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398B1 - 디스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398B1
KR100291398B1 KR1019990015121A KR19990015121A KR100291398B1 KR 100291398 B1 KR100291398 B1 KR 100291398B1 KR 1019990015121 A KR1019990015121 A KR 1019990015121A KR 19990015121 A KR19990015121 A KR 19990015121A KR 100291398 B1 KR100291398 B1 KR 100291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locking
removal port
unlocking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542A (ko
Inventor
오까모또도모미
나가이규이찌로
이노우에아쯔시
오노히로아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118111A external-priority patent/JP303355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1999008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11B20/1002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dur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variable gain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사용자가 디스크를 취출하여 이를 단일 유니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크의 취출 이력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남겨지고, 사용자가 예를 들어 디스크 카트리지들 사이로의 디스크 이동과 같은 디스크의 취급을 정확히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디스크의 취출 이력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남겨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에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를 개폐하는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과, 로킹 수단이 그 로킹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크 카트리지{DISC CARTRIDGE}
본 발명은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내포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는 광디스크 등과 같은 디스크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디스크들은 흔히 그 기록면 상에 유지방 성분이 부착함으로 인한 기록 또는 재생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 카트리지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 경우, 디스크형 기록 매체는 기록 밀도가 일정한 경우에 당연히 그 직경이 클수록 기록 용량이 커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예를 들어 비디오 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용 기록 및 재생 장치용의 기록 매체로서 상술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형의 디스크가 휴대성 면에서 우수하다. 따라서, 휴대용 장치에 사용된 디스크는 고정식 장치에 사용된 디스크와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휴대용 디스크에 사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로는 당연히 소형의 디스크 카트리지가 사용된다. 기록 방법이 동일하고 단지 디스크 형상이 상이한 경우에, 만약 기록 및 재생 장치에 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다면,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제공된 기록 및 재생 수단에 의해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소형의 디스크 카트리지에서 디스크만을 취출하고 고정식 장치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교체해 줌으로써 휴대용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크를 고정식 기록 및 재생 장치에서 기록 및 재생할 수가 있다.
또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기록 동작은 오염물에 대해 민감하지만 재생 동작은 오염물에 비교적 강하며, 따라서 일단 기록된 디스크에서 다시 기록 동작을 수행함이 없이 재생 동작만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카트리지에서 디스크를 취출하여 디스크만을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한다.
상술한 이유들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해 디스크를 삽입 및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디스크를 취출하는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평5-242626호 공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의 일부에 디스크 삽입 및 제거부를 배열하는 방법이 있다.
도9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디스크를 취출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셔터(3)가 배열되는 표면의 대향 표면 상에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12)가 제공되고, 거기에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e)가 배열되어 있다. 통상,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e)는 로킹 후크(6e)가 디스크 카트리지에 배열된 로킹 구멍(7e)에 끼워지고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12)가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스크(4)의 취출 시에, 로킹 후크(6e)는 로킹 구멍(7e)으로부터 제거되고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e)는 회전 지지점(8e) 둘레를 회전하며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12)는 개방되므로서, 디스크(4)가 삽입 및 제거된다.
또한, 도10에는 다른 종래 기술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0에 도시된 종래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f)는 디스크 카트리지(1)로부터 취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f)의 부착시에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f)가 로킹 후크(6f)와 로킹 구멍(7f) 사이의 꼭 끼워맞춤에 의해 로크됨으로써, 잘못하여 탈락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게다가, 도11에는 또 다른 종래 기술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1에 도시된 종래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g)는 디스크 카트리지(1)로부터 취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g)의 부착시에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g)가 로킹 후크(6g)와 로킹 구멍(7g) 사이의 꼭 끼워맞춤에 의해 로크되어 있다.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g)의 취출시에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g)에 배열된 디스크 보조 부재(2)에 의해 디스크(4)를 디스크 카트리지(1) 밖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12에는 또 다른 종래 기술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2에 도시된 종래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h)는 디스크 카트리지(1)로부터 취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h)의 부착시에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h)가 로킹 후크(6h)와 로킹 구멍(7h) 사이의 꼭 끼워맞춤에 의해 로크되어 있다.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h)의 취출시에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h)에 배열된 디스크 홀딩 부재(5)에 의해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디스크(4)를 디스크 카트리지(1) 밖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일단 취출된 디스크를 수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카트리지에 대응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치가 취출되었다는 사실을 탐지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에 있어서 기록 동작은 오염물에 대해 민감하기 때문에, 외부에 취출된 일이 있는 디스크의 기록 동작을 금지하거나 혹은 기록 체크를 보다 자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13을 참조하여 이하에 디스크의 취출 이력을 탐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13은 도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i)에 의해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12)를 개폐함으로써, 디스크를 삽입 및 제거하는 구조를 도시한다. 로킹 후크(6i)와 로킹 구멍(7i)이 서로에 대해 끼워지고 로킹 부재(11)가 로킹 구멍(9)에 끼워지며, 이로써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i)의 로킹 작업이 수행된다. 로킹 후크(6i)를 로킹 구멍(7i)으로부터 제거하면, 로킹 후크(6i)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내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므로서, 일단 제거된 후라도 끼움 작업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로킹 구멍(9)으로부터 로킹 부재(11)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로킹 부재(11)가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i)로부터 파손된다.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i)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이들 두 종류의 로킹 수단을 해제할 필요가 있으나,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i)를 개방하면 로킹 부재(11)가 파손 상태로 되므로 이 파손 상태를 탐지하여 디스크의 취출 이력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디스크를 취출할 때 디스크 취출 이력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명확히 남게 된다. 그러나, 디스크 취출의 목적으로서는 단순히 디스크를 디스크 재생 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외에, 디스크 카트리지들 사이에서 디스크를 이동하여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적극적으로 디스크를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오염물이 디스크 표면에 부착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및 제거 포트들을 서로에 대해 밀착시키고 디스크를 이동함으로써 디스크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따라서 오염물이 부착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도, 디스크 취출 이력이 남겨지면, 디스크에 오염물이 부착되지 않더라도 불가능한 기록 처리 또는 과도한 기록 체크가 수행되므로서, 디스크의 유용성은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디스크를 사용할 목적으로 디스크를 취출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취출 이력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남겨지고, 사용자가 디스크 카트리지들 사이에서의 디스크의 이동과 같이 디스크를 적극적으로 취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크 취출 이력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남겨지지 않도록 구성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디스크 카트리지의 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개략도.
도2a 내지 도2c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수단의 로킹 수단과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의 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개략도.
도3a 및 도3b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수단의 로킹 수단을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의 파손없이 로킹 및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개략도.
도4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개략도.
도5a 내지 도5c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수단의 로킹 수단과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의 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개략도.
도6a 및 도6b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수단의 로킹 수단을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의 파손없이 로킹 및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개략도.
도7a 내지 도7c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수단의 로킹 수단과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의 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개략도.
도8a 및 도8b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수단의 로킹 수단을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의 파손없이 로킹 및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개략도.
도9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디스크를 삽입 및 제거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종래 기술의 개략도.
도10은 디스크 카트리지에 디스크를 삽입 및 제거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종래 기술의 다른 개략도.
도11은 디스크 카트리지에 디스크를 삽입 및 제거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종래 기술의 또 다른 개략도.
도12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디스크를 삽입 및 제거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종래 기술의 또 다른 개략도.
도13은 디스크 카트리지에서의 디스크 취출 이력 구조를 도시하는 종래 기술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스크 카트리지
4: 디스크
6a, 6b, 6e, 6f, 6g, 6h, 6i, 6j: 로킹 후크
7a, 7b, 7e, 7f, 7g, 7h, 7i, 7j: 로킹 구멍
10a, 10b, 10e, 10f, 10g, 10h, 10i, 10j: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
12: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16a, 16b, 16j: 로킹 해제 방지 부재
18a, 18b, 18j: 로킹 해제 부재
19a, 19j: 개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에 의해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를 개폐할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가 제공되는데, 이 디스크 카트리지에는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가 폐쇄될 때 이 부재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과 로킹 수단이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의 로킹을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이 배열되어 있다.
또한,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은 로킹 수단이 디스크 카트리지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게다가,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이 덮는 로킹 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크 카트리지의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비가역적으로 변위된다.
또,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로킹 수단이 로킹을 해제하는데 필요한 이동 경로 상에 배열된다.
또,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은 로킹 수단의 이동 경로로부터 이동 경로 밖으로 비가역적으로 변위되고, 로킹 수단은 로킹을 해제하도록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은 로킹 수단의 이동 경로로부터 이동 경로 밖으로 비가역적으로 변위되고, 로킹 수단은 로킹을 해제하도록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을 변위시키는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 디스크의 삽입 및 제거 이력은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의 상태를 탐지함으로써 인식될 수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도1 내지 도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1)에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가 제공되며, 디스크(4)를 삽입 및 제거할 때 디스크(4)가 이 포트를 통과한다. 디스크 카트리지(1)가 디스크(4)를 수용할 때,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a)는 로킹 수단에 의해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12)에 로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킹 수단은 로킹 후크(6a)와 로킹 구멍(7a)으로 이루어지며, 로킹 후크(6a)가 로킹 구멍(7a)에 끼워져서 로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로킹 구멍(7a)은 관통되지 않고 디스크 카트리지(1)의 외부로부터 로킹 구멍(7a)을 통해 로킹을 해제하기가 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2a 내지 도2c에서, 로킹 수단의 로킹 상태 및 로킹 해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2a 내지 도2c는 로킹 수단과 로킹 해제 방지 수단에 대응하는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a)의 상세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가 디스크 카트리지(1)에 부착되면, 로킹 후크(6a)가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구멍(7a)에 끼워져 로크된다. 또한,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a)가 로킹 후크(6a)의 하부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로킹 후크(6a)는 외부에 거의 노출되지 않고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용자가 이 상태에서 로킹 구멍(7a)으로부터 로킹 후크(6a)를 취출하기가 어렵다. 사용자가 디스크를 단일체로서 사용할 목적으로 디스크 카트리지(1)로부터 디스크를 취출하는 경우,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a)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손된다.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a)를 파손하여 로킹 후크(6a)를 취출하도록 외부에 노출시키므로서, 로킹 후크(6a)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a)의 파손을 검출하여 취출 이력을 인식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들 사이에서의 디스크의 이동과 같은 디스크 취출 이력을 표시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a)를 파손하지 않고 로킹 후크(6a)를 제거하여 디스크를 취출한다.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a)를 파손하지 않고 로킹 후크(6a)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도3a 및 도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a)와 디스크 카트리지(1) 사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로킹 후크(6a)를 조작할 수 없을 정도로 충분히 작은 개구부(19a)가 제공되어 있다. 로킹 후크(6a)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9a)로부터 로킹 해제 부재(18a)를 삽입하므로서 이동되며, 그에 따라 로킹 구멍(7a)으로부터 제거된다. 로킹 해제 부재(18a)는 예를 들어 디스크의 이동선(destination)에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삽입 및 제거부 근방에 제공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1)를 눌러줌으로써 로킹의 해제와 디스크의 이동 동작 모두를 수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4 내지 도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12)를 가지며, 디스크 카트리지(1)가 내부에 디스크(4)를 수용할 경우에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j)가 로킹 수단에 의해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12)에 로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킹 수단은 또한 로킹 후크(6j)와 로킹 구멍(7j)으로 이루어지며, 로킹 후크(6j)가 로킹 구멍(7j)에 끼워져 로크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를 취출한 일이 없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경우에, 디스크 카트리지(1)와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j)는 로킹 후크(6j)를 갖는 부재의 거의 모두를 덮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로킹 구멍(7j)은 관통되지 않으며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1)의 외부로부터 로킹 구멍(7j) 안으로 삽입하여 로킹을 해제하기가 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5a 내지 도5c를 참조하여 로킹 수단의 로킹 상태와 로킹 해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5a 내지 도5c는 로킹 수단과 로킹 해제 방지 수단에 대응하는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j)의 상세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5a 내지 도5c의 좌측 도면은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j)가 배열되는 부분 근방의 외관도이며, 우측 도면은 그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10j)가 디스크 카트리지(1)에 부착되면, 로킹 후크(6j)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구멍(7j)에 끼워져 로크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1)와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j)가 로킹 후크(6j)를 갖는 부재의 거의 모든 표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용자가 로킹 구멍(7j)으로부터 로킹 후크(6j)를 제거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다. 사용자가 디스크를 단일체로서 사용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j)를 파손하고, 로킹 후크(6j)를 갖는 부재의 하부를 외부에 노출시켜, 그 부분을 화살표 방향으로 변위시켜서 로킹 후크(6j)를 취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에, 디스크 장치는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j)의 파손을 탐지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의 디스크 취출 이력을 인식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들 사이에서의 디스크의 이동과 같은 디스크 취출 이력을 표시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j)를 파손하지 않고 로킹 후크(6j)를 제거하여 디스크를 취출한다.
다음에, 도6a 및 도6b를 참조하여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j)를 파손하지 않고 로킹 후크(6j)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j)와 디스크 카트리지(1) 사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로킹 후크(6j)를 조작할 수 없을 정도로 충분히 작은 개구부(19j)가 제공되어 있다. 로킹 후크(6j)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9j)로부터 로킹 해제 부재(18j)를 삽입하므로서 이동되며, 그에 따라 로킹 구멍(7j)으로부터 제거된다. 로킹 해제 부재(18j)는 예를 들어 디스크의 이동선에서 디스크 카트리지 내에 제공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1)를 눌러준 후에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j)를 이동시키고 로킹을 해제해 줌으로써 디스크의 이동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실시예와 달리 로킨 해제 방지 부재(16j)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방면 또는 그 배면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1)의 전방면 또는 그 배면으로부터 취출 이력을 탐지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 장치측에서의 센서 배열의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도7a 내지 도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로킹 수단의 로킹 상태와 로킹 해제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로킹 후크(6b)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로킹을 수행하도록 로킹 구멍(7b)에 끼워진다. 또한, 로킹 후크(6b)를 로킹 구멍(7b)으로부터 취출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카트리지(1)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으나,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b)는 이동 경로 상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킹 후크(6b)는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b)와 간섭하여 이동할 수가 없게 되어 로킹 해제를 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가 디스크를 단일체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로부터 디스크를 취출하는 경우에,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b)는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손된다.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b)를 파손하여 취출함으로써 로킹 후크(6b)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로킹 후크(6b)의 취출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디스크 장치는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b)의 파손을 탐지하여 디스크 취출 이력을 인식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들 사이에서의 디스크의 이동과 같은 디스크 취출 이력을 표시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b)를 탄성 변형시키고 이 상태에서 로킹 후크(6b)를 이동시킴으로써 로킹 해제가 수행된다.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b)를 변형시키면서 로킹 후크(6b)를 취출하는 방법에 대해 도8a 및 도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b)의 변형과 로킹 후크(6b)의 이동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형 전방 단부를 갖는 로킹 해제 부재(18b)를 로킹 후크(6b) 및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b)로 눌러줌으로써,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해제 방지 부재(16b)를 변형시키면서 로킹 후크(6b)를 로킹 구멍(7b)으로부터 취출되도록 이동시킬 수가 있다. 로킹 해제 부재(18b)는 예를 들어 디스크의 이동선에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근방에 제공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1)를 눌러줌으로써 로킹의 해제와 디스크의 이동 동작 모두를 수행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스크를 취출하여 이를 단일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취출 이력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남겨지고, 사용자가 디스크 카트리지들 사이에서의 디스크의 이동과 같이 디스크의 취급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디스크의 취출 이력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남겨지지 않도록 구성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디스크를 취출하여 이를 단일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취출 이력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남겨지고, 사용자가 디스크 카트리지들 사이에서의 디스크의 이동과 같이 디스크의 취급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디스크의 취출 이력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남겨지지 않게 된다.

Claims (7)

  1.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내에 제공되며 상기 기록 매체를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와,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내에 있을 때 상기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를 폐쇄해주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상기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는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를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개방됨-와,
    상기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가 디스크 삽입 및 제거 포트를 폐쇄할 때 이 개폐 부재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과,
    상기 로킹 수단이 삽입 및 제거 포트 개폐 부재의 로킹을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은 로킹 수단이 디스크 카트리지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이 덮는 로킹 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크 카트리지의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비가역적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로킹 수단이 로킹을 해제하는데 필요한 이동 경로 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은 로킹 수단의 이동 경로로부터 이동 경로 밖으로 비가역적으로 변위되고, 로킹 수단은 로킹을 해제하도록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6. 제4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은 로킹 수단의 이동 경로로부터 이동 경로 밖으로 비가역적으로 변위되고, 로킹 수단은 로킹을 해제하도록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을 변위시키는 상태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삽입 및 제거 이력은 로킹 해제 방지 수단의 상태를 탐지함으로써 인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KR1019990015121A 1998-04-28 1999-04-27 디스크 카트리지 KR100291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18111 1998-04-28
JP10118111A JP3033557B2 (ja) 1998-03-06 1998-04-28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542A KR19990083542A (ko) 1999-11-25
KR100291398B1 true KR100291398B1 (ko) 2001-05-15

Family

ID=1472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121A KR100291398B1 (ko) 1998-04-28 1999-04-27 디스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291398B1 (ko)
CN (3) CN1492438A (ko)
MY (1) MY123301A (ko)
SG (1) SG81273A1 (ko)
TW (1) TW4242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731B1 (ko) * 2016-01-05 2016-09-30 (주)우영테크 저장장치 데이터 영구 삭제 및 파괴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6645A (ja) * 1995-10-13 1997-04-22 Toshiba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置
JPH09106644A (ja) * 1995-10-13 1997-04-22 Toshiba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置
JPH09213044A (ja) * 1996-02-09 1997-08-15 Hitachi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JPH09282832A (ja) * 1996-04-05 1997-10-31 Hitachi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JPH1050024A (ja) * 1996-07-31 1998-02-20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8378U (ko) * 1988-11-11 1990-05-23
EP1146518B1 (en) * 1993-03-23 2002-12-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bination of a cartridge adaptor and a cartridge to be accommodated in the adap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6645A (ja) * 1995-10-13 1997-04-22 Toshiba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置
JPH09106644A (ja) * 1995-10-13 1997-04-22 Toshiba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置
JPH09213044A (ja) * 1996-02-09 1997-08-15 Hitachi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JPH09282832A (ja) * 1996-04-05 1997-10-31 Hitachi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JPH1050024A (ja) * 1996-07-31 1998-02-20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24228B (en) 2001-03-01
CN1492437A (zh) 2004-04-28
CN1233833A (zh) 1999-11-03
KR19990083542A (ko) 1999-11-25
CN1492438A (zh) 2004-04-28
SG81273A1 (en) 2001-06-19
CN1229801C (zh) 2005-11-30
CN1134784C (zh) 2004-01-14
MY123301A (en)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4314B2 (ja) ディスク取り出し可能な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7185351B2 (en) Cartridge for a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100917484B1 (ko) 기록 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카트리지
KR20040039184A (ko) 디스크를 교환 가능하게 수납하는 카트리지
KR100291398B1 (ko) 디스크 카트리지
JP304250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02462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207887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6449242B2 (en) Disk cartridge
JP303355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358622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400678B1 (en) Disc cartridge
JP3358621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32457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35862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625108B2 (en) Disk cartridge
JPH09282833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024626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189068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02463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00560396B1 (ko) 디스크 카트리지
JP2000040329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845160A (ja) 記録再生装置
JPH02208881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1213595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