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608B1 - 회로장치 - Google Patents

회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608B1
KR100291608B1 KR1019920020908A KR920020908A KR100291608B1 KR 100291608 B1 KR100291608 B1 KR 100291608B1 KR 1019920020908 A KR1019920020908 A KR 1019920020908A KR 920020908 A KR920020908 A KR 920020908A KR 100291608 B1 KR100291608 B1 KR 10029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witching element
converter
circu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779A (ko
Inventor
마리아 후베르투스 린쎈 헨리쿠스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93001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881Load circuits; Control thereof
    • H05B41/2882Load circuits; Control thereof the control resulting from an action on the static converter
    • H05B41/2883Load circuits; Control thereof the control resulting from an action on the static converter the controlled element being a DC/AC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e.g. by harmonic mode star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H05B41/2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885Static converters especially adapted therefor; Control thereof
    • H05B41/2886Static converters especially adapted therefor; Control thereof comprising a controllable preconditioner, e.g. a boos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8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during the transitional start-up phase
    • H05B41/38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during the transitional start-up phase for a transition from glow to ar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5/00Electric lamp and discharge devices: systems
    • Y10S315/05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fluorescent 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5/00Electric lamp and discharge devices: systems
    • Y10S315/07Starting and control circuits for gas discharge lamp using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C-AC 변환기를 구비하는 방전 램프 동작용 회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DC-AC 변환기는, 단방향 소자(D1, D2)에 의해 분로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S1, S2)의 직렬 회로를 구비하며, 양단부에 DC 전압원의 극들( poles)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접속 단자(K1, K2)를 구비하는 분기 A와, 상기 분기 A의 스위칭 소자들 중 하나를 분로하며, 램프를 적절하게 수용하는 접속 단자(K5, K6) 및 유도 수단(L1)을 구비하는 부하 분기 B와, 상기 분기 A의 스위칭 소자 각각이 교대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되도록 램프의 정상 작동 기간 동안에 제1 구동 신호를 발생하며, 이에 의해 각각의 스위칭 소자는, 다른 한쪽의 스위칭 소자가 비전도 상태에 있는 동안의 시간 간격 내에서 연속으로 한 번씩 전도 및 비전도상태로 되는, 제1 구동 회로 I를 구비하는 DC-AC 변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회로 장치는 상기 DC-AC 변환기는, 상기 제1 구동회로 I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 소자 각각이 교대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되도록 하는 제2 구동 신호를 발생하며, 이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 각각은, 다른 쪽의 스위칭 소자가 상기 제1 구동 신호에 의해 비전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의 시간 간격 내에서 한 번 이상씩 연속적으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되는, 제2 구동 회로 II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실시예 도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분기 B : 부하 분기
L1,L2 : 코일 D1,D2 : 다이오드
LM : 램프 S1,S2 : 스위칭 소자
본 발명은 DC-AC 변환기를 포함하는 방전 램프의 작동을 위한 회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DC-AC 변환기는, - 단방향 소자에 의해 각각 분로된 두 개의스위칭 소자의 직렬 회로를 포함하며, 양 단부에는 DC 전압원의 극들(poles)과 접속하기에 적합한 접속단자 K1 및 K2를 구비하는 분기 A와, - 상기 분기 A의 스위칭 소자 중의 하나를 분로하며, 램프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접속 단자들과 유도 수단을 포함하는 부하 분기 B와, -상기 분기 A의 스위칭 소자 각각이 교대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되도록 램프의 정상 작동 동안 제1 구동 신호를 발생하며, 이에 의해 상기 각각의 스위칭 소자는, 다른 스위칭 소자가 비전도되는 동안의 시간 간격 내에서 연속으로 한 번씩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되는 제1 구동 회로 I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 장치는 유럽 특허 EP-A-0408121 A2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회로 장치에서 제1 구동 회로의 주파수는 비교적 낮으며, 그 결과 상기 회로 장치에서 동작하는 램프는 비교적 낮은 주파수로 정류되는 직류 전류를 전달한다. 몇몇 형태의 방전 램프의 발광 효과, 보다 구체적으로 몇몇 형태의 고압 방전 램프의 발광 효과는, 이들 램프들이 직류로 동작할 때 비교적 높다. 방전 램프의 전기 이동(cataphoresis)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직류 전류를 낮은 주파수에서 정류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상기 회로 장치에서 작동하는 램프가 고압 방전 램프인 경우에서 종래의 회로 장치의 단점은, 램프 점화 후의 인계(Take-Over)가 비교적 열등하고 램프의 런-업(run-up)을 제어하는데 적절한 대비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본 문헌에서 인계(Take-Over)란 점화 후의 램프에서 방전의 안정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램프의 인계가 비교적 열등하면 점화에 의해 초기화된 램프의 방전이 안정화되지 못하여, 램프가 꺼져 버리게 된다. 고압 방전 램프의 런-업은 고압 방전 램프의 점화와 램프가 정상 동작 상태에 도달되는 순간 사이의 시간 간격 동안에 행해진다. 램프 양단의 전압은 상기 런-업 기간 동안 강하게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램프의 상기 런-업 기간 동안에 DC-AC 변환기에 제공하는 DC 전압원은 램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DC 전압을 공급해야만 하며, 이것은 실현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언급한 회로 장치에서 동작하는 고압 방전 램프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인계(take-over)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회로 장치가 고압 방전 램프의 런-업을 제어하는 수단도 구비하는 상기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는 상기 목적을 위해 상기 DC-AC 변환기가, - 상기 제1 구동 회로 I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 소자 각각이 교대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되도록 하는 제2 구동 신호를 발생하며, 이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 각각은, 다른 쪽의 스위칭 소자가 상기 제1구동 신호에 의해 비전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의 시간 간격 내에서 한 번 이상씩 연속적으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되는, 제2 구동 회로 II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에서 동작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런-업 기간 동안, 상기 제1 구동 회로의 주파수에 따라 전환되는 두 가지의 다른 동작 상태에 있게 된다. 제1 동작 상태에서, 분기 A의 제1 스위칭 소자는, 제1 구동 신호가 다른 스위칭 소자를 비전도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제2 구동 신호에 의해 교대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된다. 제2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가 상기 제1 구동 신호에 의해 비전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제2 구동 신호가 다른 스위칭 소자를 교대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만든다. 상기회로는 이들 두 가지의 동작 상태에서 포워드 변환기의 역할을 한다. 제2 구동신호의 주파수를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선택하면, 램프의 런-업 기간 중의 램프 전류는, 저주파수로 정류된 직류 전류에 상대적 고주파인 거의 삼각형상의 교류 전류가 중첩되는 형상의 전류로 된다. 상기 직류 전류의 저주파수 정류의 주파수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등가이고, 상대적으로 고주파인, 거의 삼각형상의 교류 전류는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등가이다. 상기 상대적 고주파수인 삼각형상의 교류 전류의 진폭은 저주파수 정류된 직류 전류의 진폭에 비해 비교적 작다. 상기 회로 장치의 제1 및 제2 동작 상태에서의 램프 동작은 점화 후의 고압 방전 램프에서 우수한 연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시에, 비교적 높은 전압 강하가 부하 분기 B의 유도 수단의 양단에 제공된다. 이 전압 강하의 값은 실질적으로, 고주파인 삼각형상의 교류 전류의 진폭에 의하여 배타적으로 결정된다. 상기 고압 방전 램프 양단의 전압이 고압 방전 램프의 런-업 기간 동안 증가하는 순간에는, 상기 상대적으로 고주파인 거의 삼각형상의 교류 전류의 진폭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기 유도 수단 양단의 전압 강하는 그에 대응해서 감소된다. 이에 의해, DC-AC 변환기에 제공되는 DC 전류가 고압 방전 램프의 런-업 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램프 전압은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압 방전 램프의 런-업이 우수하게 제어된다. 상기 고압 방전 장치의 런-업 후에, 상기 제1 구동 회로는 분기 A의 스위칭 소자 각각을 교대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만들고, 이에 의해 각각의 스위칭 소자는, 다른 스위칭 소자가 비전도 상태에 있는 동안의 시간 간격 내에서 한 번씩 연속해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된다. 이 램프 동작은 위에서 언급한 유럽 특허출원 제0408121 A2호의 램프 동작과 일치한다.
특정한 응용에 있어서는 상기 회로 장치가 접속단자 K1 및 K2와 결합되어 있는 DC-AC 변환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자동차에 있어서, 자동차의 금속 할로겐화물(metal halide) 자동차 램프들을 동작시킬 때에 상기 회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 할로겐화물 자동차 램프의 정상동작 동안의 점화 전압은 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가 제공하는 전압보다 더 높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가 제공하는 전압을 DC-DC 변환기를 이용해서 더 높은 값으로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C-DC 변환기가 제공하여 DC-AC 변환기가 제공받는 DC 전압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배열에서 램프가 정상 동작하는 기간뿐만 아니라 램프의 런-업 기간에도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DC-DC 변환기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단순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는, 램프 전류를 측정하는 신호 Si1를 발생하는 수단 III, 램프 전류의 소망값을 나타내는 신호 Si2를 발생하는 수단 IV, 신호 Si1 및 Si2에 기초해서 제2 구동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수단 V가 제공된다. 신호 Si2는 실질적으로 시-독립일 수 있고 시-종속일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고압 방전 장치를 통하는 직류 전류의 진폭을 상기 신호 Si2의 시-종속의 적절한 선택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최적의 순간값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압 방전 램프를 통하는 전류는 런-업 동안에 제어되므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고압 방전 램프의 런-업의 추가 제어가 실현된다.
상기 회로 장치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DC-DC 변환기와 수단 III, 및 수단 IV과 수단 V 모두를 포함하며, 상기 DC-DC 변환기가 스위칭 소자 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회로 장치가, 신호 Si1 및 Si2에 기초하여 DC-DC 변환기의 스위칭 소자의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는 수단 VI과, 접속 단자 K1 및 접속 단자 K2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신호 Si3을 발생하는 수단 VIII과, 접속단자 K1 및 접속 단자 K2 사이의 전위차의 소망의 값을 측정하는 신호 Si4를 발생하는 수단 IX과, 신호 Si3 및 신호 Si4에 기초해서 DC-DC 변환기의 스위칭 소자의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 VI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다른 양호한 실시예를 이용하면, 고압 방전 램프 양단의 전압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상기 고압 방전 램프를 통하는 전류를 수단 V를 이용해서 제어하는 방식으로 해서, 접속 단자 K1 및 접속 단자 K2 사이의 전위차를 상기 고압 방전 램프의 런-업 기간 동안 수단 VII를 이용해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압 방전 장치의 런-업 후, 램프의 정상 동작 동안, 상기 고압 방전 램프 양단의 전압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되고, 수단 VI가 신호 Si1 및 Si2에 기초해서 DC-DC 변환기의 스위칭 소자 S5의 듀티 사이클을 조절함으로써 램프 전류는 제어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램프 동작의 추가 제어가 실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서, 분기 A는 접속 단자 K1 및 K2, 스위칭 소자 S1 및 S2, 및 본 실시예에서 단방향 성분으로 되어 있는 다이오드 D1 및 D2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도 수단을 형성하는 코일 L1, 램프를 적절하게 수용하는 접속 단자 K5 및 K6, 스위칭 소자 S4 및 다이오드 D4을 포함하는 분기와, 코일 L1, 접속 단자 K5 및 K6, 스위칭 소자 S3 및 다이오드 D3을 포함하는 분기는, 본 실시예에서 부하 분기로 간주할 수 있다. 전자의 분기는 부하 분기 B를 형성하고 후자의 분기는 부하 분기 B'을 형성한다. 이후로는 램프 La로 칭하게 될, 고압 방전 램프 La는 접속 단자 K5 및 K6과 접속되어 있다. DC-AC 변환기는 분기 A, 분기 B, 스위칭 소자 S3, 다이오드 D3, 제1 구동 회로 II 등으로 형성된다. DC 전압원 접속에 적절한 접속 단자 K3 및 K4, 코일 L2, 다이오드 D5, 캐패시터 C1, 스위칭 소자 S5 및 회로부 VII는 DC-DC 변환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회로 장치는 저항기 IIIa, 적분기 IIIb 및 회로부 IV, V, VI, VIII, IX 및 X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항기 IIIa 및 적분기 IIIb는 수단 III을 형서하고, 반면에 회로부 IV, V, VI, VIII, IX, X은 수단 IV, V, VI, VIII, IX, X를 각각 형성한다.
접속 단자 K3는 코일 L2, 스위칭 소자 S5 및 저항기 IIIa으로 구성되는 직렬 회로에 의해 접속 단자 K4와 접속되어 있다. 코일 L2와 스위칭 소자 S5의 공통 접합점은 다이오드 D5의 애노드(anode)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5의 캐소드(cathode)는, 캐패시터 C1을 통해, 스위칭 소자 S5와 레지스터 IIIa의 공통 접합점과 접속 단자 K2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5의 캐소드는 또한 접속단자 K1에도 접속되어 있다. 접속 단자 K1은 스위칭 소자 S1 및 S2으로 구성되는 직렬 회로에 의해 접속 단자 K2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1의 캐소드는 접속 단자 K1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1의 애노드와 다이오드 D2의 캐소드는 스위칭 소자 S1 및 S2의 공통 접합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2의 애노드는 접속 단자 K2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는 S2는 코일 L1, 램프 접속 단자 K5, 램프 La, 램프 접속 단자 K5 및 스위칭 소자 S4으로 구성되는 직렬 회로에 의해 분기되어 있다. 접속 단자 K1은 스위칭 소자 S3에 의해 램프 접속 단자 K6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3의 애노드는 램프 접속 단자 K6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3의 캐소드는 접속 단자 K1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4의 캐소드는 램프 접속 단자 K6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 S1, S2, S3 및 S4의 게이트 전극들은 구동 회로 I의 출력들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 S1 및 S2의 게이트 전극들은 또한 구동 회로 II의 출력들에도 접속되어 있다. 구동 회로 I의 한 출력은 구동 회로 II의 한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적분기 IIIb의 입력들은 레지스터 IIIa의 단부들에 접속되어 있다. 적분기 IIIb의 한 출력은 회로부 VI의 한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부 VI의 다른 출력은 회로부 VII의 한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부 VII의 한 출력은 스위칭 소자 S5의 게이트 전극과 접속되어 있다. 적분기 IIIb의 출력은 또한 회로부 V의 한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부 V의 다른 입력은 회로부 VI의 다른 출력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부 V의 한 출력은 구동 회로 II의 한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부 VIII의 한 입력은 접속 단자 K1과 접속되어 있고 회로부 VIII의 다른 입력은 접속 단자 K2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부 VIII의 한 출력은 회로부 X의 한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부 IX의 한 출력은 회로부 X의 다른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부 X의 한 출력은 회로부 VII의 한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회로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DC 전압원이 접속 단자 K3 및 K4에 접속되면, 회로부 VII는 고주파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의해, 스위칭 소자 S5가 교대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되고, 그 결과 DC 전압원에 의해 제공되는 DC 전압은, 접속 단자 K1 및 K2 사이에 존재하는 높은 DC 전압으로 변환되고 이 전압은 DC-AC 변환기를 위한 공급 전압의 역할을 한다. 램프의 런-업 기간 동안에, 회로부 IX는 접속 단자 K1 및 K2 사이의 소망의 전압값을 나타내는 신호 Si4 를 발생하고, 반면에 회로부 VIII 는 접속단자 K1 및 K2 사이의 전압값을 나타내는 신호 Si3 을 발생한다. 스위칭 소자 S5의 듀티 사이클은, 접속 단자 K1 및 K2 사이의 전압을 상기 소망의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는 방식으로 해서, 회로부 VII 및 X를 경유하는 신호 Si3 및 신호 Si4에 의해 조절된다. 그래서 DC-DC 변환기는 전압원으로서 작용하고, DC-AC 변환기의 공급 전압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된다. DC-AC 변환기는 램프의 런-업 기간 동안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1도에는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구현되는, 램프 La의 점화 후 거의 즉시, 제1 구동 회로 I 및 제2 구동 회로 II는 제1 및 제2 구동 신호를 각각 발생한다. 제2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보다 상당히 높다. 상기 회로 장치는, 이들 신호들에 의해 두 가지의 다른 동작 상태로 되며, 이러한 상태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교대로 된다. 제1 동작 상태의 경우, 스위칭 소자 S2 및 스위칭 소자 S3 모두는 비전도 상태이다. 스위칭 소자 S4은 제1 구동 신호에 의해 전도 상태로 있는 동안, 스위칭 소자 S1은 제2 구동 신호에 의해 교대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된다. 스위칭 소자 S1이 전도 상태로 있는 동안에, 접속 단자 K1, 스위칭 소자 S1, 코일 L1, 램프 접속 단자 K5, 램프 La, 램프 접속 성분 K6, 스위칭 소자 S4, 및 접속 단자 K2로 구성되는 직렬 회로를 통하여 직류 전류가 흐른다. 스위칭 소자 S1 이 비전도 상태로 있는 동안에는, 이 직류 전류가 코일 L1, 램프 접속 단자 K5, 램프 La, 램프 접속 단자 K6, 스위칭 소자 S4, 다이오드 D2로 구성되는 회로를 통하여 흐른다. 이 제1 동작 상태에서 스위칭 소자 S1, 코일 L1, 다이오드 D2는 포워드 변환기의 역할을 한다. 스위칭 소자 S1이 전도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직류 전류의 진폭은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증가하고, 반면에 스위칭 소자 S1이 비전도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직류 전류의 진폭은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감소한다. 제2 동작 상태에서는, 스위칭 소자 S1 및 S4가 비전도 상태이다. 스위칭 소자 S3은 제1 구동 신호에 의해 전도 상태로 있는 동안, 스위칭 소자는 제2 구동 신호에 의해 교대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된다. 스위칭 소자 S2이 전도 상태로 있는 동안에, 접속 단자 K1, 스위칭 소자 S3, 램프 접속 단자 K6, 램프 La, 램프 접속 단자 K5, 코일 L1, 스위칭 소자 S2, 접속 단자 K2로 구성되는 직렬 회로에 직류 전류가 흐른다. 이 직류 전류는, 제1 동작 상태에서 램프 La를 통해 흐르는 직류 전류와는 반대 방향으로 램프 La를 통해 흐른다. 스위칭 소자 S2이 비전도 상태 있는 동안에, 상기 직류 전류는 램프 접속 단자 K6, 램프 La, 램프 접속 단자 K5, 코일 L1, 다이오드 D1, 및 스위칭 소자 S3로 구성되는 회로를 흐른다. 상기 제2 동작 상태에서는, 스위칭 소자 S2, 다이오드 D1, 코일 L1은 포워드 변환기의 역할을 한다. 스위칭 소자 S2이 전도 상태에 동안에, 상기 직류 전류의 진폭은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증가하고, 반면에 스위칭 소자 S2의 비전도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직류 전류의 진폭은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감소한다. 상기 회로 장치는 램프의 런-업 동안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교대로 제1 및 제2 동작 상태로 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 보다 상당히 높기 때문에, 상기 램프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저주파수로 정류된 실질적으로 일정한 진폭의 직류 전류에, 상대적으로 고주파인 실질적으로 삼각형상의 교류 전류가 중첩된 전류로 된다.
저항기 IIIa 양단의 전압의 평균값은 램프 La의 런-업 기간 동안 램프 La를 흐르는 전류를 나타내는 값이다. 저항기 IIIa 양단의 전압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신호 Si1는 적분기 IIIb의 출력에서 제공된다. 회로부 IV은 램프 La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소망의 값을 나타내는 신호 Si2를 발생한다. 회로부 V는 이들 두 신호 Si1 및 Si2 에 기초해서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조절한다. 램프 La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이러한 방식으로 런-업 기간 동안 실질적으로 소망의 값으로 연속적으로 제어된다.
램프의 런-업 후에, 램프 양단의 전압이 일정하게 되면, 상기 회로 장치는 정상 동작으로 전환된다. 제2 구동 회로가 비-활성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제2 구동 신호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고, 상기 제1 구동 신호는, 한편으로는 스위칭 소자 S1 및 S4를 다른 한편으로는 스위칭 소자 S2 및 S3를 차례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해서, 상기 DC-AC 변환기를 상대적 저주파수의 정류기로서 동작하도록 한다. 이 정상 동작 동안에, 회로부 V는 두개의 신호 Si1 및 Si2에 기초해서 회로부 VII에 의해 발생되는 고주파 구동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제어한다. 정상 동작 동안에 램프 La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이러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소망의 값으로 연속적으로 제어되고, DC-DC 변환기는 정상 램프 동작 동안에 전류원으로서 사용된다.

Claims (7)

  1. 단방향 소자(D1, D2)에 의해 분로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S1, S2)의 직렬 회로를 구비하며, 양단부에 DC 전압원의 극들(poles)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단자(K1, K2)를 구비하는 분기 A와, 상기 분기 A의 스위칭 소자들 중 하나를 분로하며, 램프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접속 단자(K5, K6) 및 유도 수단(L1)을 구비하는 부하 분기 B와, 상기 분기 A의 스위칭 소자 각각이교대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되도록 램프의 정상 작동 기간 동안에 제1 구동 신호를 발생하며, 이에 의해 각각의 스위칭 소자는, 다른 한쪽의 스위칭 소자가 비전도 상태에 있는 동안의 시간 간격 내에서 연속으로 한 번씩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되는, 제1 구동 회로 I를 구비하는 DC-AC 변환기를 포함하는 방전 램프 동작용 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DC-AC 변환기는, 상기 제1 구동 회로 I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 소자 각각이 교대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되도록 하는 제2 구동 신호를 발생하며, 이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 각각은, 다른 쪽의 스위칭 소자가 상기 제1 구동 신호에 의해 비전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의 시간 간격 내에서 한 번 이상씩 연속적으로 전도 및 비전도 상태로 되는, 제2 구동 회로 II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동작용 회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K1, K2)에 결합된 DC-DC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동작용 회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램프 전류를 나타내는 신호 Si1을 발생하는 수단 III, 상기 램프 전류의 소망의 값을 나타내는 신호 Si2를 발생하는 수단 IV, 및 상기 신호 Si1 및 Si2에 기초해서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수단 V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동작용 회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램프 전류를 나타내는 신호 Si1을 발생하는 수단 III, 상기 램프 전류의 소망의 값을 나타내는 신호 Si2를 발생하는 수단 IV, 및 상기 신호 Si1 및 Si2에 기초해서 제2 구동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수단 V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동작용 회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Si2는 시-종속(time-depend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동작용 회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Si2는 시-종속(time-depend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동작용 회로 장치.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C-DC 변환기는 스위칭 소자(S5)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장치는 상기 신호 Si1 및 Si2에 기초해서 DC-DC 변환기의 스위칭 소자의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수단 VI, 상기 단자 K1 및 K2 사이의 전위차를 나타내는 신호 Si3을 발생하는 수단 VIII, 상기 단자 K1 및 K2 사이의 전위차의 소망의 값을 나타내는 신호 Si4를 발생하는 수단 IX, 및 상기 신호 Si3 및 Si4에 기초해서 DC-DC 변환기의 스위칭 소자의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수단 X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동작용 회로 장치.
KR1019920020908A 1991-11-13 1992-11-09 회로장치 KR100291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1202945 1991-11-13
EP91202945.1 1991-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779A KR930011779A (ko) 1993-06-24
KR100291608B1 true KR100291608B1 (ko) 2001-06-01

Family

ID=820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908A KR100291608B1 (ko) 1991-11-13 1992-11-09 회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63281A (ko)
EP (1) EP0543436B1 (ko)
JP (1) JP3401274B2 (ko)
KR (1) KR100291608B1 (ko)
DE (1) DE69220456T2 (ko)
SG (1) SG48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9971A (ja) * 1996-05-23 1999-08-31 コーニンクレッカ、フイリップス、エレクトロニクス、エヌ.ヴィ. 回路装置
EP0860098B1 (en) * 1996-09-11 2006-07-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ircuit arrangement
JP3829507B2 (ja) * 1997-12-12 2006-10-04 松下電工株式会社 電子バラストおよびhidランプ制御回路
DE19901585A1 (de) 1999-01-16 2000-07-20 Hella Kg Hueck & Co Vorschaltgerät für eine Hochdruckgasentladungslampe in einem Kraftfahrzeug
JP2003530813A (ja) * 2000-04-10 2003-10-1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制御回路を有するエネルギー変換器
EP1389036A4 (en) * 2001-05-16 2004-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AND SYSTEM THEREFOR
US6577078B2 (en) * 2001-09-26 2003-06-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 ballast with lamp run-up current regulation
ATE515928T1 (de) * 2007-07-10 2011-07-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antriebs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gasentladungslampe
JP5349920B2 (ja) * 2008-03-05 2013-11-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灯点灯回路
JP5460065B2 (ja) * 2008-10-30 2014-04-0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灯点灯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4624A (en) * 1985-07-25 1988-03-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ischarge lamp driving circuit
JPS63143796A (ja) * 1986-12-05 1988-06-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電灯点灯装置
US4887007A (en) * 1987-02-18 1989-12-12 U.S. Philips Corporation DC-AC converter for supplying a gas and/or vapour discharge lamp
EP0314077B1 (en) * 1987-10-27 1994-01-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ischarge lamp driving circuit
NL8800015A (nl) * 1988-01-06 1989-08-01 Philips Nv Elektrische inrichting voor het ontsteken en voeden van een gasontladingslamp.
FI903403A0 (fi) * 1989-07-10 1990-07-05 Philips Corp Krettssammanstaellning.
JPH0355794A (ja) * 1989-07-24 1991-03-11 Hitachi Ltd 放電灯点灯装置
EP0411617A3 (en) * 1989-08-01 1992-05-13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of lighting discharge lamp and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DE3925654A1 (de) * 1989-08-03 1991-02-07 Schmidt Michael Steuergeraet fuer wenigstens eine entladungslampe
US5075599A (en) * 1989-11-29 1991-12-24 U.S. Philips Corporation Circuit arrangement
EP0477587A1 (en) * 1990-09-05 1992-04-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w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63281A (en) 1995-10-31
SG48126A1 (en) 1998-04-17
KR930011779A (ko) 1993-06-24
JPH07169580A (ja) 1995-07-04
EP0543436A1 (en) 1993-05-26
JP3401274B2 (ja) 2003-04-28
EP0543436B1 (en) 1997-06-18
DE69220456T2 (de) 1998-01-02
DE69220456D1 (de)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8294A (en) High pressure lamp operating circuit with suppression of lamp flicker
EP0715779B1 (en) Circuit arrangement
JPH1167471A (ja) 照明装置
CN101171890A (zh) 使用双向可控硅调光器进行调光的方法和电路
US5172033A (en) Discharge lamp operating inverter circuit with electric dimmer utilizing frequency control of the inverter
JPH04264397A (ja) 放電ランプ点灯回路
KR100210178B1 (ko)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장치
US4965493A (en) Electric arrangement for igniting and supplying a gas discharge lamp
KR100278528B1 (ko) 램프 점화 작동 장치
KR100291608B1 (ko) 회로장치
KR101070949B1 (ko) 용량성 부하를 동작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
EP0838128B1 (en) Circuit arrangement
JP4159365B2 (ja) Dc−dcコンバータ
KR100202336B1 (ko) 디씨-에이씨 컨버터를 구비한 회로 장치
US6392361B2 (en) Microprocessor based switching device for energizing a lamp
US5903110A (en) Igniting circuit operated by varying the impedance value of the controller
US6188184B1 (en) Electronic ballast with reduced operating frequency after lamp ignition
JP2011250546A (ja) 電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JP2004501498A (ja) 回路装置
JPH07194142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574589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10505709A (ja) 回路配置
JPH07169581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398471A (ja) 発振回路のサージ電圧吸収回路
JPH011855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