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482B1 - 성장 촉진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성장 촉진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482B1
KR100384482B1 KR10-2000-0042960A KR20000042960A KR100384482B1 KR 100384482 B1 KR100384482 B1 KR 100384482B1 KR 20000042960 A KR20000042960 A KR 20000042960A KR 100384482 B1 KR100384482 B1 KR 100384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weight
feed
growth horm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652A (ko
Inventor
권순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00-004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482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9Polygalaceae (Milk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약재인 원지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성장 촉진제 조성물로서, 라이신, 알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약재를 이용한 것으로서, 부작용이 없고 안전성이 확보되므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이나 약품, 화장품 등에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성장 촉진제 조성물{Growth promo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천연 약재인 원지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성장 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효능을 지닌 원지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에 라이신, 알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성장 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성장 촉진제 조성물은 천연 약재를 이용한 것으로서, 부작용이 없고 안전성이 확보되므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이나 약품, 화장품 등에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이다.
성장호르몬은 사람과 동물의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성 호르몬으로서, 사람의 경우 191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는 물질인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호르몬에 의한 자극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분비가 이루어진다. 성장호르몬이 생채 내에서 하는 주된 기능은 간 등 말초조직에서 인슐린유사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를 생성케 하여 인슐린유사 성장인자가 연골조직에 작용하여 성장을 자극하게 하고, 대사작용을 통해서 단백질 합성작용을 증가시킴으로써 근육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산의 산화를 증가시켜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기능으로 성장호르몬은 오래 전부터 왜소증(矮小症) 환자들의 치료목적으로 사용되어 왔고, 근래에는 비만치료제로서의 연구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에 성장호르몬은 사체의 뇌하수체로부터 얻어졌으나, 이를 투여 받은 환자들에게 크로이츠펠트-야곱병(Creutzfeldt-Jakob disease, CJD)이란 질병을 유발시킴이밝혀졌다. 1985년 후반기에 이르러 유전자 재조합 방식의 성장호르몬이 상품화되기 시작하여 대량 생산 및 공급이 가능해지고 타질환의 위험성도 없어짐에 따라 최근에는 유전자 재조합 방식의 성장호르몬이 성장호르몬 결핍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전자 재조합 방식의 성장호르몬 자체가 거대 단백질이어서 경구투여가 불가능하므로 주사기를 이용한 근육주사로 이루어지는데, 대량생산에도 불구하고 치료기간 동안 요구되는 비용이 많을 뿐만 아니라, 근육내 주사로 투여하므로 이에 따르는 불편함이 큰 것이 사실이었다.
따라서, 경구투여가 가능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처음으로 1980년에 미국 툴란(Tulan) 대학교의 바우어(C. Y. Bowers) 등이 생체내의 엔케팔린(enkephalin)을 토대로 성장호르몬 분비활성을 갖는 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새로운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인 GHRP-6(Growth hormone releasing peptide-6, His-D-Trp -Ala-Trp-D-Phe-Lys-NH2)을 개발하였다(Endocrinology, 108, 31-9, 1980). 이 물질은 다른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생체 내에서와 생체 밖에서 모두 성장호르몬을 분비시키는 활성이 있음이 확인되었고(Endocrinology, 116, 1432-8, 1984; Endocrinology, 117 ,97-105, 1985), 비록 적은 흡수율이지만 경구투여시에도 흡수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ife Science, 47, 29-36, 1990). GHRP-6이 개발된 이후에 계속적인 연구로 다른 펩티드성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인 GHRP-1(Ala-His-D-β-Nal-Ala-Trp-D-Phe-Lys-NH2)과 GHRP-2(D-Ala-D-β-Nal-Ala- Trp-D-Phe-Lys-NH2)라는 6개의 변화된 펩티드로 구성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가개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생체내의 활성은 뛰어나지만 경구투여시 그 흡수율이 2 내지 3 %에 머무르는 등 경구투여에는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경구투여의 단점을 개선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가 게르츠 등(Gertz et al.,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177, 1393-1397, 1993)에 의해 비펩티드성으로 개발되었는데, 이것은 GHRP-6의 구조를 분석하여 얻은 벤조융합 락탐(Benzo-fused lactam) 구조의 L-692, 429라는 화합물이다. 그러나, 이 화합물은 동물에서와 달리 사람에 대한 임상 실험에서 경구투여시 흡수가 그리 높지 않은 문제가 있었으므로, 이를 개선하여 스피로인돌린 술폰아미드(Spiroindolin sulfonamide) 구조의 L-163,191이라는 화합물이 미국 머크(Merk)사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화합물은 기존에 개발되었던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들의 가장 큰 문제점이었던 경구 흡수율을 높인 화합물로서 개(Beagle dog)에서 경구투여시 60% 이상의 흡수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임상 시험이 진행중이다(Endocrinology, 137, 5284-5289, 1996).
이와 같은 화합물은 경구용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가 갖추어야 할 체내에서의 흡수율과 성장호르몬만을 선택적으로 분비시키는 생물학적 활성도를 갖고 있어서 주사제형 성장호르몬제를 대체할 새로운 의약품으로 각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물질에 관한 연구 결과들은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성장호르몬만을 선택적으로 분비시키는 물질들이 주사제형 성장호르몬 대체제로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성장호르몬 분비자극제의 개발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사람의 체내에서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것은 4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GHRH와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이라는 호르몬인데, 이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호르몬을 간헐적(pulsatile) 분비라는 특이한 형태로 분비하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GHRP-6의 개발 이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GHRP-6이 GHRH와 동일한 수용체(receptor)를 경유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보고가 있었고, 이러한 합성 화합물인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들이 경유하는 새로운 수용체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Endocrinology, 114, 1573, 1984)(Endocrinology, 124, 2791, 1989). 이러한 가능성은 머크사의 연구진에 의해 돼지와 사람의 뇌하수체 만곡형상 복층정중(Arcuate ventro-medial) 부위 그리고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수용체의 상보적 핵산(cDNA, complementary DNA)의 염기서열이 밝혀지면서 사실로 입증되었다(Science, 273, 974-977, 1996).
이러한 사실을 통해 기존에 밝혀진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호르몬과 합성 화합물인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사이의 상승작용(synergism)이 입증되었으며, 체내에 존재하여 GHRP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리라 추측되는 물질의 규명에 더욱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약재인 원지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성장 촉진제 조성물을 생성함으로써 부작용이 없고 안전성이 확보되어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이나 약품, 화장품 등에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성장 촉진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8주간 SD 래트에 경구 투여한 후의 SD 래트 암수의 최종 체장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8주간 SD 래트에 경구 투여한 후의 SD 래트 암수의 최종 체중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8주간 SD 래트에 경구 투여한 후의 SD 래트 암수의 최종 대퇴부 길이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8주간 SD 래트에 경구 투여한 후의 SD 래트 암수의 최종 정강이 뼈 길이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SD 래트에 경구 투여한 후, 주간별로 측정한 체장의 추세선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SD 래트에 경구 투여한 후, 주간별로 측정한 체중의 추세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원지 추출물 11 내지 21 중량%, 사상자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길경 추출물 24 내지 34 중량% 및 잔량으로서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성장 촉진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아미노산을 상기 추출물에 대하여 중량비로 1 대 0.4 내지 0.8 범위의 양으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성장 촉진제 조성물이다.
상기 아미노산은 라이신, 알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원지 추출물 11 내지 21 중량%, 사상자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길경 추출물 24 내지 34 중량% 및 잔량으로서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품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원지 추출물 11 내지 21 중량%, 사상자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길경 추출물 24 내지 34 중량% 및 잔량으로서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용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장 촉진제 조성물은 원지 추출물 11 내지 21 중량%, 사상자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길경 추출물 24 내지 34 중량% 및 잔량으로서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약재들은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의 효능 외에도 원지는 안신익지(安神益智), 거담이규(祛痰利竅), 소옹산결(逍癰散結)의 효능이 있고, 사상자는 온신장양(溫腎壯陽), 산한거풍(散寒祛風), 조습살충(燥濕殺蟲)의 효능이 있으며, 길경은 선폐거담(宣肺祛痰), 배농소옹(排膿消癰)의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약재의 용량은 대한 약사회 인터넷 홈페이지의 한약 DB 중 본초(생약) 정보(http://www.kpanet.or.kr/wwwl/docs/kpanet/docs/han/boncho/han.ht m)를 참조하여 결정하였다. 자료에 의하면 원지는 3 내지 9 g, 사상자는 5 내지 15 g, 길경은 3 내지 9 g, 백하수오는 9 내지 30 g의 범위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아미노산을 상기 추출물에 대하여 중량비로 1 대 0.4 내지 0.8 범위의 양으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성장 촉진제 조성물이고, 상기 아미노산은 라이신, 알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미노산의 사용량은 미국에서 노화방지(antiaging) 연구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클래츠(Dr. Ronald Klatz)의 저서인 "Grow Young with hGH"에 소개된 내용을 참조하였다. 성장호르몬 결핍성 노화를 개선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아미노산의 농도는 성인을 기준으로 알기닌 2 내지 5 g, 라이신 1g, 글리신 0.25 내지 6.75 g, 글루타민 2g으로 추천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적절한 용량을 선정하여 본 실험에 착수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원지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길경 추출물 또는 백하수오추출물은 제품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 추출물의 함량을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최적의 효과를 위해서는 혼합물 형태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3 내지 40 %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인 사료들과 혼합되어 동물들에 급여될 수 있다. 또한 유당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중량%)로 성장 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국내 한약 약재상에서 실험에 필요한 원지, 사상자, 길경 및 백하수오를 건조 상태로 구입하여 실험실 내에서 가정용 약탕기를 이용하여 80 내지 100 ℃에서 2회 추출분리하고, 수득된 각각의 추출물을 냉동 감압 건조기로 건조시켜 분말로 회수하여 사용하였다.
(단위: g)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원지 추출물 8.1 8.1 6.010
사상자 추출물 5.44 5.44 3.990
길경 추출물 14.9 14.9 10.990
백하수오 추출물 23.1 23.1 32.760
라이신 - 2.26 3.150
알기닌 - 11.3 15.650
글리신 - 4.6 10.600
글루탐산 - 15.2 3.130
분말 비타민A - - 0.010
비타민 B1 염산염 - - 0.010
비타민 B2 - - 0.010
비타민 C - - 0.500
니코틴산아미드 - - 0.100
유청칼슘 - - 3.000
젖산철 - - 0.001
산화아연 - - 0.100
결정셀룰로오스 - - 8.989
결합제 - - 1.000
실험예 1.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활성실험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의 성장 촉진 생리활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동물 사료를 퓨리나 코리아사(Purina Korea)에서 펠렛 형태의 포로 구입하고, 이를 파쇄하여 분말 형태로 준비하였다. 이 분말 사료 3kg에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첨가하고 잘 혼합한 다음, 양어장에서 사용하는 펠렛 사료 제조기(대한민국 소재 대구상공사의 제품, 상품명 ; 904MP)를 사용하여 A 사료를 제조하였다. 분말 사료 3kg에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첨가하여 A 사료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B 사료를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함량은 쥐가 하루에 섭취하는 먹이량을 고려하여 결정한 것이다.
출생 후 3주(이유 직후)가 된 SD(스프래그-돌리) 래트를 총 120 마리 준비하고 총 6 군으로 분리하였다. 각 군의 분리는 표 2와 같았다.
그 룹 처 방
제 1군 대조군, 수컷, 20마리
제 2군 대조군, 암컷, 20마리
제 3군 A 사료, 수컷, 20마리
제 4군 A 사료, 암컷, 20마리
제 5군 B 사료, 수컷, 20마리
제 6군 B 사료, 암컷, 20마리
A 사료=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첨가한 사료B 사료=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첨가한 사료
각 군의 래트에게 각 처방의 사료를 8주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주간별로 꼬리 길이를 포함한 체장과 체중을 측정하였다. 실험 시작 후 8주 후에 최종 체장 및 체중을 측정하고, 모든 쥐를 희생하여 대퇴부 및 정강이 뼈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장의 길이가 수컷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A 사료를 먹은 래트가 약 1 cm 더 길었으며, B 사료를 먹은 래트는 A 사료를 먹은 래트보다 약간 더 길었다. 암컷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A 사료를 먹은 래트가 약간 더 길었으며, 역시 B 사료를 먹은 래트가 A 사료를 먹은 래트보다 약간 더 길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중은 수컷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A 사료를 먹은 래트가 약 12g 정도 더 나갔으며, B 사료를 먹은 래트는 대조군 보다는 많이 나가지만 A 사료를 먹은 래트보다는 약간 덜 나갔다. 암컷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A 사료나 B 사료를 먹은 래트가 더 많이 나갔고, A 사료를 먹은 래트와 B 사료를 먹은 래트는 거의 비슷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퇴부 길이는 수컷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A 사료를 먹은 래트가 약 0.05mm 정도 더 길었으며, B 사료를 먹은 래트는 대조군보다 더 짧았다. 암컷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A 사료를 먹은 래트가 약간 더 길었으며, 역시 B 사료를 먹은 래트가 A 사료를 먹은 래트보다는 덜 길지만 대조군보다는 더 길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강이 뼈 길이는 수컷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A 사료를 먹은 래트가 더 길었으며, B 사료를 먹은 래트는 대조군 보다는 더 길지만 A 사료를 먹은 래트보다는 더 짧았다. 암컷의 경우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A 사료나 B 사료를 먹은 래트의 체중 증가율이 높았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A 사료나 B 사료를 먹은 래트의 체장 증가율이 높았다.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원지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길경 추출물 및 백하수오 추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을 래트의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래트의 체장, 체중, 대퇴부 길이, 정강이 뼈 길이에 있어서 성장 촉진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성장 촉진제 조성물은 천연 약재를 이용한 것으로서 화합물질 사용시에 수반되는 여러 가지 독성 및 생리조절기능 부조화 등의 부작용이 없고 안전성이 확보되므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이나 약품, 화장품 등에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원지 추출물 11 내지 21 중량%, 사상자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길경 추출물 24 내지 34 중량% 및 잔량으로서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 촉진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을 상기 추출물에 대하여 중량비로 1 대 0.4 내지 0.8 범위의 양으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 촉진제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이 라이신, 알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 촉진제 조성물.
  4. 원지 추출물 11 내지 21 중량%, 사상자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길경 추출물 24 내지 34 중량% 및 잔량으로서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왜소증 치료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을 상기 추출물에 대하여 중량비로 1 대 0.4 내지 0.8 범위의 양으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왜소증 치료용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이 라이신, 알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왜소증 치료용 조성물.
  7. 원지 추출물 11 내지 21 중량%, 사상자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길경 추출물 24 내지 34 중량% 및 잔량으로서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을 상기 추출물에 대하여 중량비로 1 대 0.4 내지 0.8 범위의 양으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이 라이신, 알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조성물.
KR10-2000-0042960A 2000-07-26 2000-07-26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0384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960A KR100384482B1 (ko) 2000-07-26 2000-07-26 성장 촉진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960A KR100384482B1 (ko) 2000-07-26 2000-07-26 성장 촉진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652A KR20020009652A (ko) 2002-02-02
KR100384482B1 true KR100384482B1 (ko) 2003-05-22

Family

ID=1967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960A KR100384482B1 (ko) 2000-07-26 2000-07-26 성장 촉진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994B1 (ko) 2010-03-04 2012-07-30 박영준 줄기세포 생존능 및 증식능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655A (ko) * 2001-09-10 2003-03-17 (주)내츄럴엔도텍 Igf-1 분비를 유도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758A (ko) * 1998-06-03 2000-01-15 배오성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KR20000038805A (ko) * 1998-12-09 2000-07-05 성재갑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조성물
KR101234258B1 (ko) * 2011-04-04 2013-02-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그래핀 복합체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758A (ko) * 1998-06-03 2000-01-15 배오성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KR20000038805A (ko) * 1998-12-09 2000-07-05 성재갑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조성물
KR101234258B1 (ko) * 2011-04-04 2013-02-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그래핀 복합체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994B1 (ko) 2010-03-04 2012-07-30 박영준 줄기세포 생존능 및 증식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652A (ko) 200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0895A1 (en) Composition for maintaining bone health and for treating osteoarthritis and osteoarthrosis of the joints
KR20100014572A (ko) 오스테오칼신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6852937A (zh) 促进生发、预防脱发和改善毛囊用食用蟋蟀组合物
KR100725926B1 (ko) 마늘을 함유하는 닭 사료 조성물
KR20090119785A (ko)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제
JP2005119983A (ja) 栄養組成物
JP2009143886A (ja) 成長ホルモン分泌促進剤
KR100384482B1 (ko) 성장 촉진제 조성물
CN102973829A (zh) 用于治疗奶牛腹泻的饲料
JPWO2017002840A1 (ja) エンドセリン受容体拮抗用組成物
HUT56500A (en) Process for facilitate development of swine
US20130071377A1 (en) Composition for increasing milk production containing artemisia capillaris
KR20160006941A (ko) 운동시 운동량과 성장호르몬 분비 증가에 필요한 조성물
KR100521845B1 (ko) 디오신을 함유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제
KR100502389B1 (ko) 성장 촉진제
KR20040102963A (ko) 가자를 함유한 동물용 사료 조성물
JP2005075763A (ja) 動物用薬剤
KR100576130B1 (ko) 호로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장호르몬분비촉진용 조성물
KR100497945B1 (ko)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용 생약추출물
KR100497948B1 (ko)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용 생약추출물
KR100523736B1 (ko) 스피카토사이드 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제
TWI227670B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calcium antagonist
KR100498277B1 (ko) 디오신을 포함하는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성장호르몬분비촉진용 기능성 식품, 건강 보조 식품 또는 특수 영양식품.
CN101491299A (zh) 一种环保型中草药混合动物饲料
JPH06178671A (ja) コンドロイチン硫酸蛋白複合体含有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