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005B1 - 태핑머신 - Google Patents

태핑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005B1
KR100294005B1 KR1019980035843A KR19980035843A KR100294005B1 KR 100294005 B1 KR100294005 B1 KR 100294005B1 KR 1019980035843 A KR1019980035843 A KR 1019980035843A KR 19980035843 A KR19980035843 A KR 19980035843A KR 100294005 B1 KR100294005 B1 KR 100294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aft
cam
tapping machin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308A (ko
Inventor
이한일
Original Assignee
이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일 filed Critical 이한일
Priority to KR101998003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005B1/ko
Publication of KR20000018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44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2Feeding working-spi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축이 입설된 지지체; 공작물을 고정 혹은 이송시키는 테이블이 갖추어진 베이스; 상기 지지축에 끼워져 고정되고, 선후단부 각각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수단;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부에 설치되고, 전동수단에 의해 회동하며 외주에 웜나사가 가공된 주축과, 상기 주축에 조립되어 회동하는 슬라이브가 내설되고, 상·하왕복운동으로 탭 혹은 탭척을 이송시키는 이동축 및 상기 웜나사에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이동축 연결된 캠을 회전시켜 상하 이동시키는 웜기어로 이루어진 탭 이송수단; 상기 하우징의 후방 중앙부위에 관통 설치되어 그 하단이 상기 지지체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조절축의 상단부에 핸들을 구비하여 하우징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탭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웜나사와 웜기어의 잇수비율을 감안하여 캠의 운동 변위량을 급속 승하강구간과, 탭 피치에 따른 등속도 변속 위 구간으로 분할하여 나사가공 직전까지는 탭이 캠의 급속 승하강구간에 의하여 급속히 하강하고, 나사가공시점 부터는 웜기어의 비율대로 분활된 캠의 등속도 변위량 곡선에 의하여 탭 피치대로 정확히 탭을 하강시켜 나사가공을 하며, 탭 가공 후의 상승시에도 등속도 및 급속으로 복귀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태핑머신{TAPPING MACHINE}
본 발명은 공작물에 암나사를 가공하는 태핑(tapping) 머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탭의 상하이송거리 및 속도를 정확히 조절하여 정밀하고, 작업효율을 극대화 시킴과 아울러 하나의 구동모터를 가지고 탭의 회전 및 상·하왕복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태핑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멍의 내면을 깎아내는 작업을 다량으로 행하는 경우 특히 스터드볼트를 나사로 박아 넣기 위하여 구멍을 뚫고 나사를 깎는 작업 등에는 탭(tap)을 사용한다.
이러한 탭은 통상 지지장치 혹은 탭척에 의하여 태핑 머신의 주축에 장착되며, 이 주축은 구동모터와 승하강모터에 의해 회전 및 승하강을 하며 태핑 작업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태핑 머신은 복수의 모터가 장착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제어수단에 의하여 피치 및 회전속도, 탭의 길이 등이 조절된다고는 하나, 구동모터와 승하강 모터가 별도로 구동함으로서 동일한 운전 및 정지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그에 따라 탭의 회전속도 및 이송속도에도 오차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러한 오차는 작업 중 공작물을 상승시키거나 압압하여 정밀한 나사가공을 어렵게 하고, 그 공작물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태핑 머신이 전방 혹은 후방측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하나의 구동모터로 주축의 회전 및 승하강이 가능한 태핑 머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 태핑 머신 또한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키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태핑 머신에서 필히 수반되는 공작물의 공급과 배출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탭과 공작물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태핑 머신의 탭은 이러한 간격에 관계없이 등속도로 승하강하며 따라서 그 거리만큼 불필요한 작업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탭 피치가 1㎜일때 원활한 공작물의 공급과 배출을 위해 탭과 공작물 사이의 간격을 20㎜로 설정하였다면 탭의 주축이 20회전을 하여야 비로서 가공위치에 도달하며, 태핑 가공 후 다시 역순으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실제 탭 가공을 위한 회전이외에 40회전의 손실이 발생한다.
더욱이 공작물의 재질과 탭의 직경에 따라서는 그 손실이 더욱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모든 태핑 머신은 하나의 지지축에 의해 하우징이 지지되어 동작 중 진동 및 외력에 견디기 어렵고, 이 지지축 또한 외주에 하우징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랙기어가 절삭 가공되어 취약한 문제가 있으며, 높낮이 조절시에도 중앙부위에 축설된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우징이 약간씩 유동하여 공작물의 가공홀과 탭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어려워 가공 정밀도는 물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나사산의 피치를 감안하여 분할된 탭 이송수단 및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정밀한 나사가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핑 머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핑 머신의 하우징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축을 갖추어 하우징이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그 중앙에 핸들을 이용하는 별도의 높낮이조절수단을 구비하여 태핑 머신 하우징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태핑 머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탭 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나사의 규격에 따라 이송수단을 제어함으로서 정밀한 나사깊이의 가공이 가능한 태핑 머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축이 입설된 지지체와, 공작물을 고정 혹은 이송시키는 테이블이 갖추어진 베이스; 상기 지지축에 끼워져 고정되고, 선후단부 각각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수단; 상기 하우징의 선단 수용공간부에 설치되고, 전동수단에 의해 회동하며 외주에 웜나사가 가공된 주축과, 상기 주축에 조립되어 회동하는 슬라이브가 내설되고, 상·하왕복운동으로 탭 혹은 탭척을 이송시키는 이동축 및 상기 웜나사에 맞물려 회전하는 웜 기어 그리고, 이 웜기어와 연동하며 상기 이동축을 급속, 등속도로 상하시키는 캠으로 이루어진 탭 이송수단; 상기 하우징의 후방 중앙부위에 관통 설치되어 그 하단이 상기 지지체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조절축의 상단부에 핸들을 구비하여 하우징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이 갖추어진 것으로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탭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웜나사와 웜기어의 잇수비율을 감안하여 캠의 운동변위량을 급속승하강구간과, 탭 피치에 따른 등속도변속위구간으로 분할하여 나사가공 직전까지는 탭이 캠의 급속승하강 구간에 의하여 급속히 하강하고, 나사가공시점 부터는 정확히 웜기어의 비율대로 분할된 캠의 등속도 변위량곡선에 의하여 탭 피치대로 정확히 탭 회전축이 하강하여 나사가공을 하며, 탭 가공 후의 상승시에도 등속도 및 급속으로 복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태핑 머신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태핑 머신 하우징의 저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태핑 머신에 적용되는 탭 이송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태핑 머신에 적용되는 하우징 높낮이조절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태핑 머신에 적용되는 캠의 배면도.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20 : 지지축 30 : 지지체
31 : 삽입공 40 : 구동모터 41 : 회전축
100 : 하우징 110 : 수용공간부 120 : 이송안내부재
200 : 탭 이송수단 210 : 주축 211 : 웜나사
220 : 이동축 221 : 슬라이브 240 : 이동부재
241 : 연장편 242 : 연결편 243 : 가이드편
300 : 회동축 311 : 웜기어 320 : 캠
322 : 캠홈 400 : 전동수단 410, 420 : 원동, 종동풀리
500 : 높낮이조절수단 510 : 조절축
530 : 핸들 600 : 제어수단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태핑 머신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태핑 머신 하우징의 저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태핑 머신에 적용되는 탭 이송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태핑 머신(1)은 베이스(10)의 상면에 장착되는 하우징(100)과, 구동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수단(400) 및 탭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00)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수단(500)으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은 도 2 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구성되고, 전·후방측 각각에 수용공간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수단(200) 및 높낮이조절수단 (500) 각각이 장착되도록 하고, 후방 양측면 하부에는 클램프(120)가 갖추어져 지지축(20)에 끼워져 설치되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는 공작물(70)을 지지하는 지그(미도시) 및 지그 테이블(60)이 장착되고, 평단면이 타원형상인 지지체(30)가 고정된다.
상기 지지체(30)의 양측단부에는 수직으로 삽입공(31)이 형성되고, 중앙부위에는 후술하는 높낮이조절수단(500)의 조절축(510)이 조립되는 조절안내부재(520)가 설치된다.
상기 조절안내부재(520)는 조절축(510)이 나사식으로 조립되어 상·하조절되게 중앙에 나사부(5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는 플랜지(522)가 갖추어져 고정나사(523)에 의해 지지체(30)의 상면 중앙부위에 조립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지축(20)은 하단이 상기 지지체(30)의 조립공(31)에 끼워맞춤으로 입설되어 그 상부에 하우징(100)의 클램프(120)가 끼워지도록 하여 하우징(100)을 지지함과 동시에 높낮이 조절시 하우징(100) 이송을 안내하는데, 이때 상기 클램프(120)에는 조절보울트(121)가 갖추어져 높낮이 조절시 풀거나 조여 하우징(100)의 이송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구동모터(40)는 정·역회전 모터로서 하우징(100)의 후면에 고정설치되며, 회전축(41)에는 풀리(410)가 갖추어져 동력 즉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동모터(40)의 동력은 전동수단(400)에 의해 탭 이송수단(200)과 연결되는데,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구동모터(40)의 회전축(41)에 장착되는 원동풀리(410)와, 이송수단(200)의 주축(210) 상단부에 설치된 종동풀리(420) 그리고 이들 각각에 감아져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4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벨트(430)는 이붙이 벨트 및 V 벨트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동수단(400)은 마찰력을 이용하는 다른 감아걸기전동장치 혹은 기어와 같은 전동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은 탭 이송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하우징(100)의 선단 수용공간부(110)에 관통 설치되는 주축(210)과 이 주축(210)의 외주에 형성된 웜나사(211) 그리고 상기 주축(210)에 조립되어 탭 공구 혹은 탭척과 같은 태핑 수단(50)을 이동시키는 이동축(220)으로 구성되고, 이 이동축(220)은 웜나사(211)와 연동하는 캠(320)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주축(210)은 상·하단부가 하우징(100)에 설치된 베어링(213)에 끼워맞춤되어 고정된 상태로 회동하고, 내부에는 스플라인홈(212)이 형성된 구조로, 이 스플라인홈(212)에는 이동축(220)의 내부에 조립되는 슬라이브(221)가 조립되어 회전하며 상·하 왕복운동으로 태핑 수단(50)을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스플라인부(212)는 경우에 따라 다른 형상 즉, 사각 혹은 육각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이동축(220)의 내측에 조립되는 슬라이브(221)는 상기 주축(210)의 스플라인홈(212)에 조립되게 상부에 스플라인축(222)이 절삭가공되어 있고, 스플라인축(222)의 직하방에는 조립시 이동축(2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냅 링(230)이 끼워지게 요홈(223)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태핑 수단(50)이 장착되는 조립부(224)가 갖추어져 있다.
상기 이동축(220)은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슬라이브(221)가 조립되도록 하고, 상하단부에는 베어링(225)이 갖추어져 슬라이브(221)의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이동축(220)은 하우징에 장착된 이동부재(240)와 연결되는데, 이 이동부재(240)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하우징(100)에 형성된 안내홈(140)을 따라 이동하며, 상부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241)에 연결편(242)이 갖추어져 캠(320)에 연결 조립된 구성이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주축(210)의 외주에 형성된 웜나사(211)에 맞물려 회동하는 웜기어(311)가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웜기어(311)는 하우징(100)에 축설된 회동축(300)에 장착되고, 그 회동축(300)에는 캠(320)이 연설되어 캠홈(322)에 상기 연결편(242)이 끼워져 주축(210)의 회전과 동시에 회동하며 이동부재(24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웜기어(311)는 웜나사(211)와 일정한 비율로 잇수가 형성되어 탭을 이동시키는데, 예를 들어 웜나사(211)와 웜기어(311)의 잇수 비율이 1:20 인 경우 웜나사(211) 1회전에 대해 웜기어(311)와 캠(320)은 18°회전하며 탭 공구를 하강시켜 1피치를 가공한다.
물론 상기 웜나사(211) 및 웜기어(311)을 보다 세부적으로 분할하여 태핑 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는 상기 캠(320)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중앙부에는 회동축(300)에 축설되게 축공(311)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부위에 급속 승하강구간(322a)과, 나사가공시 탭 피치에 따른 등속도구간(322b)로 이루어진 캠홈(322)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캠홈(320)은 주축(210)의 회전과 동시에 연동하는 웜기어(311)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이동부재의 연결편(242)을 하방으로 밀어내거나 혹은 상방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중심으로부터 점차 외주 연측으로 각도가 벌어지는 스파이럴 형상으로 상기 급속 승하강구간(322a)에서는 연결편(242)을 급속도로 승하강시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등속도구간(322b)에서는 탭의 피치에 따라 정확히 탭을 이동시켜 태핑 가공을 한다.
또한 상기 캠(320)의 직하부에는 제어수단(600)이 장착되어 구동모터(50)의 정·역회전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수단(600)은 도면과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61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캠(320)의 외주에는 도면과 2개의 접속편(330)이 갖추어져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610)를 동작시키는데, 이 경우 상기 접속편(320)을 변위시켜 슬라이브(221) 즉 탭 공구의 상·하이동거리를 조절한다.
예컨데, 상기 웜기어(311)는 웜나사(211)와 잇수 비율에 따라 웜나사(211) 1회전에 대해 회전각도가 정하여지는 것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이 회전각도를 세밀히 구획하여 그 구획선을 따라 접속편(330)을 변위시킴으로 암나사의 가공 잇수를 조절한다.
제어수단의 다른 실시 예로는 캠(320)에 발광부 혹은 수신부를 구비하고, 하우징(100)에는 이에 대응하는 제어수단을 장착하여 모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웜기어(311)의 회전수를 산출하여 기 산출값과 비교판단하여 신호를 출력 보다 정밀한 모터의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하우징(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수단(500)의 일예로서 공작물의 크기에 알맞게 하우징(100)을 조절하여 태핑 수단(50)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높낮이조절수단(500)은 하우징(100)의 후방측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10)에 관통 설치되는 조절축(510)과, 상술한 조절안내부재(520) 그리고 핸들(5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축(510)은 하부에 나사부(511)가 가공되어 상기 조절안내부재(520)에 나사식으로 조립되도록 하고, 그 상부는 단차 가공되어 고정체(540)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상단부에는 핸들(530)이 고정핀(531)에 의해 고정되어 작업자는 핸들(530)을 돌려 높낮이를 조절한다.
상기 고정체(540)는 베어링(541)이 내설되어 조절축(510)의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고정나사(542)에 의해 하우징(100)에 고정된 구조로, 이 하우징(100)의 하부 또 다른 고정체(미도시)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태핑 머신에 의한 태핑 작업과정을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10)에 갖추어진 테이블(60)의 지그에 공작물(70)을 고정시키고, 가공하고자는 탭 공구 혹은 탭 척(50)을 슬라이브(221)의 하단 조립부(224)에 고정시킨다.
다음 콘트롤 박스의 메인 스위치(미도시)를 눌러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40)가 동작하며, 그 회전축(41)에 축설된 원동풀리(410)가 회전하며 벨트에 의해 주축(210) 상단부의 종동풀리(42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주축(210)이 회전함에 따라 이 주축(210)의 외주에 형성된 웜나사(211)와 이와 맞물린 웜기어(311)는 연동하며, 동시에 캠(320)이 회동한다. 이때 웜나사(211)와 웜기어(311)는 각각에 형성된 잇수의 비율에 따라 회전하며, 웜기어(311)와 연동하는 캠홈(322)에 연결된 이동부재(240)의 연결편(242)은 캠 곡선의 변위량에 따라 급속 승하강구간(322a)에서는 급속도로 이동하여 탭을 공작물의 탭 가공위치 까지 이동시키고, 탭 피치와 동일하게 분할된 등속도구간(322b)에서는 탭 피치에 따라 정확히 탭을 이동시키며 탭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 이동축(220)에 조립된 슬라이브(221)는 상부 스플라인축(222)이 주축(210)의 스플라인홈(211)에 조립되어 주축(210)과 연동하며 하향한다.
이렇게 회동하는 캠(320)이 소정각도로 회전하여 접속편(330)이 제어수단(600)의 마이크로 스위치(610)와 접속되면 마이크로 스위치(610)는 OFF 혹은 ON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구동모터(40)는 역회전하며 상술한 태핑 작업의 역순으로 슬라이브(221)를 상승시켜 다음 작업에 대비한다.
즉, 구동모터(40)가 역회전 하면 웜나사(211)와 웜기어(311) 그리고 캠(320)이 동시에 역회전하며 캠홈(322)에 연결된 이동부재(240)의 연결편(242)을 중심으로 캠 곡선변위량에 따라 끌어 당겨 슬라이브(221)에 장착된 태핑수단(5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암나사의 잇수에 따라 접속편(320)을 변위시켜 정확한 암나사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태핑 머신(10) 하우징(100)의 높낮이 조절과정은 다음과 같다.
가공되는 공작물(70)의 크기가 작거나 혹은 큰 경우 작업자는 하우징(100)의 상면 즉, 조절축(510)의 상단부에 갖추어진 손잡이(530)를 회전시켜 하우징(10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때 지지축(20)에 고정된 클램프(120)의 조절나사(121)를 풀어 헐겁게 하여야 한다. 손잡이(530)를 회전시키면 조절축(510)의 나사부(511)는 조절안내부재(520)의 나사부(521)를 따라 상방 혹은 하방으로 이동하며 하우징(100)은 지지축(20)을 따라 이동한다.
작업자는 원하는 위치까지 하우징(100)을 이동시킨 다음 다시 클램프(120)에 갖추어진 조절나사(121)를 조여 하우징(100)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웜나사의 잇수와 웜기어의 잇수를 조절하여 웜나사 1회전에 따른 캠의 회전각도를 웜기어의 잇수 비율에 따라 분할조절하고, 급속승하강구간과 등속도구간을 구비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그 분할각도에 따라 제어수단과 접속되는 접속편을 변위시켜 가공되는 공작물의 나사산을 임의로 선택 가공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탭의 급속 승하강 및 등속 그리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편리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이 복수의 지지축에 고정 설치되어 안정되게 태핑 작업을 수행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지지축의 안내에 따라 하우징의 높낮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지지축이 입설된 지지체와, 공작물을 고정 혹은 이송시키는 테이블이 갖추어진 베이스와, 상기 지지축에 끼워져 고정되고, 선후단부 각각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탭 혹은 탭척을 동작시키는 회동축으로 구성된 캠 이송수단을 갖춘 태핑머신에 있어서, 외주연부에 2개의 접속편을 구성하고, 중앙부에 회동축에 축설되게 축공이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위에 급속 승하강구간과 등속도구간으로 이루어진 캠홈을 구성한 캠 이송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 수용공간부에 관통 설치되어 그 하단이 상기 지지체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조절축의 상단부에 핸들을 구비하여 하우징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을 포함할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핑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웜기어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회전되게 잇수의 비율을 선택하여 캠을 회동시키며, 그 회전각도를 구획하여 상기 제어수단과 접속되는 접속편을 임의로 변위시켜 탭의 상·하이동거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핑 머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공작물과 탭 사이에서 탭을 급속승하강시키는 급속승하강구간과, 탭 1회전에 대해 1피치를 승하강시키는 등속도변위량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핑 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양측단 각각에 지지축이 입설되고, 하우징의 후방 양측면 각각에는 이 지지축에 끼워져 고정되는 클램프를 구비하며, 이 클램프는 조절보울트에 의해 풀어지거나 조여 높낮이 조절시 하우징이 지지축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핑 머신.
KR1019980035843A 1998-09-01 1998-09-01 태핑머신 KR100294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843A KR100294005B1 (ko) 1998-09-01 1998-09-01 태핑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843A KR100294005B1 (ko) 1998-09-01 1998-09-01 태핑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308A KR20000018308A (ko) 2000-04-06
KR100294005B1 true KR100294005B1 (ko) 2001-07-12

Family

ID=1954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843A KR100294005B1 (ko) 1998-09-01 1998-09-01 태핑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4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8508A (zh) * 2015-05-13 2015-08-26 意瑞纳米科技(昆山)有限公司 一种多工位攻牙机
CN106141328A (zh) * 2016-07-20 2016-11-23 四川瑞迪佳源机械有限公司 自动攻丝机
CN109648453B (zh) * 2019-01-28 2024-05-07 深圳市钜达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抛光机的可旋转式升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310U (ko) * 1991-07-15 1993-02-25 칭무 리유 자동 정, 역회전식 태핑머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310U (ko) * 1991-07-15 1993-02-25 칭무 리유 자동 정, 역회전식 태핑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308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716B1 (ko) 탭핑 유니트
CN203665084U (zh) 一种自动进刀钻攻两用机床
CN110744104B (zh) 一种基于从下向上钻孔机器的加工电机壳的方法
KR100294005B1 (ko) 태핑머신
CN107398576B (zh) 一种可调间距的立式多轴钻床
CN211361519U (zh) 凸轮式自动旋转升降换刀机构
CN102363264A (zh) 一种用于风机轴套加工的专用机械装备
CN103722213A (zh) 一种台钻的可变速自动进刀装置
CN210756341U (zh) 一种多组合钻头结构
CN213289289U (zh) 一种焊接卡盘
EP3677366B1 (en) Turret tool post
CN111203567B (zh) 一种轴类零件螺旋钻孔装置
KR100622523B1 (ko) 공작기계용 이송 장치
CN202344214U (zh) 一种用于风机轴套加工的专用机械装备
KR20000005690U (ko) 태핑머신의 탭 이송 유닛트
CN210023951U (zh) 一种基于arm的嵌入式线性切割设备
KR200342701Y1 (ko) 셔틀 로보트의 상하 구동 장치
KR200351126Y1 (ko) 다축 태핑머신
CN214770703U (zh) 一种全自动铣床装置
CN220407156U (zh) 集成式卡盘
CN214637792U (zh) 一种灯管灯头自动打胶设备
JPS59156601A (ja) 多軸型旋盤
CN210615862U (zh) 168动力盖双工位精镗孔专机
CN114571257A (zh) 一种智能控制型加工中心
JP2001062631A (ja) タッピングマ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