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812B1 - 고혈압억제효능을지닌돌미나리추출물을함유하는식품 - Google Patents

고혈압억제효능을지닌돌미나리추출물을함유하는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812B1
KR100297812B1 KR1019980030130A KR19980030130A KR100297812B1 KR 100297812 B1 KR100297812 B1 KR 100297812B1 KR 1019980030130 A KR1019980030130 A KR 1019980030130A KR 19980030130 A KR19980030130 A KR 19980030130A KR 100297812 B1 KR100297812 B1 KR 100297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tone
weight
parsley
bloo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589A (ko
Inventor
박형환
박은진
양차범
권익부
Original Assignee
한수길
롯데제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길, 롯데제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수길
Priority to KR1019980030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81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혈압 억제효능을 지닌 돌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혈압 억제효능을 지닌 돌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돌미나리 추출물이 혈압 상승작용을 유발하는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하여 높은 활성 저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돌미나리를 용제추출하여 돌미나리 추출물을 제조하고, 다시 이 추출물을 부탄올로 용매분획하여 안지오텐신 I 전환 효소에 대하여 활성 저해율이 높은 분획물을 제조한 다음에 이 분획물을 식품에 첨가시킴으로써, 청소년, 성인 및 노인층의 광범위한 계층까지 언제 어디서나 늘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어서 지속적인 음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고혈압 억제효능을 지닌 돌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혈압 억제효능을 지닌 돌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본 발명은 고혈압 억제효능을 지닌 돌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혈압 억제효능을 지닌 돌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돌미나리 추출물이 혈압 상승작용을 유발하는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하여 높은 활성 저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돌미나리를 용제추출하여 돌미나리 추출물을 제조하고, 다시 이 추출물을 부탄올로 용매분획하여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하여 활성 저해율이 높은 분획물을 제조한 다음에 이 분획물을 식품에 첨가시킴으로써, 청소년, 성인 및 노인층의 광범위한 계층까지 언제 어디서나 늘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어서 지속적인 음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고혈압 억제효능을 지닌 돌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학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망율 수위를 차지하는 고혈압, 심장병 등의 순환기계 질환을 포함한 만성 성인병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뚜렷한 치료책이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고혈압이 발생하는 기작에서 레닌-안지오텐신계는 혈압조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는 레닌에 의하여 생성된 데카펩타이드인 안지오텐신 I로부터 C-말단의 디펩타이드를 가수분해시킴으로써, 강력한 혈관 수축작용을 갖는 옥타펩타이드인 안지오텐신 II를 합성하는 마지막 단계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생성된 안지오텐신 II는 강력한 혈관 수축작용을 가짐과 동시에 부신피질(adrenal cortex)에서 알도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물과 나트륨의 배설을 억제한다. 또한,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는 혈관 이완작용을 갖는 노나펩타이드인 브래디키닌을 불활성화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Das, M and Soffer, R.L., J. Biol. Chem., 250(17), 6762, 1975; Soffer, R.L., Ann. Rev. Biochem., 45, 73, 1976; Ondetti, M.A. and Cushman, D.W., Ann. Rev Biochem., 51, 283, 1982]. 따라서, 혈관 수축작용을 갖는 안지오텐신 II의 생성을 막고 혈관 이완작용을 갖는 브래디키닌의 분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안지오텐신 I전환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기 위하여 에날라프릴(enalapril), 포시노프릴(fosinopril), 퀴나프릴(quinapril) 등의 합성 약제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이들은 기침, 두통, 미각장애, 발진, 간 효소치 상승 등 부작용을 동반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안지오텐신 I전환효소의 저해제를 천연소재에서 찾고자 하는 연구가 왕성히 수행되어 오고 있으나, 지금까지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 저해제에 대한 연구는 펩타이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즉, 우유, 콩, 어류 등 식품 단백질을 펩신, 트립신 등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한 후, 추출, 정제하여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주로 행하여지고 있다[Miyoshi, S., et al., Agric. Biol. Chem., 55(5), 1407, 1991; Matsui, T., et al, Biosci. Biotech. Biochem., 57(6), 922, 1993]. 그러나, 이러한 식품 단백질로부터 활성 펩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은 분리 정제시 수율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높은 제조경비가 드는 문제가 있어 아직 산업적 생산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감나무잎[Kameda, K., et al., J. Natural Prod., 50(4), 680, 1987], 밀감[Matsubara, Y., et al., Agric. Biol. Chem., 49(4), 909, 1985] 및 녹차[Hara, M., et al., Nippon Nogeikagaku Kaishi, 61(7), 803, 1987] 등의 추출물이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곡류, 두류 및 차류 등 일부 식물에 국한되어 있으며, 특히 국내산 식용채소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어서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한 활성 저해율이 탁월한 새로운 고혈압 억제물질이 절실히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고혈압 억제물질을 식품에 함유시켜 늘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어서 지속적인 음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고혈압 억제효능을 지닌 식품의 개발 또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고혈압 억제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오래전부터 민간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국내종 11종의 채소류로부터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한 억제효능을 탐색하여 그 가운데 돌미나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 저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돌미나리를 용제추출하여 돌미나리 추출물을 제조하고, 다시 이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하여 더욱 활성 저해율이 높은 분획물을 제조한 다음에 이 분획물을 식품에 첨가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청소년 성인 및 노인층의 광범위한 계층까지 언제 어디서나 늘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어서 지속적인 음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고혈압 억제효능을 지닌 돌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돌미나리 추출물이 필수적으로 0.1∼10 중량%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억제 효능을 지닌 돌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돌미나리를 용매추출하여 돌미나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추출물을 다시 용매분획하여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하여 활성 저해율이 높은 분획물을 제조한 다음에 이 분획물을 식품에 첨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고혈압 억제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오래전부터 민간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국내종 11종의 채소류(가지, 깻잎, 돌미나리, 마늘, 무, 미나리, 부추, 쑥갓, 양배추, 파 및 파슬리)로부터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한 억제효능을 탐색하여 그 가운데 돌미나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 저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돌미나리 추출물을 사용하여 보다 개선된 고혈압 억제물질을 얻을 수 있었다.
여기서, 돌미나리(학명 : Nasturtium officinale)는 겨자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서식지는 아시아와 유럽이며, 그 중에서도 특히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에서 주로 상용되고 있다. 전체 길이는 40∼50cm 정도로 색깔은 짙은 녹색을 띄며, 보통 우상형으로 뻗은 다수의 곁가지에 부드러운 난형의 작은 흰꽃을 피운다. 가식부로 이용되는 부분은 잎과 여린 줄기이며 수확시기는 6∼8월 사이이고, 재배조건은 종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를 보이나 발아시 보통 밤 기온 5∼8℃, 낮 기온 14∼17℃의 서늘한 기후가 요구되며 물이 흐르는 개울가 등지에서 잘 자란다. 돌미나리의 구성성분으로는 단백질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전체 건조량의 30∼40%를 차지하며 지방함량은 대체로 적어서 1∼3%에 불과하다. 또한, 정미 성분으로 각종 아미노산이 풍부하며, 이들 외에도 아스코르브산 등의 비타민과 칼슘, 인, 칼륨 등의 무기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한편, 돌미나리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활동은 매우 빈약하며, 그것도 주로 항암 효과에 대한 연구[Hecht, S., et., al.,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4(8), 877, 1995]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을 뿐, 다른 생리활성 기능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돌미나리 추출물은 열수, 50% 에탄올 또는 60% 아세톤 등의 용제를 사용하여 추출하므로 얻을 수 있는 바, 상기 돌미나리를 추출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하면 다음과 같다.
열수를 사용하여 돌미나리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잘 건조된 돌미나리 분말 100g에 증류수 3ℓ를 넣고 80∼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1∼3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실온에서 냉각시킨 후, 이것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상기 과정에서 남은 잔사에 동량의 증류수를 넣고 동일한 추출과정을 3회 반복한다. 그 다음에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진공하에서 건조하여 돌미나리 추출물을 얻는다.
50% 에탄올을 사용하여 돌미나리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잘 건조된 돌미나리 분말 100g에 50% 에탄올 2ℓ를 넣고 50∼70℃에서 4∼6시간 동안 교반 추출한 후, 실온에서 냉각시킨 다음에 이것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상기 과정에서 남은 잔사에 동량의 50% 에탄올을 넣고 동일한 추출과정을 2회 반복한다. 그 다음에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진공하에서 건조하여 돌미나리 추출물을 얻는다.
60% 아세톤을 사용하여 돌미나리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잘 건조된 돌미나리 분말 100g에 60% 아세톤 수용액 2ℓ를 넣고 50∼70℃에서 4∼6시간 동안 교반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상기 과정에서 남은 잔사에 동량의 60% 아세톤을 넣고 동일한 추출과정을 2회 반복한다. 그 다음에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진공하에서 건조하여 돌미나리 추출물을 얻는다.
또한, 상기한 추출방법들을 통해서 얻어진 돌미나리 추출물을 다시 부탄올로 용매 분획시킴으로써,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바, 이러한 용매 분획방법을 상세히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용제 추출 방법을 통해서 얻어진 돌미나리 추출물 10g에 증류수 100㎖를 가하여 잘 분산시킨 다음에 부탄올 500㎖를 가하고 세차게 흔들어 정치하여 용매분리가 완전히 이루어진 후, 부탄올층을 취하여 감압농축기로 40∼60℃에서 농축하고 진공하에서 건조하는 공정을 통해서 수행된다.
이렇게 돌미나리 추출물을 다시 부탄올로 용매 분획시킴으로써, 용제 추출 공정만을 수행한 것과 비교해서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15∼20%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과정을 통해서 제조된 돌미나리 분획물을 츄잉껌, 캔디, 비스켓, 초콜렛, 아이스크림, 음료 소세지 및 건강식품 등의 식품에 첨가할 수 있는 바, 그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중 0.1∼10 중량% 함유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목적하는 생리적 효능을 거의 기대할 수 없고, 반면에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식품의 관능이 나빠질 뿐아니라 제조원가에 대한 부담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식용채소 추출물의 제조]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혈압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11종의 국내산 식용채소(경동시장) 각각에 대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절하여 40℃에서 열풍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하였고, 그 분말 시료를 10g씩 달아 50㎖ 삼각플라스크에 옮겼다. 그리고, 각각에 대해서 60% 아세톤 수용액 30㎖를 가한 후, 실온에서 1 시간동안 초음파 추출을 실시한 다음에 이를 여과지(Toyo No. 2)로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고, 남은 잔사에 다시 60% 아세톤 수용액 30㎖을 가하여 동일한 추출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그 다음 공정으로, 상기한 방법을 통해서 회수한 각각의 추출액을 감압농축기로 50℃에서 농축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서 각각의 식용채소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식용채소 추출물의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한 활성 저해율 측정]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는 토끼의 허파에서 유래한 것으로, 미국 시그마사 제품(Sigma Co., A6778)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식용채소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 저해활성의 측정을 쿠쉬만(Cushiman)과 층(cheung)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Cushman, D.W. and Cheung, H.S., Biochem. Pharmacol., 20, 1637, 1971].
즉, 시료 0.01g에 증류수 2 ㎖를 가하여 잘 녹여서 50 ㎕를 취한 후 여기에 기질로서 힙푸릴-히즈-레우(hippuryl-his-leu) 용액(25 mg/2.33㎖ 붕산나트륨 완충액, pH 8.3) 50 ㎕와 붕산나트륨 완충액(pH 8.3) 100 ㎕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전반응시켰다. 여기에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액 50 ㎕를 가하여 다시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1 N 염산 250㎕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때, 무첨가군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 50 ㎕를 첨가하였고, 시료와 무첨가군 각각의 대조군은 1N 염산을 먼저 가한 다음 효소액 50㎕를 가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료된 후, 다시 초산에틸 1.5 ㎕를 가하여 15초간 진탕하여 잘섞고 상등액 1.25 ㎖를 취했다. 또한, 이 상등액을 105℃에서 1시간동안 완전히 건조시킨 후, 증류수 1.5 ㎖에 용해시키고 22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 수학식 1에 의하여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한 활성 저해율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여기에서, S는 시료의 흡광도이며, Sc는 시료 대조군의 흡광도이고, B는 무첨가군의 흡광도, Bc는 무첨가군의 대조군의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용채소 추출물 각각의 안지오텐신 I 전환 효소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비교해 보았을때, 돌미나리 추출물이 52.32%로 가장 높은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제조예 2]
[열수를 이용한 돌미나리 추출물의 제조]
잘 건조된 돌미나리 분말 100g에 증류수 3ℓ를 넣고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2 시간동안 추출한 후, 실온에서 냉각시켰다. 이것을 여과지(To7o No. 2)로 여과하고 남은 잔사에 동량의 증류수를 넣고 동일한 추출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50℃에서 농축한 후, 진공하에서 건조하여 돌미나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50 % 에탄올을 이용한 돌미나리 추출물의 제조]
잘 건조된 돌미나궈 분말 100g에 50 % 에탄올 수용액 2ℓ를 넣고 60℃에서 5시간동안 교반 추출하였다. 이것을 여과지(Toyo No. 2)로 여과하고 남은 잔사에 동량의 50 % 에탄올 수용액을 넣고 동일한 추출파정을 2회 반복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50 ℃에서 농축한 후, 진공하에서 건조하여 돌미나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60% 아세톤을 이용한 돌미나리 추출물의 제조]
잘 건조된 돌미나리 분말 100g에 60% 아세톤 수용액 2ℓ를 넣고 60℃에서 5 시간동안 교반 추출하였다. 이것을 여과지(Toyo No. 2)로 여과하였고, 남은 잔사에 동량의 60% 아세톤 수용액을 넣고 동일한 추출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50℃에서 농축하고 진공하에서 건조하여 돌미나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부탄올을 이용한 돌미나리 분획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4를 통해서 제조된 돌미나리 추출물 109에 증류수 100㎖을 가하여 잘 분산시키고, 분액깔대기에 옮긴 후, 500㎖의 부탄올을 가하고 세차게 흔들어 정치하였다. 용매분리가 완전히 이루어진 후, 부탄올층을 취하여 감압농축기로 50℃에서 농축하고 진공하에서 건조하여 돌미나리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제조예 2∼5로부터 얻은 후박피 추출물 및 분획물 각각에 대해서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4는 제조예 2 또는 제조예 3에 비하여 안지오텐신 I전환효소에 대한 활성 저해율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제조예 5의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한 활성저해율은 62.48%로 제조예 4와 비교해 보면 8.45%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껌베이스 20 중량%, 설탕 76.9 중량%, 향료 1 중량% 및 물 2 중량%와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돌미나리 분획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설탕 60 중량%, 물엿 39.8 량% 및 향료 0.1 중량%와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돌미나리 분획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당알콜 50 중량%, 환원물엿 49.8 중량% 및 향료 0.1 중량%와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돌미나리 분획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박력 1급 25.59 중량%, 중력 1급 22.22 중량%, 정백당 4.80 중량%, 식염 0.73 중량%, 포도당 0.78 중량%, 팜쇼트닝 11.15 중량%, 암모1.54 중량%, 중조 0.17 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 중량%, 쌀가루 1.45 중량%, 비타민 B10.0001 중량%, 비타민 B20.0001 중량%, 밀크향 0.04 중량%, 물 20 7358 중량%, 전지분유 1.16 중량%, 대용분유 0.29 중량%, 제일인산칼슘 0.03 중량% 살포염 0.29 중량% 및 분무유 7.27 중량%와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돌미나리 분획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꿀 0.26 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 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 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 중량%, 이노시톨 0.001 중량%, 오르트산 0.002 중량% 및 물 98.7362 중량%와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돌미나리 분획물 1 중량%을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과일 엑기스 3.5 중량%, 과일 퓨레 4.8 중량%, 설탕 7.78 중량%, 구연산 0.11 중량%, 향료 0.1 중량% 및 정제수 82.71 중량%와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돌미나리 분획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돈육 65.15 중량%, 계육 25 중량%, 전분 3.5 중량%, 대두단백 1.7 중량%, 식염 1.62 중량%, 포도당 0.5 중량% 및 글리세린 1.5 중량%와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돌미나리 분획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소세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스퍼루리나 55 중량%, 구아검효소분해물 10 중량%, 비타민 B1염산염 0.01 중량%, 비타민 B6염산염 0.01 중량%, DL-메치오닌 0.23 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7 중량%, 유당 22.2 중량% 및 옥수수전분 1.85 중량%와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돌미나리 분획물 10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형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키토올리고당 11.26 중량%, 마늘분말 0.2 중량%, 은행잎추출물 분말 0.2 중량%, 베타카로틴(30% 현탁액) 0.9 중량%, 알파토코페를 1.2 중량%, 레시틴 1.2 중량%, 정제팜유 4.5 중량%, 황납 1.6 중량%, 대두유 18.994 중량%, 젤라틴 37.83 중량%, 글리세린 16.51 중량%, 에칠바닐린 0.09 중량%, 이산화티타늄 0.076 중량% 및 식용색소 0.44 중량%와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돌미나리 분획물 5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캡술형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9]
상기 실시예 1∼9의 조성, 함량 및 방법으로 하여 각각의 조성물을 제조하되, 돌미나리 분획물을 첨가하지 않고 수행하여 각각의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9를 상기 실험예 1와 같은 방법으로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돌미나리 추출물이 혈압 상승작용을 유발하는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하여 높은 활성 저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돌미나리를 용제추출하고, 다시 용매분획하여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에 대하여 활성 저해율이 높은 분획물을 제조한 다음에 이 분획물을 식품에 첨가시킴으로써, 별도의 고혈압예방제제를 음용하지 않으면서도 청소년, 성인 및 노인층의 광범위한 계층까지 언제 어디서나 늘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어서 지속적인 음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돌미나리 추출물이 필수적으로 0.1∼10 중량%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억제 효능을 지닌 돌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2. 한국산 돌미나리를 물, 에탄올 수용액 및 아세톤 수용액 중에서 선택된 용제를 사용하여 열수 추출하고, 상기 열수 추출물을 다시 부탄올로 용매분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억제 효능을 지닌 돌미나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980030130A 1998-07-27 1998-07-27 고혈압억제효능을지닌돌미나리추출물을함유하는식품 KR100297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130A KR100297812B1 (ko) 1998-07-27 1998-07-27 고혈압억제효능을지닌돌미나리추출물을함유하는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130A KR100297812B1 (ko) 1998-07-27 1998-07-27 고혈압억제효능을지닌돌미나리추출물을함유하는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589A KR20000009589A (ko) 2000-02-15
KR100297812B1 true KR100297812B1 (ko) 2001-11-05

Family

ID=1954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130A KR100297812B1 (ko) 1998-07-27 1998-07-27 고혈압억제효능을지닌돌미나리추출물을함유하는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517B1 (ko) * 2007-04-28 2008-12-08 한국식품연구원 토란분말과 쑥갓분말을 포함하는 고혈압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WO2022129618A1 (en) 2020-12-18 2022-06-23 University Of Exeter Watercress extrac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69A (ja) * 1989-05-30 1991-01-10 Lion Corp 高血圧症予防用飲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25723A (ja) * 1993-02-04 1994-08-16 Takano Co Ltd 食品添加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69A (ja) * 1989-05-30 1991-01-10 Lion Corp 高血圧症予防用飲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25723A (ja) * 1993-02-04 1994-08-16 Takano Co Ltd 食品添加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589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ran et al. Fava bean (Vicia faba L.) for food applications: From seed to ingredient processing and its effect on functional properties, antinutritional factors, flavor, and color
Saucedo-Pompa et al. Moringa plants: Bioactive compounds and promising applications in food products
Aluko Hemp seed (Cannabis sativa L.) proteins: composition, structure, enzymatic modification, and functional or bioactive properties
Fukushima Soy proteins
MXPA04011022A (es) Producto de proteina de soya alto en saponinas y bajo en isoflavonas y proceso para producir el mismo.
Nasir et al. Processing and nutritional profile of mung bean, black gram, pigeon pea, lupin, moth bean, and Indian vetch
Luzardo‐Ocampo et al. Pulse By‐products
WO2006067906A1 (ja) 蓮からの抽出エキス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
JP2005500074A (ja) 女性/妊婦用の薬草由来の栄養補助製剤およびその調製方法
JP2002179647A (ja) ニコチアナミン又はニコチアナミン含有物の製造法
KR101671961B1 (ko) 으름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100297812B1 (ko) 고혈압억제효능을지닌돌미나리추출물을함유하는식품
KR101762569B1 (ko) 아미노산 함량이 증진된 모링가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5296B1 (ko)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퉁퉁마디 유래의 5-deoxy-irilin B를 함유하는 염미소스
WO2007007994A1 (en)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102184812B1 (ko) 새찰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4764B1 (ko) 유효성분의 함량이 향상된 콩 유래 추출물
KR19980068379A (ko) 천마 함유 가공 식품의 제조방법
KR20170072055A (ko) 얌빈 지하부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10022472A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75267B1 (ko) 다기능성 한국산 민들조개 가수분해추출물
KR20180049814A (ko)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5-deoxy-irilin B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080079374A (ko) 혼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20200081550A (ko) 굼벵이 엑기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