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448B1 - 출력클럭의위상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출력클럭의위상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448B1
KR100293448B1 KR1019980010872A KR19980010872A KR100293448B1 KR 100293448 B1 KR100293448 B1 KR 100293448B1 KR 1019980010872 A KR1019980010872 A KR 1019980010872A KR 19980010872 A KR19980010872 A KR 19980010872A KR 100293448 B1 KR100293448 B1 KR 100293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lock
phase
unit
output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165A (ko
Inventor
이계형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10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448B1/ko
Publication of KR19990076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0Aspects relating to interfaces of memory device to external buses
    • G11C2207/105Aspects related to pads, pins or termi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72Latency related aspects

Landscapes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AS 잠재시간에 따라 출력 클럭의 위상을 조절함으로써 각 CAS 잠재시간 모드에서 클럭 억세스 타임, 데이터 출력 홀드 타임 스펙 마진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 패드부의 입력 클럭을 받아 버퍼링하여 출력 클럭을 출력하는 입력 버퍼부와 출력 드라이버부와, 상기 입력 버퍼부와 출력 드라이버부 사이에 CAS 잠재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딜레이 양을 갖는 딜레이 먹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PHASE ADJUSTMENT DEVICE OF OUTPUT CLOCK}
본 발명은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에 관한 것으로, 특히 CAS(Column Address Strobe) 잠재시간(Latency)에 따라 출력 클럭의 위상을 조절함으로써 각 CAS 잠재시간 모드에서 클럭 억세스 타임, 데이터 출력 홀드 타임 스펙 마진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AS 잠재시간이란 SDRAM에서 리드 컴맨드(Read Command)를 받은 클럭 싸이클(Clock Cycle)에서부터 밸리드(Valid)한 첫 번째 데이터 출력이 디벨로프(Develop)되는 클럭 싸이클까지의 클럭 싸이클 수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 기술의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DLL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입력 패드부(11)의 입력 클럭(CLK)은 직렬로 구성된 입력(Input) 버퍼부(12)와 출력(Output) 드라이버(Driver)부(13)로 전달되고, 상기 입력 버퍼부(12)와 출력 드라이버부(13)에서 버퍼링(Buffering)하여 출력 클럭(QCLK)을 출력한다.
즉, 종래의 DLL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CAS 잠재시간과 관계없이 입력 패드부(11)에서 출력되는 입력 클럭(CLK)을 입력 버퍼부(12)와 출력 드라이버부(13)로 버퍼링하여 출력 클럭(QCLK)을 출력한다.
도 2는 종래의 DLL을 사용하는 경우의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를 나타낸개략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도 1의 입력 버퍼부(12)와 출력 드라이버부(13)의 사이에 DLL(Delay Lock Loop) 제어부(14)를 구성하고, 상기 DLL 제어부(14)에 피드백(Feedback)되는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딜레이(Delay)하여 출력하는 딜레이부(1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DLL을 사용하는 경우 CAS 잠재시간과 관계없이 딜레이부(15)에서 딜레이된 신호(CLKF)를 DLL 제어부(14)에 일정하게 부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출력 클럭의 위상이 CAS 잠재시간에 관계없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CAS 잠재시간 모드에서 클럭 억세스 타임이나 데이터 출력 홀드 타임 스펙 마진(Data Output Hold Time Spec Margin)을 극대화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CAS 잠재시간에 따라 출력 클럭의 위상을 조절함으로써 각 CAS 잠재시간 모드에서 클럭 억세스 타임, 데이터 출력 홀드 타임 스펙 마진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DLL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DLL을 사용하는 경우의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DLL를 사용하지 않은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DLL을 사용하는 경우의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딜레이 먹스부를 이용하여 CAS 잠재시간에 따른 출력 클럭의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입력 패드부 22 : 입력 버퍼부
23 : 딜레이 먹스부 24 : 출력 드라이버부
25 : DLL 제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는 입력 패드부의 입력 클럭을 받아 버퍼링하여 출력 클럭을 출력하는 입력 버퍼부와 출력 드라이버부와, 상기 입력 버퍼부와 출력 드라이버부 사이에 CAS 잠재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딜레이 양을 갖는 딜레이 먹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DLL를 사용하지 않은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입력 패드부(21)의 입력 클럭(CLK)을 받아 버퍼링하여 출력 클럭(QCLK)을 출력하는 입력(Input) 버퍼부(22)와 출력(Output) 드라이버(Driver)부(24)와, 상기 입력 버퍼부(22)와 출력 드라이버부(24)의 사이에 CAS 잠재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딜레이 양을 갖는 딜레이 먹스(Delay Mux)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출력 클럭(QCLK)을 DLL(Delay Lock Loop) 등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입력 패드부(21)에서 입력되는 입력 클럭을 버퍼링(Buffering)하여 생성하는 경우 입력 버퍼부(22)와 출력 드라이버부(24)의 사이에 CAS 잠재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딜레이 양을 갖는 딜레이 먹스(Mux)부(23)를 구성하여 출력 클럭(QCLK)의 위상이 달라지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DLL을 사용하는 경우의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도 3의 입력 버퍼부(22)와 출력 드라이버부(24)의 사이에DLL(Delay Lock Loop) 제어부(25)를 구성하고, 상기 DLL 제어부(25)에서 출력되어 위상 비교기(Phase Comparator)에 피드백(Feedback)되는 클럭 패스(Clock Path)에 CAS 잠재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딜레이 양을 갖는 딜레이 먹스부(23)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DLL을 사용하는 경우 CAS 잠재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딜레이 양을 갖는 딜레이 먹스부(23)를 사용하여 출력 클럭의 위상이 달라지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딜레이 먹스부를 이용하여 CAS 잠재시간에 따른 출력 클럭의 파형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CAS 잠재시간에 따라 딜레이가 달라지는 딜레이 먹스부(23)를 이용하여 CAS 잠재시간에 따라 출력 클럭(QCLK 1, QCLK 2)의 위상이 달라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CAS 잠재시간 모드에서 출력 클럭의 위상을 최적(Optimum)한 위치에서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CAS 잠재시간 모드에서 클럭 억세스 타임이나 데이터 출력 홀드 타임의 스펙 마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입력 패드부의 입력 클럭을 받아 버퍼링하여 출력 클럭을 출력하는 입력 버퍼부와 출력 드라이버부로 구성된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퍼부와 출력 드라이버부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입력 버퍼부를 통해 버퍼링된 입력 클럭을 CAS 잠재시간에 따라 딜레이양을 가변시키어 출력하는 딜레이 먹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퍼부와 출력 드라이버부의 사이에 DLL 제어부를 더 구성하는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에서 상기 DLL 제어부내의 위상 비교기에 피드백되는 클럭 패스부분에 CAS 잠재시간에 따라 딜레이양을 가변시키어 출력하는 딜레이 먹스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클럭의 위상 조절 장치.
KR1019980010872A 1998-03-28 1998-03-28 출력클럭의위상조절장치 KR100293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872A KR100293448B1 (ko) 1998-03-28 1998-03-28 출력클럭의위상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872A KR100293448B1 (ko) 1998-03-28 1998-03-28 출력클럭의위상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165A KR19990076165A (ko) 1999-10-15
KR100293448B1 true KR100293448B1 (ko) 2001-07-12

Family

ID=3752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872A KR100293448B1 (ko) 1998-03-28 1998-03-28 출력클럭의위상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3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318B1 (ko) * 2001-06-25 2003-10-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동기화 장치
KR100446291B1 (ko) * 2001-11-07 200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스 레이턴시를 이용하여 락킹 레졸루션 조절이 가능한지연동기 루프 회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759A (ko) * 1990-10-15 1992-05-28 김광호 데이타 출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759A (ko) * 1990-10-15 1992-05-28 김광호 데이타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165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1760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high speed data transfer using source synchronous data strobe
US6975149B2 (en) Method and circuit for adjusting the timing of output data based on an operational mode of output drivers
US6100733A (en) Clock latency compensation circuit for DDR timing
US6889336B2 (en) Apparatus for improving output skew for synchronous integrate circuits has delay circuit for generating unique clock signal by applying programmable delay to delayed clock signal
US68361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lay control in synchronization circuits
US6400643B1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with suppressed power consumption and reduced recovery time from suspend mode
US20080239846A1 (en) Delay locked loop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the same
JP5096721B2 (ja) 同期式半導体メモリ素子の遅延固定ループ及びその駆動方法。
KR20050115908A (ko) 다중-주파수 동기화 클럭 신호 발생기
US722161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different synchronizing timings depending on the value of CAS latency
JP4104886B2 (ja) 半導体装置
US851463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030056461A (ko) 클럭 동기 장치
KR100518547B1 (ko) 출력 드라이버의 구동력 변화에 따른 내부클락신호의지연을 보상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지연동기루프
KR20040020171A (ko) 부분적으로 제어되는 지연 동기 루프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US6950350B1 (en) Configurable pipe delay with window overlap for DDR receive data
KR100293448B1 (ko) 출력클럭의위상조절장치
JP5113433B2 (ja) メモリコントローラ
KR100507876B1 (ko) 로우 레이턴시 리드를 위한 데이터 스토로브 신호제어부를 포함하는 동기식 메모리장치
KR20040023838A (ko) 레지스터 제어 지연고정루프
KR20050104835A (ko) 지연 동기 루프 장치
KR100484250B1 (ko) 초기 딜레이를 제어하는 디지털 dll 회로
KR20050075226A (ko) 메모리 제어장치
KR100522424B1 (ko)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095166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 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