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854B1 -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854B1
KR100305854B1 KR1019990027515A KR19990027515A KR100305854B1 KR 100305854 B1 KR100305854 B1 KR 100305854B1 KR 1019990027515 A KR1019990027515 A KR 1019990027515A KR 19990027515 A KR19990027515 A KR 19990027515A KR 100305854 B1 KR100305854 B1 KR 100305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harging
battery pack
battery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9240A (ko
Inventor
구재승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2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854B1/ko
Priority to JP33045299A priority patent/JP4313913B2/ja
Priority to US09/456,134 priority patent/US6147473A/en
Priority to EP99124038A priority patent/EP1067654A1/en
Publication of KR2001000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02J7/00718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grad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배터리 팩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을 하고, 방전을 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 충전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팩을 전전력 충전을 하다가 상기 배터리 팩 전압이 제1 전압 이상이면, 정전류 충전을 하고, 이후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 피크치가 제2 전압 이상이 될때마다, 순차적으로 전류를 작게 하면서 정전류 충전을 하고, 상기 배터리 팩 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제4 전압으로 정전압 충전을 하다가 충전전압이 제5전압 이상이면 충전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배터리 충전부는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터리 팩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 및 방법{A BATTERY CHARG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FOR 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팩을 충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와는 달리 모듈화되어 있는 배터리의 한정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것으로, 배터리의 한정된 에너지가 소모되면 외부 전원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기술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종래의 Hawker사의 배터리 충전 방법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파형도이다.
도1에서와 같이, 전전력(CP), 정전압(CV1), 정전압(CV2)의 3단계로 충전을 하였다.
각 충전 단계의 절환은 다음과 같다.
초기에 전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하다가 배터리 팩 전압이 14.7V*모듈 개수에 도달하면, 2단계로 전환된다. 이때, 소용되는 시간은 약 2시간 정도가 된다.
다음, 2단계에서는 14.7의 정전압 충전을 하며, 이때의 소요 시간은 1단계의 2.5배 즉, 5시간 정도가 소용된다.
다음, 약 5시간 정도의 시간이 지나고, 3단계에서도 15.8V의 정전압 충전을 하며, 이때의 시간은 1단계의 반정도 시간 즉, 1시간 정도가 되며, 1시간을 초과할 수는 없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도1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2단계와 3단계에서 심한 불균형으로 인한 모듈의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 이는 배터리 모듈들의 서로 다른 개싱(gassing) 특성에 기인한다.
또한, 종래에는 2단계와 3단계에서 시간에 의해 제어를 하기 때문에 충전중 임의의 모듈이 페일(fail)시 확산이 우려된다.
일반적으로 납산 배터리의 충전상태(SOC: state of charge) 80% 이상에서는 서로 다른 개싱 특성으로 인해 입력전류에 따라 충전전압 특성이 서로 상이하다.이런 현상이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에서는 배터리 불균형 및 페일 현상과 동일하게 감지되므로 배터리 팩의 충전제어 및 잔존용량 계산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충전전류 대 충전전압과의 관계를 이용한 각 충전단계의 전환으로 각 모듈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배터리 팩의 충전시 시간에 따른 전압 파형도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의 구성도.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방법의 흐름도.
도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충전시험 결과를 나타낸 파형도.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배터리 팩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을 하고, 방전을 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 충전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팩을 전전력 충전을 하다가 상기 배터리 팩 전압이 제1 전압 이상이면, 정전류 충전을 하고, 이후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 피크치가 제2 전압 이상이 될때마다, 순차적으로 전류를 작게 하면서 정전류 충전을 하고, 상기 배터리 팩 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제4 전압으로 정전압 충전을 하다가 충전전압이 제5전압 이상이면 충전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배터리 충전부는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터리 팩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는 배터리 충전 제어부(10)와 충전부(20), 배터리 팩(30)으로 이루어진다.
배터리 충전 제어부(10)는 배터리 팩(30)의 상태를 파악하며, 그에 따라 배터리(30) 충전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배터리 충전부(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스위치(S)가 온 되었을 때 배터리(30) 충전을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동작을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방법의 흐름도이고,
도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충전시험 결과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를 운행하여 배터리 방전 모드가 되면, 사용자는 배터리 팩(30)을 충전하기 위해 플러그를 교류전원에 꼽고 스위치(S)를 온 시킨다.
그러면, 배터리 충전 제어부(10)는 배터리 팩(30)의 초기 충전 상태(SOCinitial)를 감지하고(S20), 배터리 팩(30)을 충전하도록 배터리 충전부(20)를 제어한다.
그러면, 외부의 3상 교류 전원은 배터리 충전부(20) 내의 정류기(21)를 통해 직류로 변환되고, 직류로 변환된 5.4kw의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 팩(30)을 충전한다(S10). 이와 동시에, 배터리 충전 제어부(10)는 배터리 팩(30)의 충전전압을 감지하게 된다(S20).
다음, 배터리 팩(30)의 충전 전압이 14.7V*모듈개수이거나 배터리 팩(30) 내의 모듈중 임의의 모듈의 최대 전압이 15.0V이상이면, 배터리 충전 제어부(10)는 배터리 충전부(20)를 제어하여 11A로 정전류 충전을 한다(S30). 이때의 충전 파형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이와 같은 충전 상태에서, 도4와 같이, 다시 배터리 팩(30)의 충전 전압이 14.7V*모듈개수이거나 배터리 팩(30) 내의 모듈중 임의의 모듈의 최대 전압이 15.0V이상이면(S40), 배터리 충전 제어부(10)는 배터리 충전부(20)를 제어하여 7.6A로 배터리 팩(30)을 정전류 충전한다(S50).
이후, 도4와 같이, 다시 배터리 팩(30)의 충전 전압이 14.7V*모듈개수이거나 배터리 팩(30) 내의 모듈중 임의의 모듈의 최대 전압이 15.1V이상이면(S60), 배터리 충전 제어부(10)는 배터리 충전부(20)를 제어하여 3.8A로 배터리 팩(30)을 정전류 충전한다(S70).
이와 같은 충전상태에서, 도4와 같이, 다시 배터리 팩(30)의 충전 전압이 14.7V*모듈개수이거나 배터리 팩(30) 내의 모듈중 임의의 모듈의 최대 전압이 15.1V이상이면(S80), 배터리 충전 제어부(10)는 배터리 충전부(20)를 제어하여 2A로 배터리 팩(30)을 정전류 충전한다(S90).
이와 같은 충전 상태에서, 배터리 팩(30)의 충전 전압이 15.8V*모듈개수이거나 배터리 팩(30) 내의 모듈중 임의의 모듈의 최대 전압이 16.1V이상이면(S100), 배터리 충전 제어부(10)는 배터리 충전부(20)를 제어하여 15.8V*모듈개수의 전압으로 배터리 팩(30)을 정전압 충전한다(S110).
이 상태에서, 배터리 팩(30)의 충전 전류가 0.2A이하이거나, 배터리 팩(30) 내의 모듈중 임의의 모듈의 최대 전압이 16.3V이상이면(S120), 충전을 완전히 종료한다(S110). 단 이때, 정전압 충전 시간은 1시간 이상이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납산 배터리의 충전상태 80% 이상에서는 서로 다른 개싱 특성으로 인한 충전전압 특성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멀티 정전류 충전을 하고, 그후에는 입력전류가 적으므로 출력 전압차가 심하지 않으므로 정전압 충전을 하여 배터리 팩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9)

  1.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을 하고, 방전을 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
    상기 배터리 팩을 전전력 충전을 하다가 상기 배터리 팩 전압이 제1 전압 이상이면, 정전류 충전을 하고, 이후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 피크치가 제2 전압 이상이 될때마다, 순차적으로 전류를 작게 하면서 정전류 충전을 하고, 상기 배터리 팩 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제4 전압으로 정전압 충전을 하다가 충전전압이 제5전압 이상이면 충전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부;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충전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는 정전류 충전을 할 때, 상기 제1전류로 배터리 팩을 정전류 충전을 하다가 제2전압 이상이면, 제2전류로 충전을 하고, 다시 상기 제2전압 이상이면, 제3전류로 충전을 하고, 또다시 상기 제3전압 이상이면, 제4전류로 충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충전 장치.
  3. 배터리 팩을 전전력 충전을 하면서, 상기 배터리 팩 전압이 제1 전압 이상이지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배터리 팩 전압이 제1 전압 이상이면, 정전류 충전을 하면서 배터리 팩의 전압 피크치가 제2 전압 이상이 될때마다, 순차적으로 전류를 작게 하면서 정전류 충전을 하는 제2 단계;
    상기 배터리 팩 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제4 전압으로 정전압 충전을 하다가 충전전압이 제5전압 이상이면 충전을 종료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충전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전류로 배터리 팩을 정전류 충전을 하다가 제2전압 이상이면, 제2전류로 충전을 하고, 다시 상기 제2전압 이상이면, 제3전류로 충전을 하고, 또다시 상기 제3전압 이상이면, 제4전류로 충전을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충전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전류는 11A, 7.6A, 3.8A, 2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충전 방법.
  6. 제3항에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전류로 배터리 팩을 정전류 충전을 하다가 배터리 팩의 모듈중 어느 하나의 최대 전압이 15.1V이상이면, 제2전류로 충전을 하고, 다시 15.1V 이상이면, 제3전류로 충전을 하고, 또다시 15.1V 이상이면, 제4전류로 충전을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충전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 팩을 제4전류로 정전류 충전을 하면서, 상기 배터리 팩의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전압이라도 15.0V 이상이면, 상기 제3 단계로 넘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충전 방법.
  8. 제3항에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배터리 팩을 전 전력 충전을 하면서, 상기 배터리 팩의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전압이라도 15.0V 이상이면, 상기 제2 단계로 넘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충전 방법.
  9. 제4항에서,
    상기 제3단계에서,
    제4 전압으로 정전압 충전을 하다가, 상기 배터리 팩의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전압이라도 16.3V 이상이면, 충전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충전 방법.
KR1019990027515A 1999-07-08 1999-07-08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0305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515A KR100305854B1 (ko) 1999-07-08 1999-07-08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 및 방법
JP33045299A JP4313913B2 (ja) 1999-07-08 1999-11-19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パック充電装置及び方法
US09/456,134 US6147473A (en) 1999-07-08 1999-12-07 Electric car battery pack charging device and a method
EP99124038A EP1067654A1 (en) 1999-07-08 1999-12-09 Electric car battery pack charging device and a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515A KR100305854B1 (ko) 1999-07-08 1999-07-08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240A KR20010009240A (ko) 2001-02-05
KR100305854B1 true KR100305854B1 (ko) 2001-11-01

Family

ID=1960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515A KR100305854B1 (ko) 1999-07-08 1999-07-08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47473A (ko)
EP (1) EP1067654A1 (ko)
JP (1) JP4313913B2 (ko)
KR (1) KR100305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2401A (zh) * 2014-09-29 2014-12-24 云南中医学院 一种低能耗电池组并联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2744B1 (en) * 1999-02-24 2001-05-15 Denso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condition of self-generation electric vehicle
JP3839382B2 (ja) * 2002-09-13 2006-11-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載蓄電装置の制御装置
EP1429441A3 (de) * 2002-12-12 2006-10-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Ladung einer Batterie
JP5170610B2 (ja) * 2006-02-28 2013-03-27 日立工機株式会社 充電装置
JP5228322B2 (ja) * 2006-08-30 2013-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劣化評価システム、車両、蓄電装置の劣化評価方法およびその劣化評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4640391B2 (ja) 2007-08-10 2011-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20100291427A1 (en) * 2009-05-15 2010-11-18 Sinoelectric Powertrain Corporation Modular powertrain, systems, and methods
US20100291419A1 (en) * 2009-05-15 2010-11-18 Sinoelectric Powertrain Corporation Battery pack heat exchanger, systems, and methods
US20100291418A1 (en) * 2009-05-15 2010-11-18 Sinoelectric Powertrain Corporation Battery packs, systems, and methods
US20100291426A1 (en) * 2009-05-15 2010-11-18 Sinoelectric Powertrain Corporation Flexible fusible link, systems, and methods
CN102118039A (zh) * 2009-12-30 2011-07-06 易维特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组的平衡充电系统、充电模块、充电装置及充电方法
CN102118043B (zh) * 2009-12-31 2013-12-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对动力电池充电的太阳能充电器
CN101860060B (zh) * 2010-05-31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指示充电电池电量的方法及装置
US8841881B2 (en) 2010-06-02 2014-09-23 Bryan Marc Failing Energy transfer with vehicles
US20130346166A1 (en) * 2011-03-08 2013-12-26 Nec Corporation Charging service system, server apparatus, and charging service method
CN102350954B (zh) * 2011-07-20 2013-09-11 上海雷博新能源汽车技术有限公司 嵌入式快速充电装置及纯电动汽车
CN103187771B (zh) * 2011-12-31 2015-08-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及其放电装置
JP2013230055A (ja) * 2012-04-26 2013-11-07 Honda Motor Co Ltd パワー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CN103036286B (zh) * 2012-12-07 2014-10-15 重庆大学 一种含dc/dc变换器的全钒液流电池安全充放电控制方法
CN103490490B (zh) * 2013-09-29 2016-05-04 华南理工大学 模块化电动汽车车载充电机及其充电方法
KR20150054464A (ko) * 2013-11-12 2015-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시스템
DE102014205167A1 (de) * 2014-03-20 2015-09-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Nachladen von in Fahrzeugen eingesetzten Batteriezellen und Laderegler zum Ausführen eines solchen Verfahrens
CN104377797B (zh) * 2014-11-18 2016-08-24 国家电网公司 一种电动汽车充电机
CN104578303B (zh) * 2015-01-16 2017-02-22 北京现代汽车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交流充电方法及装置
CN105071451A (zh) * 2015-07-14 2015-11-18 合肥华信电动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电池管理系统
CN105071516A (zh) * 2015-07-18 2015-11-18 黄鹂 一种晶闸管驱动的电动车电池充电器
KR101989491B1 (ko) * 2015-11-30 2019-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언노운 방전 전류에 의한 배터리 셀의 불량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8123183B (zh) * 2016-11-29 2020-01-07 深圳车库电桩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锂电池的充电方法
CN109980710B (zh) * 2017-12-28 2020-10-02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插电式复合电源车的充电系统以及充电控制方法
CN112055913A (zh) * 2018-05-31 2020-12-0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充电控制装置、输送设备以及程序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8476A1 (de) * 1985-08-08 1987-02-19 Gfs Ges Fuer Stromversorgungs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adung einer traktionsbatterie
US5367244A (en) * 1993-01-19 1994-11-22 Premier Engineered Products, Inc. Battery charging method with stepped current profile and associated charger
US5633576A (en) * 1993-01-19 1997-05-27 Premier Engineered Products, Inc. Battery charging method with stepped current profile with operating parameter compensation and associated charger
DE4311586A1 (de) * 1993-04-08 1994-10-13 Varta Batterie Verfahren zum Laden von Bleiakkumulatoren mit festgelegtem Elektrolyten
JP3136926B2 (ja) * 1994-11-08 2001-0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蓄電池の状態管理システム
US5696436A (en) * 1995-10-27 1997-12-09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battery charging
JPH09168240A (ja) * 1995-12-12 1997-06-24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充電装置
JPH09294337A (ja) * 1996-04-24 1997-11-11 Fuji Heavy Ind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充電制御システム
JPH10327541A (ja) * 1997-05-26 1998-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発電機の制御装置
US6020722A (en) * 1997-06-30 2000-02-0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Temperature compensated voltage limited fast charge of nickel cadmium and nickel metal hybride battery packs
US6057665A (en) * 1998-09-18 2000-05-02 Fire Wind & Rain Technologies Llc Battery charger with maximum power trac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2401A (zh) * 2014-09-29 2014-12-24 云南中医学院 一种低能耗电池组并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240A (ko) 2001-02-05
US6147473A (en) 2000-11-14
JP4313913B2 (ja) 2009-08-12
EP1067654A1 (en) 2001-01-10
JP2001037097A (ja) 200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854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 및 방법
US8134342B2 (en) Method for pulsed charging of a battery in an autonomous system comprising a supercapacitance
JP4510753B2 (ja) 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326704B1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JP5092812B2 (ja) 組電池の監視装置および故障診断方法
CN102574470A (zh) 车辆的充电系统及包含该车辆的充电系统的电动车辆
EP1122852B1 (en) Electrical storage capacitor system having initializing function
EP1465319B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with circuit for degradation judgment of storage battery
CN110341543A (zh) 高压下电控制方法、交流充电系统及电动汽车
JP2014068524A (ja) 電源装置、及び組電池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322859B1 (ko) 복수개의 이차전지 고속충전 방법 및 장치
KR20190100594A (ko)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JP2002209301A (ja)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上がり時のバックアップ装置
JP2010273412A (ja) 二次電池の充電制御装置
US20100327808A1 (en) Control unit
KR101794101B1 (ko)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5733132A (zh) 电源系统
RU2717962C1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ической зарядки накопителя энергии
KR20220096838A (ko)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CN111786450B (zh) 储能系统的控制方法
KR20210012556A (ko)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KR100581200B1 (ko) 이차전지 충방전 장치용 전원장치
JPH05219655A (ja) バッテリーチャージャ
CN219351299U (zh) 电源设备
CN207475240U (zh) 一种电池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