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990B1 -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 Google Patents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990B1
KR100289990B1 KR1019980020577A KR19980020577A KR100289990B1 KR 100289990 B1 KR100289990 B1 KR 100289990B1 KR 1019980020577 A KR1019980020577 A KR 1019980020577A KR 19980020577 A KR19980020577 A KR 19980020577A KR 100289990 B1 KR100289990 B1 KR 100289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hormone
weight
ethanol
reduced pressure
under redu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758A (ko
Inventor
배오성
Original Assignee
배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오성 filed Critical 배오성
Priority to KR1019980020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99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에 관한 것으로, 의이인 및 건율 각 12∼43중량%, 나복자 6∼37중량%, 길경, 맥문동, 오미자, 석창포, 원지, 천문동, 산조인, 용안육, 녹용, 녹각, 백강잠, 익지인 및 황련 각 3∼34중량%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성분을 세말하여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증류수에 침전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6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후, 2차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8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3차감압농축하여 증류수를 첨가하고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증발시킨 후, 동결건조하고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다음, 밀리포아 여과지로 여과하여 주사액으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제를 제조하고 이를 성장기 어린이 또는 왜소증 환자에 투여하므로서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Description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본 발명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의이인 및 건율 각 12∼43중량%, 나복자 6∼37중량%, 길경, 맥문동, 오미자, 석창포, 원지, 천문동, 산조인, 용안육, 녹용, 녹각, 백강잠, 익지인 및 황련 각 3∼34중량%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성분을 세말하여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증류수에 침전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6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후, 2차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8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3차감압농축하여 증류수를 첨가하고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증발시킨 후, 동결건조하고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다음, 밀리포아 여과지로 여과하여 주사액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경제성장과 함께 식생활이 개선되면서 청소년들의 평균신장이 10여년전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유전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후천적인 질병 발생 등에 의해 성장에 장애현상을 보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왜소증 치료를 위해 유전공학 기법에 의해 대량 생산한 성장호르몬을 투여하거나 물리적으로 뼈의 일정부위를 수술 등에 의해 늘리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성장 정지 이전이거나 일정한 조건에 한해서만 처방되는 이들 방법에 의한 임상결과는 때로는 심각한 부작용이 따르며, 그 기대효과 또한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부담도 적지 않다.
일반적으로 뇌하수체 전엽(Anterior Pituitary)에서 분비되는 성장호르몬은 소마토트로핀(Somatotropin)이라고도 하며, 몸의 성장, 발육을 촉진시키고 당질, 지방질, 단백질의 신진대사에 직접 작용하여 골격성장은 물론 내장 등의 성장 속도를 조절하는 각종 작용을 나타낸다.
그리고, 혈액중 성장호르몬의 농도는 수면이나 스트레스 등과 같은 자극에 의해 수분내에 급격히 상승하기도 하며, 성장호르몬의 작용에 의해 그후 신장이나 간에서 생성되는 소마토메딘(Somatomedin)은 연골세포에서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여 뼈를 성장시킨다.
사춘기 시절의 급성장은 성장호르몬 및 성호르몬의 분비가 증가되어 나타난다. 성장호르몬은 장골의 성장을 돕고 성호르몬은 척골의 성장을 도와주며 성장호르몬 분비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급성장이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의 분비는 시상하부의 성장호르몬 방출호르몬(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 GHRH)에 의해 자극되며 성장호르몬 분비 억제호르몬(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SS))에 의해 억제된다. 또한, 지금까지 알려진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하거나 억제시키는 물질은 대부분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GHRH와 SS의 분비를 조절하여 간접적으로 성장호르몬의 분비상태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8년 부터 성장호르몬 결핍증 환자에게 성장호르몬을 투여하기 시작하였으며, 성장호르몬이 유전공학의 발달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성장호르몬 결핍증 뿐만 아니라 터너증후군, 가족성왜소증 같은 성장호르몬 비결핍성왜소증에 성장호르몬제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그러나, 성장호르몬제제는 고관절탈구, 갑상선 기능저하증, 성장호르몬 항체 형성 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대량 투여시에는 당내불성(glucose intolerance)이 나타나기도 하므로 성장호르몬의 남용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자연스럽게 성장을 유도하는 치료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의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의이인 및 건율 각 12∼43중량%, 나복자 6∼37중량%, 길경, 맥문동, 오미자, 석창포, 원지, 천문동, 산조인, 용안육, 녹용, 녹각, 백강잠, 익지인 및 황련 각 3∼34중량%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성분을 세말하여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증류수에 침전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6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후, 2차 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8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3차감압농축하여 증류수를 첨가하고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증발시킨 후, 동결건조하고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다음, 밀리포아 여과지로 여과하여 주사액으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를 제조하고 이를 성장기 어린이 또는 왜소중 환자에 투여하므로서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1도 및 제2도는 실시예 1에서 측정된 성장호르몬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을 의이인 및 건율 각 12∼43중량%, 나복자 6∼37%중량%, 길경, 맥문동, 오미자, 석창포, 원지, 천문동, 산조인, 용안육, 녹용, 녹각, 백강잠, 익지인 및 황련 각 3∼34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는 의이인 및 건율 각 12∼43중량%, 나복자 6∼37중량%, 길경, 맥문동, 오미자, 석창포, 원지, 천문동, 산조인, 용안육, 녹용, 녹각, 백강잠,익지인 및 황련 각 3∼34중량%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성분을 세말하여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증류수에 침전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6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후, 2차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8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3차감압농축하여 증류수를 첨가하고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증발시킨 후, 동결건조하고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다음, 밀리포아 여과지로 여과하여 주사액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이인은 일년생 초본으로서 벼과에 속하는 율무(Coix lachryma-jobivar.mayuen)의 종인으로서 종자를 털어서 외피를 벗긴 다음, 종인이 부서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종인에 붙은 황갈색의 외피를 벗긴 것을 사용하며, 건비, 보폐, 이습, 해열 등의 효능이 있어 설사, 습비, 수종, 굴신불리, 각기, 폐위, 장옹, 임충, 백체 등에 적용하며, 사용량은 12∼43중량%가 효과적이고, 사용량이 12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43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건율은 밤나무 열매를 건조시킨 것으로 가시가 많이 난 송이에 쌓여 있으며 겉껍데기 안에 삽피인 속껍질이 있고 맛이 아주 좋으며 영양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예로부터 마노이 사용되어 왔고, 사용량은 12∼43중량%가 효과적이며, 사용량이 12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43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나복자는 약재로 사용되는 무씨를 일컫는 말로 건위제로소 뿐만 아니라 가래, 기침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며, 사용량은 6∼37중량%가 효과적이고, 사용량이 6중랑%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37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길경은 다년생 초본으로서 초롱꽃과에 속하는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의 뿌리로서, 채취 후 경엽과 흙을 제거하고 즉시 물에 담그어 죽도로 겉껍질을 제거한 후 햇볕에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며, 거담, 배농 등의 효능이 있어 해수, 기관지염, 인후종통, 늑막염, 폐기종, 화농성질환 등에 응용하고, 3∼34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사용량이 3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34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맥문동은 다년생 초본으로서 백합과에 속하는 소엽맥문동(Ophiopogon japonicus)의 구근으로서 채취하여 뿌리의 흙을 털고 구근을 칼로 잘라 흐르는 물에서 체에 넣고 흔들어 깨끗이 씻어 3∼4일 동안은 햇볕을 강하게 쪼인 후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안치했다가 다시 햇볕에 건조시키는 과정을 2∼3회 반복하거나 40∼50℃의 온도에서 화건시킨 것을 사용하며, 자음, 폐윤, 양위, 청심, 지경, 생진, 진해 능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신체허약, 폐결핵, 심장쇠약, 당뇨병, 갈증, 기관지염 등에 응용하고, 본 발명에서는 3∼34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사용량이 3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34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오미자는 낙엽 만경으로서 목련과에 속하는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의 과실로서 열매가 붉게 익고 과피가 주름이 생길 때 수확하여 멍석이나 철망으로 만든 발 위에서 햇볕에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며, 자견, 윤폐, 지간, 삽정, 수렴, 진해, 지갈, 생진 등의 효능이 있고, 석창포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천남성과에 속하는 석창 포(Acorus gramineus)의 근경으로 가을에 채취하여 줄기와 잎 및 수염뿌리를 제거 하고 깨끗이 씻은 후 10cm 정도로 잘라서 햇볕에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며, 거풍습, 이기, 활혈, 거담 등의 효능이 있고, 원지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원지과에 속하는 원 지(Polygala tenuifolia)와 두메애기풀(P.sibirica)의 뿌리로서 뿌리를 캐어서 잡질과 흙을 제거하고 마르기 전에 방망이로 때려서 부드럽게 한 후 목심을 제거한 후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며, 안신, 익지, 거담, 해욱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문동은 다년생 덩굴성 초본으로 백합과에 속하는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의 구경으로서 늦가을에서 초겨울 사이에 채취하며 잔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후 대소로 분리하여 외피가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끓는 물에 넣거나 시루 등에서 찐 다음, 찬물에 넣어서 외피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약한 불로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면 자음, 윤조, 청폐, 강화, 생진 능의 효능이 있으며, 산조인은 낙엽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서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묏대추(Zizyphus jujuba)의 종인으로서 가을철에 채취하여 물에 하룻동안 담구었다가 꺼내어 과육을 제거하고 과핵을 부수어 종인을 취한 후 햇볕에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고, 양간, 안신, 영심, 지간, 생진의 효능이 있어 허간, 경계, 소갈, 불면증, 심경, 신경쇠약 등에 응용하며, 용안육은 용안의 종자로서 완화자양제로 사용되고 말려서 식용으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녹용은 사슴의 새로 돋은 연한 뿔로 성질이 온하여 피를 돕고 심장을 강하게 하는 힘이 있어 예로부터 보약으로 귀하게 쓰여왔으며, 녹각은 녹용이 자라서 그 속에 들어 있던 피의 양도 줄고 털도 뻣뻣하게 되어 굳어진 사슴의 뿔로서 약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백강잠은 백강병으로 죽은 누에를 칭하는 것으로 풍증을 다스리는 약으로 경간, 중풍, 담증, 후증 등에 사용되는 것이다.
익지인은 익지의 씨로서 신맛이 있으며 소화와 소변불금 및 유정에 약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황련은 상록 다년생 초본으로서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황련(Coptis japonica) 및 천황련(C.chinensis)의 근경으로 채취 후 잎과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흙을 깨끗이 씻어 햇볕에 건조시키거나 불에 말린 것을 사용하고, 해열, 사화, 조습, 해독, 살균 등의 효능이 있어 발열, 열성심경, 심하불만, 구역, 구토, 장염, 복통에 응용한다.
길경, 맥문동, 오미자, 석창포, 원지, 천문동, 산조인, 용안육, 녹용, 녹각, 백강잠,익지인 및 황련은 각각 3∼34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사용량이 3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34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들로 본 발명의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제를 제조하되 각각의 성분을 세말하여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증류수에 침전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6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후, 2차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8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3차감압농축하여 증류수를 첨가하고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증발시킨 후, 동결건조하고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다음, 밀리포아 여과지로 여과하여 주사액으로 제조한다.
분말의 크기는 미세할수록 각각의 성분에서 유효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320메쉬 정도인 것이 효과적이다.
각각의 성분을 세말하여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한 것 20g을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1000m1를 가하여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침전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남은 찌꺼기에 다시 500m1의 증류수를 가하여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침전추출하고 여과하고 처음의 추출액을 합한 후, 감압농축하여 잔량이 50m1가 되도록 한 다음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6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2차 감압농축하여 잔량이 50m1가 되도록 한 다음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8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3차 감압농축하여 잔량이 50ml가 되도록 한 다음, 증류수 50ml를 첨가하고 다시 감압농축하여 잔량이 50ml가 되도록 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증발시킨 후, 동결건조하고 건조엑기스를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다음, 밀리포아 여과지로 여과하여 복강 주사용 주사액 형태로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제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조성물을 공지의 방법으로 함유 성분들을 추출하여 왜소증 환자에게 장기간 음용하게 하거나 주사액으로 제조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제를 복강에 주사하게되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되어 성장호르몬 결핍증 뿐만 아니라 터너증후군, 가족성왜소증, 같은 성장호르몬 비결핍성왜소증 환자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량은 0.5∼15g/kg으로서, 투여량이 0.5g/kg 미만이면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 효과가 미약하고, 15g/kg을 초과할 경우에는 투여량 상승에 따른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효과의 상승정도가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대체적으로 성장 발육기 어린이들의 체중은 10∼30kg 정도이므로 1일 투여량은 5∼450g 정도가 효과적이며, 적용 대상의 건강 정도, 비만도 등을 측정하여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주사제로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투여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되며, 경구 투영의 경우에는 투여량이 증가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는 작용기전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다른 증상의 환자에게 상기와 같은 조성물 또는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를 투여시 왜소증을 치료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는 사상체질 중 태음인의 체질을 갖는 왜소증 환자에게서 효과적 이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의이인 및 건율 각 12g, 나복자 6g, 길경, 백문동, 오미자, 석창포, 원지, 천문동, 산조인, 용안육, 녹용, 녹각, 백강잠, 익지인 및 황련 각4g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하여 미세 분말화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20g을 칭량하여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1000m1를 가하여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침전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남은 찌꺼기에 다시 500m1의 증류수를 가하여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침전추출하고 여과하고 처음의 추출액을 합한 후, 감압농축하여 잔량이 50m1가 되도록 한 다음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6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2차 감압농축하여 잔량이 50m1가 되도록 한 다음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8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3차 감압농축하여 잔량이 50m1가 되도록 한 다음, 증류수 50m1를 첨가하고 다시 감압농축하여 잔량이 50m1가 되도록 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증발시킨 후, 동결건조하고 건조엑기스를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다음, 밀리포아 여과지로 여과하여 복강 주사용 주사액 형태로 된 발명의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를 흰쥐에 투여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
즉, 실험동물로 흰쥐(Sprague-Dawley, male)를 선정한 후, 출생일을 제1일로 하여 표준조건(22±2℃, 습도 55±5%)에서 사육한 생후 21일된 체중 25∼30g의 흰쥐를 선발하였으며, 각각의 실험군을 7∼8마리로 하여 제조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1.0g/쥐체중kg과 10.0g/쥐체중kg 농도로 각각 생리식염수에 희석한 후, 흰쥐에 각각 복강주사하여 15분 후에 에테르로 마취한 다음, 심장으로 부터 채혈하고 혈청을 분리(3,000rpm, 4℃)한 후, 성장호르몬 키트(Growth Hormone kit)를 이용하여 방사선면역 분석법(Radioimmuno Assay)로 감마 카운터(Gamma counter; Packard, Auto Gamma 5550)를 사용하여 정량하므로서 혈청의 성장호르몬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성장호르몬 분비 펩타이드(GHRP)인D-YS-TYR-D-TRP-D-TRP-PHE AMIDE(L4135)는 시그마 케미칼 컴파니(Sigma Chemical Co.(St, Louis, Mo))에서 구입하여 상기의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강에 주사하여 성장호르몬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시약은 앨드리치(Aldrich)사로 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측정된 성장호르몬의 함량을 표 1,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내었다.
*a) : 평균 ± 표준편차
NS : 보통 식염수
GR : GHRP
SB : 본 발명의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상기 표 1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으로 사용한 식염수에 있어서 성장호르몬 함량은 38.6 ± 4.04pg/m1로 나타냈으며, 본 발명의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를 1.0g/kg, 10g/kg을 복강주사한 실험군은 각각 44,3 ± 4.81pg/m1 및 48.6 ± 4.59pg/m1로 나타나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켰다.
[실시예 2]
10∼15세 정도의 사춘기 남학생 중 맥진하여 태음인으로 판단되는 50명의 학생들에게 의이인 및 건율 각 12g, 나복자 6g, 길경, 백문동, 오미자, 석창포, 원지, 천문동, 산조인, 용안육, 녹용, 녹각, 백강잠, 익지인 및 황련 각4g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하여 미세 분말화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20g을 칭량하여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1000ml를 가하여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침전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남은 찌꺼기에 다시 500m1의 증류수를 가하여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침전추출하고 여과하고 처음의 추출액을 합한 후, 감압농축하여 잔량이 50m1가 되도록 한 다음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6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2차 감압농축하여 잔량이 50m1가 되도록 한 다음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8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3차 감압농축하여 잔량이 50m1가 되도록 한 다음, 증류수 50m1를 첨가하고 다시 감압농축하여 잔량이 50m1가 되도록 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증발시킨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를 6개월에서 1년간 투여하고 성장 정도를 측정한 결과, 5cm 이하로 성장한 경우는 14명으로 28%에 해당되었으며, 5∼9cm를 성장한 경우는 20명으로 40%, 10∼15cm를 성장한 경우는 15명으로 30%, 15cm 이상 성장한 경우는 1명으로 2%에 해당되었다.
한편, 국립기술품질원이 실시한 1997년 국민체위조사에서 나타난 성장기 청소년의 1년간 성장 평균치는 3.5cm인 바, 본 발명의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의 복용시 평균치 이상으로 성장한 경우는 72%에 해당되어 성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의이인 및 건율 각 12∼43중량%, 나복자 6∼37중량%, 길경, 맥문동, 오미자, 석창포, 원지, 천문동, 산조인, 용안육, 녹용, 녹각, 백강잠,익지인 및 황련 각 3∼34중량%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성분을 세말하여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증류수에 침전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6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후, 2차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8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3차감압농축하여 증류수를 첨가하고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증발시킨 후, 동결건조하고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다음, 밀리포아 여과지로 여과하여 주사액으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제를 제조하고 이를 성장기 어린이 또는 왜소증 환자에 투여하므로서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3)

  1. 의이인 및 건율 각 12∼43중량%, 나복자 6∼37중량%, 길경, 맥문동, 오미자, 석창포, 원지, 천문동, 산조인, 용안육, 녹용, 녹각, 백강잠,익지인 및 황련 각 3∼34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조성물.
  2. 의이인 및 건율 각 12∼43중량%, 나복자 6∼37중량%, 길경, 맥문동, 오미자, 석창포, 원지, 천문동, 산조인, 용안육, 녹용, 녹각, 백강잠,익지인 및 황련 각 3∼34중량%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성분을 세말하여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증류수에 침전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6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후, 2차감압농축하여 냉각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8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교반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3차감압농축하여 증류수를 첨가하고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증발시킨 후, 동결건조하고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다음, 밀리포아 여과지로 여과하여 주사액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3. 제2항에 있어서, 사상체질 중 태음인에게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KR1019980020577A 1998-06-03 1998-06-03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KR10028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577A KR100289990B1 (ko) 1998-06-03 1998-06-03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577A KR100289990B1 (ko) 1998-06-03 1998-06-03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758A KR20000000758A (ko) 2000-01-15
KR100289990B1 true KR100289990B1 (ko) 2001-05-15

Family

ID=1953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577A KR100289990B1 (ko) 1998-06-03 1998-06-03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389B1 (ko) * 1998-12-09 2005-10-19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성장 촉진제
KR100384482B1 (ko) * 2000-07-26 2003-05-22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20030086158A (ko) * 2002-05-03 2003-11-07 (주)메디엔스 성장촉진용 조성물
KR100763620B1 (ko) * 2006-03-14 2007-10-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산조인 추출물 또는 베툴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성장호르몬 분비촉진용 조성물
CN112933728A (zh) * 2021-01-22 2021-06-11 信阳农林学院 香果树扦插基质溶液采样装置
KR102621399B1 (ko) * 2022-11-30 2024-01-08 주식회사 함소아제약 성장 촉진용 녹각-오미자 복합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758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432B1 (ko)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KR20000000757A (ko)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KR100731160B1 (ko)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생약재 조성물
KR101719108B1 (ko) 도라지와 여주의 혼합 분말, 그리고 그 캡슐과 제조방법
KR101090593B1 (ko) 모시풀을 이용한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탈모방지 샴푸
KR100289990B1 (ko)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CN107519310B (zh) 提高精力抑制肿瘤细胞生长功能的中药组合物和制备工艺
KR101195109B1 (ko) 당뇨병 예방에 효과적인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6680076B2 (en) Natural teas for increasing stamina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CN104946488A (zh) 养生龟酒及其制备方法
KR100601390B1 (ko)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
AU654365B2 (en) Stevia extract-containing liquid internal medicin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0509983B1 (ko) 성장촉진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CN105597081A (zh) 一种用于降低高血压的药物
KR100609643B1 (ko) 피부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737280A (zh) 用于治疗糖尿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006717A (zh) 含有桑叶和蚕的鸡饲料
JP2003061613A (ja) 肝臓保護用健康食品組成物(Healthyfoodcompositionforprotectinghepatic)
KR100603122B1 (ko)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08850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항비만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36594B1 (ko) 변비 치료 및 비만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6583C (zh) 一种壮阳丹
KR20190116045A (ko) 소아 성장판 자극 및 키 성장을 위한 한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0885480B1 (ko) 한방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