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951B1 - 용융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용융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94951B1 KR100294951B1 KR1019980003967A KR19980003967A KR100294951B1 KR 100294951 B1 KR100294951 B1 KR 100294951B1 KR 1019980003967 A KR1019980003967 A KR 1019980003967A KR 19980003967 A KR19980003967 A KR 19980003967A KR 100294951 B1 KR100294951 B1 KR 1002949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pping
- melt
- furnace
- pressure
- process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처리장치의 설비공간의 증대와 비용상승을 억제하고, 수증기폭발을 일으키는 위험성을 없애, 확실하게 출탕을 제어할 수 있는 용융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가열물(17)이 투입되는 노체(8)와, 플라즈마 아크(13)를 발생시켜 상기 피가열물(17)을 용융시키는 플라즈마 토치(2)를 가지는 용융처리장치(1)로서, 상기 플라즈마 토치(2)에 의해 용융된 용융물(14)을 출탕시키도록 상기 노체(8)에 설비된 출탕로(3)와, 상기 출탕로(3)에 설비되어, 상기 용융물(14)을 냉각하여 둑(12)을 형성시키도록 냉각가스를 분출하는 냉각가스분출수단(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종 무기물, 금속, 유기물을 함유하는 일반 폐기물, 하수진흙, 도시쓰레기, 이것들의 소각재, 저레벨의 원자력방사성폐기물 등을 플라즈마 토치에 의해 용융시키는 용융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무기물, 금속, 유기물을 함유하는 일반 폐기물, 하수진흙, 도시쓰레기, 이것들의 소각재는, 종래부터 최종처분장에 메워지고 있다. 그러나, 처분장이나 보관장소의 용량이나 기한에 한계가 있어, 최근 이들 폐기물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기술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폐기물의 부피를 삭감, 폐기물을 융점이상으로 가열하여, 냉각고화하는 용융고화법의 기술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용융로에 있어서는, 등유나 중유 기타 탄화수소계가스연료인 화석연료를 연소 가열하는 연소법에 의해 폐기물의 용융처리가 행해져 왔다. 그러나 , 연소법에 의한 용융고화수법에서는, 연소온도에 한계가 있고, 융점이 높은 폐기물의 용융고화가 곤란했다.
이것에 대하여, 플라즈마법에 의한 가열수법에서는, 전기에 의해서 여기된 수만도에 이르는 가스체를 얻을 수 있고, 용이하게 폐기물을 융점이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플라즈마법을 사용한 용융처리장치는, 용융로에 플라즈마 토치가 설비되어 있고, 이 플라즈마 토치의 선단으로부터 조사되는 플라즈마 아크에 의해, 피가열물(폐기물 등)을 용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플라즈마 토치를 가지는 용융로에 있어서, 종래부터, 용융물을뱃치(batch)처리하는 용융처리장치가 존재하고 있다(일본 특허공고 평6-94927참조). 도13에 나타내듯이, 용융처리장치(91)를 구성하는 용융로(97)는, 노덮개부(92)와 노챔버부(93)를 가지고 있다. 이 노덮개부(92)에는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도시되지 않은 플라즈마 토치가 기울어 움직이도록 설비되어 있다. 그리고, 노챔버부(93)에는 출탕할 때에 노챔버부(93)를 출탕구까지 운반하도록 대차(96)가 설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대차(96)에는 노챔버부(93)를 출탕구로 기울이기 위한 승강겸 경사이동장치(94,95)가 설비되어 있다. 또, 용융처리장치(91)에는 이 대차(96)가 출탕구까지 노챔버부(93)를 운반하기 위해 지나는 도시되지 않은 레일이 부설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용융처리장치(91)는, 도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열물을 도시되지 않은 플라즈마 토치에 의해 용융시켜, 그 후,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덮개부(92)가 대차(96)에 설비된 승강겸 경사이동장치(94,95)에 의해 노챔버부(93)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13c에 나타내듯이, 노챔버부(93)는 상기 대차(96)에 의해, 출탕구까지 운반되어, 도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겸 경사이동장치(94,95)에 의해, 기울어져 용융물의 출탕을 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융처리장치(101)를 구성하는 용융로(102)에는, 플라즈마 토치(103)가 기울어 움직임이 자유롭게 설비되어 있다 (특공소59-16199참조). 그리고, 도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용융로(102)의 측벽(104)에는 용융물(106)을 출탕시키는 출탕구(105)가 설비되어 있고, 이출탕구(105)로부터 출탕용의 출탕도(107)가 설비되어 있다. 또한, 도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탕구(105)의 하부에는 용융물(106)을 냉각고화시키는 냉각수용냉각관(108,109)이 설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용융처리장치(101)는 피가열물을 플라즈마 토치(103)에 의해 용융시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용융로(102)의 내벽부근에 존재하는 용융물(106)은, 냉각수용냉각관(108,109)에 의해 냉각고화되어 둑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출탕할 때는 플라즈마 토치(103)에 의해 둑을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출탕을 행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용융처리장치(101)는 용융물(106)의 출탕을 제어하여 뱃치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렇지만, 도13a 내지 도 13d에 나타내는 용융처리장치(91)는 노덮개부(92)와 노챔버부(93)가 분리하는 구조이고, 뱃치처리할 때에 노챔버부(93)를 대차(96)에 의해 출탕구까지 운반하는 구조 등 복잡한 기계적장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용융처리장치(91)의 설비공간의 증대와 비용상승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14a 내지 도14c에 나타내는 용융처리장치(101)는, 용융물을 냉각수에 의해, 냉각고화하여 둑을 형성시키지만, 이와 같이 냉각수가 둑 아래에(출탕구(105)의 하부)에 있으면, 플라즈마 토치(103)로 둑을 가열할 때에, 냉각수용냉각관(108,109)도 가열되게 된다. 이 경우, 냉각수용냉각관(108,109)에 통수되는 통수량이 불충분하면, 둑의 상부로부터의 가열이 우위가 되어, 냉각수용냉각관(108,109)의 손상이나 수증기폭발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냉각수에서는 정상적인 냉각능을 가질 뿐 이고, 가열상황의 변화에 따라 둑이 무너지는 (출탕구 근처의 냉각고화체가 용융하는)경우가 있기 때문에, 출탕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용융처리장치의 설비공간의 증대와 비용상승을 억제하고, 수증기폭발을 일으키는 위험성을 없애, 확실하게 출탕을 제어할 수 있는 용융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용융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출탕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출탕관의 경사각도와 분출유속과의 균형관계, 즉, 용융물이 출탕하지않도록 둑이 형성되는 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면이다.
도 4는 용융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용융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용융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용융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용융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냉각공기의 분출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용융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용융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방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13d는 종래의 용융처리장치의 출탕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또다른 종래의 용융처리장치의 출탕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융처리장치 2: 플라즈마 토치
3: 출탕관 4: 출탕구
5: 공급구 6: 제1 배기가스구
7: 노즐 8: 노체
9: 수냉재킷 10: 승강겸 경사이동장치
11: 출탕관의 저면 12, 74: 둑
13: 플라즈마 아크 14: 용융물
15: 출탕도 16: 노상
17: 피가열물 18: 용탕 베이스
19: 노즐의 선단 41, 61: 제2 배기가스구
42: 용융물수용기 51: 압력조정댐퍼
52: 제1 노내압력계 53: 제2 출탕관내압력계
54: 압력제어장치 62: 화살표
63: 공간 71: 호퍼
72: 슬라이드 게이트 73: 투입구
81: 방벽댐퍼 α: 경사각도
β: 경사각도
H: 냉각공기분출점에서 냉각공기를 내뿜는 지점까지의 거리
청구항1기재의 발명은 피가열물이 투입되는 노체와, 플라즈마 아크를 발생시켜 상기 피가열물을 용융시키는 플라즈마 토치를 가지는 용융처리장치로서, 상기 플라즈마 토치에 의해 용융된 용융물을 출탕시키도록 상기 노체에 설비된 출탕로와, 상기 출탕로에 설비되어 상기 용융물을 냉각하여 둑을 형성시키도록 냉각가스를 분출하는 냉각가스분출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용융처리장치는 노체에 출탕로가 설비되기때문에, 용융물에 가해지는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출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체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기 때문에, 복잡한 기계적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용융처리장치의 설비공간의 증대와 비용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용융물용의 냉각재로서 냉각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냉각수를 사용하여 냉각하고 있었을 때와 같이, 수증기폭발을 일으키는 위험성을 없앨 수 있다.
청구항2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냉각가스 분출수단은 둑을 넘으려고 하는 용융물의 유출을 저지하도록 둑의 상부를 향하여상기 냉각가스를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각가스의 냉각능력에 의한 둑의 형성에 덧붙여, 내뿜는 압력에 의해, 가열상황의 변화에 의해 용융물이 둑을 넘은 경우라도 내뿜는 부근을 넘어서 용융물이 유출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출탕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3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출탕로가 그 앞에 접속되는 용융물수용기와 출탕로내압력의 상승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빼기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탕로에 가스빼기수단을 설비함으로써, 출탕로내의 압력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출탕로와 수용기와의 접속부에서 냉각가스가 누설하는 일 없이 안정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4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2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노체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1 노내압력검출수단과, 상기 출탕로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2 출탕로내압력검출수단과, 상기 출탕로에 설비되어 상기 냉각가스를 배출하도록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노체내의 압력에 대하여 상기 출탕로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출탕로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제어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력제어수단에 의해 개폐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출탕로내의 압력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냉각가스가 외부에 누설하는 일 없이 안정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5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4중 어느한항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용융물의 출탕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둑이 파괴된 경우라도 용융물의 출탕을 정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6기재의 발명은 청구항5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정지수단이, 용융물보다도 고융점재를 출탕로에 투입함으로써, 둑을 형성시켜 용융물의 출탕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둑이 파괴된 경우라도 고융재를 출탕로에 투하하는 것에 의하여 둑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용융물의 출탕을 정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7기재의 발명은 청구항6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정지수단이, 출탕로에 방벽을 삽입함으로써, 용융물을 가로 막아 출탕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둑이 파괴된 경우라도 방벽댐퍼를 삽입함으로써 출탕로를 폐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융물의 출탕을 정지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1-도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융처리장치(1)는 내화용기로 구성되는 노체(8)와, 플라즈마 아크(13)를 발생하는 플라즈마 토치(2)와, 공기 등의 냉각가스를 분출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콤프렛서(냉각가스분출수단)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플라즈마 토치(2)는, 플라즈마 토치(2)의 선단이 노바닥을 향하도록승강겸 경사이동장치(10)를 통해 노체(8)의 상면에 설비되어 있다. 이 승강겸 경사이동장치(10)는, 도시되지 않은 노내 상황감시장치로부터 전달된 노내 상황을 기초로, 플라즈마 토치(2)의 선단을 노상수직방향에서 출탕구(4)부근까지 기울여 움직이게 하거나, 승강시키게 되어 있다. 여기서, 플라즈마 토치(2)의 작동가스에는 공기나 질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플라즈마 토치(2)는, 피가열물(17)이나 둑(12)을 용융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플라즈마 토치(2)의 선단이 출탕구(4)부근까지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플라즈마 토치(2)는 본 실시형태과 같이 2차원적 동작을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3차원적 동작을 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플라즈마 토치(2)의 전극에는 소모형과 비소모형이 있지만, 어떤 것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한편, 소모형의 전극에는 흑연전극이 있고, 비소모형의 전극에는 수냉 구리전극이 있다.
상기한 노체(8)는 내화물이 내장되어 있고, 이 내화물은 카본, 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노체(8)에는, 노내의 배기 가스를 배기시키는 제1배기가스구(6)와, 피가열물(17)을 노체(8)내에 공급하는 공급구(5)와, 도시되지 않은 노내 상황감시장치와, 용융물(14)을 출탕시키는 출탕구(4)가 설비되어 있고, 또, 노체(8)의 노상(16)에는, 도시되지 않은 플라즈마 토치(2)의 대극과, 용융물(14)을 일정량 모으는 용탕베이스(용융욕)(18)가 설비되어 있다. 한편, 비소모형전극을 사용하여, 플라즈마 토치 단독으로 플라즈마 아크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플라즈마 토치를 사용하는 경우는 대극은 필요치 않다.
상기한 노체(8)의 외주부(노챔버부, 노덮개부, 필요할 때는 노바닥부)에는,노체(8)에 내장되어 있는 내화물을 보호하도록 수냉용의 수냉재킷(9)이 설비되어 있다. 또, 상기한 출탕관(3)의 외주부에도, 출탕관(3)에 내장되어 있는 내화물을 보호하도록, 수냉용의 수냉재킷(9)이 설비된다.
상기한 도시되지 않은 노내상황감시장치는, 노내의 피가열물(17)의 용융상태를 감시하여, 그 노내상황을 플라즈마 토치(2)에 설비된 승강겸 경사이동장치(10)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용탕베이스(18)의 측벽의 윗쪽에는, 용융물(14)을 출탕시키도록, 노체(8)내와 출탕관(3)을 연이어 통하는 출탕구(4)가 설비되어 있다. 즉, 이 출탕구(4)로부터 노체(8)와 일체형성된 출탕관(3)이 연장하여 설비되어 있다. 이 출탕관(3)의 저면(11)은, 용융물(14)을 단시간에 출탕시키도록 경사져 있다.
이 경사는, 용융물(14)이 출탕방향으로 향해서 흐르도록, 용탕면(14a) 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도(α)를 가지고 있다. 한편, 용탕레벨이 상승하면, 용탕베이스(용융욕)(18)를 넘어서 출탕관(3)의 저면(11)보다도 상면에 용탕레벨이 위치하므로, 용융물(14)을 중력의 작용에 의해 경사가 없더라도 출탕시키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지만, 경사를 설비함으로써 보다 단시간에 출탕시킬 수 있다. 또한, 노체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복잡한 기계적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용융처리장치의 설비공간의 증대와 비용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경사각도α를 0。≤α≤30。의 사이로 함으로써, 출탕관(3)의 하부내화물을 용손시키기 어렵게 되고, 용융처리장치(1)의 용손에 의한 수리비 등에 관련되는 비용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출탕관(3)의 저면(11)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융물(14)이흐르는 출탕도(15)가 설비되어 있고, 이 출탕도(15)는, 내마모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내마모성의 재료에는, 내화벽돌, 내열합금 등이 있지만 어떤 것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한 출탕관(3)의 상면에는, 공기등의 냉각가스(이하,「냉각공기」라고말한다)를 분출시키는 냉각가스분출수단으로서 노즐(7)이 하향으로 설비되어 있고, 냉각공기의 내뿜는 압력을 올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노즐(7)은, 냉각가스의 내뿜는 압력을 올려, 냉각가스의 대류를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면 되고, 노즐(7) 선단의 형상은 슬릿형이나 단공형(單孔型)등 어느 형상이라도 좋다. 단, 출탕관(3)의 폭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슬릿형의 노즐을 설비하는 것보다도 냉각가스의 내뿜는 압력과 냉각가스의 대류에 의한 냉각효과의 균일성을 확보하기위해서, 단공형노즐을 여러개 설비하는 쪽이 둑(12)를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한 노즐(7)의 윗쪽에는, 냉각공기를 보내는 도시되지 않은 콤프렛서가 설비되어 있다. 이 콤프렛서는, 냉각가스를 노즐(7)로부터 출탕관(3)의 내부에 분출시키게 되어 있고, 그 냉각가스가 용융물(14)을 냉각함으로써, 둑(12)을 형성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융처리장치(1)는, 도시되지 않은 콤프렛서에 의해, 냉각공기를 노즐(7)로부터 분출시키고 있지만, 냉각가스분출수단은, 냉각가스를 출탕관(3)의 내부에 분출시켜 둑(12)을 형성시키면 좋기때문에,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용융처리장치(1)는, 공급구(5)로부터 피가열물(17)이 공급되면, 플라즈마 토치(2)에 의해 플라즈마 아크(13)를 발생시켜 피가열물(17)을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용융처리). 그리고, 용융베이스(18)를 넘어서 용융물(14)이 출탕관(3)에 흘러 오면 , 도시되지 않은 콤프렛서에 의해 노즐(7)을 통해 냉각공기를 분출시킴으로써 출탕구(4)의 부근(냉각공기의 내뿜는 부근)에서 둑(12)을 형성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출탕할 때는, 둑(12)을 용융시켜 용융물(14)을 출탕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는, 연속처리와 뱃치처리의 양쪽이 가능하지만, 뱃치처리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가열물(17)을 노체(8)내에 공급하기 전에, 플라즈마 토치(2)에 의해, 용탕베이스(18)의 노상을 가열한다. 이에 따라 용탕베이스(18)에, 피가열물(17)을 용융가능한 열용량을 갖게해 둔다. 그리고, 노즐(7)로부터 냉각공기를 분출시킨 후, 피가열물(17)을 공급하여, 용융처리를 개시한다. 한편, 피가열물(17)의 공급은, 공급구(5)로부터 피가열물(17)을 연속하여 일정한 속도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드럼통 등의 용기에 넣어 일정간격으로 공급을 행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플라즈마 토치(2)에 의해 플라즈마 아크(13)를 발생시켜 피가열물(17)을 가열한다. 한편, 플라즈마 아크(13)의 가열영역은, 그 열전달이 대류열전달지배이기 때문에 플라즈마 토치(2)의 위치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이 때문에, 도시되지 않은 노내 상황감시장치가, 노체(8)내의 피가열물(17)을 용융시키기위해서 용융상태를 감시하여, 노내상황을 승강겸 경사이동장치(10)에 송신한다. 노내상황을 수신한 승강겸 경사이동장치(10)는, 플라즈마 토치(2)의 선단을 목적위치에 승강,경사이동시키고 피가열물(17)을 가열하여 용융처리속도를 관리한다. 이와 같이 용융처리를 계속함으로써, 용탕베이스(18)에 고이는 용융물(14)은 증가하여 용탕레벨이 상승한다. 그리고, 용융물(14)이 용탕베이스(18)를 넘으면, 용융물(14)은 출탕구(4)에 흐르기 시작한다.
출탕구(4)로부터 용융물(14)이 출탕관(3)에 흐르면, 도시되지 않은 콤프렛서로부터 노즐(7)을 통해 냉각공기가 분출되어, 그 냉각효과와 내뿜는 압력에 의해 용융물(14)의 출탕을 저지한다. 즉, 용융물(14)은 냉각공기의 내뿜는 지점을 넘어서 흘러 나오지 않고, 점차로 냉각고화되어 둑(12)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또한, 용탕레벨이 상승해 오면, 용융물(14)이 둑(12)를 타고 넘어 출탕관(3)에 흘러 들어 오는 경우도 있지만, 냉각공기의 내뿜는 지점을 넘어서 흘러 나오지 않기 때문에, 둑(12)을 타고 넘은 용융물(14)은 둑(12)의 위에서 냉각고화된다. 이와 같이, 용탕레벨의 상승에 따라서 둑(12)은 성장하여 높아지고, 최종적으로는 용탕레벨과 동등한 높이까지 둑(12)이 높아져, 용융물(14)의 유출을 가로 막는다. 이에 따라, 용융물(14)의 출탕을 가로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용융물(14)의 출탕에 관하여, 뱃치처리, 즉, 용용물(14)의 출탕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뱃치처리를 하는 경우는, 출탕시키기까지의 동안, 냉각공기의 분출을 계속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냉각수를 사용하여 냉각하고 있었을 때와 같이, 둑(12)이 용해하여, 용융물(14)이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출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각공기에 의해 형성된 둑(12)뿐 만 아니라, 냉각공기의 내뿜는 압력에 의해서도 용융물(14)의 유출을 가로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출탕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용융물(14)의 냉각에 냉각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냉각수를 사용하여 냉각하고 있었을 때와 같이, 수증기폭발의 위험을 없앨 수 있다.
한편, 출탕구(4)와 노내의 중심을 함유하는 수직단면내로 플라즈마 토치(2)의 경사이동을 계속적으로 행하면, 플라즈마 아크 제트의 내뿜는 압력에 의해, 용융물(14)을 출탕구(4)의 방향에 유동시킬 수 있고, 이 용융물(14)을 냉각고화시킴으로써 용탕레벨보다도 높은 둑(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융물(14)의 유출을 저지할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출탕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용융물(14)을 출탕시킬 때(출탕처리)에는, 도시되지 않은 콤프렛서를 정지시켜, 노즐(7)로부터 분출되는 냉각공기의 분출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플라즈마 토치(2)를 출탕구(4)에 향하여 기울어 움직임시켜 가열하면, 둑(12)도 가열되어 용융하기 시작하고, 둑(12)에 의해 가로 막혀져 있는 용융물(14)이 출탕도(15)를 지나서 출탕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융처리장치(1)는, 용융물(14)에 가해지는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출탕시키기때문에, 노체(8)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기계적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용융처리장치의 설비공간의 증대와 비용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뱃치처리를 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융처리장치(1)는 연속처리도 가능하다. 노즐(7)로부터 냉각공기의 분출을 정지시킴으로써, 용융물(14)은 둑(12)을 형성하지 않고 출탕하기때문이다.
도3은, 경사각도(α)를 0。, 8。, 18。로 하였을 때의 냉각공기의 분출유속에 따라서, 용융물(14)이 가로 막아지고, 그 부근에서 둑(12)을 형성하는지 아닌지를 조사한 결과이다. ○는 냉각공기를 내뿜는 부근에서 둑(12)이 형성되어, 용융물(14)의 유출을 저지한 점을 나타내고 있고, 냉각공기의 분출을 정지시키면 출탕이 행해진 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는 둑(12)이 형성되지않고서 용융물(14)이 유출한 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출탕관(3)의 경사각도(α)와 냉각공기분출유속과의 관계를 곡선으로 나타낸다. 이 곡선 아래의 사선영역과 횡선영역과는 경사각도(α)와 냉각공기분출유속이 균형이 잡히는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즉, 경사각도(α)와 냉각공기분출유속과의 값이 이 범위내에 있으면, 용융물(14)은 냉각공기를 내뿜는 지점을 넘어서 유출하지 않고, 출탕구(4)부근(냉각공기를 내뿜는 부근)에서 둑(12)을 형성한다.
또한, 이 곡선은 경사각도(α)와 냉각공기분출유속을 균형이 잡히게 하기위해서 경사각도(α)를 크게 하면 , 거기에 따른 냉각공기분출유속도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경사각도(α)를 크게 하면, 사면하부에 대하여 용탕레벨이 높아져, 용융물(14)의 위치에너지가 커지기 때문에, 경사져 있는 출탕관(3)의 저면(11)을 흐르는 용융물(14)의 출탕유속은 커진다. 따라서, 경사각도(α)와 냉각공기분출유속과의 관계는 출탕유속이 큰 경우라도 분출유속을 크게 함으로써 둑(12)을 형성시키고, 용융물(14)의 출탕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횡선영역은 경사각도(α)와 냉각공기분출유속이 균형이 잡히는 범위를 나타내고 있지만, 출탕관(3)의 하부내화물을 용손시키게 되기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도3의 곡선은 냉각공기분출점에서 냉각공기를 내뿜는 지점까지의 거리 H, 즉, 노즐(7)의 선단(19)으로부터 출탕도(15)의 저면까지의 거리를 280 mm로 한 경우에 관한 것이다. H를 280 mm보다 짧게 하면, 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하고, 280 mm보다 길게 하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H의 값을 변화시킨 경우는 경사각도(α)와 냉각공기분출유속과의 균형이 잡히는 영역도 좌우로 이동하게 되지만, 사선영역의 범위내이면, 용융물(14)은 냉각공기를 내뿜는 지점을 넘어서 유출하지 않고, 출탕구(4)부근(냉각공기를 내뿜는 부근)에 둑(12)을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융처리장치(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용융물(14)을 냉각시켜 둑(12)을 형성시킴으로써 용융물(14)의 출탕을 제어하는 것이므로, 냉각공기분출점에서 냉각공기를 내뿜는 지점까지의 거리 H는 280 mm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실시형태는 한 실시형태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냉각공기를 분출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콤프렛서와, 노즐(7)에 대신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탕관(3)의 상면에 플라즈마 토치(21)를 설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용융처리장치(20)는 플라즈마 토치(21)의 선단으로부터 플라즈마작동가스를 분사하여 용융물(14)을 냉각함으로써 둑(12)을 형성시키도록 되어 있고, 플라즈마 토치(21)의 선단으로부터 플라즈마작동가스를 분사할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한편, 플라즈마 토치(21)가 플라즈마 토치(2)와 같이 승강겸 경사이동장치(22)를 가지는 경우에는, 승강겸 경사이동장치(22)에 의해 플라즈마 토치(21)의 선단을 경사이동시켜, 플라즈마작동가스를 분사하면 임의의 지점에 둑(12)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 플라즈마 토치(2) 한 개에서는 출탕할 때에, 기계적으로 또는, 노체(8)내의 스페이스의 형편상, 출탕구(4) 부근의 가열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플라즈마 토치(21)를 설비함으로써 출탕구(4) 부근의 가열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토치(21)의 선단을 점화하여 플라즈마 아크(13)를 둑(12)에 직접 조사하여, 둑(12)를 용융시킴으로써 보다 단시간에 출탕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 출탕관(3)내로 플라즈마 토치(21)를 경사이동시킴으로써 출탕할 때에 발생하는 출탕관(3)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탕 베이스(18)를 설비하지않고서, 노상(16)로부터 출탕구(4)가 연속하도록 형성되는 노체(23)라도 좋다. 이 노상(16)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융처리장치(20)는 출탕할 때에, 용융물(14)을 전부 출탕시키게 되어 있다. 즉, 용탕 베이스(용융욕)(18)에 용융물(14)을 모으는 구조가 아니기때문에, 둑(12)을 용융시킴으로써 용융물(14)을 전부 출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융처리장치(30)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상(31)과 출탕관(3)의 저면(11)이 완만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노상(31)은 출탕관(3)의 저면(11)과 같이 용융물(14)이 흐르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경사각도(β)는 0˚≤β≤10˚의 범위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각도(β)의 범위를 한정한 것은, 경사각도(β)를 조금이라도 설비하면 용융물(14)이 출탕관(3)을 향해서 출탕하기 때문에, 이 경사각도(β)가 10。를 넘으면 , 출탕관(3)의 저면(11)에 둑(12)을 형성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노체(32)의 노상(31)을 경사시킴으로써, 용융물(14)의 출탕처리를 보다 단시간에 행할 수 있을뿐 만 아니라, 노체(8)의 노상(31) 구석에 용융물(14)의 잔류고화체를 남기지않고 용융물(14)을 완전히 출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용융처리장치(1)의 구성에 덧붙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융처리장치(4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탕관(3)의 앞에, 용융물(14)을 배출시키는 용융물수용기(4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출탕관(3)의 상부에는, 배기 가스(냉각공기를 함유한다)를 배기시키는 제2 배기가스구(가스빼기수단)(41)가 설비되어 있다. 또한, 이 제2배기가스구(41)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2배기가스덕트가 접속되어 있고, 그 제2배기가스덕트는, 노체(8)에 설비된 제1배기가스구(6)에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제1배기가스덕트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출탕관(3)의 상부에 제2배기가스구(41)를 설비함으로써, 냉각공기가 용융물수용기(42) 쪽으로 역류하지않고서 제2배기가스구(41)로부터 배기되므로, 냉각공기가 노체(8)의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융처리장치(40)는, 용융처리장치(1)의 구성에 제2배기가스구(41) 등을 설비한 경우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용융처리장치(20,30)에 제2배기가스구(41) 등을 설비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출탕관(3)의 상부에 제2배기가스구(41)를 설비하는 구조로 한 것은, 상기의 둑(12)의 성장에 따라 출탕관(3)내의 압력이 상승함에 의한 냉각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즉, 뱃치처리에 있어서 피가열물(17)의 용융을 계속하면, 노즐(7)로부터 분출되는 냉각공기에 의하여 둑(12)이 성장하지만, 이에 따라, 노체(8)의 내부와 출탕관(3)의 내부를 연이어 통하는 출탕구(4)가 둑(12)에 의해 막혀, 노체(8)내와 출탕관(3)내에 압력차가 생기게 된다. 즉, 냉각공기는 둑(12)이작은 경우(출탕구(4)가 막히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노체(8)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1배기가스구(6)로부터 배출되어 있던것에 대하여, 둑(12)이 성장하면, 출탕구(4)가 둑(12)에 의해 막혀 냉각공기가 노체(8)의 내부에 흐르기 어렵게 되어 출탕관(3)의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출탕관(3)내의 냉각공기가, 용융물수용기(42) 쪽에 역류하여 용융물수용기(42)와 출탕관(3)과의 접속부에서 외부로 누설하기에 이른다. 이와 같이, 뱃치처리에 있어서 피가열물(17)의 용융을 계속하면, 냉각공기가 외부에 누설하게 되지만, 피가열물(17)이 방사성폐기물 등의 유해물질인 경우에는, 냉각공기중에 방사성물질등의 유해물질이 함유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냉각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배기가스구(6)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탕관(3)의 윗쪽에 위치하는 노벽에 설비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 설비하는 것으로 한 것은 피가열물(17)의 가열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즉, 출탕관(3)의 윗쪽에 제1배기가스구(6)를 설비하면, 출탕구(4)를 통과한 냉각공기가, 용융물(14)의 상면을 냉각하지않고서 그대로 상승하여 제1배기가스구(6)로부터 배기되기때문에, 피가열물(17)의 가열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의 용융처리장치(40)의 구성에 덧붙여,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융처리장치(50)는 제2배기가스구(41)에 개폐식의 압력조정댐퍼(개폐수단)(51)를 가지는 구성이다. 이 용융처리장치(50)는, 노체(8)내의 압력 P 1을 계측하는 제1 노내압력계(제1로내압력검출수단)(52)가 노체(8)의 내부의 노벽면에 설비되어 있고, 출탕관(3)내의 압력 P2을 계측하는 제2출탕관내압력계(제2출탕로내압력검출수단)(53)가 출탕관(3)의 내벽에 설비되어 있다. 또한, 노체(8)의 외부에는 압력제어장치(압력제어수단)(54)가 설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력제어장치(54)는 상기한 압력계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압력조정댐퍼(51)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둑(12)의 성장에 따라 출탕관(3)의 압력 P2이 상승하면 압력조정 댐퍼(51)를 열어 배기 가스를 배기시키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피가열물(17)의 가열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제어장치(54)를 설비함으로써 출탕관(3)의 압력이 매우 상승한 경우에 압력조정댐퍼(51)를 긴급안전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압력조정댐퍼(51)는 통상 닫혀있고, 제2배기가스구(41)를 폐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융처리장치(60)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배기가스구(6)를 설비하지않고서, 출탕관(3)의 상부에 제2배기가스구(61)만을 설비한 구성이다. 한편, 이 경우, 뱃치처리에 의해 둑(12)의 높이가 상승하더라도 출탕구(4)가 완전폐색상태가 되지 않도록 출탕구(4)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전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노즐(7)로부터 분출된 냉각공기는 둑(12)에 부딪쳐 제2배기가스구(61)에 향해서 흘러(화살표62) 배기되기때문이다. 이에 따라, 냉각공기가 노체(8)내에 흘러 들어 오지 않고 용융물(14)의 상면을 냉각하지않기 때문에 노체(8)내의 피가열물(17)의 열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공기가 노체(8)내에 흘러 들어 오지않으므로, 피가열물(17)의 휘산물이 출탕구(4)부근에서 석출되기 어렵게 되고 출탕관(3)내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노즐(7)로부터 분출되는 냉각공기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끝이 퍼지게분출되고, 노즐(7)선단의 근처에는 공간(63)이 생기기 때문에, 노체(8)내의 배기 가스는 출탕구(4)를 통과하여 제2배기가스구(61)로부터 배기된다.
상기한 용융처리장치(1)의 구성에 덧붙여,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융처리장치(70)에는 출탕관(3)의 상부에 호퍼(정지수단)(71)가 설비되어 있다. 또한, 출탕관(3)의 상부에는, 호퍼(71)의 개구부와 연이어 통하는 투입구(3)가 설비되어 있다. 이 호퍼(71)의 개구부에는 슬라이드 게이트(72)가 설비되어 있고, 호퍼(71)는 슬라이드게이트(72)를 열므로써, 호퍼(71) 속에 유치된 모래나 물 등을 출탕관(3)의 저면(11)에 투하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뱃치처리로 용융처리를 행하고 있을 때에, 플라즈마 토치(2)의 조작미스 등에 의해 만약 둑(12)이 파괴된 경우라도, 슬라이드 게이트(72)를 엶으로써, 출탕관(3)의 저면에 모래나 물을 투하하여 즉석으로 둑(74)을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체(8)내의 용융물(14)의 출탕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융처리장치(80)는, 상기한 호퍼(71)에 대신해, 도11,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탕관(3)의 상부에 방벽댐퍼(정지수단)(81)를 가지는 구성이다. 이 방벽댐퍼(81)는 둑(12)이 파괴된 경우에 출탕관(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노체(8)내의 용융물(14)의 출탕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뱃치처리로 용융처리를 행하고 있을 때에, 플라즈마 토치(2)의 조작미스 등에 의해 만약 둑(12)이 파괴된 경우라도, 방벽댐퍼(81)를 삽입함으로써, 출탕관(3)내를 완전히 폐색시킬 수 있기때문에 , 노체(8)내의 용융물(14)의 출탕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방벽댐퍼(81)에 대신해, 벽돌 등의 무기물에 의해 형성되는방벽을 출탕관(3)의 저면에 꽉 누름으로써, 용융물(14)의 출탕을 정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1기재의 발명은 피가열물이 투입되는 노체와, 플라즈마 아크를 발생시켜 상기 피가열물을 용융시키는 플라즈마 토치를 가지는 용융처리장치로서, 상기 플라즈마 토치에 의해 용융된 용융물을 출탕시키도록 상기 노체에 설비된 출탕로와, 상기 출탕로에 설비되어, 상기 용융물을 냉각하여 둑을 형성시키도록 냉각가스를 분출하는 냉각가스분출수단을 가지는 구성이다.
본용융처리장치는, 노체에 출탕로가 설비되기때문에, 용융물에 가해지는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출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체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기때문에, 복잡한 기계적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용융처리장치의 설비공간의 증대와 코스트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용융물용의 냉각재로서 냉각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냉각수를 사용하여 냉각하고 있었을 때와 같이, 수증기폭발을 일으키는 위험성을 없앨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2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냉각가스분출수단은, 둑을 넘으려고 하는 용융물의 유출을 저지하도록 둑의 상부를 향하여 상기 냉각가스를 분출하는 구성이다.
냉각가스의 냉각능력에 의한 둑의 형성에 덧붙여, 내뿜는 압력에 의해, 가열상황의 변화에 의해 용융물이 둑을 넘은 경우에도 내뿜는 부근을 넘어서 용융물이 유출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출탕을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3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2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출탕로가 그 앞에 접속되는 용융물수용기와, 출탕로내압력의 상승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빼기수단을 가지는 구성이다.
출탕로에 가스빼기수단을 설비함으로써, 출탕로내의 압력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출탕로와 수용기와의 접속부에서 냉각가스가 누설하는 일 없이 안정된 운전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4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2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노체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1로내압력검출수단과, 상기 출탕로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2출탕로내압력검출수단과, 상기 출탕로에 설비되어 상기 냉각가스를 배출하도록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노체내의 압력에 대하여 상기 출탕로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출탕로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제어수단을 가지는 구성이다.
압력제어수단에 의해 개폐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출탕로내의 압력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냉각가스가 외부로 누설하는 일 없이 안정된 운전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5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4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용융물의 출탕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을 가지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둑이 파괴된 경우라도 용융물의 출탕을 정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6기재의 발명은 청구항5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정지수단이, 용융물보다도 고융점재를 출탕로에 투입함으로써, 둑을 형성시켜 용융물의 출탕을 정지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둑이 파괴된 경우라도 고융재를 출탕로에 투하함으로써 둑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용융물의 출탕을 정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7기재의 발명은 청구항6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정지수단이, 출탕로에 방벽을 삽입함으로써, 용융물을 가로 막아 출탕을 정지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둑이 파괴된 경우라도 방벽댐퍼를 삽입함으로써 출탕로를 폐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융물의 출탕을 정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7)
- 내화용기로 구성되어 있고, 피가열물이 투입되는 노체와,선단이 노바닥을 향하도록 승강겸 경사이동장치를 통해 상기 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플라즈마 아크를 발생시켜 상기 피가열물을 용융시키는 플라즈마 토치를 가지고 있는 용융처리장치에 있어서,상기 노체의 측벽 하부측에 개구되어 설치되어 있고, 저면이 용융물의 출탕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져 있으며, 상기 플라즈마 토치에 의해 용융된 용융물을 출탕시키는 출탕로와,상기 출탕로의 상면에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융물을 냉각하여 상기 출탕로의 입구 부근에 둑을 형성시키도록 냉각가스를 분출하는 냉각가스분출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가스분출수단은 둑을 넘으려고 하는 용융물의 유출을 저지하도록 둑의 상부를 향하여 상기 냉각가스를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처리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탕로가 그 앞에 접속되는 용융물수용기와, 출탕로내압력의 상승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빼기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처리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체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1 노내압력검출수단과, 상기 출탕로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2 출탕로내압력검출수단과, 상기 출탕로에 설비되어, 상기 냉각가스를 배출하도록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노체내의 압력에 대하여 상기 출탕로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출탕로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제어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의 출탕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처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이, 용융물보다도 고융점재를 출탕로에 투입함으로써, 둑을 형성하여 용융물의 출탕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처리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이, 출탕로에 방벽을 삽입함으로써, 용융물을 가로 막아 출탕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7-269614 | 1997-10-02 | ||
JP09269614A JP3098733B2 (ja) | 1996-12-25 | 1997-10-02 | 溶融処理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5748A KR19990035748A (ko) | 1999-05-25 |
KR100294951B1 true KR100294951B1 (ko) | 2001-07-12 |
Family
ID=6589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03967A KR100294951B1 (ko) | 1997-10-02 | 1998-02-11 | 용융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9495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8129B1 (ko) * | 2002-08-30 | 2005-08-19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플라즈마 용융시스템의 폐기물 투입, 배기가스 배출장치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방법 |
KR102407186B1 (ko) * | 2021-06-24 | 2022-06-10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방사성폐기물의 용융장치 |
-
1998
- 1998-02-11 KR KR1019980003967A patent/KR10029495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5748A (ko) | 1999-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05435A (en) | Sla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 |
RU2221050C2 (ru) | Способ прямой плавки | |
RU2258743C2 (ru) | Способ прямой плавки для получения жидкого чугуна и/или ферросплавов | |
JP3098733B2 (ja) | 溶融処理装置 | |
JP4990440B2 (ja) | 直接製錬装置 | |
KR100294951B1 (ko) | 용융처리장치 | |
CN102686966A (zh) | 从熔炉中去除炉渣的方法 | |
US20110031661A1 (en) | Gas cupola for melting metal | |
JP2002317918A (ja) | 高溶解性能廃棄物溶融炉 | |
KR100631326B1 (ko) | 전기 아크로 및/또는 저항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장치 | |
KR20010109332A (ko) | 출탕기를 갖추고 있는 야금 용기 및 이 용기로부터 용융금속을 슬래그 없이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방법 | |
US5240231A (en) | Slag control system | |
KR100536517B1 (ko) | 용융로의 슬래그 배출장치 | |
JP2020139180A (ja) | アーク式電気炉における排滓方法及び溶融金属の製造方法 | |
EP0542825B1 (en) | Sla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JPH09273736A (ja) | 表面溶融炉 | |
JP4564901B2 (ja) | 電気炉式廃棄物溶融炉の溶融メタル出湯方法 | |
JP3854451B2 (ja) | 溶融メタル出湯口の緊急遮断装置 | |
KR100924670B1 (ko) | 용해로로부터 용융상을 출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JP2007232273A (ja) | 溶解炉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融金属製造方法 | |
JP2007147214A (ja) | 廃棄物溶融設備水砕水汚染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 |
JPH06185720A (ja) | 溶融スラグ排出装置 | |
KR20010019061A (ko) | 고로 용선 탕도의 스키머 하부 막힘 방지 방법 | |
JP2020139662A (ja) | アーク式電気炉、アーク式電気炉における排滓方法及び溶融金属の製造方法 | |
JPH09329392A (ja) | 炉底排出型炉および排出口の閉塞、開口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