별된다. 100회 미만인 경우에, 처리는 스텝 43으로 복귀한다. 한편, 총 계측 회수가 100회로 도달한 경우에, 처리는 스텝 50으로 진행한다.
스텝 50에서는 계측의 결과, 625라인/50Hz 카운터의 값이 25 이상인지 여부의 판별이 행해진다. 25 이상이면, 서보의 동작 모드와 테이프 상의 주사 방식과의 어긋남은 확실하게 되어 서보의 동작을 테이프 상의 주사 방식에 맞추어 625라인/50Hz 모드로 전환된다(스텝 51).
또, 스텝 50에 있어서, 625라인/50Hz 카운터의 값이 25 미만인 경우에, 처리는 스텝 52로 진행한다. 스텝 52에서는 525라인/60Hz 카운터의 값이 25 이상인지 여부의 판별이 행해진다. 25 이상이면, 서보의 동작 모드와 테이프 상의 주사 방식과의 어긋남은 확실하게 되어 서보의 동작을 테이프 상의 주사 방식에 맞추어 525라인/60Hz 모드로 전환된다(스텝 53). 스텝 51, 스텝 52(525라인/60Hz 카운터의 값이 25미만인 경우) 및 스텝 53의 다음은 스텝 52(525라인/60Hz 카운터의 값이 25 미만인 경우) 및 스텝 53의 다음은 스텝 54에서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54에서는 다음 계측에 대비하여 전 카운터가 리세트된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적절한 복수의 TV 신호 방식에 대응가능한 VTR에서는 그 제어에 고 기능의 마이크로컴퓨터가 사용되어 서보 제어 자체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고 있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서보를 탑재한 VTR에서는 서보 제어 회로 속에 서보 기능을 내장하고, 또 소프트웨어에 의해 서보 기능의 나머지의 기능을 내장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주사 방식 자동 판별 방법에서는 1 화면 속에 수백개 존재하는 수평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판별하기 때문에, 극히 정밀도가 높은 판별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전혀 일손을 요하지 않는 기기의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또, 서보 제어 회로를 사용한 시스템과의 정합성이 높고, 싼 비용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판별에 요하는 시간이 짧고, 조작성이 우수한 기기를 설계할 수 있다.

Claims (14)

  1. 영상 신호 재생 장치에서의 주사 방식 자동 판별 회로에 있어서, 비디오 테이프 상에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회전 드럼,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 기록 신호에 포함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계측하는 계측 수단, 상기 계측 수단의 출력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수평 주사 주파수를 갖고 있는 제1 주사 모드와, 제2 수평 주사 주파수를 갖고 있는 제2 주사 모드, 및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판별하는 판별 회로, 및 상기 판별 회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한쪽의 주사 모드로 기록 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상기 주기 판별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에 다른 쪽의 주사 모드로 상기 기록 신호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방식 자동 판별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수단에 의한 판별은 복수회 행해지고, 상기 판별의 전(前)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주사 모드 또는 상기 제2 주사 모드로 상기 기록 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방식 자동 판별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별 회로의 출력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와 상기 캡스턴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방식 자동 판별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회로는 1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판단하여 이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와 상기 캡스턴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방식 자동 판별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수평 주사 주파수와 제2 수평 주사 주파수의 주기는 약 63.5㎲ 및 약 6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방식 자동 판별 회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회로는 1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와 상기 캡스턴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방식 자동 판별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수평 주사 주파수와 제2 수평 주사 주파수는 약 60Hz 및 약 5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방식 자동 판별 회로.
  8. 주사 방식 자동 판별 회로를 갖고 있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테이프 상에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회전 드럼,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 기록 신호에 포함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계측하는 계측 수단, 상기 계측 수단의 출력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수평 주사 주파수를 갖고 있는 제1 주사 모드와, 제2 수평 주사 주파수를 갖고 있는 제2 주사 모드, 및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판별하는 판별 회로, 및 상기 판별 회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한쪽의 주사 모드로 기록 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상기 주기 판별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에 다른 쪽의 주사 모드로 상기 기록 신호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수단에 의한 판별은 복수회 행해지고, 상기 판별의 전(前)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주사 모드 또는 상기 제2 주사 모드로 상기 기록 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별 회로의 출력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와 상기 캡스턴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회로는 1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판단하여 이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와 상기 캡스턴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수평 주사 주파수와 제2 수평 주사 주파수의 주기는 약 63.5㎲ 및 약 6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회로는 1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와 상기 캡스턴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수평 주사 주파수와 제2 수평 주사 주파수는 약 60Hz 및 약 5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장치.
KR1019940022318A 1993-09-07 1994-09-06 주사방식자동판별회로 KR100307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46353 1993-09-07
JP5246353A JPH0779450A (ja) 1993-09-07 1993-09-07 走査方式自動判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601A KR950009601A (ko) 1995-04-24
KR100307109B1 true KR100307109B1 (ko) 2001-12-15

Family

ID=1714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318A KR100307109B1 (ko) 1993-09-07 1994-09-06 주사방식자동판별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647939B1 (ko)
JP (1) JPH0779450A (ko)
KR (1) KR100307109B1 (ko)
CN (1) CN1064475C (ko)
AT (1) ATE191580T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6397A (en) * 1978-01-23 1982-08-2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Apparatus for reproducing a video signal of one system with conversion to a video signal of another system
JPS5643891A (en) * 1979-09-17 1981-04-22 Sony Corp Video signal reproducing device
JPS5711586A (en) * 1980-06-25 1982-01-21 Toshiba Corp Automatic switching circuit for magnetic reproducing device
JPS5711590A (en) * 1980-06-25 1982-01-21 Toshiba Corp Magnetic reproducing device
JPS58139587A (ja) * 1982-02-13 1983-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再生装置
JPS6035888A (ja) * 1984-06-13 1985-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ヘツド型磁気録画再生装置
JPS6239995A (ja) * 1985-08-16 1987-02-20 Fujitsu Ltd テレビジヨン信号処理装置
JPH0719330B2 (ja) * 1985-12-18 1995-03-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H02285780A (ja) * 1989-04-26 1990-11-26 Sony Corp 判別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47939A1 (en) 1995-04-12
ATE191580T1 (de) 2000-04-15
CN1111796A (zh) 1995-11-15
KR950009601A (ko) 1995-04-24
JPH0779450A (ja) 1995-03-20
EP0647939B1 (en) 2000-04-05
CN1064475C (zh) 200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3673A (e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the recording mode of one of a plurality of recording modes and for reproducing the magnetically recorded video signal
EP0301504B1 (en) Method of copy protecting a pre-recorded videotape
US6393193B2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still image
US5046167A (en) Video tape recorder with a video printing controller
KR100307109B1 (ko) 주사방식자동판별회로
EP0287682B1 (en)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signals
US52184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reproduction mode of a video tape recorder
KR100197592B1 (ko) Vcr의 방송방식 판별방법
JPH0115007Y2 (ko)
KR0151276B1 (ko) 브이씨알의 기록속도모드 판별장치 및 방법
KR0170257B1 (ko) 방송방식에 따른 디스크 판별회로 및 방법
JPH0821252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281372B1 (ko)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및 비디오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
JPH089333A (ja) 無信号検出装置、及びこの無信号検出装置を用いたビデオ テー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463454B2 (ko)
US5122864A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S58153472A (ja) 回転ヘツド型磁気録画再生装置
JP3043863U (ja) ビデオ一体型テレビ
JP2803450B2 (ja) 識別信号検出装置
KR19980017904A (ko) 브이시알의 녹화/재생 실시간 제어방법
JPS6115637B2 (ko)
JPH0315877B2 (ko)
KR19980067029A (ko) 다중 방송 방식 및 칼라 방식 자동 검출방법
JPH0432626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21405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トラッキング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