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865B1 - 고속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속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865B1
KR100300865B1 KR1019980020689A KR19980020689A KR100300865B1 KR 100300865 B1 KR100300865 B1 KR 100300865B1 KR 1019980020689 A KR1019980020689 A KR 1019980020689A KR 19980020689 A KR19980020689 A KR 19980020689A KR 100300865 B1 KR100300865 B1 KR 100300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ock
transmission
odd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825A (ko
Inventor
김준환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8002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865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95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n embedded synchron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09Coupling between buses with data restructur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9/00Parallel/series conversion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data processing)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다 적은 통신 회선을 이용하면서도 고속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복잡한 회로의 추가 또는 소자의 변화 없이, 특히 클럭 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 전달을 위한 전송단에서 데이터 비트의 폭을 2배로 늘려주어 입력 데이터를 각각 홀수 클럭 및 짝수 클럭으로 구분하여 전송하고, 수신단에서 이들을 래치하여 동기화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2개의 데이터 회선을 하나의 클럭에 동기시킴으로써 클럭 회선을 하나로 줄일 수 있으며, 2개의 데이터 회선 중에서 하나는 클럭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 동기시키고 다른 하나는 클럭의 하강 에지(falling edge)에 동기시키므로 수신단에서 볼 때 동기된 2배속의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고속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data processing)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다 적은 통신 회선을 이용하면서도 고속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직렬(serial) 통신 기술의 발전은 통신 회선의 수를 적게 하여 설치비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직렬 통신 시스템은 병렬(parallel) 통신에 비해 장거리의 유선 통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수많은 연구·개발을 통해 고속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동기식(synchronous) 통신 시스템에는 데이터 회선 이외에도 내부 클럭(clock)이 지원된다. 이러한 클럭은 전달되는 데이터의 비트(bit)의 경계를 표시해 주기 때문에 동기 통신 시스템의 속도를 높이고 싶으면 클럭과 함께 데이터의 전달 속도를 높이면 된다. 그러나 실제로 구현된 동기식 통신 시스템은 그 회선의 지원 가능한 고주파 대역폭(bandwidth)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소자의 속도가 빨라진다 하더라도 그 만큼의 속도를 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지원 가능한 최대 대역(maximum band)의 2배의 고속 데이터를 보내고자 할 때에는 독립된 2개의 클럭과 2개의 데이터 회선을 필요로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수신된 두 데이터가 서로 비동기적(asynchronous)이기 때문에 이를 다시 동기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회로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신 회선도 접지(ground) 회선을 포함하여 5개의 회선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제적·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복잡한 회로의 추가 또는 소자의 변화 없이, 특히 클럭 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전송단 소자의 내부 클럭과 입력 데이터 신호의 타이밍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단 회로도.
도 2b는 도 2a에 언급된 신호들의 타이밍도.
도 3은 짝수 클럭(even_clk)과 홀수 클럭(odd_clk) 형성을 위한 로직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단과 수신단간의 회선 연결 상태를 나타낸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 D 플립플롭
50 : 짝수 데이터(even_data) 전송 회선
60 : 홀수 데이터(odd_data) 전송 회선
70 : 데이터 전송 클럭(CLK) 회선
80 : 접지(GND) 회선 100 : 송신단
200 : 수신단 Data_in : 입력 데이터
even_clk : 짝수 클럭 odd_clk : 홀수 클럭
본 발명은 데이터 전달을 위한 전송단에서 데이터 비트의 폭을 2배로 늘려주어 입력 데이터를 각각 홀수 클럭 및 짝수 클럭으로 구분하여 전송하고, 수신단에서 이들을 래치하여 동기화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2개의 데이터 회선을 하나의 클럭에 동기시킴으로써 클럭 회선을 하나로 줄일 수 있으며, 2개의 데이터 회선 중에서 하나는 클럭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 동기시키고 다른 하나는 클럭의 하강 에지(falling edge)에 동기시키므로 수신단에서 볼 때 동기된 2배속의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원리로부터 제공되는 특징적인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은 각각 전송기의 내부 클럭의 짝수 주기 신호 및 홀수 주기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1 및 제2 전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송단;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전송 회선; 데이터 전송 클럭을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회선; 및 각각 상기 데이터 전송 클럭의 서로 다른 레벨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데이터를 래치하는 수신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용이하고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소개한다.
우선 도 1은 전송단 소자의 내부 클럭과 입력 데이터 신호의 타이밍을 도시한 것으로, 전송단 소자에서는 고속의 클럭과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므로 내부 클럭(int_clk) 속도는 데이터 전송 클럭(CLK) 속도의 2배로 한다. 즉, 데이터 전송 클럭(CLK)은 내부 클럭(int_clk)을 1/2분주하여 만든다. 따라서 소자 내부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는 내부 클럭(int_clk)의 상승 에지에서 발생된다.
다음으로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단 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전송단 소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출력된 입력 데이터(Data_in)를 두 개의 D 플립플롭(10, 20)에 동시에 연결하고, 하나의 D 플립플롭(10)은 짝수 클럭(even_clk)에 동기된 짝수 데이터(even_data)를 데이터 전송 회선으로 출력하며, 다른 하나의 D 플립플롭(20)은 홀수 클럭(odd_clk)에 동기된 홀수 데이터(odd_data)를 데이터 전송 회선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입력 데이터(Data_in)를 짝수 데이터(even_data)와 홀수 데이터(odd_data)로 구분하여 전송하기 위해 짝수 클럭(even_clk)과 홀수 클럭(odd_clk)을 생성해야 한다. 이러한 짝수 클럭(even_clk)과 홀수 클럭(odd_clk)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직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짝수 클럭(even_clk)은 내부 클럭(int_clk)과 데이터 전송 클럭(CLK)의 논리곱에 의해 생성하며, 홀수 클럭(odd_clk)은 내부 클럭(int_clk)과 데이터 전송 클럭의 반전 신호(CLK/)의 논리곱에 의해 생성한다.
첨부된 도면 도 2b는 앞서 언급한 신호들의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 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하나의 D 플립플롭(30)은 데이터 전송 클럭(CLK)에 동기되어 데이터 전송 회선으로부터 짝수 데이터(even_data)를 입력받고, 다른 하나의 D 플립플롭(40)은 데이터 전송 클럭의 반전 신호(CLK/)에 동기되어 데이터 전송 회선으로부터 홀수 데이터(odd_data)를 입력받는다. 각각의 D 플립플롭(30, 40)은 각각의 출력 데이터(data0, data1)를 수신단 소자(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한다. 즉, 수신단 소자는 짝수 데이터(even_data)는 하이-레벨 래치(high-level latch)하고 홀수 데이터(odd_data)는 로우-레벨 래치(low-level latch)하여 받아들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단과 수신단간의 회선 연결 상태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의 전송단(100) 및 수신단(200) 사이의 고속 통신을 위하여 짝수 데이터(even_data)와 홀수 데이터(odd_data)를 전송하기 위한 2개의 데이터 전송 회선(50, 60)과 데이터 전송 클럭(CLK) 회선(70)과 접지(GND) 회선(80) 등 4개의 회선을 필요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직렬 통신을 병렬 통신과 유사하게 변경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복잡한 회로의 추가하거나 소자의 변화 없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 몇 개의 플립플롭을 추가하면 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장점이 있다.

Claims (8)

  1. 각각 전송기의 내부 클럭의 짝수 주기 신호 및 홀수 주기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1 및 제2 전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송단;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전송 회선;
    데이터 전송 클럭을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회선; 및
    각각 상기 데이터 전송 클럭의 서로 다른 레벨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데이터를 래치하는 수신단
    을 포함하는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이,
    상기 전송기;
    상기 짝수 주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기로부터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전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래치 수단; 및
    상기 홀수 주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기로부터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전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래치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이,
    수신기;
    상기 데이터 전송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송 데이터를 하이-레벨 래치하는 제3 래치 수단; 및
    상기 데이터 전송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송 데이터를 로우-레벨 래치하는 제4 래치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클럭이,
    상기 내부 클럭의 1/2분주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짝수 주기 신호가,
    상기 내부 클럭 및 상기 데이터 전송 클럭을 앤딩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 주기 신호가,
    상기 내부 클럭 및 상기 데이터 전송 클럭의 반전 신호를 앤딩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래치 수단이,
    D 플립플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과 상기 수신단 사이에 접지 회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KR1019980020689A 1998-06-03 1998-06-03 고속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KR100300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689A KR100300865B1 (ko) 1998-06-03 1998-06-03 고속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689A KR100300865B1 (ko) 1998-06-03 1998-06-03 고속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25A KR20000000825A (ko) 2000-01-15
KR100300865B1 true KR100300865B1 (ko) 2001-09-06

Family

ID=1953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689A KR100300865B1 (ko) 1998-06-03 1998-06-03 고속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8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25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8995A (en) Parallel transmission system
US53135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kewing digital data
US6628679B1 (en) SERDES (serializer/deserializer) time domain multiplexing/demultiplexing technique
EP0228214A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onverting serial data pattern signals transmitted or suitable for transmission over a high speed synchronous serial transmission media, to parallel pattern output signals
US5079770A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converting serial data pattern signals transmitted or suitable for transmission over a high speed synchronous serial transmission media, to parallel pattern output signals
JPS63126341A (ja) デコ−ダ
US4717914A (en) Methods for receiving and converting high speed serial data pattern input signals to parallel data pattern outputs
KR0177733B1 (ko) 데이타 전송장치의 클럭동기 회로
US4987572A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converting asynchronous nonhomogeneous variable width parallel data to a format suitable for transmission over synchronous high speed serial transmission media
US4791628A (en) High-speed demultiplexer circuit
US7796063B2 (en) Data transmission circuits and data transceiver systems
US5748123A (en) Decoding apparatus for Manchester code
US6788109B2 (en) Asynchronous data transfer between logic box with synchronization circuit
KR100300865B1 (ko) 고속 동기식 직렬 통신 시스템
US5418496A (en) Serial data clock recovery circuit using dual oscillator circuit
US8149928B2 (en) Receivers for cycle encoded signals
US7308025B2 (en) Transmitters providing cycle encoded signals
US6756926B2 (en) Optical transmitter and code conversion circuit used therefor
US5309475A (en) Data interchange network
JPS63167496A (ja) 半導体メモリ装置
US5260977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JPH04354219A (ja) データ伝送方式
KR100744644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20170057917A (ko) 귀환 회로를 포함하는 직렬화기
KR20010026377A (ko) 고속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코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