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340B1 - 생물체 표현형의 생물학적 자극및 교정을 위한 조성물 그리고 이것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생물체 표현형의 생물학적 자극및 교정을 위한 조성물 그리고 이것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340B1
KR100301340B1 KR1019940702303A KR19940702303A KR100301340B1 KR 100301340 B1 KR100301340 B1 KR 100301340B1 KR 1019940702303 A KR1019940702303 A KR 1019940702303A KR 19940702303 A KR19940702303 A KR 19940702303A KR 100301340 B1 KR100301340 B1 KR 100301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additive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703679A (ko
Inventor
알렉산드로비치 마르코프 제나디
Original Assignee
알렉산드로비치 마르코프 제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RU9292003081A external-priority patent/RU2093180C1/ru
Priority claimed from RU9292005267A external-priority patent/RU2093181C1/ru
Priority claimed from RU9393008264A external-priority patent/RU2093182C1/ru
Application filed by 알렉산드로비치 마르코프 제나디 filed Critical 알렉산드로비치 마르코프 제나디
Publication of KR94070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703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04Homeopathy; Vitalisation; Resonance; Dynamisation, e.g. esoteric applications; Oxygenation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4Copp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61K35/08Mineral waters; Sea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조성물은 식용 생성물 및 다른 첨가제를 포함하며, 외부 전력원의 작용하에서 처리된다. 식용 생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식염, 당 및 꿀을 다른 비율로 포함한다. 때로 식염을 사용하는 대신 해염을 사용한다. 주 성분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 식염(1 내지 400g/ℓ), 당(1 내지 3000g/ℓ) 및 꿀(1 내지 6000g/ℓ).
첨가제로서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금속 염화물 또는 탄산염 또는 해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 320g/ℓ를 사용한다.
또한 첨가제로서 구리, 몰리브덴, 마그네슘, 철, 코발트 및 니켈 염화물 또는 탄산염 형태의 미세원소를 1 내지 4g/ℓ 사용할 수도 있다.
외부 전력원의 작용하에서 조성물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펄스길이가 1×10-8내지 1초, 전압 펄스 상승 속도가 1×10-9내지 1×1013v/s, 온-오프시간 비율이 1 내지 104, 전극 사이의 전기장 세기가 10 내지 9× 104v/cm 인 전류로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때로 전기 펄스는 자기, 전자기, 광 또는 음향 펄스로 미리 전환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생물체 표현형의 생물학적 자극 및 교정을 위한 조성물 그리고 이것의 처리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생물학 및 의학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전적 구조에 영향을 미치고 사람 및 동물을 치료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물체의 변이유발을 조사하고, 원형 탈모증, 및 갑상선, 위장관, 신장 및 비뇨기, 남성과 여성의 성기의 종양학적 질병과 같은 다양한 질병을 실제로 치료하는 것을 포함하여, 연구 개발 분야 뿐만 아니라 실용 분야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조성물은 아무런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아야 하지만, 고도의 정보를 가져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실내 조건에서 장기간 저장될 수 있어야 하며, 양호한 미각특성을 가져야 한다.
외부 전원의 작용하에서 수득된 통상적인 약제가 공지되어 있다(참조: 미국특허 제4,771,130호 참조).
통상의 제제는 다음과 같은 3가지의 화학 결합된 성분을 포함한다:
(1) 공유결합을 형성하기 쉬운 리셉터의 적당한 부위에 영향을 미치는 치료학적 활성 약제 성분; (2) 외부 에너지원(가시광선, 자외선 또는 X선)의 작용하에서 활성화되어 약제 성분(들)을 리셉터의 특정 부위와 공유결합시킬 수 있는 치료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 (3) 상기 성분 (1)과 (2)를 결합시키기 위한 치료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
상기의 통상적인 제제는 다성분인데, 즉 실제로 3가지 제제를 포함하며, 생물체의 유전적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알긴산나트륨, 방부제 및 칼슘염을 포함하는 공지의 창상치유제(참조:SU 특허출원 제1,553,134호)는 2가지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의 제1조성물의 성분은 다음의 조성비(중량%)로 되어 있고 :
나트륨 염 12-14
글리세린 0.5-1.5
방부제 0.1-6.0
수분 나머지
제2조성물의 성분은 다음의 조성비(중량%)로 되어 있다:
CaCl21-2
글리세린 0.5-1.0
수분 나머지
상기의 통상적인 치료제는 생물체의 유전적 구조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종래 기술분야에는 상이한 인자들로 생물체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미생물의 대사작용 및 성장을 증강시키는 방법과 이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참조: DE A1 OS 3,538,194호). 상기의 통상적인 방법은 미생물에 전기장 층격을 가함으로써 이러한 전기장 효과가 E-펄스 형태를 갖도록 하고, 3.5 kV/cm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절의 연골세포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참조: 미국특허출원 4,487,834호). 이러한 통상적인 방법은 전기회로에 축전기를 연결시켜서 연골세포에 조심스럽게 AC 전기장의 층격을 가하는 것이다. 상기 전기장은 진동수가 60Hz 이고 전류밀도가 15 내지 145μA/cm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물학적 시스템을 교정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참조: DE-A1 OS 3,505,685호). 이러한 통상적인 방법은 동물, 사람 및 식물의 생물학적 시스템을 치료하는데 필요한 유전자 교정을 인위적인 염색체 돌연변이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위적인 염색체 돌연변이는 예를 들어, 자외선, X선, 및 전자, 핵이온(nuclear inos), 중성자 및 중성미자(neutrinoes)의 방사선과 같은 방사선의 작용에 의해 세포벽을 수소화물화(hydridizing) 시킴으로써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전자 돌연변이의 유형은 방사선의 유형, 방사선량 및 세기에 따라 표적 배향되거나, 선택되거나, 결정된다.
다양한 방사선을 이용하여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종래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심장허혈증을 가진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이 종래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참조: SU.A1 1,537,276호). 상기의 통상적인 방법은 진동수가 2 내지 10kHz이고 자기장 세기가 1 내지 3mTI/주기인 진행 펄스 자기장으로 심장과 신장 영역에 효과를 미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진행 자기장의 세기는 20 내지 25kHz의 진동수를 갖고, 쇄골(clavicle) 영역내의 펄스 자기장의 세기는 10 내지 15kHz의 진동수를 가지며, 흉곽 측면 영역에서의 펄스자기장의 세기는 15 내지 20kHz의 진동수를 가짐으로써, 치료에 소요되는 총 시간은 30 내지 40분이고, 1일 1회 또는 2회 적용된다.
종래 기술 분야에는, 전자기파 방사선을 이용하여 위십이지장 궤양을 앓는 환자를 치료하는 통상적인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참조: SU.A1, 1,519,712호). 통상적인 방법은, 4 내지 7일 동안 매일 10 내지 30분간 환자에게 전자기장을 작용시킴으로써, 직경 1cm 이하의 궤양은 37GHz의 진동수를 갖는 1mWT/cm2의 전력속밀도로 0.5cm 거리를 두고 치료하고, 직경이 2cm를 넘는 궤양은 78GHz의 진동수를 갖는 15mWT/cm2의 전력속밀도로 2cm 거리를 두고 치료한다.
[발명의 요약]
“표현형”이란 개체의 발생 동안에 형성되며, 유전자형 및 서식장소와 같은 생물체의 유전적 특성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형성되는 생물체의 모든 특징의 집합을 의미하기 때문에, “표현형의 교정”이란 생명활동(환경의 영향)으로부터 획득된 병리학적 변화(또는 일탈) 뿐만 아니라 유전적으로 전달된 질병에 영향을 주는 단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생물체 표현형의 교정”은 생물체의 생리학적, 해부학적 및 유전학적 구조에 영향을 주는 단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물체의 표현형의 생물학적 자극 및 교정을 위한 조성물로서, 생물체의 유전적 구조에 영향을 미치고, 일부 악성 종양을 포함하는 다수의 질병을 치료하는데 이용되고, 생물체에 아무런 부작용이 없으며, 치료 또는 처리해야 할 생물체의 기관과 조직에만 영향을 미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조성물 내에 고밀도의 정보를 부여하고 정보를 장기간 저장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생성시키는 목적이었다.
상기의 목적은, 1 내지 400g/l의 식염(table salt)과 1 내지 3,000g/l의 당(sugar)의 수용액과 같은 식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외부 전원으로 처리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1 내지 400g/l의 해염(sea salt) 및 1 내지 3,000g/l의 당의 수용액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성분에 1 내지 6,000g/l의 꿀이 추가로 첨가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성분에 1 내지 320g/l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염화물 또는 탄산염, 해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추가로 첨가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 내지 320g/l의 염화칼륨 또는 탄산칼륨을 첨가제의 형태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 내지 80g/l의 염화칼슘 또는 탄산칼슘을 첨가제로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 내지 5g/l의 염화마그네슘 또는 탄산마그네슘을 첨가제로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 내지 320g/l의 해염을 첨가제로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2 내지 320g/l의 상기 화합물의 혼합물을 첨가제로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 내지 4g/l의 미량원소를 구리, 망간, 몰리브덴, 철, 코발트 및 니켈의 염화물 또는 탄산염 형태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은, 펄스의 길이가 10-8내지 1초이고, 전압 펄스의 상승속도가 1×10-8내지 1×1013V/s이고, 온-오프(on-off) 시간비가 1 내지 104이며, 전극 사이의 전기장 세기가 10 내지 9×104V/cm인 전류 펄스로 조성물을 처리하는 것과 같이, 외부 전원의 작용하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의 전류는 자기 펄스, 전자기 펄스, 광 또는 음향 펄스로 사전전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물체의 자극 및 교정용 조성물은 식염 또는 해염, 당 및 꿀과 같은 식품을 기재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처리한 이러한 성분들의 수용액은 생물체의 다양한 기관 또는 조직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 실험은 본 발명의 방법의 설명에 기술된 방식으로 확정 알고리즘에 의해 형성된 전기 펄스로 처리한 물이 짧은 시간(10 내지 100분)동안 정보를 저장하여, 물이 근접한 구조적 질서만을 가짐을 나타낸다. 정보 저장 시간을 증가(1시간 내지 3개월)시키기 위해서, 생물체에 무독성이고 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의 특수한 수용액을 선택하여, 이것을 전기신호로 처리함으로써 중합체 구조를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주요 물질의 양은 층분히 넓은 범위로 시험되었고, 모든 경우에 이러한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당하였다. 성분 간의 비율도 충분히 넓은 범위로 선택되었다. 조성물내의 꿀은 풍미의 질을 개선시키고 도입된 정보의 밀도를 증가시키지만, 일부 환자들은 꿀에 대한 알레르기를 가지며, 경우에 따라서 꿀에 대한 부적합성이 관찰되기 때문에, 항상 꿀을 첨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구체적인 경우의 치료의 알고리즘 뿐만 아니라 치료의 효과를 위한 조성물은 실험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일부의 경우에, 투여된 제형에 대한 생물체내의 반응 활성을 증가시키고 다수의 특정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적용범위를 확대시켜야 하기 때문에, 식염을 해염으로 대체할 수 있다.
알칼리금속(칼륨)이나 알칼리토금속(칼슘 또는 마그네슘)의 염화물 또는 탄산염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 형태의 첨가제 뿐만 아니라 조성물내에 도입되는 염화물이나 탄산염 형태의 미량원소는 생물체에 대한 효과를 증대시키고 양성 결과를 지니면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의 수를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할 다량의 물질 및 이들의 비율이 존재하고, 이들은 모두 실험적으로 선택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규정된 한계와 일치함을 인지해야 한다.
나트륨에 대한 열거된 금속의 무기염을 함유하는 상기 첨가제들의 선택은 금속자체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이들 금속이 물이 아닌 식염 또는 해염 및 당의 수용액에 존재하는 경우 이들의 특성은 대부분 나타난다. 또한, 상기 금속은 생물체의 생체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이들 금속이 흡착되는 것은 약제로부터 흡착되는 것 보다 더욱 유용한 효과와 함께 일어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금속을 첨가시킬 필요성을 입증하는 인자 중의 하나는 상기 금속이 존재하지 않고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상기 금속의 도입이 최적인 경우의 기관과 조직의 병리학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정량적 함량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식염과 해염의 상한은 물중 식염의 용해도에 의해 규정되므로 식염과 첨가제의 총함량도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제한을 받는다. 첨가제의 상한(320g/l)은 나트륨이 부족하면 생물체에 불리한 영향을 주기 시작하기 때문에, 식염의 최대 함량의 80% 이다. 이러한 상한(320g/l)은 염화칼륨이나 탄산칼륨, 또는 해염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 있고 알칼리토금속(칼슘 및 마그네슘)에는 적용될 수 없으며, 상기 금속이 생물체로부터 제거될 때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상한은 이미 적합하지 않다. 이는 또한 미량원소(중금속)에도 관련되며, 이러한 이유로 조성물내에서 칼슘에 대한 상한은 80g/l, 망간에 대해서는 8g/l, 그리고 미량원소에 대해서는 4g/l이다. 모든 기타의 물질과 첨가제의 함량의 하한은 본 발명의 생물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함량인 1g/l로 제한되지만, 환자 치료 또는 약제 투여의 최초 단계에서는 다량의 조성물이 필요하다.
당 및 꿀의 양은 이들의 용해도에 의해 확정되었고, 함량의 증가는 또한 조성물의 비용을 증가시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처리 방법의 형태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달성되는 목적에 부합되기 때문에, 또한 충분히 넓게 선택되었다. 일부의 경우에, 전류는 전류 변환기를 통과하여 자기, 전기, 광, 또는 음향 펄스로 전환된다.
전류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파라미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중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는 펄스의 상승 속도이다. “펄스의 상승 속도”란 시간내의 전압 펄스의 진폭 증가 속도(V/cm)를 의미한다. 세포에 전달되는 정보의 수준은 상기 파라미터, 즉 생물체의 세포가 정보를 수용하는 수준이 유전적 수준인지 생리학적 수준인지에 따라 좌우된다.
무차원 파라미터인 펄스 온-오프 시간비는 펄스 길이에 대한 주기 길이(펄스 길이+정지기)의 비율이다. 정지기 동안의 부족한 정보에도 불구하고, 세포는 수신된 신호를 동화하는 단계에 대한 시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정보가 생물체 또는 세포에 전달될 수 없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선택된 조성물(임의의 혼합물 형태)용 용기에 예컨대 식염이나 해염, 당, 필요에 따라서 꿀, 및 소정량의 첨가제와 같은 성분을 넣고 이것들을 1ℓ의 물중에서 교반시켜 용해시킨 후, 전극이 설치된 조에 넣는다. 그후, 청구범위에 기재된 파라미터를 갖는 전류를 전극에 공급하고, 조성물을 상기 방식으로 3분간 처리한다.
이렇게 수득된 조성물은 물벼룩류, 적충류 “슈(shoe)”, 동물 및 사람과 같은 다양한 생물체를 치료하는 데에 사용되며, 일부의 경우(물벼룩류 및 적충류)에는 생물체들을 조성물내에 넣으며, 그 외의 경우에는 질병을 치료할 때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거나 외부에 바른다.
본 발명에 대한 최상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2개의 표와 관련된 실시예들을 참조로 본 발명을 설명하며, 표 1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특정하고, 표 2에서는 이것들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추가의 용법은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표 1]
[표 2]
[실시예 1]
동일한 클론으로부터 취한 적충류 “슈(shoe)”를 순수한 물이 담겨있는 2개의 용기(작용 용기 및 기준 용기)에 넣었다. 작용 용기안의 물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전류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펄스 길이는 1×10-8초이고, 전압 펄스의 상승 속도는 1×10-8V/s였으며, 온-오프 시간비는 1 이였고, 조의 전극 사이의 전기장 세기는 100kw/cm 였다. 10분 동안의 실험 결과로써 세포의 완전한 유사분열이 작용 용기에서 관찰된 반면에, 기준 용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2]
적충류 “슈”를 처리되지 않은 1번 조성물이 담겨 있는 용기에 넣고 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용기로부터 “슈”를 꺼내고 지정된 방식으로 전류를 사용하여 용액을 처리하였다. 30분 후 적충류 “슈”를 용기안에 넣었을 때, 20초 동안 완전 분열이 일어났다. 10일 째에 적충류를 용액에 넣었을 때 완전 유사분열에 2분이 걸린 반면에, 20일 후 적충류를 용액에 넣었을 때는 완전 유사분열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술된 방법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조성물은 세포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처리된 조성물은 10일 동안 세포에 대해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3]
물벼룩을 3%의 아세톤 수용액을 함유하고 있는 용기안에 넣고, 실제로 완전한 치사(촉각의 경련성 발작)에 이르도록 그 안에 방치하면, 물벼룩의 치사는 이러한 용액중에서 4시간 안에 일어났다.
그러나, 0.25㎖의 3번 조성물을 물에 넣은 후 30분이 지났을 때 물벼룩은 소생하여 헤엄치기 시작하였고 완전한 회복이 진행되었다.
[실시예 4]
동일 클론으로부터 취한 적충류 "슈"를 2개의 용기(작용 용기 및 기준 용기)안에 넣었다. 세포의 완전파괴에 대한 정보를 함유하고 있는 7번 조성물을 0.1㎖ 넣었다. 적충류 “슈”의 세포가 완전히 파괴될 때까지 계속 커지는 2개의 기체거품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상기 방식으로 처리하지 않은 0.1㎖의 7번 조성물을 기준 7기에 넣은 경우, 적충류 “슈”의 세포들은 유사분열기능을 유지하였다.
[실시예 5]
식품 효모를 함유한 당 용액을 14일 동안 노출시킨 후 발효물을 현탁시켰다. 그후, 당을 본래 부피의 50% 양으로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러나 효모는 생명력이 없기 때문에, 발효는 재개되지 않았다. 50㎖(효모 용액 1ℓ에 대하여)의 14번 조성물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효모는 작용하기 시작하였고, 당이 완전히 소모될 때까지 발효는 계속되었다.
[실시예 6]
밀 낟알을 10%의 14번 조성물 용액에 6시간 동안 적시고, 동시에 기준 낟알을 순수한 물에 6시간 동안 적셨다. 그후, 낟알을 땅에 묻고 성장시켰다. 그 결과, 기준 밭과 비교한 경우 낟알의 발아 속도는 10% 내지 80%증가하였고, 줄기성장 속도는 1.9배 증가하였다.
[실시예 7]
2번 조성물을, 탈모증에 걸려 있는 생후 1년된 개(German herdsdog)를 치료함으로써 시험하였다. 탈모는 병든 개의 몸통에서부터 시작되었고, 100 내지 200cm2면적의 반점들이 나타났으며, 개의 피부는 파랗게 되었다. 조성물을 발라서 치료하는 1주 과정이 지난 후, 파란색 반점이 없어지고, 피부색은 장미빛이 되었다. 1주일 후에 속털은 1cm 정도의 길이로 자랐다. 3주 후에는 몸통의 털이 완전히 회복되었다.
[실시예 8]
3년 동안 척수종양의 징후를 보여온 10살된 환자 D [니츠네바르토프스키(Nizhnewartovsk)시 출신]는 모스크바와 레닌그라드의 종양학 센터에서 치료받았다. 치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상태는, 종양이 제2척추골에서 제17 척추골까지 척수관의 구멍을 확대시키면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점점더 악화되고 있어서, 환자는 머리를 들지 못하였으며, 말을 하지 못하였고, 기관 및 사지가 마비되는 초기 증세가 나타났다. 환자는 대증치료실로 이송되었고, 이송 후 환자의 부모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치료과정을 요청하였다. 환자의 치료를 위해 6번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치료과정의 10일동안 80㎖의 6번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10일 후, 4번 조성물을 사용하여 치료의 제2과정을 시작하였고, 제2치료기간(10일)중에, 80㎖의 4번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그후, 동력학은 포지티브(양성)였고, 위장관 기관은 정상이 되었으며, 언어능력도 회복되었고, 사지와 기관의 마비상태도 사라졌다. 현재도 치료는 계속되고 있다.
[실시예 9]
3년 동안 뇌암 증세를 보여온 14세된 환자 L [노보로씨스크(Novorossiysk)시 출신]은 노보로씨이크시와 모스크바의 종양학 센터에서 치료받았다. 두개골 개공술을 수행하여 종양 유출구를 위한 무의의 임시 부분에 구멍을 만들었다. 병은 진전되었고, 시력, 청력, 언어능력, 기억력이 완전히 없어졌고, 사지의 완전한 마비가 시작되었다. 환자는 대증치료실로 이송되었고, 환자의 부모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치료과정을 요청하였다. 질병을 치료하는 동안, 300㎖의 9번 조성물을 15일간 사용한 후, 20일간 간격을 두고(10일) 400㎖의 5번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환자의 상태는 치료 동안에 개선되었다. 시력이 거의 완전히 회복되었고, 언어능력, 기억력, 청력도 회복되었으며, 손의 마비도 사라졌고(환자는 손으로 작은 물체를 잡을 수 있었으며, 손을 이용하여, 침대위에서 방향을 바꿀수 있었다), 발의 마비가 부분적으로 사라진 것이 관찰되었으며(환자는 발을 움직일 수 있었다), 환자의 욕창이 사라졌다.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계속되고 있다.
[실시예 10]
자궁암 징후를 보이는 35세된 환자 N [노보시비르스크(Novosibirsk)시 출신]은 2년 동안 노보시비르스크 종양학 센터에서 치료받았으며, 환자는 방사선에 의한 치료과정 및 3가지의 화학적 치료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병은 진전되었고, 오른쪽 난소에서 전이 확산상태가 나타났고 출혈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대증치료실로 이송되었고,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치료과정을 요청하였다. 치료를 위해 10번 조성물이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 제1과정의 20일 동안은 40㎖를 사용하였다. 제1과정후, 출혈은 완전히 멎었다. 환자를 회복실로 옮겼고, 400㎖의 동일한 조성물을 20일간 사용하는 제2과정을 적용한후, 자궁 종양은 1.5배 감소하였다. 치료는 계속되고 있다.
[실시예 11]
환자 S. (노보시비르스크시 출신)는 탈모 진단을 받은 28세의 여성이며, 7살때부터 머리털의 탈모가 시작되었다(두피가 얇음). 머리 및 몸에 대한 탈모는 20세에 완결되었다. 환자는 예레판, 모스크바 및 키에프의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치료결과 아무런 양성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환자를 대증치료실로 옮겼다. 25세때 피부위축증이 시작되었다. 환자는 모직물 옷은 입을 수 없었다. 겨울철에 피부는 수분의 결핍으로 인해 갈라졌고 환자는 언제나 중국제 연고를 사용하였다. 환자가 28세 되었을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치료과정을 요청하였다. 12번 조성물에 의한 치료의 제1과정후 환자의 어떠한 반응도 관찰되지 않았지만 “솜털(fluff)”이 얼굴에 나타났다가 사라졌다. 6번 조성물을 사용한 치료의 제2과정중에 질병은 악화되었다(피부가 가려워지기 시작했고, 수포가 나타났으며, 머리의 공동(pore)에는 염증이 생겼고, 작은 농양들이 나타났다). 치료의 제2과정의 말기쯤에는 악화상태가 사라졌으며, 몸의 피부는 정상으로 회복되었지만, 몸에 연고를 사용할 필요가 생겼고, 얼굴에는 치료의 제1과정후보다 더 조밀한 “솜털”이 나타났다. 11번 조성물을 사용하는 치료의 제3과정중에는 피부는 완전히 재생되어 부드럽고 탄력이 있었으며, 모직물 옷을 입음으로써 나타나던 자극은 사라졌다. 두피는 정상색을 되찾았고, 더 조밀하고 두꺼워졌으며 피부의 공동이 회복되었다. 치료의 제3과정중에 털은 얼굴, 몸에 나타났고, 치아상의 파괴되었던 에나멜질이 회복되었으며, 치아의 깨어졌던 부분도 재생되었다. 13번 조성물을 사용하는 치료의 제4과정후에는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가 훨씬 더 개선되었으며, 생명력도 활기를 띄게 되었고, 털의 전체 영역은 증가되었다. 치료의 각 과정에 대해 환자는 400㎖씩의 조성물을 각각 12일 동안 투여받았으며, 치료과정 사이의 간격은 1개월이었다.
[실시예 12]
림포아구성 백혈증 진단을 받은 10세 환자 K [야로슬라프(Yaroslavl)시 출신]를 야로슬라프 임 센터에서 치료하였다. 결과적으로, 환자는 골수 내에 존재하는 아세포가 5% 이하인 완화 단계로 유도되었다. 4개월 경과 후, 환자의 부모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치료과정을 요청하였다. 질병 치료를 위하여, 300㎖의 8번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치료과정(22일) 동안에 혈액의 성분이 변하였고, 치료 종료시에 12%의 아세포가 혈액으로 배출되면서 골수가 재생되었고, 그후 혈액 내의 아세포가 사멸하였고, 추가의 분석에 있어 아세포는 검출되지 않았다. 골수 분석에 의해 기관 내의 아세포의 부재를 확인하였다. 치료중의 혈액 성분 변화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주의 : 공란은 분석결과가 없거나 성분 부재를 의미한다.
[실시예 13]
질환이 빠르게 전개된 급성 질환의 림프아구성 백혈증 진단을 받은 31세의 환자 D (노보시비르스크시 출신)는 밀리터리(Military) 병원 혈액학 분원의 모스크바 암센터에서 3가지의 화학 치료과정을 거쳤다. 치료 6개월후, 환자는 6개월간 완화 단계였으나, 새로운 재발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는 치료과정을 요청하였다. 환자는 신속하게 15번 조성물을 사용하여 1주일간 1가지 치료과정을 거쳤다. 분석 결과, 질병 발달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 성분의 동력학 결과는 표 4에 나타난다.
[표 4]
주의 : 공란은 분석결과가 없거나 성분 부재를 의미한다.
따라서, 최종의 두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혈액 백혈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생물학, 의학 및 수의학에서의 연구 개발 및 실용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생물학 분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생물체의 변이유발, 및 이들의 표현형 및 유전적 구조를 변화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씨를 뿌리기 전에 씨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하는 단계는 수확률 및 다른 질병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킨다.
수의학 분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탈모증과 같은 질환에 걸린 동물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의학 분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탈모증, 갑상선, 위장관, 신장 및 요도, 남녀 성기의 종양성 질병과 같은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람, 특히 노인의 기관을 교정 및 자극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생물체의 혈액의 염 조성으로 유입되는 식품 및 일부의 무기 첨가제를 함유하는데, 이는 상기 조성물이 생물체에 대해 유해한 효과를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첨가제의 범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당뇨병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방사선에 의해 조성물을 처리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도입되는 정보를 장시간 보유하고, 물질의 정량적인 비율의 변화 및 분해 없이 통상적인 조건하에서 저장될 수 있다.

Claims (29)

  1. 외부 전원으로 처리된 식염(table salt) 및 당(sugar)을 포함하는, 생물체 표현형의 생물학적 자극 및 교정을 위한 조성물로서, 1 내지 400g/l의 식염 및 1 내지 3000g/l의 당의 수용액을 포함하고, 펄스 길이 (펄스 지속시간)가 1×10-8내지 1초이고, 전압 펄스의 상승 속도(전압 펄스의 전연의 준도)가 1×10-8내지 1×1013V/s이고, 온-오프(on-off) 시간비가 1 내지 1×104이며, 전극 사이의 전기장 세기(강도)가 10 내지 9×104V/cm인 전류로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외부 전원으로 처리된 해염(sea salt) 및 당(sugar)을 포함하는, 생물체 표현형의 생물학적 자극 및 교정을 위한 조성물로서, 1 내지 400g/l의 해염 및 1 내지 3000g/l의 당의 수용액을 포함하고, 펄스 길이(펄스 지속시간)가 1×10-8내지 1초이고, 전압 펄스의 상승 속도(전압 펄스의 전연의 준도)가 1×10-8내지 1×1013V/s이고, 온-오프 시간비가 1 내지 1×104이며, 전극 사이의 전기장 세기(강도)가 10 내지 9×104V/cm인 전류로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 내지 6000g/l의 꿀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 내지 320g/l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염화물 또는 탄산염, 해염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의 첨가제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 내지 320g/l의 염화칼륨 또는 탄산칼륨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 내지 80g/l의 염화칼슘 또는 탄산칼슘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 내지 5g/l의 염화마그네슘 또는 탄산마그네슘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 내지 320g/l의 해염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 내지 320g/l의 꿀,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염화물 또는 탄산염과 해염의 혼합물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 내지 4g/l의 미량원소를 구리, 몰리브덴, 망간, 철, 코발트, 또는 니켈 염화물 또는 탄산염의 형태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펄스를 사전전환시킴으로써 얻어진 자기, 전자기, 광 또는 음향 펄스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3항에 있어서, 1 내지 320g/l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염화물 또는 탄산염, 해염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의 첨가제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3항에 있어서, 1 내지 320g/l의 염화칼륨 또는 탄산칼륨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4항에 있어서, 1 내지 320g/l의 염화칼륨 또는 탄산칼륨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3항에 있어서, 1 내지 80g/l의 염화칼슘 또는 탄산칼슘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4항에 있어서, 1 내지 80g/l의 염화칼슘 또는 탄산칼슘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3항에 있어서, 1 내지 5g/l의 염화마그네슘 또는 탄산마그네슘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4항에 있어서, 1 내지 5g/l의 염화마그네슘 또는 탄산마그네슘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3항에 있어서, 1 내지 320g/l의 해염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4항에 있어서, 1 내지 320g/l의 해염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3항에 있어서, 2 내지 320g/l의 꿀,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염화물 또는 탄산염과 해염의 혼합물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4항에 있어서, 2 내지 320g/l의 꿀,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염화물 또는 탄산염과 해염의 혼합물을 첨가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제3항에 있어서, 1 내지 4g/l의 미량원소를 구리, 몰리브덴, 망간, 철, 코발트, 또는 니켈 염화물 또는 탄산염 형태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4. 제4항에 있어서, 1 내지 4g/l의 미량원소를 구리, 몰리브덴, 망간, 철, 코발트, 또는 니켈 염화물 또는 탄산염 형태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5. 제5항에 있어서, 1 내지 4g/l의 미량원소를 구리, 몰리브덴, 망간, 철, 코발트, 또는 니켈 염화물 또는 탄산염 형태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6. 제6항에 있어서, 1 내지 4g/l의 미량원소를 구리, 몰리브덴, 망간, 철, 코발트, 또는 니켈 염화물 또는 탄산염 형태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7. 제7항에 있어서, 1 내지 4g/l의 미량원소를 구리, 몰리브덴, 망간, 철, 코발트, 또는 니켈 염화물 또는 탄산염 형태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8. 제8항에 있어서,1 내지 4g/l의 미량원소를 구리, 몰리브덴, 망간, 철, 코발트, 또는 니켈 염화물 또는 탄산염 형태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9. 제9항에 있어서, 1 내지 4g/l의 미량원소를 구리, 몰리브덴, 망간, 철, 코발트, 또는 니켈 염화물 또는 탄산염 형태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40702303A 1992-10-30 1993-08-09 생물체 표현형의 생물학적 자극및 교정을 위한 조성물 그리고 이것의 처리방법 KR100301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92003081/14 1992-10-30
RU9292003081A RU2093180C1 (ru) 1992-10-30 1992-10-30 Состав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стимуляции организма и способ его обработки
RU92005267/14 1992-11-10
RU9292005267A RU2093181C1 (ru) 1992-11-10 1992-11-10 Состав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стимуляции организма
RU93008264/14 1993-02-15
RU9393008264A RU2093182C1 (ru) 1993-02-15 1993-02-15 Состав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стимуляции организма
PCT/RU1993/000189 WO1994009797A1 (en) 1992-10-30 1993-08-09 Compound for the biological stimulation and correction of the phenotype of an organism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703679A KR940703679A (ko) 1994-12-12
KR100301340B1 true KR100301340B1 (ko) 2001-10-22

Family

ID=2735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303A KR100301340B1 (ko) 1992-10-30 1993-08-09 생물체 표현형의 생물학적 자극및 교정을 위한 조성물 그리고 이것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H07502764A (ko)
KR (1) KR100301340B1 (ko)
DE (1) DE69331005T2 (ko)
DK (1) DK0633027T3 (ko)
ES (1) ES2164668T3 (ko)
PT (1) PT633027E (ko)
WO (1) WO19940097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047A (ko) 2020-11-26 2022-06-03 한국화학연구원 기상 증착을 이용한 고밀도의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0575B1 (fr) * 1999-11-08 2003-01-24 Pascal Berdal Procede pour preparer des aliments et des complements alimentaires ayant des effets sur la sante
WO2000078349A1 (fr) * 1999-06-18 2000-12-28 Pascal Berdal Procede pour l'obtention de produits ayant des effets benefiques
EP1666049A4 (en) * 2003-08-07 2008-04-30 Gennadij A Markov MARKOV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2592A1 (de) * 1979-12-28 1981-07-02 Werner 6751 Trippstadt Kropp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und von mitteln zur unschaedlichmachung von mikroorganismen
IT1132508B (it) * 1980-07-04 1986-07-02 Franco Donadelli Metodo per l'incremento dei processi metabolici degli epitelli mediante applicazione biochimica d'un campo elettrico
CA1249970A (en) * 1984-06-22 1989-02-14 Richard L. Veech Electrolyte solutions containing polyanionic materials
US4767611A (en) * 1984-07-03 1988-08-30 Gordon Robert T Method for affecting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electric and magnetic dipoles
EP0414815A1 (en) * 1988-05-02 1991-03-06 Cryomedical Sciences, Inc. Blood substitute
FR2640510B1 (fr) * 1988-12-20 1991-10-31 Therabion Sa Laboratoires Oligo-elements activ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les renfermant, utiles pour la sante
US5188738A (en) * 1990-08-06 1993-02-23 Steven Kaali Alternating current supplied electrically conductive method and system for treatment of blood and/or other body fluids and/or synthetic fluids with electric forces
CA2066374C (en) * 1991-04-19 2002-01-29 Paul E. Segall Solution for perfusing prima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047A (ko) 2020-11-26 2022-06-03 한국화학연구원 기상 증착을 이용한 고밀도의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31005D1 (de) 2001-11-29
DK0633027T3 (da) 2001-12-10
WO1994009797A1 (en) 1994-05-11
ES2164668T3 (es) 2002-03-01
KR940703679A (ko) 1994-12-12
JPH07502764A (ja) 1995-03-23
PT633027E (pt) 2002-03-28
DE69331005T2 (de) 200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40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and improving the status of development and survival of living organisms
US6200259B1 (en) Method of treating cardiovascular disease by angiogenesis
Fregni et al.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coupled with repetitive electrical stimulation on cortical spreading depression
EP0664133B1 (en) Preparation "ostim apatite" for stimulating growth in bone tissue
US20030171640A1 (en) Electromagnetic method of treatment of lesions associated with inadequate blood perfusion, partial denervation, tissue loss, pain, edema, inflammation and infection
US201302745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magnetic treatment
KR20080080483A (ko) 통합 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RU2001110097A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ii)
Kesner et al.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f amygdala upon neophobia and taste aversion
CN109652691B (zh) 一种金属埋线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653263A (zh) 绿原酸及其组合物在制备治疗肉瘤的药物中的用途
KR100301340B1 (ko) 생물체 표현형의 생물학적 자극및 교정을 위한 조성물 그리고 이것의 처리방법
Lin et al. Reinnervation of atonic bladder after conus medullaris injury using a modified nerve crossover technique in canines
RU2099080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звития рака
Betskii et al. Low-intensity millimeter waves in biology and medicine
RU2297217C2 (ru) Способ оптимизации репаративной регенерации кости
EP0633027B1 (en) Compound for the biological stimulation and correction of the phenotype of an organism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sartia et al. Allogeneic bone‐marrow transfusion suppresses development of lung metastases in osteogenic sarcoma patients after radical surgery
Korepanov STATE OF THE ART 0F LASER THERAPY IN RUSSIA: A BRIEF OVERVIEW
RU2093182C1 (ru) Состав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стимуляции организма
RU2760169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осложнений после установки дентальных имплантатов
RU2290939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повреждений спинного и головного мозга
RU2141854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грибковых заболеваний ногтей
RU2093183C1 (ru) Состав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стимуляции организма
RU2071379C1 (ru) Способ изменения липидного обме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