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440B1 -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440B1
KR100291440B1 KR1019990002549A KR19990002549A KR100291440B1 KR 100291440 B1 KR100291440 B1 KR 100291440B1 KR 1019990002549 A KR1019990002549 A KR 1019990002549A KR 19990002549 A KR19990002549 A KR 19990002549A KR 100291440 B1 KR100291440 B1 KR 100291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mode
key
accompaniment
key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850A (ko
Inventor
윤재환
Original Assignee
윤재환
태진미디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환, 태진미디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재환
Priority to KR101999000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440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10H1/0066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using a MIDI interfa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오리지널키가 너무 높거나 낮게 설정되어 있는 이유로 통상, 일반인들이 따라 부르기 어려운 곡에 대해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선곡된 노래의 반주음이 일반인들이 따라 부르기 편한 키로 자동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오리지널키로도 반주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은 반주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곡정보와 함께 각 곡마다의 오리지널키 및 소정의 키변환 값을 가지는 곡정보 저장부와, 곡정보 저장부로부터 선곡된 노래의 키변환 값을 읽어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노래반주모드에 따라 오리지널키에 키변환 값을 가산하여 반주음을 출력하는 자동 키변환모드와 오리지널키로만 반주음을 출력하는 오프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자동 키변환 방법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가 수행하고 있는 노래반주모드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자동 키변환 방법은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을 출력하며 사용자의 모드 취소신호 입력에 의해 자동 키변환모드와 상호 모드전환이 가능한 대기모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오리지널키가 너무 높거나 낮더라도 일반 사용자들은 노래반주장치를 별도로 조작함이 없이 편하고 쉽게 노래를 부를 수 있으며, 취향에 따라서는 원터치 방식으로 오리지널키의 반주음에 맞춰 노래할 수도 있음으로 인하여 가창력의 고하를 불문하고 어떠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자신이 선곡한 노래를 만족스럽게 부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Karaoke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changing a key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자동 키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선곡된 노래의 반주음이 일반인들이 따라 부르기 편한 키로 자동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오리지널키로도 반주음을 출력할 수 있는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반주장치에 수록된 대부분의 곡들은 가창력이 뛰어난 가수의 음반을 토대로 제작된다.
또한 젊은 층이 즐겨 부르는 노래의 경우, 그 키(Key)가 대부분은 높은 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평균적인 가창력을 가진 통상의 일반인들이 따라 부르기에는 힘든 곡들이 많이 있다.
결국, 사용자가 좋아하는 곡이라 할지라도 결국 오리지널키와의 키 높이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따라 부르기를 포기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가 너무 낮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본인이 의도한대로 노래를 부를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인 노래반주장치에는 사용자 스스로 키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통상 남녀 음정 전환용 키버튼 및 음정 업다운용 키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남녀 음정 전환용 키버튼은 여성이 남성 곡을 부를 경우, 아니면 그 반대의 경우, 각각의 키에 맞도록 선곡한 노래의 키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변환시켜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음정 업다운용 키버튼은 이미 반주가 진행되는 도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반음씩 키를 높이거나 낮추어 반주음의 키를 사용자의 목소리에 맞추어 줌으로써 사용자가 노래를 더 잘 부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목적을 갖는 남녀 음정 전환용 키버튼이나 음정 업다운용 키버튼들은 노래 반주가 시작된 후 사용자나 그 밖의 사람들이 일일이 눌러서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 때문에 실제로는 잘 사용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음정 업다운용 키버튼은 반주가 진행되는 도중 노래의 키를 반음씩 높이거나 낮추면서 진행중인 노래의 키를 변환시키므로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 갑자기 변경된 키에 대처할 수 없어 오히려 음정을 놓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노래반주장치 중에는 전 곡을 오리지널키가 아닌 평균적인 가창력을 가진 일반인들이 부르기 편하도록 각 노래마다 키의 높이를 처음부터 조정하여 저장해둠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가창력이 뛰어난 사용자들에게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문제점을 안겨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음악을 사랑하는 대중의 음악적 수준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를 낳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리지널키가 너무 높거나 낮게 설정되어 있는 이유로 통상, 일반인들이 따라 부르기 어려운 곡에 대해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선곡된 노래의 반주음이 일반인들이 따라 부르기 편한 키로 자동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오리지널키로도 반주음을 출력할 수 있는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자동 키변환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자동 키변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시스템 메모리 110 : 임시 메모리
120 : 키입력부 130 : 모드 표시부
140 : 모드 취소신호 입력부 150 : 곡정보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오디오신호 처리부
180 : 비디오신호 처리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의 특징은 반주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곡정보와 함께 각 곡마다의 오리지널키 및 소정의 키변환 값을 가지는 곡정보 저장부와, 곡정보 저장부로부터 선곡된 노래의 키변환 값을 읽어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노래반주모드에 따라 오리지널키에 키변환 값을 가산하여 반주음을 출력하는 자동 키변환모드와 오리지널키로만 반주음을 출력하는 오프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자동 키변환 방법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가 수행하고 있는 노래반주모드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부로 구성된 것에 있으며, 자동 키변환 방법은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을 출력하며 사용자의 모드 취소신호 입력에 의해 자동 키변환모드와 상호 모드전환이 가능한 대기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로서, 그 구성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시스템 메모리(100)는 노래반주장치의 초기화 및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가진다.
임시 메모리(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 및 키변환값을 후술할 곡정보 저장부(150)로부터 읽어 저장하였다가 제어부(160)의 요청에 따라 공급한다.
키입력부(120)는 원격조정기 형태로 존재하거나 노래반주장치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선곡신호를 출력한다.
모드 표시부(130)는 제어부(160)가 수행하고 있는 노래반주모드를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외부에서 쉽게 판별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발광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곡정보 저장부(150)는 반주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곡정보와 함께 각 곡마다 오리지널키 및 소정의 키변환값을 가진다.
여기서, 반주정보는 미디(MIDI) 데이터나 코러스, 하모니 등과 같은 데이터로서 오디오신호 처리부(170)를 거치면서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에 해당하는 마이크 신호와 합해져 스피커로 출력된다.
그리고 영상정보는 배경영상이나 가사 자막 등과 같은 데이터로서 비디오신호 처리부(180)를 거쳐 모니터와 같은 영상 표시장치로 출력된다.
제어부(160)는 곡정보 저장부(150)로부터 선곡된 노래의 키변환 값을 읽어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노래반주모드에 따라 오리지널키에 키변환값을 가산하여 반주음을 출력하는 자동 키변환모드와 오리지널키로만 반주음을 출력하는 오프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자동 키변환모드가 적용된 노래가 선곡되는 경우, 사용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키변환값에 따라 변환된 키로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자동 키변환모드가 적용되지 않는 노래인 경우는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이때, 노래반주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때로는 자동으로 키가 변환되어 출력되는 반주음 대신 오리지널키로 출력되는 반주음에 맞춰 노래를 부르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첫째, 노래반주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가창력이 뛰어나 선곡된 노래의 키 높낮이와는 무관하게 오리지널키로 부르고자 하는 경우, 둘째,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목소리의 음역 범위로는 오리지널키로 부를 수 없으나, 사용자의 성격 상 오리지널키를 고집하는 경우, 셋째, 자동 키변환모드에 의해 변환된 키로 반주음을 출력하게 되면 일부 장르의 곡은 그 곡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분위기와는 전혀 다른 분위기의 곡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가 자동 키변환모드가 적용된 노래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자동 키변환모드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에는 더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60)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160)는 곡정보 저장부(150)로부터 선곡된 노래의 키변환값을 읽어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노래반주모드에 따라 오리지널키에 키변환값을 가산하여 반주음을 출력하며 후술할 모드 취소신호 입력부(140)를 통해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면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자동 키변환모드,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을 출력하며 후술할 모드 취소신호 입력부(140)를 통해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면 자동 키변환모드로 전환되는 대기모드 및 오리지널키로만 반주음을 출력하는 오프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상술한 두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작용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60)가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하는 방법은 선곡된 노래의 키변환값을 읽어들여 알 수 있는데, 그 일 실시예를 후술되는 표로 작성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키변환값은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할 수 있는 1바이트(Byte)의 값과 키변화량의 정도를 나타내는 1바이트의 수치로 이루어지며, 키변화량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는 1부터 7까지로 설정되어 있다.
즉, 키변환값 중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할 수 있는 값이 '+' 또는 '-' 로 이루어져 있으면, 제어부(160)는 선곡된 노래가 자동 키변환모드가 적용되는 곡임을 인식하여 '+' 또는 '-' 다음의 수치만큼 오리지널키에 가산시켜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데, 결과적으로 '+'인 경우는 키값이 증가되게 되고, '-'인 경우는 키값이 감소되게 된다.
또한, 키변환값 중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할 수 있는 값이 'u(=up)' 또는 'd(=down)'로 이루어져 있으면, 제어부(160)는 선곡된 노래가 대기모드가 적용되는 곡임을 인식하고, 'u' 또는 'd' 다음의 수치와 함께 임시 메모리(110)에 저장둔 후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될 때 까지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대기모드에서,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할 수 있는 값이 'u'인 경우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오리지널키로부터 'u' 다음의 수치만큼 키값을 증가시킨 후 반주음을 출력하고,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할 수 있는 값이 'd'인 경우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오리지널키로부터 'd' 다음의 수치만큼 키값을 감소시킨 후 반주음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키변환값이 '00'인 경우 제어부(160)는 선곡된 노래가 오프모드가 적용되는 곡임을 인식하고, 모드 취소신호의 입력여부에 무관하게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로만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에서, 일반인들이 쉽고 편하게 부르기 어려운 곡들로 설정되게 되는 자동 키변환모드가 적용되게 되는 곡은 일반적인 노래반주기 시장(노래방이나 단란주점 등), 인터넷 통신, 노래반주기 판매 대리점 등에서 입수된 자료들과 음악적 판별법에 의해 전문가들이 제시한 일반인의 음역범위 데이터, 반주전문 연주인들의 자료 및 일반 대중이 선호하는 편한 키정보 등을 취합하여 일반인들이 따라 부르기 편하도록 각 노래마다 적용되는 키변환값의 수치를 달리하여 선정할 수 있다.
모드 취소신호 입력부(140)는 노래반주장치가 자동 키변환모드 및 대기모드 사이의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가 제어부(160)에 모드 취소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제 2 실시예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모드 취소신호 입력부(140)는 상기 모드 표시부(130)와 일체로 키입력부(120)의 소정 부분에 형성시킬 수 있다.
오디오신호 처리부(170)는 사용자가 키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하는 선곡신호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선곡된 노래의 반주정보를 곡정보 저장부(150)로부터 읽어들여 신호 처리한 후 마이크 신호와 합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비디오신호 처리부(18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가사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곡정보 저장부(150)로부터 읽어들여 신호처리한 후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자동 키변환 방법을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자동 키변환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곡된 노래가 자동 키변환 모드가 적용되는 노래인 경우 사용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에 키변환값을 가산시켜, 변환된 키로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실시예이다(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키입력부(120)를 통해 선곡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200)하고, 판단 결과 선곡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 및 키변환값을 곡정보 저장부(150)로부터 읽어들여 임시메모리(110)에 저장(S210)한다.
그 후, 제어부(160)는 임시메모리(110)에 저장시킨 키변환값으로부터 노래반주모드를 판별(S220)한다.
이 단계(S220)에서의 판별 결과, 노래반주모드가 자동 키변환 모드(S230)인 경우 모드 표시부(130)를 통해 자동 키변환모드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S231)하면서,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와 키변환값을 가산하여 반주음을 출력(S232)한다.
한편,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하는 단계(S220)의 판별 결과, 노래반주모드가 오프 모드(S240)인 경우 모드 표시부(130)를 통해 오프모드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S241)하고,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을 출력(S242)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드 표시부(130)가 발광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모드 표시부(130)에 의한 각 모드의 표시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노래반주모드가 자동 키변환 모드이면 발광수단을 온(On)시키고, 오프모드이면 발광수단을 오프(Off)시키는 한편, 대기모드인 경우에는 점멸시켜 줌으로써 외부로 각 모드를 표시해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달리 표시해 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자동 키변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변환 모드가 적용된 노래가 선곡된 경우 키변환 모드를 적용시켜 반주음을 출력할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시예이다(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키입력부(120)를 통해 선곡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300)하고, 판단 결과 선곡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 및 키변환값을 곡정보 저장부(150)로부터 읽어들여 임시메모리(110)에 저장(S310)한다.
그 후, 제어부(160)는 임시메모리(110)에 저장시킨 키변환값으로부터 노래반주모드를 판별(S320)한다.
이 단계(S320)의 판별 결과, 노래반주모드가 자동 키변환 모드(S330)인 경우 모드 표시부(130)를 통해 자동 키변환모드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S331)하면서,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와 키변환값을 가산하여 반주음을 출력(S332)한다.
그리고 선곡된 노래의 반주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S333)하고, 판단 결과 반주가 종료된 경우에는 자동 키변환 모드를 종료한다.
상기 단계(S333)의 판단 결과, 반주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S334)한다.
이 단계(S334)의 판단결과,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60)는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현재 출력중인 반주음의 키를 임시메모리(110)에 저장된 키변환값을 이용하여 오리지널키를 산출(S335)한 후,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을 출력하는 대기모드(S340)모드를 수행한다.
상술한 단계(S334)의 판단 결과,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는 선곡된 노래의 반주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33)부터 반복 수행한다.
한편,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하는 단계(S320)의 판별 결과, 노래반주모드가 대기모드(S340)인 경우 모드 표시부(130)를 통해 대기모드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S341)하면서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을 출력(S342)시킨다.
이 후, 선곡된 노래의 반주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S343)하여 반주가 종료된 경우 대기모드를 종료하고, 반주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는 사용자에 의해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S344)한다.
판단 결과,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60)는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자동 키변환 모드(S330)를 수행하며,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는 선곡된 노래의 반주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43)부터 반복 수행한다
상술한 자동 키변환모드 및 대기모드에서 모드 취소신호는 사용자가 모드 취소신호 입력부(140)를 조작함으로써 입력된다.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하는 단계(S320)의 판별 결과, 노래반주모드가 오프 모드(S350)인 경우 모드 표시부(130)를 통해 오프모드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S351)하고, 곡정보 저장부(150)로부터 읽어들인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을 출력(S352)한다.
오프모드(S3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드 표시부(130)를 통해 오프모드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S351)하고, 사용자의 모드 취소신호 입력부(140)의 조작에 무관하게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을 출력(S352)하는 모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에 의하면, 선곡된 노래의 키가 일반인들이 따라 부르기에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자동으로 키가 변환되는 자동 키변환모드가 수행되도록 하고, 자동 키변환모드 수행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환된 키를 오리지널키로 재 변환시킬 수 있으며, 선곡된 노래의 키를 오리지널키로 하여 반주되도록 하는 대기모드의 경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동 키변환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오리지널키가 너무 높거나 낮더라도 일반 사용자들은 노래반주장치를 별도로 조작함이 없이 편하고 쉽게 노래를 부를 수 있으며, 취향에 따라서는 원터치 방식으로 오리지널키의 반주음에 맞춰 노래할 수도 있음으로 인하여 가창력의 고하를 불문하고 어떠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자신이 선곡한 노래를 만족스럽게 부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선곡신호에 따라 선곡된 노래의 정보를 곡정보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여 반주정보는 오디오신호 처리부를 거쳐 마이크 신호와 합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가사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는 비디오신호 처리부를 통해 영상표시장치로 출력하는 노래반주장치에 있어서,
    원격조정기 형태로 존재하거나 노래반주장치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곡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노래반주장치의 초기화 및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가지는 시스템 메모리;
    반주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곡정보와 함께 각 곡마다의 오리지널키 및 소정의 키변환 값을 가지는 곡정보 저장부;
    상기 곡정보 저장부로부터 선곡된 노래의 키변환 값을 읽어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노래반주모드에 따라 오리지널키에 키변환 값을 가산하여 반주음을 출력하는 자동 키변환모드와 오리지널키로만 반주음을 출력하는 오프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 및 키변환값을 곡정보 저장부로부터 읽어 저장하였다가 제어부의 요청에 의해 공급하는 임시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가 수행하고 있는 노래반주모드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표시부는,
    발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3.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선곡신호에 따라 선곡된 노래의 정보를 곡정보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여 반주정보는 오디오신호 처리부를 거쳐 마이크 신호와 합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가사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는 비디오신호 처리부를 통해 영상표시장치로 출력하는 노래반주장치에 있어서,
    원격조정기 형태로 존재하거나 노래반주장치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곡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노래반주장치의 초기화 및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가지는 시스템 메모리;
    반주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곡정보와 함께 각 곡마다의 오리지널키 및 소정의 키변환 값을 가지는 곡정보 저장부;
    상기 곡정보 저장부로부터 선곡된 노래의 키변환 값을 읽어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노래반주모드에 따라 오리지널키에 키변환 값을 가산하여 반주음을 출력하며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면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자동 키변환모드,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을 출력하며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면 자동 키변환모드로 전환되는 대기모드 및 오리지널키로만 반주음을 출력하는 오프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자동 키변환모드와 대기모드 사이의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가 제어부에 모드 취소신호를 입력하는 모드 취소신호 입력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 및 키변환값을 곡정보 저장부로부터 읽어 저장하였다가 제어부의 요청에 의해 공급하는 임시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가 수행하고 있는 노래반주모드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표시부는,
    발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취소신호 입력부는,
    상기 모드 표시부와 일체로 키입력부의 소정 부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6. 사용자에 의해 선곡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선곡신호가 입력된 경우 곡정보 저장부로부터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 및 키변환 값을 읽어들여 임시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읽어들인 키변환 값에 따라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한 후, 오리지널키에 키변환 값을 가산하여 반주음을 출력하는 자동 키변환모드와 오리지널키로만 반주음을 출력하는 오프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자동 키변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키변환모드는,
    모드 표시부를 통해 자동 키변환모드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에 키변환 값을 가산하여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선곡된 노래의 반주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종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자동 키변환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모드는,
    모드 표시부를 통해 오프모드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자동 키변환 방법.
  9. 사용자에 의해 선곡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선곡신호가 입력된 경우 곡정보 저장부로부터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 및 키변환 값을 읽어들여 임시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읽어들인 키변환 값에 따라 노래반주모드를 판별한 후, 오리지널키에 키변환 값을 가산하여 반주음을 출력하며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면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자동 키변환모드,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을 출력하며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면 자동 키변환모드로 전환되는 대기모드 및 오리지널키로만 반주음을 출력하는 오프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자동 키변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키변환모드는,
    모드 표시부를 통해 자동 키변환모드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에 키변환 값을 가산하여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선곡된 노래의 반주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반주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된 경우, 모드 취소신호의 입력시점부터 현재 출력중인 반주음의 키를 오리지널키로 변환시켜 대기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자동 키변환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는,
    모드 표시부를 통해 대기모드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로 반주음을 출력시키는 단계;
    선곡된 노래의 반주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반주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모드 취소신호가 입력된 경우, 모드 취소신호의 입력시점부터 상기 자동 키변환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자동 키변환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모드는,
    모드 표시부를 통해 오프모드가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및
    모드 취소신호의 입력여부에 무관하게 선곡된 노래의 오리지널키로만 반주음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자동 키변환 방법.
KR1019990002549A 1999-01-27 1999-01-27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 KR100291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549A KR100291440B1 (ko) 1999-01-27 1999-01-27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549A KR100291440B1 (ko) 1999-01-27 1999-01-27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850A KR20000051850A (ko) 2000-08-16
KR100291440B1 true KR100291440B1 (ko) 2001-05-15

Family

ID=1957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549A KR100291440B1 (ko) 1999-01-27 1999-01-27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4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850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478B1 (ko) 효과부가장치
JPH10149179A (ja) カラオケ装置
JPH09198068A (ja) メドレー演奏装置
KR100291440B1 (ko) 자동 키변환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자동 키변환 방법
JP3871382B2 (ja) 楽音再生装置
KR100684458B1 (ko) 노래반주기의 음성인식을 통한 남녀키 자동변환장치 및방법
JP2004205818A (ja) カラオケ装置
JPH0962282A (ja) 音楽再生装置
JP2007199417A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3963504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5037846A (ja) 音楽再生装置の情報設定装置及び情報設定方法
JPH0417000A (ja) カラオケ装置
JP5327725B2 (ja) 楽音演奏装置
JP2001060089A (ja) カラオケ装置
JP3982514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5037827A (ja) 楽音発生装置
JP2004226589A (ja) 音楽再生装置
JP2006184684A (ja) 音楽再生装置
JP2009008934A (ja) 楽音再生装置
JP4299747B2 (ja) 電子早見本装置
JP3743985B2 (ja) カラオケ装置
KR100561315B1 (ko) 노래반주기의 장르별 최적음역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JPH10161681A (ja) 楽音発生装置
JPH09230882A (ja) 楽音再生装置
JPH07302090A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