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997B1 - 복합기의음성단축다이얼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복합기의음성단축다이얼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997B1
KR100301997B1 KR1019980027895A KR19980027895A KR100301997B1 KR 100301997 B1 KR100301997 B1 KR 100301997B1 KR 1019980027895 A KR1019980027895 A KR 1019980027895A KR 19980027895 A KR19980027895 A KR 19980027895A KR 100301997 B1 KR100301997 B1 KR 100301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peed dial
input
key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180A (ko
Inventor
지영호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27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997B1/ko
Publication of KR2000000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58Abbreviated dialing, e.g. one-touch di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04M1/272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using electronic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phonic apparatus, e.g. telephone answering machine or videotex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403Voice input means, e.g. voice comm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단축번호의 이름을 음성으로 하여 전화번호와 함께 등록하고 전화번호의 확인 시에 등록된 단축번호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송출하여 확인시켜 주는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은, 등록키이와 단축번호를 선택·지정하여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의 명칭을 소정의 정보로 하여 등록완료 하는 단계; 대기상태에서 확인키이 및 단축번호의 입력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확인키이와 단축번호 입력 시에 명칭과 단축번호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소정의 정보로 표출하여 확인시키는 단계; 송수화기 또는 스피커폰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면 확인된 전화번호를 다이얼 하여 통화루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단축 다이얼 기능사용 시에 사용자가 입력한 단축번호의 명칭과 전화번호를 그대로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여 줌으로써, 단축 다이얼 기능에 대한 편리성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
본 발명은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팩시밀리 또는 전화기와 같이 조작패널을 통해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상대방과의 음성통화 또는 원고의 화상통화로를 형성하는 장치에서 전화번호 등록 시에 단축번호의 이름을 음성을 이용하여 함께 등록하고, 등록된 단축 전화번호의 이름을 음성을 통해 확인시켜 주어 음성에 의한 정확한 단축등록과 단축확인 기능의 편리성을 양립시키도록 하는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기라 함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기존의 팩시밀리, 키폰 전화기, 스캐너(Scanner), 프린터(Printer), 복사기(Copier) 등 각각의 단품으로 존재하던 단말을 하나로 엮어서 만든 다기능의 단말기로 컴퓨터와 연동이 되는 기능을 갖는, 즉 다시 말해서, 컴퓨터-인터페이스 기능을 가미한 다기능 주변장치(Multi Functional Peripheral : MFP)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팩시밀리의 기능과 전화기능을 갖는 복합기 또는 단일품의 팩시밀리 장치와 일반 전화기 또는 키폰 전화기 등에서, 사용자가 조작패널을 통해 단축 다이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키폰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 장치의 조작패널에 구비된 단축키이(일반 전화기에서는 해당 제조회사에서 지정한 특정의 두 자리 수 또는 세 자리수의 번호)를 누르고 등록시키고자 하는 단축번호와 전화번호를 순서적으로 다이얼링한 후에 다시 키폰 전화기에서는 단축키이를, 일반 전화기에서는 후크 스위치를 누르게되면 단축번호와 단축 전화번호가 자체의 메모리에 기억됨과 아울러 액정표시장치(키폰 전화기에서)에 숫자로 표시해 주거나 액정표시장치가 없는 일반 전화기에서는 송수화기를 통해 단축 전화번호가 등록되었다는 확인 음을 송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단일품의 팩시밀리 장치에서도 상기의 키폰 전화기와 같이 동일 방법에 의해서 단축번호와 팩스번호가 등록되고 아울러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단축번호를 지정하여 단축 전화번호를 등록한 다음에 그 단축 전화번호를 찾고자 상기 단축키이와 단축번호를 순서적으로 누르면 상기 해당 단축번호에 등록되어 있는 단축 전화번호를 읽어들여 액정표시장치에 표시하여 줌과 아울러 다이얼링하여 통화로를 형성하여 주고, 또한 일반 전화기에서는 송수화기를 들고 상기 특정의 번호와 단축번호를 누르게 되면 바로 그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되어 통화로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화번호를 단축번호의 번지에 등록한 후에 단축 다이얼링을 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장치로서는 도 1과 같은 장치가 있다.
도 1에 제시된 장치를 종래 기술에 따른 복합기의 단축 다이얼 장치의 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에서 복합기에 포함되어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스캐닝하는 스캐너; 상기 스캐너에서 읽어들인 원고 화상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또는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용지에 인쇄하는 레이저 엔진; 및 인쇄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상기 레이저 엔진에 제공하는 호스트 컴퓨터 등을 제외하며, 여기서는 전화번호를 단축번호로 등록하여 음성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키폰 전화기의 한 예를 고려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키폰 전화기는, 시스템의 각종 기능의 키이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수의 키이를 가지는 조작패널(OPE: Operating Panel)(102)과, 조작패널(102)에서 발생되는 키이 데이터를 감지하는 키이감지부(103)와,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키이감지부(103)에서 입력되는 키이 데이터를 가지고 조작패널(102)로부터 선택된 키이를 판단하며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음성통화로 형성과 단축 전화번호 등록 및 단축 다이얼 기능을 수행하는 등 일련의 시스템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00)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키폰 주장치로부터 데이터라인(DA)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처리장치(100)에 제공하고 중앙처리장치(100)의 데이터를 상기 키폰 주장치에 제공하여 주는 데이터 통신부(106)와,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제공되는 키이 데이터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TMF 발생부(105)와,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전환되어 DTMF 발생부(105)의 DTMF신호를 내선라인(Tip, Ring)을 통해 상기 키폰 주장치에 공급하고 아울러 키폰 전화기와 상기 키폰 주장치와의 음성통화로 형성을 결정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부(104)와, 상기 키폰 주장치와의 음성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해 아날로그 스위치부(104)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송수화기(108)에 제공하고 송수화기(108)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스위치부(104)를 통해 상기 키폰 주장치에 인터페이스 하는 음성인터페이스부(107)와, 중앙처리장치(100)의 각종 표시 데이터를 액정화면에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10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키폰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 장치를 도 1을 통해 더욱 구체화하기로 한다.
키폰 전화기가 기동하면 평상시에 중앙처리장치(100)는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여 이후에 설명될 아날로그 스위치부(104)를 통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키폰 주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키폰 주장치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자체의 아날로그 스위치를 전환해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교환국의 국선라인과 상기 키폰 전화기의 아날로그 스위치부(104)가 연결되어 통상의 전화를 걸때와 같이 조작패널(102)의 모든 전화번호를 다 누르거나 돌림으로서 전화를 걸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단축 다이얼로 전화를 걸때는 키폰 전화기의 아날로그 스위치부(104)를 음성인터페이스부(107)쪽으로 전환하고 조작패널(102)에서 선택한 단축번호를 데이터 통신부(106)를 통해 키폰 주장치에 제공하면 키폰 주장치는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자체의 메모리에서 읽어들여 다이얼 하게 되는데, 이에 앞서 사용빈도 수가 높은 전화번호를 단축번호로 상기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주지하다시피, 단축 다이얼 기능에서 단축 전화번호의 등록은 사용자가 조작패널(102)을 통해 단축키이를 2회 연속하여 누르게 되어 있다.
상기 키폰 전화기 내의 조작패널(102)을 통해 단축키이를 2회 연속하여 누르게 되면 키이감지부(103)는 두 번의 온(ON), 오프(OFF)를 반복하여 소정의 펄스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 신호는 중앙처리장치(100)에 입력되어 진다.
여기서, 단축키이를 2회 누르는 이유는 1회 눌렀을 때는 사용자가 단축을 원하는지 또는 단축된 다이얼을 사용하고 싶은지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중앙처리장치(100)는 키이감지부(103)로부터 입력되는 최초의 2자리번호를 단축 다이얼로 판단하여 이를 데이터 통신부(106) 및 데이터라인(DA)을 통해 키폰 주장치(간이 교환장치)에 전송함과 아울러 자체의 액정표시장치(101)에 표시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빈도 수가 높은 전화번호를 조작패널(102)을 조작하여 키이감지부(103)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00)에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데이터 통신부(106) 및 데이터라인(DA)을 통해 상기 키폰 주장치에 전송하고, 또한 액정표시장치(101)에 표시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폰 주장치는 데이터라인(DA)을 통해 들어오는 번호 중 최초의 2자리는 단축 다이얼로, 그 이후의 번호는 전화번호로서 자체의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패널(102)의 키이를 조작하여 최초의 2자리는 단축 다이얼로, 나머지는 순차적으로 전화번호를 입력시키면 단축 다이얼로 전화번호가 메모리 내에 기억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단축키이가 입력되면 단축다이얼의 등록을 완료하고 초기화된다.
이와 같이 단축 전화번호를 등록한 후에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로 전화를 걸고자 할 때는, 먼저 조작패널(102)의 단축키이를 한번 누르고 전화하고자 하는 해당 단축번호를 누르게 되면 키이감지부(103)에서 이를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100)에 입력하게 된다.
중앙처리장치(100)는 상기 입력된 단축키이를 가지고 단축 다이얼 모드로 판단하고 아울러 입력된 단축번호를 데이터 통신부(106) 및 데이터라인(DA)을 통해 상기 키폰 주장치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키폰 주장치는 자체내의 메모리를 억세스하여 상기 데이터라인(DA)을 통해 입력되는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키폰 전화기의 데이터 통신부(106) 및 중앙처리장치(100)를 통해 액정표시장치(101)에 표시하여 줌과 아울러 해당 국선을 통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교환국에 송출하게 된다.
이후 교환국에 의해 음성통화루프가 형성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아날로그 스위치부(104)를 제어하여 음성인터페이스부(107)측으로 전환시켜 주게되므로 결국, 키폰 전화기의 송수화기(108)를 통해 상대방과의 음성통화가 행하여지게 된다.
그리고 또한,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다이얼 하고자 조작패널(102)의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누르게 되면 키이감지부(103)가 이를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100)에 제공하게 된다.
중앙처리장치(100)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DTMF 발생부(105)에 제공하고 아울러 아날로그 스위치부(104)를 DTMF 발생부(105)쪽으로 전환하게 된다.
DTMF 발생부(105)는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스위치부(104) 및 내선라인(Tip, Ring)을 통해 상기 키폰 주장치에 전송하여 쌍방간의 음성통화루프를 형성하여 주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단축 다이얼 기능을 갖는 복합기 또는 단일품의 키폰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 장치 등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등록 시에 단축번호를 지정하여 함께 등록하고 사용 시에는 해당 단축번호를 선택하여 단축 다이얼링을 하게 됨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된 상기 키폰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 장치는 등록된 임의 단축번호를 누르게 되면 그에 대한 전화번호가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되면서 단축 다이얼링을 하는 기능을 갖고는 있으나, 그 표시된 전화번호만을 가지고 누구의 번호인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는 관계로 인하여 원치 않는 단축번호로 전화가 걸리는 경우가 발생되고, 또한 단축 다이얼 기능을 사용할 때마다 액정표시장치를 신중하게 주시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 전화기로 단축 다이얼 기능을 사용 시에 등록된 전화번호의 이름을 아라비아 숫자로 단축하여 지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록된 단축 전화번호 중에서 원하는 전화번호를 찾고자 할 때 단축 전화번호의 이름이 단축 번호로 지정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단축번호만을 가지고 해당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전화번호의 이름을 아라비아 숫자로 단축하여 사용함에 의해 발생되는 단축 전화번호 확인의 어려움을 회피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전화번호를 단축번호로 등록할 때마다 그 단축번호의 이름을 별도의 용지에 기록하여 사용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그것에는 별도의 용지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의 이름을 일일이 기록했다가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축 다이얼에 대한 사용상의 불편함과 단축 전화번호의 확인에 대한 어려움을 방지하고, 또한 단축 전화번호의 확인 어려움에 따른 재다이얼과 다이얼의 에러 율을 최소화하면서도 종래의 것과 동등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 및 장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서, 단축 다이얼 기능의 사용상 불편함과 단축 전화번호의 확인 어려움을 배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단축 전화번호를 등록할 때 단축번호의 이름으로 음성을 이용하여 등록하고 원하는 단축 전화번호의 이름을 음성으로 확인시켜 주도록 하는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등록된 단축 전화번호와 단축번호 이름을 시청각적으로 반복·확인시켜 주고 송수화기 및 스피커 버튼의 선택여부에 따라 상기 확인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견지로서, 전화번호가 등록될 단축번지를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성명, 상호, 기관명 또는 필요한 음성메모를 입력하여 지정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견지로서, 음성에 의한 정확한 단축 전화번호의 등록과 단축 전화번호 확인 기능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키폰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에 대한 신호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중앙처리장치 201 : 디지털신호 처리부
202 : 마이크 203 : 마이크 증폭부
204 : 스피커 205 : 스피커 증폭부
206 : 코덱부 207 : 액정표시장치
208 : 조작패널 209 :데이터램
210 : 프로그램롬 211 : 이이피롬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은, 단축 다이얼을 등록하기 위한 단축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이름정보를 음성으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이름정보가 지시하는 번지에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가 지정될 때에 상기 입력된 이름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단축번호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름정보 입력 단계는, 상기 이름정보의 입력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안내 메시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이름정보가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결과 상기 이름 정보가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안내 메시지를 소정 횟수 반복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화번호 저장 단계는, 상기 전화번호의 입력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안내 메시지의 지시에 따라 전화번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안내 메시지를 소정 횟수 반복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ㅏ.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은, 단축 다이얼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키이를 입력하는 단계; 사기 등록키이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단축 다이얼이 등록되는 등록번지를 음성으로 지정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등록번지에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음성이 입력될 때 해당 음성을 출력하여 등록번지를 알리고, 해당 등록 번호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 또는 음성 출력단계는, 상기 단축 다이얼을 확인키이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확인키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등록된 단축번호를 저장하고 음성이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음성이 입력되었을 때 해당 음성을 출력하고, 해당 음성이 저장하고 있는 등록번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단축 전화번호를 등록할 때 스피커로 송출되는 안내 메시지의 수순에 따라 단축번호의 명칭을 음성과 함께 저장하여 관리하고 또한 등록된 전화번호를 찾을 때 단축번호의 명칭을 전화번호와 동시 송출하여 주게됨을 알 수가 있다.
그 결과, 단축 다이얼 기능사용 시에 사용자가 입력한 단축번호의 명칭을 그대로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여 줌으로써, 단축 다이얼 기능에 대한 편리성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은 복합기 또는 단일품의 팩시밀리 또는 전화기와 같이 조작패널을 통해 단축 다이얼 하여 상대방과의 음성통화 또는 원고의 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기능을 갖는 복합기에서 전화기를 사용한 예를 고려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처리하며, 전화기의 단축다이얼 기능사용 시에 필요한 안내 메시지의 송출 등 각종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00)와, 시스템의 기능키이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수의 키이와 단축번호 및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키이를 가지며 상기 키이 데이터 발생 시에 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00)에 제공하는 조작패널(208)과, 중앙처리장치(200)에서 제공되는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번지(address)가 지정되어 조작패널(208)에서 선택한 상기 전화번호를 해당 번지에 저장하는 이이피롬(211)과, 상기 전화기의 동작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동작 안내하기 위한 상기 안내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롬(210)과,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마이크(202)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에 대한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설정이득 값까지 증폭시켜 출력하는 마이크증폭부(203)와, 상기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코덱부(206)와, 코덱부(206)에서 변환된 음성 안내 메시지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설정이득 값까지 전력 증폭시켜 스피커(204)로 송출하는 스피커 증폭부(205)와, 중앙처리장치(200)에 의해 코덱부(206)에서 변환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에 대한 디지털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데이터램(209)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음성정보와 프로그램롬(210)에 저장된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를 신호 처리하여 코덱부(206)에 제공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201)와, 중앙처리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전화기의 동작상태 정보와 이이피롬(211)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표시해 주는 액정표시장치(207)와, 중앙처리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전화라인(Tip, Ring)과 송수화기(213)를 접속시켜 주어 통화루프를 형성시키는 아날로그 스위치부(212)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은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를 등록할 때에 단축번호의 이름을 음성으로 하여 등록하고 그 등록된 단축번호의 이름과 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확인시켜 주면서 다이얼 하는 신호흐름도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장치는, 단축 다이얼 기능사용 시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의 이름을 음성을 사용하여 등록하고 확인시켜 주는 과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이하에,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전화번호에 대한 단축번호의 이름을 음성으로 하여 등록하고자 할 경우와 등록된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 두 가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등록 및 확인할 수가 있다.
그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조작패널(208)의 등록키이를 눌러 등록하고, 확인 시에는 조작패널(208)의 확인키이를 눌러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는 조작패널(208)의 단축키이(단축버튼)를 2회 연속하여 눌러 등록하고, 확인 시에는 조작패널(208)의 단축키이를 1회 눌러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의 전자는 조작패널(208)에 등록키이와 확인키이가 구비된 전화기인 경우이고, 후자는 조작패널(208)에 단축키이만 구비된 일반 전화기인 경우이다.
여기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등록키이와 단축키이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복합기내의 전화기가 대기상태(단계; ST10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를 단축하여 등록시키고자 조작패널(208)의 등록키이를 누르고 단축 다이얼을 저장할 단축번호를 선택하여 지정하면 중앙처리장치(200)는 조작패널(208)로부터의 등록키이와 단축번호의 입력여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01, ST102).
단계(ST101, ST102)에서 등록키이가 눌려지고 이어서 단축번호(예; 01)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200)는 이후에 조작패널(208)로부터 입력될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해서 이이피롬(211)의 해당 번지를 지정하고 아울러 또한 단축 다이얼 기능사용을 위한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해 도 2의 디지털신호 처리부(201)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에서 단축번호의 지정은 조작패널(208)의 숫자키이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고 또한 키이보드가 구비된 경우에는 방향키이로 이동하여 선택 입력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디지털신호 처리부(201)는 중앙처리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프로그램롬(210)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 메시지, 예컨대 조작패널(208)에서 지정된 상기 해당 단축번호에 대한 이름(명칭)을 마이크(202)를 통해 입력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읽어들여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 후에 코덱부(CODEC; Coder - Decoder)(206)에 제공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안내 메시지에 응답하여 입력될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램(209)의 해당 번지를 지정하게 된다.
코덱부(206)는 디지털신호 처리부(201)에서 입력되는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 증폭부(205)를 통해 충분한 크기로 전력 증폭한 후에 스피커(204)로 송출하게 된다(단계; ST103).
이와 같이, 디지털신호 처리부(201)를 제어하여 상기 단축번호의 이름을 입력하라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스피커(204)로 송출한 다음 상기 단축번호의 이름에 대한 음성신호의 입력 여부를 검색한다(단계; ST104).
단계(ST104)에서 상기 단축번호의 이름에 대한 음성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안내 메시지를 소정의 회수동안 송출, 예컨대 2회 정도 더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피커(204)를 통해 송출되는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를 청취한 후에 그에 응답하는 상기 단축번호의 이름(명칭), 예컨대 "우리 집" 이라는 단축번호의 이름을 음성으로 하여 마이크(203)를 통해 입력하면 마이크 증폭부(203)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설정이득 값까지 충분하게 증폭하여 코덱부(206)에 제공한다.
여기서, 단축번호의 이름을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입력시키는 과정에서 이름뿐만 아니라 상호, 기관 명을 입력하여 번지 명을 정의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코덱부(206)는 단축번호의 이름에 대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신호 처리부(201)에 제공한다.
디지털신호 처리부(201)는 상기 단축번호의 이름에 대한 음성정보, 즉 "우리 집" 이라는 정보를 상기 지정된 데이터램(209)의 해당 번지(Address)에 저장하고 다시 프로그램롬(210)으로부터 또다른 안내 메시지, 예컨대 단축 등록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읽어들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스피커(204)를 통해 송출하게 된다(단계; ST105).
이후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에 응답하는 전화번호의 입력 여부를 조작패널(208)로부터 검색하여(단계; ST106) 전화번호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안내 메시지를 2회 정도 더 송출하여 주게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우리 집"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조작패널(208)을 통해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200)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상기 지정된 이이피롬(211)의 해당 번지에 등록하고 초기상태로 리턴 한다(단계; ST107, ST116).
이와 같은 조작의 반복적으로 원하는(정해진) 숫자만큼의 단축번호, 단축번호의 이름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데이터램(209), 이이피롬(211)에 등록완료 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통해 등록된 전화번호 중에서 원하는 단축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확인하고 단축다이얼 하기 위한 동작을 이하를 통해 설명한다.
먼저 복합기내의 전화기가 대기상태(단계; ST100)에서 조작패널(208)로부터 확인키이의 입력여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08).
단계(ST108)에서 확인키이가 입력되지 않으면 일반 전화기의 루틴을 수행한다(단계; ST117).
단계(ST117)에서는 단축 다이얼 기능 이외의 동작, 일 예로써 사용자가 조작패널(208)을 통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눌러 통화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루틴이다.
그리고 단계(ST108)에서 조작패널(208)로부터 확인키이가 입력되면 다시 조작패널(208)로부터 해당 단축번호의 입력 여부를 검색한다(단계; ST109).
단계(ST109)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단축번호(예, 01)가 검색되면 중앙처리장치(200)는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이름(명칭), 예컨대 "우리 집"을 음성으로 송출하기 위해 디지털신호 처리부(201)를 제어하게 된다.
디지털신호 처리부(201)는 중앙처리장치(200)에 의해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이름을, 즉 "우리 집"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램(209)으로부터 읽어들여 음성정보로 처리한 후에 상기 등록과정과 동일하게 코덱부(206), 스피커 증폭부(205)를 통해 스피커(204)로 송출하여(단계; ST110) 사용자가 원하는 단축번호인지 확인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또한 중앙처리장치(200)는 조작패널(208)에서 지정한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이이피롬(211)으로부터 읽어들여 디지털신호 처리부(201)에 제공하고 디지털신호 처리부(201)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프로그램롬(210)의 해당 번지들로부터 읽어들여 코덱부(206), 스피커 증폭부(205) 및 스피커(204)를 통해 송출하여(단계; ST111) 알려주게 된다.
즉, 단축번호의 이름과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하여 송출하여 확인시켜 줌과 아울러 상기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액정표시장치(207)에 표시하여(단계; ST112) 주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단축 전화번호의 확인 동작은 사용자가 원하는 번호가 확인될 때까지 조작패널(208)의 확인키이를 반복 조작함으로써 수행된다.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번호가 송출 및 표시되었을 때 송수화기(213)를 들거나 스피커 버튼을 누르면 상기 해당 전화번호를 바로 다이얼 하게 된다.
즉, 원하는 전화번호가 송출 및 표시된 상태에서 중앙처리장치(200)는 훅크 오프상태와 스피커 버튼의 눌림 상태를 검색한다(단계; ST113, ST114).
단계(ST113, ST114)에서 어느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면 아날로그 스위치부(212)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 지정된 전화번호를 곧 바로 다이얼 하여(단계; ST115) 전화라인(Tip, Ring)측으로 전송하고, 통화루프가 형성되면 아날로그 스위치부(212)를 제어하여 송수화기(213)와 전화라인(Tip, Ring)을 통해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를 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축번호의 이름을 음성을 통해 입력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단축번호를 누르지 않고 필요한 음성메모를 이용하여 단축번지의 번지 명을 정의할 수 있다.
즉 단축번호를 누르지 않고 상기 등록키이와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이름, 상호, 기관 명 또는 필요한 음성정보를 이용하여 단축번호의 번지 명을 정의하여 등록하고 확인 시에는 상기 확인키이와 상기 음성정보들을 이용하여 확인함으로써 찾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쉽게 찾을 수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 기능사용 시에 단축키이와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그 단축번호에 대한 전화번호를 액정표시장치에 숫자로서만 표시하여 주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단축번호의 이름과 그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시청각적으로 확인시켜 주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축 다이얼 기능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종래의 것과 동등 이상의 편리성을 가져올 뿐 아니라 음성 단축 다이얼에 따른 전화번호의 확인 어려움과 단축 다이얼 불량 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팩시밀리 장치 및 전화기 등에서 단축 다이얼 기능사용 시에 단축번호의 이름을 음성과 함께 저장하여 관리하고 등록된 단축 전화번호의 이름을 음성을 이용하여 확인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화번호 확인의 어려움이 배제되고 단축 다이얼에 대한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이 적용례에 의하면, 단축 다이얼 기능사용 시에 별도의 작업공수가 증가되는 것이 없고, 또한 등록된 전화번호 확인 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듦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은, 본 발명의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장치에 의하면, 음성 안내 메시지의 수순에 따라 단축번호의 이름을 음성으로 저장하여 관리하고, 또한 등록된 전화번호를 찾을 때 직접 음성을 이용하여 확인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화번호의 등록과 전화번호의 확인에 대한 편리성이 제공됨은 물론 오류 없이 확실하게 단축 다이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Claims (5)

  1. (1) 단축 다이얼을 등록하기 위한 단축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2)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이름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하는 단계;
    (3) 상기 입력된 이름 정보가 지시하는 번지에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4)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가 지정될 때에 상기 입력된 이름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단축번호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름 정보 입력 단계는, 상기 이름 정보의 입력에 대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이름정보가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결과 상기 이름정보가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를 소정 횟수 반복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 저장 단계는, 상기 전화 번호의 입력에 대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의 지시에 따라 전화 번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를 소정 횟수 반복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
  4. (1) 단축 다이얼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키이를 입력하는 단계;
    (2) 상기 등록키이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단축 다이얼이 등록되는 등록번지를 음성으로 지정하여 등록하는 단계;
    (3) 상기 등록된 등록번지에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
    (4) 상기 지정된 음성이 입력될 때 해당 음성을 출력하여 등록번지를 알리고, 해당 등록번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또는 음성 출력 단계는, 상기 단축 다이얼을 확인키이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확인키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등록번지를 지정하고 있는 음성이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음성이 입력되었을 때 해당 음성을 출력하고, 해당 음성이 저장하고 있는 등록번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음성단축 다이얼 방법.
KR1019980027895A 1998-07-10 1998-07-10 복합기의음성단축다이얼방법및장치 KR100301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895A KR100301997B1 (ko) 1998-07-10 1998-07-10 복합기의음성단축다이얼방법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895A KR100301997B1 (ko) 1998-07-10 1998-07-10 복합기의음성단축다이얼방법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180A KR20000008180A (ko) 2000-02-07
KR100301997B1 true KR100301997B1 (ko) 2001-10-27

Family

ID=1954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895A KR100301997B1 (ko) 1998-07-10 1998-07-10 복합기의음성단축다이얼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9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2741A (ko) * 1991-05-07 1992-12-19 백중영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KR930003646A (ko) * 1991-07-25 1993-02-24 정용문 단축다이얼 기능 수행시 팩스호출과 음성호출을 구분하여 송신하는 방법
JPH06284177A (ja) * 1990-05-29 1994-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話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177A (ja) * 1990-05-29 1994-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話機
KR920022741A (ko) * 1991-05-07 1992-12-19 백중영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KR930003646A (ko) * 1991-07-25 1993-02-24 정용문 단축다이얼 기능 수행시 팩스호출과 음성호출을 구분하여 송신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180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7075A (ko) 팩시밀리를 이용한 문자사서함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602322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301997B1 (ko) 복합기의음성단축다이얼방법및장치
US6049397A (en) Technique for printing call-back information in a facsimile machine combined with automatic answering machine
US7340041B2 (en) Telephone device having operation function by voice input
KR970003398B1 (ko) 팩시밀리전송시 수신자지정제어방법
JPH08251261A (ja) 情報処理装置
KR19980073400A (ko) 다기능 원터치키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및 원터치 다이얼링 방법
JPH07212393A (ja) 電子メールの送信方法
KR0171829B1 (ko) 팩시밀리에서 표준시각 설정장치 및 방법
JPH09205664A (ja) トーンダイヤラ及び電話機及び選択呼出受信機
JPH075713Y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23638B1 (ko) 다수의 무선 휴대장치를 가지는 팩시밀리에서 수신모드 설정방법
JP305717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電話機及びその発信方法と電話番号認識方法
KR20000046911A (ko) 무용지 방식의 팩시밀리/전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56611B1 (ko) 자동응답무선팩시밀리장치와그제어방법
JPH0831718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0115335A (ja) 通信装置、登録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H08111723A (ja) 留守番電話機能を備えた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90010100A (ko) 복합기의 음성 메시지 예약 전송 방법
KR20000009062A (ko) 전화번호의 오류수정 방법 및 장치
JP2000115325A (ja) 通信装置、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19980021365A (ko) 수신된 다이얼링 톤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0115338A (ja) 通信装置、登録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224738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