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716B1 - 유도전동기의제어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유도전동기의제어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716B1
KR100289716B1 KR1019970069170A KR19970069170A KR100289716B1 KR 100289716 B1 KR100289716 B1 KR 100289716B1 KR 1019970069170 A KR1019970069170 A KR 1019970069170A KR 19970069170 A KR19970069170 A KR 19970069170A KR 100289716 B1 KR100289716 B1 KR 100289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ignal
voltage
stator
induction motor
instantaneou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109A (ko
Inventor
오종석
홍복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71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or
    • H02P2207/01Asynchronous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은, 고정자 전류 및 목표 주파수에 대한 고정자 전압의 관계식에 따라 제1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전압 신호가 소정의 하한 주파수 미만에서 작용되는 제1-1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목표 주파수에 비례한 크기의 제2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전압 신호가 상기 하한 주파수 이상에서 작용되는 제2-1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1 전압 신호와 제2-1 전압 신호를 더해서 상기 고정자 전압의 제어 신호로서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ducation motor}
본 발명은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도 전동기는,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사용이 쉽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동기이다. 이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식으로는 단순 직기동 방식과, 인버터(Inverter)를 사용한 가변속 구동 방식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대부분 성능이 앞선 가변속 제어 방식 예를 들어,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제어 방식이 채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가변속 제어 방식에 있어서, 종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목표 주파수에 비례한 크기의 전압 신호에 옵셋 전압을 더하여, 고정자 전압의 제어 신호로서 사용하였다. 옵셋 전압을 더한 이유는, 유도 전동기가 저속 운전할 때에 회전력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유도 전동기의 제어 장치에는 전압 신호 발생기(11), 정류기(12) 및 인버터(13)가 마련된다. 전압 신호 발생기(11)는, 목표 주파수 신호(Vfe)를 이득 상수 G 만큼 증폭한 후, 증폭된 신호에 옵셋 전압(V0)을 더하여, 고정자 전압의 제어 신호(Vs)를 출력한다. 정류기(12)는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전압 신호 발생기(11)로부터의 전압 제어 신호에 비례한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인버터(13)는 정류기(12)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목표 주파수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시켜서 유도 전동기(IM)에 인가한다. 유도 전동기(IM)으로부터 검출된 고정자 전류 Is는 귀환 제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목표 주파수에 대한 고정자 전압의 특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의 선형 함수(21)와 같이, 고정자 전압 Vs가 목표 주파수 fe의 모든 영역에서 목표 주파수 fe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면, 저속 회전시 고정자 저항의 작용으로 인한 전압 강하가 커져서, 적절한 자속과 회전력이 발생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옵셋 전압(Offset voltage) V0이 작용하는 선형 함수(22) 또는 비선형 함수(23)를 사용한다. 도 2에서 Vsr은 정격 고정자 전압, 그리고 fr은 정격 주파수를 나타낸다.
옵셋 전압 V0이 작용하는 선형 함수(22)를 사용하는 경우, 옵셋 전압 V0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저속 회전시를 고려하여 충분한 옵셋 전압 V0이 인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정상 회전시에도 불필요한 옵셋 전압 V0이 작용하여, 유도 전동기의 과열 및 소비 전력 증대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옵셋 전압 V0이 작용하는 비선형 함수(23)를 사용하는 경우, 비선형부의 설정이 어렵고 그 정밀도가 낮으므로, 적절한 자속과 회전력이 발생될 수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소정의 회전수를 경계로 하여 두 영역에서 적절한 고정자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의 개략적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목표 주파수에 대한 고정자 전압의 특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유도 전동기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s1...제1 전압 신호, Isv...유효 순시값,
Rs...고정자 저항, Vs0...전압 상수,
fe...목표 주파수, fr...정격 주파수,
Is...평형 순시값, Vs1-1...제1-1 전압 신호,
Vs2...제2 전압 신호, Vs2-1...제2-1 전압 신호,
Vs...전압 신호, Em...고정자 작용 전압,
Lsl...고정자 누설 인덕턴스, Lrl...회전자 누설 인덕턴스,
M...상호 인덕턴스, Rr...회전자 저항,
s...라플라스 연산자, 51...제1 처리기,
52...저역 통과 필터, 53...제2 처리기,
54...고역 통과 필터, 55...가산기,
56...정류기, 57...인버터,
IM...유도 전동기, 511...Is 연산부,
513...Isv 연산부, 513...Vs1연산부,
ias... a상 순시 전류, ics...c상 순시 전류,
Vfe...목표 주파수 신호.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a1) 유도 전동기의 등가 회로에 따라, 고정자 전류 및 상기 목표 주파수에 대한 고정자 전압의 관계식을 설정한다. (a2) 상기 설정된 관계식에 따라 제1 전압 신호를 발생시킨다. (a3) 상기 제1 전압 신호가 소정의 하한 주파수 미만에서 작용되는 제1-1 전압 신호를 발생시킨다. (a4) 상기 목표 주파수에 비례한 크기의 제2 전압 신호를 발생시킨다. (a5) 상기 제2 전압 신호가 상기 하한 주파수 이상에서 작용되는 제2-1 전압 신호를 발생시킨다. (a6) 상기 제1-1 전압 신호와 제2-1 전압 신호를 더해서 고정자 전압 신호로서 발생시킨다. (b)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고정자 전압 신호의 크기에 비례한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c) 상기 직류 전압을 목표 주파수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시켜서 유도 전동기에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a2부터 단계 c까지는 제어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의 제어 장치는, 제1 처리기, 저역 통과 필터, 제2 처리기, 고역 통과 필터, 가산기, 정류기, 및 인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처리기는,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 전류 및 상기 목표 주파수에 대한 고정자 전압의 관계식에 따라 제1 전압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제1 전압 신호가 소정의 하한 주파수 미만에서 출력되게 한다. 상기 제2 처리기는, 상기 목표 주파수에 비례한 크기의 제2 전압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고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제2 전압 신호가 상기 하한 주파수 이상에서 출력되게 한다. 상기 가산기는,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고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더해서 고정자 전압 신호로서 발생시킨다. 상기 정류기는,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가산기로부터의 고정자 전압 신호에 비례한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정류기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상기 목표 주파수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시켜서 유도 전동기에 인가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상기 하한 주파수 이상의 속도 제어 영역에서는 보상되지 않은 상기 제2 전압 신호가 적용되고, 상기 하한 주파수 미만의 속도 제어 영역에서는 보상된 상기 제1 전압 신호가 적용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전압 신호들이 서로 다른 회전수 영역에서 적절히 발생되므로,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 전압이 적절히 인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 제어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도 전동기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a1) 유도 전동기의 등가 회로에 따라, 고정자 전류 Is 및 목표 주파수 fe에 대한 고정자 전압 Vs1의 관계식을 설정한다. (a2) 상기 설정된 고정자 전압 Vs1의 관계식에 따라 제1 전압 신호 Vs1을 출력한다. (a3) 상기 제1 전압 신호 Vs1이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하게 하여, 소정의 하한 주파수 미만에서 작용되는 제1-1 전압 신호 Vs1-1을 출력한다. (a4) 상기 목표 주파수 fe에 비례한 크기의 제2 전압 신호 Vs2를 발생시킨다. (a5) 상기 제2 전압 신호 Vs2가 상기 하한 주파수 이상에서 작용되는 제2-1 전압 신호 Vs2-1을 출력한다. (a6) 상기 제1-1 전압 신호 Vs1-1과 제2-1 전압 신호 Vs2-1을 더해서 고정자 전압 신호 Vs로서 발생시킨다. (b)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고정자 전압 신호 Vs의 크기에 비례한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c) 상기 직류 전압을 목표 주파수 fe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시켜서 유도 전동기에 인가한다. (d) 상기 단계 a2부터 단계 c까지는 제어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
상기 단계 a1에서, 고정자 전압 Vs1의 관계식을 설정하는 유도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도 전동기의 등가 회로를 구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유도 전동기는, 고정자 저항 Rs, 회전자 저항 Rr, 고정자 누설 인덕턴스 Lsl, 회전자 누설 인덕턴스 Lrl, 및 상호 인덕턴스 M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도 4에서, Vs는 고정자 인가 전압, Is는 고정자 전류, Em은 고정자 저항(Rs)의 전압 강하가 반영된 고정자 작용 전압, 그리고 s는 라플라스 연산자를 나타낸다.
도 4의 등가 회로에서, 고정자 전압 Vs1과 고정자 전류 Is의 위상차를 Φ라 하면, 고정자 전류 Is에 대한 고정자 전압 Vs1의 관계식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을 고정자 작용 전압 Em에 대하여 정리하면, 아래의 수학식 2가 성립한다.
Figure pat00002
정격 주파수 fr에서의 고정자 작용 전압 Em이 Emr인 경우, 전압과 주파수의 상호 관계를 적용하면, 고정자 작용 전압 Em은
Figure pat00003
이다. 이를 Em에 대입하여 상기 수학식 1을 풀면, 아래의 수학식 3이 성립한다.
Figure pat00004
상기 수학식 3에서 전압 상수 Vs0은, 아래의 수학식 4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Vsr은 정격 고정자 전압, Isr은 정격 고정자 전류, 그리고 Φr은 정격 위상차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3을 a상, b상 및 c상의 3상 유도 전동기에 적용하려면, 상기 고정자 전류 Is, Cos Φ, 및 Sin Φ에 각 평형 순시값을 반영하면 된다. a상의 고정자 전류의 순시값을 ias, 그리고 상기 a상과
Figure pat00006
의 위상차를 갖는 c상의 고정자 전류의 순시값을 ics라 하면, 고정자 전류 Is의 평형 순시값은 아래의 수학식 5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상기 고정자 전류 Is의 유효 순시값을 Isv라 하면, Cos Φ는
Figure pat00008
, 그리고 Sin Φ는
Figure pat00009
이다. 여기서 목표 주파수 fe에 의한 각속도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 그리고 동작 시간이 t라 하면, 상기 유효 순시값 Isv는 아래의 수학식 6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따라서 상기 수학식 3은 아래의 수학식 7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Figure pat00014
이와 같이 고정자 전류 Is 및 목표 주파수 fe에 대한 고정자 전압 Vs1의 관계식이 설정되면(단계 a1), 이에 따른 제1 전압 신호 Vs1을 출력한다(단계 a2). 다음에 출력된 제1 전압 신호 Vs1이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를 통과하게 하여, 소정의 하한 주파수 미만에서 작용되는 제1-1 전압 신호 Vs1-1을 출력한다(단계 a3). 여기서, 하한 주파수는, 유도 전동기가 정상적으로 제어에 응답할 수 있는 하한 속도의 주파수로서 실험 및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설정된다. 한편, 상기 목표 주파수 fe에 비례한 크기의 제2 전압 신호 Vs2를 발생시킨다(단계 a4). 단계 a4에서 적용될 식은
Figure pat00015
이다. 다음에 상기 제2 전압 신호 Vs2가 상기 하한 주파수 이상에서 작용되는 제2-1 전압 신호 Vs2-1을 출력한다(단계 a5). 다음에 상기 제1-1 전압 신호 Vs1-1과 제2-1 전압 신호 Vs2-1을 더해서 고정자 전압 신호 Vs로서 발생시킨다(단계 a6). 다음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고정자 전압 신호 Vs의 크기에 비례한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단계 b). 그리고 상기 직류 전압을 목표 주파수 fe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시켜서 유도 전동기에 인가한다(단계 c). 상기 단계 a2부터 단계 c까지는 제어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d).
상술한 바와 같이, 하한 주파수는, 유도 전동기가 정상적으로 제어에 응답할 수 있는 하한 속도의 주파수로서 실험 및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설정된다. 이 하한 주파수 이상의 속도 제어 영역에서는 보상되지 않은 제2 전압 신호 Vs2가 적용되고, 하한 주파수 미만의 속도 제어 영역에서는 보상된 제1 전압 신호 Vs1가 적용된다. 즉, 제1 및 제2 전압 신호들 Vs1, Vs2가 서로 다른 회전수 영역에서 적절히 발생되므로,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 전압이 적절히 인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를 아래에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는, 제1 처리기(51)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5부터 7을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저역 통과 필터(52), 제2 처리기(53), 고역 통과 필터(54), 가산기(55), 정류기(56) 및 인버터(5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처리기(51)는, 유도 전동기(IM)의 고정자 전류(Is) 및 목표 주파수(fe)에 대한 고정자 전압(Vs1)의 관계식에 따라 제1 전압 신호 Vs1을 발생시킨다. 상기 저역 통과 필터(52)는, 상기 제1 전압 신호 Vs1이 소정의 하한 주파수 미만에서 출력되게 한다. 상기 제2 처리기(53)는, 상기 목표 주파수(fe)에 비례한 크기의 제2 전압 신호 Vs2를 발생시킨다. 상기 고역 통과 필터(54)는, 상기 제2 전압 신호 Vs2가 상기 하한 주파수 이상에서 출력되게 한다. 상기 가산기(55)는, 상기 저역 통과 필터(52)의 출력 신호와 상기 고역 통과 필터(54)의 출력 신호를 더해서 고정자 전압 신호 Vs로서 발생시킨다. 상기 정류기(56)는,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가산기(55)로부터의 고정자 전압 신호 Vs에 비례한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57)는, 상기 정류기(56)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상기 목표 주파수(fe)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시켜서 유도 전동기(IM)에 인가한다.
상기 제1 처리기(51)는, 평형 순시값 연산부로서의 Is 연산부(511), 유효 순시값 연산부로서의 Isv 연산부(512), 그리고 제1 전압 신호 연산부로서의 Vs1연산부(513)를 포함한다. Is 연산부(511)는, a상 순시 전류 ias및 c상 순시 전류 ics를 입력받아, 상기 수학식 5에 따라 고정자 전류의 평형 순시값 Is를 구한다. Isv 연산부(512)는, a상 순시 전류 ias, c상 순시 전류 ics및 목표 주파수 신호 Vfe를 입력받아, 상기 수학식 6에 따라 상기 유효 순시값 Isv를 구한다. 그리고 Vs1연산부(513)는, 평형 순시값 Is와 유효 순시값 Isv를 입력받아, 상기 수학식 7에 따라 제1 고정자 전압 신호 Vs1을 구한다. 제1 처리기(51)로부터의 제1 고정자 전압 신호 Vs1은 저역 통과 필터(52)를 통하여 제1-1 고정자 전압 신호 Vs1-1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제1 처리기(51)의 처리 주체 즉, Is 연산부(511), Isv 연산부(512) 및 Vs1연산부(513)의 처리 주체는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5부터 7의 알고리듬을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한편, 제2 처리기(53)에서는 목표 주파수 신호 Vfe에 비례한 제2 고정자 전압 신호 Vs2를 발생시킨다. 제2 처리기(53)에서 적용될 식은
Figure pat00016
이다. 여기서 Vs0는 전압 상수, fe는 목표 주파수, 그리고 fr은 정격 주파수이다. 전압 상수 Vs0는 상기 수학식 4에 의하여 구해진다. 제2 처리기(53)로부터의 제2 고정자 전압 신호 Vs2는 고역 통과 필터(54)를 통하여 제2-1 고정자 전압 신호 Vs2-1로서 출력된다.
가산기(55)에서는, 상기 제1-1 고정자 전압 신호 Vs1-1와 제2-1 고정자 전압 신호 Vs2-1를 더하여, 고정자 전압 신호 Vs로서 정류기(56)에 입력시킨다. 정류기(56)는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입력된 고정자 전압 신호 Vs에 비례한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인버터(57)는, 상기 정류기(56)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상기 목표 주파수(fe)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시켜서 유도 전동기(IM)에 인가한다.
따라서, 저역 통과 필터(52) 및 고역 통과 필터(54)에 적용되는 하한 주파수의 회전수를 경계로 하여 제1-1 고정자 전압 신호 Vs1-1또는 제2-1 고정자 전압 신호 Vs2-1가 작용하므로, 두 회전수 영역에서 적절한 고정자 전압을 유도 전동기(IM)에 인가할 수 있다. 즉, 하한 주파수 이상의 속도 제어 영역에서는 보상되지 않은 제2 전압 신호 Vs2가 적용되고, 하한 주파수 미만의 속도 제어 영역에서는 보상된 제1 전압 신호 Vs1가 적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압 신호들 Vs1, Vs2가 서로 다른 회전수 영역에서 적절히 발생되므로, 유도 전동기(IM)의 고정자 전압이 적절히 인가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회전수를 경계로 하여 두 영역에서 적절한 고정자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유도 전동기가 적절한 자속과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그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10)

  1. (a1) 유도 전동기의 등가 회로에 따라, 고정자 전류 및 상기 목표 주파수에 대한 고정자 전압의 관계식을 설정하는 단계;
    (a2) 상기 설정된 관계식에 따라 제1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a3) 상기 제1 전압 신호가 소정의 하한 주파수 미만에서 작용되는 제1-1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a4) 상기 목표 주파수에 비례한 크기의 제2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a5) 상기 제2 전압 신호가 상기 하한 주파수 이상에서 작용되는 제2-1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a6) 상기 제1-1 전압 신호와 제2-1 전압 신호를 더해서 고정자 전압 신호로서 발생시키는 단계;
    (b)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고정자 전압 신호의 크기에 비례한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직류 전압을 목표 주파수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시켜서 유도 전동기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2)부터 단계 (c)까지는,
    제어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1)은,
    (a11) 각 상의 고정자 전류의 순시값을 처리하여 그 평형 순시값을 구하는 평형 순시값 연산 단계;
    (a12) 상기 각 상의 고정자 전류의 순시값 및 목표 주파수를 처리하여 그 유효 순시값을 구하는 유효 순시값 연산 단계; 및
    (a13) 상기 평형 순시값 및 유효 순시값을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압 신호를 구하는 전압 신호 연산 단계;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11)은,
    3상 전동기에서, a상의 고정자 전류의 순시값을 ias, 상기 a상과
    Figure pat00017
    의 위상차를 갖는 c상의 고정자 전류의 순시값을 ics, 그리고 상기 평형 순시값을 Is 라 하면,
    Figure pat00018
    의 식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12)는,
    상기 목표 주파수에 의한 각속도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 동작 시간이 t, 그리고 상기 유효 순시값이 Isv라 하면,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의 식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13)은,
    상기 제1 전압 신호가 Vs1, 고정자 저항이 Rs, 전압 상수가 Vs0, 상기 목표 주파수가 fe, 그리고 정격 주파수가 fr이라 하면,
    Figure pat00023
    의 식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상수 Vs0는,
    정격 고정자 전압이 Vsr, 정격 고정자 전류가 Isr, 그리고 정격 위상차가 Φr이라 하면,
    Figure pat00024
    의 식에 의하여 구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4)는,
    상기 제2-1 전압 신호가 Vs2라 하면,
    Figure pat00025
    의 식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의 제어 방법.
  9.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 전류 및 목표 주파수에 대한 고정자 전압의 관계식에 따라 제1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처리기;
    상기 제1 전압 신호가 소정의 하한 주파수 미만에서 출력되게 하는 저역 통과 필터;
    상기 목표 주파수에 비례한 크기의 제2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처리기;
    상기 제2 전압 신호가 상기 하한 주파수 이상에서 출력되게 하는 고역 통과 필터;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고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더해서 고정자 전압 신호로서 발생시키는 가산기;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가산기로부터의 고정자 전압 신호에 비례한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정류기; 및
    상기 정류기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상기 목표 주파수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시켜서 유도 전동기에 인가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유도 전동기의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동기가 3상 유도 전동기인 경우에 상기 제1 처리기는,
    서로
    Figure pat00026
    의 위상차를 갖는 두 상의 고정자 전류의 순시값(ias, ics)을 처리하여 그 평형 순시값(IS)을 구하는 평형 순시값 연산부;
    상기 두 상의 고정자 전류의 순시값(ias, ics) 및 목표 주파수(Vfe)를 처리하여 그 유효 순시값(ISV)을 구하는 유효 순시값 연산부; 및
    상기 평형 순시값(IS) 및 유효 순시값(ISV)을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압 신호(VS1)를 구하는 전압 신호 연산부를 포함한 유도 전동기의 제어 장치.
KR1019970069170A 1997-12-16 1997-12-16 유도전동기의제어방법및장치 KR100289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170A KR100289716B1 (ko) 1997-12-16 1997-12-16 유도전동기의제어방법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170A KR100289716B1 (ko) 1997-12-16 1997-12-16 유도전동기의제어방법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109A KR19990050109A (ko) 1999-07-05
KR100289716B1 true KR100289716B1 (ko) 2001-05-15

Family

ID=3751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170A KR100289716B1 (ko) 1997-12-16 1997-12-16 유도전동기의제어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7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109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5154B1 (en) Method of controlling inverter-driven induction motor
JP3611492B2 (ja) 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EP00823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duction motor
KR940004959B1 (ko) 유도전동기의 슬립각속도 연산방법
JPS6143952B2 (ko)
JP3064671B2 (ja) 電力変換装置の制御回路
EP00492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 induction motor
JP2004180354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回転子位置推定方法とその装置
JPS6036716B2 (ja) 誘導電動機の磁束ベクトル演算器
KR100289716B1 (ko) 유도전동기의제어방법및장치
JP4120868B2 (ja) 交流電動機の制御装置
JPH09238492A (ja) 交流電動機の制御装置
JP2579119B2 (ja) 誘導電動機のベクトル制御装置
JP3957369B2 (ja) 誘導電動機制御装置
JPH0632581B2 (ja) 誘導電動機制御装置
JP3609098B2 (ja) 誘導電動機のベクトル制御装置におけるモータ定数同定方法
JP2634959B2 (ja) 速度センサレス速度制御方式
JP2738721B2 (ja) 誘導電動機の速度制御装置
US11482963B2 (en) Inverter control device
KR100451367B1 (ko) 센서리스 벡터제어 방법
EP0427571B1 (en) AC motor control
JP3124019B2 (ja) 誘導電動機の制御装置
JP2897373B2 (ja) 直流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装置
JPH10108500A (ja) 3相交流電動機の制御装置
JPS633471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