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784B1 -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 Google Patents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784B1
KR100292784B1 KR1019980706628A KR19980706628A KR100292784B1 KR 100292784 B1 KR100292784 B1 KR 100292784B1 KR 1019980706628 A KR1019980706628 A KR 1019980706628A KR 19980706628 A KR19980706628 A KR 19980706628A KR 100292784 B1 KR100292784 B1 KR 100292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housings
compressor
boss por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230A (ko
Inventor
가즈야 기무라
마사후미 이토
Original Assignee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시카와 타다시
Publication of KR19990087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95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9Lubrication

Abstract

하우징(11,12,13)은 압축 기구를 수용하고 있다. 구동축(15)은 하우징(11,12,13)에 지지되며 압축 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보스부(16)는 구동축(15)의 하우징(11,12,13)에서의 돌출 부분을 에워싸듯이 하우징(11,12,13)의 외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18)는 구동축(15)에 연결되고 외부 구동원에서의 동력을 구동축(15)에 전달한다. 축봉 장치(17)는 하우징(1,12,1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하우징(11,12,13)의 내주면과 구동축(15)의 사이를 밀봉하고 있다. 회수 수단(35,36,38)은 축봉 장치(17)에서의 누출유를 회수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단차부(40)는 하우징(11,12,13)의 내공간에 있어서 축봉 장치(17)에서 보스부(16)의 개구(16α)측에 위치하는 회전 부분(15, 21α)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단차부(40)는 회수 수단(35, 36, 38)과 대향하게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이 종류의 압축기로서, 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 55-3932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이 존재한다. 즉,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51)은 압축 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52)에서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51)은 압축 기구에 연결되는 동시에, 그 일부가 하우징(52)내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보스부(53)는 하우징(52)의 외벽면에 설치되며 구동축(51)의 돌출 단부를 에워싸고 있다. 축봉 장치(54)는 보스부(53)와 구동축(51) 사이에 개재되며 하우징(52) 내부를 밀봉하고 있다. 전자 클러치(55)의 로터(56)는 보스부(5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자 클러치(55)의 아마추어(57)(armature)는 허브(58)를 거쳐서 구동축(51)의 돌출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56)측에 배치된 코어(59)의 여자(勵磁)에 의해서 로터(56)에 아마추어(57)가 흡착되어서 차량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이 구동축(51)에 전달된다. 그리고 구동축(51)의 회전에 의해서 압축 기구가 동작되어서 냉매 가스의 압축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압축기에서는 연속 회전되는 구동축(51)과 축봉 장치(54)의 밀봉 부재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가 경화되거나 밀봉 부재가 시간 경과 열화되거나 밀봉 부분에 이물이 물려들어서 축봉 장치(54)의 밀봉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하우징(52) 내부의 윤활유가 보스부(53)의 개구(53α)를 거쳐서 하우징(52) 외부에 누출된다. 이 누출 윤활유는, 예컨대, 전자 클러치(55)의 흡착면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로터(56)와 아마추어(57)의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해서 동력 전달 효율이 저하되고 있었다.
그래서, 상기 공보의 기술에서는 링 형상의 스토퍼(60)(stopper)가 보스부(53)의 내주면에 있어서 축봉 장치(54)에서 보스부(53)의 개구(53α)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60)에 의해 보스부(53)의 내주면을 따라서 개구(53α)측으로 이동되려고 하는 누출 윤활유가 정지된다. 또, 흡유 부재(61)(oil absorber)는 하우징(52)에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흡유 부재(61)와 상기 보스부(53)의 내부 공간은 도유 통로(62)(oil passage)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도유 통로(62)는 보스부(53)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60)와 축봉 장치(54)의 사이에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60)에 의해 정지된 누출 윤활유는 도유 통로(62)를 거쳐서 흡유 부재(61)에 인도되고 상기 흡유 부재(61)에 의해서 흡수 유지된다.
그런데 누출 윤활유 중에는 막(film) 형상을 이루고 구동축(51)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것이 있다. 또, 상기 스토퍼(60)가 구동축(51)과 마찰 접촉 저항이 되지 않게 상기 스토퍼(60)와 구동축(51)간에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보의 기술에서는 구동축(51)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누출 윤활유를 흡유 부재(61)로 인도할 수 없었다, 즉, 스토퍼(60)에서 축봉 장치(54)측에 있어서 누출 윤활유를 구동축(51)으로부터 낙하시킬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컨대,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 1-124394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이 존재한다. 상기 공보의 기술에 있어서는 도 5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링부재(63)가 구동축(51)의 외주면에 있어서 스토퍼(60)와 축봉 장치(54) 사이에 대응하는 부위에 끼워맞춰지고 있다. 그리고 구동축(51)의 외부 표면을 따라 흐르는 윤활유는 원심력에 의해서 링부재(63)로부터 스토퍼(60)의 축봉 장치(54)측에 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1-124394호 공보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겼다.
(1) 구동축(51)과는 별체인 링부재(63)를 필요로 하며, 압축기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아진다.
(2) 압축기의 조립시에 있어서, 구동축(51)에 대해서 링부재(63)를 끼워맞추는 공정이 필요하며, 공정수가 증가하며, 조립 순서에 자유도가 없다. 즉, 링부재(63)를 구동축(51)에 장착한 후에는 상기 링부재(63)가 장애로 되어서 축봉 장치(54)를 구동축(51)과 보스부(53)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가 없다. 바꿔말하면, 미리 링부재(63)를 구동축(51)에 고정하여 상기 구동축(51)을 하우징(52)에 삽입하는 수순을 취할 수 없다. 따라서, 링부재(63)의 조립은 좁은 보스부(53)의 내부 공간에서 행해져야 하며 까다로운 작업으로 되어 있었다.
(3) 보스부(53)의 내부 공간에 돌출하는 링부재(63)는 축봉 장치(54)와 하우징(52) 외부 사이의 차폐성을 높이고 축봉 장치(54)의 열적 환경이 엄격해진다. 이것은 축봉 장치(54)의 밀봉 부재를 열(熱)적으로 약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구동축을 따라 흐르는 누출유를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소정의 위치에서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한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의 공조 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압축기의 내부로부터 누출되는 기름을 회수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압축기의 종단면도.
제2a도는 제1도의 주요부 확대도.
제2b도는 제2a도의 주요부 확대도.
제3a도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제3b도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허브의 일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4a도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제4b도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완충 고무의 일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제5도는 종래의 압축기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압축기는 압축 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구동축은 하우징에 지지되고 압축 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보스부는 구동축의 하우징에서의 돌출 부분을 에워싸도록 하우징의 외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는 구동축에 연결되며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구동축에 전달한다. 축봉 장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하우징의 내주면과 구동축 사이를 밀봉하고 있다. 회수 수단은 축봉 장치로부터의 누출유를 회수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단차부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축봉 장치로부터 보스부의 개구측에 위치하는 회전 부분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단차부는 회수 수단과 대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축봉 장치의 밀봉 기능 저항에 의한 누출유 중, 보스부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것에 대해서는 회수 수단에 의해 회수된다. 따라서, 누출유가 보스부의 개구를 거쳐서 회전체측으로 비산되는 일은 없다.
또, 구동축 상을 막 형상으로 흐르는 누출유는 구동축 또는 회전체 등의 회전 부분에 형성된 단차부에서 정류되며, 원심력에 의해 보스부의 내주면을 향해서 떨어뜨려져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회수 수단에 의해 회수된다.
이하,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 장치용 압축기에 있어서 구체화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번호가 붙여지고 있다.
[제 1 실시예]
우선,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및 도 2 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11)은 실린더 블록(12)의 전방부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후방 하우징(13)은 상기 실린더 블록(12)의 후방부에 밸브 플레이트(34)를 거쳐서 접합 고정되어 있다. 크랭크실(14)은 상기 실린더 블록(12)과 전방 하우징(11)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구동축(15)은 크랭크실(14)내를 통하도록 전방 하우징(11)과 실린더 블록(12)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15)의 전방 단부는 전방 하우징(1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스부(16)는 상기 전방 하우징(11)의 외벽면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5)의 돌출 단부를 에워싸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봉 장치로서의 립실(17)(lip seal)은 보스부(16)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립실(17)이 갖는 립링(17a)(lip ring)이 크랭크실(14)내의 압력에 의해서 구동축(15)에 압박 접착되어 크랭크실(14)이 밀봉된다.
회전체로서의 전자 클러치(18)는 외부 구동원으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차량엔진과 구동축(15) 사이에 끼워져 있다. 즉, 전자 클러치(18)를 구성하는 로터(19)는 보스부(16)의 외주면에 앵귤러 베어링(20)(angular bearing)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19)의 외주에는 차량 엔진에 연결된 벨트(42)가 감아 걸려 있다. 허브(21)는 그 중앙부에 일체 형성된 부시(21α)에 의해 구동축(15)의 돌출 단부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아마추어(22)는 허브(21)에 원환 형상을 이루는 완충 고무(23)를 거쳐서 고정되어 있다. 완충 고무(23)는 상기 허브(21)와 아마추어(22)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상에 위치되며 그 탄성력에 의해서 로터(19)를 거쳐서 벨트(42)에 전달되는 구동 토크의 주기적인 변동을 억제한다.
그리고, 상기 로터(19)내에 수용 배치된 코어(24)가 여자됨으로써 아마추어(22)가 그것을 지지하는 완충 고무(23)의 스프링력에 저항해서 로터(19)와 압박 접착된다. 따라서, 차량 엔진의 구동력이 구동축(15)에 전달된다. 또, 코어(24)가 소자(消磁)됨으로써 아마추어(22)가 완충 고무(23)의 스프링력에 의해 로터(19)로부터 이격되어서 구동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다음에 상기 크랭크실(14)내에 수용된 압축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러그 플레이트(25)는 상기 구동축(15)에 압입 고정되어 있으며 러그 플레이트(25)의 지지 아암(25α)에는 가이드 구멍(25β)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판(26)은 상기 구동축(15)에 대해서 기울어 움직여지면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핀(26α)은 경사판(26)에 고착되며 상기 가이드 구멍(25β)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경사판(26)은 축선(L)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또 구동축(15)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실린더 보어(12α)는 상기 실린더 블록(12)에 형성되고, 크랭크실(14)과 후방 하우징(13)내의 흡입실(13α) 및 토출실(13β)을 서로 접속하고 있다. 단일 헤드 피스톤(27)(single head piston)은 실린더 보어(12α)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26)은 단일 헤드 피스톤(27)에 형성된 오목부(27α)내에 진입한 상태로서 1 쌍의 슈(28, shoes)를 거쳐서 단일 헤드 피스톤(27)을 계류하고 있다. 따라서 경사판(26)의 회전 운동이 슈(28)를 거쳐서 단일 헤드 피스톤(27)의 전후 왕복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것에 의해, 흡입실(13α)에서 냉매 가스가 밸브 플레이트(34)의 흡입 밸브(34α)를 거쳐서 실린더 보어(12α)내로 흡입되고 이 흡입된 냉매 가스는 압축되면서 토출 밸브(34β)를 거쳐서 토출실(13β)로 토출된다.
압력 공급 통로(29)는 토출실(13β)과 크랭크실(14)을 접속하며, 전자 밸브(30)는 상기 압력 공급 통로(29)상에 배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30)의 솔레노이드(30α)가 여자 또는 소자됨으로써 스풀(30β)(spool)이 포트(30γ)를 폐쇄 또는 개방한다, 즉, 압력 공급 통로(29)가 폐쇄 또는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 공급 통로(29)의 개폐에 의해서 상기 단일 헤드 피스톤(27)의 전후에 작용하는 크랭크실(14)내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12α)내의 압력의 차압이 조정되어서 경사판(26)의 경사각이 제어된다.
즉, 압력 공급 통로(29)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크랭크실(14)내의 압력은 방압(放壓) 구멍(31) 및 방압 통로(32)를 거쳐서 흡입실(13α)에 방압될 뿐이며 흡입실(13α)의 저압력에 접근해 간다. 따라서, 경사판(26)의 경사각이 최대 경사각으로 유지되어서 피스톤 스트로크가 크게 되며 토출 용량이 커진다. 또, 압력 공급 통로(29)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토출실(13β)내의 고압력이 크랭크실(14)에 도입되고 상기 크랭크실(14)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경사판(26)의 경사각이 최소 경사각으로 이행된다. 따라서, 토출 용량은 작아진다.
또한, 상기 경사판(26)의 최대 경사각은 상기 경사판(26)에 설치된 스토퍼(26β)와 러그 플레이트(25)가 접촉함으로써 규정된다. 또, 최소 경사각은 경사판(26)과 구동축(15)에 장착된 링(33)이 접촉함으로써 규정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을 이루는 스토퍼(35)는 상기 보스부(16)의 내주면에서 립실(17)로부터 보스부(16)의 개구(16α)측에 고정되어 있다. 펠트제인 흡유 부재(36)는 상기 전방 하우징(11)의 외벽면 하부에 오목하게 설치된 수용부(37)내에 수용 배치되어 있다. 도유 통로(38)는 보스부(16)의 주변벽으로부터 전방 하우징(11)의 외벽면에 걸쳐서 관통 설치되며, 이 도유 통로(38)에 의해서 흡유 부재(36)와 보스부(16)의 내부 공간이 접속되어 있다. 도유 통로(38)는 보스부(16)의 내주면에서 상기 스토퍼(35)와 립실(15)의 사이에서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수 수단은 상기 스토퍼(35), 흡유 부재(36), 도유 통로(38)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37)의 형성 위치는 구동축(15)의 축선(L)을 포함하는 수평면{본 압축기는 축선(L)이 대략 수평이 되도록 엔진룸내에 배치됨}에서 하측 위치가 적합하다.
상기 구동축(15)은 립실(17)이 마찰 접촉되는 부위(15α)와 허브(21)의 부시(21α)가 고착되는 부위(15β) 사이의 외경이 상기 양 부위(15α,15β)와 비교해서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환상홈(39)은 구동축(15)의 작은 직경 부위(15γ)에서 립실(17)과 회수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토퍼(35) 사이의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환상홈(39)의 내부 저면과 벽면(40α)을 접속하는 코너 부분은 곡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환상홈(39)을 구성하는 립실(17)측의 단차가 본 실시예에서의 단차부(40)를 이루고 있다. 단차부(40)의 내벽면(40α)은 축선(L)에 대해서 거의 직각을 이루고 있다.
압력 조정 수단으로서 복수의 투과공(41)은 상기 전자 클러치(18)의 허브(21)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16)의 개구(16α)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과공(41)에 의해 아마추어(22)가 로터(19)에 압박 접착된 상태에 있어서도 전자 클러치(18)와 보스부(16)에 의해서 에워싸인 공간(A)이 외측으로 개방된다.
그런데, 립실(17)의 밀봉 기능이 저하되면 크랭크실(14)내의 윤활유가 립실(17)을 넘어서 누출된다. 이 누출 윤활유는 보스부(16)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서 개구(16α)측에 이동되려고 하는데, 이 누출 윤활유의 유동에 스토퍼(35)가 대향되므로 그 이상의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누출 윤활유는 보스부(16)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서 스토퍼(35)와 립실(17) 사이에서 정류된다. 이 정류된 누출 윤활유는 상기 정류 부분에 개방된 도유 통로(38)를 거쳐서 흡유 부재(36)에 인도되며, 상기 흡유 부재(36)에 의해서 흡수 유지된다.
여기에서 누출 윤활유의 일부는 구동축(15)의 외부 표면에 있어서 막 형상을 이루며, 구동축(15)의 외부 표면을 따라 흘러서 보스부(16)의 개구(16α)측으로 이동되려고 한다. 그러나, 이 누출 윤활유는 환상홈(39)의 단차부(40)에 있어서, 그 이상의 개구(16α)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결국, 이 단차부(40)의 벽면(40α)은 축선(L)에 대해서 대략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 구동축(15)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누출 윤활유는 구동축(15)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에 저항해서까지 벽면(40α)을 축선(L)측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누출 윤활유는 단차부(40)의 외부 가장자리 에지 부분에서 정류되며, 원심력에 의해서 축선(L)과 직교하는 방사 방향으로 비산된다. 비산된 누출 윤활유는 그 자중에 의해서 도유 통로(38)를 거쳐서 흡유 부재(36)에 도입되고 상기 흡유 부재(36)에 의하여 흡수 유지된다.
그런데, 도 5 에 도시하는 종래의 압출기에 있어서는, 특히, 구동축(51)이 고속으로 회전될 때, 전자 클러치(55)와 보스부(53)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A)이 부압으로 된다. 이것은 코어(59)의 여자에 의한 전자 클러치(55)의 아마추어(57)와 로터(56)의 흡착 상태에서 흡착면의 근소한 간격으로부터 공간(A)내의 공기가 외측으로 원심력에 의해서 빨아내어지기 때문이라고 고려된다. 이 현상에 의해서 도유 통로(62)내의 누출 윤활유의 유동성이 악화되는 동시에 누출 윤활유가 스토퍼(60)를 넘기 쉽게 된다. 따라서, 누출 윤활유가 스토퍼(60)를 넘어서 보스부(53)의 개구(53α)측으로 유출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자 클러치(18)의 허브(21)에 형성된 투과공(41)에 의해 전자 클러치(18)와 보스부(16)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A)이 압축기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항상 공간(A) 내부가 부압으로 되는 일이 없고 누출 윤활유가 스토퍼(35)에서 넘쳐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립실(17)에서 누출된 윤활유의 거의 전부를 흡유 부재(36)로 회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누출 윤활유가 보스부(16)의 개구(16α)를 거쳐서 비산하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피해, 예컨대 전자 클러치(18)의 미끄럼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1) 구동축(15)의 외주면에 환상홈(39)을 오목하게 설치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구동축(15)의 외부 표면을 따라 흐르는 누출 윤활유를 스토퍼(35)에 대해서 립실(17)측에 확실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구성을 실시하는데 부품수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으며 따라서 압축기의 조립 공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1-2) 환상홈(39)은, 당연하지만 보스부(16)의 내부 공간에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환상홈(39)을 형성함으로써 립실(17)측이 밀폐 상태로 되어 그 열적 환경이 엄격해지는 일이 없고 환상홈(39)이 립실(17)의 열적 약화의 요인이 되지 않는다.
1-3) 단차부(40)의 벽면(40α)은 수직벽이다. 이 때문에, 구동축(15)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누출 윤활유의 단차부(40)에 있어서의 낙하가 효과적으로 이뤄지며 구동축(15)에 대한 절삭 가공도 용이해진다.
1-4) 환상홈(39)의 저면과 벽면의 접속부분은 원형 곡면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구동축(15)에 작용하는 응력이 상기 접속부분에 집중하는 일이 없고 환상홈(39)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구동축(15)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1-5) 전자 클러치(18)와 보스부(16)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A)은 허브(21)에 형성된 투과공(41)에 의해 압축기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간(A)내부가 부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립실(17)에서의 윤활유의 누출을 적게할 수 있다. 또, 누출 윤활유를 도유 통로(38)를 거쳐서 흡유 부재(36)로 원활하게 보낼 수 있다. 이 구성을 상기 단차부(40)의 구성과 병설하는 것에 의해 누출 윤활유의 회수 효과가 높아진다.
[제 2 실시예]
도 3a 및 도 3b 에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투과공(45)의 외측의 개구(45α)가 내측의 개구(45β)로부터 허브(21)의 반경 방향에 대해서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투과공(45)은 허브(21)의 반경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며, 원심 팬 구성을 이루고 있다. 그 결과, 허브(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투과공(45)을 거쳐서 공간(A)내에 외기가 적극적으로 들어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2-1) 공간(A)내를 정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제 1 실시예의 1-5)의 효과가 상승적으로 나타난다.
2-2) 외기를 공간(A)내에 도입하는 데, 송풍팬 등의 부재를 투과공(45)과 별개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부품수를 감소시키며 송풍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4a 및 도 4b 에는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구성에 부가하여 완충 고무(46)의 아마추어(22)와의 대향면에 복수의 통기홈(46α)이 방사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허브(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투과공(45) 및 완충 고무(46)가 원심팬 구성을 이루며, 투과공(45)공간(A)통기홈(46α)을 유동하는 외기류가 형성된다. 이 외기류에 의해서 허브(21)나 아마추어(22)의 방열 효과가 높아지고, 나아가선 전자 클러치(18)의 전체의 온도가 저하된다. 이것은 전자 클러치(18)에 인접하는 립실(17)의 온도 저하에 효과적으로 되며, 립실(17)의 열적 약화에 따르는 밀봉 기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투과공(45)으로부터의 외기류의 일부가 공간(A)내에 도입되기 때문에 상기 공간(A)내를 정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취지에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하의 양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1) 단차부(40)의 벽면(40α)의 축선(L)에 대한 경사도를 직각에서 약간만 완만하게 하거나, 역으로 외부 가장자리 에지가 예각을 이루도록 오버행(overhang)으로 한다.
2) 흡유 부재(36)를 보스부(16)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단차부(40)의 직경 방향 위치에 고정 배치한다.
3) 흡유 부재(36)를 생략하고 누출 윤활유를 저장하는 드레인 탱크를 압축기의 하우징(11, 12, 13)에 설치한다.
4) 도유 통로(38)를 압축기의 하우징(11,12,13)과는 별체의 관체(管休)에 의해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유 통로(38)내에 이물이 막힌 때의 제거 등의 유지 관리는 관체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5) 스토퍼(35)를 폐지하고 보스부(16)의 내주면을 도유 통로(38)의 개구측에 경사시킨다.
6) 상기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투과공(45)은 허브(21)의 직경 방향으로 경사wu 있지만, 이것을 변경하여 허브(21)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시킨다.
7)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체는 전자 클러치(18)이지만, 이것을 변경하여 동력의 단속 구성을 갖지 않는 풀리로서 해도 좋다. 즉, 본 발명을 클러치레스 압축기에 있어서 구체화해도 좋다.
8) 허브(21)의 부시(21α)(회전 부분)의 외주면에 환상홈(39)을 형성하고 단차부(40)를 형성한다. 이 경우, 스토퍼(35)를 도 2 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보스부(16)의 개구(16α)측으로 이동시킨다.
(9)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기는 가변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이지만, 다른 압축기로서 고정 용량형 경사판식 압축기, 스크롤형 압축기, 웨이브캠형 압축기 등에 있어서 구체화해도 좋다.
10) 허브(21)에 있어서 투과공(41)의 근방에 송풍핀을 부착하고 상기 송풍핀에 의해 공간(A)내에 외기를 도입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서는 누출유에 의한 악영향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품수를 저감해서 압축기의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압축기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축봉 장치의 열적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8)

  1. 압축 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11,12,13)과, 상기 하우징(11,12,13)에 지지되며, 상기 압축 기구에 연결된 구동축(15)과, 상기 하우징(11,12,13)의 외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15)의 하우징(11,12,13)으로부터의 돌출 부분을 에워싸는 보스부(16)와, 상기 구동축(15)에 연결되며 외부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구동축(15)에 전달하는 회전체(18)와, 상기 하우징(11,12,1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1,12,13)의 내주면과 구동축(15) 사이를 밀봉하는 축봉 장치(17) 및, 상기 축봉 장치(17)로부터의 누출유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수단(35, 36, 38)을 구비한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12,13)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축봉 장치(17)로부터 상기 보스부(16)의 개구(16α)측에 위치하는 회전 부분(15,21α)의 외주면에 상기 회수 수단(35,36,38)과 대향하도록 단차부(40)를 오목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40)의 벽면(40α)은 상기 구동축(15)의 축선(L)에 대해서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40)는 상기 회전 부분(15, 21α)의 외주면에 환상홈(39)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수단은, 상기 하우징(11,12,13)의 외부에 배치된 흡유 부재(36)와, 상기 하우징(11,12,13)의 내주면에 상기 단차부(40)로부터 상기 보스부(16)의 개구(16α)측에 배치된 링 형상의 스토퍼(35) 및, 상기 흡유 부재(36)와 상기 하우징(11,12,13)의 내부 공간을 접속하며 상기 스토퍼(35)와 상기 축봉 장치(17)의 사이로 개방된 도유 통로(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8)에는 상기 회전체(18)와 상기 보스부(16)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A)의 내부가 부압으로 되지 않게 하기 위한 압력 조정 수단(4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정 수단은 상기 회전체(18)와 상기 보스부(16)의 사이의 공간(A)을 압축기의 외측으로 개방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체(18)에 형성된 투과공(41; 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8)에는 상기 회전체(18)와 상기 보스부(16)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A)내에 외기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송풍 수단(4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은 투과공(45)이 경사공을 이루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KR1019980706628A 1996-12-26 1996-12-26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KR100292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6/003823 WO1998029660A1 (fr) 1995-12-18 1996-12-26 Structure pour recuperer l'huile qui fuit dans un compres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230A KR19990087230A (ko) 1999-12-15
KR100292784B1 true KR100292784B1 (ko) 2001-06-15

Family

ID=1415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628A KR100292784B1 (ko) 1996-12-26 1996-12-26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887550A4 (ko)
KR (1) KR100292784B1 (ko)
WO (1) WO19980296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770A (ja) * 1998-11-04 2000-05-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回転機械における漏出油の排出構造
JP2000240571A (ja) * 1999-02-19 2000-09-05 Gomuno Inaki Kk 圧縮機の吸油部材
JP2002242829A (ja) * 2001-02-16 2002-08-28 Sanden Corp 容量可変圧縮機
JP2002276775A (ja) 2001-03-19 2002-09-25 Toyota Industries Corp 回転体装置
US6698232B1 (en) * 2002-10-30 2004-03-02 Carrier Corporation Oil leak diversion and collection system for mechanical shaft seals
JP6751314B2 (ja) * 2016-06-24 2020-09-02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開放型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0103U (ko) * 1975-12-12 1977-06-15
US4314705A (en) * 1979-05-23 1982-02-09 Ishikawajima-Harima Jukogyo Kabushiki Kaisha Oil seal device
JPS588764U (ja) * 1981-07-10 1983-01-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圧縮機
JPS58206826A (ja) * 1982-05-28 1983-12-02 Aisin Seiki Co Ltd タ−ボチヤ−ジヤ
JPH0667871U (ja) * 1993-02-25 1994-09-22 サンデン株式会社 開放型コンプレッサ
JP3232544B2 (ja) * 1993-11-24 2001-11-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空調用圧縮機の堰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230A (ko) 1999-12-15
EP0887550A4 (en) 2001-05-02
EP0887550A1 (en) 1998-12-30
WO1998029660A1 (fr) 199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0222A (en) Hermetic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housing divided into a low pressure portion and a high pressure portion
JPS636470Y2 (ko)
KR100202786B1 (ko) 클러치레스 압축기의 방열구조체
KR100292784B1 (ko) 압축기에서의 누출유의 회수 구조
CA1322741C (en) Hermetic compressor having resilient internal mounting
US6112639A (en) Structure for collecting leaking oil in compressor
KR101453100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JP2000136770A (ja) 回転機械における漏出油の排出構造
JP4292539B2 (ja) 圧縮機
EP0952343A2 (en)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H09170553A (ja) 圧縮機における漏出油の回収構造
CN210118235U (zh) 车用无油空气压缩机
US5180291A (en) Pulsating oil injector for radial refrigerant compressor
JPH09105380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EP1918582A2 (en) Bearing structure in rotating machine
JP2017160818A (ja) 圧縮機
JP2001003867A (ja) 横型圧縮機
JP2019113014A (ja) 圧縮機
JP2017160819A (ja) 圧縮機
JP2007024000A (ja) 斜板型圧縮機
JP2004028090A (ja) 圧縮機
JPS6128065Y2 (ko)
JP6961439B2 (ja) 開放型圧縮機
JP4314511B2 (ja) スラストニードル軸受
JPS58158384A (ja) 潤滑システムを備えた冷媒コンプレツ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