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677B1 - 캡틸팅정속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캡틸팅정속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677B1
KR100293677B1 KR1019970080045A KR19970080045A KR100293677B1 KR 100293677 B1 KR100293677 B1 KR 100293677B1 KR 1019970080045 A KR1019970080045 A KR 1019970080045A KR 19970080045 A KR19970080045 A KR 19970080045A KR 100293677 B1 KR100293677 B1 KR 100293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ap
hydraulic
hydraulic pressure
constan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9831A (ko
Inventor
박성식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7008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67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62D33/0608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pneumatic or hydraul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캡의 상하 이동시에 정속성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신뢰도를 증대시키고, 정속성 유지로 소음 발생을 억제하여 작업자가 안정감을 가지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발생수단과, 상기한 유압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유압을 선택적으로 인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수동 제어수단과, 상기한 수동 제어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유압이 선택적으로 인입되어 캡을 상하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한 액츄에이터에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유압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캡의 틸팅 업 다운시 적용되는 유압제어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의 틸팅시에 정속 제어를 하기 위한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5는 일반적인 캡 틸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수동조작에 의하여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동 제어수단과,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발생수단 그리고 유압에 의하여 캡을 상하 이동하는 캡틸팅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수동 제어수단은 전동 유압시스템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안전을 위하여 대체되어 사용되는 매뉴얼 펌프(101)와, 캡(도시생략)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조작하기 위한 매뉴얼 밸브(103)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유압 발생수단은 모터(105)의 구동에 의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107)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안전을 위하여 릴리이프 밸브(109)가 배치되고 있다.
상기한 캡틸팅 수단은 유압펌프(107) 또는 매뉴얼펌프(101)를 통하여 전달되는 유압을 선택적으로 인입받아 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11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액츄에이터는 편로드 유압 실린더가 사용되며 주행시에 캡으로 전달되어지는 주행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서스펜션(SUSPENSION)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블랭크 앤드 포트(BLANK END PORT)측을 확관하여 일부의 작동유가 피스톤의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실린더의 블랭크 엔드 포트 근방에서 로스트모션(LOST MOTION)이 존재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차동식 유압회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캡 틸팅 제어장치는, 작업자가 매뉴얼 밸브(103)를 조작함으로서 유압펌프(107)에서 발생된 유압이 유압실린더(111)에 선택적으로 인입됨으로서 캡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캡 틸팅 제어장치는, 캡의 틸팅 업다운시에 캡 무게중심이 이동함에 따라 캡 웨이트가 실린더를 잡아 뽑는 외력이 발생하여 힌지 포인트 및 서스펜션 포인트를 중심으로 캡 꿀렁거림이 발생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꿀렁거림이 발생하여 정속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소음이 증가하여 작업자에게 불안감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의 상하 이동시에 정속성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신뢰도를 증대시키는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또다른 목적은 정속성 유지로 소음 발생을 억제하여 작업자가 안정감을 가지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유압회로도,
도2는 도1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압력컨트롤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유압회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유압 회로도,
도5는 종래의 캡 틸팅을 위한 유압제어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발생수단과,
상기한 유압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유압을 선택적으로 인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수동 제어수단과,
상기한 수동 제어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유압이 선택적으로 인입되어 캡을 상하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한 액츄에이터에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유압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발생수단과,
상기한 유압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유압을 선택적으로 인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수동 제어수단과,
상기한 수동 제어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유압이 선택적으로 인입되어 캡을 상하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한 액츄에이터의 부하가 양(POSITIVE)에서 음(NEGATIVE)으로 혹은 음에서 양으로 변화할 때 일정한 부하를 유지시켜주는 배압 유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압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유압은 수동 제어수단을 통하여 액츄에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되어 캡의 틸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액츄에이터에 인입되거나 액츄에이터에서 배출되는 유압은 압력제어수단을 거치면서 일정한 압력 하한치로 떨어지는 것을 규제하게 된다.
또한 액츄에이터에 인입되거나 액츄에이터에서 배출되는 유압은 배압 유지 수단을 거치면서 일정한 부하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의 유압회로도로서,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발생수단, 발생된 유압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동 제어수단과, 상기한 수동 제어수단에 의하여 캡이 상하로 이동하는 캡틸팅수단 그리고 캡이 틸팅되는 경우에 정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력제어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유압 발생수단은 모터(1) 등에 의하여 구동이 되어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동 제어수단은 상기한 유압펌프(3)가 고장나는 경우에 수동으로 유압을 발생시키는 매뉴얼 펌프(5) 그리고 생성된 유압을 조작하여 캡을 상하로 이동하기 위하여 유압을 제어하는 매뉴얼 밸브(7)로 이루어진다.
또한 캡 틸팅 수단은 편노드 유압실린더(9)로 이루어지며, 유압펌프(3)와 연결되는 로드 엔드 포트(11) 및 블랭크 앤드 포트(13)에는 오리피스 관로(15)(17)가 배치된다.
상기한 오리피스 관로(15)(17)는 캡이 하강할 때 실린더에서 빠져나가는 유량을 조절하여 자중에 의한 하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압력제어수단은 압력컨트롤 밸브(19)로 이루어지는데, 이 압력컨트롤 밸브(19)는 실린더(9)의 로드 엔드 포트(11)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압력 컨트롤 밸브(19)는, 도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오일펌프(3)의 유압이 실린더(9)로 인입되거나 배출되는 유압관로(21)가 형성되는 로워 밸브바디(23)와, 상기한 로워 밸브 바디(23)에 대응하도록 볼트 등에 의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어퍼 밸브바디(25)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로워밸브바디(23)에는 관로(21)가 형성되는 중앙부에 유압쳄버(27)를 형성하고 이 유압쳄버(27)에 유압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피스톤(29)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피스톤(29)은 유압에 대향하여 작용하는 압축코일 스프링(31)에 탄지된다. 그리고 이 스프링(31)은 어퍼 밸브바디(25)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스프링(3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어져스트 볼트(33)가 고정된다.
상기한 어져스터 볼트(33)를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31)의 탄성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유압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폭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는, 작업자가 캡을 상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매뉴얼 밸브(7)를 조작하면 오일펌프(3)의 유압이 매뉴얼 밸브(7)를 통하여 실린더(9)로 인입되거나 배출된다. 이때 실린더(9)로 인입되거나 배출되는 유압은 압력 컨트롤 밸브(19)를 거치게 된다. 캡의 이동에 따라 무게중심의 변화로 실린더(9)로 인입되거나 배출되는 유압이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는 경우에는 스프링(31)에 탄지하고 있는 피스톤(29)에 의하여 유압의 압력이 컨트롤 되어 항상 정속으로 캡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의 유압회로도로서, 오일펌프(3), 매뉴얼 밸브(7) 그리고 유압에 의하여 캡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9) 그리고 실린더(9)의 배압을 유지하기 위한 배압 유지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으로 대치한다. 특히 상기한 제2실시예는 실린더(9)의 로드 엔드포트(11) 및 블랭크 앤드 포트(13)측에 형성되는 오리피스 관로를 삭제하고 각각 실린더의 배압을 유지하기 위한 외부 파이럿 작동형 카운터 밸런스 밸브(41)(43)로 이루어지는 배압 유지 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카운터 밸런스 밸브(41)(43)는 실린더의 부하가 양(POSITIVE)에서 음(NEGATIVE)으로 또는 음에서 양으로 변화할 때 일정한 부하를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의 유압회로도로서, 제1실시예에서 실린더(9)의 로드 엔드포트(11)에 설치된 압력컨트롤 밸브(19) 대신에 카운터 밸런스 밸브(45)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한 카운터 밸런스 밸브(45)는 특정한 구간에서 음의 부하 발생으로 인하여 갑작스러운 압력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멘트의 작용방향의 전환으로 유압실린더(19)에 음의 부하가 발생할 때 배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는, 캡의 상하이동시에 액츄에이터의 유압이 하한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정속성을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유지함과 아울러 소음발생이 억제되어 안정성 있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발생수단과,
    상기한 유압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유압을 선택적으로 인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수동 제어수단과,
    상기한 수동 제어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유압이 선택적으로 인입되어 캡을 상하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한 액츄에이터에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유압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압력제어수단은 액츄에이터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 컨트롤 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압력컨트롤 밸브는 액츄에이터로 인입되는 유압이 통과하도록 관로가 형성되며 이 관로의 중간부에는 소정이 쳄버가 형성되는 로워 밸브 바디와,
    상기한 로워 밸브바디 내에 형성되는 쳄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과,
    상기한 피스톤을 탄지하며 유압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와,
    상기한 로워 밸브바디와 대응하게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술한 탄성부재를 수납하며 이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여 탄성력을 가변할 수 있도록 어져스트 볼트가 배치되는 어퍼 밸브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
  4.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한 유압펌프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매뉴얼 밸브와,
    상기한 매뉴얼 밸브에 의하여 유압을 공급받거나 배출되어 캡을 이동시키는 편로드 유압실린더와,
    상기한 편로드 유압실린더의 로드 앤드 포트 및 블랭크 앤드 포트와 연결되는 관로에 각각 오리피스 관로가 설치됨과 동시에 편로드 유압실린더의 로드 엔드 포트측에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컨트롤 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
  5.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발생수단과,
    상기한 유압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유압을 선택적으로 인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수동 제어수단과,
    상기한 수동 제어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유압이 선택적으로 인입되어 캡을 상하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한 액츄에이터의 부하가 양(POSITIVE)에서 음(NEGATIVE)으로 혹은 음에서 양으로 변화할 때 일정한 부하를 유지시켜주는 배압 유지수단을 액츄에이터 관로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배압 유지수단은 외부 파이럿 작동형 카운터 밸런스 밸브를 복수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
  7.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한 유압펌프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매뉴얼 밸브와,
    상기한 매뉴얼 밸브에 의하여 유압을 공급받거나 배출되어 캡을 이동시키는 편로드 유압실린더와,
    상기한 편로드 유압실린더의 로드 앤드 포트 및 블랭크 앤드 포트와 연결되는 관로에 편로드 유압실린더의 부하를 유지시키기 위한 외부파이럿 작동형 카운터 밸런스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
  8.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발생수단과,
    상기한 유압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유압을 선택적으로 인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수동 제어수단과,
    상기한 수동 제어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유압이 선택적으로 인입되어 캡을 상하 이동시키며 인입되거나 배출되는 관로에 오리피스 관로를 설치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한 액츄에이터의 부하가 양(POSITIVE)에서 음(NEGATIVE)으로 혹은 음에서 양으로 변화할 때 일정한 부하를 유지시켜주는 배압 유지수단을 액츄에이터 관로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배압 유지수단은 외부 파이럿 작동형 카운터 밸런스 밸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
  10.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한 유압펌프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매뉴얼 밸브와,
    상기한 매뉴얼 밸브에 의하여 유압을 공급받거나 배출되어 캡을 이동시키는 편로드 유압실린더와,
    상기한 편로드 유압실린더의 로드 앤드 포트 및 블랭크 앤드 포트와 연결되는 관로에 각각 오리피스 관로가 설치됨과 동시에 편로드 유압실린더의 로드 엔드 포트측에 실린더의 부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외부파이럿 작동형 카운터 밸런스 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 틸팅 정속 제어장치.
KR1019970080045A 1997-12-31 1997-12-31 캡틸팅정속제어장치 KR100293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045A KR100293677B1 (ko) 1997-12-31 1997-12-31 캡틸팅정속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045A KR100293677B1 (ko) 1997-12-31 1997-12-31 캡틸팅정속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831A KR19990059831A (ko) 1999-07-26
KR100293677B1 true KR100293677B1 (ko) 2001-07-12

Family

ID=3752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045A KR100293677B1 (ko) 1997-12-31 1997-12-31 캡틸팅정속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3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0584A (zh) * 2015-07-10 2015-10-07 实用动力(中国)工业有限公司 集成式重载卡车驾驶室翻转液压动力单元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0584A (zh) * 2015-07-10 2015-10-07 实用动力(中国)工业有限公司 集成式重载卡车驾驶室翻转液压动力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831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6393A (en) Adjustable vibration dampers for motor vehicles
JPH09226341A (ja) 液圧アクチュエータ
US7510060B2 (en) Damper with variable damping force
US20160214658A1 (en) Vehicle seat or vehicle cab with a suspension system, and utility vehicle
JPH10259842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9688173B2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for fitting vehicle parts with suspension
KR19980031242A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유압부시 제어시스템
JPH1037902A (ja) 緩衝制御装置
JP5160127B2 (ja) 鉄道車両の車体傾斜用アクチュエータ
JP4543207B2 (ja) 仮想アクティブヒッチ装置
JPS61261118A (ja) 車両用懸架機構
JP3288396B2 (ja) 自動車におけるボディ運動をアクティブ調整する装置
KR100293677B1 (ko) 캡틸팅정속제어장치
JP3908873B2 (ja) 振動/加振試験機
JP6817786B2 (ja) シリンダ装置
US6015030A (en) Vibration damper with variable damping force
JPH08258532A (ja) 減衰力制御装置
JP2021099123A (ja) 緩衝器
KR940010621B1 (ko) 차량의 능동제어식 현가시스템용 안전장치
JP2000097277A (ja) 減衰力可変ダンパ
JPH0719850Y2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JP4431566B2 (ja) 振動/加振試験機
JPH07113250A (ja) 運転室付き作業機
KR20040044290A (ko) 스티어링시스템의 진동저감장치
KR100785933B1 (ko) 유기압 현수장치의 압력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