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798B1 - 컨버터블 탑형 차의 덱크 텐션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컨버터블 탑형 차의 덱크 텐션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798B1
KR100303798B1 KR1019990050428A KR19990050428A KR100303798B1 KR 100303798 B1 KR100303798 B1 KR 100303798B1 KR 1019990050428 A KR1019990050428 A KR 1019990050428A KR 19990050428 A KR19990050428 A KR 19990050428A KR 100303798 B1 KR100303798 B1 KR 10030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tension
roof deck
retainer
rai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6600A (ko
Inventor
김기혁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798B1/ko
Publication of KR20010046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 B60J7/1226Soft tops for convertibl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5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on or reduction of noise, e.g. of rattling or vibration of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버터블 탑형 차의 덱크 텐션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후방측 개구부를 따라 바디(11)에 고정되는 리테이너(10)와;
상기 리테이너(10)의 경계부 수곳에서 스트립(21)으로 결착되어 개구부를 덮는 루프데크(20)와;
상기 리테이너(10)의 양측 상부에 고정 부착되며 레일홈(31)이 파여지는 피봇 브라켓트(30)와;
상기 루프데크(20)의 측방으로 부터 후방측 상단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절곡성형되고 그 양단에 결합된 피봇핀(41)이 피봇 브라켓트(30)의 레일홈(31)의 안내로 위치이동되어 상기 루프데크(20)의 텐션 및 텐션풀림 위치로 전환되는 너클 보(4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너클 보(40)의 간단한 위치 전환으로 루프데크(20)가 팽팽한 텐션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어 외관미와 정숙한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보의 설치 갯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부품 및 공정수의 간소화로 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컨버터블 탑형 차의 덱크 텐션유지장치{TENSION MAINTAINING DEVICE FOR DECK FOR A CAR OF CONVERTIBLE TOP TYPE}
본 발명은 컨버터블 탑형 차의 덱크 텐션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루프데크의 설치가 용이하고 적절한 텐션을 유지하여 주행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 정숙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그 생산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버터블 탑형(CONVERTIBLE TOP TYPE) 차는 필요에 따라 차량의 후방부를 개방시킨 오픈카형식으로 이용하고, 개방부에 루프데크(DECK)를 설치하여 차내를 차단하는 형식의 차량이다.
루프데크는 통상 두껍고 유동성을 갖는 직물지로 측방 내지 후방에 투명한 창을 부착하기도 하며, 차체 바디에는 스트립(STRIP)이나 버튼(BUTTON)등을 이용해 결착시키고, 함체형의 실내 형상유지를 위해 수곳에는 후레임기능을 갖는 보(BOW)가 설치된다. (도 5 참조)
종래, 보(1)는 바디의 상부에 용접으로 브라켓트(2)를 세워 고정시키고, 봉형상의 보(3)를 볼트(4)로 체결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 보는 직물지로 된 루프데크(5)의 꺾임부 위치마다 통상 4-6개가 각각 수곳에 고정 설치되며, 바디(3)와의 경계에는 스트립(6)이나 버튼을 이용해 체결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종래 고정식의 보(1) 구조에 의하면, 루프데크(5)는 자체 재질의 탄성력을 기대할 수가 없으므로 설치의 편의를 위해 보다 넉넉한 길이로 여유크기를 갖도록 설계되어야만 바디(3)에 체결할 수가 있다.
그 이유는 루프데크(5)의 재질이 두꺼운 직물지로 이루어져 온도변화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쉽게 수축과 이완될 뿐만 아니라, 설치 작업자의 힘으로 강하게 당겨서 각 바디의 경계부에 체결하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설치의 편의성을 위해 넉넉한 크기로 설계된 루프데크(5)는 설치된 상태에서 팽팽하지 못하고 다소 늘어지거나, 심하게는 주름이 잡히기도 하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
또, 주행시 루프데크(5)가 바람에 펄럭거리게 되므로 소음이 발생되고, 정숙성을 기대할 수 없어, 상품성이 크게 저하되었던 것이다.
한편, 보(1)의 설치갯수가 많아 재료는 물론 그 설치공정수의 증가로 인한 코스트가 상승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루프데크가 간단한 조작으로 적정 텐션을 유지토록 하므로서 차량의 외관과 정숙한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컨버터블 탑형 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급이 용이하고 부품수의 절감으로 생산 코스트를 저하시켜 상품성이 보다 향상된 컨버터블 탑형 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의 컨버터블 탑형 차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가 브라켓트레일에 설치되는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보와 브라켓트레일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 1의 I-I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보가 브라켓트레일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정면도
도 5는 종래 루프데크가 설치되는 구조를 보인 일부확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테이너 11 - 바디
20 - 루프데크 21 - 스트립
30 - 피봇 브라켓트 31 - 레일홈
40 - 너클 보 41 - 피봇 핀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후방측 개구부를 따라 바디(11)에 고정되는 리테이너(10)와;
상기 리테이너(10)의 경계부 수곳에서 스트립(21)으로 결착되어 개구부를 덮는 루프데크(20)와;
상기 리테이너(10)의 양측 상부에 고정 부착되며 레일홈(31)이 파여지는 피봇 브라켓트(30)와;
상기 루프데크(20)의 측방으로 부터 후방측 상단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절곡성형되고 그 양단에 결합된 피봇핀(41)이 피봇 브라켓트(30)의 레일홈(31)의 안내로 위치이동되어 상기 루프데크(20)의 텐션 및 텐션풀림 위치로 전환되는 너클 보(4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너클 보(40)의 간단한 위치 전환으로 루프데크(20)가 팽팽한 텐션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어 외관미와 정숙한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보의 설치 갯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부품 및 공정수의 간소화로 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컨버터블 탑형 차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로, 루프데크(20)의 대략 대각선을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된 너클 보(40)의 위치 전환으로 루프데크(20)가 텐션을 유지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너클 보(40)의 양단에 피봇핀(41)이 결합된 상태로 피봇 브라켓트(30)의 레일홈(31)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구조를 사시도로 확대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너클 보(40)와 피봇 브라켓트(30)의 설치구조를 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4는 피봇 브라켓트(30)의 레일홈(31)을 따라 너클 보(40)의 피봇핀(41)이 위치 이동되는 작동상태를 확대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컨버터블 탑형 차량은 통상 후방 상측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개구부를 필요 선택에 따라 루프데크(20)로 덮어지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루프데크(20)는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야 하며, 보관 및 절첩이 용이하도록 두꺼운 직물지로 성형되며 외부 관찰을 위해 투명수지재로 된 윈도우(22)가 측방 또는 우방에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 루프데크(20)의 설치를 위해서 차량의 후방측 개구부를 따라 바디(11)에는 리테이너(10)가 취부되며, 이 리테이너(10)의 경계부 수곳에서 스트립(21)으로 루프데크가 결착된다.
이 스트립(21)은 합성수지재로 도 3에서와 같이 루프데크(20)의 테두리 단부에서 제봉등의 방법으로 루프데크(20)에 취부된 상태로 리테이너(10)와 바디(11) 사이 틈새로 끼워 결착된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대략 루프데크(20)의 대각선을 가로 지르게 설치되는 너클 보(40)의 위치를 감안하여 상기 리테이너(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피봇 브라켓트(30)를 고정 부착하게 된다.
이 피봇 브라켓트(30)는 대략 ''형상의 레일홈(31)이 파여져 있으며, 리테이너(10)와의 고정 방법으로는 용접 또는 볼트(32)에 의해 부착된다.
또, 바디(11)의 절첩부에는 웨더 스트립(15)이 설치되는 데, 이 웨더 스트립(15)의 위치를 감안하여 피봇 브라켓트(30)의 형상을 절곡 설계하게 된다.
한편, 이 피봇 브라켓트(30)에는 하나의 너클 보(40)가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조립된다.
즉, 상기 루프데크(20)의 측방으로 부터 후방측 상단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대략 '⊃'형상으로 절곡 성형된 너클 보(40)의 양단에는 피봇핀(41)이 결합되고, 이 피봇핀(41)이 레일홈(31)에 슬라이드 가능한 헐거움 상태로 끼워 결합된다.
이 피봇핀(41)은 레일홈(31)을 따라 슬라이드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리벳과 같이 조립후 머리를 확장 성형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따라서, 이 너클 보(40)의 피봇핀(41)이 피봇 브라켓트(30)의 레일홈(31)의 조립된 상태에서, 너클 보(40) 전체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다.
도 1에서 루프데크(20)를 은선으로 표시한 것은 상기 너클 보(40)가 레일홈(31)의 좌측에 위치되어 루프데크(20) 전체가 다소 늘어져 처진 상태를 도시하는데, 이 상태에서 루프데크(20) 테두리에 있는 스트립(21)을 리테이너(10)와 바디(11) 사이 틈새로 끼워 설치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대략적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이 너클 보(40)를 도 4에서 우측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레일홈(31)의 안내로 피봇핀(41) 및 너클 보(40)가 이동될 때 너클 보(40)가 루프데크(20)를 팽팽하게 텐션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레일홈(31)이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외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후퇴를 방지하게 된다.
또, 루프데크(20)를 제거하여 오픈카 형식으로 만들고자 할 때는 너클 보(40)를 간단히 도 4에서 좌측으로 힘을 가하여 이동시킨 후 루프데크(20) 전체가 느슨해진 상태로 리테이너(10)에 걸려진 스트립(21)을 분해하는 방식으로 제거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간단한 조작으로 루프데크(20)의 텐션력이 크게 향상되어 주행중 떨림에 의한 소음(BOOMING NOSIE)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둘째, 루프데크(20)를 바디에 결착하기 위한 버튼이나 스트립등의 조립시에는 루프데크(20)를 느스한 상태로 작업할 수 있어 편리하고 그 작업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셋째, 루프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의 갯수가 현저한 감소로 코스트를 절감시켜 경제적이다.
넷째, 보 갯수의 감소로 전체 제조공정을 줄이고 완성차의 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다섯째, 소음감소로 인한 정숙한 주행과 취급 간편화로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후방측 개구부를 따라 바디(11)에 고정되는 리테이너(10)와;
    상기 리테이너(10)의 경계부 수곳에서 스트립(21)으로 결착되어 개구부를 덮는 루프데크(20)와;
    상기 리테이너(10)의 양측 상부에 고정 부착되며 레일홈(31)이 파여지는 피봇 브라켓트(30)와;
    상기 루프데크(20)의 측방으로 부터 후방측 상단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절곡성형되고 그 양단에 결합된 피봇핀(41)이 피봇 브라켓트(30)의 레일홈(31)의 안내로 위치이동되어 상기 루프데크(20)의 텐션 및 텐션풀림 위치로 전환되는 너클 보(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탑형 차의 덱크 텐션유지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0)와 피봇 브라켓트(30)는 볼트(32)로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탑형 차의 덱크 텐션유지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핀(41)은 그 양단에 이탈방지를 위한 머리부가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탑형 차의 덱크 텐션유지장치.
KR1019990050428A 1999-11-13 1999-11-13 컨버터블 탑형 차의 덱크 텐션유지장치 KR10030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428A KR100303798B1 (ko) 1999-11-13 1999-11-13 컨버터블 탑형 차의 덱크 텐션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428A KR100303798B1 (ko) 1999-11-13 1999-11-13 컨버터블 탑형 차의 덱크 텐션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600A KR20010046600A (ko) 2001-06-15
KR100303798B1 true KR100303798B1 (ko) 2001-10-29

Family

ID=19619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428A KR100303798B1 (ko) 1999-11-13 1999-11-13 컨버터블 탑형 차의 덱크 텐션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927B1 (ko) * 2001-06-21 2003-1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컨버터블 자동차의 덮개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600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5403B2 (en) Covering structure having automatic coupling system
US7467822B2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and wind deflector
US5299850A (en) Automobile with canvas
US4867220A (en) Sunshade assembly of motor vehicle
GB2227980A (en) A folding-top covering for a vehicle
US6206450B1 (en) Automotive convertible top attaching construction
US6874845B2 (en) Shade tarp as sun shield
KR100347503B1 (ko) 자동차의 접이식 지붕
US6481788B1 (en) Upper body structure for a vehicle
JPH06156084A (ja) 車輌ルーフ
US4893868A (en) Vehicle door-to-door sunroof assembly
KR101223847B1 (ko) 폴딩 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7770958B2 (en) Soft top for a motor vehicle
US4722565A (en) Tilt-slide type sunroof of motor vehicle
KR100303798B1 (ko) 컨버터블 탑형 차의 덱크 텐션유지장치
KR101167356B1 (ko) 폴딩 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JP2007196938A (ja) 車両のトノカバー装置
US4917432A (en) Stiffening of a surface portion of a flexible roof skin of a vehicle
US20070187982A1 (en) Convertible vehicle
JP4369745B2 (ja) 巻取式シェード装置
JPS6357329A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PT1384610E (pt) Estrutura de tejadilho para veículos.
US10814707B2 (en) Wind deflector for open roof construction
JPS59216725A (ja) 自動車のウインドデフレクタ
JP3121521U (ja) 自動車用カーテ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