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153B1 - 우선순위에따라원격국을선택하는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우선순위에따라원격국을선택하는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153B1
KR100304153B1 KR1019950702260A KR19950702260A KR100304153B1 KR 100304153 B1 KR100304153 B1 KR 100304153B1 KR 1019950702260 A KR1019950702260 A KR 1019950702260A KR 19950702260 A KR19950702260 A KR 19950702260A KR 100304153 B1 KR100304153 B1 KR 100304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ation
slot
priori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2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셉 민츠
Original Assignee
요셉 민츠
류,헬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셉 민츠, 류,헬렌 filed Critical 요셉 민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우선순위와 관련된 가변 특징을 갖는 복수의 원격국간의 우선순위 구분을 위한 방법은 복수의 원격국에 호출을 전송하는 단계와, 각각의 원격국에 대한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각각의 원격국에서 우선순위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소정 시간 및 주파수로 원격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하나 이상의 원격국이 동일 시간 및 주파수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우선 순위에 따라 원격국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선택 기준에 따라 복수의 관계자에게 각각의 이산적우선 순위를 반복하여 할당하고, 각 반복 동안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관계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 관계자를 목표로 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특정 선택 기준에 따라 복수의 관계자 중 한 명 또는 수 명의 관계자를 목표로 정하여 가능한 한 신속히 식별하고자 하는 공통의 요구가 있다.
예를 들면, 화재 또는 어떤 다른 위험이 발생한 것을 특정 지역내의 모든 사람에게 통보하는 경보 시스템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물론 각각의 사람을 식별할 필요없이 위험에 처한 모든 사람을 목표로 설정한다. 한편,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한 명의 관계자 또는 복수의 관계자에게 특정 업무를 할당하기 위하여 특정 선택 기준에 기초한 우선 순위에 따라 한 명 이상의 관계자를 선택할 필요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 있는 고객에게 택시나 메신저를 급파하는 급파 시스템(dispatching system)에서, 특정 고객에게 적절한(바람직하게는, 가장 적절한)택시 또는 메신저를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가장 인접해 있고, 손님이 없어 고객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택시가 고객에게 급파되어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할당은 가능한 한 단시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기존의 급파 시스템은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중앙 급파국(dispatch station)과 이 중앙 급파국과 통신하기 위해 각각의 관계 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는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급파기(dispatcheer)는 요구를 각 관계 차량에 음성으로 송신하고, 또 급파기는 차량으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현재 가지고 있는 태스크에 어느 차량이 가장 적합한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선택 기준이 정적인 변수에만 관련되는 경우에는 단순히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유일한 선택 기준이 고객으로부터 택시까지의 거리에 있고, 각 택시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택시의 위치를 한번 추출할 펼요가 있으며, 그 후에 어느 택시가 고객의 위치에 가장 인접해 있는지를 판정하는 것은 간단하다. 그러나, 사실상, 선탤 기준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동적 변수이기 때문에 고객으로부터 택시까지의 거리(및/또는 소정의 태스크를 위해 택시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다른 정보)를 계속해서 갱신하거나 또는 적어도 택시가 급파될 때마다 갱신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각 택시의 위치를 나타내고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지도를 갖는 급파기에 제공함으로써 갱신이 행해진다. 이러한 갱신을 행하기 위하여, 각 택시는 통신 채널을 통해 위치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송신 데이타가 장애없이 신속히 수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신 시스템의 전체 스펙트럼 폭을 상당히 크게 해야 한다.
또한, 택시 또는 메신저 서비스라고 하는 특별한 경우에도, 태스크를 할당하는 유일한 기준이 고객 위치로부터의 거리만이 아니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가장 인접한 메신저나 택시에 이미 손님이 있어서 그 태스크를 수행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또는, 가장 인접한 이용 가능한 택시가 택시를 필요로 하는 고객 모두를 탑승시킬 만큼의 충분한 좌석을 갖고 있지 못하거나; 또는 상당히 큰 짐을 운반해야만 하는 경우, 가장 인접해 있는 이용 가능한 택시나 메신저가 그 태스크에 부적합할 수도 있다.
또 고려해야 할 것은, 택시에 태스크를 할당하기 전에 현장에 있는 택시에 음성 메세지를 송신하고 응답을 기다리는 처리 과정을 진행시키지 않고, 택시 대기소에서 대기하고 있는 빈 택시를 고객에게 보내는 편이 나을 때도 종종 있다는 것이다. 몇 대의 빈 택시가 택시 대기소에서 대기하고 있거나 또는 몇 대의 택시가 고객 근처에 있는 경우에, 가장 오랜 시간동안 비어 있었던 택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도 종종 있다.
또한, 비록 멀리 있기는 하나 아직 서비스를 받지 못한 다른 고객이 있는 경우 특정 고객 위치에 가장 인접해 있는 이용 가능한 택시를 급파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종래의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몇 가지의 한계와는 별도로, 몇 가지의 선택 기준에 따라 관계자를 목표로 정하고, 가능하면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할때가 종종 있다. 이것은 부울(boolean) 또는 다른 논리 시스템의 규칙에 따라 조합될 수 있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데이타 베이스를 서치하는 것과 약간 유사하다. 그러나, 데이타 베이스 레코드는 일반적으로 정적인 것으로 1개소에 기억된다. 이와달리, 본 발명의 관계자 서브젝트는 동적인 것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변화하므로 1개소에 기억될 수 있는 정적 데이타에 의해 특징지워질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관계자를 특징짓는 동적 데이타를 1개소에서 서치할 경우에는, 그 데이타를 서치가 실행될 위치에 먼저 다운로딩 해야만 한다. 이러한 데이타가 다운로딩 되는 동안에, 이 데이타는 변화하기 때문에 다음에 실행될 서치의 정확도를 저하시킨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선택 기준에 따라 복수의 관계자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관계자가 있는 경우엔 그 관계자를 목표로 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이러한 관계자들을 단시간에 목표로 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스크를 할당하기 위해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 중 적어도 한 관계자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우선 순위"는 통상의 의미에 덧붙여 특징지워지는 사람 또는 대상에 관련된 1개 이상의 특징을 고려한 프로토콜에 따른 특징 부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호출이 복수의 원격국에 방송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송신된다. 복수의 원격국 각각은 사전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우선 순위를 계산하고, 계산된 우선 순위, 바람직하게는 우선 순위 간의 범위를 나타내는 시간주기 동안 표시 신호를 방송하거나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원격국이 동일 시간에 동일 주파수로 방송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모든 국이 동일 주파수로 방송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가 통신에 사용되며, 시간 및 주파수 모두가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모든 국이 동일 시간에 송신하며 우선 순위 범위는 송신 주파수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하나 이상의 지시 신호가 동일 시간에 동일 주파수로 방송되기 때문에 응답국을 식별할 수 없고 적어도 하나의 원격국을 특징짓는 우선 순위(더 정확하게 말하면, 우선 순위 범위, 왜냐하면 각각의 시간/주파수 "슬롯"이 우선 순위의 범위를 특징짓기 때문에)를 나타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제어 센터는 원격국의 송신을 모니터링하고 지시 신호를 갖는 어느 슬롯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지를 결정한다. 우선 순위간의 범위를 나타내는 시간(또는 시간/주파수) 슬롯에서, 바람직하게는 우선 순위의 내림차순으로 응답 시한을 배열하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제어 센터는 지시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최초의 슬롯을 조사하기만 하면 된다.
적어도 하나의 원격국이 갖는 최고 우선 순위의 범위를 판정한 후, 제2 호출을 방송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송신하여 이 범위내의 원격국만이 응답하도록 요청한다. 시간 흑은 시간/주파수 슬롯은 이러한 범위의 우선 순위간을 커버하도록 소정 프로토콜 또는 특정 호출에 의해 분배된다.
이 범위내의 우선 순위를 갖는 국은 새로운 호출에 응답하여 소정의 시간 또는 시간/주파수 슬롯에서 지시 신호를 방송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송신한다. 우선 순위의 최고 범위를 결정하고 그 범위를 재분할하는 이러한 처리는 소정 기준에 부합할 때까지 지속한다. 본 명세서에서 "목표 설정 단계"(본 명세서에서 간혹 "제1 단계"나 "단계 1"로 지칭되기도 함)로 지칭되는 이러한 처리 단계는, 우선 순위 범위가 중요하지 않게 되거나, 또는 채워진 부범위의 수가 관련된 원격국의 총수의 통계와 최종 범위에 기초한 소정의 수 이하로 떨어질 때, 또는 우선 순위 또는 어떤 다른 소정 기준에 도달할 때 종료한다.
각각의 우선 순위를 갖는 응답자(responder)의 수를 나타내는 시간 및 주파수 슬롯을 분배하는 방법은, 소정의 우선 순위를 갖는 모든 응답자가 동일 시간에 불규칙하게 결정되는(그러나, 시스템 대역폭 내에 있음) 주파수로 송신되도록 하는것이다. 얼마나 많은 주파수 슬롯이 채워지는 지를 결정함으로써 우선 순위 범위내의 응답자의 수에 대한 측정이 추정될 수 있다.
다음에, 본 시스템은 "식별 단계"(본 명세서에서 간혹 "제2 단계" 혹은 "단계 2"로 지칭됨)를 개시하여, 이전의 목표 설정 단계에서 밝혀진 우선 순위의 최고 (최종) 범위내의 각 국에 자신을 확인하도록 요청하는 추가 호출의 방송 또는 다른 방법으로의 송신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의 우선 순위를 갖는 각국은 복수의 이용 가능한 슬롯 중 한 슬롯으로부터 랜덤하게 선택한 시간, 시간/주파수 또는 주파수 슬롯에서 각 국의 식별자를 포함한 신호를 방송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송신한다. 우선 순위값의 범위 내에 있는 예상되는 원격국의 수가 높은 확률에서 한 개뿐이라고 예상되는 경우, 오직 하나의 식별 슬롯만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디코덩 스펙트럼 확산 신호와 같은 다른 타입의 슬롯이 식별단계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슬롯이 검출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목표 설정 단계 및 식별 단계에서 동일 우선 순위 범위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식별 슬롯은 더 많은 정보가 식별 상태 동안 송신되기 때문에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슬롯 보다 더 큰 정보 반송 용량을 갖는다.
복수의 원격국이 우선 순위값의 최종 범위에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원격국이 적어도 수 개의 슬롯에서 응답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식별 신호는 난해하게 된다. 그러나, 국의 개수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적어도 일부의 슬롯은 오직 하나의 식별 신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 단계에서 국간의 우선 순위 차가 일반적으로 중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신호를 갖는 국이 선택된다. 어떤 응용에서는, 하나 이상의 식별 신호가 특정 슬롯에서 방송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신호만이 명확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나의 신호를 갖는 국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우선 순위와 관련된 가변 특성을 갖는 복수의 원격국간의 우선 순위를 구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별 방법은, (a) 먼저 복수의 상기 원격국에 호출을 송신하는 단계와, (b) 상기 각 원격국에서,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각 원격국의 우선 순위를 계산하는 단계와, (c) 상기 원격국이 계산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 및 주파수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원격국이 동일 주파수 및 시간에 송신한다.
원격국은 시간/주파수 슬롯으로 분할된 소정의 주기동안 호출에 응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각 시간 슬롯은 우선 순위값의 범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우선순위값의 제한된 범위내의 우선 순위를 갖는 원격국으로부터의 응답을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호출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국은 우선 순위의 상기 제한된 범위 내에서 계산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 및 주파수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추가호출에 응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협대역내의 우선 순위를 갖는 원격국에 식별 신호를 송신하도록 요청하는 추가 호출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협대역내의 우선 순위간을 갖는 원격국으로부터의 식별 신호는 상기 원격국에 의해 랜덤하게 선택된 복수의 시간/주파수 슬롯 중 한 슬롯 동안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시간/주파수 슬롯 동안 식별 신호가 명확하게 수신되는 원격국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신의 식별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국은 그 원격국에 의해 실행되는 랜덤 처리 과정에 의해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모든 원격국은 대체로 동일 주파수로 신호를 방송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원격국은 상이한 시간 및 주파수로 신호를 송신하며, 단, 우선 순위 결정을 위해 시간 및 주파수는 계산된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모든 원격국은 동일 시간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우선 순위에 관련된 가변 특성을 갖는 복수의 원격국간의 우선 순위를 구별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a) 상기 복수의 원격국에 호출을 송신하는 제1송신기와, (b) 상기 호출에 응답하여 소정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각 원격국의 우선 순위를 계산하는 상기 각 원격국의 계산 장치와, (c) 계산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 및 주파수로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원격국 중 하나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제2송신기를 포함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을 더욱 잘 이해하고 실제로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에 관련된 주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고객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목표 설정하는 초기 단계 동안 차량을 목표로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4도는 거리에 기초하여 제2 반복 동안 차량을 목표로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의 목표 설정 단계와 관련된 각종 옵션을 나타내는 상태도의 2개 부분이다.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의 식별 단계와 관련된 각종 옵션을 나타내는 상태도의 2개 부분이다.
제7(a)도 및 제7(b)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선 순위 구별의 목표 설정 단계 및 식별 단계에 각각 관련된 타이밍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센터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 원격국에 관련한 제어 유닛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는 전형적인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이 시나리오에서, 지리적인 영역(10)은 경계(11)로 한정되며, 그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별 시스템은 제어 센터(12), 및 선택적인 복수의 택시 대기소(13,14,15)를 포함하는데, 상기 복수의 택시 대기소는 각각이 영역(10)내의 각 지역을 담당하며 상기 제어 센터(12)로 고객 요청을 송신하는 부제어 유닛을 구성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택시 대기소(13,14,15)는 관련자(예를 들면, 택시)의 각 그룹과 관련되며, 그룹 중에서 2개의 그룹(18,19)은 대기소(13,15)와 관련된다.
관계자 그룹(18,19)은 각 대기소에 인접하여 정지해있으면서 대기소로부터 명령을 대기하고 있는 몇 대의 택시를 포함하며, 택시(20,21,22,23,24) 등의 다른 택시는 영역(10) 내에서 선회하고 명령 수신 시에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미 손님이 있어 이용할 수 없다.
영역(10)의 어딘가에 위치한 고객(25)은 공중 가입자 전화망(PSTN)을 통해 전화로 제어 센터(12)에 서비스를 요청한다. 그러면 제어 센터(12)는 직접적으로 또는 모든 영역(10)을 커버하도록 위치된 원격국(30)을 통해 영역(10)내의 모든 관계자에게 지령 메세지(invitation message)를 방송한다. 또한, 제어 센터(12)는 원격국(30)을 통해 메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어 센터(12)는 직접 메세지를 방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원격국(30)은 영역(10)내에, 또는 그 영역이 커다란 빌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큰 빌딩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한 택시와 중계국간의 신호 차단을 감소한다면 그 구성 영역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간혹, 고객의 위치에서 특정 택시 대기소가 가장 인접해 있을 때는 고객(25)은 그 특정 대기소에 전화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이 택시 대기소에 관련된 택시중 한 택시가 급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대기소에 관련된 모든 택시에 현재 손님이 있는 경우(또는 다른 이유로 부적절한 경우)에는 다른 택시 대기소와 관련된 택시 중 한대를 태스크에 할당하게 된다.
이 경우에, 택시와 특정 대기소와의 관계는 고객(25)에게 할당될 택시를 선택하는데 있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구성한다. 이러한 선택 기준은 정적인 변수이며, 한번 고정된 경우에는 택시가 항상 한 대기소와 관련되기 때문에 불변한다. 그러나, 각 택시에 할당되는 실제 우선 순위는 일정하게 변동되는 몇 개의 독립적인 동적 요인의 함수이다. 이러한 동적 요인 중 고객으로부터 택시까지의 거리가 가장 중요한 예이다. 그러나, 택시의 순시 상황에 관계하는 다른 동적 조건이 택시의 각각의 우선 순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현재 손님이 승차해 있거나 모든 고객을 수용할 만큼의 좌석을 갖고 있지 않은 택시는 선택 과정에서 제외되며, 대기소에 대기중인 택시가 우선권을 갖는다. 또한, 택시의 휴지(休止) 시간도 중요한 기준이다.
일반적으로 영역(10)내의 각 택시에 할당되는 우선 순위에 영향을 주는 많은 상이한 영향 요인, 즉 선택 기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선택 기준이 이와 관련된 상이한 "가중치(weight)"를 가지므로 각각의 택시에 관련된 최종 우선 순위 각각이 할당된 실제 우선 순위에 대해 상이한 영향을 주는 많은 다른 선택 기준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어, 가장 간단한 경우로 고객(25)에 대한 택시의 거리만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간단한 경우는 다른 고객이 전에 서비스를 요청했지만 아직 처리되지 않았다고 하는 것은 고려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고객(25)에 인접해 있지만 영역(10)내에 있는 가장 인접해 있는 이용 가능한 택시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는 고객이 서비스에 대해 우선권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고객에 대한 택시의 거리만이 중요한 이런 가장 단순한 시스템에서 이러한 우선권은 인정되지 않는다.
여러 요인이 고려되는 바람직한 시스템에서, 각각의 택시에 할당되는 우선 순위는 다른 선택 기준에 각각 관계하는 성분 우선 순위 벡터의 벡터 합인 다차원 벡터로 검토될 수 있다.
고객(25)에 의한 요청에 응답하여 하나의 택시에 태스크를 할당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제2도 내지 제7도를 참고로 설명된다. 설명을 간락화하기 위해 처음에 유일한 주요 선택 기준은 고객(25)으로부터의 택시의 거리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시스템에 대한 동작의 흐름도이다. 흐름도의 좌측부는 제1의 목표 설정 단계의 동작이고, 흐름도의 우측부는 제2의 식별 단계의 동작이다. 목표 설정 단계는 모든 관계 택시에 호출 메세지를 방송하여, 미해결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우선 순위를 결정해야 하는 것을 알리는 것을 개시한다. 우선 순위 결정 기준은 호출 메세지와 함께 송신되거나, 또는 이러한 결정에 사용되는 사전 설정된 프로토콜의 일부일 수 있다. 또는, 이와 같은 프로토콜은 몇개가 있을 수 있는데, 호출은 코드에 의해 그 중 1개를 식별한다. 특정 위치로부터 택시까지의 거리가 유일한 선택 기준인 가장 단순한 급파 시스템의 경우에, 지령 메세지가 송신될 때마다 선택 기준을 택시에 알려줄 필요는 없다.
각각의 택시는 호출에 응답하여 프로토콜에 따라 자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데 선택 기준을 이용한다. 또한, 프로토콜은 복수의 우선 순위값의 범위와 통신프로토콜을 포함하며, 이 통신 프로토콜은 시간 주기 및/또는 주파수 범위를 각각이 우선 순위 범위의 하나에 관련되는 복수의 시간 또는 시간/주파수 슬롯으로 재분할한다.
모두 부적합(예를 들어, 이미 손님이 승차해 있거나 그 전의 호출에 응답하고 있는 택시의 경우)하여 추가 관계에서 바로 제외되지 않은 각 관계자는 호출 메세지에 응답하여 자신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적절한 시간 또는 시간/주파수 슬롯에서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지시 시간 슬롯 모두는 모든 관계자에게 공통인 시간 베이스에 관련한 시간에 개시한다. 동일 범위내와 우선 순위를 갖는 응답 관계자 모두가 동일 시간에 동일 주파수로 응답한다는 것에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결과, 제어 센터는 프로토콜에 따른 현재 우선 순위 분해능(priority resolution)으로 결정된 최고의 우선 순위를 갖는 관계자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시 신호를 수신한다. 펄스화된 CW인 것이 바람직한 지시 신호는 동시 송신되는 다른 지시 신호에 비해 비교적 비파괴적(non-destructive)이며, 적어도 하나의 택시가 소정의 시간 슬롯으로 응답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적어도 충분한 펄스 폭을 갖는다. 어떤 경우에는 파괴적인 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을 회피하기 위해 신호에 약간의 진동이나 다른 변동을 부가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지시 신호가 중첩될 수 있고, 또 일반적으로 중첩되기 때문에 상당히 협소한 대역폭 방송 채널이 사용될 수 있고, 동일 우선 순위 슬롯의 상이한 지시 신호를 구별할 필요가 없다.
제어 센터는 모든 응답을 모니터링하여 어느 슬롯이 진짜 지시 신호(잡음이나 다른 과도적 신호가 아닌지)를 갖고 있는지를 결정한다. 시간 슬롯은 우선 순위의 내림차순으로 배열되어, 제어 센터가 제1의 "채워진" 슬롯 다음의 모든 슬롯을 무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센터는 유효한 지시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대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모든 응답 택시를 목표로 설정한다. 후술된 것을 제외하고는, 하위 우선 순위를 갖는 택시는 차후의 고려 대상에서 제외된다.
목표 설정 단계를 종료하는 소정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면, 최고 우선 순위범위내의 우선 순위를 갖는 모든 택시에 응답하도록 요청하는 추가 호출이 방송된다. 택시의 응답은, 시간 또는 시간/주파수 슬롯이 최고의 지시된 우선 순위 범위내의 부범위(sub-range)를 나타낸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단계에서 송신된 것과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호출은 이러한 범위를 포함하며, 우선 순위 중에 슬롯을 분할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지시를 포함하기도 한다.
복수의 기준을 갖는 더 일반적인 경우에, 우선 순위 벡터는 반복 횟수 또는 우선 순위 범위의 함수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반복 동안은 휴지 시간에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고 멀리 떨어진 거리의 택시를 제외한다. 제2 반복 동안은 휴지 시간이나 다른 요인에 훨씬 큰 가중치를 부여한다. 일반적으로, 최종 호출 이후에 목적지에 더 근접하게 이동하여 증가된 우선 순위를 갖는 택시는, 이전 반복에서 최고 우선 순위를 갖지 못하거나 이러한 최고 우선 순위를 가진 것으로 검출되지 못한 경우에도 제2 반복에 참여하게 된다. 또한, 우선 순위가 이전의 반복에서 검출된 최고의 범위보다 낮은 택시에 특정 슬롯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택시는 특정 슬롯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택시보다 우선하게 된다.
반복 과정 동안에 이러한 관계자 수의 감소는 소정 기준에 이를 때까지 지속된다. 이러한 기준에 달성된 우선 순위 분해능을 고려하여도 된다. 이 기준은 제외되지 않은 차량의 수에 대한 통계적인 추정을 포함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당한 수의 서브-슬롯이 할당되는 소정의 반복 과정 동안 오직 하나 또는 소수의 서브-슬롯만이 응답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시스템에 남겨진 택시의 수가 적다라고 생각하여, 반복 처리(및 목표 설정 단계)를 종료할 수 있다.
간혹 사용되기도 하는 다른 반복 방법은 제1 단계의 응답자를 단일 범위나 한정된 수의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다. 중요한 범위는 고객으로부터 0 - 10 Km사이라고 가정한다. 제1 호출은 고객으로부터 5 Km 이내에 있는 택시로부터의 응답만을 요구한다. 이 거리는 여러 범위로 분할될 수도 있고, 하나의 범위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응답이 없을 경우, 호출은 5 - 10 Km 이내의 택시로부터 응답을 요구한다. 응답이 있는 경우, 범위를 다시 선정하여 계속해서 거리의 범위를 좁혀나간다.
바람직하게는, 목표 설정 단계에서 실제로 어떠한 관계자도 식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어 센터는 아직 특정 택시를 고객에게 급파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택시를 급파하기 전에, 우선은 제2의 식별 단계를 완료해야 하며, 이 단계에서 제1단계의 종료 시에 목표로 설정된 택시 중 한 대를 유일하게 식별한다.
추가 호출은 식별 단계가 개시되었다는 것을 관계자에게 방송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송신한다. 제1 단계의 종료 시에 남아 있는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 전부는 복수의 식별 슬롯(시간 또는 시간/주파수 슬롯일 수 있음)중 한 슬롯에서 자신의 식별 코드를 방송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송신하도록 지령을 받는다. 이러한 슬롯은 택시가 송신하는 정보에 비례하는 지속 시간을 가진다. 식별 시간 슬롯의 수는 프로토콜에 따라 결정되고 응용분야에 따라 변화되며, 남아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관계자의 수를 기초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파 시스템에서, 우선 순위 스케일은 고객으로부터 10 Km의 거리로 연장되며, 최초의 우선 순위 분해능(거리 기준이 관련되는 범위에서)은 1 Km이며, 이 거리는 연속적인 두 번의 반복 과정 동안 100 m로, 최종에는 1 m로 감소된다. 이러한 미세 우선 순위 분해능에서, 복수의 택시가 목표로 설정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으므로 소수의 시간 슬롯만을 갖는 신속하게 수렴하는 식별 단계로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중 한 관계자를 식별하기에 충분하다. 1 m의 거리가 택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으로 제시되지는 않지만, 이러한 미세 구분의 이용은 식별 단계에 관계하는 택시의 수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프로토콜은 충분한 구별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할당되는 식별 시간 슬롯의 수에 있어서 일어날 수 있는 오차를 허용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식별 슬롯이 어떠한 방법으로 할당되지 않아도, 택시는 자신의 슬롯을 랜덤한 방법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약간의 슬롯에서 복수의 택시가 그 식별 정보를 방송하게 된다. 제어 센터는 이러한 방송을 식별할 수 없으며 선택할 수 있는 제1 택시를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승차 인원이 택시 한 대를 초과하는 경우와 같이 동일 목적지에 대해 다중 급파가 요구되는 경우, 요구된 수의 택시가 급파될 때까지 제2 단계를 수 회 반복해야 한다. 또한, 극단적인 경우에는 최저의 우선 순위를 갖는 택시로부터 식별하기 위해 호출할 필요가 있다.
목표 설정 단계에서와 같이, 식별 단계에서 한 슬롯을 호출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택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택시는 목적지에 더 근접하게 이동하거나 또는 간섭이나 차단으로 인해 수신기가 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제1 단계 동안에는 연속적으로 소수의 관계자를 반복하여 목표로 설정하고 제2 단계 동안에는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의 소망의 수를 식별하는 전반적인 방법을 상술하였으며, 이제는 제1도에 도시된 시나리오의 특정 응용에 대해 제3도 내지 제7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제3도를 참고로, 고객(25)이 택시를 요청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25)을 중심으로 하고 경계(35)를 갖는 원형 목표 설정 영역(40) 내에서 고객(25)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Va, Vb, Vc 및 Vd로 표시된 4 대의 택시가 있다. 경계(35) 외부의 택시는 고려 대상에서 제외된다.
목표 설정 영역(40)은 복수의 동심 섹터로 분할되며, 이 섹터들은 각각이 폭R을 가지며 고객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최외각 섹터(42,43,44 및 45)만이 도시된다. 인접한 섹터(42와 43, 43과 44, 44와 45)는 분명하게 하고 설명의 편의상 제3도에서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접촉하고 있다.
차량 Vb와 Vc는 제1(최내각) 섹터(42)내에 있으며, 차량 Vd는 중간 섹터(44)내에 있고, 차량 Va는 최종(최외각) 섹터(45)내에 있다. 고객에 대한 서비스 태스크를 고객과 가장 인접해 있는 택시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최내각 섹터(42)내에 있는 두 차량 Vb와 Vc 중 한 차량이 그 태스크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식별되어야만 한다. 또한, 임의의 특정 섹터 내에 있는 차량 대수가 섹터폭의 함수라는 것은 분명해진다. 그러므로, 각 섹터의 폭이R에서 외3R로 증가되는 경우, 차량 Vb, Vc 및 Vd는 본래의 섹터(42 - 44)를 포함한 새로운 최내각 섹터에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각 섹터의 폭R은 우선 순위가 관계 차량에 할당되는 우선 순위 분해능을 구성한다. 분해능이 열악할 수록(즉, 더 낮을 수록) 선택 기준에 일치하여 이와 관련된 특정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택시의 수가 더 많아지며, 분해능이 더 미세할 수록(즉, 더 높을 수록) 선택 기준에 일치하여 대응하는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차량의 수가 더 적어진다.
따라서, 목표 설정의 제1 단계에서 적은 그룹의 택시를 선택한 후 최고 우선순위 택시를 목표로 설정하는 제2 단계에서 열악한 분해능(그러나, 제1 단계에서 보다는 더 세분됨)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되며, 제어 센터(12)는 모든 관계자에게 호출 메세지를 송신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호출 메세지는 시간 슬롯의 총 개수가 우선 순위의 총 개수 즉, 섹터 수와 동일하도록, 동일 폭의 시간 슬롯t의 동일 개수로 분할되는 시간 구간T를 정의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파수 다이버시티(diversity)를 이용하여 동일 시간에 제어 센터에 의해 식별 가능한 상이한 주파수의 복수의 슬롯을 정의한다.
호출 메세지를 수신하자마자, 각 관계 택시는 선택 기준에 따라 자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그 선택 기준은 가장 단순한 경우에 최대 반경 Rmax 내에서 고객으로부터 관계 차량까지의 거리만이 된다. 따라서, 차량 Vb와 Vc는 모두 최고 우선 순위가 할당되고, 차량 Vd와 Va(이 순서대로)는 계속해서 보다 낮은 우선 순위가 할당된다. 일반적으로, 목표 설정 영역(40)내에 수 백대의 차량이 있을 수 있지만, 간단하게 하기 위해 수 대의 차량만을 도면에 도시하였다. 또한, 각 차량은 디스에이블링 스위치를 갖는 송수화기(제9도 참조)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스위치를 통하여 운전사는 제어 센터(12)로부터 호출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때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운전자는 자신의 하루 일과를 끝마칠 수 있다.
활동적인 관계자 Va 내지 Vd는 자신의 우선 순위에 대응하는 시간 슬롯t이내에서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므로, 차량 Vd와 Vc가 제일 먼저 지시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 Yd가 두 번째로 자신의 지시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 Va가 세 번째로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물론, 실제 상황에서는 복수의 열악한 분해능 우선 순위에 대응하는 많은 시간 슬롯이 존재할 수 있으며, 아마도 수 백대의 차량이 동일시간 슬롯 중에 지시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데 그 자체는 중요하지 한다. 왜냐하면, 중요한 것은 그 과정의 제1 단계 동안 차량이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시간 슬롯을 결정하는 것에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시행되면, 고객에 가장 인접하고 적어도 한 대의 차량이 위치되어 있는 섹터가 분명해지기 때문에, 다른 섹터내의 모든 차량이 제외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실제 실행에 있어서, 제어 센터에서 관계자로 호출 메세지를 송신하는 방송 시간과 관계자로부터 제1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시간은 짧다. 따라서, 비교적 짧은 시간 구간에서, 현장에 있는 수 천의 관계자가 태스크에 적합한 가능성 있는 소수의 관계자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중 통신 시스템이 사용되는 경우, 제어 센터는 전체 시간T 동안 대기할 필요가 없으며 제1 지시 신호가 수신될 때에 다음 반복이나 다음 단계를 즉각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과정을 요구되는 만큼 반복적으로 되풀이하고, 반복할 때마다 우선 순위 분해능을 미세하게 하여(즉, 섹터 폭R을 점차 좁혀서) 소정의 분해능에 도달하게 한다. 이 시점에서, 잔여 섹터의 폭은 소수의 관계자만이 발견될 수 있을 정도로 상당히 작다. 물론, 특정 시간 슬롯에서 개시하는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관계자의 수에 상관없이 제어 센터는 수신한 메세지에 의해 그 관계자중 하나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얼마나 많은 관계자가 그 잔여 섹터에 존재하는 지를 알 수 없다.
제어 센터가 최고 우선 순위 관계자로부터의 응답을 처리하는 데 걸리는 수신 시간은 시간 슬롯T의 수의 함수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분해능이 증가함에 따라 시간 슬롯은 더욱 많아지게 되며, 각각이 최소 송신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최고 우선 순위 시간 슬롯을 식별하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분해능을 증가시켜 최소의 반복으로 가장 적합한 관계자를 식별하는 것과, 한편으로는 그렇게 함으로써 소정의 반복 사이클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 사이에는 트레이드 오프가 있다.
제4도는 우선 순위 분해능을 증가시키고 추가 호출 신호를 관계자에게 송신하는 목표 설정 단계의 다음 반복을 도시하고 있다. 현재의 최고 우선 순위 섹터(42)에 있는 목표 설정된 현재 관계자 Vb 혹은 Vc는 더 미세한 우선 순위 분해능에 따라 새로운 슬롯이 할당되고, 이들의 우선 순위에 대응하는 시간 슬롯 동안 지시신호를 재차 송신한다. 그 결과, Vc가 Vb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명되어 이것의 지시 신호를 먼저 송신한다. 그러나, 제어 센터에서 보면, 얼마나 많은 관계자가 지금 최고 우선 순위 섹터에 존재하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관계자가 우선 순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섹터 내에 수 백대의 관계자가 있을 수 있다 하더라도, 우선 순위 분해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소수의 관계자만을 목표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기대된다. 이들 중의 하나가 식별되어 서비스의 요청에 응답한다. 제2 단계인 이러한 식별 단계 동안, 제어 센터는 새로운 시간 구간T-ID을 할당하여 이 시간 구간을 최고 우선 순위 섹터(42)내에 있는 예상되는 관계자 수에 관련된 복수의 동일 폭의 시간 슬롯t로 분할한다. 섹터(42)내의 예상되는 관계자 수는 응용에 따라 섹터R의 분해능의 함수로서 통계적으로 판정된다. 최고 우선 순위 섹터(42)내에 유일하게 남은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 Vc는 시간 슬롯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고 그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 슬롯 내에서 식별 메세지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송신하는 관계자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다.
여전히 복수의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가 존재하는 보다 일반적인 경우에, 제어 센터는 복수의 식별 메세지를 수신하며, 그들 중 일부는 랜덤하게 선택된 동일시간 슬롯 동안 송신된다. 그러나, 그 식별 메세지 중 적어도 하나는 유일하게 식별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식별될 수 있는 관계자에게 태스크를 할당하는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가능하다면 속도라는 측면에서, 제일 먼저 유일하게 식별 가능한 관계자에게 태스크가 할당된다.
관계자중 하나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통신 프로토콜은 각각의 특정 상황에 따라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1의 최종 반복 동안 어떠한 관계자도 목표로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호출메세지가 관계자에게 전혀 도달하지 못했거나, 또는 더욱 가능성 있는 경우로서 송신 경로내의 장애물에 의해 방해되어 최고 우선 순위 관계자의 응답이 수신되지 못하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너무 많은 관계자가 단계 1의 최종 반복 동안 목표로 설정되어, 단계 2 동안 할당된 식별 시간 슬롯이 충분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에, 모든 식별 시간 슬롯 동안 식별 메세지가 충돌하여 어떤 관계자도 식별할 수 없게 된다. 하나 이상의 관계자가 식별되는 보다 일반적인 경우에, 단계 1에서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의 수가 불충분하여 단계 2에서 너무 적은 식별 메세지가 도착하게 된다.
제어 센터의 관점에서 이러한 가능성의 각각을 처리하는 여러 가지 방책을 제5도와 제6도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5도와 제6도는 각각이 목표 설정단계 및 식별 단계와 관련한 상태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두 상태도에서는 다음의 용어가 사용된다:
PHASE-1.x : 단계 1의 x번째 반복
PHASE-2.x : 단계 2의 x번째 반복
IB : 제어 센터의 방송 메세지
RD : 응답자의 신호 검출 및 신호 처리
IBPH1.x : 단계 1에서의 제어 센터의 x번째 방송 메세지
IBPH2.x : 단계 2에서의 제어 센터의 x번째 방송 메세지
TRTHP1.x : 단계 1에서의 응답자의 송신 활동의 x번째 지간 간격
TRTHP2.x : 단계 1에서의 응답자의 송신 활동의 x번째 시간 간격
X : 단계 1 또는 단계 2의 반복 수(응용에 따라 변화됨)
NIP : 현재 단계에서 실행된 층 반복 수
Limit1, Limit2 : 각각 단계 1과 단계 2에서의 응용에 좌우되는 최대 반복 수
n : 연속적인 반복의 소정 번호
PS : 우선 순위 슬롯
따라서, 제5(a)도 및 제5(b)도에서, 연속적인 반복 동안 어떠한 식별 신호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즉, MISS가 검출되는 경우), 발신자(initiator)는 아직 식별되지 않은 관계자 전부가 개개의 지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적어도 한번은 요구하며, 이것은 지시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또는 프로토콜에 따라 결정되는 최대 반복 수 동안 되풀이된다. 이후부터 분해능이 프로토콜에 따라 결정된 최소 분해능보다 더 높은(그리고, 반복 처리가 여러 다른 이유로 종료되지 않은) 동안에, 아직 식별되지 않은 관계자 전부에게 또는 분해능이 최소 분해능에 도달할 때까지 더 열악한 분해능을 갖는 다른 우선 순위를 할당한다.
MISS의 진실 여부를 검사하는 다른 방법은 추가 슬롯을 제공하여, 이 추가슬롯 동안에 할당된 우선 순위 슬롯 동안 방송해야 하는 이러한 원격국 전부가 다시 방송한다. 이 슬롯 동안 수신된 신호가 없다면 MISS가 검증된다.
제6(a)도 및 제6(b)도에서, 임의의 반복 동안 제어 센터가 어떠한 식별 신호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선행 반복 동안 수신된 식별 메세지의 수가 각각의 관계자를 식별할 수 있는데 필요한 수보다 적은 경우, 또는 유효 데이타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 센터는 아직 식별되지 않은 현재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에게 자신의 식별메세지를 송신하도륵 적어도 한번 요청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된다.
동일 식별 슬롯에 도착하는 하나 이상의 식별 메세지의 발생이나 오류 데이타의 수신과 같은 다른 이유로 인해 수신된 유효 식별 메세지의 수 각각의 관계자를 식별하는 데 필요한 수보다 적어서 각 식별의 판정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동작 과정을 취할 수 있다.
한가지 방법은, 제어 센터가 아직 남아있으면서 아직 식별되지 않은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 전부에게 이전에 할당된 수보다 훨씬 큰 수의 이산적인 식별 시간 슬롯을 할당하고 새로운 식별 시간 슬롯중 한 슬롯 동안 각각의 식별 메세지를 송신하도록 아직 식별되지 않은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에게 지시하는 것이다. 즉,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의 수는 유지되지만 더 많은 식별 시간 슬롯이 할당되어, 충돌확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소망의 수의 유효 식별 메세지가 수신될 확률을 증가시킨다. 이와 달리, 택시가 랜덤한 수를 선택하게 하여, 이것을 이용하여 어떤 기준 수와 비교하여 일부 택시를 제외시키고, 또 택시의 우선 순위 변경시에 일부 택시를 제외시킨다.
이와 달리, 프로토콜이 최대 우선 순위 분해능을 허용하는 경우, 현재 우선 순위 분해능이 최대 우선 순위 분해능보다 낮은 한은 단계 1은 순차적으로 더 미세하게 되는 우선 순위 분해능에서 아직 식별되지 않은 모든 관계자가 최대 분해능에 도달할 때까지 프로토콜에 따라 결정된 최대 반복 수에 필요한 만큼 반복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적은 수의 관계자가 목표로 설정되며, 새롭게 목표로 설정된 임의의 관계자를 식별하는 경우 단계 2에서의 충돌 확률이 다시 감소한다.
다른 한편, 순차적인 반복 동안에 선행 반복 중에 목표로 설정되는 관계자의 수가 불충분하여 유효 식별 메세지의 수가 각 관계자를 식별할 수 있는데 필요한 수 보다 적게 수신되는 경우는, 그 역이 실행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분해능이 프로토콜에 따라 결정된 최소 분해능보다 높은 한은, 단계 1은 순차적으로 더 열악해지는 우선 순위 분해능에서 지시 신호를 검출하거나 최소 분해능에 도달할 때까지 프로토콜에 따라 결정된 최소 반복 수에 필요한 만큼 반복된다. 이러한 과정은 아직 식별되지 않은 관계자 전부에 대해 행해지며, 이전에 목표로 설정되지 않은 관계자를 단계 1에서 목표로 설정함으로써 새롭게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의 소망의 수가 단계 2에서 식별될 확률을 증가시킨다.
단계 1 동안, 호출 메세지에 응답하여 어떠한 지시 신호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 센터는 관계자가 지시 신호를 재송신 하도록 적어도 한 번 요구한다. 호출 메세지의 수신시에, 관계자는 자신의 우선 순위를 할당하고 대응하는 지시 시간슬롯 동안 각각의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호출 메세지가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에게 도달하지 못했거나 또는 그들의 응답이 제어 센터에 수신되지 못하는 가능성을 커버하게 된다.
프로토콜은 적어도 하나의 종료 조건을 포함하여서, 어떠한 지시 신호도 수신되지 않았거나 및/또는 소망하는 관계자 수보다 적게 식별되는 경우에도 추가 반복을 실행하지 않는다. 이것은, 특정 응용에 있어서 식별될 수 있는 관계자가 충분치 않을 경우에 루프를 무한으로 실행하지 못하게 하는 데 필요하다.
상술한 모든 경우에서, 이미 식별된 임의의 관계자에 관한 데이타가 기억되며, 추가 관계자를 식별하기 위해서만 다음의 반복이 실행된다.
제7(a)도 및 제7(b)도는 제3도 및 제4도의 예에 있어서 제어 센터와 관계자 Va, Vb, Vc 및 Vd간의 정보 흐름에 관한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목표 설정의 최초의 단계에서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관계자가 제일 먼저 송신하도록 각 관계자는 자신의 우선 순위에 따라 시간 슬롯을 선택하는 것에 주의한다. 결과적으로, 제어 센터가 관계자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자마자, 최고 우선 순위는 어느 시간 슬롯 데이타가 제일 먼저 수신되었는지에 따라 바로 결정될 수 있다. 추가 반복이 필요에 따라 실행되므로 최저 우선 순위 관계자의 응답을 기다릴 필요가 없게 된다. 이로써 목표 설정 단계는 최적의 관계자를 포함하는 우선 순위 범위로 급속하게 수렴한다. 이것은 전이중 시스템(full duplex system)을 필요로 한다. 제7(a)도 및 제7(b)도는 반이중 시스템의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우선 순위는 관계자가 어떠한 행동을 수행한 이후의 측정 경과 시간에 따라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시의 휴지 시간에 따라 택시에 우선 순위가 할당된다.
단계 1의 제1 반복에서, 상호 공통인 우선 순위 스케일은 예를 들면 3시간의 경과 시간에 관련하며, 우선 순위 분해능은, 예를 들면 0.5시간이다. 따라서, 우선 순위 스케일의 각 간격은 0.5시간의 경과 시간에 상당한다.
단계 1의 제2 반복에서, 상호 공통인 우선 순위 스케일은 1.5시간의 경과 시간에 관련하며, 우선 순위 분해능은 2.5분이다. 따라서, 우선 순위 스케일의 각 간격은 2.5분의 경과 시간에 상당한다. 제1 반복 동안 2시간 내지 2.5시간의 시간 슬롯내에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2 단계의 시간 슬롯은 분해능이 2.5분이며, 그 범위는 이 한계치 사이에 있다.
이것이 충분히 세밀하게 고려되어 동일 우선 순위를 갖는 관계자가 과도하게 많지 않은 경우, 오직 두 번의 반복 과정으로 종료된다. 단계 2를 실행하면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중 한 관계자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식별 단계 동안 관계자가 사실상 랜덤하게 선택되므로 가장 오래 대기한 관계자가 식별된 관계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식별된 관계자가 우선 순위 분해능(이 경우에 2.5분)내에서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다는 것은 분명하다.
위와 같은 예상에도 불구하고 단계 1 동안 목표로 설정되는 관계자가 너무 많기 때문에 단계 2에서 하나의 관계자를 식별하기가 불가능한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몇 개의 옵션을 이용할 수 있다. 더 많은 식별 시간 슬롯이 단계 2에서 할당될 수도 있고, 또는 소수의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에 대해 단계 2를 반복하기 전에 (또는 전술된 다른 옵션 중 하나를 채택하기 전에) 단계 1에서 추가 반복이 예를 들어 6초의 더 세밀한 우선 순위 분해능에서 실행될 수도 있고, 또는 상술한 다른 옵션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전술된 모든 실시예에서,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를 식별하는 데 적어도 두 단계가 요구된다. 따라서, 제1 단계 동안에 관계자는 목표로 설정될 뿐이며, 다음의 제2 단계 동안에 식별된다. 그러나, 보다 고도한 방식에서는 지시 신호로서 식별메세지를 송신함으로써 제1 단계 동안 한 관계자를 식별하도록 한다. 식별 메세지는 오직 한 관계자만이 최고 우신 순위를 갖는 특정 상황에서 부호화되어, 오직 하나의 지시 신호가 최고 우선 순위 시간 슬롯에서 송신되며, 하위 우선 순위 지시 신호가 다음의 지시 시간 슬롯에 도착하기 전에 식별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도록 제어 센터에 의한 순차적인 지시 신호의 수신 사이의 시간 구간이 상당히 길다. 이와 달리, 식별 시간 슬롯은 충분히 길어서 다른 슬롯이 중첩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정의 경우에,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를 식별하는 제2 단계는 생략된다.
또, 다른 문제는 최고 우선 순위 관계자가 오동작으로 인해서 단계 1에서 목표로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자신의 지시 신호가 경로내의 장애물에 의해 방해받거나 또는 신호가 감쇄되어 지시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동일 우선 순위를 갖는 관계자가 지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지시시간 슬롯이 결정되어 이와 관련된 모든 관계자가 목표로 설정되는 경우 지시 신호를 상실한 관계자도 목표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일한 관계자의 지시 신호가 상실되는 경우는 최고 우선 순위 관계자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게 된다.
프로토콜은 이러한 가능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반복에서의 제1지시 신호를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목표로 설정되지 않은 관계자 만큼 보류한다. 제어 센터는 보류된 지시 시간 슬롯을 제외한 지시 시간슬롯 중 임의의 한 슬롯 동안에 각각의 지시 신호를 송신하도록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에게 지시하는 호출 메세지를 송신한다.
새로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가 관여되는 한, 이 처리는 본질적으로 변화되지 않는다: 새로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는 자신의 각 우선 순위에 따라 보류되지 않은 지시 시간 슬롯 중 한 슬롯에서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나, 새로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 보다 상위의 우선 순위를 갖는 이전에 목표로 설정되지 않은 임의의 관계자는 보류된 시간 슬롯동안 각각의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1의 1회 반복내에, 각 관계자에 대한 우선 순위의 할당은 적어도 관계자 일부에 관한 선택 기준의 상이한 서브세트에 관하여 행해질 수 있다. 실제로, 이것에 의해 상이한 서치 방식이 각각의 지시 시간 슬롯에 관하여 각각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제1 지시 시간 슬롯은 어떤 추가 제한없이 고객으로부터 반경 10m 이내에 위치된 모든 관계자에 관계하며, 제2 지시 시간 슬롯은 20분 이상 동안 명령을 대기해 왔고 반경 25m 이내에 위치된 모든 관계자에 관계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부울(Boolean) OR 서치 또는 다른 서치 방식은 1회반복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각 반복 동안, 관계자는 발신자에 의해 목표로 설정되지 않도록 우선 순위 스케일에서 벗어난 크기의 우선 순위를 자신에게 임의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관계자가 이미 고객을 태우고 있거나 또는 어떤 다른 이유로 명령을 수신하길 원치 않는 경우에 행해질 수 있다.
특정 반복 동안, 각 관계자에게 할당된 우선 순위는 그 자체가 관계자의 외부에 있고 독립적인 상호 공통의 스케일에 대해 절대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순차적인 반복 사이에서, 우선 순위 스케일은 선택 기준의 상이한 조합에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세밀하게 조정된 서치 방식은, 선택 기준의 제1 조합에 응답하는 모든 관계자가 제1 반복동안 목표로 설정되고, 선택 기준의 다른 조합에 응답하는 목표로 설정된 모든 관계자는 다음의 반복 동안 목표로 설정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상당히 적은 수의 관계자가 목표로 설정되어 프로토콜에 따라 소망 수의 관계자를 식별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술된 제2 단계를 개시한다.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에게 할당될 식별 슬롯의 수는 단계 1의 종료 시에 남아있는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의 수를 우선 추정함으로써 계산된다. 그 후, 각각의 식별 메세지를 송신해야 하는 추정된 수의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에 따라 식별 슬롯의 수를 계산하여, 필요한 수의 관계자를 식별하는데 필요한 총 시간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관계에서, 식별 시간 슬롯을 너무 많이 할당하는 경우와 너무 적게 할당하는 경우간에 트레이드오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식별 시간 슬롯을 너무 많이 할당하는 경우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가 초기 식별 슬롯을 선택할 확률을 감소시키므로, 최고 우선 순위 관계자의 식별에 필요한 시간이 증가된다. 한편, 식별 시간 슬롯을 너무 적게 할당하는 경우는 하나 이상의 관계자가 동일 식별 시간 슬롯을 선택할 확률이 증가된다. 이 경우에 하나 이상의 식별 메세지가 충돌하는 결과가 초래되어 각각의 관계자 식별을 불가능하게 하여, 추가 반복이 요구되므로 식별 시간이 또 증가된다. 실제로, 식별 시간 슬롯의 수는 단계 1에서 최대 우선 순위 분해능을 증가하여 단계 2에서 식별될 관계자의 예상되는 수만큼을 목표로 설정하거나, 또는 랜덤 과정을 이용하여 일부의 관계자를 제외시킴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서, 각각의 관계자에게 우선 순위를 할당하는 과정은, 관계자 자신만이 고객에 대한 자신의 위치를 알고 있기 때문에 관계하는 차량 자체에서 행해진다. 또한, 위치, 이용 가능성, 점유도(occupancy), 부하 및 그 외에 다른 선택 기준 모두를 고려하여 관계자 이동을 추적하는 것은, 지금까지 제시된 시스템에서는 중앙 급파국이 이러한 파라미터 모두를 추적해야 했던 것이 이제는 관계하는 차량 자체가 행하는 것으로 된다.
이 결과로, 제어 센터와 관계자간의 통신 채널의 스펙트럼 폭은 지금까지 제시된 시스템에 비해 비교적 좁아도 좋다. 또한, 잠재적으로 적합한 관계자를 목표로 설정하는 태스크는 제어 센터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고 관계자 자체에 분배된다. 이러한 분배에 의해 제어 센터에 요구되는 계산 업무가 감소된다.
선택 기준이 관계 차량에 명백하게 공지되어야 하지만, 이것이 공지되는 방법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선택 기준이 고정될 수 있고, 또 관계자에게 미리 공지되어 있을 수 있다(이 경우는 선택 기준은 변경되지 않는다). 또한, 선택 기준이 제어 센터에 의해 온-라인으로 결정되어 호출 메세지와 함께 모든 관계자에게 송신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된 특정 실시예에서, 목표 설정의 제1 단계 동안 각 섹터의 폭을 10 Km로 정하고 다음 단계에서는 남아있는 각 섹터의 폭을 10분의 1만큼 감소시켜 최후 섹터의 폭을 10 m로 정하여서, 10 m 폭의 섹터내에 있는 모든 차량이 식별메세지를 송신하게 한다. 또는, 각각의 할당 단계에서 각 섹터의 폭은 제어 센터에 의해 관계자에게 송신될 수 있다. 식별 단계에서의 관계자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목표 설정 단계에서의 분해능은 인위적으로 즉, 의미없는 점까지 증가될 수 있다.
태스크를 실행시키기 위해 특정 관계자를 유일하게 식별한 후, 제어 센터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예를 들면, 통신 채널상의 음성을 이용하는 등의 종래에 공지된 많은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이것을 그 관계자에게 통지한다.
또한,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한 관계자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유일하게 식별되지만, 실제로는 제2 단계의 식별을 모두 생략하는 것이 적절할 때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최고 우선 순위를 갖는 관계자를 하나 하나 유일하게 식별하지 않고 모두를 한 개의 그룹으로서 식별한다. 이러한 상황의 일례는 특정 영역에서의 서비스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이 상황에서, 소정 영역(고정 지점으로부터의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택시의 수를 모니터링하여, 그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이 충분치않은 경우 추가 차량을 그 영역으로 보낸다. 차량의 수는 예를 들면, 매우 미세한 우선 순위 슬롯 상황에서 응답하는 슬롯의 수로부터 통계적으로 추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선 순위 할당 시스템의 다른 응용은 카폰, 즉 송수신기의 이용 가능한 회선의 할당이 있다. 현재 이용 가능한 회선은 이용 가능할 때 할당된다. 따라서, 불운한 사용자는 장시간 대기해야 하는 반면, 운이 좋은 사용자는 바로 회선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회선을 사용하고자 할 때 호출 버튼을 누르거나 수화기를 들어 회선을 사용하고 싶음을 나타낸다. 카폰과 연계된 컴퓨터 칩은 회선이 요구된 시간을 기록한다.
회선은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할당된다.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 센터는 본 발명의 목표 설정 단계에 따라 우선 순위의 호출을 방송한다. 우선 순위는 대기 시간에 따라 할당되며, 개개의 전화기는 자신의 대기 시간에 따라 할당된 시간 슬롯동안 신호를 방송한다. 제2 식별 단계 동안, 하나의 전화기가 전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별되어 이용 가능한 회선을 부여받는다.
제8도를 참조하면, 제1도에 도시된 제어 센터와 관련된 주요 특징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송수신기 및 모뎀(50)은 안테나(51)에 결함되어 관계자(택시)와의 양방향 통신을 행하고, 컴퓨터(54)에 결합된 메세지 프로세서(53)에 결합되어 있다. 메세지 프로세서(53)는 송수신기로부터 복조되지 않은 신호를 수신하여, 어느 슬롯이 목표 설정 단계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결정하고 식별단계에서 관계자를 식별한다. 고객은 가장 인접한 택시 대기소에 전화를 걸어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며, 이 요청은 공중 가입자 전화망(PSTN)을 통해 컴퓨터(54)에 전송된다. 컴퓨터(54)는 고객의 전화 번호를 컴퓨터에 기억된 데이타 베이스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위치로 변환한다. 또는, 이러한 통신은 오퍼레이터에 의해서도 실행될 수 있다. 터미널(56)이 컴퓨터(54)에 접속되어 있어 오퍼레이터는 컴퓨터에 명령 및 표시 데이타를 입력한다. 또한, 이 시스템에서는 제어국의 급파기에 음성을 송신하거나 또는 택시 운전사와 고객간에 음성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제9도는 각 차량에 설치된 관계자 할당 유닛(60)과 연계된 주요 구성부를 나타낸다. 이 할당 유닛(60)은 안테나(62)에 결합되어 제어 센터(37)내의 송수신기(50)와의 양방향 통신을 행하는 송수신기(6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수신기(61)는 차량 컴퓨터(64)에 결합되어 있고, 이 차량 컴퓨터(64)는 마이크로폰/핸드셋(65)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마이크로폰/핸드셋(65)은 차량 컴퓨터(64)와 대응하는 택시 운전자간에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로 공지된 전역 위치 판정 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66) 또는 다른 위치 판정 시스템은 안테나(68)를 통해 위치 판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GPS(66)는 차량 컴퓨터(64)에 접속되며, 대응하는 관계자에 대하여 소정의 원점에 대한 위치 판정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고객의 위치가 차량 컴퓨터(64)에 제공되는 경우, 전세계 위치 판정 시스템(66)에 결합되는 차량 컴퓨터(64)는 고객에 대한 관계자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여 그 관계자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기억 수단(70)은 차량 컴퓨터(64)에 결합되며 우선 순위를 할당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기억한다. 또한, 기억 수단(70)에는 실제 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이한 영역, 예를 들면 실제 경로 거리를 더 길어지게 하는, 강이나 도로의 장해 등등 같은 장해가 기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는 핸드셋(65)을 이용하여 우선순위 스케일 범위 밖의 우선 순위를 자신에게 할당함으로써 목표 설정의 단계에서 자신을 제외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드셋(65)은 제어 센터와 음성으로 접촉하기 위한 마이크로폰과 제어 센터로부터 문서 메세지를 얻기 위한 페이징 수단(paging means)을 포함한다.
상술된 시스템은 전이중 방송 네트워크를 포함하여서 제어 센터는 최고 우선 순위 관계자를 목표로 설정하기 전에 모든 관계자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어 센터가 유효한 응답을 수신하자마자 그 응답에 대응하는 관계자는 바로 목표로 설정되거나 또는 식별될 수 있으며, 다른 관계자에게는 지시 신호 또는 식별 메세지의 송신을 중지하라고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관계자 목표 설정 및/또는 식별 단계를 더욱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일(즉, 반이중) 방송 네트워크에서도 사용될 수 있지만, 모든 관계자의 응답을 먼저 수신하여 확인할 때까지 제어 센터가 관계자에게 송신할 수 없기 때문에 목표 설정 및 식별 시간이 더 길어지게 된다.
GSP를 사용하는 대신, 관계자의 위치를 판정하는 다른 시스템이 동일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관계자의 위치에 응답하는 추측 위치(dead reckoning)에 기초한 경로 스케쥴러(scheduler)는 최소 거리의 경로를 판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스케줄러는, 도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통과차량이 있는지를 감지하고 특정 위치에 대한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그 차량에 송신하여 오차를 정정하는 센서를 포함하여도 좋다. 통상, 이러한 경로 스케쥴러는 축소된 등고선 지도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므로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또, 일반적인 교통 조건이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경로 스케줄러에 제공되어 교통 체증, 도로 공사 등이 최적 경로 결정 시에 고려될 수도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단일 채널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한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결코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적어도 두 채널을 갖는 중앙 제어 중계 시스템(centralized controlled trunking system)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각각 다른 방송 채널 상에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채널을 갖는 2 채널 방송 네트워크의 경우에, 각 호출 메세지를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하여 제1 채널과 관련된 모든 관계자는 이것을 수신한다. 자신이 제어 센터에 의해 목표로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였을 경우, 관계자는 경과 시간 측정을 개시하고 제1 채널에 고정하여 소정 경과시간을 대기한 후 방송 제어 채널로 리턴하여 다음의 호출 메세지를 수신한다.
목표로 설정되지 않은 관계자가 제1 채널에 고정되어 있는 시간은 갱신된 우선 순위가 관계자에게 할당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관계자의 상태는 동적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우선 순위를 갱신하는 경우 전단계에서 목표로 설정되지 않은 관계자는 다음 반복에서 목표로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목표로 설정되지 않은 관계자가 제1 채널에 고정되어 있는 시간은 대응하는 지시 신호 및/또는 식별메세지를 관계자가 제어 센터에 송신하여 제어 센터가 관계자를 목표로 설정 및/또는 식별하기에 충분한 시간이어야 한다.
또한, 호출 메세지를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하여 제1 채널과 관련된 모든 관계자가 수신할 수도 있으며, 자신이 제어 센터에 의해 목표로 설정되지 않았다는 것을 판정하였을 때 관계자는 방송 제어 채널로 바로 리턴하라는 명령을 제어 센터로부터 수신한다. 이것에 의해 목표로 설정되지 않은 관계자는 바로 자유롭게 되어 다른 태스크에 관련한 제2 채널 상에서의 다음 서치 방식에 관계한다.
또한, 다른 변형에 있어서는, 초기 호출 메세지는 방송 제어 채널을 통해 선택 기준과 함께 송신되어 제1 채널과 관련된 모든 관계자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호출 메세지를 수신하는 각 관계자는 선택 기준에 따라 자신의 상대적 적합도를 나타내는 각각의 우선 순위를 우선 순위 스케일에서 스스로 할당하며, 각각의 지시 슬롯 동안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목표로 설정된 관계자만이 제1 채널로 전환하며, 다음의 호출 메세지는 제어 센터에 의해 이전에 목표로 설정되지 않은 관계자들에게만 송신된다. 이 경우도 목표로 설정되지 않은 관계자는 바로 자유롭게 되어 다른 태스크에 관련한 제2 채널 상에서의 다음 서치 방식에 관계한다.
본 발명이 택시 급파 서비스라고 하는 특정 응용분야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 기준에 기초하여 자신의 각각의 적합도에 따라 복수의 관계자중에서 한 명 또는 그룹이 목표로 설정되는 보다 일반적인 응용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간략화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가 두개의 선택 기준(즉, 거리와 대기 시간)에 관해서만 설명되었지만, 실제로는 모두가 다른 상대적 가중치를 갖는 다수의 선택 기준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종합적인 서치 방식이 실현될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2 차원의 지형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3 차원 공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육지, 바다 뿐만 아니라 항공 또는 우주 여행에도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토콜이 기능하는 가변 파라미터에 대해서도 언급되어야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응용에 의존하고, 일반적으로 프로토콜에 구성된 디폴트 값이 제공된다.
따라서, 거리가 선택 기준 중 하나인 경우, 이것은 관련 파라미터의 디폴트 간으로 표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선 순위 스케일의 상한 및 하한과 단계 1에서의 각각의 반복과 관련된 우선 순위 분해능은 각각 대응하는 디폴트 값을 갖는 개개의 파라미터로 할당될 수도 있다.
물론, 할당되지 않은 모든 파라미터는 단계 1의 개시 이전에 할당되어야 한다. 이것은 과정 최초에 제1 호출 메세지가 관계자에게 송신되기 이전에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응용에서는 모든 파라미터가 그 응용에 사용되는 사전 할당된 디폴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호출 메세지는 관계자로 하여금 적합한 우선 순위 스케일을 결정하여 적합한 우선 순위 분해능으로 자신에게 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 있게 하는 처리를 단지 개시한다. 우선 순위 스케일이나 우선 순위 분해능 또는 선택 기준의 경계치를 어느 관계자에게도 알릴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이 무선 방송 네트워크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보다 일반적인 응용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와이어드 컴퓨터 시스템에 본 발명의 원리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지시 신호는 CW가 아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위치는 동적 파라미터가 아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동적 파 라미터의 세트를 갖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리는 경로 선정 시스템, 예를 들어 지연된 버스나 다른 차량을 식별하여 이를 보상하도록 다른 버스의 속도 및/또는 위치를 조정하는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응용의 제1 단계(목표 설정 단계)에서, 우선 순위는 예를 들면 차량이 예정된 시간에서 지연된 시간을 기초로 하여 정해진다. 소정의 시간 이상 예상에서 지연된 차량을 목표로 설정하고 나서 제2 단계(식별 단계)에서 식별한다. 식별된 버스에 그 정확한 위치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 버스 선상의 다른 버스에 조회하여, 그들의 위치와 펼요한 경우엔 대기하고 있는 곳에서의 그들의 예정 시간을 묻는다.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제어 센터는 정정 동작을 결정하여 서비스를 향상시킨다. 이것에는 예를 들어 스킵-스톱 유형(skip-stop fashion)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일부 버스의 속도를 상승시키거나, 일부 버스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일부 버스를 터미널에서 출발하지 못하게 하거나 또는 경로의 중간 지점에서 새로운 버스를 경로에 추가시키는 등의 단계를 포함한다. 정정 동작 계획이 수립된 후에 이러한 버스에 적합한 명령을 그들 버스에 송신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원리는 교통 체증 지역을 판정하여 이러한 지역 부근의 교통 경로를 재선정하는 경로 선정 시스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다수의 관계 차량은 현재의 지연 상태에 대한 조회를 받는다. 차량이 어느 임계치 이상 지연되고 있는 경우, 차량의 위치는 제2 단계에서 결정된다. 제2 단계에서는 식별 신호 그 자체를 송신하지 않고 그 대신 위치 신호를 송신하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오류 경보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운전자도 지연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표로 설정된 지연 차량의 위치가 판정된 후, 새로운 제1 단계(목표 설정단계)에서 특정 지연 차량에 인접한 차량을 판정하고, 다음의 제2 단계에서 지연시간의 함수로서 지연 정도를 결정한다. 또한, 다수의 조회를 행하여, 교통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이 정보를 기초로, 지연 시간의 심각함을 결정하여 다른 차량의 경로를 재선정하는 것과 같은 정정 동작을 개시한다. 특히, 교통 상태 및 지연의 지리적 범위에 관한 정보를 종래 기술로 공지되어 있는 유형의 경로 선정 장치를 갖는 차량에 송신하여 수신 차량이 최적의 경로를 선정하는 데 이용한다.

Claims (49)

  1. 정보에 관련된 지역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갖는 복수의 원격국으로부터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원격국의 각각에 동기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와: (b) 상기 복수의 원격국의 각각에서 소정 절차에 따라 각 원격국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여 특징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국이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가능한 통신 슬롯에서 송신되며, 특정슬롯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결정된 특징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서 송신되는 정보 이외의 다른 어떠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한정된 수의 통신 슬롯에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국에 대하여 적어도 단계 (b) 및 (c)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한정된 수의 통신 슬롯에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국에 대하여 적어도 단계 (b) 및 (c)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C)는 통신 슬롯마다 특징 값이 소정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특징 값의 총 범위가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여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한정된 수의 통신 슬롯에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국에 대하여 적어도 단계 (b) 및 (c)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C)는 통신 슬롯마다 특징 값이 소정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특징간의 총 범위가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여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특징 값의 범위가 선행 단계 (b)에서 보다 더 한정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 (b) 및 (c)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특징 값의 범위가 선행 단계 (b)에서 보다 더 한정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 (b) 및 (c)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특징 값의 범위가 선행 단계 (b)에서 보다 더 미세해지는 것을 이용하여 적어도 상기 단계 (b) 및 (c)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특징 값을 분해능이 선행하는 단계 (b)에서 보다 더 미세해지는 것을 이용하여 적어도 상기 단계 (b) 및 (c)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특징 값의 분해능이 선행하는 단계 (b)에서 보다 더 미세해지는 것을 이용하여 적어도 상기 단계 (b) 및 (c)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특징 값의 분해능이 선행하는 단계 (b)에서 보다 더 미세해지는 것을 이용하여 적어도 상기 단계 (b) 및 (c)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는 프로토콜에 따라 소정의 통신 슬롯에서 하나 이상의 국에 의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특정 슬롯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식별 가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슬롯은 단일 통신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슬롯은 복수의 통신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답하는 국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파수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슬롯은 상이한 시간 및 주파수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슬롯을 복수 개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슬롯으로 분할된 소정의 송신 채널로 송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슬롯 각각은 상기 특징 값의 상이한 범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신호가 송신되는 슬롯의 분배는 상기 국의 특징 값의 범위의 분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2. 제1항 내지 제13창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값은 복수의 상기 특성에 기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3.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상기 원격국이 수신하는 호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c)의 실행은 한정된 범위 내의 특징 값을 갖는 국으로부터만의 상기 호출 신호에 의해 요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국은 상기 호출에 응답하여 한정된 범위 내에서 계산된 특징 값의 보다 한정된 범위를 나타내는 통신 슬롯에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국 중 적어도 일부에 단계 (b) 및 (c)를 반복하도록 요구하는 추가 호출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7. 제1항 내지 제13창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부 슬롯에 기초한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국의 수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8.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좁은 범위내의 특징 값을 갖는 국에 정보를 가지고 있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추가 호출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9.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국의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일부의 원격국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30. 제1항 내치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절차는 상기 원격국이 수신하는 메세지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31.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국은 이동성을 가진 원격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32. 제1창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값은 상기 원격국의 식별에 의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33.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정 범위 내의 특징 값을 갖는 원격국이 복수의 슬롯 중 랜덤하게 선택한 슬롯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신호가 송신되는 복수의 슬롯 중 일부 슬롯에 의해 송신하고 있는 국의 총수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3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가능한 통신 슬롯에서 송신되며, 그 슬롯은 상기 결정된 특징 값을 나타내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국의 식별을 나타내지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35. 정보에 관련된 가변 특성을 갖는 복수의 원격국으로부터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원격국에 호출을 송신하는 제1송신기(50)와: (b) 상기 각 원격국에 설치되어, 소정의 절차에 따라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국의 특징을 결정하는 결정 장치(64,66,70)와; (c) 상기 원격국 중 하나에 각각 결합되어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제2 송신기 (61,62,64,70)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가능한 통신 슬롯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특정 슬롯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결정된 특징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슬롯에서 송신되는 정보 이외의 다른 어떠한 정보(64, 67)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송신기 중 하나 이상의 송신기는 소정의 절차에 따라 동일한 통신 슬롯에서 의도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송신기 중 하나 이상의 송신기는 소정의 절차에 따라 동일한 통신 슬롯에서 의도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기는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파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40.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일 시간에 동일 주파수로 송신하는 신호간의 파괴적인 간섭을 감소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41.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국은 상기 통신 슬롯으로 분할된 소정의 송신 채널에서 상기 호출에 응답하고, 상기 각 통신 슬롯은 일정 범위의 특징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42.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값은 상기 국의 복수의 특성에 기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43.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국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응답을 요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호출을 송신하게 하는 제어기(5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 국은 한정된 범위내의 특징 값을 갖는 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국은 상기 제2 송신기로 하여금 통신 슬롯에서 추가 호출에 응답하여 추가 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제2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슬롯은 한정된 범위내의 특징 갑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신호는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47.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송신기로 하여금, 좁은 범위내의 특징을 갖는 국에 정보를 갖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추가 호출을 송신하게 하는 회로와; 상기 각 국에 결합되어, 국에 결합된 상기 제2 송신기로 하여금 국이 선택한 복수의 통신 슬롯 중 하나의 슬롯 동안에 식별 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수단과; 자신의 식별 신호를 통신 슬롯에서 명확하게 수신하는 상기 국 중 하나를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48.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은 적어도 하나의 식별 가능한 통신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4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슬롯은 단일 통신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장치.
KR1019950702260A 1992-12-04 1993-12-06 우선순위에따라원격국을선택하는방법및장치 KR100304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10397692A IL103976A0 (en) 1992-12-04 1992-12-04 Method and system for iteratively targeting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ir priorities
IL103976 1992-12-04
PCT/EP1993/003418 WO1994014288A1 (en) 1992-12-04 1993-12-06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remote stations according to their prior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4153B1 true KR100304153B1 (ko) 2001-12-17

Family

ID=1106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260A KR100304153B1 (ko) 1992-12-04 1993-12-06 우선순위에따라원격국을선택하는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32702A (ko)
EP (1) EP0672330B1 (ko)
JP (1) JPH08504309A (ko)
KR (1) KR100304153B1 (ko)
AT (1) ATE213896T1 (ko)
CA (1) CA2150930C (ko)
DE (1) DE69331637T2 (ko)
ES (1) ES2173113T3 (ko)
IL (1) IL103976A0 (ko)
WO (1) WO1994014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09291A0 (en) * 1994-04-11 1994-07-31 Mintz Yosef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remote stations
US6437743B1 (en) 1992-12-04 2002-08-20 Yosef Mintz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and trackin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remote stations
US5586121A (en) * 1995-04-21 1996-12-17 Hybrid Networks, Inc. Asymmetric hybrid access system and method
GB2303997B (en) * 1995-08-01 2000-03-08 Marconi Gec Ltd Selecting via which fixed station a transmission with a mobile air station is to be routed based on a score derived from received selected criteria
US6493561B1 (en) 1996-06-24 2002-12-10 Fujitsu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abling efficient use of small-zone base stations
US7085775B2 (en) * 1997-04-09 2006-08-01 Sidewinder Holdings Ltd. Database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integrated dispatching
US6466138B1 (en) * 1997-09-15 2002-10-15 Andrzej Partyka Meshed telemetry system using frequency hopping for intermittent transmission
US6058137A (en) * 1997-09-15 2000-05-02 Partyka; Andrzej Frequency hopping system for intermittent transmission
US7301986B2 (en) * 1997-09-15 2007-11-27 Andrzej Partyka Frequency hopping system for intermittent transmission
US7268700B1 (en) 1998-01-27 2007-09-11 Hoffberg Steven M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6252544B1 (en) * 1998-01-27 2001-06-26 Steven M. Hoffber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224713B2 (en) 1998-04-09 2007-05-29 Andrzej Partyka Telemetry system with authentication
KR20010106122A (ko) * 1998-06-04 2001-11-29 스콧 티. 마이쿠엔 시불변 정합 필터를 이용하는 다수의 원격 송신기들의통신 및/또는 위치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3736663B2 (ja) * 1998-06-12 2006-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体検出システム
US6542808B2 (en) 1999-03-08 2003-04-01 Josef Mintz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traffic congestion
IL131700A0 (en) * 1999-03-08 2001-03-19 Mintz Yosef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traffic congestion
US6870875B1 (en) 1999-09-30 2005-03-22 Andrzej Partyka Transmission of urgent messages in frequency hopping system for intermittent transmission
US6967974B1 (en) 1999-09-30 2005-11-22 Andrzej Partyka Transmission of urgent messages in telemetry system
US6615046B1 (en) 1999-12-29 2003-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dispatch of mobile services
US6894975B1 (en) 2000-01-15 2005-05-17 Andrzej Partyka Synchronization and access of the nod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6731223B1 (en) 2000-01-15 2004-05-04 Andrzej Partyka Meshed telemetry system
WO2001075694A2 (en) * 2000-03-31 2001-10-11 Mdsi Mobile Data Solu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cheduling complex work orders for a workforce of mobile service technicians
US6925105B1 (en) 2000-05-01 2005-08-02 Andrzej Partyka Overhead reduction in system for intermittent transmission
US7209495B2 (en) 2000-09-28 2007-04-24 Andrzej Partyka Urgent messages and power-up in frequency hopping system for intemittent transmission
JP2004511188A (ja) * 2000-10-13 2004-04-08 パックスグリッド テレメトリック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自動車の遠隔測定用プロトコル
US6915239B2 (en) * 2001-01-19 2005-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portunistic decision support from intermittent interconnected sensors and data archives
ATE359580T1 (de) * 2001-02-09 2007-05-15 Yosef Mintz Verbessertes verfahren und system zum abbilden von verkehrsvoraussagen in bezug auf telematik- und routenleitanwendungen
US7181171B2 (en) * 2001-07-20 2007-02-20 Kyocera Wireless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xiliary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6950649B2 (en) * 2002-07-11 2005-09-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ulling information from a mobile vehicle within a mobile vehicle communications system
US20040162637A1 (en) * 2002-07-25 2004-08-19 Yulun Wang Medical tele-robotic system with a master remote station with an arbitrator
DE10254151A1 (de) * 2002-11-20 2004-06-17 Siemens Ag Verfahren zur kollisionsfreien Datenübertragung zwischen Schreib-/Lese-Geräten (SLG) und einem mobilen Datenspeicher (MDS) sowie Schreib-/Lese-Geräten (SLG), mobiler Datenspeicher (MDS) und Identifikationssystem für ein derartiges Verfahren
US7428450B1 (en) * 2003-12-16 2008-09-23 Garmin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database and GPS position data to generate bearing data
KR100536187B1 (ko) * 2004-09-17 2005-12-16 (주)래디안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
US7828202B2 (en) * 2005-02-24 2010-11-09 E-Courier (Beliz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port of articles
WO2010049889A1 (en) * 2008-10-27 2010-05-06 Yosef Mintz System and method to retrieve search results from a distributed database
US8699411B1 (en) 2009-09-30 2014-04-15 Google Inc. Dynamic TDMA system for TV white space MIMO wireless
US8559455B1 (en) 2009-09-30 2013-10-15 Google Inc. Dynamic scheduling scheme for TV white-space MIMO wireless system
US8396086B1 (en) 2009-09-30 2013-03-12 Google Inc. Scalable association scheme for TV white-space MIMO wireless system
US8565138B1 (en) 2009-09-30 2013-10-22 Google Inc. Random shuffling mechanism for MIMO wireless system
US9001834B2 (en) * 2012-01-12 2015-04-07 Via Telecom Co., Ltd.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s and systems
JP6565438B2 (ja) * 2015-07-31 2019-08-2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移動無線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11467274B2 (en) * 2015-09-29 2022-10-11 Tyco Fire & Security Gmbh Search and rescue UAV system and method
US10187767B2 (en) 2016-07-01 2019-01-22 Paxgrid Cdn Inc. System for authenticating and authorizing access to and accounting for 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consumption by client devices
JP7259343B2 (ja) * 2019-01-18 2023-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配車サービスシステム、配車サービス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8240A (ja) * 1982-06-11 1983-12-19 Toshiba Corp 無線配車方式
JPS6059839A (ja) * 1983-09-12 1985-04-06 Fujitsu General Ltd 移動局における応答順位設定方法
JPS6064549A (ja) * 1983-09-19 1985-04-13 Fujitsu General Ltd 移動局における応答順位設定方法
JPS6195632A (ja) * 1984-10-17 1986-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タ収集方式
GB8722806D0 (en) * 1987-09-29 1987-11-04 Spectronics Micro Systems Ltd Vehicle lo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858494A (en) 1994-07-04
JPH08504309A (ja) 1996-05-07
CA2150930C (en) 2005-07-26
US5532702A (en) 1996-07-02
CA2150930A1 (en) 1994-06-23
AU689761B2 (en) 1998-04-09
ES2173113T3 (es) 2002-10-16
EP0672330B1 (en) 2002-02-27
ATE213896T1 (de) 2002-03-15
WO1994014288A1 (en) 1994-06-23
IL103976A0 (en) 1994-05-30
DE69331637T2 (de) 2002-11-21
EP0672330A1 (en) 1995-09-20
DE69331637D1 (de)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153B1 (ko) 우선순위에따라원격국을선택하는방법및장치
US67348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and trackin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remote stations
US75742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management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5570100A (en) Method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unit's estimated time of arrival
US5493694A (en) Fast response system for a fleet of vehicles
US71997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mobile units tracking another or within a prescribed geographic boundary
US6615046B1 (en) Automatic dispatch of mobile services
KR100795990B1 (ko)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JPH0244929A (ja) 移動体位置検出方法
EP1271986A1 (en) Mobile stations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system
US6169880B1 (en) Method and system of load sharing and prioritization of radio repeaters
US6711500B2 (en) Method for vehicle dispatching system
WO200106586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a user to find a communication resource of sufficient capacity
EP0389488A1 (en) VEHICLE LOCATION SYSTEM.
US7003325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estimating location of mobile station
EA000414B1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низкой стоимости и большого радиуса действия для обмена данными с удаленными или мобильными полевыми модулями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акой системы связи
US5423066A (en) Method of responding to resource requests in a trunked communication system without call-handoff
JPH10509821A (ja) 複数の遠隔局からの情報をマッピング及び追跡する方法とシステム
WO19950279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remote stations
RU97117298A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оординат подвижного объекта, способ индентификации абонентов и определения их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абонентов с центральной станцией с индентификацией абонентов и определением их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US7430547B2 (en) 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the absence of a mobile terminal on a path
AU68976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remote stations
AU7038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remote stations
WO2024004176A1 (ja) 通信継続性のため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H0226138A (ja) 移動体位置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