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659B1 - 엔진오일의압력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오일의압력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659B1
KR100302659B1 KR1019970080980A KR19970080980A KR100302659B1 KR 100302659 B1 KR100302659 B1 KR 100302659B1 KR 1019970080980 A KR1019970080980 A KR 1019970080980A KR 19970080980 A KR19970080980 A KR 19970080980A KR 100302659 B1 KR100302659 B1 KR 100302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pressure
engine oil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737A (ko
Inventor
김인두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7008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659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01M2001/105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f the purification arrangements
    • F01M2001/1092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f the purification arrangements comprising valves bypassing the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여과기(4) 및 오일쿨러(3)의 막힘현상시에도 규정압력의 엔진오일이 공급되도록 하므로써 엔진오일 부족에 의한 엔진손상을 방지하는 엔진오일의 압력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팬(1)과, 오일팬(1)내의 엔진오일을 퍼올려 급송하는 오일펌프(2)와, 급송되는 엔진오일을 냉각하는 오일쿨러(3)와, 엔진오일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오일여과기(4)와, 여과된 오일을 엔진의 각 부분으로 분배공급하는 메인갤러리(5)를 포함하는 엔진오일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일펌프(2)로부터 오일쿨러(3) 및 오일여과기(4)를 우회하여 메인갤러리(5)로 직접 엔진오일을 공급하는 바이패스 공급관로(7)와;
상기 바이패스 공급관로(7)로부터 분기되어 오일펌프(2)로부터 압송되는 엔진오일을 오일팬(1)으로 귀환안내하는 바이패스 리턴라인(8)과;
상기 바이패스공급 및 리턴라인(8)의 분기지점에 설치되어 오일펌프(2)측 압력과 메인갤러리(5)와의 압력차가 설정치 이상일 때에만 바이패스 공급라인측을 개방하고 오일펌프(2)측 압력이 규정치 이상일 때에는 바이패스 리턴라인(8)을 개방하도록 작동되며, 또한 상기 바이패스공급 및 리턴라인(8)을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개폐하는 제어밸브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오일의 압력유지장치
본 발명은 엔진의 각 운동부위에의 윤활을 위해 공급하는 엔진오일의 압력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많은 부품들이 서로 마찰한다.
이와같은 마찰에 사용되는 힘은 실린더의 팽창행정에서 얻은 힘에 대하여 모두가 저항이며 손실이 되는 힘으로 부품끼리의 마찰은 그 부품을 마모시켜 수명을 단축시키고 엔진의 성능을 총합적으로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다른한편 연소실에서의 연소가스의 온도가 2000℃ 이상에 달하고, 이 열의 상당량이 실린더, 실린더헤드, 피스톤 등에 흡수되며 또한 마찰이 있는 부분에는 열발생을 수반하게 되므로 부품들의 열화를 촉진하여 엔진수명 단축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엔진내부의 마찰저항을 저감함과 동시에 냉각을 위하여 엔진오일을 각 운동부위에 공급하여 윤활 및 냉각하고 있다.
엔진에 공급되는 윤활시스템은 도 3에 도시하는 것과같이 실린더블록 하부의 오일팬(1)에 수용된 엔진오일을 오일펌프(2)로 퍼올려 오일쿨러(3)와 오일여과기(4)를 거쳐 엔진의 메인갤러리(5)로 강제 급송하며, 메인갤러리(5)로부터 각 운동부위(6)로 분배공급되어 윤활 및 냉각한 후 다시 오일팬(1)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 오일펌프(2)는 크랭크 축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작동되며, 메인갤러리(5)에 일정압력(통상 4 bar)의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성능을 갖도록 그의 펌핑 용량이 결정된다.
그러나 오일펌프(2)로부터 펌핑되는 오일이 오일쿨러(3)와 오일여과기(4)를 거치면서 압력강하가 일어나기 때문에 이 압력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필요이상 과다하게 오일펌프 용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엔진구동력 손실의 원인이 되며, 또 오일여과기(3)와 오일쿨러(4)등이 막힐 경우 엔진오일공급 부족으로 엔진의 각 운동부위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올 위험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오일여과기 및 오일쿨러의 막힘현상시에도 규정압력의 엔진오일이 공급되도록 하므로써 엔진오일 부족에 의한 엔진손상을 방지하는 엔진오일의 압력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팬과, 오일팬내의 엔진오일을 퍼올려 급송하는 오일펌프와, 급송되는 엔진오일을 냉각하는 오일쿨러와, 엔진오일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오일여과기와, 여과된 오일을 엔진의 각 부분으로 분배공급하는 메인갤러리를 포함하는 엔진오일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일펌프로부터 오일쿨러 및 오일여과기를 우회하여 메인갤러리로 직접 엔진오일을 공급하는 바이패스 공급관로와;
상기 바이패스 공급관로로부터 분기되어 오일펌프로부터 압송되는 엔진오일을 오일팬으로 귀환안내하는 바이패스 리턴라인과;
상기 바이패스공급 및 리턴라인의 분기지점에 설치되어 오일펌프측 압력과 메인갤러리와의 압력차가 설정치 이상일 때에만 바이패스 공급라인측을 개방하고 오일펌프측 압력이 규정치 이상일 때에는 바이패스 리턴라인을 개방하도록 작동되며, 또한 상기 바이패스공급 및 리턴라인을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개폐하는 제어밸브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엔진오일의 압력유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밸브장치의 상세도
도 3은 종래의 윤활 시스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일팬 2 : 오일펌프
3 : 오일쿨러 4 : 오일여과기
5 : 메인갤러리 7 : 바이패스 공급관로
8 : 바이패스 리턴라인 9 : 제어밸브장치
10 : 공통관로 11,12 : 작동실
14 : 밸브하우징 15,16 : 밸브
17,18 : 오일통로 19,20 : 스프링
21 : 분기관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엔진오일의 압력유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 제어밸브장치의 상세도이다.
도면중 부호 1은 실린더블록 하부에 장착되어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팬이다.
그리고 부호 2는 오일팬(1)내의 엔진오일을 퍼올려 급송하는 오일펌프이며, 부호 3은 엔진오일의 점도 및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냉각시키는 오일쿨러이며, 부호 4는 엔진오일 속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오일여과기이며, 부호 5는 여과된 엔진오일을 엔진(6)의 각 운동부에 분배공급하는 메인갤러리이다.
상기 오일펌프(2)와 메인갤러리(5)는 바이패스 공급관로(7)로 연결되어 있으며, 바이패스 공급관로(7)의 도중에는 바이패스 리턴라인(8)이 분기접속되어 오일펌프(2)로부터 급송되는 엔진오일의 압력이 기준치 이상일 때 바이패스 리턴라인(8)을 통해 오일팬(1)으로 귀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공급관로(7)와 바이패스 리턴라인(8)의 분기지점에는 제어밸브장치(9)가 설치되어 있어, 제어밸브장치(9)의 작동 상태에 따라 오일펌프(2)측의 펌핑 오일이 메인갤러리(5) 또는 오일팬(1)측으로의 선택적 또는 동시적 흐름이 일어난다.
이에따라 상기 오일펌프(2)와 제어밸브장치(9)를 잇는 관로(10)는 바이패스 공급관로(7)와 바이패스 리턴라인(8)의 공통관로(10)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밸브장치(9)는 도 2의 상세도와 같이 제1작동실(11)과 제2작동실(12)이 격리판(13)에 의해 구획설정된 밸브하우징(14)과, 상기 각 작동실(11)(12)내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제1밸브(15)와 제2밸브(16), 각 제1밸브(15)와 제2밸브(16)에 형성된 제1오일통로(17)와 제2오일통로(18), 그리고 제1밸브(15)와 제2밸브(16)를 각각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19)과 제2스프링(20) 및 메인갤러리(5)의 압력을 제1작동실(11)에 공급하기 위하여 분기접속되는 분기관(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19)은 오일펌프(2)측 압력 P1과 메인갤러리(5)측 압력 P2의 압력차 ▵P=P1-P2 가 허용되는 설정치, 예를들면 1.5bar에 해당되는 탄성력을 갖는다.
따라서 압력차 ▵P > 1.5bar 라면 압력 P1에 의해 제1밸브(15)가 제1스프링(19)을 압축하면서 이동하여, ㄱ자형의 제1오일통로(17)가 바이패스 공급관로(7)와 연통되어지게 되므로써 오일펌프(2)에 의해 급송되는 엔진오일의 일부가 오일쿨러(3)를 우회하여 직접 메인갤러리(5)에 공급되어 부족한 오일압을 보충하게 된다.
즉 오일펌프(2)측의 오일압력 P1이 적정함에도 불구하고 메인갤러리(5)측의 오일압력 P2가 기준치 보다 낮을 경우 오일쿨러(3)나 오일여과기(4)가 막힌 것이라 추정되므로 부족한 엔진 오일량을 바이패스 공급관로(7)를 통해 메인갤러리(5)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스프링(20)은 압력 P1이 규정치, 예를들면 오일팬(1)으로 리턴이 시작되는 최소오일압력(다른 표현으로 최대허용압력)을 5.5bar로 설정하였다면 5.5bar 압력과 평형을 이루는 탄성력을 갖는다. 따라서 압력 P1이 규정치, 예를들면 5.5bar 이상이 되면 제2밸브(16)가 제2스프링(20)을 압축하면서 이동하여 ㄱ자형의 제2오일통로(18)가 바이패스 리턴라인(8)을 연통하게 되며, 엔진오일은 오일팬(1)으로 귀환되고 규정압력 이하로 P1이 떨어지면 제2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제2밸브(16)가 전진하여 바이패스 리턴라인(8)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P1압력이 5.5bar 이상이고 메인갤러리 압력 P2가 예를들어 3.5bar이라면 제1 및 제2밸브(15)(16) 모두가 제1 및 제2스프링(19)(20)을 압축하면서 이동하여 오일펌프(2)측의 엔진오일의 일부는 제1오일통로(17)를 통해 메인갤러리(5)에 공급되고 동시에 일부 오일은 제2오일통로(18)를 통해 오일팬(1)으로 귀환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P=P1-P2 및 P1의 크기에 따라 바이패스공급 및 리턴라인을 제1 및 제2밸브가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오일펌프와 메인갤러리를 바이패스 공급관로로서 접속하고 바이패스 리턴라인을 바이패스 공급관로로부터 분기시켜 오일팬에 접속하며, 그 분기지점에 제어밸브장치를 설치하고, 그 제어밸브장치가 오일펌프측 압력과 메인갤러리측 압력과의 차가 설정치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 바이패스 공급라인을 개방하여 메인갤러리의 부족한 오일량을 보충하고, 오일펌프압력이 규정치 이상 높은 경우 바이패스 리턴라인을 개방토록 제어하여 과압의 엔진오일을 오일팬으로 리턴시키게 되므로써 오일쿨러 또는 오일여과기가 막히게 되더라도 규정압력을 엔진에 공급할 수 있어 엔진손상을 방지하며, 특히 제어밸브장치가 종래의 안전밸브장치를 겸용하는 구조로 되어있어 시스템의 구조를 크게 단순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팬(1)과, 오일팬(1)내의 엔진오일을 퍼올려 급송하는 오일펌프(2)와, 급송되는 엔진오일을 냉각하는 오일쿨러(3)와, 엔진오일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오일여과기(4)와, 여과된 오일을 엔진의 각 부분으로 분배공급하는 메인갤러리(5)를 포함하는 엔진오일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일펌프(2)로부터 오일쿨러(3) 및 오일여과기(4)를 우회하여 메인갤러리(5)로 직접 엔진오일을 공급하는 바이패스 공급관로(7)와;
    상기 바이패스 공급관로(7)로부터 분기되어 오일펌프(2)로부터 압송되는 엔진오일을 오일팬(1)으로 귀환안내하는 바이패스 리턴라인(8)과;
    제1작동실과 제2작동실이 격리판에 의해 구획설정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각 제2 및 제2작동실내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제1 및 제2밸브와, 각 제1 및 제2밸브에 형성된 제1오일통로와 제2오일통로와, 제1 및 제2밸브를 탄발지지하는 제1 및 제2스프링 및 메인갤러리의 압력을 제1작동실에 공급하기 위하여 분기접속되는 분기관으로 구성된 제어밸브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바이패스공급 및 리턴라인(8)의 분기지점에 설치되어 오일펌프(2)측 압력과 메인갤러리(5)와의 압력차가 설정치 이상일 때에만 바이패스 공급라인측을 개방하고 오일펌프(2)측 압력이 규정치 이상일 때에는 바이패스 리턴라인(8)을 개방하도록 작동되며, 또한 상기 바이패스공급 및 리턴라인(8)을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의 압력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은 오일펌프측 압력과 메인갤러리측 압력과의 차( ▵P=P1-P2 )의 허용설정치에 해당되는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의 압력유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은 오일펌프측 압력 P1의 최대허용압력에 해당되는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의 압력유지장치.
KR1019970080980A 1997-12-31 1997-12-31 엔진오일의압력유지장치 KR100302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980A KR100302659B1 (ko) 1997-12-31 1997-12-31 엔진오일의압력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980A KR100302659B1 (ko) 1997-12-31 1997-12-31 엔진오일의압력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737A KR19990060737A (ko) 1999-07-26
KR100302659B1 true KR100302659B1 (ko) 2001-12-28

Family

ID=3752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980A KR100302659B1 (ko) 1997-12-31 1997-12-31 엔진오일의압력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6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496U (ko) * 1993-06-09 1995-01-04 자동차용 실린더헤드의 오일배출 방지장치
KR970010022U (ko) * 1995-08-31 1997-03-29 중장비 차량의 토크 컨버터용 오일냉각장치의 온도 보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496U (ko) * 1993-06-09 1995-01-04 자동차용 실린더헤드의 오일배출 방지장치
KR970010022U (ko) * 1995-08-31 1997-03-29 중장비 차량의 토크 컨버터용 오일냉각장치의 온도 보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737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4836A (en) Lubricating system and method for turbocharged engines
RU1802852C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с масл ным охлаждением
US5682851A (en) Oil system for an engine that includes an auxiliary priming pump
US4890695A (en) Engine lubrication system
CN114439570A (zh) 一种发动机的润滑系统、发动机及其控制方法
US4270562A (en) Fluid sequence bypass apparatus
US3741342A (en) Engine oil cooling and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302659B1 (ko) 엔진오일의압력유지장치
KR102001354B1 (ko) 압력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2084873B1 (ko) 압력 조절 배열체 및 방법
US3453995A (en) Piston cooling and lubrication system
GB2284859A (en) Oil cooled reciprocating piston i.c.engine
EP0037395B1 (en) Fluid sequence bypass apparatus
US3606935A (en) Lubrica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0245756B1 (ko) 엔진오일냉각장치
KR100783883B1 (ko) 엔진의 메인 갤러리 압력조절장치
KR0128340Y1 (ko) 내연기관의 오일 공급장치
KR200240260Y1 (ko) 엔진 오일의 적정량 공급장치
KR100216787B1 (ko) 엔진오일 공급장치
KR19980041282U (ko) 오일의 바이패스 구조
KR100212891B1 (ko) 오일 냉각 기능을 갖는 오일 여과기
KR19990057957A (ko) 엔진 윤활장치
KR200178403Y1 (ko) 엔진오일 급송용의 유압조절장치
KR100410507B1 (ko) 엔진 윤활 장치의 릴리이프 구조
JPH04183909A (ja) 油冷併用空冷エンジンの強制潤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