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252Y1 -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저 - Google Patents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252Y1
KR200385252Y1 KR20-2005-0006606U KR20050006606U KR200385252Y1 KR 200385252 Y1 KR200385252 Y1 KR 200385252Y1 KR 20050006606 U KR20050006606 U KR 20050006606U KR 200385252 Y1 KR200385252 Y1 KR 200385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le
gear
fastened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06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2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parallel rods or lamellae directing the outflow, e.g. the rods or lamellae being individually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6Air flow forming a vort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이 고안은 건물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저에 있어서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댐퍼장치를 공기유도수단으로 이용하고 냉난방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해 공기유도수단이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냉난방공기가 수직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전환되어 공급되도록 개선된 공기조화용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덕트(10)로 공급되는 냉,난방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과공(110)을 가지며 천장부재(2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재(100)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통과공(110) 하측 내면부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원형프레임(210)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면부에 회전기어부(221)를 가진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가 회전되면 기어지지부재(230)에 원형상으로 다수 형성된 회전지지홈부(231)와 중심부재(235)에 지지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기어부(221)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241)를 가진 피니언회동부재(240)가 회전되는 동시에 피니언회전부재(240) 외측으로 연결된 공기유도판부재(250)가 회동되어 공기통과공(110)을 통과하는 공기가 수직방향이나 대각선방향으로 전환되어 공급되게 하는 공기유도수단(200)과; 상기 기어지지부재(230) 상단체결부(232)와 체결되고 고정부재(310)에 의해 프레임부재(100) 중앙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부직진공(321)과 스프링걸림턱부(322) 및 체결공(323)과 상부에 대향된 한쌍의 경사가이드공(324)을 가진 바디부재(320)와, 상기 바디부재(320) 상단부에 체결되는 캡부재(330)와, 상기 캡부재(330)의 수직공(331) 상부에 체결되고 온도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왁스(341)의 체적 팽창에 의해 피스톤봉(342)이 전진되게 이동되는 공지의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와, 상기 피스톤봉(342)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되게 이동되도록 내부직진공(321)에 설치되는 동시에 경사가이드공(324)으로 양단부가 관통되게 설치된 핀봉(351)이 하강되면서 경사가이드공(324)의 상사점(324a)과 하사점(325b)간의 원주거리(k)만큼 회전운동되는 운동전환부재(350)와, 상기 운동전환부재(350)의 하부 세레이션홈부(352) 내에 세레이션축부(361)가 삽입되어 회전운동을 전달 받아 회동되며 키걸림축부(362)가 키걸림공(222)에 결합되어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를 회전되게 하는 회전운동전달부재(360)와, 상기 회전운동전달부재(360)를 상승되게 이동시키기 위한 탄력부재(370)를 가진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키걸림공(222)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키걸림축부(362)의 나사부(362b)에는 세팅조절부재(400)의 너트(410)가 체결되게 구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저{The air conditioning diffuser where the air conditioning air supply direction is converted with automatic movement}
본 고안은 건물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로 공급되는 냉,난방공기 종류에 따라 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게 고안된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저를 통해서는 동절기에 난방공기가 공급되고 하절기에는 냉방공기가 공급된다.
이러한 디퓨저를 통해서 동절기에 공급되는 난방공기는 천장에서 실내 바닥쪽으로 수직방향으로 난방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절기의 냉방공기는 천장방향인 수평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냉방공기가 확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디퓨저는 대개 빌딩과 같은 건물의 사무실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난방 공기는 실내 바닥에서 천장 방향으로 대류가 되게 하는 것이 신속한 실내 난방이 도모되는 것이고, 냉방공기는 천장부분에서 실내 바닥 쪽으로 대류되게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냉방이 도모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한 지점에 수직방향으로 냉방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그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 사람의 경우 냉방병과 같은 것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디퓨저에 있어서도 냉방공기의 경우는 수평방향, 그리고 난방공기의 경우는 수직방향으로 공급되게 하는 노력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냉,난방공기를 확산시키는데 있어 주로 내부격자를 이용한 디퓨저이기 때문에 냉,난방공기 모두가 대각선 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일 뿐이다.
다만, 냉방공기는 대각선 방향에서 조금 더 윗쪽 대각선 방향으로 공급되고 난방공기일 경우는 조금 더 아랫쪽의 대각선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한 차이점이 있는 것 뿐이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디퓨저는 냉,난방공기 모두가 대각선 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한 냉난방 공급 시스템을 이룬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발명자가 선등록 받은 특허 등록번호 제10-0457153의 댐퍼장치를 이용하여 난방공기는 완전한 수직방향으로 그리고 냉방공기는 회오리 바람이 되게 하여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는 디퓨저의 연구가 개시되었고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댐퍼장치를 공기유도수단으로 이용하고 냉난방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해 공기유도수단이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냉난방공기가 수직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전환되어 공급되도록 개선된 공기조화용 디퓨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덕트로 공급되는 냉,난방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과공을 가지며 천장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재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통과공 하측 내면부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원형프레임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면부에 회전기어부를 가진 래크형회전기어부재가 회전되면 기어지지부재에 원형상으로 다수 형성된 회전지지홈부와 중심부재에 지지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를 가진 피니언회동부재가 회전되는 동시에 피니언회전부재 외측으로 연결된 공기유도판부재가 회동되어 공기통과공을 통과하는 공기가 수직방향이나 대각선방향으로 전환되어 공급되게 하는 공기유도수단과; 상기 기어지지부재 상단체결부와 체결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프레임부재 중앙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부직진공과 스프링걸림턱부 및 체결공과 상부에 대향된 한쌍의 경사가이드공을 가진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 상단부에 체결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수직공 상부에 체결되고 온도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왁스의 체적 팽창에 의해 피스톤봉이 전진되게 이동되는 공지의 온도감지센서실린더와, 상기 피스톤봉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되게 이동되도록 내부직진공에 설치되는 동시에 경사가이드공으로 양단부가 관통되게 설치된 핀봉이 하강되면서 경사가이드공의 상사점과 하사점간의 원주거리만큼 회전운동되는 운동전환부재와, 상기 운동전환부재의 하부 세레이션홈부 내에 세레이션축부가 삽입되어 회전운동을 전달 받아 회동되며 키걸림축부가 키걸림공에 결합되어 래크형회전기어부재를 회전되게 하는 회전운동전달부재와, 상기 회전운동전달부재를 상승되게 이동시키기 위한 탄력부재를 가진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키걸림공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키걸림축부의 나사부에는 세팅조절부재의 너트가 체결되게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실린더의 피스톤봉이 운동전환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점접촉되게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디퓨저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전체 분리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크게 구분하면 덕트(10)로 공급되는 냉,난방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과공(110)을 가지며 천장부재(2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재(100)와, 냉,난방공기를 수직방향 또는 대각선방향(수평방향이라고도 함)으로 유도되게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유도수단(200)과, 상기 공기유도수단(200)을 냉,난방공기 온도를 감지하여 동작시키게 하는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300)으로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유도수단(100)은 원형프레임(210)을 구비하고 이 원형프레임(210) 내부에 각각의 구성 부품들이 설치되게 된다.
원형프레임(210)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은 크게 구분하여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와, 기어지지부재(230)와, 중심부재(235) 및 피니언회동부재(240), 그리고 공기유도판부재(250) 및 그 공기유도판부재(250)를 원형프레임(210)에 설치하기 위한 힌지부재(255)에 의해 구성된다.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는 상면부에 원형상으로 회전기어부(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기어부(221)는 다수의 기어이빨이 돌출된 것이다.
또한, 중앙부에는 키걸림공(2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키걸림공(222)은 내주면에 사각면(222a)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키걸림축부(362)가 끼워졌을 때 그 키걸림축부(362)에 형성된 사각면(362a)과 밀착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키걸림축부(362)가 회전되면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어지지부재(230) 및 중심부재(235)는 피니언회동부재(24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어지지부재(230)는 원형상으로 다수의 회전지지홈부(231)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지지홈부(231)는 외측과 내측에 각각 구비하여 그 사이에 피니언회동부재(240)의 피니언기어(241)가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회전지지홈부(231)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여기에 끼워지는 피니언회동부재(240)는 강제적으로 빼내지 않는한 저절로 이탈되지 않게 조립된다.
또한, 회전지지홈부(231) 하측으로는 중심부재(235)가 위치되게 조립됨으로써 피니언회동부재(240)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일 뿐만 아니라 피니언회동부재(240)의 피니언기어(241)와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의 회전기어부(221)와 맞물렸을 때 상호 가압되지 않게 적절한 상태로 기어이빨이 맞물리도록 하는 역할을 중심부재(235)가 하게 된다.
상기 기어지지부재(230)의 상단부에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300)의 바디부재(320) 저면부에 형성된 체결공(323)에 체결되는 체결부(232)가 있고, 이들이 체결된 상태에서는 로크너트(233)를 바디부재(320) 쪽으로 체결시킴으로써 기어지지부재(230)가 바디부재(320)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게 조립된다.
또한, 기어지지부재(230)와 중심부재(235)에는 각각 관통공(234)(236)이 있고, 이 관통공(234,236)으로는 키걸림축부(362)가 관통되게 조립됨으로써 상기 키걸림축부(362)가 회전하여도 기어지지부재(230)와 중심부재(235)는 회전되지 않게 되고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가 회전되면 회전기어부(221)와 피니언기어(241)가 맞물려 있는 피니언회동부재(240)만 회전되게 된다.
피니언회동부재(240) 외측에는 걸림돌기(242)를 가진 1개의 결합편(243)과 이것과 반대쪽에 2개의 결합편(244)을 형성시켜 이들 사이에 공기유도판부재(250)의 일단부가 끼워지게 함으로써 걸림돌기(242)가 결합공(251)에 끼워져서 걸림되게 결합된다.
또한, 공기유도판부재(250)의 외측단부는 결합공(252)에 힌지부재(255)의 걸림돌기(256)가 끼워지도록 1개의 결합편(257)과 2개의 결합편(258)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 후 힌지부재(255)의 힌지돌기(259)가 원형프레임(210) 내주면에 형성된 힌지홈(211)에 끼워지도록 조립된다.
상기한 피니언회동부재(240)와 공기유도판부재(250)의 결합구조 및 공기유도판부재(250)를 원형프레임(210)에 지지되어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힌지부재(255) 구조는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형태의 결합 구조로도 실시 가능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공기유도수단(200)은 키걸림축부(362)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면 그 회전력이 전달되어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러한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의 회동에 의해 회전기어부(221)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기어(241)를 가진 피니언회동부재(240)가 회전되어 이와 연결되게 결합된 공기유도판부재(250)가 회전되게 구성된 것이다.
피니언회동부재(240)는 도면에서 일부만 도시되었지만 원형상으로 등간격적으로 다수(8개)가 배치되게 구비하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공기유도판부재(250)가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고안의 공기유도판부재(250)의 회전은 대각선 방향에서 수직방향 또는 수직방향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약간만 회전되는 것이다.
도 6a의 경우는 디퓨저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냉방공기일 경우를 보인 것으로서, 이때에는 공기유도판부재(250)가 경사진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냉방공기는 경사진 상태의 공기유도판부재(250)에 유도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공급됨에 따라 프레임부재(100)의 내면부 쪽으로 송풍되게 되고 그로 인해 바람 방향이 원주방향으로 돌게 되는 상태로서 바람이 불게 되기 때문에 회오라 바람이 되면서 아래쪽의 실내로 바람이 공급되게 된다.
즉, 바람이 프레임부재(100) 쪽으로 비스듬히 불게 됨에 따라 원주형태인 프레임부재(100) 내면에 안내되어 원주방향으로 바람이 회전되게 되는 와류현상이 발생됨으로써 회오리바람이 되면서 실내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피니언회동부재(240)가 회전되면 도 6b와 같이 공기유도판부재(250)가 대각선 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전된다.
공기유도판부재(250)가 수직상태가 되면 공기가 수직방향으로 불어지게 되며 이 상태는 난방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난방공기는 실내에 수직방향으로 불어지게 됨으로써 실내 아래쪽이 신속하게 난방이 되는 상태가 될 뿐만 아니라 찬공기는 밑으로 내려 오고 더운 공기는 윗쪽으로 상승되는 대류 작용에 의해서 실내는 신속한 난방이 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키걸림공(222)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키걸림축부(362)의 나사부(362b)에는 세팅조절부재(400)의 너트(410)가 체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세팅조절부재(400)는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가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도 키걸림축부(362)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세팅조절부재(400)를 수동(손)으로 회전시키면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가 회전되어 공기유도판부재(250)가 회동된다.
그러므로 수동으로 공기유도판부재(250)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을 때 또는 최초 설치시에 공기유도판부재(250)의 각도를 세팅시킬 때 세팅조절부재(400)를 수동으로 회전시켜서 세팅시키게 된다.
공기유도판부재(250)의 각도를 세팅시킨 후의 공기유도판부재(250)의 회전은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300)에 의해서 동력이 전달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300)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300)은 내부직진공(321)과 스프링걸림턱부(322) 및 체결공(323)과 상부에 대향된 한쌍의 경사가이드공(324)을 가진 바디부재(320)와, 상기 바디부재(320) 상단부에 체결되는 캡부재(330)를 구비한다.
또한, 캡부재(330)의 수직공(331) 상부에 체결되고 온도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왁스(341)의 체적 팽창에 의해 피스톤봉(342)이 전진되게 이동되는 공지의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 및 피스톤봉(342)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되게 이동되도록 내부직진공(321)에 설치되는 동시에 경사가이드공(324)으로 양단부가 관통되게 설치된 핀봉(351)이 하강되면서 경사가이드공(324)의 상사점(324a)과 하사점(325b) 간의 원주거리(k)만큼 회전운동되는 운동전환부재(350)를 구비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는 그 피스톤봉(342)이 운동전환부재(350)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부(353)에 삽입되어 점접촉되게 조립되는 것이며, 상기한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는 열을 받으면 체적이 팽창되고 열을 외부로 빼앗기면 체적이 수축되는 왁스(341)가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왁스(341)의 체적 팽창에 따라 가압되어 앞쪽으로 전진되게 이동되는 피스톤봉(342)을 가진 것으로서 이미 알려진 공지된 부품이기 때문에 상세한 내부 구조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부호 343은 왁스(341)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을 나타낸 것이다.
운동전환부재(350)의 하부 세레이션홈부(352) 내에 세레이션축부(361)가 삽입되어 회전운동을 전달 받아 회동되며 키걸림축부(362)가 키걸림공(222)에 결합되어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를 회전되게 하는 회전운동전달부재(360) 및 상기 회전운동전달부재(360)를 상승되게 이동시키기 위한 탄력부재(370)를 구비한다.
상기 세레이션홈부(352) 및 세레이션축부(361)는 각각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작은 톱니모양의 돌기를 등간격적으로 형성시켜 상호 결합되게 하는 세레이션(serration)홈부(352) 및 세레이션축부(361)를 나타낸다.
세레이션홈부(352)에 세레이션축부(361)가 끼워지도록 결합된 상태에서는 운동전환부재(350)가 하강 또는 상승 이동되면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면 이러한 운동전환부재(350)의 하강 및 상승 이동이 가능하게 되면서도 세레이션축부(361)에 회전운동이 전달되어 회전운동전달부재(360)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300)은 바디부재(320)의 내부직진공(321)에 탄력부재(370)와 회전운동전달부재(360)가 삽입되게 조립되고 세레이션축부(361)가 세레이션홈부(352)에 삽입되도록 운동전환부재(350)가 삽입된다.
다음, 바디부재(320)의 일측 경사가이드공(324)을 통해 핀봉(351)을 운동전환부재(350)의 핀공(355)에 끼워서 조립한다.
이때, 핀봉(351)의 양단부는 경사가이드공(324)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핀봉(351)이 핀공(355)에 억지끼움되도록 한다.
다음, 캡부재(330)의 수직공(331)으로 운동전환부재(350)의 수직축부(354)가 끼워지도록 캡부재(330)를 바디부재(320) 상단부에 체결한다. 부호 325 및 333은 체결을 위한 나사부를 나타낸다.(도 7 참조)
다음, 상기 수직공(331)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부(332)에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를 체결하여 피스톤봉(342)이 홈부(35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점접촉되게 조립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300)이 조립 완성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조립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공기유도수단(200)을 프레임부재(100)의 공기통과공(110)에 삽입시켜 원형프레임(210)이 걸림턱부(120)에 걸림되게 설치한다.
다음, 위쪽에서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300)을 조립시키되 키걸림축부(362)가 공기유도수단(200)의 부품들의 중앙부를 관통하게 조립한 후 바디부재(320)를 회전시켜서 체결공(323)에 체결부(232)가 체결되게 한 다음 로크너트(233)를 회전시켜 바디부재(320) 쪽으로 조임되게 함으로써 체결공(323)과 체결부(232)가 풀어지지 않게 조립한다.
다음, 키걸림공(222)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키걸림축부(362)의 나사부(362b)에는 세팅조절부재(400)의 너트(410)가 체결되게 한다.
그리고 바디부재(320)가 중앙부에 고정된 고정부재(310)의 양측 고정부(311)를 프레임부재(100) 내면에 스폿트 용접하여 고정되게 한다.
도 11은 고정부재(310)에 의해 바디부재(320)가 중앙에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부재(310)는 바디부재(320)의 평면부(326)에 밀착되게 고정되므로 바디부재(32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고정나사(327)로 체결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3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냉방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의 왁스(341)가 열을 외부로 빼앗기게 되므로 수축된 상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탄력부재(370)의 힘(탄력)에 의해서 운동전환부재(350)가 위쪽으로 상승되어 수직축부(354)가 피스톤봉(342)를 가압하게 되므로 그 피스톤봉(342)는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의 핀봉(351)은 도 9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가이드공(324)의 상사점(324a) 위치에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태에서 난방공기(30℃)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의 왁스(341)가 열을 전달 받게 되므로 팽창되게 되고 그로 인해 왁스(341)의 부피 팽창에 의해서 피스톤봉(342)이 전진되게 이동되어 도 8b와 같이 수직축부(354)를 밑으로 이동되게 가압함으로써 운동전환부재(350)가 내부직진공(321)에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핀봉(351)은 도 9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경사가이드공(324)의 하사점(324b)으로 이동되게 되고, 이러한 이동 과정에 경사가이드공(324)의 상사점(324a)과 하사점(325b)간의 원주거리(k)만큼 운동전환부재(350)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냉방공기에 의해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가 열을 빼앗기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의 왁스(341)가 열을 외부로 빼앗기게 되므로 수축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탄력부재(370)의 탄력에 의해서 운동전환부재(350)가 위쪽으로 가압되어 수직축부(354)가 피스톤봉(342)를 밀게 되므로 그 피스톤봉(342)는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는 동시에 핀봉(351)은 경사가이드공(324)의 하사점(325b)에서 상사점(324a) 위치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하사점(325b)에서 상사점(324a)간의 원부거리(k)만큼 운동전환부재(350)가 회전된다.
즉, 난방공기 공급시에는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의 피스톤봉(324)의 가압력에 의해 운동전환부재(350)가 하강 이동되는 동시에 핀봉(351)이 경사가이드공(324)의 상사점(324a)에서 하사점(325b)으로 이동되면서 원주거리(k)만큼 운동전환부재(350)가 우회전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냉방공기 공급시에는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의 피스톤봉(324)의 가압력이 상실되므로 탄력부재(370)의 탄력에 의해 운동전환부재(350)가 상승되게 이동되는 동시에 핀봉(351)이 경사가이드공(324)의 하사점(325b)에서 상사점(324a)으로 이동되면서 원주거리(k)만큼 운동전환부재(350)가 좌회전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운동전환부재(350)의 우회전 또는 좌회전 운동되는 회전력은 회전운동전달부재(360)에 전달된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운동전달부재(360)의 회전력은 키걸림축부(362)를 통해서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서 회전기어부(221)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기어(241)를 가진 피니언회동부재(240)를 정,역회전시키게 되므로 피니언회동부재(240)와 연결되어 있는 공기유도판부재(250)를 수직방향에서 대각선방향 또는 그 반대적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도 10은 냉방공기 공급시의 동작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는 난방공기 공급시의 동작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공기유도판부재(250)의 회동운동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에 의해서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냉방공기 공급시의 개략도로서, 공기유도판부재(250)가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갖게 되므로 냉방공기는 프레임부재(100) 내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불어지게 되므로 냉방공기는 회오리 바람이 되면서 실내로 넓게 확산되어 공급되게 된다.
도 14는 난방공기 공급시의 개략도로서, 이때는 공기유도판부재(25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갖게 되므로 난방공기는 실내에 수직방향으로 확산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서 실내에 공급되는 냉,난방공기의 종류에 따라 공기가 불어지는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디퓨저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계절마다 수작업으로 디퓨져의 바람 방향이 바뀌도록 수많은 디퓨저를 일일이 조절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디퓨저의 전체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요부 분리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유도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유도수단의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유도수단의 결합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유도판부재의 회전 상태를 설명하는 도 5의 X-X'선 확대 요부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의 전체 분리 일부 단면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일부 단면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및 냉방공기 공급상태에서의 전체 단면 구성도,
도 11은 도 1의 Y-Y'선 확대 요부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난방공기 공급상태에서의 전체 단면 구성도,
도 13은 본 고안의 냉방공기 공급 상태의 전체 개략 상태도,
도 14는 본 고안의 난방공기 공급 상태의 전체 개략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프레임부재 200 : 공기유도수단
210 : 원형프레임 220 : 래크형회전기어부재
230 : 기어지지부재 240 : 피니언회동부제
250 : 공기유도판부재 300 :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
310 : 고정부재 320 : 바디부재
324 : 경사가이드공 330 : 캡부재
340 : 온도감지센서실린더 350 : 운동전환부재
351 : 핀봉 360 : 회전운동전달부재
370 : 탄력부재 400 : 세팅조절부재

Claims (2)

  1. 덕트(10)로 공급되는 냉,난방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과공(110)을 가지며 천장부재(2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재(100)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통과공(110) 하측 내면부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원형프레임(210)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면부에 회전기어부(221)를 가진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가 회전되면 기어지지부재(230)에 원형상으로 다수 형성된 회전지지홈부(231)와 중심부재(235)에 지지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기어부(221)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241)를 가진 피니언회동부재(240)가 회전되는 동시에 피니언회전부재(240) 외측으로 연결된 공기유도판부재(250)가 회동되어 공기통과공(110)을 통과하는 공기가 수직방향이나 대각선방향으로 전환되어 공급되게 하는 공기유도수단(200)과;
    상기 기어지지부재(230) 상단체결부(232)와 체결되고 고정부재(310)에 의해 프레임부재(100) 중앙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부직진공(321)과 스프링걸림턱부(322) 및 체결공(323)과 상부에 대향된 한쌍의 경사가이드공(324)을 가진 바디부재(320)와, 상기 바디부재(320) 상단부에 체결되는 캡부재(330)와, 상기 캡부재(330)의 수직공(331) 상부에 체결되고 온도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왁스(341)의 체적 팽창에 의해 피스톤봉(342)이 전진되게 이동되는 공지의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와, 상기 피스톤봉(342)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되게 이동되도록 내부직진공(321)에 설치되는 동시에 경사가이드공(324)으로 양단부가 관통되게 설치된 핀봉(351)이 하강되면서 경사가이드공(324)의 상사점(324a)과 하사점(325b)간의 원주거리(k)만큼 회전운동되는 운동전환부재(350)와, 상기 운동전환부재(350)의 하부 세레이션홈부(352) 내에 세레이션축부(361)가 삽입되어 회전운동을 전달 받아 회동되며 키걸림축부(362)가 키걸림공(222)에 결합되어 래크형회전기어부재(220)를 회전되게 하는 회전운동전달부재(360)와, 상기 회전운동전달부재(360)를 상승되게 이동시키기 위한 탄력부재(370)를 가진 온도감지자동전환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키걸림공(222)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키걸림축부(362)의 나사부(362b)에는 세팅조절부재(400)의 너트(410)가 체결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실린더(340)의 피스톤봉(342)이 운동전환부재(350)의 수직축부(354)에 형성된 홈부(353)에 삽입되어 점접촉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저.
KR20-2005-0006606U 2005-03-11 2005-03-11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저 KR200385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606U KR200385252Y1 (ko) 2005-03-11 2005-03-11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606U KR200385252Y1 (ko) 2005-03-11 2005-03-11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252Y1 true KR200385252Y1 (ko) 2005-05-25

Family

ID=4368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606U KR200385252Y1 (ko) 2005-03-11 2005-03-11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25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029B1 (ko) 2013-06-24 2014-06-20 조연흔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KR102071523B1 (ko) 2019-05-10 2020-01-30 주식회사 동양기술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KR102080273B1 (ko) * 2019-07-26 2020-02-24 주식회사 선우오토텍 공조용 디퓨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029B1 (ko) 2013-06-24 2014-06-20 조연흔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KR102071523B1 (ko) 2019-05-10 2020-01-30 주식회사 동양기술 송풍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기
KR102080273B1 (ko) * 2019-07-26 2020-02-24 주식회사 선우오토텍 공조용 디퓨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5252Y1 (ko)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저
KR100679432B1 (ko)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져
KR20060136302A (ko)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져
US20030092373A1 (en) Faceplate of a blower for an air conditioner
KR101410029B1 (ko)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KR200446705Y1 (ko) 에어컨 풍향조절장치
KR200394759Y1 (ko)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져
KR19990049892A (ko) 공기조화기의 좌우풍향 조절장치
KR200425127Y1 (ko) 풍향이 변환되는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용 제트팬
KR100338188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형 자동 디퓨져
KR200450750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덕트프레임 고정구조
KR200410119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풍향자동전환장치
KR200287333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10057458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용 풍향조절장치
KR200245715Y1 (ko) 에어컨디셔너의실외기설치구조
KR200475753Y1 (ko) 디퓨져의 풍향 조절장치
KR100734485B1 (ko) 에어컨 실외기 그릴 장착구조
KR200312148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서비스밸브 장착구조
KR200282154Y1 (ko) 실외기의 서비스 밸브 조립구조
KR100284145B1 (ko) 자동 선회조절 가능한 블레이드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천장 그릴
KR20060071477A (ko) 자동차용 덕트 벤트 구조
KR200210378Y1 (ko) 디퓨져의 조립구조
KR20030088615A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0256414B1 (ko) 공기조화기의 좌우풍향 조절장치
KR200239027Y1 (ko) 풍향조절기능이 부여된 건물용 통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