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029B1 -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 Google Patents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029B1
KR101410029B1 KR1020130072615A KR20130072615A KR101410029B1 KR 101410029 B1 KR101410029 B1 KR 101410029B1 KR 1020130072615 A KR1020130072615 A KR 1020130072615A KR 20130072615 A KR20130072615 A KR 20130072615A KR 101410029 B1 KR101410029 B1 KR 10141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le
diffuser
ro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연흔
Original Assignee
조연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연흔 filed Critical 조연흔
Priority to KR102013007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로 공급되는 냉·난방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디퓨져날개의 회전 방향을 정·역회전시켜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에 따라 에어의 흐름 상태가 스웰을 갖는 수직 또는 직선형 수직으로 변환시켜 에어를 공급하는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의 디퓨져는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하부가 관통된 몸체 내측의 하단에는 일방향으로 절곡된 날개안내판이 구비된 고정판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축공이 형성되되 날개안내판이 절곡되어 형성된 고정판에는 통기공이 구비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고정되며 통공을 중심부에 형성하는 고정받침부재와; 상기 온도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는 열매체가 충입된 저장통에는 열매체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작동로드로 이루어진 온도감응수단과; 상기 케이싱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연결나사부를 내측에 형성한 단턱부가 일체로 구비된 몸통에는 길이방향으로 핀가이드공이 구비되며 내측의 공간에는 스프링수단이 설치되며 통공의 반대쪽으로는 결합로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이동체수단과; 상기 핀가이드공에 삽입되는 핀봉과; 상기 핀봉을 일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상부에 구비하고 내측으로는 통체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설치공간부를 형성하되 외통체에는 이동체수단을 직선이송시키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경사가이드공이 양측에 구비되며 이동체수단의 하부 주연부에는 고정받침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운동변환수단과; 상기 고정판의 축공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하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일방향으로 절곡된 날개안내판이 구비된 회전틀체에는 통체의 결합로드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안내판이 절곡되어 통기공을 형성하는 에어방향전환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Diffuser to control flowing shape of air which is supplied according to tempetature variation}
본 발명은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로 공급되는 냉, 난방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디퓨져날개의 회전 방향을 정·역회전시켜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에 따라 에어의 흐름 상태가 스웰을 갖는 수직 또는 직선형 수직으로 변환시켜 에어를 공급하는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공간을 비롯한 강당, 대합실, 극장, 전시장 등의 실내 공간은 최적의 쾌적한 공간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계절에 따라 냉·난방냉·난방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를 위해 갖추어지는 공기조화기(airconditioner)는 대개, 냉기를 생성하는 냉방기부와, 온기를 생성하는 난방기부, 그리고 상기 냉·난방기부 각각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강제 송풍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송풍기부로 구성되어진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측에 설치되는 증발기(2a)와, 대기 측에 설치되는 응축기(4)를 냉매배관(6)(8)으로 연결하고, 하나의 냉매배관(6) 중에 압축기(9)를 설치하고, 다른 하나의 냉매배관(8) 중에 리시버드라이어(5) 및 팽창밸브(V)를 설치하여 냉방기부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원(2b) 및 상기 냉방기부의 증발기(2a) 측으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14a)(14b)과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상기 송풍팬(14a)(14b)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덕트(60)로서 상기 송풍기부를 구성하게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덕트(60)의 말단부에는 디퓨져(도시생략)를 장착하여 냉풍 및 온풍을 효과적으로 취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디퓨져는 대개 냉풍 취출시와 온풍 취출시에 각각 알맞도록 가변 작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디퓨져는 모터를 일일이 정·역방향으로 구동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냉풍 또는 온풍의 취출량을 모터의 구동량으로 조절해야만 하므로 결국 모터에 전류인가시간을 제어하여 취출 풍량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러한 모터의 구동이 원하는 정도로 정확히 제어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기 취출시 가변되어 디퓨져를 차단하는 날개에 의해 냉풍 흐름에 저항을 주게 되므로 냉풍 취출량을 감소시키게 되고, 따라서 충분한 냉방이 곤란하며 특히 대형 공간인 강당, 대합실, 극장, 전시장 등의 실내를 효과적으로 냉방할 수 없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36785호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96642호가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선등록된 상기 종래 디퓨져들은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중 고장의 우려가 높고 제조원가의 상승을 야기하므로 대외 경쟁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도 변화에 따라 작동되는 온도감응형 작동수단이 다른 구성부품을 작동시켜 직선운동 →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 → 회전운동 순으로 운동전달이 이루어지므로 운동전달 구간이 많아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에 바로 반응하여야 하는데 반응 속도에 늦게 작동하는 문제점과, 공급되는 에어의 배출 형태를 조절하는 공기유도회전부재가 최외각 하단에 설치됨으로 상기 공기유도회전부재가 회전 작동 중 너트의 풀림으로 자중에 의해 공기유도회전부재가 떨어져 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36785호.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96642호.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사용중 고장의 우려가 적고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대외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감응형 작동수단의 직선운동이 바로 공기유도회전부재에 전달되어 회전시키며 온도변화에 따른 반응속도가 빠르며, 공급되는 에어의 배출 형태를 조절하는 공기유도회전부재가 회전축에 의해 지지 및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공기유도회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공기유도회전부재가 밑으로 떨어짐을 방지하여 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등의 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하부가 관통된 몸체 내측의 하단에는 일방향으로 절곡된 날개안내판이 구비된 고정판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축공이 형성되되 날개안내판이 절곡되어 형성된 고정판에는 통기공이 구비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고정되며 통공을 중심부에 형성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통공을 관통하도록 온도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는 열매체가 충입된 케이싱에는 열매체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작동로드로 이루어진 온도감응수단과; 상기 통공을 관통한 케이싱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연결나사부를 내측에 형성한 단턱부가 일체로 구비된 몸통에는 길이방향으로 핀가이드공이 구비되며 내측의 공간에는 스프링수단이 설치되며 통공의 반대쪽으로는 결합로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통체와; 상기 핀가이드공에 삽입되는 핀봉과; 상기 핀봉을 일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상부에 구비하고 내측으로는 통체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설치공간부를 형성하되 외통체에는 통체를 지선이송시키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경사가이드공이 양측에 구비된 운동변환수단과; 상기 고정판의 축공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하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일방향으로 절곡된 날개안내판이 구비된 회전틀체에는 통체의 결합로드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안내판이 절곡되어 통기공을 형성하는 에어방향전환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결합로드가 사각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핀봉에는 온도감응수단의 작동로드와 접촉되는 부분에 평면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내로 공급되는 냉·난방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디퓨져날개의 회전 방향을 정·역회전시켜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에 따라 에어의 흐름 모양을 스웰을 갖는 수직 또는 직선형 수직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되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사용중 고장의 우려가 낮고 제조원가의 절감하여 대외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감응형 작동수단의 직선운동이 바로 공기유도회전부재에 전달되어 회전시키며 온도변화에 따른 반응속도가 빠르며, 공급되는 에어의 배출 형태를 조절하는 공기유도회전부재가 회전축에 의해 지지 및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공기유도회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공기유도회전부재가 밑으로 떨어짐을 방지하여 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등의 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도 1은 일반적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시스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요지인 이동체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요지인 운동변환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요지인 이동체수단과 운동변환수단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a는 핀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b는 결합로드와 연결부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디퓨져의 작동에 의하여 공급되는 에어가 수직방향의 직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디퓨져의 작동에 의하여 공급되는 에어가 스웰을 형성하면서 수직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디퓨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디퓨져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이에 따른 본 발명인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1)의 구조는 상·하부가 관통된 몸체(110) 내측의 하단에는 일방향으로 절곡된 날개안내판(120)이 구비된 고정판(130)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130)에는 축공이 형성되되 날개안내판(120)이 절곡되어 형성된 고정판(130)에는 통기공(140)이 구비된 케이싱(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통공(210)을 중심부에 형성하는 고정받침부재(20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받침부재(200)의 고정공(220)에는 운동변환수단(30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운동변환수단(300)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310)을 외통체(320)의 하부 주연부에 형성하고 결합공(310) 사이에는 이동체수단(400)이 삽입 설치되는 설치공간부(330)를 형성하되 상기 외통체(320)에는 이동체수단(400)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경사가이드공(340)이 양측에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고정판(130)의 축공에 삽입되는 회전축(610)을 하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일방향으로 절곡된 날개안내판(620)이 구비된 회전틀체(630)에는 이동체수단(400)의 결합로드(410)가 연결되는 연결부(640)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안내판(620)이 절곡된 자리에는 통기공(660)을 형성하는 에어방향전환수단(600)이 설치된다.
한편 온도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는 열매체가 충입된 저장통(510)에는 열매체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작동로드(52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온도감응수단(500)의 하단이 이동체수단(400)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이동체수단(400)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감응수단(500)의 하단이 나사 결합되는 통공(450)이 형성된 단턱부가 일체로 구비된 몸통(420)에는 길이방향으로 핀가이드공(430)이 구비되며 내측의 공간에는 스프링수단(440)이 설치되며 통공(450)의 반대쪽으로는 에어방향전환수단(600)의 연결부(640)에 나합되는 결합로드(41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 이동체수단(400)은 운동변환수단(300)의 설치공간부(330)에 삽입 설치되며, 이때 상기 이동체수단(400)의 핀가이드공(430)과 운동변환수단(300)의 경사가이드공(340)을 관통되도록 삽입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핀봉(800)이 설치되며 상기 핀봉(800)은 스프링수단(440)에 의해 항상 상부로 가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결합로드(410)를 첨부도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봉으로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를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동체수단(400)의 결합로드(410)가 연결되는 연결부(640)는 결합로드(410)가 사각봉 일 경우 통상적인 파이프 형태의 봉이지만 결합로드의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면 연결부(640) 내측에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첨부도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봉(800)에는 온도감응수단(500)의 작동로드(520)와 접촉되는 부분에 평면부(810)를 더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의 몸체(110)로 유입 공급되는 온도가 낮을 때에는 온도감응수단(500)의 저장통(510)에 충입되어 있는 열매체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로드(520)가 신장되어 있지 않고 접어 있는 상태이다.
즉 팽창력에 의해 작동로드(520)가 신장되어 있지 않아 스프링수단(440)의 탄성력에 의해 핀봉(800)이 상부로 가압되어 있어 이동체수단(400)의 핀가이드공(420)과 운동변환수단(300)의 경사가이드공(340)의 최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핀가이드공(420)과 경사가이드공(340)에 핀봉(800)이 걸려 더 이상 핀봉(800)이 상부로 이동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핀봉(800)이 핀가이드공(430)과 경사가이드공(340)의 최상부에 걸려 있게 되면 수직중심과 핀가이드공(430)과 경사가이드공(340)의 중심이 일치 또는 평행하게 됨으로 통기공(140)을 막고 있던 에어방향전환수단(600)의 날개안내판(620)이 일측으로 회전되면서 케이싱(100)의 날개안내판(120)과 겹쳐지면서 한쪽으로 몰리게 되면서 통기공(140)(660)들도 겹쳐지게 되어 통기공(140)(660)이 개방되면서 공급에어가 수직방향에서도 직선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에어방향전환수단(600)의 회전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케이싱(100)의 몸체(110) 내측 하단에 구비된 고정판(130)의 축공에는 에어방향전환수단(600)의 회전축(610)이 삽입되어 있어 에어방향전환수단(600)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수직방향의 회전 중심점이 되어 에어방향전환수단(600)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게 한다.
한편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의 고온일 경우 첨부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감응수단(500)의 저장통(510)에 충입되어 있는 열매체가 팽창하게 되면서 작동로드(520)가 팽창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밀려 길이가 신장 된다.
상기 작동로드(520)가 팽창력에 의해 신장되면 작동로드(520)의 끝단과 접촉하고 있는 핀봉(80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며 상기 핀봉(800)은 가압력에 의해 핀봉(800)을 탄성력으로 받치고 있던 스프링수단(440)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핀봉(800)은 스프링수단(440)을 가압함과 동시에 이동체수단(400)의 핀가이드공(430)을 따라 직선이동하게 되지만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봉(800)이 L의 거리로 기울어져 있는 경사가이드공(340)도 관통하고 있어 핀봉(800)이 H라는 높이 만큼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의 거리 만큼 이동체수단(40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핀봉(800)에는 온도감응수단(500)의 작동로드(520)와 접촉되는 부분에 평면부(810)를 형성시키면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체수단(400)이 하방향으로 이동과 동시에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면 결합로드(410)가 회전틀체(630)의 연결부(640)에 연결된 에어방향전환수단(600)이 이동체수단(400)의 회전각도와 동일하게 회전되기 때문에 케이싱(100)에 구비된 통기공(140)의 상부에 에어방향전환수단(600)의 날개안내판(620)이 위치하게 되면서 공급된 에어는 경사져 형성된 날개안내판(620) 및 케이싱(100)에 고정 설치된 날개안내판(120)에 의해 사선방향으로 공급되므로 공급되는 에어는 스웰을 형성하게 되면서 수직방향으로 공급되게 된다.
1 : 디퓨져 100 : 케이싱
110 : 몸체 120, 620 : 날개안내판
130 : 고정판 140, 660 : 통기공
200 : 고정받침부재 210, 450 : 통공
220 : 고정공 300 : 운동변환수단
310 : 결합공 320 : 외통체
330 : 설치공간부 340 : 경사가이드공
400 : 이동체수단 410 : 결합로드
420 : 몸통 430 : 핀가이드공
440 : 스프링수단 500 : 온도감응수단
510 : 저장통 520 : 작동로드
600 : 에어방향전환수단 610 :회전축
620 : 날개안내판 630 : 회전틀체
640 : 연결부 800 : 핀봉

Claims (3)

  1.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하부가 관통된 몸체 내측의 하단에는 일방향으로 절곡된 날개안내판이 구비된 고정판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축공이 형성되되 날개안내판이 절곡되어 형성된 고정판에는 통기공이 구비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고정되며 통공을 중심부에 형성하는 고정받침부재와;
    상기 온도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는 열매체가 충입된 저장통에는 열매체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작동로드로 이루어진 온도감응수단과;
    상기 케이싱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연결나사부를 내측에 형성한 단턱부가 일체로 구비된 몸통에는 길이방향으로 핀가이드공이 구비되며 내측의 공간에는 스프링수단이 설치되며 통공의 반대쪽으로는 결합로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이동체수단과;
    상기 핀가이드공에 삽입되는 핀봉과;
    상기 핀봉을 일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하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상부에 구비하고 내측으로는 통체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설치공간부를 형성하되 외통체에는 이동체수단을 직선이송시키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경사가이드공이 양측에 구비되며 이동체수단의 하부 주연부에는 고정받침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운동변환수단과;
    상기 고정판의 축공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하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일방향으로 절곡된 날개안내판이 구비된 회전틀체에는 통체의 결합로드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안내판이 절곡되어 통기공을 형성하는 에어방향전환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로드가 사각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봉에는 온도감응수단의 작동로드와 접촉되는 부분에 평면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KR1020130072615A 2013-06-24 2013-06-24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KR10141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15A KR101410029B1 (ko) 2013-06-24 2013-06-24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15A KR101410029B1 (ko) 2013-06-24 2013-06-24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029B1 true KR101410029B1 (ko) 2014-06-20

Family

ID=51133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615A KR101410029B1 (ko) 2013-06-24 2013-06-24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0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238Y1 (ko) * 2014-10-16 2015-05-21 주식회사 씨앤씨코리아 디퓨져
WO2017164513A1 (ko) * 2016-03-22 2017-09-28 유원엔지니어링(주) 열구동 방식 변풍량 디퓨저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중앙 자동제어시스템
KR20180002935A (ko) * 2016-06-29 2018-01-09 이범선 가변 날개부를 구비한 디퓨져
KR102080273B1 (ko) 2019-07-26 2020-02-24 주식회사 선우오토텍 공조용 디퓨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701A (ko) * 2002-08-29 2004-03-06 최진규 그릴 구동장치를 갖는 냉난방기용 디퓨저
KR200385252Y1 (ko) 2005-03-11 2005-05-25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저
KR20120008524U (ko) * 2011-06-02 2012-12-12 문치영 공기조화기용 자동 조절형 스월 디퓨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701A (ko) * 2002-08-29 2004-03-06 최진규 그릴 구동장치를 갖는 냉난방기용 디퓨저
KR200385252Y1 (ko) 2005-03-11 2005-05-25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냉난방공기 공급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용디퓨저
KR20120008524U (ko) * 2011-06-02 2012-12-12 문치영 공기조화기용 자동 조절형 스월 디퓨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238Y1 (ko) * 2014-10-16 2015-05-21 주식회사 씨앤씨코리아 디퓨져
WO2017164513A1 (ko) * 2016-03-22 2017-09-28 유원엔지니어링(주) 열구동 방식 변풍량 디퓨저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중앙 자동제어시스템
US10746430B2 (en) 2016-03-22 2020-08-18 Youone Engineering Co., Ltd. Centralized automatic control system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viable air volume diffuser of thermal driving method
KR20180002935A (ko) * 2016-06-29 2018-01-09 이범선 가변 날개부를 구비한 디퓨져
KR101881642B1 (ko) 2016-06-29 2018-08-27 이범선 가변 날개부를 구비한 디퓨져
KR102080273B1 (ko) 2019-07-26 2020-02-24 주식회사 선우오토텍 공조용 디퓨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029B1 (ko)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CN107314452B (zh) 壁挂式室内机及空调器
JP6072561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6090113A (ja) 空気調和機
KR100936785B1 (ko) 공기조화기용 자동 스월디퓨져
US6176435B1 (en) Thermally powered diffuser
EP3722692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4852635B2 (ja) 空気温調機のファン制御方法及び空気温調機
JP2012141114A (ja) 輻射パネル式冷暖房機
KR100597224B1 (ko) 공기조화기용 자동 스월디퓨져
KR200476276Y1 (ko) 송풍방향 조절장치
KR20160112095A (ko) 제습 냉방기용 가변풍량 디퓨져 및 이를 이용한 제습 냉방 시스템
CN106679108A (zh) 空调室外机的控制方法
CN205026893U (zh) 中央空调出风口智能挡板
CN105240939B (zh) 一种空气调节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00025301A (ko)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JP6682292B2 (ja) 空気調和装置
JP5063498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CN111912000B (zh) 一种室内空调器
CN205048569U (zh) 一种空气调节装置
FI125362B (fi) Ilmastointilaite
KR101319262B1 (ko) 변풍량 디퓨저
JPH10220825A (ja) 輻射式空気調和装置
JP7118264B2 (ja) 吹出グリル、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KR200333695Y1 (ko) 룸에어컨의 수직 블레이드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