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303B1 -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303B1
KR100291303B1 KR1019990004325A KR19990004325A KR100291303B1 KR 100291303 B1 KR100291303 B1 KR 100291303B1 KR 1019990004325 A KR1019990004325 A KR 1019990004325A KR 19990004325 A KR19990004325 A KR 19990004325A KR 100291303 B1 KR100291303 B1 KR 100291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abric
textile
folded
fix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278A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19990004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303B1/ko
Publication of KR1999006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2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continuously and transversely to the direction of feed
    • D06J1/04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continuously and transversely to the direction of feed by co-operating ribbed or grooved rollers or be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06C15/04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between rollers and co-operating concav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원단에 불규칙한 구김을 형성하여 불규칙 구김에 의한 미적감각을 갖는 제품을 생산하게 되는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섬유원단을 이송하면서 폭방향으로 절첩되게 포갬과 함께 길이방향으로 절첩되게 포갠 상태로 가압하여 상기 폭방향과 길이방향의 절첩된 부위로 불규칙한 구김을 형성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또한 상기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공으로 소비자의 미적 감각에부응하는 제품을 공급하므로 소비자의 신뢰도를 극대화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ALL IRREGULARITY WRINKLES MANUFATURING DEVICE FOR TEXTILE}
본 발명은 섬유원단에 불규칙한 구김을 형성하여 불규칙 구김에 의한 미적감각을 갖는 제품을 생산하게 되는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각종 산업과 문화의 발달로 인해 미적 감각의 기준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것은 섬유원단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형태와 무늬와는 전혀 상반되는 다양한 형태와 무늬를 갖는 섬유원단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들면 청바지를 부분적으로 탈색시킨다든지 원단의 일부분에 구멍등의 손상을 갖게 형성하는 외에도 옷감에 구김을 형성하는 것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단의 변화를 종래에는 소비자가 수작업에 의해 행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움은 물론 대량의 처리가 곤란한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연유로 원단업계에서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형태와 무늬등을 개발함은 물론 이를 대량생산하고자 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같이 소비자의 미적 감각에 부응하기 위한 섬유원단을 제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섬유원단에 불규칙한 구김을 형성하도록 하여 불규칙 구김에 의한 미적 감각을 갖는 제품을 생산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원단을 이송공급하면서 폭방향절첩수단을 통해폭방향으로 절첩되게 포개지게 하고, 이를 계속적으로 이송하면서 길이방향절첩수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절첩되게 포개지게 한 후 이를 가압하여서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절첩되게 포개지는 부위로 불규칙한 구김을 형성하도록 하므로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폭방향절첩수단의 높이조절 관계를 보여주는 측면구성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구성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길이방향절첩수단을 보여주는 측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압수단을 보여주는 측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원단인출수단을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원단인출수단을 보여주는 측면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 원단인출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을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섬유원단 10; 폭방향 절첩수단 14,16; 상하부 지지판
15,17; 격판 18; 안내홈 25; 길이방향 절첩수단
26,27; 상하부 가이드롤 30,31; 상하부 지지와이어
40; 가압수단 42,44; 상하부 가압롤 47; 안내홈
50; 인출수단 53; 제1작동캠 55; 제2작동캠
61; 회동축 62; 고정구 64; 회동구
70; 가이드봉 75; 인출구 80; 원단분리구
먼저, 본 발명의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살펴보기로 한다.
섬유원단을 폭방향이 지그재그로 형성된 안내홈을 통과하여 이송시키되 상기안내홈은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 간격을 좁히고 높낮이는 높아지게하여 이송되는 섬유원단이 점차적으로 폭방향으로 절첩되게 안내하고,
상기 폭방향으로 절첩된 섬유원단은 계속적으로 엇갈리는 위치의 상하부 가이드를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전후방향으로 절첩되게 안내한 후, 상기 섬유원단을 상하부 지지와이어에 의해 상하부에서 지지하는 상태로 이송하면서 상하부 가압롤에 의해 가압하여 폭방향, 전후방향으로 절첩되게 포개진 부위에 불규칙한 구김을 형성하는 섬유원단을 제조하게 방법을 제공한다.
다음은 상기한 본 발명의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구측(11)에서 출구측(12)으로 상하부가 벌어지는 상하부 지지판(14)(16)의 내측면에는 입구측(11)에서 출구측(12)으로 높이폭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격판(15)(17)을 각각 상하부에 엇갈리게 다수 고정설치하되, 상기 격판(15)(17)은 폭방향으로 상호 엇갈리는 폭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지그재그 형태의 안내홈(18)을 형성하여 섬유원단(6)을 폭방향으로 절첩되게 안내하는 폭방향절첩수단(10)과,
상기 폭방향 절첩수단(10)의 출구측(12)에는 이송되는 섬유원단(6)을 엇갈리는 위치의 상하부 가이드롤(26)(27) 사이로 안내하여 길이방향으로 절첩되게 안내하는 길이방향절첩수단(25)과, 상기 폭방향 길이방향으로 절첩된 섬유원단(6)을 상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상하부 지지와이어(30)(31)와, 상기 지지와이어(30)(31)에 의해 지지되는 섬유원단(6)을 내측방향으로 상호 역회전하는 상하부 가압롤(42)(44) 사이로 이송하며 가압하는 가압수단(40) 및 상기 가압수단(40)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상하부 지지와이어(30)(31)에 지지되는 섬유원단(6)을 이송방향으로 인출하는 인출수단(50)을 순차적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폭방향절첩수단(10)은 하부지지판(16)이 프레임(2)상에 지지설치되고,상부 지지판(14)은 상부에 고정설치된 고정바(21)의 일측에 나사부(22a)를 형성하는 수직바(22)를 수직으로 연결설치하여 상기 수직바(22)를 프레임(2)에 고정설치된 지지브라켓(23)의 삽입공에 삽입하여 전후좌우에서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로 그 상하부에서 고정너트(24)로 나합고정하게 된다.
상기 가압수단(40)의 상하부 가압롤(42)(44)은 외표면에 섬유원단(6)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너어링(48)을 형성하고, 상하부 지지와이어(30)(31)가 안내되는 안내홈(47)을 다수 형성하고 있다.
상기 원단인출수단(50)은 구동축(51)의 일측 제1작동캠(53)에 고정설치된 회동암(54)에 의해 회동축(61)을 전후 회동작동케 고정설치하고, 상기 회동축(61)에는 하부에 인출구(75)가 설치된 가이드봉(70)(70)을 승하강 안내하도록 고정설치된 고정구(62)(62)와 상기 구동축(51)상의 제2작동캠(55)에 고정설치되어 고정구(62)(62)사이에서 전후 회동작동하는 회동구(64)를 설치하되, 상기 회동구(64) 일측의 고정암(65)과 상기 가이드봉(70)(70)을 고정하는 지지바(68)는 제2회동암(67)의 양측에 회전가능케 연결되어 구동축(51)의 구동에 의해 인출구(75)가 전후 회동작동함과 동시에 승하강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출구(75)는 섬유원단을 인출하는 다수의 인출봉(76)을 외측으로 벌어지게 대향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단인출수단(50)의 일측에는 폭방향으로 다수의 안내편(82)을 갖는 원단분리구(80)를 상하로 구비하여 이송와이어(30)(31)에 지지이송되는 섬유원단(6)을 분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동력전달관계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모터(M)의 구동회전력을 감속기(90)에 의해 감속한 상태로 전달받는 동력축(91)과 원단인출수단(50)의 구동축(51)의 제1스프로켓(S1)(S1)을 체인(C) 연결하고,
상기 동력축(91)파 가압수단(40)의 하부 가압롤(44)의 제2스프로켓(S2)(S2)을 체인(C) 연결함과 함께 하부가압롤(44)과 상부가압롤(42)은 타측의 기어(G)(G)가 치합되어 상호 내측으로 역구동하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5는 섬유원단(6)을 권취한 권취롤, 8은 섬유원단(6)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 56은 무게추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방 상부 권취롤(5)상의 섬유원단(6)을 폭방향절첩수단(10)을 입구측(11)에서 출구측(12)으로 안내홈(18)을 통해 통과시켜 가압수단(40)의 상하부 가압롤(42)(44)사이로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전원을 온작동시키면 구동모터(M)의 연계작동으로 상하부가압롤(42)(44)이 상호 역회전하면서 섬유원단(6)을 이송하게 된다.
이 과정을 좀더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권취롤(5)의 섬유원단(6)이 폭방향절첩수단(10)의 안내홈(18)을 통과하되 입구측(11)에 비해 출구측(12)이 폭이좁고 높낮이가 높게 형성된 안내홈(18)을 통과하면서 점차적으로 폭방향으로 절첩되게 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이때 상기 안내홈(18)은 상하부 지지판(14)(16)에 고정설치된 격판(15)(17)이 입구측(11)에 비해 출구측(12)으로 갈수록 높낮이를 높게 형성함과 동시에 폭간격을 좁게 형성한 상태로 상호 엇갈리 설치되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폭방향으로 절첩된 상태로 폭방향절첩수단(10)을 출구측(12)을 통과한 섬유원단(6)은 엇갈리게 형성된 협지의 상하부 가이드롤(26)(27) 사이를 통과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절첩되게 된다.(도 5참조)
이는 섬유원단(6)이 폭방향으로 절첩되어 높이를 높게 형성한 상태로 협지의상하부 가이드롤(26)(27)을 통과하면서 높게 형성된 원단이 후방으로 밀려 절첩되게 되는 것이다.(도 6참조)
이와같이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절첩된 섬유원단(6)은 상하부 지지와이어(30)(3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계속적으로 이송하면서 내측으로 상호역회전구동하는 상하부 가압롤(42)(44)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게 된다.(도 7참조)
이와같이 상기 상하부 가압롤(42)(44)의 사이에서 가압된 섬유원단(6)은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절첩된 부위로 가압력에 의해 확실한 구김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하부 가압롤(42)(44)은 그 외표면에 너어링(48)을 형성하여 섬유원단(6)을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확실하게 가압이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롤(42)(44)에는 대응되는 위치로 다수의 안내홈(47)을 형성하여 상하부 지지와이어(30)(31)를 안내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하부 가압롤(42)(44)을 통과하면서 가압 이송된 섬유원단(6)은 상하부 지지와이어(30)(31)에 지지되는 상태로 별도의 원단인출수단(50)에 의해 계속적으로 섬유원단의 이송방향으로 인출하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모터(M)에 연계작동으로 회전작동하는구동축(51)의 일측 제1작동캠(53)이 캠작동하면서 그 회동암(54)에 고정설치된 회동축(61)을 전후 회동작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회동축(61)이 전후 회전작동으로 회동축(61)상에 고정설치된 고정구(62)가 가이드봉(70)과 가이드봉(70)의 하부에 설치된 인출구(75)를 전후 회동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인출구(75)는 외측으로 벌어지게 대향 형성된 다수의 인출봉(76)이 이송방향으로 회동작동하면서 섬유원단(6)을 이송방향으로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축(51)의 제1작동캠(53)과 함께 제2작동캠(55)이 캠작동하면서 회동축(61)상의 회동구(64)를 고정구(62)(62)사이에서 전후 회동작동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회동구(64)의 회동작동은 회동구(64) 일측의 고정암(65)과 상기 가이드봉(70)(70)을 고정하는 지지바(68)에 각각 회전가능케 연결된 제2회동암(67)과 상기 가이드봉(70)(70)을 승하강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70)(70)의 승하강작동으로 인출구(75)도 함께 승하강작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인출구(75)는 전후 작동과 함께 승하강작동, 섬유원단(6)을 후방으로 인출하면서 상승되고 다시 전방으로 원위치 하면서 하강하는 작동을 행하므로 인출구(75)의 인출봉(76)이 섬유원단(6)에 간섭됨이 없이 인출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원단인출수단(50)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인출되는 섬유원단(6)은 폭방향으로 다수의 안내편(82)을 갖는 상하 원단분리구(80)를 통과하면서 상하 지지와이어(30)(31)로 부터 분리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불규칙한 구김을 형성하는 섬유원단(6)만을 효과적으로 수거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섬유원단을 이송하면서 폭방향으로 절첩되게 포갬과 함께 길이방향으로 절첩되게 포갠 상태로 가압하여 상기 폭방향과 길이방향의 절첩된 부위로 불규칙한 구김을 형성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또한 상기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공으로 소비자의 미적 감각에부응하는 제품을 공급하므로 소비자의 신뢰도를 극대화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섬유원단올 폭방향이 지그재그로 형성된 안내홈을 통과하여 이송시키되 상기안내홈은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 간격을 좁히고 높낮이는 높아지게하여 이송되는 섬유원단이 점차적으로 폭방향으로 절첩되게 안내하고,
    상기 폭방향으로 절첩된 섬유원단은 계속적으로 엇갈리는 위치의 상하부 가이드롤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전후방향으로 절첩되게 안내한 후, 상기 섬유원단을 상하부 지지와이어에 의해 상하부에서 지지하는 상태로 이송하면서 상하부 가압롤에 의해 가압하여 폭방향, 전후방향으로 절첩되게 포개진 부위에 불규칙한 구김을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2. 입구측(11)에서 출구측(12)으로 상하부가 벌어지는 상하부 지지판(14)(16)의내측면에는 입구측(11)에서 출구측(12)으로 높이폭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격판(15)(17)을 각각 상하부에 엇갈리게 다수 고정설치하되, 상기 격판(15)(17)은 폭방향으로 상호 엇갈리는 폭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지그재그 형태의 안내홈(18)을 형성하여 섬유원단(6)을 폭방향으로 절첩되게 안내하는 폭방향절첩수단(10)과,
    상기 폭방향 절첩수단(10)의 출구측(12)에는 이송되는 섬유원단(6)을 엇갈리는 위치의 상하부 가이드롤(26)(27) 사이로 안내하여 길이방향으로 절첩되게 안내하는 길이방향절첩수단(25)과, 상기 폭방향 길이방향으로 절첩된 섬유원단(6)을 상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상하부 지지와이어(30)(31)와, 상기 지지와이어(30)(31)에 의해 지지되는 섬유원단(6)을 내측방향으로 상호 역회전하는 상하부 가압롤(42)(44) 사이로 이송하며 가압하는 가압수단(40) 및 상기 가압수단(40)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상하부 지지와이어(30)(31)에 지지되는 섬유원단(6)을 이송방향으로 인출하는 인출수단(50)을 순차적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절첩수단(10)은 하부지지판(16)이 프레임(2)상에 지지설치되고, 상부 지지판(14)은 상부에 고정설치된 고정바(21)의 일측에 나사부(22a)를 형성하는 수직바(22)를 수직으로 연결설치하여 상기 수직바(22)를 프레임(2)에 고정설치된 지지브라켓(23)의 삽입공에 삽입하여 전후좌우에서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로 그상하부에서 고정너트(24)로 나합고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40)의 상하부 가압롤(42)(44)은 외표면에 섬유원단(6)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너어링(48)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인출수단(50)은 구동축(51)의 일측 제1작동캠(53)에 고정설치된 회동암(54)에 의해 회동축(61)을 전후 회동작동케 고정설치하고, 상기 회동축(61)에는 하부에 인출구(75)가 설치된 가이드봉(70)(70)을 승하강 안내하도록 고정설치된 고정구(62)(62)와 상기 구동축(51)상의 제2작동캠(55)에 고정설치되어 고정구(62)(62)사이에서 전후 회동작동하는 회동구(64)를 설치하되, 상기 회동구(64) 일측의 고정암(65)과 상기 가이드봉(70)(70)을 고정하는 지지바(68)는 제2회동암(67)의 양측에 회전가능케 연결되어 구동축(51)의 구동에 의해 인출구(75)가 전후 회동작동함과 동시에 승하강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75)는 섬유원단을 인출하는 다수의 인출봉(76)을 외측으로 벌어지게 대향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장치.
KR1019990004325A 1999-02-08 1999-02-08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291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325A KR100291303B1 (ko) 1999-02-08 1999-02-08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325A KR100291303B1 (ko) 1999-02-08 1999-02-08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278A KR19990068278A (ko) 1999-09-06
KR100291303B1 true KR100291303B1 (ko) 2001-05-15

Family

ID=3752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325A KR100291303B1 (ko) 1999-02-08 1999-02-08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3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7872A (zh) * 2014-01-16 2014-04-30 常州市添彩压绉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立景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916A (ko) * 1984-08-07 1986-03-24 더크 제이. 베네만 와인더 제어장치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890004734A (ko) * 1987-09-01 1989-05-09 가즈오 애라 투석장치
KR890004733A (ko) * 1987-09-21 1989-05-09 엠. 피. 잭슨 개량된 직물 분배장치
KR940000569A (ko) * 1992-06-24 1994-01-03 박원희 빙핵활성을 갖는 미생물의 배양방법
KR19980087696A (ko) * 1998-09-10 1998-12-05 박진태 주름원단 가공방법
KR19990030424A (ko) * 1998-12-29 1999-04-26 김진수 불규칙한 구김을 형성하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916A (ko) * 1984-08-07 1986-03-24 더크 제이. 베네만 와인더 제어장치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890004734A (ko) * 1987-09-01 1989-05-09 가즈오 애라 투석장치
KR890004733A (ko) * 1987-09-21 1989-05-09 엠. 피. 잭슨 개량된 직물 분배장치
KR940000569A (ko) * 1992-06-24 1994-01-03 박원희 빙핵활성을 갖는 미생물의 배양방법
KR19980087696A (ko) * 1998-09-10 1998-12-05 박진태 주름원단 가공방법
KR19990030424A (ko) * 1998-12-29 1999-04-26 김진수 불규칙한 구김을 형성하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7872A (zh) * 2014-01-16 2014-04-30 常州市添彩压绉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立景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278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786B1 (en)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JP2616832B2 (ja) 製袋装置
CN100365184C (zh) 一种横机织物牵拉装置
JP4828705B2 (ja) 繊維構造を形成するために紡毛機または梳毛機に設ける装置
CN110983743A (zh) 一种自动接布机
CN216763754U (zh) 一种用于服装生产的布料平整装置
KR100291303B1 (ko) 불규칙한 구김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6823923B2 (en) Light-control window cover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CN212768847U (zh) 一种打卷装置
KR20020048863A (ko) 편물기용 연속 견인 장치
CN211545384U (zh) 一种接布机的取布组件
KR100403172B1 (ko) 로프 제조장치
US4509733A (en) Multiple paper web guiding and combining apparatus for combination with rotary printing machine and folding device
CN207498640U (zh) 一种花边织带定型机
KR200415105Y1 (ko) 시트 원단 가공 롤 프레스
KR200289217Y1 (ko) 지퍼 제조장치
KR100291302B1 (ko) 불규칙한 구김을 형성하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679697B1 (ko) 차량용 내장재 원단 가공용 엠보싱캘린더
KR100434183B1 (ko) 자수장치용 원단 이송구조
CN214217571U (zh) 一种自动收卷机
CN111020897A (zh) 一种接布机的夹料组件
CN218203505U (zh) 一种双层服装的压花装置
CN210735681U (zh) 一种用于生产无芯卫生纸卷的复卷设备
CN117107546B (zh) 一种木纹纸放置装置及方法
CN219214257U (zh) 皮壳机的前包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