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295B1 - 웨브건조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웨브건조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295B1
KR100298295B1 KR1019950704777A KR19950704777A KR100298295B1 KR 100298295 B1 KR100298295 B1 KR 100298295B1 KR 1019950704777 A KR1019950704777 A KR 1019950704777A KR 19950704777 A KR19950704777 A KR 19950704777A KR 100298295 B1 KR100298295 B1 KR 100298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web
wire
drying wir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2030A (ko
Inventor
토르비요른 한손
그리게르 올로프손
Original Assignee
퍼 이.에이리츠
발멧-칼스타드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 이.에이리츠, 발멧-칼스타드 에이비 filed Critical 퍼 이.에이리츠
Publication of KR96070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2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2Drying on cylinders
    • D21F5/04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 D21F5/042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in combination with suction or blowing devices

Landscapes

  • Paper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건조 실린더(2,3) 및 건조 와이어(5,6)가 제공된 제지기의 건조 섹션(1)에서 종이 웨브(4)를 건조시킬 때 횡방향에서의 종이 웨브의 수축은 모서리 부분(11)에서 힘을 가함으로써 반작용을 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분적인 진공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자유 인발부(10)내에서 웨브의 모서리 부분을 따라 유지되며, 웨브로부터 이격되어 이것에 면하는 건조 와이어(5,6)의 측면으로부터 가해짐으로써, 웨브는 횡방향에서 작용하는 수축력보다 큰 힘에 의해 건조 와이어에 대해 확고하게 흡입되며, 따라서 수축에 반작용을 가하고, 상기 부분적인 진공은 0.1 내지 0.8bar의 간격에서 설정되고, 0.2 내지 0.5bar인 것이 바람직스럽다.

Description

웨브 건조방법 및 장치
제1도는 건조 실린더 2개의 건조 와이어를 지닌 공기의 건조기 섹션의 부분을 도시한다.
제2도는 건조 실린더와 하나의 건조 와이어를 지닌 다른 공지의 건조기 섹션 부분을 도시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전환된 이후에 제1도에 따른 건조기 섹션을 도시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전환된 이후에 제2도에 따른 건조기 섹션을 도시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와이어, 종이 웨브 및 흡입 박스를 통한 단면을 도시하며, 건조 와이어에는 특수한 시일이 제공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와이어, 종이 웨브, 흡입 박스의 분해된 일부를 도시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라 건조 와이어, 종이 웨브 및, 흡입 박스를 통하는 단면을 도시하며, 건조 와이어는 거친 구조의 특수한 부분을 지닌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3개 부분인 건조 와이어, 종이 웨브 및, 흡입 박스의 모서리 부분을 도시하며, 건조 와이어의 모서리 부분은 특수한 안내 스트립으로 자유로운 모서리 밴드를 형성한다.
제1도는 건조 실린더(2,3)의 상부 및 하부의 수평열을 지닌 제지기의 건조기 섹션(1)을 도시한다. 종이 웨브(4)는 건조 실린더(2,3) 둘레를 구불 구불하게 지나감으로써 실질적으로 각각의 건조 실린더(2,3)의 절반을 감싼다. 안내롤(7,8)을 포함하여 건조 실린더(2,3) 둘레를 각기 지그 재그 형태로 안내 롤(7,8)위로 각각 루프를 이루어 이동하는 상부 및 하부 건조 와이어(5,6)에 의해 종이 웨브(4)는 건조 실린더에 대해 압축된다. 건조 와이어(5,6)는 종이 웨브(4) 보다 약간 작은 건조 실린더(2,3)의 부분을 감싼다.
제2도는 제지기의 건조기 섹션을 도시하며, 이것도 건조 실린더(2,3)의 상부 및 하부 수평열을 지닌다. 제지기(4)는 건조 실린더(2,3)의 둘레를 구불 구불하게 이동함으로써, 제1도에 따른 건조기 섹션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건조 실린더(2,3)의 실질적으로 절반을 감싼다. 건조 실린더(2)의 상부열과 건조 실린더(3)의 하부열은, (도시되지 아니한) 외측의 안내 롤 위로 루프를 이루어 이동하면서 종이 웨브(4)에 대하여 연속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공통적인 건조 와이어(9)를 지닌다. 건조 실린더(2)의 하부열 통과시에 건조 와이어(9)는 종이 웨브(4)와 건조 실린더(2)의 실린더형 표면 사이에 배치되며, 반면에 하부의 건조 실린더(3) 통과시에는 종이 웨브(4)를 건조 실린더(3)에 반하여 압축하기 위하여 종이 웨브(4)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3도는 제1도의 기본적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섹션을 도시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것이다. 각각의 열에 있는 2개의 근접한 건조 실린더(2,3) 사이에서 안내 롤(7,8)은 종이 웨브(4)에 근접하게 배치된 2개의 안내 롤(7a,7b 및 8a,8b)에 의해 각각 대체됨으로써, 각각의 건조 와이어는 2개의 근접한 건조 실린더(2,3) 사이에서 종이 웨브에 의해 설정된 자유 인발부(10)의 크거나 작은 부분을 따라 종이 웨브를 수반하며, 건조 실린더 위로 종이 웨브가 가동되며, 따라서 각각의 건조 와이어(5,6)는 건조 실린더(2,3) 둘레로 각각 연속적으로 종이 웨브를 수반하며, 종이 웨브(4)와 마찬가지로 건조 실린더(2,3)를 각각 둘러싼다. 안내 롤(7a,7b,8a,8b)도 종이 웨브(4)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안내 롤(7a,7b,8a,8b)은 자유 인발부의 부분 내에서 건조 와이어(5,6)가 종이 웨브(4)에 대한 중첩된 지지를 제공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는 제2도에 도시된 스키의 회전 활강형 와이어와 유사하며 종이 웨브(4)는 단일의 건조 와이어(9)에 의해 연속적으로 지지된다.
건조기 섹션에는 흡입 수단이 제공되는데, 이것은 (도시되지 아니한) 진공 소스와 자유 인발부(10)를 따라 종이 웨브의 2개 모서리 부분(11)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신장된 흡입 박스를 포함한다.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자유 인발부는 2개의 흡입 박스(12)에 의해 종이 웨브(4)의 각각의 부분(11)에서 뒤덮이는데, 흡입 박스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관계로 배치되고, 종이 웨브(4)의 각각의 측면은 연관된 건조 와이어(5,6)에 근접한다. 이러한 흡입 박스(12)의 디자인은 다음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4도는 제2도의 기본적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섹션을 도시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것이다. 그러나 건조 와이어(9)의 루프는 변경될 필요가 없다. 건조기 섹션에는 흡입 수단이 제공되며, 이것은 (도시되지 아니한) 진공 소스와 자유 인발부(10)를 따라 종이 웨브의 2개 모서리 부분(11)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신장된 흡입 박스 부재를 포함한다.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자유 인발부는 건조 와이어(9)에 근접하게 배치된 단일의 흡입 박스(12)에 의해 종이 웨브의 각각의 모서리 부분(11)에 덮혀 있다. 다음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이러한 흡입 박스(12)의 디자인은 이전의 흡입 박스와 같으며, 예외적인 것으로서 건조 실린더(2)와 건조 와이어(9)사이에 있는 쐐기 형태의 포켓내에서 흡입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부의 뾰족한 단부 부분을 지닌다.
제5도는 종이 웨브(4)의 모서리 부분(11)을 통해 단순화된 단면을 도시하며, 여기에서 종이 웨브는 제3도 및 제4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흡입 박스(12)위를 통과한다. 직조된 폴리에스터로 만들어진 건조 와이어(5,6 또는 9)에는 이것을 실리콘 고무 또는 실리콘 수지로 충전시킴으로써 2개의 길이 방향 스트립(13,14)이 제공되었다. 이러한 스트립(13,14)은 시일로서 작용하며, 건조 와이어의 표면에 평행한 건조 와이어를 통해 공기가 유인되지 않기 때문에 흡입 박스(12)내의 부분적인 진공이 적은 에너지 소모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흡입 박스(12)와 건조 와이어 사이에서 시일을 구성하며, 이것은 마모와 마찰을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공기가 측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흡입 박스(12)는 건조 와이어와 접하는 평탄한 측면(15)을 지니며 건조 와이어에 바로 근접되게 위치한 개방 수단(16)이 제공된다. 제5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개방 수단은 단일의 길이 방향 개구로 이루어진다.
제6도는 흡입 박스(12), 종이 웨브(4) 및 건조 와이어(5,6 또는 9)의 분해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개구 수단(16)은 흡입 박스(12)의 측부(15)에 있는 복수개의 원형 구멍으로 구성되며, 공기는 종이 웨브(4), 건조 와이어를 통해 구멍(16)을 경유하여 흡입 박스(12)내로 유인된다.
제7도는 제5도와 유사하게 단순화된 단면을 도시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건조 와이어는 개량된 모서리 부분(17)을 지니고, 이것은 건조 와이어의 나머지 부분보다 거친 구조를 지닌 길이 방향 면적(18)을 포함한다. 면적(18)은 0.1m 보다 작은 폭을 지니는 곳이 적절하다.
제8도는 3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건조 와이어와 조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5도에 따른 흡입 박수를 통한 단순화된 단면을 도시하며, 상기 3개의 부분은 넓은 중심의 본체 부분(20)과 자유 모서리 밴드(21) 형태의 모서리 부분(17)을 포함하며, 이들과 함께 흡입 박스(12)는 공조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모서리 밴드(12)에는 이것의 외측 모서리와 모서리 밴드의 양측에 안내 스트립(19)이 제공된다. 이러한 안내 스트립(19)은 건조 실린더(2,3)의 실린더형 표면에서 대응하는 주변의 원형 홈(도시되지 아니함)과 공조하도록 배치된다. 그러한 장치는 제1도에 따른 건조기 섹션에서 바람직스럽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안내 롤(7,8)의 위치는 변경될 필요 없다. 따라서 상부(또는 하부)의 자유 모서리 밴드(21)는 연속적으로 종이 웨브(4)를 수반하며, 반면에 건조 실린더(2)를 통과한 이후에 중간 부분은 안내 롤(7)에 유지된다. 이후에 하부(또는 상부) 건조 와이어는 상기 본체 부분(20)에 해당하는 폭을 지닌다.
안내 스트립(19)은 예를 들면 차례로 열을 이루어 배치된 2.5 내지 5cm 사이의 길이를 지닌 복수개의 고체 링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모서리 밴드(21)가 롤 또는 실린더의 주변을 따라 굴곡됨으로써 변형될 때, 실질적인 건조 와이어 밴드의 굽힘이 2개의 근접한 상부 및 2개의 근접한 하부 링크 부분 사이에 있는 중간지점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을지라도, 이것의 몇가지 변형이 다음의 청구 범위내에서 가능할 것이다. 일례로서, 제2도 및 제4도에 지시된 롤은 건조 실린더를 구성할 필요는 없지만, 그 대신에 가열되지 않을 수 있으며, 흡입 롤 또는 다른 롤, 예를 들면 홈을 지닌 개방된 롤이나 또는 매끄러운 표면을 지닌 롤로서 구성될 수 있다. 더군다나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구성은 물론 도립됨으로써, 건조 실린더(3)는 상부열을 형성하고 롤(2)은 하부열을 형성하며, 건조 와이어(9)가 건조 실린더(3)의 실린더형 표면에 대해 웨브를 계속 압축하게 된다.
본 발명은 건조기 섹션을 통해 실제로 유지되는 폭을 지닌 웨브를 만드는 복수개의 건조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지기의 건조기 섹션에서 종이 웨브를 건조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웨브는, 최소한 하나의 건조 와이어 또는 건조 와이어의 일부와 함께, 두 개의 롤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유 인발부(free draw)에서 가동되며, 두 개의 롤들중 최소한 하나는 건조 실린더이고, 부분적인 진공이 웨브의 길이 방향 모서리 부분에서 흡입에 의해 유지된다.
본원에서 “자유 인발부”라는 표현은, 웨브가 건조 와이어나 또는 다른 것에 의해 지지되거나 또는 소위 “개방 인발부(open draw)”에서 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되는지의 여부에 무관하게, 웨브가 제1롤(roll)로부터 다음에 오는 롤에 이르는 경로상에서 이동하는 거리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로 유지되는 폭을 지니는 종이 웨브 생산용 제지기의 건조기 섹션에서의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건조기 섹션은 복수개의 건조 실린더 및 최소한 하나의 웨브 지지용 건조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 와이어 또는 그것의 일부 및, 웨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유 인발부에서 가동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자유 인발부는 2개의 롤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들중 최소한 하나는 건조 실린더이며, 상기 장치는 웨브의 길이 방향 모서리 부분내에서 부분적을 진공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흡입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적용은 굽힘 강성, 인장 강성,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가 필수적인 품질 특성인 경우에 사용되는 건조지에서이다.
종이 웨브가 건조중에 수축되는 경향을 지닌다는 것은 잘 알려진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물리적 이유는 섬유들이 길이가 짧아지는 것보다 더 얇아지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교차된 섬유들 사이의 교차 지점에서 섬유들이 주름지게 되며 따라서 강도 특성이 변경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요약하면, 자유로운 수축은 굳은 재료가 파열되기 전에 상당한 량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하고, 반면에 종이는 만약 건조가 제한된 수축하에서 발생하거나 또는 특정량의 신장과 함께 발생한다면 상대적으로 굳어진다고 말할 수 있다. 자유 건조는 예를 들면 자루(sack)용 종이의 제조에서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스트레인(strain)을 견디는 능력은 중요한 반면에 강성은 중요하지 않다. 제한된 수축으로 건조시키는 것은 예를 들면 봉투 및 골판지용 종이의 제조에 사용된다.
미국 특허 제4,807,371호는 종이 웨브의 측면 모서리를 펠트에 근접 유지시키는 장치를 개시한다. 웨브 및 펠트는 2개의 건조 실린더 사이에 위치한 특수한 진공 롤의 둘레를 통과함으로써, 진공 롤의 각각의 단부 부분에 특수한 박스가 끼워지는 공간이 형성되고, 박스는 펠트로부터 이격되어 이것을 향하여 면하는 측면벽을 지님으로써 공기의 커튼 또는 기계적인 스트립으로 측면상에서 시일되는 포켓이 형성된다. 펠트가 박스를 고속으로 통과할 때 부분적인 진공이 포켓에서 발생한다. 이것은 웨브의 측면 모서리가 펠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웨브가 펄럭거리고 웨브의 모서리에서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포켓내의 부분적인 진공은 상기 공기 커튼의 영향을 통해서나 또는 포켓이 진공 롤과 연통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웨브 횡단 방향에서의 수축의 문제는 상기 특허 명세서에서 언급되지 않으며, 또한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장치가 사용될 수도 없다.
WO87/05063(PCT/US86/00364)호도 건조 실린더 둘레에서 이것을 향해 이동하며 종이 웨브를 유지하는 펠트의 자유 인발부와 건조 실린더 사이에 형성된 포켓내의 웨브 펄럭거림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 매니폴드 장치는 펠트를 지나 포켓을 통해 연장되며, 개구가 제공되어 있는 수렴 상태로 관련된 2개의 벽에 의해 형성된 내측 진공 챔버와 연통된다. 작동중에 포켓내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개구를 통해 진공 챔버 및 상기 매니폴드 장치로 흡입됨으로써 제거되는데, 매니폴드 장치는 진공원과 연통된다. 따라서 장치가 기능하기 위해서는 포켓내의 공기가 펠트와 상기 벽들중 하나의 사이에서 이것의 벽을 통해 유인되도록 통과될 수 있어야만 한다. 이후에 외측 웨브는 중간의 펠트를 통해 어떠한 흡입력에 의해서도 영향받지 아니한다. 웨브의 횡방향에서의 수축의 문제는 상기 특허 명세서에 언급되지 않으며, 장치가 그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EP-0 040 208호도 웨브가 펠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된 장치를 설명하는데, 펠트가 웨브와 함께 상부열 및 하부열상에 배치된 건조 실린더 사이에서 고속으로 가동할 때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에 기인하여 압력의 부분에서 웨브가 펠트로부터 분리된다. 진공 박스는 펠트의 자유 인발부와 웨브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펠트로부터 짧은 거리에 배치된 벽과 낮은 건조 실린더를 지닌다. 벽들은 펠트를 지나고 건조 실린더를 따라서 열을 지어 배치된 개구를 지님으로써 부분적인 진공이 펠트와 3개의 건조 실린더에 의해 형성된 4개의 웨지(wedge)형상의 포켓내에서 발생되며, 웨브는 부분적인 진공의 보조로 펠트를 향해 인발된다. 상기 특허 명세서에서는 횡방향에서의 수축 문제에 대해 언급하지 않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장치가 사용될 수도 없다.
SE-8400678-2는 종이 웨브의 수축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이것은 특정의 건조 간격 동안에, 예를 들면 2개의 건조 실린더의 사이의 인발부 통과중에 최대 25%인 건조 고체 함유물에서 웨브의 모서리에 가해지는 외측 방향의 힘을 웨브가 받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외측 방향의 힘은 예를 들면 송풍 박스로부터 고속으로 유동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웨브의 각각의 측면상에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서 웨브를 향해 경사 외측으로 배향된 슬릿을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외측으로 배향된 힘은 종이 웨브에 대하여 마찰에 의해 생성되며 웨브의 수축을 방지한다. 공기 유동과 웨브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웨브에는 각각의 측면에 밴드가 제공될 수 있다.
WO89/12138(PCT/US89/02230)호는 횡방향에서 웨브의 수축을 제어하기 위하여 웨브를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방법을 개시하는데, 이것은 2개의 건조 실린더 사이에 배치된 회전 진공 안내를 둘레에 펠트와 함께 웨브를 감아 이루어지며, 진공 안내롤은 1.49 내지 1.99KPa의 부분적인 진공으로 작동한다. 펠트는 웨브와 진공 안내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웨브가 펠트를 통해 부분적인 진공을 받게되며, 웨브와 펠트가 진공 가이드 롤 둘레를 통과할 때 펠트와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유인된다.
SE-8901775-0호에 대응하는 WO90/14467(PCT/SE90/00325)호는 횡방향에서 웨브의 수축에 반작용하도록 의도된 건조기 섹션내 장치를 설명한다. 건조 실린더들은 자유 인발부를 최소로 감소시키도록 가능한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건조 실린더의 실린더형 표면은 건조 실린더의 외측에서 부분적인 진공을 만들기 위하여 진공원과 연통하는 반경상의 구멍이 제공된 실린더형 모서리의 링을 형성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웨브를 이것을 향해 확고하게 흡입된다.
공고 번호 EP-238,479호인 EP-87850093.3호(우선 출원 SE8601291)호는 접착 재료가 제공된 2개의 밴드의 보조로 웨브의 수축 또는 신장을 제어하는 건조기 섹션내 장치를 설명하여, 상기 접착 밴드는 웨브의 모서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배향되는 힘으로 작용한다.
건조 과정중에 종이 웨브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열된 드럼을 지나 통과하는 소위 실린더 건조기에서, 웨브의 길이 방향 수축 또는 신장은 드럼의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기계의 횡방향에서 항상 수축을 제어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종이에서 고르지 못한 특성을 초래한다. 종이의 분류는 웨브의 중간 부분과 모서리 부분이 상이한 목적으로 사용되도록 종종 수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생산품의 일부분으로 정당화되는 것보다 고밀도가 사용됨으로써 전체적인 생산품이 지정된 요건을 충족시킨다.
건조중에 최소한 종이 웨브의 횡방향 수축을 제한하거나 또는 방지하는 기술은 충분히 기능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종이의 굽힘 강성, 인장 강성,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의 보다 나은 개발에 의해 재료내에 유보된 잠재적인 잔류성질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종이 웨브와 수반하는 접착 밴드의 사용은 밴드 사용의 충분한 수명을 달성하는데 실질적으로 곤란이 발생하는 것이 발되었다. 더군다나, 접착 재료를 매우 짧은 간격으로 반복 적용하는 것은, 재료가 밴드상에 집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하고 고도로 효과적인 세정뿐만 아니라 매우 양호한 투여량의 정확성을 필요로 한다. 서로 근접 배치된 건조 실린더의 단부 부분에 흡입 영역을 배치하는 것은 아마도 신뢰성있는 방법이긴 하지만, 건조 실린더 사이에서 자유 인발부의 극히 짧은 길이에 기인하여 건조 실린더 사이에 있는 자유 인발부에서 매우 높은 정도로 물의 제거가 발생하는 것이 밝혀졌다. 실린더 위로의 통과중에 종이 웨브는 와이어와 실린더 사이에서 압축되며, 그것에 의해 드럼 사이의 자유 인발부에서 이후에 발생하는 물의 제거에 대한 잠재력을 제공한다. 만약 실린더 사이의 영역이 소위 포켓 배기에 의해 강제 배기된다면 이러한 현상은 특히 현저해질 수 있다. 수축과 물의 제거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량의 수축이 건조 실린더 위를 통과할 때 발생하여 보다 큰 양의 수축은 자유 인발부를 통과할 때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는 실린더의 통과 도중에 실린더 및, 중간의 종이 웨브에 대해 와이어의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무시할 수 없는 강제를 종이 웨브가 받는다는 사실에 의해 더욱 강조된다. 이전에 제안된 방법과 장치의 사용도 건조기 섹션의 전환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새로운 것이 구성되어야만 하며, 이는 실린더에 밴드를 위한 안내 수단이나 또는 부분적인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원에 연결되는 적절한 영역이 제공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범위한 개조 없이 기존의 건조기 섹션에서 건조 실린더에 적용될 수 있는 해결 방법을 제공하며, 이것은 경험이 지시하는 대부분의 수축이 발생하는 곳에서 자유 인발부내 수축을 방지하거나 또는 제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SE-8400678-2호에서 논의된 종이 품질에서 가능한한 최대의 향상을 제공하는 해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부분적인 진공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자유 인발부에서 웨브의 모서리 부분을 따라 유지되며 웨브로부터 이탈되어 이것에 면하는 건조 와이어의 측면으로부터 적용됨으로써, 기계의 횡방향에서 작용하는 수축력보다 큰 힘에 의해 웨브가 건조 와이어를 향해 확고하게 흡입되고, 따라서 수축에 대해 반작용하게 되며, 상기 부분적인 진공은 0.1 내지 0.8bar의 간격에서 설정되고 0.2 내지 0.5bar인 것이 바람직스러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흡입 수단이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자유 인발부내에 웨브의 모서리 부분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신장된 흡입 박스 부재를 포함하며, 흡입 박스 부재는 건조 와이어에 반하여 웨브의 모서리 부분을 확고하게 흡입하도록 웨브의 모서리 부분에 대향하는 건조 와이어에서 부분적인 진공을 발생시키는, 건조 와이어의 근접한 측면에 위치한 개구 수단 및, 건조 와이어에 면하는 평탄한 측면을 지니며, 흡입 수단은 0.1 내지 0.8bar의 간격에 걸쳐있는 부분적인 진공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며, 바람직스럽게는 0.2 내지 0.5bar의 진공을 발생시킨다.
상기 언급된 특허 명세서에서, 예를 들면 만약 수축이 공기 웨브에서 부분적으로나 완전히 방지될 수 있거나 또는 어느 정도의 신장에 의해 대체된다면 증가된 강성에 관련하여 향상된 품질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방법은 이전에 언급된 것에 비해 상당히 단순하며, 이것은 대부분의 웨브 수축이 건조 실린더의 자유 인발부에서 발생하는 것이 실현된 덕분이다. 건조 실린더에 대하여 마찰에 의해 다소 방해받는 수축은 별도로 하고, 이것은 높은 습기 함유량을 지니지 않는 공기를 통해 종이 웨브가 운동하는 곳에서 물의 제거가 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에 따르면, 자유 인발부내에서만, 또는 최소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유 인발부의 상당한 부분동안 여분의 힘을 가함으로써 방지된다. 건조기 섹션에서 와이어는 수력에 반대의 힘을 작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종이 웨브의 모서리는 건조 와이어를 향하여 확고하게 흡입되고, 따라서 건조 와이어의 보다 큰 강성이 웨브의 폭에서 어떠한 감소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와이어를 길이 방향 부분으로 분할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모서리 부분이 분리되어 종이 웨브의 모서리 부분을 따라 독립적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와이어”의 개념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와이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만약 종이 웨브가 높은 중량(grammage)을 지닌다면 건조 와이어용으로 분리된 모서리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종이 웨브를 지지하지 않는 와이어의 측부에서 종이 웨브의 모서리 부분 양측을 따라서 부분적인 진공하에 있는 길이 방향의 흡입 박스를 배치함으로써 흡입이 달성된다.
종이 웨브와 건조 와이어 사이에서의 접촉 작용의 효율은 와이어와 와이어의 모서리 부분 구조에 의존하는데, 그 위로 종이가 흡입되는 와이어는 수용가능한 종이 표면을 획득하기 위하여 미세한 구조가 바람직스러울 수 있는 곳에서 중심의 본체 부분보다 거친 구조가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는 실리콘 고무 또는 실리콘 수지의 길이 방향 스트립에 의해 시일되는 것이 바람직스러우며 이것은 부분적인 진공하에 있는 흡입 박스를 향해 와이어의 내측에서 개스의 유도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킨다. 부분적인 진공은 0.1과 0.8bar 사이에서 유지되며, 바람직스럽게는 0.2와 0.5bar사이인 것이 바람직스럽다. 종이 웨브의 중량(grammage) 및 와이어를 향해 흡입되는 면적의 폭에 따라 선택이 결정된다. 이러한 면적은 정상적으로 발생되는 중량에 대하여 100mm를 초과하지 않는다. 흡입 박스에서의 개방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길이 방향 또는 경사진 슬릿의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일렬 또는 몇 개의 열로 배치된 원형의 구멍 형태일 수 있다. 슬릿의 폭 또는 등가부는 20 내지 40mm 사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웨브가 펄럭이는 문제를 향상된 방식으로 동시에 해결하며, 이는 종이 웨브가 측면 부분을 따라 자유 인발부를 통해 계속해서 확고하게 흡입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설명될 것이다.

Claims (18)

  1. 건조기 섹션을 통해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폭을 지니는 웨브(4)를 생산하는 복수개의 건조 실린더(2,3)를 포함하고, 상기 웨브(4)는 최소한 하나의 건조 와이어(5,6;9) 또는 건조 와이어의 일부분(21)과 함께, 2개의 롤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유 인발부(10)에서 이동하고, 2개의 롤 중 최소한 하나는 건조 실린더(2)이고, 부분적인 진공이 웨브의 길이 방향 모서리부분(11)내에서 흡입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제지기의 건조기 섹션(1)내 종이웨브(4)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인 진공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자유 인발부(10)내에서 웨브의 모서리 부분을 따라 유지되고 웨브(4)로부터 이탈되어 이것을 면하는 건조 와이어(5,6;9)의 측면으로부터 적용됨으로써, 웨브(4)는 횡방향에서 작용하는 수축력보다 큰 힘에 의해 건조 와이어를 향해 확고하게 흡입되며, 따라서 수축에 반작용하며, 상기 부분적인 진공은 0.1 내지 0.8bar의 간격에서 설정되고, 바람직스럽게는 0.2 내지 0.5bar의 간격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건조기 섹션(1)내 종이 웨브(4)의 건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건조기 섹션으로 유입되는 종이웨브 40 내지 90%의 건조 고체 함유물을 지니며, 바람직스럽게는 50 내지 80%의 건조 고체 함유물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웨브(4)의 건조 방법.
  3. 건조기 섹션은 건조 실린더(2,3)와 웨브(4)를 지지하는 최소한 하나의 건조 와이어(5,6;9)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 와이어 또는 그것의 일부(21) 및 웨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유 인발부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며, 자유 인발부 각각의 2개의 롤(2,3) 사이에서 연장되며, 롤들 중 최소한 하나는 건조 실린더(2)이며, 웨브의 길이 방향 모서리 부분(11)내에 부분적인 진공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흡입 수단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폭을 지니는 종이 웨브(4) 생산용 제지기의 건조기 섹션(1)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 수단을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자유 인발부(10)내에서 웨브의 모서리 부분(11)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신장된 흡입 박스 부재(12)를 포함하고, 흡입 박스 부재(12)는 건조 와이어(5,6;9)에 대하여 웨브(4)의 모서리 부분(11)을 확고하게 흡입시키기 위하여 웨브(4) 모서리 부분(11)의 반대편 건조 와이어(5,6;9)내에 부분적인 진공을 발생시키도록 건조 와이어에 인접하게 위치한 개방수단(16) 및 건조 와이어(5,6;9)를 면하는 평탄한 측면(15)을 지니고, 흡입 수단은 0.1 내지 0.8bar의 간격내에 있는 부분적인 진공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며, 바람직스럽게는 0.2 내지 0.5bar의 진공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건조기 섹션(1)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건조 와이어의 각각의 모서리 부분(7)은 건조 와이어의 나머지 부분보다 거친 구조를 지닌 길이 방향 면적(18)을 포함하고, 상기 면적은 종이 웨브(4)를 이것의 다른 측면에 대하여 확고하게 흡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흡입 박스 부재(12)와 한 측면에서 공조(cooperate)하도록 디자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거친 구조를 지닌 길이 방향 면적(18)은 실질적으로 기밀을 유지하는(gas-tight) 길이 방향의 스트립에 의해 건조 와이어의 근접한 부분에 대해 시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건조 와이어의 각각의 모서리 부분(17)은 실질적으로 기밀을 유지하는 길이 방향의 스트립(13,14)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은 건조 와이어의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시일되는 부분을 그들 사이에 형성하며, 종이 웨브(4)를 다른 측면에 대해 확고하게 흡입시키도록 한 측면상에서 흡입 박스 부재(12)와 공조하도록 의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실질적으로 기밀을 유지하는 스트립(13,14)은 건조 와이어의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4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의 폭은 0.1m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3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와이어는 중간의 본체 부분(20) 및, 분할되지 아니한 건조 와이어의 상기 모서리 부분(17)에 해당하는 2개의 모서리 스트립(21)을 포함하는 3개의 부분이며, 상기 모서리 스트립(21)에는 외측 모서리에 근접한 안내 스트립(19)이 제공되며, 이것은 건조 실린더(2,3)의 실린더형 표면내에 있는 해당 주변부의 원형 홈과 공조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박스 부재는 각각의 자유 인발부(10)에 대하여 흡입 박스(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스는 자유 인발부(10)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길이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박스 부재는 각각의 자유 인발부(10)에 대한 2개의 흡입 박스(12)로 이루어지며, 이것은 웨브(4)를 따르도록 안내 롤(7a,7b,8a,8b)에 의해 안내되는 상부 및 하부 건조 와이어(5,6)를 지니는 건조기 섹션(1)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스러우며, 이들 각각은 자유 인발부의 자체적인 길이를 지니며, 웨브(4)의 각각의 측면에 하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개방 수단(16)은 흡입 박스(12)의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최소한 하나의 신장된 슬릿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최소한 일렬의 구멍 또는 짧고 경사진 슬릿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일렬의 구멍 또는 슬릿은 흡입 박스(12)의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모서리 부분(17)을 지니며, 이들 각각은 건조 와이어의 나머지 부분보다 거친 구조를 지닌 길이 방향의 면적(18)을 포함하고, 상기 면적은 종이 웨브(4)를 건조 와이어의 다른 측면에 확고하게 흡입시키기 위하여 한 측면에서 흡입 박스 부재(12)와 공조하도록 디자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건조기 섹션용 건조 와이어.
  14. 제13항에 있어서, 거친 구조를 지닌 길이 방향 면적(18)은 실질적으로 기밀을 유지하는 길이 방향의 스트립에 의해 건조 와이어의 근접한 부분에 대해 시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와이어.
  15. 모서리 부분들(17)이 제공되어 있고, 이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기밀을 유지하는 길이 방향 스트립(13,14)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 사이에는 건조 와이어의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시일되고 종이 웨브(4)를 건조 와이어의 다른 측면에 대해 확고하게 흡입시키기 위하여 한 측면에서 흡입 박스 부재(12)와 공조하도록 의도된 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건조기 섹션용 건조 와이어.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실질적으로 기밀을 유지하는 스트립(13,14)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건조 와이어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와이어.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의 폭은 약 0.1m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와이어.
  18.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의 본체 부분(20) 및, 분할되지 아니한 건조 와이어에서 상기 모서리 부분(17)에 해당하는 2개의 모서리 스트립(21)을 포함하는 3개의 부분을 지니며, 상기 모서리 스트립(1)의 각각에는 외측 모서리에 근접한 안내 스트립(9)이 제공되고, 이것은 건조기 섹션내 건조 실린더(2,3)의 실린더형 표면내에 있는 해당 주변부의 원형 홈과 공조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와이어.
KR1019950704777A 1993-05-03 1994-04-29 웨브건조방법및장치 KR100298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301512A SE9301512L (sv) 1993-05-03 1993-05-03 Sätt och torkvira vid papperstorkning
SE9301512-1 1993-05-03
PCT/SE1994/000387 WO1994025671A1 (en) 1993-05-03 1994-04-29 Web dry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2030A KR960702030A (ko) 1996-03-28
KR100298295B1 true KR100298295B1 (ko) 2001-10-24

Family

ID=2038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777A KR100298295B1 (ko) 1993-05-03 1994-04-29 웨브건조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64965A (ko)
EP (1) EP0738344B1 (ko)
JP (1) JPH08509529A (ko)
KR (1) KR100298295B1 (ko)
AT (1) ATE176020T1 (ko)
CA (1) CA2161900C (ko)
DE (1) DE69416168T2 (ko)
FI (1) FI108055B (ko)
SE (1) SE9301512L (ko)
WO (1) WO19940256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3392A (en) * 1993-11-15 1996-09-10 Tokushu Paper Mfg. Co., Ltd. Process and apparatus for drying sheet materials
DE19641599A1 (de) * 1996-10-09 1998-04-16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Materialbahn
DE19805723A1 (de) * 1998-02-12 1999-08-19 Voith Sulzer Papiertech Patent Trockenpartie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Trockenpartie
SE517689C2 (sv) 1999-11-26 2002-07-02 Metso Paper Karlstad Ab Förfarande och torkparti för att vid torkning styra åtminstone bredden hos en löpande, fuktig pappers- eller kartongbana, samt en produkt framställd av en sådan bana
US6412192B1 (en) * 2001-01-30 2002-07-02 Enerquin Air Inc. Device and method for ventilating an offset pocket space in a papermaking machine
US6725569B2 (en) 2001-01-30 2004-04-27 Enerquin Air Inc. Device and method for ventilating an offset pocket space in a papermaking machine
DE102005057638A1 (de) * 2005-12-02 2007-06-06 Voith Patent Gmbh Bahnüberwachung
US20070180729A1 (en) * 2006-01-26 2007-08-09 Girolamo Paul A Blow box apparatus
US20070193057A1 (en) * 2006-01-26 2007-08-23 Girolamo Paul A Rotatable vacuum transfer roll apparatus
FI119029B (fi) * 2006-01-30 2008-06-30 Metso Paper Inc Menetelmä ja laite kuiturainakoneen, kuten paperi- tai kartonkikoneen kuivatusosassa
CA2905562C (en) * 2015-01-30 2023-03-28 Enerquin Air Inc. A pocket ventilator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59637C (fi) * 1979-11-20 1981-09-10 Valmet Oy Anordning i torkpartiet av en pappersmaskin
US4494319A (en) * 1981-07-31 1985-01-22 Albany International Corp. Dryer felt fabric and dryer belt
US4583302A (en) * 1983-06-08 1986-04-22 Wagner Systems Corporation Helical dryer belt with profiled permeability
SE440518B (sv) * 1984-02-09 1985-08-05 Svenska Traeforskningsinst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att i en pappersmaskins torkparti forhindra tverkrympning av pappersbanan
US4686777A (en) * 1986-02-21 1987-08-18 Beloit Corporation Preventing sheet flutter in paper web dryers
SE462171B (sv) * 1986-03-19 1990-05-14 Flaekt Ab Anordning vid en pappersmaskins torkparti
US4807371A (en) * 1987-02-13 1989-02-28 Beloit Corporation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edges of a web in conformity with a dryer felt
DE3706541A1 (de) * 1987-02-28 1988-09-08 Voith Gmbh J M Vorrichtung zum stabilisieren des laufes einer warenbahn, insbesondere zum stabilisieren einer papierbahn in der trockenpartie einer papiermaschine
DE3739338C2 (de) * 1987-11-20 1995-09-07 Voith Gmbh J M Luftleitkasten zum Stabilisieren des Laufs einer Warenbahn, insbesondere einer Papierbahn
AU639414B2 (en) * 1988-06-02 1993-07-29 Beloit Corporation A process for the restrained drying of a paper web
SE463568B (sv) * 1989-05-17 1990-12-10 Flaekt Ab Saett att torka papper i en pappersmaskin samt anordning foer genomfoerande av saettet
US5397438A (en) * 1990-07-06 1995-03-14 Valmet Paper Machinery, Inc. Method and device for reduction and equalization of transverse shrinkage of paper in single-wire draw in a drying section
US5542193A (en) * 1992-04-24 1996-08-06 Beloit Technologies, Inc. Dryer group for curl control
US5506033A (en) * 1993-04-07 1996-04-09 Wangner Systems Corporation Dryer fabric edge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9301512D0 (sv) 1993-05-03
EP0738344B1 (en) 1999-01-20
EP0738344A1 (en) 1996-10-23
KR960702030A (ko) 1996-03-28
US5864965A (en) 1999-02-02
WO1994025671A1 (en) 1994-11-10
CA2161900C (en) 2002-11-12
FI955198A (fi) 1995-10-31
FI955198A0 (fi) 1995-10-31
DE69416168D1 (de) 1999-03-04
SE9301512L (sv) 1994-11-04
DE69416168T2 (de) 1999-07-22
CA2161900A1 (en) 1994-11-10
JPH08509529A (ja) 1996-10-08
FI108055B (fi) 2001-11-15
ATE176020T1 (de) 199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6258B1 (en) Air press
US6146499A (en) Method for increasing cross machine direction stretchability
KR0137649B1 (ko) 웹의 건조 장치
KR100298295B1 (ko) 웨브건조방법및장치
AU634977B2 (en) Intermediate vacuum roll for dryer
CA2012615C (en) Method and device in the drying section of a coating machine or equivalent
CA2197593A1 (en) Wound roll support in a web winding machine
EP1538259B1 (en) A method and a dry-end section of a paper-making machine for producing a tissue paper
US8137505B2 (en) System and process for throughdrying tissue products
US3523865A (en) Method of producing extensible paper
US5873180A (en) Papermaking dryer section with partitioned vacuum box for threading
CA2325907C (en) Apparatus for drying a web of paper
US20070272386A1 (en) Machine for producing a material web
KR970001191B1 (ko) 웹을 건조하기 위한 드라이어 섹션 장치 웹의 건조 방법
US5241761A (en) Dryer section for a paper making machine with differing suction rolls
US3555700A (en) Roll for papermaking machinery
CA2347611A1 (en) Drying section
JPH09502489A (ja) ドライヤセクション装置
US6490811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hrinkage in a fiber web during a drying process and associated method
EP0902122B1 (en) Total restraint drying
GB2110804A (en) Drying paper webs
US2019649A (en) Vertical drier for web material
CA1273196A (en) Dryer felt run
KR100458848B1 (ko) 커얼을억제하는드라이어에어캡을구비한제지기의드라이어섹션
ES2043949T3 (es) Maquina para la fabricacion de papel en la cual la banda continua de papel va sostenida en el vano entre las secciones de prensa y sec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