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028B1 - 디젤엔진의점화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디젤엔진의점화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028B1
KR100303028B1 KR1019960037073A KR19960037073A KR100303028B1 KR 100303028 B1 KR100303028 B1 KR 100303028B1 KR 1019960037073 A KR1019960037073 A KR 1019960037073A KR 19960037073 A KR19960037073 A KR 19960037073A KR 100303028 B1 KR100303028 B1 KR 100303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piston
pin
ecu
diesel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301A (ko
Inventor
하재준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6003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028B1/ko
Publication of KR1998001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5/00Electric spark ignition having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P1/00 - F02P13/00 and combined with layout of ignition circuits
    • F02P15/02Arrangements having two or more sparking 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디젤엔진의 점화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디젤엔진의 시동장치는 차가운 날씨와 같이 디젤엔진이 냉각되어 있는 경우에 점화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점화 스위치의 신호와 피스톤 센싱부의 신호와 연료분사 센싱부의 신호를 입력하는 ECU와, 점화 스위치의 "온" 상태와 피스톤의 압축행정 종료와 연료분사 종료시에 상기 ECU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화 촉진핀을 피스톤의 상부로 상승하게 하는 점화 촉진핀 구동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ECU의 신호에 따라 점화 촉진핀이 피스톤의 상부로 상승하게 하여 점화 촉진핀의 상단부에서 압축 점화가 발생되면서 점화가 촉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색인어]
디젤엔진, 점화 보조장치, 피스톤, 점화 촉진핀

Description

디젤엔진의 점화 보조창치
본 발명은 디젤엔진의 점화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피스톤 내부에 점화 촉진핀 구동부를 설치하여 피스톤의 압축행정시 연료분사 시기의 종료와 함께 점화 촉진핀이 피스톤에서 상승하여 점화를 촉진함으로써, 상승된 점화 촉진핀의 상단부에서 압축 점화가 발생되어 엔진의 시동이 촉진될 수 있게 한 디젤엔진의 점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디젤엔진의 시동은 가솔린 엔진의 플러그 점화방법과는 달리 피스톤의 압축행정시 발생되는 실린더 내부의 압축된 힘에 의하여 기화 상태로 분사된 디젤 연료가 폭발됨으로써, 연쇄적인 구동력이 제공되어 차량의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차가운 날씨로 인해 엔진이 냉각될 경우 디젤엔진의 시동은 최초 폭발, 즉 점화가 원만하지 못하여 시동이 불량한 경우가 많게 됨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전기적인 부수장치를 추가하여 사용하거나 스타트 모터를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강제적으로 시동을 걸리게 하는 요령을 운전자가 사용하기도 한다.
즉, 종래 디젤엔진의 시동장치는 차가운 날씨와 같이 디젤엔진이 냉각되어 있는 경우에 점화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피스톤 압축행정의 종료 직전 피스톤의 내부에서 점화 촉진핀이 상승함으로써, 피스톤 상승시 발생되는 압축의 힘과 피스톤 윗면으로 상승된 점화 촉진핀의 상단부에서 점화가 발생되게 하여 결과적으로 최초 시동의 점화를 촉진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스톤의 내부에 점화 촉진핀 구동부를 설치하여 점화시기와 압축행정의 시기를 입력받는 ECU의 신호를 입력받게 하고, 피스톤이 압축행정의 종료 직전과 동시에 ECU의 신호에 따라 점화 촉진핀이 피스톤의 내부에서 연소실로 상승하여 점화 촉진핀의 상단부에서 압축 점화가 발생되어 점화를 촉진하게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디젤엔진의 최초 시동시 피스톤이 상승하여 연료 분사를 종료하면 피스톤 내부의 점화 촉진핀 구동부에 의하여 점화 촉진핀이 피스톤으로부터 상승함으로써, 점화를 촉진하게 되는 특징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젤엔진의 점화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스톤 20 : 점화 촉진핀 구동부
30 : 점화 촉진핀 40 : 실린더 헤드
50 : 피스톤 센싱부 60 : ECU
70 : 점화 스위치 80 : 연료분사 센싱부
90 : 연소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점화 스위치(70)로부터 차량의 최초 시동을 감지한 신호가 ECU(60)에 입력되게 하며, 차량의 최초 시동시 피스톤(10)의 위치를 감지하는 피스톤 센싱부(50)를 실린더 내벽에 설치하여 피스톤(10)의 압축행정과 연료 분사의 종료를 감지하게 하여 감지된 신호를 ECU(60)에 입력되게 하고, 상기 ECU(60)가 최초 시동 신호와 피스톤 센싱부(50)의 신호와 연료분사 센싱부(80)의 신호에 의하여 피스톤(10) 내부에 설치한 점화 촉진핀 구동부(20)를 제어하여 점화를 촉진하는 2개의 점화 촉진핀(30)이 피스톤(10)의 내부에서 연소실(90)로 상승되게 하되, 상기 점화 촉진핀 구동부(20)는 피스톤(10)의 상하운동과 동시에 ECU(60)로부터 신호를 받아 피스톤(10)의 압축행정의 종료와 함께 실린더 내부에서 상승하는 상기 2개의 점화 촉진핀(30)의 상단부에서 압축 점화가 발생되게 구성한다.
이때의 점화 촉진핀 구동부(20)는 ECU(60)의 신호를 받아 동작가능한 솔레노이드 방식의 액추에이터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최초 시동시 피스톤(10)의 압축행정 종료와 연료 분사시기가 종료된 피스톤의 일정 위치에서 상승하는 점화 촉진핀(30)은 엔진 실린더 내부 연소실(90)의 압축 상태를 한층 압축하고 압축된 상대에서 점화 촉진핀(30)의 뾰족한 모양이 갖는 특성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연소실(90) 내부의 압축 공기에 대한 폭발을 촉진하여 상승된 점화 촉진핀(30)의 뾰족한 상단부에서 자연적으로 스파크가 발생되어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점화 촉진핀(30)을 피스톤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하고, 점화가 종료되면 피스톤의 내부로 점화 촉진핀(30)을 넣어 고정되게 하는 점화 촉진핀 구동부(20)는 피스톤의 내부에 설치하여 ECU(60)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ECU(60)는 점화 스위치(70)의 신호와 피스톤 센싱부(50)의 신호와 연료분사 센싱부(80)의 신호를 입력받아 피스톤(10)의 압축행정 종료시기와 연료분사 종료시기를 판단하여 점화 촉진핀 구동부(20)를 제어함으로써, 점화 촉진핀(30)이 피스톤(10)의 내부에서 연소실(90)로 상승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젤엔진의 점화 보조장치를 이용한 차량은 최초 시동시 발생될 수 있는 폭발 억제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피스톤의 내부로부터 점화 촉진핀을 상승하게 함으로써, 점화 촉진핀의 상단부에서 압축 점화가 촉진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점화 스위치의 신호와 피스톤 센싱부의 신호와 연료분사 센싱부의 신호를 입력하는 ECU와, 점화 스위치의 "온" 상태와 피스톤의 압축행정 종료와 연료분사 종료시에 상기 ECU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화 촉진핀을 피스톤의 상부로 상승하게 하는 점화 촉진핀 구동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점화 보조장치.
KR1019960037073A 1996-08-30 1996-08-30 디젤엔진의점화보조장치 KR100303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073A KR100303028B1 (ko) 1996-08-30 1996-08-30 디젤엔진의점화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073A KR100303028B1 (ko) 1996-08-30 1996-08-30 디젤엔진의점화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301A KR19980017301A (ko) 1998-06-05
KR100303028B1 true KR100303028B1 (ko) 2001-11-22

Family

ID=3752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073A KR100303028B1 (ko) 1996-08-30 1996-08-30 디젤엔진의점화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0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301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520B1 (en) Homogeneous charge compression 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41045B1 (ko) 배기 승온장치
KR100679065B1 (ko) 내연기관의 연소과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실린더의 유효압축비를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엔진
JPH0151893B2 (ko)
EP0279360A3 (en) Start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412375B2 (ja) ディーゼル機関の始動制御装置
JP3906941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EP1164276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external assist for stable auto-ignition
KR100303028B1 (ko) 디젤엔진의점화보조장치
JP3065826B2 (ja) 気化燃料用高圧縮比エンジンの制御装置
US702503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drive unit includ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1107792A (ja) 予混合圧縮着火式エンジン
JPS63215878A (ja) スパ−クアシストデイ−ゼルエンジン
JP4225788B2 (ja) 直接噴射式のガソリン内燃機関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
EP0520833B1 (en) Laminar burn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fuel injection time controlling function
JP3134564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時期制御装置
WO2001050003A3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JPH1182029A (ja) 内燃機関の成層燃焼方法
JP2019073997A (ja)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JP4232601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4257887B2 (ja) 筒内噴射式ガスエンジン
JPH0137155Y2 (ko)
KR100327464B1 (ko) 직접 분사식 내연기관의 초기 시동시 촉매 활성화방법
JP2006070767A (ja)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JPS614818A (ja) アイドリング時の燃焼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