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979B1 - 정보 처리 단말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979B1
KR100302979B1 KR1019980012354A KR19980012354A KR100302979B1 KR 100302979 B1 KR100302979 B1 KR 100302979B1 KR 1019980012354 A KR1019980012354 A KR 1019980012354A KR 19980012354 A KR19980012354 A KR 19980012354A KR 100302979 B1 KR100302979 B1 KR 10030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cmcia
bus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573A (ko
Inventor
아끼히로 오구라
시게루 유자와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1998008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CMCIA가 정한 폼 팩터(form factor)를 갖는 제1 하우징 부분 및 이 제1 하우징 부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 부분을 구비하며, 결합 부분을 통과하는 케이블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절첩식 구조의 정보 처리 기기를 제공한다.
PDA 기능의 주요부인 데이터 처리부는 형상이나 치수의 제약을 받지 않는 제2 하우징 부분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결과, PCMCIA/JEIDA가 정하는 사양에 따를 필요가 있는 제1 하우징 부분의 디자인이 비교적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제3 내지 제5 측면에 관한 정보 처리 기기는, 제1 하우징 부분에 키 입력 수단이 배치되어 있으나, 키 터치감이 우수한 키보드나 백 라이트형(back-lighted) 키보드 등, 두께를 갖는 고기능의 키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단말{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본 발명은 PC 카드와 같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JEIDA(Japan Electronic Industry Development Association)이 정한 폼 팩터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 정보 처리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및 제1 하우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구조의 정보 처리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기술 혁신에 수반하여, 데스크톱형, 타워형, 노트북형 등 각종 퍼스널 컴퓨터(PC)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PC는, 일반적으로는, 최종 사용자 자신에 의한 주변 환경의 확충이 가능한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PC 주변 환경의 확장은, 많은 경우, PC에 마련된「버스 슬롯」에 원하는「어댑터 카드」를 장착함으로써 실현되고 있었다. 어댑터 카드의 예는, 비디오 어댑터, 통신(LAN) 어댑터,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카드 등이다.
그러나, 어댑터 카드의 장착은 주로 데스크톱 컴퓨터에서는 편리하고 효과적이지만, 다수의 버스 슬롯을 마련할 수 없는 노트북 컴퓨터에서는 효과적이라고 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노트북 컴퓨터의 확장성을 보충하도록, 이른바「PC 카드」가 개발되어 시판되기에 이르렀다. PC 카드라는 것은 크레디트 카드 크기(54.0 ㎜×85.6 ㎜)로 디자인된 주변 기기의 일종이다. 노트북 컴퓨터는 PC 카드를 삽입하고 전기 접속하기 위한 카드 슬롯을 마련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시스템 구성을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PC 카드는 PC에 대한 빈번한 착탈을 고려하여, 카트리지식의 하우징이 채용되고 있다. PC 카드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사양에 관한 가이드 라인은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와 JEIDA(Japan Electronic Industry Development Association: 일본 전자 공업 진흥 협회)이 중심이 되어 책정되어 있고, 업계 표준이 되고 있다. 현재, 3 ㎜ 두께의 Type-Ⅰ, 5.5 ㎜ 두께의 Type-Ⅱ 및 10.5 ㎜ 두께의 Type-Ⅲ와 같은 3 종류의 PC 카드가 보급되어 있다. Type-Ⅰ는 주로 메모리 카드로서 이용되고 있다. Type-Ⅱ는 팩시밀리/모뎀 카드나 LAN(토큰링이나 이서넷) 카드, SCSI 카드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Type-Ⅲ는 주로 하드 디스크 내장 카드로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PC 카드의 라인업(line ups)이 풍부해지고, 저가화되는 등에 의해, 노트북 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도 PC 카드 슬롯을 갖추게 되기 시작했다. 1994년 여름에 미국 정부가「모든 데스크톱 컴퓨터에 PC 카드 슬롯을 갖추는 것」을 조달 기준으로서 제안했기 때문에, PC 카드의 보급에 더욱 박차가 가해지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PC 카드는 원초적으로는 노트북 컴퓨터의 확장성을 보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컴퓨터 본체의 카드 슬롯에 수용되어 사용된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PC 카드의 다기능화가 진행되며 카드의 형태도 다양하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일본 아이 비 엠(주)가 시판하는 PC 카드 "IBM ChipCard TC-100"(이하, 간단히「TC-100」이라 함)은 자주(自走) 기능을 갖춘 새로운 타입의 PC 카드이다(도 6 참조). TC-100은 PCMCIA 인터페이스와 메모리(SRAM 및 EEPROM) 외에, 카드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8 비트 CPU[일본 세이코 엡슨(Seiko Epson)제의 "SMC 88112"]와 구동용 배터리를 내장하며, 또한 카드 상면부에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키보드(24 키)와 출력 수단으로서의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72×24 도트, STN 모노크로)를 구비하고 있다. TC-100은 PC의 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은 통상의 메모리 카드로서 기능한다. 한편, 카드 슬롯으로부터 제거하면, 슬리프(sleep)되어 있던 CPU는 웨이크 업되며, 이 결과, TC-100은 자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PC 측의 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에 카드 내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다운 로드해 두면, PC로부터 제거했을 때 TC-100의 디스플레이 상에 다운 로드 데이터를 표시시킬 수 있다. 다운 로드 데이터로서는, PC 상에서 편집된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r) 데이터(예를 들면, 캘린더, 스케쥴, 주소록)나, Web 서버로부터 취득한 Web 페이지 중의 텍스트 데이터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TC-100은 명함 크기이기 때문에 휴대가 극히 용이하며, 따라서, 이동 환경에서도 PIM 데이터나 Web 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본 아이 비 엠(주)가 시판하는 PC 카드 "IBM ChipCard VW-200"(이하, 간단히「VW-200」이라 함)은 PCMCIA/JEIDA의 Type-Ⅱ의 폼 팩터에 일치하는 제1 하우징 및 이 제1 하우징의 단부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도 7 참조). VW-200은 TC-100과 마찬가지로 자주 기능을 갖추고 있다. 즉, PC측의 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은 메모리 카드로서 이용되는 한편, 카드 슬롯으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에는 내부 CPU의 제어에 의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정보 휴대 단말)로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1 하우징의 한 쪽 단면에는, PC측의 카드 슬롯과 전기 접속하기 위한 PCMCIA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VW-200을 펼친 상태에서는 Type-Ⅱ 카드로서 카드 슬롯에 삽입할 수 있으며, 또한 절첩한 상태에서는 Type-Ⅲ 카드로서 카드 슬롯에 삽입할 수도 있다. 제1 하우징의 상면의 대부분은 키 입력 영역으로서 할당되어 있고, 키 수가 TC-100 보다도 많아지며, 키 톱(key top)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유저는 입력 조작을 행하기 쉽다. 또한, 제2 하우징의 표면에는, 200×320 도트 해상도의 비교적 큰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STN 모노크로)가 갖추어져 있고, TC-100 보다도 표시 능력이 강화되어 있다. 또한, 한자 ROM이 내장되어 있으며, 한자 표시 기능(16 도트 폰트, 전각 12 문자×20 행 표시)도 지원되고 있다.
또한, 일본 교세라가 일본 아이 비 엠(주)와의 협력에 의해 개발한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전화기 "DataScope-100"(이하, 간단히「DS-110」이라 함: 도 8 참조)은 PHS 기능/무선 모뎀 카드 기능 외에, PDA 기능을 갖추고 있다. DS-110의 제1 하우징은, PCMCIA/JEIDA의 Type-Ⅱ에 일치하며, 그 단면에는 PCMCIA 커넥터가 배치되며, 상면에는 키보드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하우징은 제1 하우징의 다른 단부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제2 하우징의 표면에는, 200×320 도트 해상도의 비교적 큰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STN 모노크로)가 배치되어 있다. PDA부와 PHS부는 서로 독립된 프로세서 유닛과 메모리(RAM과 ROM)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PDA부와 PHS부는 병행적으로 동작할 수 있어, 복잡한 처리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PDA부는 일본 도시바(Toshiba)제의 16 비트 CPU "TLCS-9001" 외에, 플래시 메모리(1 MB), RAM(128 KB), 한자 폰트용 ROM(2 M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PHS부는 데이터 처리용 CPU와 메모리 외에, 무선 송수신용 안테나나 RF 회로, 무선 데이터 처리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무선 통신용의 각 부품은 크기나 수신 영역 등의 이유로 인해, 비교적 두꺼우며 게다가 카드 슬롯에는 삽입되지 않는 제2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다. 1997년 4월에 서비스가 개시된 PHS 공중 데이터 통신 서비스("PIAFS": PHS Internet Access Forum Standard)에 의하면, 32 Kbps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PHS로부터 인터넷으로의 액세스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DS-110에 PIAFS 대응 소프트를 도입함으로써, 이동 환경하에서도 전자 메일을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PHS부에서 수취한 데이터를 PDA부에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처리 결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런데, VW-200이나 DS-110과 같은 절첩식 구조의 PC 카드의 경우,PCMCIA/JEIDA의 폼 팩터에 따른 제1 하우징은, 내부에 수용가능한 부품의 수나 크기는 현저히 제약받는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에는, PDA 기능의 입력 장치로서의 키보드를 배치하는 것이 거의 필수 사항으로 되고 있다(왜냐하면, 제2 하우징 표면은 이미 디스플레이가 차지하고 있기 때문임). 이 제1 하우징에 PCMCIA 버스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위한 연산 처리용 부품(CPU나 메모리 등)을 내장하기로 한 경우(기판의 표면에 키패드를 탑재하고, 배면에 그 밖의 부품을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임), 내부 두께를 Type-Ⅱ에 따른 치수(5 ㎜) 이내로 억제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예를 들면, 키 터치감이 우수한 키보드나 백 라이트형 키보드 등 고기능 타입의 키보드는 비교적 두꺼워지기 때문에, 제1 하우징에 조립할 수 없게 된다.
키보드의 조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PDA 기능을 실현하는 부품을 제1 하우징이 아니라 제2 하우징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2 하우징은 PCMCIA/JEIDA가 정하는 폼 팩터에 따를 필요가 없어, 바꾸어 말하면 치수나 형상에 제약 조건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카드 내의 PDA 기능부는, PCMCIA 커넥터를 경유하여 주고 받는 PCMCIA 버스 트랜잭션을 처리할 필요가 있으며, PCMCIA 버스와 상호 접속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만일 PDA 기능부를 제2 하우징에 배치하였다면, PCMCIA 버스도 힌지 결합부를 경유하여 제2 하우징까지 연장하지 않으면 안된다.
PCMCIA/JEIDA에는 68 개의 커넥터 핀이 정의되어 있다. 68 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을, 힌지 결합부 즉 비교적 작은 크기의 가동 부분을 통과시킨경우, 개폐 조작마다 케이블에 스트레스가 생긴다. 스트레스가 축적되면 신호의 단선을 초래하는 등, 신뢰성이 떨어지는 결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의 하우징을 포함한 우수한 정보 처리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폼 팩터에 따를 필요가 없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한 우수한 정보 처리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및 제1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을 구비한 우수한 정보 처리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및 제1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을 구비하며, 양 하우징의 결합 부분을 통과하는 케이블의 신뢰성을 높인 우수한 정보 처리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및 제1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을 구비하며, 제1 하우징에 고 기능의 키보드를 탐재할 수 있는 우수한 정보 처리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참작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1 측면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오목형 접속부에 설치가능한 형상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표시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오목형 접속부에 설치가능한 형상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상기 오목형 접속부와 전기 접속하기 위한 버스 커넥터부,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표시 수단, 및 상기 버스 커넥터부와는 상이한 형태로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또,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오목형 접속부에 설치가능한 형상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상기 오목형 접속부와 전기 접속하기 위한 버스 커넥터부,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표시 수단, 상기 버스 커넥터부와는 상이한 형태로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는 전송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무선 통신 수단,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된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전송 수단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또한,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이 다중화된 상기 버스를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측면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이 다중화된 상기 버스를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측면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키 입력 수단에 의한 키 입력 조작에 따른 스캔 코드를 발생하기 위한 키 입력 제어 회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다중화된 버스 신호 또는 상기 스캔 코드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상기 케이블상에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환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측면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키 입력 수단에 의한 키 입력 조작에 따른 스캔 코드를 발생하기 위한 키 입력 제어 회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PCMCIA 커넥터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전기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착탈 검출 수단,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전기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중화된 버스를 상기 케이블상에 전송하고,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전기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캔 코드 신호를 상기 케이블상에 전송하는 신호 전환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8 측면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데이터의 연산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 유닛 및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내지 제8 측면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에서, 상기 다중화 회로는 PCMCIA 버스 중의 어드레스 버스와 데이터 버스를 다중화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내지 제8 측면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에서, 상기 PCMCIA 인터페이스는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어드레스 버스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내의 메모리 공간을 어드레스가능한 정도의 비트 폭으로 감소시키는 어드레스 디코더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내지 제8 측면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에서,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PCMCIA 버스 상에서 지정되는 어드레스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 내의 메모리 공간 상의 어드레스를 대응시키기 위한 인덱스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내지 제8 측면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에서, 상기 PCMCIA 인터페이스는 PC 카드로서의 애트리뷰트 정보를 격납하기 위한 애트리뷰트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내지 제8 측면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에서, 상기 제2 하우징에 무선 통신 수단이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측면에 관한 발명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오목형 접속부에 설치가능한 형상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표시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측면에 관한 발명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오목형 접속부에 설치가능한 형상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상기 오목형 접속부와 전기 접속하기 위한 버스 커넥터부,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표시 수단, 및 상기 버스 커넥터부와는 상이한 형태로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측면에 관한 발명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오목형 접속부에 설치가능한 형상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상기 오목형 접속부와 전기 접속하기 위한 버스 커넥터부,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표시 수단, 상기 버스 커넥터부와는 상이한 형태로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는 전송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무선 통신 수단,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된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 측면에 관한 발명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전송 수단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3 측면에 관한 발명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이 다중화된 상기 버스를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4 측면에 관한 발명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이 다중화된 상기 버스를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또한, 본 발명의 제15 측면에 관한 발명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키 입력 수단에 의한 키 입력 조작에 따른 스캔 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 입력 제어 회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다중화된 버스 신호 또는 상기 스캔 코드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상기 케이블상에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환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6 측면에 관한 발명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키 입력 수단에 의한 키 입력 조작에 따른 스캔 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 입력 제어 회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PCMCIA 커넥터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전기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착탈 검출 수단,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전기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중화된 버스를 상기 케이블상에 전송하고,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전기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캔 코드 신호를 상기 케이블상에 전송하는 신호 전환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이다.
본 발명의 각 측면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은, 제1 하우징 및 그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제2 하우징은 제1 하우징에 대해 개폐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6 측면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은, 데이터 처리부는형상이나 치수의 제약을 받지 않는 제2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결과, 제1 하우징을, PCMCIA/JEIDA가 정한 사양에 맞추어 디자인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제3 내지 제5 측면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은, 제1 하우징에 키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나, 키 터치감이 우수한 키보드나 백 라이트형 키보드 등, 두꺼운 고기능의 키보드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내지 8, 또는 제13 내지 제16 측면에 고나한 정보 처리 단말에서, PCMCIA 인터페이스는, 외부 컴퓨터 시스템과의 사이에 주고 받는 PCMCIA 버스 신호 중, 어드레스 버스와 데이터 버스를 다중화하여 제2 하우징에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부분을 통과하는 케이블의 신호선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신호선의 개수가 적어지는 결과, 단말의 개폐 조작에 수반하는 케이블이 받는 스트레스나 신호선의 단선의 위험도 저감되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및 제8, 또는 제15 및 제16 측면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에서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전기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은 어드레스 버스와 데이터 버스를 다중화시킨 PCMCIA 버스 신호, 또는, 키 입력 수단이 발생하는 스캔 코드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도, 양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부분을 통과하는 신호선 수가 절약되며, 단말의 개폐 조작에 따라 케이블이 받는 스트레스나 신호선의 단선의 위험도 저감되고, 신뢰성이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키 입력 수단은, 일반적으로,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예를 들면, 제1 하우징이 PCMCIA 카드이면, 카드 슬롯에 장착될 때는 애당초 키 입력 조작이 불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제5 측면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과 같이, 외부 컴퓨터 시스템으로의 착탈 상황을 자동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다중화된 PCMCIA 버스 신호나 스캔 코드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케이블 상에 전송해야 할 지를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PCMCIA/JEIDA의 사양에 따른 PC 카드는, 카드 자신의 속성 정보를 격납하기 위한 애트리뷰트 메모리, 및 카드를 장착한 외부 컴퓨터 시스템이 액세스하기 위한 구성(configuration) 레지스터를 갖는 것이 의무시 되고 있다. 이들 메모리 및 레지스터는 오로지 외부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액세스된다는 성격을 가지며, 정보 처리 단말 자체의 내부 동작(예를 들면 PDA 기능이나 PHS 기능)에는 거의 기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애트리뷰트 메모리나 구성 레지스터는 외부 컴퓨터 시스템이 액세스 용이한 제1 하우징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나 첨부 도면에 기초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현하기에 적합한 절첩식 구조의 정보 처리 단말(1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에 적합한 절첩식 구조의 정보 처리 단말(100)의 내부 하드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PCMCIA 인터페이스(5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2 하우징(20) 측의 MISC 콘트롤러(61) 중, 인터페이스 기구 부분만을 추출하여 도해한 도면.
도 5는 인덱스 어드레스 레지스터(61)의 내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일본 아이 비 엠(주)가 시판하는 PC 카드 "IBM ChipCard TC-1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일본 아이 비 엠(주)가 시판하는 PC 카드 "IBM ChipCard VW-2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일본 교세라(Kyocera)가 시판하는 PHS "DataScope-11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하우징
11 : 카드 커넥터
12 : 키보드
13 : 마이크
20 : 제2 하우징
21 : 디스플레이
22 : 스피커
23 : 안테나
30 : 힌지
51 : PCMCIA 인터페이스
61 : MISC 콘트롤러
62 : 내부 버스
63 : CPU
64 : ROM
65 : RAM
66 : 플래시 메모리
67 : 음성 CODEC
71 : 무선 통신부
72 : RF부
73 : 프로토콜 ROM
81 : 전지
82 : DC-DC 변환기
83 : 백업 전지
100 : 정보 처리 단말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에 적합한 정보 처리 단말(100)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이 정보 처리 단말(100)은, 이른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기능과 무선 통신(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기능의 쌍방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단말(100)은 비교적 얇은 제1 하우징(10)과 비교적 두꺼운 제2 하우징(20)으로 구성된다. 제2 하우징(20)은 제1 하우징(10)의 일 단부 가장자리의 힌지(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하우징(10)은, PCMCIA/JEIDA가 정하는 Type-Ⅱ의 폼 팩터(5 ㎜×85.6 ㎜×54.0 ㎜)를 갖고 있으며, 그 다른 단면에는 외부 컴퓨터 시스템(도시 생략)과 전기 접속하기 위한 PCMCIA 커넥터(11)(68 핀 구성)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단말(100)과 접속가능한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일 예는, OADG(Open Architecture Developers' Group) 사양에 준거한 타입의, PC 카드 슬롯을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이다. 제1 하우징(10)은 이러한 퍼스널 컴퓨터의 외벽에 설치된 카드 슬롯에 수납가능하다.
제1 하우징(10)의 상면에는, 복수의 키패드를 포함하는 키보드(12)가 배치되어 있다. 키보드(12)는, 텐 키나 펑션 키 외에, 커서 키, 파워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키 입력에 따른 스캔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키 입력 제어 회로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키보드(12)는 PDA 기능을 위한 입력 수단으로서 작용함과 함께, PHS로서 사용할 때에는 전화 번호 입력이나 동작 모드 전환을 위해 이용된다. 또한, 상면에는 음성 입력용 마이크(13)의 상면이 노출되어 있다. 마이크(13)는 PHS로서 통화할 때에 이용된다.
한편, 제2 하우징(20)은, PC 카드 슬롯에 삽입되는 일이 없는 모듈이며, PCMCIA/JEIDA가 정하는 폼 팩터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단말(10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PDA 기능 및 PHS 기능의 각각을 실현하기 위한 부품의 대부분이 제2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다.
제2 하우징(20)의 표면에는, PDA 기능의 출력 수단으로서의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21)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21)는 200×320 도트 해상도의 비교적 큰 스크린을 갖고 있다. 디스플레이(21) 상에는, 처리 데이터(예를 들면 PC측으로부터 다운 로드된 PIM 데이터나 Web 페이지, PHS부에서 수신한 전자 메일의 내용 등)이 표시된다.
제2 하우징(20)의 선단(先端) 가장자리 부분은, 약 반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반원통의 상면에는, 음성 출력용 스피커(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하우징(20)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무선 송수신용 안테나(23)가 선단을 향하여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에는, 정보 처리 단말(100)의 내부 하드웨어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동일 도면에서, 약 중앙을 종단하는 파선은 힌지(30)를 암시하고 있으며, 그 파선의 우측은 제1 하우징(10)내의 부품에 해당하고, 또한, 좌측은 제2 하우징(20)내의 부품에 해당한다.
제1 하우징(10)내에는, PCMCIA 인터페이스(51)와 키보드(12)가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PCMCIA 인터페이스(51)는 접속된 외부 컴퓨터 시스템과의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실현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PCMCIA 버스 중의 어드레스 버스와 데이터 버스를 다중화하여 비트 폭을 감소시키는 기능이나, 키보드 상의 키 입력에 따른 스캔 코드를 발생시키는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제2 하우징(20)내에는, 주로 컴퓨터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PDA 기능을 위한 부품과, 무선 통신을 실현하는 PHS 기능을 위한 부품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 2에서, 좌측 사선을 칠한 하드웨어 블록은 무선 통신 기능에 특화된 부품이라고 파악되어야 한다.
MISC 콘트롤러(61)는 제1 하우징(10) 측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회로이며, 어드레스 버스와 데이터 버스를 다중화하여 수취한 버스 신호를 내부 버스(62) 상에 전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후술함). 또한, MISC 콘트롤러(61)는 제2 하우징(20)내의 여러가지 잡다한 오퍼레이션을 통제하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으나, 이 점은 본 발명의 요지와는 직접 관련하지 않으므로 이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내부 버스(62) 상에는, 각 부품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중, CPU(63)는 정보 처리 단말(100)의 PDA 기능을 통괄하기 위한 메인 콘트롤러이다. 또한, CPU(63)는 디스플레이(21)의 표시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CPU(63)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도시바제의 16 비트 CPU "TLCS900L"을 이용가능하다.
ROM(64)은, 판독 전용의 기억 장치이며, 단말(100)내의 하드웨어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군을 항구적으로 격납하고 있다. 또한, RAM(65)은 기입가능한 휘발성 기억 장치이며, 주로 CPU(63)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66)는 소거가능한 불휘발성 기억 장치이며, 예를 들면 단말(100)의 기밀 데이터의 유지를 위해 사용된다.
음성 CODEC(67)는 음성 데이터의 압축 및 신장을 행하기 위한 전용 회로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13)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음성 CODEC(67)에 의해 압축된 후에 단말(100) 내부에 도입된다. 또한, 음성 CODEC(67)에 의해 신장된 음성 데이터는 스피커(22)에 의해 음성 출력된다.
모뎀(66)은 컴퓨터 데이터를 전송가능한 형태로 변조하고, 또한 반대로, 수신된 전송 데이터를 컴퓨터 데이터로서 복조하기 위한 전용 회로이다. 예를 들면, PCMCIA 인터페이스(51) 및 MISC 콘트롤러(61)를 경유하여 외부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취한 컴퓨터 데이터는 모뎀(66)으로 변조되어 음성 CODEC(67)로 압축되고나서 무선 송신된다. 또한, 수신된 전자 메일은 모뎀(66)으로 복조되고나서, 내부 CPU(63) 또는 접속된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처리된다.
무선 통신부(71)는 단말(100)의 PHS 기능을 담당하는 메인 콘트롤러이다. 무선 통신부(71)는 예를 들면 전화록 발신, 리다이얼, 착신 이력, 다이얼 로크, 발신자 번호 통지, 부재중 응답 서비스 등, PHS 전화로서의 각 기능도 지원하고 있다. 무선 통신부(71)에 접속되어 있는 프로토콜 ROM(73)은 소정의 통신 방식에 따른 제어 코드가 격납되어 있다. 통신 방식은, 일반적으로, 캐리어[예를 들면 아스텔(ASTEL)이나 DDI 포켓 등] 마다 다르다.
RF부(72)는 안테나(23)를 통한 무선 데이터의 입출력을 실현하기 위한 전용 회로이다. RF부(72)는 무선 통신부(71)로부터 도달된 송신용 디지털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로서 출력하거나, 반대로 안테나(23)를 경유하여 수신한 무선 데이터를 단말(100)내에 도입하도록 되어 있다.
단말(100)은 주전원으로서 전지(81)를 구비하고 있다. 전지(81)에는 예를들면 리튬 이온 등의 2차 전지가 채용된다. 전지(81)의 출력 단자 전압은 DC-DC 변환기(82)에 의해 레벨 변환되고나서 각 부품에 공급된다. 또한, 백업용 전지(83)도 갖추고 있다.
또한, PDA 기능 및 PHS 기능의 쌍방을 실현한 정보 처리 단말(100)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한 이외에도 많은 전기 회로 등이 필요하다. 단, 이들은 당업자에게는 주지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명세서내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 내의 각 하드웨어 블록간의 접속도 일부만을 도시한다.
도 3에는, PCMCIA 인터페이스(51)의 내부 구성을 더욱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PCMCIA 인터페이스(51)는 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C) 기술에 의해 제조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MCIA 인터페이스(51)는 다중화 회로(51A), 어드레스 디코더(51B) 및 애트리뷰트 메모리(51C)를 포함하고 있다.
PCMCIA 인터페이스(51)는 PCMCIA 버스[카드 커넥터(11)]에 의해 외부 컴퓨터 시스템과 상호 접속되어 있다. PCMCIA 버스의 각 신호선의 정의는, PCMCIA/JEIDA의 결정에 따르며, 26 비트 폭의 어드레스 버스(A0-25)와 8 비트 폭의 데이터 버스(D0-7)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PCMCIA 버스 중의 착탈 검출 신호는 제1 하우징이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카드 슬롯에 삽입 중인지의 여부를 통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착탈 검출 신호에는 외부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의 급전(給電) 라인이 병용되어 있고, 그 신호의 전압 레벨에 의해 카드 슬롯으로의 착탈을 검출할 수 있다.
어드레스 디코더(51B)는 PCMCIA 버스 중의 26 비트 폭의 어드레스 버스(A0-25)를 정보 처리 단말(100) 내의 메모리 공간을 어드레스가능한 8 비트 폭의 어드레스 버스(A0-7)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다. 버스 폭 변환을 위하여, 예를 들면 인덱스 방식(후술함)이 채용되고 있다.
애트리뷰트 메모리(51C)는 정보 처리 단말(100)이 PC 카드로서 이용될 때에 필요한, 카드 자신의 속성 정보를 격납하기 위한 기억 장치이다. 외부 컴퓨터 시스템은 통상의 I/O 액세스의 수순에 따라, 애트리뷰트 메모리(51C)에 액세스가능하다.
다중화 회로(51A)는 PCMCIA 버스 중의 데이터 버스(D0-7)와 디코더(51B)가 출력하는 8 비트 폭의 어드레스 버스(A0-7)를 다중화하여 AD0-7로 하거나, 반대로 AD0-7을 원래의 어드레스 버스와 데이터 버스로 분리하기 위한 회로이다. 다중화 회로(51A)는 키보드(12)의 키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스캔 코드 신호도 입력되어 있다. 다중화 회로(51A)는 힌지(30)를 경유하여, 제2 하우징(20) 측의 MISC 콘트롤러(61)와 케이블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중화 회로(51A)는 외부 컴퓨터 시스템으로의 장착 상황에 따라, MISC 콘트롤러(61)를 연결하는 케이블 중의 각 신호선의 정의를 전환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즉, 다중화 회로(51A)는 착탈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해 외부 컴퓨터 시스템으로의 장착 상황을 자동 검출하여, 다음의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케이블 중의 각 신호의 정의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제1 하우징(10)을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하였을 때에는 PCMCIA 버스 트랜잭션을 제2 하우징(20)측에전송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키보드(12)의 사용이 불가능해지지만, 한편, 비장착시에는, PCMCIA 버스는 사용되지 않는 반면 키 입력에 따른 스캔 코드 신호의 처리가 필요해지는 것에 의거한다.
번호 방향(PC 카드부 측) 키보드접속시 PCMCIA접속시
1 출력 PCMCIA_IRQ PCMCIA_IRQ
2 출력 KBD_IRQ #RD
3 출력 SCAN_OUT_CODE0 #WD
4 입출력 SCAN_OUT_CODE1 AD0
5 입출력 SCAN_OUT_CODE2 AD1
6 입출력 KBD_OUT0 AD2
7 입출력 KBD_OUT1 AD3
8 입출력 - AD4
9 입출력 - AD5
10 입출력 - AD6
11 입출력 - AD7
PCMCIA 버스는 약 70 개의 신호선으로 구성되지만,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단말(100)에서는 양 하우징(10, 20)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신호선 수는 11 개로 저감되고 있다. 어드레스 버스와 데이터 버스의 다중화와, 어드레스/데이터 버스와 스캔 코드 신호의 전환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1 및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신호선 수를 대폭 절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케이블을 구성하는 신호선 수에 따라, 제조 비용이 삭감되는 것은 당연하다.
다중화 회로(51A)가 입출력하는 신호선은, 제2 하우징(20) 내의 MISC 콘트롤러(61)와 연결되어 있다. MISC 콘트롤러(61)는 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C) 기술에 의해 제조가능하다. 도 4에는, 제2 하우징(20) 측의 MISC 콘트롤러(61) 중, 인터페이스 기구 부분만을 추출하여 도해하고 있다.
다중화된 어드레스 신호와 데이터 신호 중 데이터 부분(D0-7)은 데이터 제어기구(61A)를 통해 내부 버스(62) 중의 데이터 버스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어드레스 부분 중, 상위 7 비트(A0-6)는 그대로 어드레스 다중화 회로(61B)에 도입된다. 어드레스 부분의 최하위 비트(A7)는 인덱스 어드레스 레지스터(61C)에 도입된다.
레지스터(61C)는 최하위 비트(A7)의 값에 따라 어드레스의 오프셋값을 발생시키는 회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덱스 어드레스 레지스터(61C)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 개의 오프셋 레지스터로 구성된다. 레지스터 0, 레지스터 1, 레지스터 2의 각각에는, 미리 오프셋값이 기록되어 있으며, A7 = 1일 때에는, 각 레지스터는 각각 A7-14, A15-22, A23-25에 대한 오프셋값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어드레스 다중화 회로(61B)는 상위 7 비트의 어드레스(A0-6)와 인덱스 어드레스 레지스터(61C)에 의해 제공된 각 오프셋값을 다중화하여, 26 비트의 어드레스 버스(A0-25)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이다. 다중화 회로(61B)가 송출하는 어드레스 버스(A0-25)는 데이터 버스(D0-7)와 함께, 제2 하우징(20) 내의 내부 버스(6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그 실시예의 수정이나 대용을 이룰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예시적인 형태로 본 발명을 개시한 것이므로, 특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허 청구 범위를 참작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및 이 제1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을 구비한 우수한 정보 처리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및 이 제1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을 구비하며, 양 하우징의 결합 부분을 통과하는 케이블의 신뢰성을 높인 우수한 정보 처리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및 이 제1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을 구비하며, 양 하우징의 사이를 통과하는 케이블의 신호선 개수를 저감하고, 그로 인해 제조 비용의 삭감도 실현한 우수한 정보 처리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및 이 제1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을 구비하며, 제1 하우징에 고기능의 키보드를 탑재할 수 있는 우수한 정보 처리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오목형 접속부에 설치가능한 형상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표시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2.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오목형 접속부에 설치가능한 형상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상기 오목형 접속부와 전기 접속하기 위한 버스 커넥터부,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표시 수단, 및
    상기 버스 커넥터부와는 상이한 형태로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는 전송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3.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오목형 접속부에 설치가능한 형상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상기 오목형 접속부와 전기 접속하기 위한 버스 커넥터부,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표시 수단,
    상기 버스 커넥터부와는 상이한 형태로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는 전송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무선 통신 수단,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된 안테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4.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form factor)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전송 수단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5.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이 다중화된 상기 버스를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6.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이 다중화된 상기 버스를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7.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키 입력 수단에 의한 키 입력 조작에 따른 스캔 코드를 발생하기 위한 키 입력 제어 회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다중화된 버스 신호 또는 상기 스캔 코드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상기 케이블상에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환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8.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의 다른 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키 입력 수단에 의한 키 입력 조작에 따른 스캔 코드를 발생하기 위한 키 입력 제어 회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PCMCIA 커넥터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전기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착탈 검출 수단,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전기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중화된 버스를 상기 케이블상에 전송하고,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전기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캔 코드 신호를 상기 케이블상에 전송하는 신호 전환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9.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오목형 접속부에 설치가능한 형상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표시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10.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오목형 접속부에 설치가능한 형상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상기 오목형 접속부와 전기 접속하기 위한 버스 커넥터부,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표시 수단, 및
    상기 버스 커넥터부와는 상이한 형태로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는 전송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11.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 시스템의 오목형 접속부에 설치가능한 형상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상기 오목형 접속부와 전기 접속하기 위한 버스 커넥터부,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표시 수단,
    상기 버스 커넥터부와는 상이한 형태로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는 전송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무선 통신 수단,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된 안테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12.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전송 수단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13.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이 다중화된 상기 버스를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14.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이 다중화된 상기 버스를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에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15.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키 입력 수단에 의한 키 입력 조작에 따른 스캔 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 입력 제어 회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다중화된 버스 신호 또는 상기 스캔 코드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상기 케이블상에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환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16.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착탈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단말에 있어서,
    PCMCIA/JEIDA가 정한 폼 팩터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 단에 설치된, 각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하지 않는 형태로 PCMCIA 버스 신호를 주고 받는 PCMCIA 커넥터,
    상기 제1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PCMCIA 버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버스 신호선을 다중화한 버스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PCMCIA 인터페이스,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키 입력 수단,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키 입력 수단에 의한 키 입력 조작에 따른 스캔 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 입력 제어 회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간을 전기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PCMCIA 커넥터가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전기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착탈 검출 수단,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전기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중화된 버스를 상기 케이블상에 전송하고,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전기 접속되어 있지 않은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캔 코드 신호를 상기 케이블상에 전송하는 신호 전환 수단,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
KR1019980012354A 1997-05-20 1998-04-08 정보 처리 단말 KR100302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29709 1997-05-20
JP12970997A JP3393789B2 (ja) 1997-05-20 1997-05-20 情報処理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573A KR19980086573A (ko) 1998-12-05
KR100302979B1 true KR100302979B1 (ko) 2001-09-22

Family

ID=1501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354A KR100302979B1 (ko) 1997-05-20 1998-04-08 정보 처리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89056B1 (ko)
JP (1) JP3393789B2 (ko)
KR (1) KR100302979B1 (ko)
MY (1) MY114474A (ko)
TW (1) TW37877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391A (ko) * 1997-07-16 1999-02-18 윤종용 휴대폰과 외부장치간의 데이터 전송률을 중재하는 장치 및 방법
JP3200585B2 (ja) * 1998-02-10 2001-08-2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及び情報通信用アダプタ
US6223233B1 (en) * 1998-02-24 2001-04-24 Xircom Wallet for personal information device
JP4304734B2 (ja) * 1998-04-17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データの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JP3418563B2 (ja) * 1999-01-20 2003-06-23 昇作 川合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JP2001025053A (ja) 1999-07-09 2001-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のメモリシステム
JP2001102949A (ja) * 1999-09-28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端末装置
US6675240B1 (en) * 2000-06-30 2004-01-06 Sony Corporation Method of providing and enabling a dynamic and scaleable system architecture for a computer system
GB2368999B (en) * 2000-07-14 2004-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 portable radio device
EP1182569B8 (en) * 2000-08-21 2011-07-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LB lock and unlock operation
DE10141201A1 (de) * 2000-09-08 2002-03-28 Heidelberger Druckmasch Ag Bedienungseinrichtung für mit einem Netzwerk verbundene lokale und nicht-lokale Kommunikationseinrichtung
US6803904B2 (en) * 2000-11-02 2004-10-12 Alps Electric Co., Ltd. Keyboard input device to be reliably connected to portable device
KR20020065702A (ko) * 2001-02-07 2002-08-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US6671170B2 (en) * 2001-02-07 2003-12-30 Palm, Inc. Miniature keyboard for a hand held computer
AU2002340896A1 (en) * 2001-05-07 2002-11-18 Ibiz Technology Corp. Protective case and keyboard system for a handheld computer
KR20020090247A (ko) * 2001-05-26 2002-12-02 주식회사 지메이트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
US7280100B2 (en) * 2001-10-11 2007-10-09 Palm, Inc. Accessory module for handheld devices
US20030156131A1 (en) * 2002-02-21 2003-08-21 Samir Khazaka Method and apparatus for emulating a mobile device
US8866745B1 (en) 2002-03-11 2014-10-21 Brad Schric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ouch input interface for information computing and control devices
US8245158B1 (en) 2002-03-11 2012-08-14 Brad Schric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keyboard type interface for a computing device
US7430223B2 (en) * 2002-08-28 2008-09-30 Advanced Micro Devices, Inc. Wireless interface
US7493500B2 (en) * 2003-03-07 2009-02-17 Oqo, Incorporated Personal computing device having single-cell battery
US20050054381A1 (en) * 2003-09-05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active user interface
US7052312B2 (en) * 2004-03-09 2006-05-30 Chii-Moon Liou Multiple-in-one retaining seat
US7441089B2 (en) * 2004-10-25 2008-10-21 Searete Llc Preserving content of serial use devices in view of purge
US20060090038A1 (en) * 2004-10-26 2006-04-27 Jung Edward K Auto purge of serial use devices
US7401172B2 (en) * 2005-01-05 2008-07-15 Topspeed Technology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quickly connecting network real-time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90470A1 (en) * 2005-02-18 2006-08-24 Lemnotis Peter A Download, storage, and retrieval device
FR2887729B1 (fr) * 2005-06-24 2007-10-26 Jean Etcheparre Telephone mobile autonome, sans fil, integrable dans le boitier d'un ordinateur portable et capable de fonctionner sous deux modes distincts, "telephone sans fil" ou "microphone sans fil"
EP1742305A1 (en) 2005-07-04 2007-01-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chanical rotation and electrical interface combination
US20100125646A1 (en) * 2005-09-27 2010-05-20 Ceedo Technologies (2005) Ltd System For Enabling Host-Independent Software Portability Of A Self-Contained Device
JP4892919B2 (ja) * 2005-10-13 2012-03-07 富士通株式会社 リモート保守システム、メール接続確認方法、メール接続確認プログラム及びメール送信環境診断プログラム
US7865924B2 (en) * 2006-07-27 2011-01-04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input and output for a mobile device
US8858335B2 (en) * 2013-01-18 2014-10-14 Microsoft Corporation Reconfigurable clip-on module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3149A (en) * 1993-02-01 1994-12-13 At&T Bell Laboratories Folding electronic card assembly
US5515305A (en) * 1993-12-09 1996-05-07 Dell Usa, L.P. PDA having chord keyboard input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data thereto
US6019630A (en) * 1994-04-21 2000-02-01 Click Technologies, Inc. Foldable connector assembly for miniature circuit card
JP2723059B2 (ja) * 1994-10-31 1998-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データ通信装置
US5619396A (en) * 1995-02-21 1997-04-08 Intel Corporation Modular PCMCIA card
US5848298A (en) * 1995-02-21 1998-12-08 Intel Corporation System having two PC cards in a hinged carrying case with battery compartment within in the hinge section
US5892975A (en) * 1995-05-31 1999-04-06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wake-up module on PC card detecting switches had actuated and causing image to display to appear that was displayed when turned off
US5664228A (en) * 1995-08-09 1997-09-02 Microsoft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downloading executable instructions from a computer to the portable information device
JP3167931B2 (ja) * 1996-07-15 2001-05-2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Pcカード及び周辺機器
US5996178A (en) * 1997-10-15 1999-12-07 Motorola, Inc. Hinge suitable for use in a foldable device
US6011699A (en) * 1997-10-15 2000-01-04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flexible circuit conductors
US6052735A (en) * 1997-10-24 2000-04-18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nic mail object synchronization between a desktop computer and mobile device
KR200269707Y1 (ko) * 1997-12-22 2002-05-09 윤종용 스마트 폰의 안테나 장치
US6015092A (en) * 1998-02-05 2000-01-18 Postlewaite; William M. Smart card reader having angled smart card holder
US5978591A (en) * 1998-02-24 1999-11-02 Franklin Electronics Publishers, Inc. Personal information device and method for downloading reprogramming data from a computer to the personal information device via the PCMCIA port or through a docking station with baud rate conversion means
US5941648A (en) * 1998-10-21 1999-08-24 Olivetti Office U.S.A., Inc. Personal digital assistant having a foldable keyboard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78773U (en) 2000-01-01
JPH10333776A (ja) 1998-12-18
JP3393789B2 (ja) 2003-04-07
US6189056B1 (en) 2001-02-13
KR19980086573A (ko) 1998-12-05
MY114474A (en)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979B1 (ko) 정보 처리 단말
AU721096B2 (en) Personal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switches which independently energise a mobile tele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RU2151468C1 (ru) Переносное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мпьютером
FI101669B (fi) Monipalvelumatkaviestin
US715863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40095328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H07327089A (ja) 携帯電話装置
JPH0856268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5657258A (en) Mobile pen computer having an integrated palm rest
US20030087609A1 (en) Mobile phone with a hidden input device
JPH10210550A (ja) 複合携帯端末装置
KR0165197B1 (ko) 휴대형개인정보통신단말기
US20030232628A1 (en) Cordless telephone
JP4107194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20020019573A (ko) 가요성 기판 및 정보 처리 장치
JPH11284419A (ja) 携帯型情報通信端末装置
KR200252949Y1 (ko)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
JP2001245344A (ja) 無線通信ユニット
KR200366236Y1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휴대폰
CN111988055B (zh) 卡托机构组合件及移动终端
CA2230924C (en) Personal communications terminal
JP2001242957A (ja) 携帯情報処理システム
JPH08172655A (ja) カード型ページャ装置及びページャシステム
JP2000209317A (ja) 携帯通信機器
KR20020090247A (ko)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