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967B1 - 반도체메모리집적회로장치의데이터입/출력회로배열 - Google Patents

반도체메모리집적회로장치의데이터입/출력회로배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967B1
KR100306967B1 KR1019980023610A KR19980023610A KR100306967B1 KR 100306967 B1 KR100306967 B1 KR 100306967B1 KR 1019980023610 A KR1019980023610 A KR 1019980023610A KR 19980023610 A KR19980023610 A KR 19980023610A KR 100306967 B1 KR100306967 B1 KR 100306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ata input
input
semiconductor memory
circu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716A (ko
Inventor
이창호
전준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3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967B1/ko
Priority to TW088103659A priority patent/TW410410B/zh
Priority to GB9907128A priority patent/GB2348317B/en
Priority to DE19919904A priority patent/DE19919904B4/de
Priority to US09/330,264 priority patent/US6147924A/en
Priority to JP17744499A priority patent/JP3911365B2/ja
Publication of KR20000002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25Geometric lay-out considerations of storage- and peripheral-blocks in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6Address interface arrangements, e.g. address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2Group selection circuits, e.g. for memory block selection, chip selection, array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0Aspects relating to interfaces of memory device to external buses
    • G11C2207/105Aspects related to pads, pin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Dram (AREA)

Abstract

여기에 개시되는 반도체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은 대응하는 메모리 셀 블록들 사이에 그리고 그것에 인접한 영역에 배열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사이에는, 제어 입출력 회로들 및 어드레스 입력 회로들이 배열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입/출력 핀들이 일측에 집중적으로 배열되는 편 구조 (NON-ODIC type)를 가지는 패키지에 의해서만 패키지된다. 그러한 데이터 입/출력 회로 배열 구조에 따라 구현된 초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그러한 패키지로 패키지함으로써,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및 핀들 사이에 야기되는 스큐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초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고속 데이터 엑세스 동작이 구현돌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회로 배열{ARRANGEMENT OF DATA INPUT/OUTPUT CIRCUITS FOR USE IN A SEMICONDUCTOR MEMORY INTEGRATED CIRCUIT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고속 및 초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에 적용하기에 데이터 입/출력 회로 배치 또는 패드 배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칩 레이 아웃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에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반도체 칩 상에 형성되고, 4개의 메모리 셀 블록들 (10T), (10B), (11T) 및 (11B)을 포함한다. 메모리 셀 블록들 (10T), (10B), (11T) 및 (11B) 각각은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한다. 정상 동작 동안에 (외부 엑세스 동작 동안에), 1-비트 메모리 셀이 각 메모리 셀 블록 (또는, 위쪽에 배열된 메모리 셀 블록들 또는 아래쪽에 배열된 메모리 셀 블록들)에서 선택되고, 데이터가 각 블록 (또는, 위쪽에 배열된 메모리 셀 블록들 또는 아래쪽에 배열된 메모리 셀 블록들)에 기입되거나 각 블록 (또는, 위쪽에 배열된 메모리 셀 블록들 또는 아래쪽에 배열된 메모리 셀 블록들)으로부터 독출된다.
반도체 칩의 중앙 영역 (메모리 셀 블록들과 메모리 셀 블록들 사이의 영역)에는, 신호들 (예를 들면, 어드레스, 제어 신호들, 데이터 등)의 입출력을 위한 회로들 (12), (14) 및 (16)이 배열된다. 입출력 회로들이 칩의 중앙 부분에 배열된 그러한 구조는 리드 프레임 (lead frame)의 끝들이 와이어 본딩 (wire bonding)에 의해서 칩의 중앙 영역에 배열된 입출력 회로들에 연결되는 LOC (Lead On Chip) 배열로서 알려져 있다. 칩 중앙 영역에 입출력 회로들을 정렬함으로써 입출력 회로들에 의해서 점유되는 면적이 반도체 칩의 양 측면들을 따라 주변 영역에 배열되는 구조와 비교하여 감소되고, 그것에 의해서 반도체 칩의 사용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빠른 데이터 액세스 동작이 지원되는 EDO 메모리 또는 동기형 메모리는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속화와 더불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 역시 향상되고 있다. 공정기술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칩 사이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고속 동작과 더불어 증가되고 있다. 그 결과로서, 패키지 (package) 및 칩 사이즈 역시 증가된다.
상대적으로 집적도가 낮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는, JEDEC (Joint Electron Device Engineering Council) 표준으로서 사용되는 ODIC (Outer DQ Inner Control) 타입의 핀 구조를 가지는 패키지가 사용된다. 상기한 ODIC 타입의 핀 구조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 입/출력 핀들은 패키지의 긴 길이 방향으로 양 측면의 바깥쪽에 배열되고, 그것들 사이에 즉, 안쪽에 어드레스 및 제어 핀들이 배열된다. ODIC 타입의 패키지의 예가 미국특허공보 제5,604,71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ODIC 타입의 패키지를 사용하는 비교적 낮은 집적도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 핀들이 칩 및 패키지의 긴 길이방향으로 양 측면의 바깥쪽에 배열되더라도 칩 및 패키지의 사이즈가 작아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 핀들과 시스템(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의 DMA 제어기 또는 중앙처리장치) 사이에 거리차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각 입/출력 핀들 간에 큰 스큐는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집적도가 증가되고 빠른 동작 속도가 요구됨에 따라, ODIC 타입의 패키지를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 입/출력 핀들이 패키지의 긴 길이방향으로 양측 외곽에 배열되기 때문에 일측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과 시스템(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의 DMA 제어기 또는 중앙처리장치) 그리고 타측의 데이터 입/출력 핀들과 시스템 간의 거리차 및 신호전달시간차가 더 커지는데, 이러한 차이는 고속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에서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핀들 사이에 스큐를 야기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NON-ODIC (Non Outer DQ Inner Control) 타입의 패키지가 사용되고 있다. NON-ODIC 타입을 사용하는 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이터 입/출력 핀들이 패키지의 양측 가장자리에 분산 배치되지 않고 어느 일측이 서로 인접한 영역에 집합적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데이터 입/출력 핀들과 시스템(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의 DMA 제어기 또는 중앙처리장치) 간의 거리차 및 신호전달시간차가 줄어들게 되므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핀들 사이에 스큐를 ODIC 타입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러한 핀 배열 구조를 가지는 패키지가 점차적으로 표준화되고 있다. NON-ODIC 타입의 예가 미국특허공보 제5,517,442호에 개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칩 상에 형성되는 패드들은 패키지 본딩의 편의를 위해서 패키지의 핀 배열 구조와 동일하게 배열된다. 즉, 패키지가 ODIC 타입일 때, 반도체 칩의 패드들은 ODIC 타입으로 배열되고 그리고 패키지가 NON-ODIC 타입일 때, 반도체 칩의 패드들은 NON-ODIC 타입으로 배열된다.
초고집적 (예를 들면, 1 GIGA bit)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앞서 언급한 패드 배열 방법에 따라서 구현되면 즉, 반도체 칩의 패드들이 NON-ODIC 타입의 패키지와 동일한 NON-ODIC 타입으로 배열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 자체의 전반적인 속도 지연이 초래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메모리 셀 블록들 (10T) 및 (10B) 그리고 메모리 셀 블록들 (11T) 및 (11B)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그것들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때, 메모리 셀 블록들 (10T) 및 (10B)에 대응하는 데이터 버스의 길이 (또는, 데이터 송수신 경로)가 메모리 셀 블록들 (11T) 및 (11B)에 대응하는 데이터 버스의 길이 (또는, 데이터 송수신 경로)에 비해서 더 길다.
이 경우, 메모리 셀 블록들 (10T) 및 (10B)에 대응하는 데이터 버스의 배선 저항 및 기생 커패시턴스는 메모리 셀 블록들 (11T) 및 (11B)에 대응하는 데이터 버스의 그것보다 더 커진다. 그 결과, 전자의 신호 전달 지연 (signal propagation delay)이 후자의 그것보다 더 커져, 고속 액세스 동작 (high speed access operation)을 방해한다. 특히, 데이터 독출 시점에서, 메모리 셀 블록들 (10T) 및 (10B)로부터 독출된 데이터가 대응하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에 나타나는 시점은 메모리 셀 블록들 (11T) 및 (11B)로부터 독출된 데이터가 대응하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에 나타나는 시점보다 지연된다. 그 결과, 데이터 출력 시점이 상기 지연된 시점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초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고속 데이터 엑세스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의 배열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고속 동작이 가능한 데이터 입/출력 패드 배열을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칩 레이 아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어드레스 입력 회로들, 제어 입출력 회로들의 레이 아웃을 보여주는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NON-ODIC 타입의 핀 레이 아웃을 가지는 패키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T, 10B, 11T, 11B, 100T, 100B, 110T, 110B : 메모리 셀 블록
12, 126 : 어드레스 입력 회로들 14, 124 : 제어 입출력 회로들
16, 120, 122 :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8 : 어드레스 버스
130, 132 : 데이터 버스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는 행과 열로 배열된 복수 개의 집적회로 블록들과; 제 1 및 제 2 그룹들로 나누어진 복수 개의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및;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들은 상기 집적회로 블록들에 대응하도록 그리고 상기 대응하는 집적회로 블록들 사이에 배열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들을 받아들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들 사이에 배열된 복수 개의 어드레스 입력 회로들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들의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에 대응하는 핀들이 집중적으로 배열되는 방법으로 배열된 핀 레이 아웃을 가지는 논-오딕 타입의 패키지에 의해서만 패키지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이고, 상기 각 집적회로 블록은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을 가지며, 상기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각각은 데이터 입/출력 패드 및 데이터 입/출력 버퍼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논-오딕 타입의 볼 그리드 어레이 (ball grid array) 패키지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입력 회로들 각각은 어드레스 입력 패드 및 어드레스 입력 버퍼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들을 받아들이며, 상기 제 1 그룹의 입/출력 회로들에 인접한 그리고 상기 제 1 그룹의 입/출력 회로들에 대응하는 집적회로 블록들 사이에 배열된 제어 입출력 회로들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각 제어 입출력 회로는 제어 패드 및 제어 신호 입출력 버퍼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 상기 어드레스 입력 패드들 그리고 상기 제어 패드들을 상기 논-오딕 타입 패키지의 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본딩 와이어들은 그것들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해서 다층 배선 구조로 배열된다.
[작용]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서, ODIC 타입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 배열 구조에 따라 구현된 초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NON-ODIC 타입의 패키지로 패키지함으로써,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 및 핀들 사이에 야기되는 스큐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반도체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0) 및 (122)이 대응하는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및 (100B) 그리고 (110T) 및 (110B) 사이에 그리고 그것에 인접한 영역에 배열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0) 및 (122) 사이에는, 제어 입출력 회로들 (124) 및 어드레스 입력 회로들 (126)이 배열된다 (ODIC type).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입/출력 핀들이 긴 길이 방향의 일측에 집중적으로 배열되는 핀 구조 (NON-ODIC type)를 가지는 패키지에 의해서만 패키지된다. 그러한 데이터 입/출력 패드 배열 구조 (ODIC)에 따라 구현된 초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그러한 패키지 (NON-ODIC)로 패키지함으로써,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또는 패드들) 및 핀들 사이에 야기되는 스큐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초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고속 데이터 엑세스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의 레이 아웃을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0)는 4 개의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100B), (110T) 및 (110B)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100B), (110T) 및 (110B)은 적어도 1비트 2진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 (menory cells)을 포함한다. 상기 4 개의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100B), (110T) 및 (110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및 (100B)의 중앙 부분과 상기 메모리 셀 블록들 (110T) 및 (110B)의 중앙 부분에는, 제 1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0) 및 제어 입출력 회로들 (124) 그리고 어드레스 입력 회로들 (126)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2)이 각각 배열된다. 비록 도 2에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 (DQ 패드), 제어 패드들 (CLK, UDM, LDM, CKE, UDQS, LDQS, /WE, /RAS, /CAS, /CS 패드 등), 그리고 어드레스 패드들 (A0-A2 및 BA0-BA1 패드)과 그들에 대응하는 버퍼 회로들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회로들 (120), (124) 및 (126) 각각이 대응하는 상기 패드들 및 버퍼 회로들로 구성된다는 것이 자명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회로들 (120), (122), (124) 및 (126)은 LOC (lead on chip) 타입으로 배열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LOC 타입의 경우에 있어서, 입/출력, 제어 입출력 및 어드레스 입력 회로들 (120), (122), (124) 및 (126)이 반도체 메모리 장치 즉, 반도체 칩의 중앙에 배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0)은 상기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및 (100B)에 대응하고,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2)은 상기 메모리 셀 블록들 (110T) 및 (110B)에 대응한다.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들을 받아들이기 위한 어드레스 입력 회로들 (126)은 상기 메모리 셀 블록들 (110T) 및 (110B) 사이의 중앙 부분에 그리고 상기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2)의 좌측 부분에 배열된다. 제어 신호들 (예를 들면, 외부 클럭, 기입/독출 동작에 관련된 신호들)을 받아들이기 위한 상기 제어 입출력 회로들 (124)은 상기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및 (100B)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 1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0)의 우측 부분에 배열된다. 도 2의 반도체 메모리 칩과 관련된 이상의 설명은 도 2의 칩이 ODIC 타입의 구조를 갖는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 입출력 회로들 (124) 및 어드레스 입력 회로들 (126)에 관련된 입력 버퍼들과 제 1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0) 및 (122)에 관련된 입/출력 버퍼들이 대응하는 패드들에 인접하여 배열됨은 이 분야에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버스 (130)는 제 1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0)과 그에 대응하는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및 (100B) 사이에 배열되고, 데이터 버스 (132)는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2)과 그에 대응하는 메모리 셀 블록들 (110T) 및 (110B) 사이에 배열된다. 어드레스 패드들을 통해서 제공되는 어드레스 버스들(128)은 회로들 (120), (122), (124) 및 (126)과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및 (110T) 사이에 그리고 그것과 메모리 셀 블록들 (100B) 및 (110B) 사이에 각각 배열된다. 도시의 편의상, 제어 패드들에 관련된 버스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서 쉽게 구현 가능하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및 (100B)의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 (130)를 통해서 독출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버스 (130)를 통해서 제 1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0)로 출력된다. 반대로, 메모리 셀 블록들 (110T) 및 (110B)의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 (132)를 통해서 독출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버스 (132)를 통해서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2)로 출력된다.
도 3은 NON-ODIC 타입의 핀 레이 아웃을 가지는 패키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 DQ0-DQ14는 데이터 입/출력 핀을 나타내고, A0-A12 및 BA0-BA2는 어드레스 입력 핀을, 그리고 CLK, /CLK, CKE, UDQS, UDM, LDQS, LDM, /WE, /RAS, /CAS, /CS는 제어 핀을, 그리고 VDD, VDDQ, VSS, VSSQ, VREF는 전원 핀을 각각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N-ODIC 타입의 패키지는 그것의 긴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만 데이터 입/출력 핀이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것의 타측에는 어드레스 입력 핀 및 제어 입출력 핀이 배치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패드들(또는 입출력 회로들)은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 (또는, DQ 패드들) 사이에 제어 신호들 (예를 들면, 어드레스, 외부 클럭, 기입/독출 동작에 관련된 신호들)에 관련된 어드레스 및 제어 패드들(또는 회로들)이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패드 배열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ODIC (Outer-DQ-Inner-Control) 타입이라 불린다. 그 결과로서, 초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도 1과 같은 패드 배열(또는 입출력 회로 배열)이 적용될 때 야기될 수 있는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및 (100B)과 메모리 셀 블록들 (110T) 및 (110B)에 관련된 제 1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0) 및 (122) 사이의 스큐가 감소될 수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ODIC 타입의 경우 제 1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또는 패드들) (120)가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및 (100B)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고,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또는 패드들) (122) 역시 메모리 셀 블록들 (110T) 및 (110B)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며,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및 (100B) 각각으로부터의 제 1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0) 각각의 거리가 메모리 셀 블록들 (110T) 및 (110B) 각각으로부터의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2) 각각의 거리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및 (100B)으로/로부터 데이터를 기입/독출할 때, 데이터 송수신 라인 즉, 데이터 버스의 길이가 도 1의 그것에 비해서 더 짧게 레이 아웃될 수 있는데, 이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또는 패드들) (120) 및 (122)이 칩의 좌우측에 분산 배치되어 있고 제 1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0)은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및 (100B)의 데이터 입/출력 만을 위해 사용되고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2)은 메모리 셀 블록들 (110T) 및 (110B)의 데이터 입/출력 만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NON-ODIC 타입에서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또는 패드들)(16)이 칩의 일측(도 1에서는 우측)에 배치되어 있어 메모리 셀 블록들 (10T) 또는 (10B)로부터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16)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것에 비해, 제 1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120) 및 (122) 각각으로부터 대응하는 메모리 셀 블록들 (100T 및 100B) 또는 (110T 및 110B)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다. 그러므로, 단축된 데이터 버스의 길이에 상응하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 간의 스큐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즉, 반도체 칩은 단지 도 3에 도시된 NON-ODIC 타입의 패키지에만 장착되도록 구현되었다. 여기서, 도 3의 패키지는 이 분야에 잘 알려진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 (ball grid array package)이다. 그 결과로서, 데이터 입/출력 핀들 사이의 스큐 역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 버스의 길이 역시 짧아지기 때문에, 그에 따른 고속 액세스 동작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레이 아웃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 (DQm), 어드레스 패드들 (An) 그리고 제어 패드들과 대응하는 볼핀들을 연결하는 와이어들이 교차될 때 생길 수 있는 와이어들 간의 단락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와이어들은 다층 배선 구조로 배열될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반도체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들고 그것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메모리 장치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어떠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 입/출력 핀들이 일측에 집중적으로 배열되는 NON-ODIC 타입으로만 패키지되는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이 ODIC 타입으로만 배열된다. 그 결과 대응하는 집적회로 블록들과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라인들이 상대적으로 짧게 레이 아웃될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 간의 스큐가 감소될 수 있고, 초고집적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행과 열로 배열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록들과; 제 1 및 제 2 그룹들로 나누어진 복수 개의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및;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들을 받아들이는 복수 개의 어드레스 입력 회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메모리 셀 블록은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들은 상기 메모리 셀 블록들에 대응하도록 그리고 상기 대응하는 메모리 셀 블록들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어드레스 입력 회로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들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들의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에 대응하는 핀들이 집중적으로 배열되는 방법으로 배열된 핀 레이 아웃을 가지는 논-오딕 (Non-Outer-DQ-Inner-Control) 타입의 패키지에 의해서만 패키지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 각각은 데이터 입/출력 패드 및 데이터 입/출력 버퍼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논-오딕 타입의 볼 그리드 어레이 (ball grid array) 패키지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입력 회로들 각각은 어드레스 입력 패드 및 어드레스 입력 버퍼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들을 받아들이며, 상기 제 1 그룹의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에 인접한 그리고 상기 제 1 그룹의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에 대응하는 메모리 셀 블록들 사이에 배열된 제어 입출력 회로들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각 제어 입출력 회로는 제어 패드 및 제어 신호 입출력 버퍼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 상기 어드레스 입력 패드들 그리고 상기 제어 패드들을 상기 논-오딕 타입 패키지의 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본딩 와이어들은 그것들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해서 다층 배선 구조로 배열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9980023610A 1998-06-23 1998-06-23 반도체메모리집적회로장치의데이터입/출력회로배열 KR100306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610A KR100306967B1 (ko) 1998-06-23 1998-06-23 반도체메모리집적회로장치의데이터입/출력회로배열
TW088103659A TW410410B (en) 1998-06-23 1999-03-10 An arrangement of data input/output circuits for use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GB9907128A GB2348317B (en) 1998-06-23 1999-03-26 An arrangement of data input/output circuits for use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DE19919904A DE19919904B4 (de) 1998-06-23 1999-04-30 Anordnung von Dateneingabe-/-Ausgabeschaltungen zur Verwendung in einem Halbleiterspeicherbauelement
US09/330,264 US6147924A (en) 1998-06-23 1999-06-11 Arrangement of data input/output circuits for use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17744499A JP3911365B2 (ja) 1998-06-23 1999-06-23 半導体メモリ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610A KR100306967B1 (ko) 1998-06-23 1998-06-23 반도체메모리집적회로장치의데이터입/출력회로배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716A KR20000002716A (ko) 2000-01-15
KR100306967B1 true KR100306967B1 (ko) 2001-11-30

Family

ID=1954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610A KR100306967B1 (ko) 1998-06-23 1998-06-23 반도체메모리집적회로장치의데이터입/출력회로배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06967B1 (ko)
TW (1) TW410410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10410B (en) 2000-11-01
KR20000002716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3050B2 (ja) 半導体記憶装置、ダイナミック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および半導体装置
US20020088633A1 (en) Multi-chip memory devices, modules and control methods including independent control of memory chips
US6353549B1 (en) Architecture and package orientation for high speed memory devices
JP2647023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6818983B2 (en) Semiconductor memory chip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US20030089926A1 (en) Semiconductor device
EP0533589B1 (en) A semiconductor device
US7956470B2 (en) Semiconductor device
JP3911365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
US7099175B2 (en) Semiconductor memory integrated circuit
KR100306967B1 (ko) 반도체메모리집적회로장치의데이터입/출력회로배열
US6242812B1 (en) CSP pin configuration compatible with TSOP pin configuration
US20070090500A1 (en) Housed DRAM chip for high-speed applications
EP0788109A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improved wiring in input terminal
JPH07288282A (ja) 半導体装置
KR100476393B1 (ko) 패키지 테스트 시간을 줄이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JP2006140466A (ja) 半導体記憶装置
JP2725467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
JP2003224225A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
JPH0358544B2 (ko)
US8238133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a selection circuit selecting a specific pad
KR100652411B1 (ko) 본딩패드 수를 극대화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15966224A (zh) 多晶粒封装
KR20040066998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패드 배치구조 및 패드 배치방법
KR20020025704A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