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738B1 - 공기조화기의직출,덕트풍량절환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직출,덕트풍량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738B1
KR100291738B1 KR1019980051401A KR19980051401A KR100291738B1 KR 100291738 B1 KR100291738 B1 KR 100291738B1 KR 1019980051401 A KR1019980051401 A KR 1019980051401A KR 19980051401 A KR19980051401 A KR 19980051401A KR 100291738 B1 KR100291738 B1 KR 100291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phase
air
blower fa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4165A (ko
Inventor
김재훈
장명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738B1/ko
Publication of KR2000003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직출,덕트 풍량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모터와, 상기 송풍팬모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공기조화기 본체가 설치된 전면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와, 상기 송풍팬모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공기조화기 본체가 설치된 전면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덕트관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송풍팬모터의 풍량을 직출풍으로 절환시키는 직출용 컨넥터와, 상기 덕트관을 통해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송풍팬모터의 풍량을 덕트풍으로 절환시키는 덕트용 컨넥터와, 외부로부터 380V 3상 인입전원 또는 220V 메인교류전원이 인입되는 380V 또는 220V 전원용 컨넥터와, 상기 380V 및 220V 전원용 컨넥터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마그네틱 S/W와, 상기 마그네틱 S/W를 통해 3상 인입전원의 R상, S상, T상 전원을 상기 직출용 컨넥터로 공급하는 직출용 과부하 계전기와, 상기 마그네틱 S/W를 통해 3상 인입전원의 R상, S상, T상 전원을 상기 덕트용 컨넥터로 공급하는 덕트용 과부하 계전기로 이루어져, 송풍팬모터를 직출 또는 덕트풍으로 절환시킬 수 있는 컨넥터, 마그네틱 S/W, 과부하 계전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풍량을 직출 또는 덕트풍으로 용이하게 절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직출,덕트 풍량절환장치 {Apparatus for changing the amount of the wind from duct i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덕트관을 설치하여 공기조화기 본체가 설치된 전면은 물론, 전면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열교환 공기를 토출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직출,덕트풍 운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출용 또는 덕트용 컨넥터, 마그네틱 S/W, 과부하 계전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풍량을 직출 또는 덕트풍으로 용이하게 절환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직출,덕트 풍량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다수의 흡입구(3)가 형성된 흡입그릴부재(5)가 실내기본체(1;이하, 본체라 한다)의 전면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전면상부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어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본체(1)가 설치된 전면으로 직접 토출시키는 토출구(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상면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7) 이외의 원하는 다른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플렉시블한 덕트관(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7)에는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상하풍향날개(9)와 좌우로 조절하는 좌우풍향날개(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전면에는 실내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내장물을 보호하는 커버부재(13)가 고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3)의 하측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운전의 시작/정지,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풍향 등을 조절하는 조작부(15)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흡입그릴부재(5)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부유하는 먼지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1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필터부재(17)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부재(17)에 의해 필터링된 실내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풍으로 열교환시키도록 일자형상의 실내열교환기(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19)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9)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도록 송풍팬모터(2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블로워팬(23;이하, 송풍팬이라 한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팬(23)의 외측에는 상기 송풍팬(23)을 카바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토출구(7)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토출구(7)의 상단일측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9)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덕트관(8)을 통해 상기 토출구(7)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공기유출구(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난방겸용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조작부(15)를 조작하여 운전/정지키(이하, 운전키라 한다)를 누른다음 원하는 운전모드(예를들면, 냉방)와 설정온도(Ts)를 입력하면, 송풍팬모터(21)의 구동에 따라 송풍팬(23)이 회전하면서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가 본체(1)내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의 온도(Tr;이하, 실내온도라 한다)와 설정온도(Ts)를 비교하여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높은 경우 설정온도(Ts)와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결정하여 압축기를 온시킨다.
상기 압축기가 온되면, 냉매의 순환에 따라 실내열교환기(19)가 냉각되므로 흡입구(3)를 통해 본체(1)내로 흡입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19)를 통과하면서 실내열교환기(19)내에 흐르는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풍으로 열교환되고, 실내열교환기(19)에서 열교환된 냉풍은 덕트부재(25)의 안내를 받아 상부로 안내되어 상하풍향날개(9) 및 좌우풍향날개(11)의 풍향각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풍향이 조절되면서 토출구(7)를 통해 본체(1)가 설치된 전면으로 냉기가 직접 토출되는 직출풍 냉방운전을 행한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토출구(7)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덕트풍 냉방운전을 원할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모터(21)의 RPM을 증가시켜 실내열교환기(19)에서 열교환된 찬 공기를 덕트관(8)을 통해 본체(1)가 설치된 전면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강하게 토출시켜 넓은 공간(예를들면, 130평)의 실내전체를 구석구석 냉방시키는 덕트풍 냉방운전을 행한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직출풍 또는 덕트풍운전을 구현하기 위해 설치자가 송풍팬모터(21)의 RPM을 가변시키는 복잡한 단자작업을 별도로 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오래 걸리고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송풍팬모터를 직출 또는 덕트풍으로 절환시킬 수 있는 직출용 또는 덕트용 컨넥터, 마그네틱 S/W, 과부하 계전기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직출용 또는 덕트용 컨넥터를 송풍팬모터에 연결시킴으로서 송풍팬모터의 RPM을 변환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풍량을 직출 또는 덕트풍으로 절환시키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하면서도 설치작업이 간단한 공기조화기의 직출,덕트 풍량절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직출,덕트 풍량절환장치는,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모터와, 상기 송풍팬모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공기조화기 본체가 설치된 전면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와, 상기 송풍팬모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공기조화기 본체가 설치된 전면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덕트관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송풍팬모터의 풍량을 직출풍으로 절환시키는 직출용 컨넥터와, 상기 덕트관을 통해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송풍팬모터의 풍량을 덕트풍으로 절환시키는 덕트용 컨넥터와, 외부로부터 3상의 인입전원 및 2상의 메인교류전원이 인입되는 전원용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마그네틱 S/W와, 상기 마그네틱 S/W를 통해 3상 인입전원의 R상, S상, T상 전원을 상기 직출용 컨넥터로 공급하는 직출용 과부하 계전기와, 상기 마그네틱 S/W를 통해 3상 인입전원의 R상, S상, T상 전원을 상기 덕트용 컨넥터로 공급하는 덕트용 과부하 계전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직출,덕트 풍량절환장치의 하우징 구성도,
도 4은 도 3의 'A'에서 본 컨넥터 배치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직출용 컨넥터와 연결시 송풍팬모터의 회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덕트용 컨넥터와 연결시 송풍팬모터의 회로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흡입구 7 : 토출구
8 : 덕트관 21 : 송풍팬모터
102 : 직출용 컨넥터 104 : 덕트용 컨넥터
110 : 마그네틱 S/W 114 : 직출용 과부하 계전기
116 : 덕트용 과부하 계전기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명기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직출,덕트 풍량절환장치의 하우징(100)에는 송풍팬모터(21)의 극수를 8극으로 변환시켜 풍량을 직출풍으로 절환시키는 직출용 컨넥터(102)와, 상기 송풍팬모터(21)의 극수를 6극으로 변환시켜 풍량을 덕트풍으로 절환시키는 덕트용 컨넥터(104)와, 외부로부터 3상 인입전원(380V)의 R상, S상, T상 전원이 인입되는 380V 전원용 컨넥터(106)와, 외부로부터 220V의 메인교류전원이 인입되는 220V 전원용 컨넥터(108)와, 상기 380V 및 220V 전원용 컨넥터(106,108)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마그네틱 S/W(110)와, 상기 마그네틱 S/W(110)의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도록 상기 마그네틱 S/W(110)의 하단에 고정된 고무(112)와, 상기 마그네틱 S/W(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3상 인입전원의 R상, S상, T상 전원을 상기 직출용 컨넥터(102)를 통해 송풍팬모터(21)로 공급/차단하는 직출용 과부하 계전기(114)와, 상기 마그네틱 S/W(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3상 인입전원의 R상, S상, T상 전원을 상기 덕트용 컨넥터(104)를 통해 송풍팬모터(21)로 공급/차단하는 덕트용 과부하 계전기(116)가 취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덕트용 컨넥터(104)와 연결시 송풍팬모터(21)는 상기 덕트용 컨넥터(104)의 1,2,3번을 통해 외부 인입전원(3상 380V)의 R상, S상, T상에 병렬로 각각 결선되고, 덕트용 컨넥터(104)의 4,5,6번이 쇼트되므로 두 개의 3상 Y결선을 구성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직출용 컨넥터(102)와 연결시 송풍팬모터(21)는 상기 직출용 컨넥터(102)의 4,5,6번을 통해 외부 인입전원(3상 380V)의 R상, S상, T상에 직렬로 각각 결선되므로 한 개의 3상 Y결선을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직출,덕트 풍량절환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외부에서 인입되는 3상 인입전원(380V)이 380V 전원용 컨넥터(106)를 통해 마그네틱 S/W(110)로 인가되고, 메인전원에서 인가되는 전원(220V)은 220V 전원용 컨넥터(108)의 전선(Wa)이 직출용 과부하 계전기(114)를 거쳐 또다른 덕트용 과부하 계전기(116)를 거친다음 다시 마그네틱 S/W(110)의 코일단에 인가되면 마그네틱 S/W(110)가 동작된다.
상기 마그네틱 S/W(110)가 동작되면, 외부에서 인입되는 3상 인입전원(380V)의 R상, S상, T상 전원이 마그네틱 S/W(110)로부터 두 곳으로 전선(Wb)을 거쳐 직출용 또는 덕트용 과부하 계전기(114,116)를 통해 직출용 또는 덕트용 컨넥터(102,104)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에서 인입되는 3상 인입전원(380V)의 R상, S상, T상 전원이 직출용 또는 덕트용 컨넥터(102,104)로 공급되면, 사용자는 토출구(7)를 통해 본체(1) 전면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직출풍이나 덕트관(8)을 통해 본체(1) 전면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덕트풍 가운데 원하는 풍량을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가 덕트풍을 선택하기 위해 덕트용 컨넥터(104)를 송풍팬모터(21)에 연결시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덕트용 컨넥터(104)의 4,5,6번은 쇼트되고 송풍팬모터(21)는 상기 덕트용 컨넥터(104)의 1,2,3번을 통해 외부 인입전원(3상 380V)의 R상, S상, T상에 병렬로 각각 결선되므로 송풍팬모터(21)에 흐르는 전류가 커져 송풍팬모터(21)의 RPM이 증가하므로 송풍팬모터(21)의 풍량이 많아져 덕트관(8)을 통해 본체(1) 전면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강하게 토출시키는 덕트풍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직출풍을 선택하기 위해 직출용 컨넥터(102)를 송풍팬모터(21)에 연결시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송풍팬모터(21)는 직출용 컨넥터(102)의 4,5,6번을 통해 외부 인입전원(3상 380V)의 R상, S상, T상에 직렬로 각각 결선되므로 송풍팬모터(21)에 흐르는 전류가 작아져 송풍팬모터(21)의 RPM이 감소하므로 송풍팬모터(21)의 풍량이 적어져 토출구(7)를 통해 본체(1) 전면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일반 직출풍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직출,덕트 풍량절환장치에 의하면, 송풍팬모터를 직출 또는 덕트풍으로 절환시킬 수 있는 직출용 또는 덕트용 컨넥터, 마그네틱 S/W, 과부하 계전기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직출용 또는 덕트용 컨넥터를 송풍팬모터에 간단하게 연결시킴으로서 송풍팬모터의 RPM을 변환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풍량을 직출 또는 덕트풍으로 절환시키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하면서도 설치작업이 간단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정정)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모터와, 상기 송풍팬모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공기조화기 본체가 설치된 전면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와, 상기 송풍팬모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공기조화기 본체가 설치된 전면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덕트관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송풍팬모터의 풍량을 직출풍으로 절환시키는 직출용 컨넥터와,
    상기 덕트관을 통해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송풍팬모터의 풍량을 덕트풍으로 절환시키는 덕트용 컨넥터와,
    외부로부터 3상의 인입전원 및 2상의 메인교류전원이 인입되는 전원용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마그네틱 S/W와,
    상기 마그네틱 S/W를 통해 3상 인입전원의 R상, S상, T상 전원을 상기 직출용 컨넥터로 공급하는 직출용 과부하 계전기와,
    상기 마그네틱 S/W를 통해 3상 인입전원의 R상, S상, T상 전원을 상기 덕트용 컨넥터로 공급하는 덕트용 과부하 계전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직출,덕트 풍량절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용 컨넥터는 상기 송풍팬모터와 연결시 4,5,6번은 쇼트되고 1,2,3번을 통해 3상 인입전원의 R상, S상, T상에 송풍팬모터를 병렬로 각각 결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직출,덕트 풍량절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출용 컨넥터는 상기 송풍팬모터와 연결시 4,5,6번을 통해 3상 인입전원의 R상, S상, T상에 송풍팬모터를 직렬로 각각 결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직출,덕트 풍량절환장치.
KR1019980051401A 1998-11-27 1998-11-27 공기조화기의직출,덕트풍량절환장치 KR10029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401A KR100291738B1 (ko) 1998-11-27 1998-11-27 공기조화기의직출,덕트풍량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401A KR100291738B1 (ko) 1998-11-27 1998-11-27 공기조화기의직출,덕트풍량절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165A KR20000034165A (ko) 2000-06-15
KR100291738B1 true KR100291738B1 (ko) 2001-06-01

Family

ID=1956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401A KR100291738B1 (ko) 1998-11-27 1998-11-27 공기조화기의직출,덕트풍량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6864A (zh) * 2018-06-12 2018-10-09 广东省有色工业建筑质量检测站有限公司 一种保温隔热型材检测环境温控调节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165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10867B (zh) 室内机、空调器及空调器控制的方法
US7204096B2 (en) Indoor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US68430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saving energy in indoor cooling and heating
US5152336A (en) Air conditioner modular unit with dual cross flow blowers
KR100291738B1 (ko) 공기조화기의직출,덕트풍량절환장치
KR10079716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H09113014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861764A (ja) 空気調和機
KR920008885B1 (ko) 공기 조화기
JP3526367B2 (ja) 空気調和機
JP3197596B2 (ja) 空気調和機
JP3181111B2 (ja) 空気調和機
JPH0229523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1235197A (ja) 室内冷暖房における省エネルギー方法及び装置並びにシステム
KR100308561B1 (ko) 공기조화기의덕트운전장치및그제어방법
CN220582718U (zh) 一种换热装置
KR100308562B1 (ko) 공기조화기의 히터 구동장치_
JPH10141702A (ja) 天井設置式浴室空調装置
CN216522068U (zh) 空气调节设备及系统
KR102071523B1 (ko)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JP2616308B2 (ja) 空気調和ユニット
JP4183321B2 (ja) 空気調和機
CA2054308C (en) Air conditioner modular unit with dual cross flow blowers
JP3443159B2 (ja) 空気調和機
JP3106703B2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