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523B1 -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523B1
KR102071523B1 KR1020190054644A KR20190054644A KR102071523B1 KR 102071523 B1 KR102071523 B1 KR 102071523B1 KR 1020190054644 A KR1020190054644 A KR 1020190054644A KR 20190054644 A KR20190054644 A KR 20190054644A KR 102071523 B1 KR102071523 B1 KR 10207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main
room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기술
Priority to KR1020190054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0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in which the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takes place by means of a heat-pump or by means of a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공급하며, 설정온도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에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송풍팬(110)에 있어서, 전기로 구동하는 전동모터(111);, 상기 전동모터 회전축(112)과 결합되며, 복수의 날개가 부착된 회전체(113);, 상기 회전체 및 회전축을 수용하며, 개구된 투입구(114a) 및 토출구(114b)가 형성된 송풍케이스(1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Air conditioner with air blower}
본 발명은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공급하며, 설정온도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에대한 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건물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댐퍼장치를 공기유도수단으로 이용하고 냉난방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해 공기유도수단이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냉난방공기가 수직방향 또는대각선 방향으로 전환되어 공급되도록 개선된 공기조화용 디퓨저를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2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와, 상기 캐비닛의 공기흡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흡입 그릴과, 상기 캐비닛의 공기 흡입구가 개방되면 상기 송풍기가 구동되지 않게 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면 흡입 그릴에 필터 등을 추가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수동 및 자동으로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고, 넓은 영역으로 송풍을 순환시킬 수 있어 냉난방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 또는 열기의 흐름을 도입시키는 원통형의 디퓨저 케이싱과;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내부 중심선에 일치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는 인너 고정축과; 상기 인너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아웃터 회전축; 및 일단이 상기 인너 고정축의 하단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디퓨저 케이싱에 피봇 연결되어 회전 개도량에 따라 토출 풍량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디퓨저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냉방시 과냉각 방지를 위하여 실내공기를 유인하여 공급되는 찬 공기와 혼합하여 건조한 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실내 측으로 공기조화기로부터 찬 공기가 직접 배출될 경우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기조화기로부터 공급되는 찬 공기와 실내공기를 혼합하여 실내 측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실내 측으로 건조한 공기를 공급한다. 특허발명 004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디퓨저는 실내의 천장에 매립 설치되며, 송풍덕트와 연결되는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 하단에 연결되어 공기조화기로부터 송풍 공급되는 찬 공기 또는 더운 공기를 실내 측으로 안내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면 둘레를 따라 일정 폭을 가지는 링 타입으로 유입공이 관통되어 관통된 유입공의 하단 외측과 내측 둘레로부터 한 쌍으로 하향 일정길이 연장되어 유입가이드가 형성되는 본체; 상단이 상기 본체 저면 중앙에 고정되며, 상기 유입 가이드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외향 확산되면서 실내 측으로 안내되도록 라운드지게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공기 안내구; 및 상기 공기 안내구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안내구와 본체 사이의 공간을 분할하며, 상단이 상기 유입가이드 측으로 절곡되어 분할된 상기 본체와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실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유입가이드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며, 혼합된 공기가 상기 공기 안내구와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실내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KR 20-0385252 Y1 (등록일자 2005년05월18일) KR 10-0748958 B1 (등록일자 2007년08월07일) KR 10-1263615 B1 (등록일자 2013년05월06일) KR 10-1669254 B1 (등록일자 2016년10월19일)
본 발명은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공급하며, 설정온도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에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전기로 구동하는 전동모터(111);, 상기 전동모터 회전축(112)과 결합되며, 복수의 날개가 부착된 회전체(113);, 상기 회전체 및 회전축을 수용하며, 개구된 투입구(114a) 및 토출구(114b)가 형성된 송풍케이스(1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풍케이스는 상기 전동모터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동모터 회전축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제1회전체(113a)를 수용하는 제1송풍케이스(114a);, 상기 전동모터 회전축 타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제2회전체(113b)를 수용하는 제2송풍케이스(114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실내마다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제1공급관(120)과 연통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청구항 1의 송풍케이스(114)로 형성된 개별공급기(100);, 실외공기를 흡입하며, 제2공급관(130)을 통해 개별공급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공급기(9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실내와 연통되는 제1배출관(220)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며, 청구항 1의 송풍케이스(114)로 형성되는 개별배출기(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 및 실내 사이에 형성된 공기가열장치(300);, 상기 제2공급관에 형성된 공기냉각장치(400);, 상기 실내에 형성되는 실내온도센서(510);, 상기 실내에 형성되는 움직임인지센서(520);, 상기 실내온도센서 및 움직임인지센서 신호를 계측하며, 설정온도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가열장치 및 상기 공기냉각장치를 제어하는 단위제어기(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공기냉각장치에 저온공기를 공급하는 메인냉각장치(600);, 상기 단위제어기 및 공기냉각장치의 신호 계측하여 상기 메인냉각장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기(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공급기에 흡입된 실외공기 및 상기 개별배출기의 배출공기가 교차하는 열교환기(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공급기에 형성된 공기필터(9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 일측에 결합되며, 실내에 형성된 공급디퓨져(9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공급기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송풍기를 작동시켜 비용절감 및 공진 방지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공기공급기는 복수의 실내에서 각각 설정한 상이한 조건의 희망온도로 공기가 공급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공급기는 공기가열 및 공기냉각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며, 신속한 냉, 난방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공급기는 사용자의 실내진입 전 사전예약으로 제어기를 작동 시킬 수 있으며, 사용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송풍케이스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송풍기와 결합된 공기공급 및 배출계통도.
도 3은 본 발명 송풍기를 이용한 공기공급기의 제어관계도.
도 4는 본 발명 공기공급기의 공기냉각계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송풍팬(110)에 있어서, 전기로 구동하는 전동모터(111);, 상기 전동모터 회전축(112)과 결합되며, 복수의 날개가 부착된 회전체(113);, 상기 회전체 및 회전축을 수용하며, 개구된 투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송풍케이스(1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는 외주연에 극성이 상이한 복수의 영구자석이 수용되며, 중심부에 회전축이 고정된 로터(111a);, 상기 로터와 이격되며, 상이한 극성이 교차 공급되는 스테이터(111b);, 상기 로터 및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모터케이스(111c);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송풍케이스는 상기 전동모터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동모터 회전축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제1회전체(113a)를 수용하는 제1송풍케이스(114a);, 상기 전동모터 회전축 타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제2회전체(113b)를 수용하는 제2송풍케이스(114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송풍기에 대한 발명이다. 특히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2개의 송풍기를 작동시킨다. 이는 2개의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며, 각각의 공기유동은 동일 풍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므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2개의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효과 및 공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양측에 회전체가 존재할 경우, 모터 회전축은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는 모터내부의 구조적 변형방의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회전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터는 통상의 전기모터 뿐만 아니라 BLDC 모터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는 원심형 회전체를 사용하거나 또는 축류형 회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 및 하나의 회전체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모터에 2개의 회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공기공급기에 있어서, 각각의 실내(R1)마다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제1공급관(120)과 연통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청구항 1의 송풍케이스(114)로 형성된 개별공급기(100);,실외공기를 흡입하며, 제2공급관(130)을 통해 개별공급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공급기(9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공급하며, 설정온도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각각의 실내는 개별공급기와 연통되며, 복수의 개별공급기는 하나의 메인공급기와 연통된다. 즉, 실외공기는 메인공급기로 공급되며, 복수의 개별공급기로 분기되어 공급된다. 따라서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각각의 실내로 공급되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각각의 실내와 연통되는 제1배출관(220)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며, 청구항 1의 송풍케이스(114)로 형성되는 개별배출기(2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 및 실내 사이에 형성된 공기가열장치(300);,상기 제2공급관에 형성된 공기냉각장치(400);, 상기 실내에 형성되는 실내온도센서(510);, 상기 실내에 형성되는 움직임인지센서(520);, 상기 실내온도센서 및 움직임인지센서 신호를 계측하며, 설정온도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가열장치 및 상기 공기냉각장치를 제어하는 단위제어기(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실내에서 각각 설정한 상이한 희망온도로 공급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메인공급기에서 분지된 복수의 분지관(제1공급관 및 제2공급관) 마다 공기가열장치 및 공기냉각장치를 형성한다. 이는 실내마다 상이한 조건의 온도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공기가열장치는 제1공급관에 형성되며, 공기냉각장치는 제2공급관에 위치된다. 공기가열 및 공기냉각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신속한 냉방 및 난방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실내온도센서는 실시간으로 실내온도를 측정하며, 실시간으로 측정된 실내온도에 따라 공기가열장치 또는 공기냉각장치를 작동시킨다. 이는 단위제어기에서 직접 이루어지며, 단위제어기는 설정온도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가열장치, 공기냉각장치는 사용자가 실내에 존재할 경우에만 작동된다. 따라서, 움직임인지센서의 작동이 실행될 경우에만 단위제어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움직임인지센서는 실내온도센서와 연동되며, 실내온도센서의 설정 중에는 움직임인지센서가 활성 된다. 반면, 실내의 사용자 움직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단위제어기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작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공기가열장치 제1내부공간이 형성된 공기가열챔버(310);, 상기 제1내부공간에 형성된 히터(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순차적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공기가열챔버는 실내 진입공기를 유동 중 가열시킬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공기가열챔버 내부에는 복수의 히터를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히터 발열량 및 작동수에 따라 공기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난방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일정한 온도범위에서 유지하기를 바랄 수 있다. 급속난방을 원할 경우, 제1공급팬 가동속도, 히터 발열량, 히터 가동수는 최대로 작동되어야 한다. 이는 제1공급팬 가동속도가 빠를 경우, 히터와 공기의 접촉시간이 짧아지므로, 히터는 최대한의 발열량으로 모든 수의 히터가 작동되어야 한다. 반면 일정온도범위의 실내온도 유지를 위해, 히터발열량 및 히터 가동수는 탄력적으로 가변 되어야 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공기냉각장치는 혼합공간(R2)이 형성된 공기냉각챔버(410);,각각의 상기 혼합공간에 저온공기를 공급하는 메인냉각장치(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관 및 메인공급기 사이에 형성된 상온공급밸브(420);, 상기 공기냉각챔버 및 냉동장치를 연통하는 제3공급관(610)에 형성된 저온공급밸브(6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급공기를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냉각방법은 상온공기 및 저온공기를 혼합시켜 설정온도로 공기온도를 조절한다. 2종류의 공기는 공기냉각챔버에서 혼합된다. 제2공급관은 상온공기를 공급받으며, 제2공급관은 저온공기를 공급받는다. 상온공기 및 저온공기의 공급량은 상온공급밸브 및 저온공급밸브의 작동으로 조절된다. 이는 공기를 설정된 온도로 형성한 후, 실내 공급하며, 냉동기에 의해 직접 공급공기를 냉각하지 않고, 냉동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와 상온공기를 혼합하여 설정온도를 형성하는 특징을 가진다. 통상의 냉각장치는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 팽창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실내마다 별도의 냉각장치를 설치할 경우, 높은 설치 비용이 발생되므로 하나의 대형 냉각장치로부터 공기를 냉각한 후, 냉각된 공기를 필요량으로 각각의 실내에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내수요량에 따라 대형 냉각장치가 용량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통상의 냉각장치의 흡열기능은 증발기에서 이루어진다. 각각의 실내에 증발기가 존재할 경우, 다량의 냉매 유동량이 요구되므로 효율저하 및 설치비용 증대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공기냉각장치에 저온공기를 공급하는 메인냉각장치(600);, 상기 단위제어기 및 공기냉각장치의 신호 계측하여 상기 메인냉각장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기(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메인제어기는 전체장치를 제어하지 않아도 되며, 단위제어기 신호 및 공기냉각장치 작동신호를 계측하여 메인냉각장치만을 제어하는 효과를 가진다. 단위제어기는 희망온도를 설정하며, 상기 희망온도에 따라 공기가열장치의 히터 및 공기냉각장치의 저온공급밸브를 작동한다. 복수개의 저온공급밸브 작동량을 판단하여, 메인냉각장치의 작동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단위제어기에 형성된 유무선송수신기(53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실내진입 전 사전예약으로 단위제어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개별제어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며, 개별제어기의 작동은 메인제어기를 작동시킨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메인공급기에 흡입된 실외공기 및 상기 개별배출기의 배출공기가 교차하는 열교환기(800);를 포함한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메인공급기에 형성된 공기필터(910);를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공기필터는 프리필터(911) 및 기능성필더(912)로 형성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는 메시망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8-4]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필터는 탈취필터(912a), 헤파필터(912b) 및 항바이러스필터(912c)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9-1]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 일측에 결합되며, 실내에 형성된 공급디퓨져(920);를 포함한다.
[실시예 9-2] 본 발명은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9-1에 있어서, 제1배출관 일측에 결합되며, 실내에 형성된 배출디퓨져(930);를 포함한다.
100 : 개별공급기 110 : 송풍팬
111 : 전동모터 112 : 회전축
113 : 회전체 114 : 송풍케이스
120 : 제1공급관 130 : 제2공급관
200 : 개별배출기 220 : 제1배출관
300 : 공기가열장치 310 : 공기가열챔버
320 : 히터 400 : 공기냉각장치
410 : 공기냉각챔버 420 : 상온공급밸브
500 : 단위제어기 510 : 실내온도센서
520 : 움직임인지센서 530 : 유무선송수신기
600 : 메인냉각장치 610 : 제3공급관
620 : 저온공급밸브 700 : 메인제어기
800 : 열교환기 900 : 메인공급기
910 : 공기필터 911 : 프리필터
912 : 기능성필더 920 : 공급디퓨져
930 : 배출디퓨져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공기공급기에 있어서,
    각각의 실내마다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제1공급관(120)과 연통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110)으로 형성된 개별공급기(100);,
    실외공기를 흡입하며, 제2공급관(130)을 통해 개별공급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공급기(900);,
    상기 송풍팬(110)은, 전기로 구동하는 전동모터(111);,
    상기 전동모터 회전축(112)과 결합되며, 복수의 날개가 부착된 회전체(113);,
    상기 회전체 및 회전축을 수용하며, 개구된 투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송풍케이스(114);,
    상기 송풍케이스는 상기 전동모터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동모터 회전축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제1회전체(113a)를 수용하는 제1송풍케이스(114a);,
    상기 전동모터 회전축 타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제2회전체(113b)를 수용하는 제2송풍케이스(114b);
    상기 제1공급관 및 실내 사이에 형성된 공기가열장치(300);,
    상기 제2공급관에 형성된 공기냉각장치(400);,
    상기 실내에 형성되는 실내온도센서(510);,
    상기 실내에 형성되는 움직임인지센서(520);,
    상기 실내온도센서 및 움직임인지센서 신호를 계측하며, 설정온도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가열장치 및 상기 공기냉각장치를 제어하는 단위제어기(500);,
    상기 공기가열장치는 제1내부공간이 형성된 공기가열챔버(310);,
    상기 제1내부공간에 순차적으로 복수 형성된 히터(320);,
    상기 공기냉각장치는 내부에 혼합공간(R2)이 형성된 공기냉각챔버(410);,
    상기 혼합공간에 저온공기를 공급하는 메인냉각장치(600);,
    상기 제2공급관 및 메인공급기 사이에 형성된 상온공급밸브(420);,
    상기 공기냉각챔버 및 메인냉각장치를 연통하는 제3공급관(610)에 형성된 저온공급밸브(620);,
    상기 단위제어기 및 공기냉각장치의 신호 계측하여 상기 메인냉각장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기(700); 를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각각의 실내와 연통되는 제1배출관(220)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송풍팬(110)으로 형성되는 개별배출기(200);를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공급기에 흡입된 실외공기 및 상기 개별배출기의 배출공기가 교차하는 열교환기(800);를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공급기에 형성된 공기필터(910);를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 일측에 결합되며, 실내에 형성된 공급디퓨져(920);를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KR1020190054644A 2019-05-10 2019-05-10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KR10207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644A KR102071523B1 (ko) 2019-05-10 2019-05-10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644A KR102071523B1 (ko) 2019-05-10 2019-05-10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523B1 true KR102071523B1 (ko) 2020-01-30

Family

ID=6932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644A KR102071523B1 (ko) 2019-05-10 2019-05-10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52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52Y1 (ko) 2005-03-11 2005-05-25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저
KR100728316B1 (ko) * 2005-12-16 2007-06-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변풍량방식 공조 제어시스템
KR100748958B1 (ko) 2004-12-30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10060221A (ko) * 2009-11-30 2011-06-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실내환기장치
KR101263615B1 (ko) 2012-02-21 2013-05-10 유철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JP2013217634A (ja) * 2012-03-13 2013-10-24 Taisei Corp 省エネルギー空調システム
KR101475498B1 (ko) * 2014-06-23 2014-12-24 주식회사 세원기연 에너지 절감형 공기조화기의 급기 제어방법
KR101669254B1 (ko) 2016-07-11 2016-10-25 (주)수산공조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58B1 (ko) 2004-12-30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0385252Y1 (ko) 2005-03-11 2005-05-25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저
KR100728316B1 (ko) * 2005-12-16 2007-06-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변풍량방식 공조 제어시스템
KR20110060221A (ko) * 2009-11-30 2011-06-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실내환기장치
KR101263615B1 (ko) 2012-02-21 2013-05-10 유철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JP2013217634A (ja) * 2012-03-13 2013-10-24 Taisei Corp 省エネルギー空調システム
KR101475498B1 (ko) * 2014-06-23 2014-12-24 주식회사 세원기연 에너지 절감형 공기조화기의 급기 제어방법
KR101669254B1 (ko) 2016-07-11 2016-10-25 (주)수산공조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88920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
CN216744601U (zh) 空调室内机
KR100730716B1 (ko) 환기유니트가 일체로 구비되는 공기조화 시스템
WO2018056191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15172472A (ja) 空調用換気装置
WO2023065693A1 (zh) 新风风机和空调室内机
CN210663090U (zh) 吊顶式空调室内机
JPWO2012127662A1 (ja) 浴室乾燥機
CN108302626B (zh) 一种空调器室内挂机
CN113944956A (zh) 空调室内机
JP2002162067A (ja) 空気調和装置
KR102071523B1 (ko)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KR20090078175A (ko) 팬코일유닛
CN217817099U (zh) 烟机结构及空调烟机
KR20070000898A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CN115264621A (zh) 一种空调室内机、空调室内机的控制方法和空调器
CN115111653A (zh) 空调
CN210118829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06287945A (zh) 一种立式空调及其送风方法
CN212390486U (zh) 新风空调器
CN112728646B (zh) 一种立式空调及其控制方法
CN216143954U (zh) 壁挂式空调室内机
US11448415B2 (en) Auto-adjusting fan assembly for an air conditioning appliance
JP2018054135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7281616B2 (ja) 換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