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977B1 -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977B1
KR100306977B1 KR1019980055943A KR19980055943A KR100306977B1 KR 100306977 B1 KR100306977 B1 KR 100306977B1 KR 1019980055943 A KR1019980055943 A KR 1019980055943A KR 19980055943 A KR19980055943 A KR 19980055943A KR 100306977 B1 KR100306977 B1 KR 10030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video
control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343A (ko
Inventor
김형석
김용두
이건종
김우성
박경훈
윤주산
Original Assignee
김용두
이건종
김우성
김형석
윤주산
박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두, 이건종, 김우성, 김형석, 윤주산, 박경훈 filed Critical 김용두
Priority to KR101998005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977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remotely controll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11)와, 잔향처리기(12), 믹서(13), 반주음향발생기(14)로 구성된 음향부(10)와, 제어입력부(21), 제어장치(22), 영상제어기(29)로 구성된 제어부(20)와, 영상합성기(31), 가사자막발생기(32)로 구성된 영상부(30)와, 모니터(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제어부(20)에 리듬디텍터(26)와 문자합성장치(27)가 추가되고 영상부(30)에 화면효과장치(36), 오버레이장치(37)가 추가되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
본 발명은 노래방과 단란주점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노래방 기기,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음향 복합재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일반적인 노래방기기는 자체에 내장된 반주음향발생기에서 나오는 반주음악에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목소리를 음향효과(ECHO)처리 후 믹싱(mixing)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며 영상은 가사자막을 배경화면 위에 합성하여 TV화면으로 내보내는 것으로, 반주음악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배경화면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하였다.
도1은 이러한 종래의 노래방기기를 나타낸 것으로, 마이크(11)를 통하여 입력된 음향이 잔향처리기(12)를 거쳐 믹서(13)를 통하여 반주음향발생기(14)에서 나온 반주음향과 적절한 크기로 섞은 음향부(10)의 출력이 파워앰프(15)를 통하여 스피커(16)를 구동하게 되며, 리모콘(7)에서 발생된 신호에 의하여 제어입력부(21)를 통하여 제어장치(22)에서 선택된 곡에 따라 발생되는 제어부(20)의 신호에 의하여 반주음향에 연동하여 가사자막을 발생시켜 주는 가사자막발생기(32), 발생되는 가사자막을 외부에서 입력되는 배경화면과 합성하는 영상합성기(31)로 되는 영상부(30)의 출력이 모니터(1)나 멀티비젼(2) 등에 의해 영상으로 출력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했을 때, 그 출력된 영상이 매우 단조롭고, 다양함을 추구하는 신세대의 기호에 맞지 않으며, 노래방기기가 나온 이후 지금껏 똑 같은 영상부의 배경화면은 일반적으로 위성방송, 반라(半裸)의 여자, 풍경, 그림 등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령층과 상관없는 건전한 놀이문화인 노래방문화가 퇴폐로 흐르고 있어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화면의 단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시도로 멀티비젼(2)을 사용한 경우가 있고, 멀티비젼(2) 자체내의 영상입력이 2∼3개씩 있는 점을 이용하여 노래방 영상부(30)의 화면 출력에 덧붙여서 1∼2대의 카메라(9)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화면의 선택이나 배열은 노래방기기와는 관계없이 멀티비젼(2)의 콘트롤러(MVP:Multicube Video Processor)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하지만 멀티비젼(2)의 가격이 워낙 고가이기 때문에 쉽게 도입하지는 못하고 대형 노래방이나 대형 단란주점의 메인홀(Main-Hall)에서 간혹 볼 수 있다.
도2는 종래의 다른 영상노래방기기를 설명한 것으로서, 마이크(11)를 통하여 입력된 음향이 잔향처리기(12)를 거쳐 믹서(13)에서 반주음향발생기(13)를 통하여 발생된 반주음향과 적절한 크기로 섞은 출력이 파워앰프(15)를 통하여 스피커(16)를 구동하는 음향부(10)와, 카메라(9)에서 촬영된 영상을 크로마키어(Chroma-Keyer)(33)를 통하여 DVD(8)에서 나온 화면과 합성하고 영상효과장치(34)를 통하여 저장된 자막화일을 재생하여 가사자막발생기(32)에서 나온 자막 및 영상효과장치(34)에서 나온 그림과 영상합성기(31)에서 합성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부(30)와, 마이크(11)의 위치를 감지하여 마이크의 위치에 따라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위치감지기(23), 제어정보에 의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컨트롤하는 팬/틸트유닛(24)과 DVD(8)에서 재생된 배경화면의 동기신호에 맞추어 영상효과장치(34)를 컨트롤하여 카메라를 선택되도록 하는 영상제어기(29)등으로 구성된 제어부(2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노래방기기의 영상부 기술은 크로마키를 사용하여 화면을 합성하기 위하여 노래방의 뒷벽을 모두 크로마키 판으로 개조해야 하는데 이것이 현실상 여의치 않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면서 화면이 만족스럽게 나오지 않는다. 이와 같은 기술은 수억원대를 호가하는 방송기자재에서의 크로마키도 깨끗하게 되지 않으며 화면별로 키의 상태가 달라 일일이 조정을 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데다가 조명 또한 방송급의 많은 조명을 필요로 해 노래방 실내의 분위기를 해칠 수 있다. 또한 자막장치는 저장된 자막화일을 재생하여 내보내는 방식을 채택하여 다양한 문자의 입력이 불가능하고 짜여진 대로만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의 위치감지 기술은 공지기술로 그와 같은 제품이 실제로 있으나 실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기구의 가격이 수억원대로 비싸고 염가형으로 고속 팬/틸트되는 것은 구현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종래의 노래방기기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경화면과 음악을 원하는대로 불러올 수 있는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노래하는 사람의 모습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퇴폐적인 배경화면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온 가족이 재미있게 노래할 수 있고, 브이티알등으로 녹화하여 기념으로 간직할 수 있는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니터나 멀티비젼에 상관없이 아무 곳에나 장착할 수 있고, 영상처리는 크로마키는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프레임(Frame)을 넣어 화면 테두리를 예쁘게 장식할 수 있으며, 따라서 뒷면을 크로마키 판으로 개조할 필요가 없어 가격이 저렴한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추가조명을 최소화하여 노래방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선명한 영상을 볼 수 있는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마이크와, 잔향처리기, 믹서, 반주음향발생기로 구성된 음향부와, 제어입력부, 제어장치, 영상제어기로 구성된 제어부 및 영상합성기, 가사자막발생기로 구성된 영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제어부에 리듬디텍터와 문자합성장치가 추가되고, 영상부에 화면효과장치, 오버레이장치 및 영상출력장치가 추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을 제공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은, 배경화면을 원하는 대로 불러올 수 있고 노래자막이외의 문자도 화면에 나타낼 수 있으며 노래하는 모습을 브이티알, DVD, 스티커사진기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하나의 노래방기기 시스템의 블록도,
도2는 종래의 다른 영상노래방기기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음향부 20 : 제어부
30 : 영상부 40 : 그래픽프로세서
50 : 재생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마이크(11)와, 잔향처리기(12), 믹서(13), 반주음향발생기(14)로 구성된 음향부(10)와, 제어입력부(21), 제어장치(22)로 구성된 제어부(20) 및 영상합성기(31), 가사자막발생기(32)등으로 구성된 영상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제어부(20)에 리듬디텍터(26), 문자합성장치(27)를 더 포함하고, 영상부(30)에 화면효과장치(360, 오버레이장치(37), 영상출력장치(38)를 더 포함하여 그외에 디코딩장치(41)와 그래픽저장장치(42)로 구성된 그래픽프로세서(40)를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을 보여준다.
제3도에 있어서, 마이크(11)를 통하여 입력된 음향이 잔향처리기(12)를 거쳐 믹서(13)를 통하여 반주음향발생기(14)에서 나온 반주음향과 적절한 크기로 섞인 후 파워앰프(15)를 통하여 스피커(16)를 구동하는 음향부(1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기존의 노래방기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영상음향복합재생장치에는, 카메라(9)에서 촬영된 영상에 화면효과장치(36)를 통하여 다양한 효과를 주고 오버레이장치(37)를 통하여 프레임, 문자, 애니메이션 등을 순서대로 화면에 배열한 후 영상합성기(31)를 통하여 가사자막발생기(32)에서 나온 가사자막과 합성한 그림이 영상출력장치(38)를 통하여 모니터(1), 멀티비젼(2)를 통해 재생하고, 그외에 브이티알(3), 스피커사진기(4), CD-ROM(5), DVD(8) 등을 통해 저장할 수 있는 재생부(50)에 출력하는 영상부(30)와, 그래픽저장장치(42)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고정자막, 이동자막, 그래픽 애니메이션 등을 디코딩장치(41)를 통하여 영상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그래픽 프로세서(40)와, 외부의 반주음향을 감지하여 그 리듬을 분석해서 제어 타이밍을 조절하는 리듬디텍터(26), 문자를 입력시키고 화면에 메뉴 및 상태를 표시해 주는 문자합성장치(27)를 포함하는 제어부(20)가 있다.
상기 영상부(30)에는 카메라(9)를 3대까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부(30)는 입력된 갖가지 영상신호를 짜여진 순서대로 화면에 배열하는 오버레이(Overlay)장치(37)와 영상에 다양한 효과를 주고 입력 신호원을 선택하는 화면효과장치(36), 여러곳에 출력신호를 동시에 보낼 수 있는 영상출력장치(38)로 구성된다. 이중 오버레이장치(37)는 화면에 들어가는 프레임, 문자, 애니메이션 등을 순서대로 배열하여 그림이 깨끗하게 겹쳐지도록 한다. 종래의 노래방기기의 크로마키(Chroma-Key)방식은 아날로그 기술로서 조정이 복잡하고 깨끗한 합성화면을 출력할 수 없는데 반해 본 오버레이방식은 디지털방식을 사용하여 합성화면이 선명하고 조정개소가 전혀 없다. 화면효과장치(36)는 입력된 영상신호에 스트로브, 솔라리제이션, 모자이크, 디솔브(Sterobe, Solarization, Masaic, Dissolve)등 다양한 영상효과를 주며 최대 3대까지 입력할 수 있는 신호원을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영상출력장치(38)는 가사자막을 포함한 영상부(30)의 출력은 영상합성기(31)를 통해 모니터(1)에 나타난다. 가사자막을 제외한 영상부의 출력을 녹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멀티비젼(2), 브이티알(3), 시디-롬(CD-ROM)(4), DVD(5), 스티커사진기(6), 인터넷(7)등 어느 것이든지 접속할 수 있도록 충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영상합성기(31)와 결합하여 만들어서 모니터(1)에 출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그래픽프로세서(40)는 배경화면 및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저장하여 이들을 제어장치의 요구에 의해 불러내는 기능을 담당하여 저장된 신호를 영상신호로 바꾸어 주는 디코딩장치(41)와 그래픽저장장치(42)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영상음향복합재생장치는 이 그래픽프로세서(4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래픽저장장치(42)는 각종 프레임 그래픽, 문자 및 애니메이션 신호를 독자적 방식으로 저장하며 모듈방식으로 하여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20)는 전체적인 시스템을 총괄하는 제어장치(22), 장치를 조정하는 통합리모콘(7), 리모콘등 컨트롤신호를 받아들이는 제어입력부(21), 곡의 리듬을 분석해서 중앙처리장치의 제어 타이밍을 조절하는 리듬 디텍터(Rhythm Detector)(26), 화면에 컨트롤상태 및 메뉴를 표시해주는 문자합성장치(27)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뿐 아니라 브이티알(3)등 필요한 모든 주변기기를 종합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내장한 통합 무선리모콘(7)을 사용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노래방기기의 단조로운 화면을 탈피하여 본인의 노래하는 모습을 뮤직비디오처럼 다양한 영상효과와 아울러 촬영할 수 있게 해주며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녹화 또는 기록함으로써 기념으로서의 가치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은 기존의 노래방 기기에 덧붙여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영상의 처리방식에 있어 크로마키를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방식을 사용함으로서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 나아가 주제별 문자삽입 기능으로 녹화하는 테이프에 '사랑', '우정'등 주제가 있는 뮤직비디오를 만들 수 있다. 노래의 시작부분에 리모콘을 사용하여 본인의 이름을 집어 넣을 수가 있고 카메라로 촬영된 화면을 영상효과 처리하여 뮤직비디오의 효과를 나타낸 준다. 화면에 예쁜 프레임이 들어가도록 하여 본인의 모습을 더욱 아름답게 장식해 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예분야에 관심이 많고 누구나 주인공이 되고 싶어하는 신세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마이크(11)와; 마이크(11)에 연결된 잔향처리기(12), 믹서(13), 반주음향발생기(14)로 구성된 음향부(10)와; 리모콘(7)에 연결된 제어입력부(21), 제어장치(22)로 구성된 제어부(20)와; 카메라(9)에 연결된 영상합성기(31)와 반주음향발생기(14)에 연결된 가사자막발생기(32)로 구성된 영상부(30)와; 모니터(1)와 스피커(16)로 구성된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제어부(20)가 상기 제어장치(22)에 연결된 리듬디텍터(26)와 상기 제어장치(22)에 의해 제어되는 문자합성장치(2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부(30)가 상기 카메라(9)와 영상합성기(31) 사이에 연결된 화면효과장치(36), 오버레이장치(3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의 문자합성장치(27)의 출력을 받는 그래픽저장장치(42), 이 그래픽저장장치(42)의 출력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영상부(30)의 오버레이장치(37)에 출력하는 디코딩장치(41)를 포함하는 그래픽프로세서(40)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30)에 영상출력장치(38)가 추가되고, 이 영상출력장치(38)에 멀티비젼(2), 브이티알(3), 스티커사진기(4), CD-ROM(5)등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
KR1019980055943A 1998-12-15 1998-12-15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 KR10030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943A KR100306977B1 (ko) 1998-12-15 1998-12-15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943A KR100306977B1 (ko) 1998-12-15 1998-12-15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343A KR20000040343A (ko) 2000-07-05
KR100306977B1 true KR100306977B1 (ko) 2001-11-30

Family

ID=19563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943A KR100306977B1 (ko) 1998-12-15 1998-12-15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631B1 (ko) * 2003-10-15 2011-06-03 소니 주식회사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631B1 (ko) * 2003-10-15 2011-06-03 소니 주식회사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343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51352B2 (ja) 映像切換装置
JPH04151199A (ja) アニメーション合成表示装置
US6072933A (en) System for producing personalized video recordings
US7164441B1 (en) Video image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0209500A (ja) 記録済みの背景映像に別途撮影された人物映像を合成して表示出力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採用したカラオケ装置
KR101414217B1 (ko) 실시간 영상합성 장치 및 그 방법
JPH09247532A (ja) 画像合成方法および装置
KR100306977B1 (ko) 영상음향복합재생시스템
JP2004328788A (ja) 記録済みの背景映像に別途撮影された人物映像を合成して表示出力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採用したカラオケ装置
JP4263111B2 (ja) 背景映像ズームアップ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JP3034555U (ja) 画像合成用アダプタ装置
KR200183863Y1 (ko)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
KR19980087624A (ko) 노래방 연주기기
KR100350712B1 (ko)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
JPH07146687A (ja) カラオケ演出装置
KR20000067376A (ko) 노래 반주기 시스템을 이용한 라이브 영상제작시스템
KR0129982B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와 화상 메모리 및 영상반주기 일체형 텔레비젼
JPH04170875A (ja) 記録媒体および画像・文字情報再生装置
KR100283064B1 (ko) 영상가요 반주기의 녹화장치
JP3192035B2 (ja) カラオケ装置
JPH03105785A (ja) 複合型マイクロホン装置
JP3639387B2 (ja) カラオケ装置
JP4081880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5091756A (ja) 音楽再生装置
JP2003186484A (ja) カラオケ装置用カラースーパーインポーザ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